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6910A -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6910A
KR20190006910A KR1020180077669A KR20180077669A KR20190006910A KR 20190006910 A KR20190006910 A KR 20190006910A KR 1020180077669 A KR1020180077669 A KR 1020180077669A KR 20180077669 A KR20180077669 A KR 20180077669A KR 20190006910 A KR20190006910 A KR 20190006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 light
cosmetic composition
natural
weigh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수
정양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톤28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톤28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톤28
Priority to PCT/KR2018/00771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013499A2/ko
Publication of KR20190006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9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은 잇꽃씨오일(carthamus tinctorius (safflower) seed oil)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고, 400 nm 내지 500 nm 파장의 블루라이트의 통과를 감소시킨다.

Description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BLUE LIGHT BLOCKING COSMETIC COMPOSITION}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상 생활에서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TV 등 전자 기기 사용의 증가에 따라, 현대인은 전자 기기에서 발생하는 블루라이트(blue light)에 노출되는 시간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사무직 근로자의 경우 자외선이 포함된 자연광에 노출되는 1일 평균 시간이 약 0.9 시간이고, 전자 기기에서 발생하는 블루라이트에 노출되는 1일 평균 시간은 약 10.2 시간이라는 조사 결과가 있다. 이는 과거 블루라이트에 노출되는 시간이 거의 없고, 자연광에 노출되는 시간이 많던 시절과 차이가 많이 나는 것이며, 그만큼 블루라이트를 방어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블루라이트는 약 400-500nm 파장을 갖는 푸른 빛이며, 높은 에너지를 가져 HEV(High-Energy Visible) 라이트라고 불리기도 한다. 블루라이트는 자외선처럼 피부 속으로 침투하여 산화 반응을 일으키며, 세포 독성을 가진다. UVB가 표피 아래까지 침투하고, UVA가 진피층까지 침투하는데, 블루라이트는 진피층보다 더 깊은 피하 조직층까지 침투하기 때문에, 블루라이트는 자외선보다 피부에 더 유해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블루라이트 방어 기능이 적용되지 않은 화장품에 최초로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 조성물을 적용하여, 이에 따라 환경 문제로 인한 사용자의 피부 트러블을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블루라이트를 차단하여 활성산소 발생량을 감소시켜 염증 반응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손상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블루라이트와 함께 자외선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화학 차단제의 가려움, 눈시림, 붉음증, 붓기와 같은 자극 반응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은 블루라이트를 방어하거나, 블루라이트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화장품 조성물이다.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은 천연(natural) 또는 천연유래(natural origin) 성분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종래의 화학 차단제를 포함하는 화장품의 사용으로 인한 가려움, 눈시림, 붉음증, 붓기 등의 피부 자극반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은 잇꽃씨오일(carthamus tinctorius (safflower) seed oil)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고, 약 400 nm 내지 약 500 nm 파장의 블루라이트의 통과를 감소시킨다.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은 천수국꽃추출물(tagetes erecta flower extract)을 유효 성분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은 천연 또는 천연 유래 성분인 브로콜리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은 천연 또는 천연 유래 성분인 검정콩추출물 및 쌀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은 천연 또는 천연 유래 성분이며, 약 280 nm 내지 약 400 nm 파장의 자외선의 통과를 감소시키는 자외선 차단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블루라이트를 차단하여 활성산소 발생량을 감소시켜 염증 반응을 억제하고 피부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블루라이트와 함께 자외선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천연 또는 천연 유래 성분을 포함하여, 종래의 화학 차단제로 인한 가려움, 눈시림, 붉음증, 붓기 등의 피부 자극 반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블루라이트 차단 실험 도면이다.
