KR102154172B1 -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및 비브리오 세균의 갑각류 감염을 억제하는 생균제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및 비브리오 세균의 갑각류 감염을 억제하는 생균제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4172B1 KR102154172B1 KR1020190035679A KR20190035679A KR102154172B1 KR 102154172 B1 KR102154172 B1 KR 102154172B1 KR 1020190035679 A KR1020190035679 A KR 1020190035679A KR 20190035679 A KR20190035679 A KR 20190035679A KR 102154172 B1 KR102154172 B1 KR 1021541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rimp
- white spot
- syndrome virus
- spot syndrome
- strain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696962 White spot syndrome virus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41000238424 Crustacea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00529 probiotic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3
- 239000006041 probiot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3
- 235000018291 probiotic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3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7
- 241000607598 Vibrio Speci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2
- 201000009910 diseases by infectious agent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40000008371 Bacillus subtil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40075615 Bacillus subtilis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14469 Bacillus subtil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108091005771 Peptidase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4365 Protea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366 lipolytic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102000033147 ERVK-25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3674 animal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24881 catalytic acti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1000607272 Vibrio parahaemolytic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238557 Decapod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0
- 241000193830 Bacillus <bacterium>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10000000936 Intestines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41000238366 Cephalopod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0000007842 Glycine max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924 anti-infective Effects 0.000 abstract 1
- 241000519995 Stachys sylvatica Species 0.000 description 29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3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609 medi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9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08000001756 Vir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8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1817 Agar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41000238553 Litopenaeus vannamei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8272 a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01000010874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115 biocidal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862 health statu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829 reduced Effects 0.000 description 5
- 108020004465 16S Ribosomal RNA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BJRNKVDFDLYUGJ-RMPHRYRLSA-N ARBUT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1=CC=C(O)C=C1 BJRNKVDFDLYUGJ-RMPHRYRLSA-N 0.000 description 4
- 229940064005 Antibiotic throat preparations Drugs 0.000 description 4
- 229940083879 Antibiotics FOR TREATMENT OF HEMORRHOIDS AND ANAL FISSURES FOR TOPICAL USE Drugs 0.000 description 4
- 229940042052 Antibiotics for systemic use Drugs 0.000 description 4
- 229940042786 Antitubercular Antibiotics Drugs 0.000 description 4
- 229940088598 Enzyme Drugs 0.000 description 4
- BJHIKXHVCXFQLS-UYFOZJQFSA-N Fructose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O)CO BJHIKXHVCXFQLS-UYFOZJQFSA-N 0.000 description 4
- 229940093922 Gynecological Antibiotics Drugs 0.000 description 4
- GUBGYTABKSRVRQ-YOLKTULG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O)O[C@H]1CO)[C@@H]1[C@H](O)[C@@H](O)[C@@H](O)[C@@H](CO)O1 GUBGYTABKSRVRQ-YOLKTULGSA-N 0.000 description 4
- 229940024982 Topical Antifungal Antibiotics Drug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0261 cell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40079866 intestinal antibiotics Drug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40005935 ophthalmologic Antibiotics Drug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717 pathogenic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44000052769 pathogen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1974 tryptic soy brot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WQZGKKKJIJFFOK-GASJEMHNSA-N D-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3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888 Pep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08010080698 Pepto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840 anti-viral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40079593 drugs Drug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68 intestinal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319 pept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356 sorb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519 tissue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VBUYCZFBVCCYFD-JJYYJPOSSA-M 2-dehydro-D-gluconate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C([O-])=O VBUYCZFBVCCYFD-JJYYJPOSSA-M 0.000 description 2
- IZSRJDGCGRAUAR-MROZADKFSA-M 5-dehydro-D-gluconate Chemical compound OCC(=O)[C@@H](O)[C@H](O)[C@@H](O)C([O-])=O IZSRJDGCGRAUAR-MROZADKFSA-M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XHCADAYNFIFUHF-TVKJYDDYSA-N Aescul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C(=C1)O)=CC2=C1OC(=O)C=C2 XHCADAYNFIFUHF-TVKJYDDYSA-N 0.000 description 2
- XHCADAYNFIFUHF-BGNCJLHMSA-N Aesculin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C(=C1)O)=CC2=C1OC(=O)C=C2 XHCADAYNFIFUHF-BGNCJLHMSA-N 0.000 description 2
- ZHGNHOOVYPHPNJ-UHFFFAOYSA-N Amigdalin Natural products FC(F)(F)C(=O)OCC1OC(OCC2OC(OC(C#N)C3=CC=CC=C3)C(OC(=O)C(F)(F)F)C(OC(=O)C(F)(F)F)C2OC(=O)C(F)(F)F)C(OC(=O)C(F)(F)F)C(OC(=O)C(F)(F)F)C1OC(=O)C(F)(F)F ZHGNHOOVYPHPN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0271 Arbutin Drugs 0.000 description 2
- GZCGUPFRVQAUEE-KCDKBNATSA-N D-(+)-Galactose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GZCGUPFRVQAUEE-KCDKBNATSA-N 0.000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CUHNMECISA-N D-Cellobi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CUHNMECISA-N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KAZBKCHUSA-N D-Mann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AZBKCHUSA-N 0.000 description 2
- UNXHWFMMPAWVPI-QWWZWVQMSA-N D-Thre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O UNXHWFMMPAWVPI-QWWZWVQMSA-N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2
- RGHNJXZEOKUKBD-SQOUGZDYSA-M D-gluconate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O RGHNJXZEOKUKBD-SQOUGZDYSA-M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QTVWNMPRSA-N D-mannopyran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QTVWNMPRSA-N 0.000 description 2
- CZMRCDWAGMRECN-UGDNZRGBSA-N D-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86 Erythr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09714 Erythritol Drugs 0.000 description 2
- UNXHWFMMPAWVPI-ZXZARUISSA-N Erythr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O UNXHWFMMPAWVPI-ZXZARUISSA-N 0.000 description 2