도 2는 사람의 표피 각질형성세포(HEK)에 블루라이트를 노출했을 때의 활성 산소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사람의 진피 섬유아세포(HDF)에 블루라이트를 노출했을 때의 활성 산소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은 표피 각질형성세포에 블루라이트를 조사했을 때의 세포활성도(cell viability)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진피 섬유아세포에 블루라이트를 조사했을 때의 세포활성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는 톤28 HEV SCREEN를 이용하여 블루라이트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은 톤28 HEV SCREEN의 블루라이트 보호 인자(protection factor)와 차단된 태양광 퍼센트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천연 또는 천연 유래 성분"은 자연에 존재하는 성분이거나, 자연물로부터 추출된 성분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추출물"은 알코올, 아세톤,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글리콜 등의 용매를 이용하여 원료로부터 유효 성분이 포함된 물질을 분리한 물질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유효 성분"은 특정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정도의 유효한 양을 갖는 물질을 의미한다.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모든 성분은 천연 또는 천연 유래 성분이며, 이에 따라 화장품 조성물은 환경 친화적일 수 있으며, 피부 트러블이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의 가려움, 눈시림, 피부의 붉음증, 붓기 등의 피부 자극 반응이 감소될 수 있다.
나아가,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은 약 60 % 이상의 유기농 성분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화장품 조성물은 더욱 더 환경 친화적일 수 있으며, 피부 트러블이 최소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의 가려움, 눈시림, 피부의 붉음증, 붓기 등의 피부 자극 반응이 최소화될 수 있다.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은 천수국꽃추출물(tagetes erecta flower extract)을 포함할 수 있다. 천수국꽃추출물은 천연 또는 천연 유래 성분으로 블루라이트의 통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블루라이트는 약 400 nm 내지 약 500 nm 파장을 가질 수 있다. 천수국꽃추출물은 전체 화장품 조성물에 대해 0.005-2 중량% 사용될 수 있다.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은 잇꽃씨오일(carthamus tinctorius (safflower) seed oil)을 포함할 수 있다. 잇꽃씨오일은 천연 또는 천연 유래 성분으로 블루라이트의 통과가 감소될 수 있다. 잇꽃씨오일은 전체 화장품 조성물에 대해 약 0.005-2 중량% 사용될 수 있다.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은 천수국꽃추출물과 잇꽃씨오일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두 성분의 상승 작용으로 인하여 블루라이트의 통과가 더 많이 감소될 수 있다.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은 천연 또는 천연 유래의 자외선 차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차단 물질은 약 280 nm 내지 약 400 nm 파장의 자외선의 통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차단 물질은 천연 유래의 아연산화물(zinc oxide)을 포함할 수 있다. 아연산화물은 전체 화장품 조성물에 대해 약 20-30 중량% 사용될 수 있다.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은 천연 또는 천연 유래의 컨디셔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컨디셔닝제는 정제수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디셔닝제는 브로콜리추출물(brassica oleracea italica (broccoli)extract)을 포함할 수 있다. 브로콜리추출물은 정제수만 사용한 경우보다 항산화 능력이 매우 높으며, 건성 피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브로콜리추출물은 천연 또는 천연 유래의 성분으로, 유기농 성분일 수 있으며, 전체 화장품 조성물에 대해 약 40-65 중량%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디셔닝제는 검정콩 추출물(Glycine Soja (Soybean) Seed Extract)을 포함할 수 있다. 검정콩 추출물은 지성 피부에서 피지 케어와 유수분 밸런스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검정콩 추출물은 천연 또는 천연 유래의 성분으로, 유기농 성분일 수 있으며, 전체 화장품 조성물에 대해 약 40-65 중량%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컨디셔닝제는 쌀 추출물(Oryza Sativa (Rice) Extract)을 포함할 수 있다. 쌀 추출물은 지성 피부에서 피지 케어와 유수분 밸런스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쌀 추출물은 천연 또는 천연 유래의 성분으로, 유기농 성분일 수 있으며, 전체 화장품 조성물에 대해 약 5-20 중량% 사용될 수 있다.