- 229940093496 Escul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GUCUJZIJSA-N Galact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GUCUJZIJ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40096919 Glycogen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27 Glycoge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BYSGBSNPRWKUQH-UJDJLXLFSA-N Glycoge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C@@H]1[C@@H](O[C@@H]2[C@@H]([C@@H](O)[C@H](O)[C@@H](CO)O2)O)[C@H](O)[C@@H](O)[C@@H](O[C@@H]2[C@H](O[C@H](O)[C@H](O)[C@H]2O)CO)O1 BYSGBSNPRWKUQH-UJDJLXLFSA-N 0.000 description 2
- VEXZGXHMUGYJMC-UHFFFAOYSA-N HCl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0367 Inositol Drugs 0.000 description 2
- CDAISMWEOUEBRE-GPIVLXJGSA-N Inositol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O)[C@H](O)[C@@H]1O CDAISMWEOUEBRE-GPIVLXJG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02 Inul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40029339 Inulin Drugs 0.000 description 2
- JYJIGFIDKWBXDU-MNNPPOADSA-N Inul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C@]1(OC[C@]2(OC[C@]3(OC[C@]4(OC[C@]5(OC[C@]6(OC[C@]7(OC[C@]8(OC[C@]9(OC[C@]%10(OC[C@]%11(OC[C@]%12(OC[C@]%13(OC[C@]%14(OC[C@]%15(OC[C@]%16(OC[C@]%17(OC[C@]%18(OC[C@]%19(OC[C@]%20(OC[C@]%21(OC[C@]%22(OC[C@]%23(OC[C@]%24(OC[C@]%25(OC[C@]%26(OC[C@]%27(OC[C@]%28(OC[C@]%29(OC[C@]%30(OC[C@]%31(OC[C@]%32(OC[C@]%33(OC[C@]%34(OC[C@]%35(OC[C@]%36(O[C@@H]%37[C@@H]([C@@H](O)[C@H](O)[C@@H](CO)O%37)O)[C@H]([C@H](O)[C@@H](CO)O%36)O)[C@H]([C@H](O)[C@@H](CO)O%35)O)[C@H]([C@H](O)[C@@H](CO)O%34)O)[C@H]([C@H](O)[C@@H](CO)O%33)O)[C@H]([C@H](O)[C@@H](CO)O%32)O)[C@H]([C@H](O)[C@@H](CO)O%31)O)[C@H]([C@H](O)[C@@H](CO)O%30)O)[C@H]([C@H](O)[C@@H](CO)O%29)O)[C@H]([C@H](O)[C@@H](CO)O%28)O)[C@H]([C@H](O)[C@@H](CO)O%27)O)[C@H]([C@H](O)[C@@H](CO)O%26)O)[C@H]([C@H](O)[C@@H](CO)O%25)O)[C@H]([C@H](O)[C@@H](CO)O%24)O)[C@H]([C@H](O)[C@@H](CO)O%23)O)[C@H]([C@H](O)[C@@H](CO)O%22)O)[C@H]([C@H](O)[C@@H](CO)O%21)O)[C@H]([C@H](O)[C@@H](CO)O%20)O)[C@H]([C@H](O)[C@@H](CO)O%19)O)[C@H]([C@H](O)[C@@H](CO)O%18)O)[C@H]([C@H](O)[C@@H](CO)O%17)O)[C@H]([C@H](O)[C@@H](CO)O%16)O)[C@H]([C@H](O)[C@@H](CO)O%15)O)[C@H]([C@H](O)[C@@H](CO)O%14)O)[C@H]([C@H](O)[C@@H](CO)O%13)O)[C@H]([C@H](O)[C@@H](CO)O%12)O)[C@H]([C@H](O)[C@@H](CO)O%11)O)[C@H]([C@H](O)[C@@H](CO)O%10)O)[C@H]([C@H](O)[C@@H](CO)O9)O)[C@H]([C@H](O)[C@@H](CO)O8)O)[C@H]([C@H](O)[C@@H](CO)O7)O)[C@H]([C@H](O)[C@@H](CO)O6)O)[C@H]([C@H](O)[C@@H](CO)O5)O)[C@H]([C@H](O)[C@@H](CO)O4)O)[C@H]([C@H](O)[C@@H](CO)O3)O)[C@H]([C@H](O)[C@@H](CO)O2)O)[C@@H](O)[C@H](O)[C@@H](CO)O1 JYJIGFIDKWBXDU-MNNPPOADSA-N 0.000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UUNJERMW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O)O[C@@H]1CO)[C@H]1[C@@H](O)[C@@H](O)[C@H](O)[C@H](CO)O1 GUBGYTABKSRVRQ-UUNJERMWSA-N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KVTDHHQDSA-N 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2
- PYWVYCXTNDRMGF-UHFFFAOYSA-N Rhodamine B Chemical compound [Cl-].C=12C=CC(=[N+](CC)CC)C=C2OC2=CC(N(CC)CC)=CC=C2C=1C1=CC=CC=C1C(O)=O PYWVYCXTNDRM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GFMICBWJRZIBI-UJPOAAIJSA-N Salic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1=CC=CC=C1CO NGFMICBWJRZIBI-UJPOAAIJSA-N 0.000 description 2
- NGFMICBWJRZIBI-JZRPKSSGSA-N Salicin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O)[C@H](CO)O1)c1c(CO)cccc1 NGFMICBWJRZIBI-JZRPKSSG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318927 Shrimp white spot syndrome 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CZMRCDWAGMRECN-GDQSFJPYSA-N Sucr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O)[C@H](CO)O1)[C@@]1(CO)[C@H](O)[C@@H](O)[C@@H](CO)O1 CZMRCDWAGMRECN-GDQSFJPYSA-N 0.000 description 2
- HDTRYLNUVZCQOY-LIZSDCNHSA-N Trehal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O)[C@@H](O)[C@H](O)[C@@H](CO)O1 HDTRYLNUVZCQOY-LIZSDCNHSA-N 0.000 description 2
- HDTRYLNUVZCQOY-WSWWMNSNSA-N Trehal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O)[C@@H](O)[C@@H](O)[C@@H](CO)O1 HDTRYLNUVZCQOY-WSWWMNSNSA-N 0.000 description 2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PYMYPHUHKUWMLA-WDCZJNDASA-N aldehydo-D-arabinose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PYMYPHUHKUWMLA-WDCZJNDASA-N 0.000 description 2
- PNNNRSAQSRJVSB-DPYQTVNSSA-N aldehydo-D-fucose Chemical compound C[C@@H](O)[C@H](O)[C@H](O)[C@@H](O)C=O PNNNRSAQSRJVSB-DPYQTVNSSA-N 0.000 description 2
- PYMYPHUHKUWMLA-LMVFSUKVSA-N aldehydo-D-ribose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PYMYPHUHKUWMLA-LMVFSUKVSA-N 0.000 description 2
- PYMYPHUHKUWMLA-VPENINKCSA-N aldehydo-D-xylose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PYMYPHUHKUWMLA-VPENINKCSA-N 0.000 description 2
- PYMYPHUHKUWMLA-VAYJURFESA-N aldehydo-L-arabinose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PYMYPHUHKUWMLA-VAYJURFESA-N 0.000 description 2
- PNNNRSAQSRJVSB-KCDKBNATSA-N aldehydo-L-fucose Chemical compound C[C@H](O)[C@@H](O)[C@@H](O)[C@H](O)C=O PNNNRSAQSRJVSB-KCDKBNATSA-N 0.000 description 2
- PYMYPHUHKUWMLA-WISUUJSJSA-N aldehydo-L-xylose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PYMYPHUHKUWMLA-WISUUJSJ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4994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13 deoxyribonucle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14 erythr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050 feed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68 genetic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40050410 gluconat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47 ki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XLOQQCSPSA-N lac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O)[C@H]1O GUBGYTABKSRVRQ-XLOQQCSP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38565 lobster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94 mann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HOVAGTYPODGVJG-ZFYZTMLRSA-N methyl α-D-glucopyranoside Chemical compound CO[C@H]1O[C@H](CO)[C@@H](O)[C@H](O)[C@H]1O HOVAGTYPODGVJG-ZFYZTMLR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IJGRMHOSHXDMSA-UHFFFAOYSA-N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04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40120668 salic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584 weight gai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786 weight ga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DLRVVLDZNNYCBX-ZZFZYMBESA-N β-melibi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C@@H]1[C@@H](O)[C@H](O)[C@@H](O)[C@H](O)O1 DLRVVLDZNNYCBX-ZZFZYMBESA-N 0.000 description 2
- YLWWLYACYNLGLT-JGWLITMVSA-N (2R,3R,4S,5R)-2-methyloxane-2,3,4,5-tetrol Chemical compound C[C@@]1(O)OC[C@@H](O)[C@H](O)[C@H]1O YLWWLYACYNLGLT-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XUCIJNAGGSZNQT-JHSLDZJXSA-N (R)-amygdal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C@@H]1[C@@H](O)[C@H](O)[C@@H](O)[C@H](O[C@@H](C#N)C=2C=CC=CC=2)O1 XUCIJNAGGSZNQT-JHSLDZJXSA-N 0.000 description 1
- 102100004835 ALAD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60000275 ALAD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9837 Amygda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XUCIJNAGGSZNQT-IJDPOVSISA-N Amygdalin Natural products O([C@H](C#N)c1ccccc1)[C@@H]1[C@@H](O)[C@@H](O)[C@H](O)[C@@H](CO[C@H]2[C@H](O)[C@@H](O)[C@H](O)[C@@H](CO)O2)O1 XUCIJNAGGSZNQT-IJDPOVSI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017 Astacoid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0945 Bacterial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WSSMMNVKLQZMEF-BEKOLJTOSA-N CC(=O)N[C@H]1C(O)O[C@H](CO)[C@@H](O)[C@@H]1O.CC(=O)N[C@H]1C(O)O[C@H](CO)[C@@H](O)[C@@H]1O Chemical compound CC(=O)N[C@H]1C(O)O[C@H](CO)[C@@H](O)[C@@H]1O.CC(=O)N[C@H]1C(O)O[C@H](CO)[C@@H](O)[C@@H]1O WSSMMNVKLQZMEF-BEKOLJTOSA-N 0.000 description 1