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은 천연 또는 천연 유래의 유연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연화제는 피부 각질을 부드럽게 할 수 있고, 피부의 보습 지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화제는 포도씨오일(vitis vinifera (grape) seed oil)을 포함할 수 있다. 포도씨오일은 천연 또는 천연 유래 성분으로, 유기농 성분일 수 있으며, 전체 화장품 조성물에 대해 약 1-10 중량%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화제는 올리브오일(olea europaea (olive) fruit oil)을 포함할 수 있다. 올리브오일은 피부의 유분과 유사하므로, 건성 피부에 올리브오일이 사용되는 경우 피부 각질은 더욱 부드럽게 변할 수 있고 보습 지속력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올리브오일은 천연 또는 천연 유래 성분으로, 유기농 성분일 수 있으며, 전체 화장품 조성물에 대해 약 1-5 중량%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화제는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coco-caprylate/caprate)를 포함할 수 있다.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는 천연 또는 천연 유래 성분으로 전체 화장품 조성물에 대해 1-10 중량% 사용될 수 있다.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를 포도씨 오일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피부의 유연화가 더욱 촉진될 수 있다.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은 천연 또는 천연 유래 성분의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화제는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유화제는 소르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을 포함할 수 있다. 소르비탄올리베이트는 전체 화장품 조성물에 대해 약 0.005-2 중량% 사용될 수 있다. 유화제는 이소스테아릭 산(isostearic acid)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소스테아릭 산은 전체 화장품 조성물에 대해 약 0.005-2 중량% 사용될 수 있다. 유화제는 세틸알코올(cetyl alcohol)을 포함할 수 있다. 세틸알코올은 전체 화장품 조성물에 대해 약 0.005-2 중량% 사용될 수 있다.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은 천연 또는 천연 유래 성분의 유화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화 안정제는 형성된 유화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화 안정제는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을 포함할 수 있다. 세테아릴알코올은 전체 화장품 조성물에 대해 약 0.005-2 중량% 사용될 수 있다.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은 천연 또는 천연 유래 성분의 현탁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현탁화제는 화장품 조성물 내의 고체의 분산을 도와 원활한 혼합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탁화제는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 산(poly hydroxyl stearic acid)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 산은 전체 화장품 조성물에 대해 약 0.005-2 중량% 사용될 수 있다.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은 천연 또는 천연 유래의 수분증발차단제를 포함할 수 있다. 수분증발차단제는 피부의 보습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증발차단제는 아보카도버터(persea gratissima (avocado) butter)일 수 있다. 아보카도버터는 천연 또는 천연 유래 성분으로, 유기농 성분일 수 있으며, 전체 화장품 조성물에 대해 약 0.005-2 중량%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증발차단제는 망고씨드버터(mango seed butter)를 포함할 수 있다. 망고씨드버터는 천연 또는 천연 유래 성분으로, 유기농 성분일 수 있으며, 전체 화장품 조성물에 대해 약 0.005-2 중량%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증발차단제는 폴리글리세릴-2-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dipolyhydroxystearat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글리세릴-2-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는 전체 화장품 조성물에 대해 약 0.005-2 중량% 사용될 수 있다.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은 천연 또는 천연 유래 성분의 왁스를 포함할 수 있다. 왁스는 수분증발을 억제할 수 있고, 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왁스는 비즈왁스(beeswax)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즈왁스는 전체 화장품 조성물에 대하여 약 0.005-2 중량% 사용될 수 있다.