- ZPWVASYFFYYZEW-UHFFFAOYSA-L Dipotassium phosphate Chemical compound [K+].[K+].OP([O-])([O-])=O ZPWVASYFFYYZEW-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DLRVVLDZNNYCBX-LIZSDCNHSA-N Gentiobi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C@@H]1[C@@H](O)[C@H](O)[C@@H](O)[C@H](O)O1 DLRVVLDZNNYCBX-LIZSDCNH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514 Hepatopancrea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906 Intestin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86660 Lactobaci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9696 Lactobacillus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21 Macromolecul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116 Mirabilis expan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429 Mirabilis expan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NJTGANWAUPEOAX-UHFFFAOYSA-N MolPort-023-220-454 Chemical compound OCC(O)CO.OCC(O)CO NJTGANWAUPEOA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16943 Muramid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4251 Muramid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50 Nucleic acid sequenc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121963 Palaemon paucid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96 Pancrea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02000035443 Peptid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MUPFEKGTMRGPLJ-ZQSKZDJDSA-N Raffin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C@@H]2[C@@H]([C@@H](O)[C@@H](O)[C@@H](CO)O2)O)O1 MUPFEKGTMRGPLJ-ZQSKZDJDSA-N 0.000 description 1
- MUPFEKGTMRGPLJ-RMMQSMQOSA-N Raffinose Natural products O(C[C@H]1[C@@H](O)[C@H](O)[C@@H](O)[C@@H](O[C@@]2(CO)[C@H](O)[C@@H](O)[C@@H](CO)O2)O1)[C@@H]1[C@H](O)[C@@H](O)[C@@H](O)[C@@H](CO)O1 MUPFEKGTMRGPLJ-RMMQSMQOSA-N 0.000 description 1
- PNNNRSAQSRJVSB-BXKVDMCESA-N Rhamnose Chemical compound C[C@H](O)[C@H](O)[C@@H](O)[C@@H](O)C=O PNNNRSAQSRJVSB-BXKVDMCE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43267 Rhodamine B Drugs 0.000 description 1
- GSEJCLTVZPLZKY-UHFFFAOYSA-N Tris Chemical compound OCCN(CCO)CCO GSEJCLTVZPLZ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83 Tris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9983 VITAMINS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1016 Vitamin IV solution additive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6 active pharmaceutic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4 acu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30 additio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PYMYPHUHKUWMLA-UOWFLXDJSA-N aldehydo-D-lyxose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PYMYPHUHKUWMLA-UOWFLXDJ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9 antimicrob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UIIMBOGNXHQVGW-UHFFFAOYSA-M buffer Substances [Na+].OC([O-])=O UIIMBOGNXHQVG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8 case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40 cas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13 cell 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2534 cell ki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RCTYPNKXASFOBE-UHFFFAOYSA-M chloromercury Chemical compound [Hg]Cl RCTYPNKXASFOBE-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92 crystallographic characte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28 culture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089 cyt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96 dipotass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97 dipotassium 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KCXVZYZYPLLWCC-UHFFFAOYSA-N edta Chemical compound OC(=O)CN(CC(O)=O)CCN(CC(O)=O)CC(O)=O KCXVZYZYPLLW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07 ferment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449 good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growt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37 immune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1 inoc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94 insect medi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BJHIKXHVCXFQLS-PYWDMBMJSA-N keto-D-sorbose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CO BJHIKXHVCXFQLS-PYWDMBMJ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65 leth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18 lethal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66 lys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274 lysozym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25 lysozy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35 lysozym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QWIZNVHXZXRPDR-WSCXOGSTSA-N melezitose Chemical compound O([C@@]1(O[C@@H]([C@H]([C@@H]1O[C@@H]1[C@@H]([C@@H](O)[C@H](O)[C@@H](CO)O1)O)O)CO)CO)[C@H]1O[C@H](CO)[C@@H](O)[C@H](O)[C@H]1O QWIZNVHXZXRPDR-WSCXOGST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496 m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 0.000 description 1
- HOVAGTYPODGVJG-VEIUFWFVSA-N methyl α-D-mannoside Chemical compound CO[C@H]1O[C@H](CO)[C@@H](O)[C@H](O)[C@@H]1O HOVAGTYPODGVJG-VEIUFWFVSA-N 0.000 description 1
- ZBDGHWFPLXXWRD-JGWLITMVSA-N methyl β-D-xylopyranoside Chemical compound CO[C@@H]1OC[C@@H](O)[C@H](O)[C@H]1O ZBDGHWFPLXXWRD-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36 mis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59 mort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074 necrotic cell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957 no side effec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715 nutritional stat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75 pathologic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56 performance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19 plant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97 proteolyth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KEAYESYHFKHZAL-UHFFFAOYSA-N sodium Chemical compound [Na] KEAYESYHFKHZA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PVGBHEUCHKGFQP-UHFFFAOYSA-N sodium;N-[5-amino-2-(4-aminophenyl)sulfonylphenyl]sulfonylacetamide Chemical compound [Na+].CC(=O)NS(=O)(=O)C1=CC(N)=CC=C1S(=O)(=O)C1=CC=C(N)C=C1 PVGBHEUCHKGFQ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10 therapy by ultrasoun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102 tryptic soy bro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1447 unidentified baculo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12 virologic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LKDRXBCSQODPBY-DPYQTVNSSA-N β-D-tagatopyranose Chemical compound OC[C@@]1(O)OC[C@@H](O)[C@H](O)[C@@H]1O LKDRXBCSQODPBY-DPYQTVNS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95—Antibiotic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2—Spore-forming bacteria, e.g. Bacillus coagulans, Bacillus subtilis, clostridium or Lactobacillus sporoge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 C12R1/125—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12R2001/125—Bacillus subtilis ; Hay bacillus; Grass bacillu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02A40/818—Alternative feeds for fish, e.g. in aquacultures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 새우 내장, 오징어 내장, 된장 등으로부터 분리하고 선발된, 새우 등 갑각류에 감염하는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및 비브리오 균에 대해 우수한 감염억제 활성을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균주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수, 새우 내장, 오징어 내장, 된장 등으로부터 분리하고 선발된, 새우 등 갑각류에 감염하는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및 비브리오 균에 대해 우수한 억제 활성을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균주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새우는 종교, 인종, 국가에 관계없이 전 세계인들이 좋아하는 식품대상 종으로서 톤당 10,000~15,000불($)에 이르는 세계적으로 높은 고부가 수산물중의 하나이다. 전 세계 새우 생산량은 지난 2012년 768만 톤이었고,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인 432만톤이 양식을 통해 생산됐다.
이러한 양식산 새우의 생산량은 2012년까지 증가세를 보였으나 2013년에는 주요 생산국에서 대량 폐사가 발생함에 따라 큰 폭으로 감소했다. 특히 양식 산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흰다리새우의 폐사 피해가 컸다.
양식새우는 배합사료로만 투여하면서 4월부터 10월까지 약 6개월간 출하가 가능하여 큰 질병 없이 사육한다면 어떠한 양식 어종보다도 부가가치가 큰 수산자원 중의 하나이다. 국내 양식장은 강화도를 시작으로 영종도, 조암, 태안, 남해안까지 해안의 간석지에 3,000평에서 1만여평의 호지를 만들어 사육하고 있다. 밀집 새우 양식은 고도의 생산성을 기대할 수 있지만 필연적으로 질병의 발생과 전파를 초래한다. 이러한 질병들의 가장 중요한 병원체는 높은 이환율과 치사율을 가지는 바이러스이고, 그 다음은 비브리오 세균이다. Baculovirus의 일종인 흰반점 증후군바이러스(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가 일으키는 흰반점증후군 (white spot syndrome disease, WSSD) 질병은 1992년 8월 중국의 푸지안 지방의 보리새우 양식장에서 최초로 보고된 이래 현재는 일본, 중국을 비롯하여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및 인도에 이르기까지 동남아시아 거의 전역에 확산 되었는데, 감염률이 높은 데다 아직 예방법이 개발되지 않아 피해가 커지고 있다.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는 주로 새우, 가재, 게 등의 갑각류에 감염되는데, 특히, 이 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 흰반점증증후군이 발현되어, 갑각류의 갑피(carapace), 외지 (appendage) 및 큐티클에 흰반점이 나타나고, 간 췌장(hepatopancreas)이 붉은색을 띠게 된다.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에 감염된 새우류는 그 감염 강도에 따라 3~10일 내에 90~100%가 폐사되며, 20일 이내에 전량 폐사되는 새우류의 치명적인 질병으로 최근 새우양식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고, 우리나라는 93년 이후 해마다 새우양식장의 절반이 대량 폐사되는 피해를 가져오고 있다.
신종 새우 질병인 '조기치사증후군 (early mortality syndrome, 이하 EMS)' 또는 급성간췌장궤사증후군(acute hepatopancreatic necrosis syndrome)이라 명명된 이 질병에 감염되면 입식 후 20~30일 내에 대량 폐사하는데 때로는 100% 폐사한다. 최근 발표된 EMS 원인체로 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로 논의되고 있다.
새우에 감염하는 바이러스에 대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약제 개발은 아직 없는 실정이고, 특히 식품으로 사용되는 새우에 사용하여도 독성 등 부작용이 없으며 가격이 저렴한 천연물 약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항생제와 합성약품이 다른 바이러스병에 일부 효과를 보이고 있으나 잔여활성, 내성균주 출현, 환경위험 때문에 흰반점증후군병에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일부 식물추출물이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억제에 효과가 있다는 특허문헌(한국특허등록 제10-0824106, 한국특허출원 제10-2017-0022579)가 있으나, 이들 추출물을 사용하여 새우양식에 적용하였을 때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에 의한 대량폐사를 줄였다는 보고는 아직 없다. 또한, 미생물제재를 갑각류 양식장에 투여하여 유익한 미생물들의 우점화를 통한 갑각류의 일반적인 면역력을 증가시켜보자는 특허(한국특허등록 제10-1738591)가 있으나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에 특이하게 억제효과가 있다는 보고 역시 없다. 더구나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뿐 아니라 새우 양식에 역시 큰 피해를 주는 비브리오균을 동시에 억제하는 보고도 아직 없다. 따라서 새우 및 갑각류에 가장 치명적인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및 비브리오균의 두 가지 병원균에 대하여 동시에 효과적인 억제제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상에서 나타난 배경으로 미루어 새우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및 비브리오균 의 감염 억제효과를 낼 수 있는 유용 미생물을 탐색하여 생균제로써 국내ㆍ외 새우를 비롯한 갑각류 양식 산업에 적용한다면 경제적인 이익뿐 아니라 항생제 없는 안전한 먹거리 창출에도 이바지 할 수 있다.
생균제(probiotics)는 "적당량을 섭취하였을 때 숙주동물에게 건강상 이익을 주는 살아있는 미생물“로 정의되고 있는데, 유익한 미생물의 성장을 촉진하는 한편 병원성 미생물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국내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생균제는 동물이 섭취하였을 때 성장촉진과 사료효율의 향상, 장내 미생물의 경합에 의한 어린 동물들의 장 질환 방지 및 병원성 미생물 감소, 면역기능 향상 등 다양한 면에서 유익한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자들은 새우를 비롯한 갑각류 양식분야에서 높은 폐사율로 경제적으로 큰 손실을 유발하는 주요한 병원체인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와 비브리오세균에 대해 효과적인 감염억제작용을 가져서 항생제대체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균주의 개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우수한 항바이러스 및 항세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균주를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새우를 비롯한 갑각류의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와 비브리오세균 감염 억제 활성이 우수한, 신규한 균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와 비브리오세균 감염 억제 우수 균주, 또는 그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새우를 비롯한 갑각류의 생균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와 비브리오 세균 감염 억제 우수 활성을 갖는 균주, 또는 그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새우를 비롯한 갑각류 양식 사료 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바닷물, 바다 퇴적물, 새우와 오징어 등 어류의 내장,그리고 된장으로부터 분리하였으며,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와 비브리오세균 감염 억제활성이 우수하여 선발된 바실러스 서브티리스(Bacillus subtilis) KS1 (KACC92239P)를 제공한다.
바실러스 서브티리스 KS1은 새우를 비롯한 갑각류에 감염을 유발하며, 특히, 양식 새우에 질병을 유발하여 100%의 폐사율을 일으키는 주요한 병원체로 알려진, 새우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와 비브리오세균의 감염을 동시에 억제하는 항바이러스 및 항세균 활성을 갖는다.
바실러스 서브티리스 KS1은 서열번호 1의 16S rRNA 유전자 서열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분리된 균주, 바실러스 서브티리스 KS1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바실러스 속 미생물의 배양 방법에 의해 배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 예에서, 균주 KS1은 탄소원, 질소원, 비타민, 및 미네랄을 포함하는 배지, 예를 들면, 3% NaCl을 포함한 Tryptic Soy broth 배지에서 pH 5 내지 8, 바람직하게는 pH 7.3, 및 18℃내지 40℃,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37℃에서 배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 예에서, 본 발명의 균주는 L당 casein peptone (판크레아?J) 17 g, 인산일수소칼륨 2.5 g, 포도당 2.5 g, 염화나트륨 30 g, soya peptone (파파인 digest) 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16시간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24시간 배양함으로써 대량생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바실러스 서브티리스 KS1 균주 또는 그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균제를 제공한다.
상기 균주는 생균제에 균주 자체로 포함되거나, 또는 그의 배양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바실러스 서브티리스 KS1 균주 또는 그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상기 균주는 사료 첨가제에 균주 자체로 포함되거나, 또는 그의 배양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사료 첨가제는 항생제 대체제로 사용되어 장내 유해균의 생육을 억제하며 장내 균총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갑각류의 건강상태를 양호하게 하고, 그에 의해 갑각류의 증체량과 육질을 개선시키고 면역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발효사료, 배합사료, 펠렛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발효사료는 본 발명의 바실러스균과 여러 가지 미생물 또는 효소를 첨가함으로써 유기물을 발효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배합사료는 여러 종류의 일반사료와 본 발명의 바실러스균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펠렛 형태의 사료는 상기 발효사료 또는 배합사료를 펠렛기에서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생균제"는 살아 있는 균 즉, 동물이 섭취했을 때 위장관에 머물러 생존할 수 있는 미생물로서 특정 병리 상태를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미생물 제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생균제는 장내 세균총의 이상 발효에 의하여 야기되는 제반 증상을 치료하고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며 체내에 투여되면 장내의 소화관 벽에 밀집, 정착하여 유해 미생물이 정착하지 못하게 하는 작용을 하고, 항미생물제를 생성하여 유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한다. 또한, 투여된 생균제는 사료의 고분자 형태의 영양소를 분해하는 소화효소를 분비하여 영양분의 흡수를 도와주어 양식 갑각류의 체중 증가 뿐 아니라 양호한 건강 상태로 면역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사료 첨가제"는 기본 사료에 기능을 부여하거나, 보충하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배양물"은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균을 적합한 액체 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 자체, 상기 배양액을 여과 또는 원심 분리하여 균주를 제거한 여액(여과액 또는 원심분리한 상등액), 균주의 배양에 의해 수득된 배양액을 초음파 처리하거나 상기 배양액에 용해효소(lysozyme)를 처리하여 수득한 세포 파쇄액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생균제는 양식 사육수에 투여 또는 사료에 혼합하여 경구 투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생균제의 투여 용량은 생균 수가 1x105 내지 1x1011 세포/g 이도록 투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바실러스 서브티리스 KS1 균주, 또는 그의 배양물, 그로 제조한 생균제, 사료첨가제, 및 발효제품은 새우 등의 갑각류에 매우 심각한 병을 일으키어 전량 폐사에 이르게 하는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와 비브리오균에 대해 우수한 감염 억제 활성을 가지고 있고 사료의 소화흡수력을 도와주는 단백질분해효소 및 지질분해효소 활성을 보여, 양식장의 물 또는 사료에 투여함으로써 항생제 대체 효과와 함께 새우 전량 폐사의 획기적 감소와 생산성 증가를 꾀할 수 있으며 항생제 잔류의 위험이 없어 안전한 친환경적 새우 등 갑각류 식품을 제공하고, 폐사악취감소, 폐수누출감소, 환경개선에 의한 양식 갑각류 생산성 제고에 의한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
도 1은 분리 균이 단백질 분해효소 및 지질 분해효소 분비능이 있음을 보여준다.