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은 천연 또는 천연 유래 성분의 방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부제는 황금추출물(S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 모란뿌리추출물(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 감초추출물(Glycyrrhiza Extrac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부제는 전체 화장품 조성물에 대하여 약 0.005-3 중량% 사용될 수 있다.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은 천연 또는 천연 유래 성분의 칼라민을 포함할 수 있다. 칼라민은 피부에서 발생하는 유분을 감소시킬 수 있고, 화장의 지속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칼라민은 전체 화장품 조성물에 대하여 약 1-5 중량% 사용될 수 있다.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은 천연 또는 천연 유래 성분의 적색 산화철을 포함할 수 있다. 적색 산화철은 피부의 톤을 보정할 수 있다. 지성 피부의 경우 피지 분비, 여드름 발생 등으로 피부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피부의 톤을 적색 산화철로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 산화철은 전체 화장품 조성물에 대하여 약 0.005-2 중량%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잇꽃씨오일과 천수국추출물을 포함하는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인 톤28 HEV SCREEN을 제조한다. 톤28 HEV SCREEN은 천수국추출물 약 1 중량%, 잇꽃씨오일 약 1 중량%, 아연산화물 약 25 중량%, 유기농 브로콜리 추출물 약 54 중량%,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약 8 중량%, 유기농 포도씨오일 약 4 중량%, 유기농 올리브오일 약 4 중량%, 소르비탄올리베이트 약 1 중량%, 유기농 아보카도버터 약 1 중량%, 그리고 폴리글리세릴-2-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약 1 중량%를 포함한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비교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한다. 화장품 조성물은 아연산화물 약 25 중량%, 유기농 브로콜리 추출물 약 56 중량%,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약 8 중량%, 유기농 포도씨오일 약 4 중량%, 유기농 올리브오일 약 4 중량%, 소르비탄올리베이트 약 1 중량%, 유기농 아보카도버터 약 1 중량%, 그리고 폴리글리세릴-2-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약 1 중량%를 포함한다.
블루라이트 흡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톤28 HEV SCREEN과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화장품 조성물 각각에 대해 블루라이트를 조사한다. 도 1의 좌측에 도시된 것처럼, 블루라이트가 발생하는 기구를 이용하여 톤28 HEV SCREEN에 블루라이트를 조사했을 때, 블루라이트가 톤28 HEV SCREEN에 흡수되어 통과되지 않는다.
반면, 도 1의 우측에 도시된 것처럼,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화장품 조성물에 블루라이트를 조사하였을 때, 블루라이트가 통과된다.
사람의 표피 각질형성세포(HEK)의 활성산소량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톤28 HEV SCREEN을 각각 50 ppm, 100 ppm, 200 ppm의 농도로 사람의 표피 각질형성세포에 투여한 후 블루라이트를 조사한 경우와 톤28 HEV SCREEN을 투여하지 않고 블루라이트를 조사한 경우 각각에 대하여 사람의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활성 산소량이 측정된다. 블루라이트를 조사하지 않은 경우의 약 섭씨 37도에서 사람의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활성 산소량이 기준값이다.
OxiselectTM Intracellular ROS Assay Kit를 이용하여 ROS(reactive oxygen species)의 활동성(activity)이 측정된다. 블루라이트 노출에 반응하여 세포 내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실기(hydroxyl group), 퍼옥실기(peroxyl group) 등의 자유 라디칼의 상대적인 형광 유닛(relative fluorescence unit)을 측정하여, ROS의 활동성이 측정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사람의 표피 각질형성세포에 블루라이트를 노출했을 때 활성 산소량은 노출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해서 약 4 배 정도 증가한다. 톤28 HEV SCREEN을 사용한 경우 활성 산소량의 발생량은 톤28 HEV SCREEN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약 44-60% 감소한다. 활성산소 발생량의 감소에 따라 염증 반응 억제와 피부 손상 방지가 가능하다. 도 2의 그래프에서 Y축 값은 Relative Fluorescence(units)으로, 차례대로, 약 175, 약 695, 약 280, 약 330, 약 390이다.
사람의 진피 섬유아세포(HDF)의 활성산소량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톤28 HEV SCREEN을 각각 50 ppm, 100 ppm, 200 ppm의 농도로 사람의 진피 섬유아세포에 투여한 후 블루라이트를 조사한 경우와 톤28 HEV SCREEN을 투여하지 않고 블루라이트를 조사한 경우 각각에 대하여 사람의 진피 섬유아세포의 활성 산소량이 측정된다. 블루라이트를 조사하지 않은 경우의 약 섭씨 37도에서 사람의 진피 섬유아세포의 활성 산소량이 기준값이다.