도 2의 윗 사진은 새우가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에 감염되어 흰반점이 많이 형성된 것을 보여준다. 도 2의 아래 사진은 흰반점이 훨씬 적게 형성된 것을 보여준다.
도 3은 흰반점이 없는 새우이다.
도 4는 두 생균제 후보균의 흰다리새우에 대한 흰반점바이러스(WSSV) 감염 억제 효과를 보여준다.
도 2의 윗 사진은 새우가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에 감염되어 흰반점이 많이 형성된 것을 보여준다. 도 2의 아래 사진은 흰반점이 훨씬 적게 형성된 것을 보여준다.
도 3은 흰반점이 없는 새우이다.
도 4는 두 생균제 후보균의 흰다리새우에 대한 흰반점바이러스(WSSV) 감염 억제 효과를 보여준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험예 및 실시예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 실험예 1] 균주 수집 및 분리
본 연구실에서 소장하고 있는 유산균과 고초균 등 유익 미생물들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또한, 자연에서 균주를 분리하기 위해, 바닷물과 바다 퇴적물, 발효식품 등의 시료를 생리식염수로 적당배수로 희석하였고, 새우와 오징어 내장은 적출하여 균질기로 분쇄 후 생리식염수로 적당배수로 희석하였다. 이 희석물 0.1 ml를 3% NaCl 함유 TSA 또는 MRS agar에 도말하여 25℃에서 2일 동안 배양하여 형성된 콜로니들 중 색깔과 형태가 다른 콜로니들을 분별하여 분리 보관하였다.
[ 실험예 2] 소화효소 생산능
새우사료에는 단백질 50 - 60%, 10 % 지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을 분해하는 각각 효소인 단백질분해효소와 지질분해효소의 활성이 분리균에서 높으면 이들이 잘 소화 분해되어 새우 성장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간접적으로 사료섭취량을 감소시켜주고 사료전환율은 증가한다. 특히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에 감염된 새우들은 사료섭취가 감소하는데, 분리균의 소화효소에 의해 사료 소화가 잘되므로 영양상태가 좋아 생존율을 높여서 새우 사멸율을 감소시켜주는 효과가 있고, 감염되지 않은 새우들은 감염 기회가 줄어들게 된다.
단백질분해효소 생산능을 측정하기 위해 수집 및 분리된 균주 각각의 균체를 PBGS agar (펩톤 5, 비프추출물 3, 젤라틴 4, 염화나트륨 30, agar 20 g/l, pH 7.2)에 루프로 접종하고 이들을 25, 35, 그리고 37℃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하였고, 염화수은 15 g, 염산 20 ml를 넣고 최종 100 ml로 부피를 만든 수용액으로 염색하였다. 단백질 분해 활성은 콜로니 주변에 생긴 투명환의 크기로 비교하였다(도 1).
지질분해효소 생산활성 측정을 위해서는, 균을 로다민 비 (Rhodamine B) agar배지에 루프로 접종하고 25, 35, 37℃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자외선 하에서 콜로니 주변에 로다민 비가 발산하는 오렌지 색의 형광의 가수분해된 환을 관찰하였다 (도 1).
[ 실험예 3] 새우사육
새우는 국내산 민물 줄새우(Palaemon paucidens)와 해수 흰다리새우(Litopenaeus vannamei)를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사육수는 2일 동안 공기주입을 한 다음, 여기에 새로 구입한 새우를 넣고 2~3일 적응시켰다. 줄새우 경우, 사육수 11리터를 포함하는 16.7리터 크기 (30.0× 21.0× 26.5 cm)의 물탱크에 알맞은 공기주입을 하면서, 구입한 새우의 저장 배양은 18℃에서,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감염 실험과 생균제 스크리닝 실험은 24±1.0℃에서 각각 수행하였다. 흰다리새우는 100리터 해수를 담은 탱크에 배양하였다. 사료량은 새우체중의 7.5%를 초기에 그 다음에는 소비하지 않은 사료양에 따라서 일일당 체중의 3.5~5.0%로 조정하였다. 사료투여는 오전 6시에 60%, 오후 6시에 40%를 공급하였고, 소비하지 않은 사료와 새우 변 등 분비물을 함유한 탱크 바닥 물은 새우의 생존을 위해 2 cm 지름의 플라스틱 호스를 사용하여 싸이폰 방식으로 매일 제거하였다.
[ 실험예 4]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준비
물은 2일 동안 공기주입을 한 다음, 여기 에 새로 구입한 새우를 넣고 2~3일 적응시킨 다음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함유 조직 추출액 10 μl (2 g의 줄새우 경우) 또는 20 μl (5~6 g의 흰다리새우 경우)를 건강한 새우의 4번째와 5번째 마디 등 사이에 주사바늘로 근육 주사하여 주입하였다. 새우들은 2 또는 3일 후부터 폐사하기 시작하여 7일부터 10일 내에 모두 폐사하였다. 죽은 새우를 취하여 체표면을 징크(zinc)와 과산화염소수(sodium hypochloride) 용액으로 소독하였다. 이 후 곤충세포배양액(Graces’ insect medium)으로 흔들면서 세척하여 독성을 제거하였다. TNE buffer (Tris 50 mM, NaCl 100 mM and EDTA 1 mM, pH 7.4)와 함께 넣고 균질기에서 분쇄한 후 2,000 ⅹg, 10 분간 원심한 다음, 상층 부유액을 멸균된 0.2 μm 크기의 여과막으로 여과하여 세균 등을 포함한 미생물을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취하여 2 ml 용량의 냉동용 작은 병에 0.5 ml씩을 분주하여 실험에 사용 시까지 -70°C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 실험예 5] 새우생체를 이용한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감염억제 우수균주 선별 방법 확립
새우양식탱크의 사육수에 생균제 후보균을 넣은 후 2일 후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함유 조직 추출액을 첨가한 후 새우의 형성된 흰반점을 관찰하였다. 생균제 후보균에 따라서 새우에 흰반점이 가장 많이 형성된 경우(도 2), 적은 량의 흰반점 형성 경우(도 2), 흰반점이 형성 안된 경우(도 3)가 육안으로 구별할 수 있을 만큼 뚜렷이 나타났다. 따라서 인위적으로 흰반점새우추출액의 공격감염(challenge infection)에 의한 감염과 흰반점형성이 육안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이 방법을 사용하여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감염과 흰반점 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생균제 균주를 탐색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새우의 건강상태, 활발한 움직임 정도, 새우 껍질의 단단한 강도도 흰반점형성 정도와 더불어 우수균주 선별 기준이 된다.
[ 실험예 6] 줄새우를 이용한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하는 우수 프로바이오틱스 후보균 탐색
수집한 분리세균과 보유세균들로부터 우수 프로바이오틱스 후보균주를 선별하기 위하여 줄새우에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를 직접 인위적으로 감염시키는 공격실험(challenge test)을 통해 감염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큰 생균제들을 탐색하였다. 생균제 후보 균주들은 3% NaCl를 함유한 TSB (Tryptic Soy Broth)에서 37℃, 200 rpm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생균제 후보균의 배양액 (OD 600=1) 2 ml를 사육탱크에 넣어주고 2일 후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조직추출액 0.5 ml를 30마리의 줄새우가 들어 있는 새우양식 탱크(30× 21.0× 26.5 cm)의 11 리터 사육수에 직접 투여하였다. 투여 후 3일 간격으로 물을 갈아주었으며 새우의 행동을 매일 관찰하였다. 줄새우 배양 중 새우 사멸율을 측정하여, 상대적으로 새우 사멸율이 적고, 흰반점형성정도가 낮으며, 새우의 건강성과 움직임의 활발성, 새우껍질의 단단한 강도 등을 종합하여 생균제 후보 균을 선별하였다. 총 59 균주를 시험하여 우수한 3균주를 선정하였고 이들의 감염억제효과를 재확인 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균주 No | 새우 생존율 ( % ) | 새우 상태 | |||||||
3일 | 6 | 9 | 12 | 15 | 흰반점 | 건강상태 |
외피
단단함 |
||
대조구 | 무첨가 | 100 | 86.7 | 66.7 | 60.0 | 60.0 | - | ± | ++ |
WSSV
첨가 |
100 | 73.3 | 53.3 | 20.0 | 0.0 | ++ | ± | ± | |
후보균
+ WSSV |
#1 | 100 | 86.7 | 66.7 | 56.7 | 46.7 | ± | ++ | ++ |
#2 | 100 | 76.7 | 60.7 | 45.0 | 26.7 | + | + | ++ | |
#5 | 100 | 83.3 | 53.3 | 36.7 | 30.0 | ± | ++ | + |
흰반점 정도; ++ 많음, + 중간, ± 적음, - 없음. 건강상태: ++ 건강하고 매우 활발하게 운동, + 건강하고 활발함, ± 감소된 건강과 감소된 운동성.
외피의 단단함; ++ 단단함, + 중간, ± 연약함.
위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15일째에 WSSV감염된 그룹은 모두 폐사하였으나, 이들 3균주들을 사용한 새우그룹들은 26%이상의 생존율을 보였고, no.1 균주가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새우의 상태에서는 이들 3 균주들은 모두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감염 대조구 그룹(WSSV 첨가)보다 흰반점 수가 뚜렷이 적었고, 건강상태, 새우껍질의 강도(단단한 정도)도 더 우수하였다.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와 생균제 후보균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그룹에 비해서도 이들 3균주 모두 새우의 건강상태가 더 양호하였다. 전반적으로 보면 이들 3균주 중에서 no. 1, no. 5가 우수하였고, 특히 no. 1 균주가 가장 높은 새우 생존율, 가장 적은 흰반점 수와 양호한 새우건강상태, 단단한 껍질의 강도 등 여러 면에서 가장 우수한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감염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실험예 7] 100 리터 해수에서의 흰다리새우 배양 및 감염억제 성능 시험
민물 줄새우로부터 선정한 후보균 no. 1과 no. 5 균주를 다시 확대하여 해수 흰다리새우로 시험하였다. 100 리터 해수를 담은 탱크에 공기펌프를 사용하여 2일 동안 공기를 불어 넣은 후 25마리 흰다리 새우 (각 약 6 g)를 넣고 2-3일 동안 적응 후 0.1% 생균제 배양균(OD 600 = 1.0, 3% NaCl를 함유한 TSB에서 37℃, 200 rpm에서 24 시간 배양)을 각 탱크에 접종 후 2일 후에 0.01%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를 배양탱크에 직접 첨가하였다. 탱크1과 탱크2는 대조구(control)로서 탱크 1은 후보균과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를 넣지 않았고, 탱크 2는 생균제 후보균은 넣지 않고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만 넣었고, 탱크 3와 탱크 4는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와 각각 생균제 후보균 no. 1 과 no. 5를 넣었다. 탱크 내 해수 온도는 24℃를 유지하였다.
실험 결과 표 2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에 감염된 그룹은 20일 후에 모두 사망하였으나, no. 1 경우 생존율 84%, 그리고 no. 5 경우 생존율 60%이었고, no. 1 경우는 26일째에도 계속 생존율 84%를 유지하였다. 새우의 건강상태에서는 no. 1 경우 흰반점 수가 가장 적었고, 건강상태는 가장 좋았고 새우가 활발히 운동하였으며, 새우 껍질의 강도도 단단하였다. 따라서 100리터 해수에서도 선정된 두 균주 no. 1과 no. 5는 모두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감염 억제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no. 1의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감염 억제 효과 및 건강 효과가 가장 뚜렷이 우수하였다.
균주 No | 새우 생존율 ( % ) | 새우상태 | ||||||||
6일 | 16 | 20 | 21 | 24 | 26 | 흰반점 | 건강상태 | 외피의 단단함 | ||
대조구 | 무첨가 | 96 | 8 | 8 | 8 | 8 | - | + | ++ | |
WSSV첨가 | 96 | 96 | 0 | 0 | 0 | 0 | ++ | ± | ± | |
후보균
+ WSSV |
#1 | 96 | 84 | 84 | 84 | 84 | ± | ++ | ++ | |
#5 | 84 | 60 | 44 | 28 | 28 | + | + | + |
흰반점 정도; ++ 많음, + 중간, ± 적음, - 없음. 건강상태: ++ 건강하고 매우 활발하게 운동, + 건강하고 활발함, ± 감소된 건강과 감소된 운동성.
외피의 단단함; ++ 단단함, + 중간, ± 연약함.
[ 실험예 8] 비브리오(Vibrio parahaemolyticus ) 균에 대해 저해 측정
비브리오균이 섞여 있는 top agar를 씌운 저해환 측정용 agar 배지 표면에 penicylinder (용량 300 ㎕, 외경 8 ㎜, 내경 6 ㎜, 높이 10 ㎜) 또는 paper disc를 올려놓고, 여과 멸균된 후보균 배양상등액 100 ㎕를 각각의 penicylinder 또는 paper disc에 넣고 30℃배양기로 옮긴 후 3일간 배양하여 비브리오균 성장 저해환의 유무와 크기를 측정하는 agar diffusion 방법을 사용하였다. 모든 생균제 후보 균주들은 3% NaCl를 함유한 TSB (cell density 2×108/ml)과 비브리오균은 3% NaCl을 함유한 Nutrient Broth (세포농도 2×107/ml)에서 37℃, 200 rpm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실험결과, no.1 균주의 비브리오균 저해환은 4 mm 이었고, no. 2와 no. 5 균주들은 둘 다 3 mm이었다.
[ 실험예 9] 선정균주들의 여러 온도에서의 성장성, 염내성, 단백질분해효소 및 지질분해효소 활성
선정균주들이 생균제로서의 좋은 특성을 가졌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여러 온도에서의 성장성, 염내성, 단백질분해효소 및 지질분해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표 3). 균체를 백금니를 사용하여 TSA 또는 MRS agar 배지에 스트리킹하고 18, 21, 25, 37℃에 2일 동안 (18℃ 경우는 3일 동안) 배양한 후 성장 상태를 +++, ++, +, -로 나타내었다.
No. 1, no. 2, no. 5 균주 모두 18~37℃에서 성장을 보였고, 25℃와 30℃에서 3% NaCl에서 성장하여 염내성을 나타내었으며, 25℃와 30℃에서 단백질분해효소 및 지질분해효소 활성을 보여 갑각류 프로바이오틱으로서의 좋은 모두 특성을 갖추었다.
이들 균주 들 중에서 특히 no. 1 균주는 조사한 모든 특성이 가장 우수하고, 높은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감염 억제능을 가지고 있고, 새우의 양식 중 체중증가 효과가 뛰어나며 비브리오균 억제능도 갖추고 있어 본 연구에서 갑각류 생균제로서 최종 선정하였다.