전술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OxiselectTM Intracellular ROS Assay Kit를 이용하여 ROS의 활동성이 측정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사람의 진피 섬유아세포에 블루라이트를 노출했을 때 활성 산소량은 노출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해서 약 4 배 정도 증가한다. 톤28 HEV SCREEN을 사용한 경우 활성 산소량의 발생량은 톤28 HEV SCREEN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약 53-58% 감소한다. 활성산소 발생량의 감소에 따라 염증 반응 억제와 피부 손상 방지가 가능하다. 도 3의 그래프에서 Y축 값은 Relative Fluorescence(units)으로, 차례대로, 약 190, 약 800, 약 340, 약 370, 약 380이다.
사람의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세포활성도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톤28 HEV SCREEN을 각각 50 ppm, 100 ppm, 200 ppm의 농도로 사람의 표피 각질형성세포에 투여한 후 블루라이트를 조사한 경우와 톤28 HEV SCREEN을 투여하지 않고 블루라이트를 조사한 경우 각각에 대하여 사람의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세포활성도가 측정된다. 블루라이트를 조사하지 않은 경우의 약 섭씨 37도에서 사람의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세포활성도가 기준값이다.
CellTiter 96TM Aqueous One Solution Reagent (MTS) Assay를 이용하여 활성 세포(active cell)의 활성도(viability)가 측정된다.
도 4을 참고하면, 사람의 표피 각질형성세포에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았을 때의 세포 활성도를 기준으로, 블루라이트를 조사한 경우 세포 활성도가 감소하고, 톤28 HEV SCREEN을 각각 50 ppm, 100 ppm, 200 ppm 사용한 경우 세포활성도가 증가한다. 도 4의 그래프에서 Y축 값은 Cell Viability(%)로, 차례대로, 약 100, 약 60, 약 105, 약 107, 약 120이다.
사람의 진피 섬유아세포의 세포활성도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톤28 HEV SCREEN을 각각 50 ppm, 100 ppm, 200 ppm의 농도로 사람의 진피 섬유아세포에 투여한 후 블루라이트를 조사한 경우와 톤28 HEV SCREEN을 투여하지 않고 블루라이트를 조사한 경우 각각에 대하여 사람의 진피 섬유아세포의 세포활성도가 측정된다. 블루라이트를 조사하지 않은 경우의 약 섭씨 37도에서 사람의 진피 섬유아세포의 세포활성도가 기준값이다.
CellTiter 96TM Aqueous One Solution Reagent (MTS) Assay를 이용하여 활성 세포의 활성도가 측정된다.
도 5를 참고하면, 사람의 진피 섬유아세포에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았을 때의 세포 활성도를 기준으로, 블루라이트를 조사한 경우 세포 활성도가 감소하고, 톤28 HEV SCREEN을 각각 50 ppm, 100 ppm, 200 ppm 사용한 경우 세포활성도가 증가한다. 도 5의 그래프에서 Y축 값은 Cell Viability(%)로, 차례대로, 약 100, 약 57, 약 108, 약 105, 약 110이다.
제형 두께별 블루라이트 흡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톤28 HEV SCREEN, 종래의 UV차단제 및 컨실러(concealer), 그리고 종래의 컨실러의 블루라이트 방어 여부를 비교한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종래의 UV 차단제 및 컨실러는 Skin ProtectorTM이고, 종래의 컨실러는 Pro Longwear ConcealerTM이다.
제형두께 0.1mm이하 제형두께 0.2mm이하 제형두께 0.4mm
톤28 HEV SCREEN O O O
종래의 UV차단제 및 컨실러 X X O
종래의 컨실러 X X X
평균 화장품 두께는 0.1-0.2 mm이며, 각 두께의 화장품에 블루라이트가 2시간, 4시간, 6시간 조사된다. 톤28 HEV SCREEN을 사용한 경우, 화장품 제형의 두께와 관련 없이 모두 블루라이트가 방어된다. 종래의 UV 차단제 및 컨실러는 제형두께가 0.4 mm인 경우 블루라이트가 방어되지만, 그 이하의 두께에서는 블루라이트가 방어되지 않는다. 종래의 컨실러는 제형의 두께와 관련 없이 모두 블루라이트가 방어되지 않는다.