균주 No. |
여러온도(℃)에서의 세포 성장도 | 3% NaCl에서의 세포 성장도 | 효소 활성으로서의 콜로니 주변의 투명 환 지름 (cm) | |||||||
단백질분해효소 | 지질분해효소 | |||||||||
18 | 21 | 25 | 37 | 25 | 30 | 25 | 37 | 25 | 37 | |
1 | + | ++ | ++ | ++ | ++ | ++ | 6 | 11 | 3 | 8 |
2 | ± | ++ | ++ | ++ | ++ | ++ | 5 | 6 | <1 | 7 |
5 | ± | ++ | ++ | ++ | ++ | ++ | 4 | 5 | <1 | 5 |
[ 실험예 10] 균주의 동정
(1) 유전학적 동정
최종 선발된 no. 1 균주를 동정하기 위해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균주로부터 분리된 게놈 DNA를 27F 프라이머 및 1492R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로 증폭하여 분석한 결과 각 서열번호 1과 같은 결과를 얻었고, 이 서열들을 NCBI BLAST N 프로그램 (http://www.ncbi.nlm.nihgov/blast/)을 이용하여 진뱅크(Genebank)에 등록된 염기서열과 상동성을 비교하였는데, 그 결과 Bacillus subtilis와 100%의 상동성을 보였다.
16S rRNA 염기서열에 근거하여, KS1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로 동정하고 국립농업생명공학연구원 농업유전자원 센터에 2018년 10월 14일자로 KACC92239P로 기탁하였다.
(2) 생화학적 특성 분석
16S rRNA의 서열에 의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로 동정된 KS1 균주에 대해 API 50 CHL 키트(Bio Merioux)를 이용하여 당 이용 능을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를 표 4에 표시하였다. 이에 따르면, 최종 선발된 no. 1 은 생화학적 특성분석에서도 97.1% ID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로 동정되었다.
번호 | 기질 | +/- | 번호 | 기질 | +/- |
1 | 글리세롤( Glycerol ) | + | 26 | 살리신 ( Salicin ) | + |
2 | 에리트리톨 ( Erythritol ) | - | 27 | 셀로비오스 ( Cellobiose ) | + |
3 | D- 아라비노스 (D- Arabinose ) | - | 28 | 말토스 ( Maltose ) | + |
4 | L- 아라비노스 (L- Arabinose ) | + | 29 | 락토스 ( Lactose ) | - |
5 | D- 리보스 (D- Ribose ) | + | 30 | 멜리비오스 ( Melibiose ) | + |
6 | D- 자일로스 (D- Xylose ) | + | 31 | 수크로스 ( Sucrose ) | + |
7 | L- 자일로스 (L- Xylose ) | - | 32 | 트레할로스 ( Trehalose ) | + |
8 | D- 아도니톨 (D- Adonitol ) | - | 33 | 이눌린 ( Inulin ) | + |
9 | 메틸 -β-D- 자일로스 ( Methyl -β-D-Xylopyranoside) | - | 34 |
멜레지토스
( Melezitose ) |
- |
10 | 갈락토스 ( Galactose ) | - | 35 | 라피노스 ( Raffinose ) | + |
11 | 글루코스 ( Glucose ) | + | 36 | 전분 ( Starch )) | + |
12 | 프락토스 ( Fructose ) | + | 37 | 글리코겐 ( Glycogen ) | + |
13 | 만노스 ( Mannose ) | + | 38 | 자일리톨 ( Xylitol ) | - |
14 | 소르보스 ( Sorbose ) | - | 39 | 젠티오비오스 ( Gentiobiose ) | - |
15 | 람노스 ( Rhamnose ) | - | 40 | 투라노스 (D- Turanose ) | +- |
16 | 둘시톨 ( Dulcitol ) | - | 41 | 릭소스 ( Lyxose ) | - |
17 | 이노시톨 ( Inositol ) | + | 42 | 타가토스 ( Tagatose ) | - |
18 | 만니톨 ( Mannitol ) | + | 43 | D- 푸코스 (D- Fucose ) | - |
19 | 솔비톨 ( Sorbitol ) | + | 44 | L- 푸코스 (L- Fucose ) | - |
20 |
메틸
-α-D-
만노피란시드
( Methyl -α- D- Mannopyranoside ) |
- | 45 | D- 아라비톨 (D- Arabitol ) | - |
21 |
메틸
- α-D-글루코시드
( Methyl -α-D- Glucoside ) |
+ | 46 | L- 아라비톨 (L- Arabitol ) | - |
22 |
N-아세틸-글루코사민
(N-Acetylglucosamine) |
- | 47 | 글루코네이트 ( Gluconate ) | - |
23 | 아미그달린 ( Amygdalin ) | + | 48 | 2- 케토 -글루코네이트(2-Ketogluconate) | - |
24 | 알부틴 ( Arbutin ) | + | 49 | 5- 케토 -글루코네이트(5-Ketogluconate) | - |
25 | 에스쿨린 ( Esculin ) | - |
<110> JEON, Han taek
KIM, Geun
KIM, Myung jin
LEE, Woo-ho
<120> Probiotics for inhibiting white spot syndrome virus and Vibrio
bacterium infecting crustacean and use thereof
<130> PN106335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491
<212> DNA
<213> Bacillus subtilis
<400> 1
ggctcaggac gaacgctggc ggcgtgccta atacatgcaa gtcgagcgga cagatgggag 60
cttgctccct gatgttagcg gcggacgggt gagtaacacg tgggtaacct gcctgtaaga 120
ctgggataac tccgggaaac cggggctaat accggatggt tgtttgaacc gcatggttca 180
aacataaaag gtggcttcgg ctaccactta cagatggacc cgcggcgcat tagctagttg 240
gtgaggtaac ggctcaccaa ggcgacgatg cgtagccgac ctgagagggt gatcggccac 300
actgggactg agacacggcc cagactccta cgggaggcag cagtagggaa tcttccgcaa 360
tggacgaaag tctgacggag caacgccgcg tgagtgatga aggttttcgg atcgtaaagc 420
tctgttgtta gggaagaaca agtaccgttc gaatagggcg gtaccttgac ggtacctaac 480
cagaaagcca cggctaacta cgtgccagca gccgcggtaa tacgtaggtg gcaagcgttg 540
tccggaatta ttgggcgtaa agggctcgca ggcggtttct taagtctgat gtgaaagccc 600
ccggctcaac cggggagggt cattggaaac tggggaactt gagtgcagaa gaggagagtg 660
gaattccacg tgtagcggtg aaatgcgtag agatgtggag gaacaccagt ggcgaaggcg 720
actctctggt ctgtaactga cgctgaggag cgaaagcgtg gggagcgaac aggattagat 780
accctggtag tccacgccgt aaacgatgag tgctaagtgt tagggggttt ccgcccctta 840
gtgctgcagc taacgcatta agcactccgc ctggggagta cggtcgcaag actgaaactc 900
aaaggaattg acgggggccc gcacaagcgg tggagcatgt ggtttaattc gaagcaacgc 960
gaagaacctt accaggtctt gacatcctct gacaatccta gagataggac gtccccttcg 1020
ggggcagagt gacaggtggt gcatggttgt cgtcagctcg tgtcgtgaga tgttgggtta 1080
agtcccgcaa cgagcgcaac ccttgatctt agttgccagc attcagttgg gcactctaag 1140
gtgactgccg gtgacaaacc ggaggaaggt ggggatgacg tcaaatcatc atgcccctta 1200
tgacctgggc tacacacgtg ctacaatgga cagaacaaag ggcagcgaaa ccgcgaggtt 1260
aagccaatcc cacaaatctg ttctcagttc ggatcgcagt ctgcaactcg actgcgtgaa 1320
gctggaatcg ctagtaatcg cggatcagca tgccgcggtg aatacgttcc cgggccttgt 1380
acacaccgcc cgtcacacca cgagagtttg taacacccga agtcggtgag gtaacctttt 1440
aggagccagc cgccgaaggt gggacagatg attggggtga agtcgtaaca g 1491
Claims (3)
-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및 Vibrio parahaemolyticus균의 갑각류에 대한 감염력 억제 활성과, 단백질분해효소 및 지질분해효소 활성을 갖는, KACC92239P로 기탁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KS1.