톤28 HEV SCREEN의 임상실험
뉴욕에 위치한 화장품 임상실험 기관인 AMA Laboratories에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톤28 HEV SCREEN에 대한 임상실험을 진행한 결과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다.
도 6는 톤28 HEV SCREEN을 이용하여 블루라이트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X축은 파장(nm)이며, Y축은 투과도(%)이다.
도 6를 참고하면, 평균 블루라이트 차단 퍼센트(average % HEV protection)는 약 33.84 %이며, 최소 블루라이트 차단 퍼센트(minimum % HEV protection)는 약 19.23%이며, 최대 블루라이트 차단 퍼센트(maximum % HEV protection)는 약 88.07%이다.
도 7은 톤28 HEV SCREEN의 블루라이트 보호 인자(HEV light protection factor)와 차단된 태양광 퍼센트(% solar energy blocked)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X축은 파장(nm)이며, Y축은 분광 조사강도(spectral irradiance)(%)이다. 도 7에서 상단의 그래프는 ISO 9845-1에 따른 태양광의 분광 조사강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하단의 그래프는 ISO 9845-1에 따라 톤28 HEV SCREEN을 투과하는 태양광의 분광 조사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블루라이트 보호 인자는 약 1.54이며, 차단된 태양광 퍼센트(% SSlHEV)는 약 35.1 %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톤28 HEV SCREEN은 블루라이트와 태양광을 효과적으로 방어한다.
실시예 2: 건성 피부용 조성물
건성 피부용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한다. 건성 피부용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은 천수국추출물 약 1 중량%, 잇꽃씨오일 약 1 중량%, 아연산화물 약 25 중량%, 유기농 브로콜리 추출물 약 50 중량%,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약 7 중량%, 유기농 포도씨오일 약 3 중량%, 유기농 올리브오일 약 3 중량%, 칼라민 약 3 중량%, 소르비탄올리베이트 약 1 중량%, 이소스테아릭 산 약 0.5 중량%, 세틸알코올 약 0.5 중량%, 세테아릴알코올 약 0.5 중량&,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 산 약 0.5 중량%, 유기농 아보카도버터 약 0.5 중량%, 유기농 망고씨버터 약 0.5 중량%, 폴리글리세릴-2-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약 1 중량%, 비즈왁스 약 0.5 중량%, 황금추출물 약 0.5 중량%, 모란뿌리추출물 약 0.5 중량%, 그리고 감초추출물 약 0.5 중량%를 포함한다.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건성 피부용 조성물은 실시예 1의 도 1 내지 도 7의 실험 결과와 마찬가지로, 블루라이트 및 자외선을 방어한다.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건성 피부용 조성물을 건성 피부에 사용한 결과, 지성 피부에 사용한 경우보다, 피부 각질이 부드럽게 변하고, 보습 지속력이 증대되고, 화장 지속성이 증대된다.