- 청구항 1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또는 그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및 Vibrio parahaemolyticus균의 감염 억제 생균제.
- 청구항 1항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또는 그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및 Vibrio parahaemolyticus균의 감염 억제 갑각류 사료 첨가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5679A KR102154172B1 (ko) | 2019-03-28 | 2019-03-28 |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및 비브리오 세균의 갑각류 감염을 억제하는 생균제 및 그의 용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5679A KR102154172B1 (ko) | 2019-03-28 | 2019-03-28 |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및 비브리오 세균의 갑각류 감염을 억제하는 생균제 및 그의 용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54172B1 true KR102154172B1 (ko) | 2020-09-10 |
Family
ID=72450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5679A KR102154172B1 (ko) | 2019-03-28 | 2019-03-28 |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및 비브리오 세균의 갑각류 감염을 억제하는 생균제 및 그의 용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4172B1 (ko)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77307A (ko) * | 2006-01-23 | 2007-07-26 |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 새우 흰 반점 바이러스 항원의 표면 발현벡터 및 이에 의해형질전환된 미생물 |
KR100824106B1 (ko) | 2006-05-30 | 2008-04-21 |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 흰반점바이러스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
KR20120088437A (ko) * | 2011-01-31 | 2012-08-08 | 씨제이제일제당 (주) | 비브리오 속 미생물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용 프로바이오틱스 |
CN102895677A (zh) * | 2012-10-30 | 2013-01-30 | 无锡海健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新型对虾多价载体疫苗及其应用 |
WO2016073981A1 (en) * | 2014-11-07 | 2016-05-12 | BiOWiSH Technologies, Inc. | Antibacteri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
KR20170022579A (ko) | 2015-08-21 | 2017-03-02 | (주)볼트마이크로 | 저전력 기반의 바이오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시스템 |
KR101738591B1 (ko) | 2015-02-06 | 2017-05-24 | 한국해양자원연구소 주식회사 어업회사법인 | 갑각류 양식용 미생물 제재 및 이를 이용한 갑각류의 생산성 증진방법 |
KR20190007219A (ko) * | 2017-07-12 | 2019-01-22 | 최은희 | 갑각류 및 포유 동물의 면역력 증강 사료 첨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190082123A (ko) * | 2017-12-29 | 2019-07-09 | 씨제이제일제당 (주) |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바실러스 푸밀러스 균주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 췌장염 괴사증 (ahpnd) 또는 흰반점 증후군(wss)의 예방 또는 치료용 사료 조성물 |
KR102049976B1 (ko) * | 2018-07-30 | 2019-11-28 | (주)애드바이오텍 | 새우 조기 폐사 증후군 및 흰반점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및 이의 응용 |
-
2019
- 2019-03-28 KR KR1020190035679A patent/KR10215417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77307A (ko) * | 2006-01-23 | 2007-07-26 |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 새우 흰 반점 바이러스 항원의 표면 발현벡터 및 이에 의해형질전환된 미생물 |
KR100824106B1 (ko) | 2006-05-30 | 2008-04-21 |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 흰반점바이러스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
KR20120088437A (ko) * | 2011-01-31 | 2012-08-08 | 씨제이제일제당 (주) | 비브리오 속 미생물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용 프로바이오틱스 |
CN102895677A (zh) * | 2012-10-30 | 2013-01-30 | 无锡海健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新型对虾多价载体疫苗及其应用 |
WO2016073981A1 (en) * | 2014-11-07 | 2016-05-12 | BiOWiSH Technologies, Inc. | Antibacteri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
KR101738591B1 (ko) | 2015-02-06 | 2017-05-24 | 한국해양자원연구소 주식회사 어업회사법인 | 갑각류 양식용 미생물 제재 및 이를 이용한 갑각류의 생산성 증진방법 |
KR20170022579A (ko) | 2015-08-21 | 2017-03-02 | (주)볼트마이크로 | 저전력 기반의 바이오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시스템 |
KR20190007219A (ko) * | 2017-07-12 | 2019-01-22 | 최은희 | 갑각류 및 포유 동물의 면역력 증강 사료 첨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190082123A (ko) * | 2017-12-29 | 2019-07-09 | 씨제이제일제당 (주) |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바실러스 푸밀러스 균주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 췌장염 괴사증 (ahpnd) 또는 흰반점 증후군(wss)의 예방 또는 치료용 사료 조성물 |
KR102049976B1 (ko) * | 2018-07-30 | 2019-11-28 | (주)애드바이오텍 | 새우 조기 폐사 증후군 및 흰반점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및 이의 응용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90201458A1 (en) | Microbial strains and their use in animals | |
Luis-Villaseñor et al. | Beneficial effects of four Bacillus strains on the larval cultivation of Litopenaeus vannamei | |
Boonthai et al. | Probiotic bacteria effects on growth and bacterial composition of black tiger shrimp (Penaeus monodon) | |
Kongnum et al. | Effect of Lactobacillus plantarum isolated from digestive tract of wild shrimp on growth and survival of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challenged with Vibrio harveyi | |
Prado et al. | Review of probiotics for use in bivalve hatcheries | |
Nimrat et al. | Enhancement of growth performance, digestive enzyme activities and disease resistance in black tiger shrimp (Penaeus monodon) postlarvae by potential probiotics | |
Yang et al. | Lactic acid bacteria, Enterococcus faecalis Y17 and Pediococcus pentosaceus G11, improved growth performance, and immunity of mud crab (Scylla paramamosain) | |
KR101663570B1 (ko) | 평위산 부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사료 | |
WO2008023580A1 (fr) | Additif pour alimentation animale | |
JP2015513910A (ja) | 新たなバチルス・サブチルス{novelbacillussubtilis} | |
WO2017147130A2 (en) | Direct fed microbial for prevention of shrimp disease | |
RU2555549C2 (ru) | ШТАММ Bacillus sp. ДЛ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БОРЬБЫ С Saprolegnia sp. И ЕГО ПРИМЕНЕНИЯ | |
Banerjee et al. | Comparison of four antibiotics with indigenous marine Bacillus spp. in controlling pathogenic bacteria from shrimp and Artemia | |
KR20210052342A (ko) |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 및 이의 용도 | |
Suprayudi et al. | Screening of probiotics from the digestive tract of gouramy (Osphronemus goramy) and their potency to enhance the growth of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 |
JP2009159955A (ja) | クルマエビ腸内から分離したプロバイオティクス乳酸菌 | |
CN102304484B (zh) | 金丽假交替单胞菌新菌株及其应用 | |
JP2010051247A (ja) | 病原細菌ならびに真菌に対して抗菌作用を示すバチルス・アミロリケファシエンスを有効成分とする生物的防除剤 | |
KR102154172B1 (ko) |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및 비브리오 세균의 갑각류 감염을 억제하는 생균제 및 그의 용도 | |
Yin et al. | The title of the article: effects on growth and digestive enzyme activities of the Hepialus gonggaensis larvae caused by introducing probiotics | |
KR101616530B1 (ko) | 항균활성을 갖는 신규한 락토코쿠스 락티스 kr-w.w-2 균주 및 이의 용도 | |
Liu et al. | Effects of Lactobacillus pentosus combined with Arthrospira platensis on the growth performance, immune response, and intestinal microbiota of Litopenaeus vannamei | |
Faragi |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illus subtilus as) probiotic) from intestinal microflora of common carp Cyprinus carpio L.: Jamal KH Al-Faragi and Sundus AA Alsaphar | |
KR101670955B1 (ko) | 양식어류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양식시킨 양식어류 | |
KR102130646B1 (ko) |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식 어류 및 갑각류용 사료첨가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