실시예 3: 지성 피부용 조성물
지성 피부용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한다. 지성 피부용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은 천수국추출물 약 1 중량%, 잇꽃씨오일 약 1 중량%, 아연산화물 약 25 중량%, 유기농 검정콩 추출물 약 40 중량%, 유기농 쌀추출물 약 10 중량%,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약 7 중량%, 유기농 포도씨오일 약 6 중량%, 칼라민 약 3 중량%, 소르비탄올리베이트 약 1 중량%, 이소스테아릭 산 약 0.5 중량%, 세틸알코올 약 0.5 중량%, 세테아릴알코올 약 0.5 중량&,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 산 약 0.5 중량%, 유기농 망고씨버터 약 0.5 중량%, 폴리글리세릴-2-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약 1 중량%, 비즈왁스 약 0.5 중량%, 황금추출물 약 0.5 중량%, 모란뿌리추출물 약 0.5 중량%, 감초추출물 0.5 중량%, 그리고 적색 산화철 약 0.5 중량%를 포함한다.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지성 피부용 조성물은 실시예 1의 도 1 내지 도 7의 실험 결과와 마찬가지로, 블루라이트 및 자외선을 방어한다.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지성 피부용 조성물을 지성 피부에 사용한 결과, 건성 피부에 사용한 경우보다, 피지 발생이 감소하고, 피부의 유수분 밸런스가 유지되고, 화장 지속성이 증대되고, 피부톤 보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5)

  1. 잇꽃씨오일(carthamus tinctorius (safflower) seed oil)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고,
    400 nm 내지 500 nm 파장의 블루라이트의 통과를 감소시키는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
  2. 제1항에서,
    천수국꽃추출물(tagetes erecta flower extract)을 유효 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
  3. 제2항에서,
    천연 또는 천연 유래 성분인 브로콜리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
  4. 제2항에서,
    천연 또는 천연 유래 성분인 검정콩추출물 및 쌀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
  5. 제2항에서,
    천연 또는 천연 유래 성분이며, 280 nm 내지 400 nm 파장의 자외선의 통과를 감소시키는 자외선 차단 물질을 더 포함하는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
KR1020180077669A 2017-07-11 2018-07-04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 KR20190006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7711 WO2019013499A2 (ko) 2017-07-11 2018-07-06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060 2017-07-11
KR20170088060 2017-07-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910A true KR20190006910A (ko) 2019-01-21

Family

ID=65277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669A KR20190006910A (ko) 2017-07-11 2018-07-04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69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134A (ko) 2020-01-02 2021-07-12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28259A (ko) * 2020-08-28 2022-03-08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홍화씨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자외선 차단 및 블루라이트 차단용 가지는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134A (ko) 2020-01-02 2021-07-12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28259A (ko) * 2020-08-28 2022-03-08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홍화씨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자외선 차단 및 블루라이트 차단용 가지는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59197B (zh) 一种防晒乳及其制备方法
CN108635274A (zh) 一种光防护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294667A (zh) 一种具有广谱光防护作用的组合物及其应用
KR20190006910A (ko)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
KR20190076425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48578A (ko) 자외선, 근적외선 및 블루라이트 차단용 징크옥사이드 유분산액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0493018B1 (en) Topical moisturizing composition
Olayemi et al. Determination of sun protection factor number: an emerging in–vitro tool for predicting UV protection capabilities
CN103948529B (zh) 一种含番茄果肉提取物的化妆品组合物
CN111150670B (zh) 一种抗紫外线和抗蓝光的液晶纳米脂质液及其制备方法
CN107982181A (zh) 茶多酚美白淡斑霜
CN104586706B (zh) 一种桑黄防晒霜及其制备方法
KR20150041938A (ko) 피부 보호용 혼합물 및 이를 포함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
CN113730269B (zh) 一种温和、具有防晒功效的凝胶及其制备方法
WO2019013499A2 (ko) 블루라이트 방어용 화장품 조성물
JPH1053514A (ja) 天然紫外線吸収剤およびこれを含む化粧品
KR20180034202A (ko) 나노물질 및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자외선 차단 조성물
KR102083718B1 (ko) 카모마일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1426B1 (ko) 아마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730303A (zh) 一种以单一类型乳化剂制备多重乳液的方法以及晒后修复冰晶霜
CN102885717A (zh) 抗衰老、美容护肤的防晒霜
CN107773487A (zh) 一种防辐射祛黄美白面膜
JPH06263623A (ja) 天然紫外線吸収物質およびこれを含む化粧品
CN108379175A (zh) 一种含天然防晒成分防晒霜的制备方法
KR20190058866A (ko) 구아바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