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6833A - 자동 팽창식 구명튜브 - Google Patents

자동 팽창식 구명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6833A
KR20190006833A KR1020170088044A KR20170088044A KR20190006833A KR 20190006833 A KR20190006833 A KR 20190006833A KR 1020170088044 A KR1020170088044 A KR 1020170088044A KR 20170088044 A KR20170088044 A KR 20170088044A KR 20190006833 A KR20190006833 A KR 20190006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mattress
cap
circumferential surfac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주
Original Assignee
김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주 filed Critical 김민주
Priority to KR1020170088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6833A/ko
Publication of KR20190006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8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B2728/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으로 충진하는 한 편 처음 사용하더라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구명튜브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재질이 나일론으로 한정되는 한 편 내부에 폼 쿠션(101)이 충진된 매트리스부(10)와,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밸브(200)와, 상기 밸브(200)와 이격된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상부 일측에 수동 밸브(150)가 구비된 자동 팽창식 구명튜브가 당면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일측면에 복수개의 손잡이부(3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밸브(200)는 복수개의 통공(201)이 상부에 구비되는 한 편, 하부에 용수철 수납 단턱(240)이 구비된 핀 삽입 요부(211)가 내주면 상부에 구비된 캡(210)이 상기 밸브(200)의 상부 외형을 이루며, 복수개의 통공(201)이 구비되는 한 편 상부에 용수철 수납 단턱(240)이 구비된 결합공(222)이 중심단에 구비된 프레임부(220)가 상기 캡(210)의 하부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밸브(200)의 하부 외형을 이루도록 하고, 고무, 라텍스, 나일론, 실리콘 중 택일한 재질로 구비된 방수 링(245)을 상기 프레임부(220)의 외주면 일측에 더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여러 번 사용이 가능하고 장치를 처음 사용하더라도 간편하게 사용법을 익힐 수 있으며 오랜 기간동안 비사용 상태에 있어도 노화나 파손이 잘 일어나지 않는 특징과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팽창식 구명튜브 {The Auto-charging life rescue tube}
본 발명은 자동으로 충진하는 한 편 처음 사용하더라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구명튜브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오랜 기간동안 사용이 가능한 한 편 빠른 속도로 팽창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자동 팽창식 구명튜브에 관한 것 이다.
민수로 공급되거나 해양에서 구조활동을 위해 쓰이는 구명튜브나 구명환은 물놀이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반면 물놀이 이용이 가장 잦은 여름철에만 한정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비사용으로 인한 노화가 가장 잘 일어나는 품목 중 하나이다. 특히 팽창형 공기를 이용하는 일반적인 민수용 튜브는 접착부위도 비교적 약하며 재질의 강도도 약하기 때문에 파손이 쉽게 일어나며 튜브의 내부는 모두 공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파손으로 인한 공기 유출이 발생할 경우 익수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중대한 문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익수자 구조를 위한 구명환은 대부분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별다른 공기 주입 없이도 장기간동안 사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지만 익수자의 두골을 가격하는 사고가 일어날 경우 상해가 일어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익수 상황이 발생했을 때에는 익수자의 신체 일부를 가격하여 상해를 초래하지 않도록 연한 재질을 사용하거나 면적이 작아야 하며, 오랜 기간동안 비사용 하더라도 노화나 손상이 비교적 더딘 팽창형 장구를 사용하는것이 가장 이상적이며,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의 노화를 해결할 수 있다면 수상 인명구조에 있어서 큰 폭으로 예산을 절감할 수도 있다.
한 편, 이와 같은 수요는 특히 레져 분야에서 많이 일어났으며 최근에는 '자충식' 이라고 일컫는 팽창형 장구의 발출 방식에 관련된 문헌들이 공개되어 개발 및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이 구현되어 있는 문헌은 대표적으로 일본 공개 특허공보 제 2000-354526호로 기록된 휴대용 접이식 쿠션을 참고할 수 있으며, 당해 문헌과 동일 혹은 유사한 방식으로 팽창 혹은 수축이 이루어지는 문헌들은 대한민국 등록 실용공보 제 20-0474404호와 20-0476628호로 기록되어 있는 자충식 온수 매트, 대한민국 등록 실용공보 제 20-0474441호로 기록되어 있는 자충식 전기매트, 일본 공개 특허공보 제 2016-534831호로 기록된 자동 충전식 에어 튜브가 내장된 쿠션 및 그 제작 방법을 참고할 수 있다.
당해 문헌들은 매트리스의 내부에 폴리 우레탄, 메모리폼계의 폼 쿠션을 구비하고 팽창 혹은 수축을 상기 매트리스의 외부 일측에 구비된 밸브에 의한 공기 유입을 통함으로써 상기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는 수축된 폼 쿠션이 매트리스 내부의 진공 상태에 의해 형상을 복원하지 못하다가 밸브를 열었을 때 내부의 진공상태가 풀리면서 폼 쿠션이 팽창함과 동시에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방식이며, 별도의 공기 충전이 필요하지 않고 여러 번 사용할 수 있는것이 큰 장점이다.
하지만 특히 해상에서 사용되어야 할 구명튜브는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폼의 무게 또한 고려해야 할 변수이므로 자충식으로 제조하여 실시할 경우 내부에 구비되는 폼 쿠션의 무게를 가볍게 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 같은 장비가 널리 보급되지 않았기 때문에 통삭의 지식을 가진 일반인들에게는 생소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사용법 또한 비교적 단순해야 했다.
1. 일본 공개 특허공보 제 2000-354526호. 2.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공보 제 20-0474404호. 3.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공보 제 20-0476628호. 4.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공보 제 20-0474441호. 5. 일본 공개 특허공보 제 2016-53483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 으로써, 여러 번 사용이 가능하고 장치를 처음 사용하더라도 간편하게 사용법을 익힐 수 있으며 오랜 기간동안 비사용 상태에 있어도 노화나 파손이 잘 일어나지 않는 자동 팽창식 구명튜브를 얻고자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폼 쿠션(101)이 충진된 매트리스부(10)와,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밸브(200)와, 상기 밸브(200)와 이격된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상부 일측에 수동 밸브(150)가 구비된 자동 팽창식 구명튜브가 당면한 과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a는 밸브(200)와 그 주변 요소들의 결합관계와 작용에 관하여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외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밸브(200)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통공(201)이 상부에 구비되는 한 편, 내주면 상부에 핀 삽입 요부(211)가 구비된 캡(210)이 상부의 외형을 이루며, 상기 캡(21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통공(201)이 구비되는 한 편 중심단에 결합공(222)이 구비된 프레임부(220)가 하부의 외형을 이룬다.
각자 결합을 이루는 캡(210)의 내주면 상부와 프레임부(220)의 상부면 사이에는 와셔링(250)이 구비되며, 상기 와셔링(250)은 고무, 나일론, 라텍스, 실리콘 중 택일 한정되는 연질의 합성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어서 밸브(200)를 통해 매트리스부(10)의 공기 유입을 차단해야 할 경우 상기 캡(210)을 돌렸을 때 프레임부(220)의 통공(201)과 함께 상기 캡(210)의 통공(201)을 동시에 폐쇄함으로써 공기나 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한다.
다만 이상과 같은 결합으로만 이루어져 있을 경우 본 원 발명에 의한 밸브(200)를 실제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밸브(200)의 개방을 위한 필요 조작범위를 숙지하지 못하게 되며 더 나아가서는 밸브(200)의 결합 해제나 고장 등과 같은 상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프레임부(220)의 외주면 일측에 복수개의 리미트 요부(229)가 대응하여 구비되고, 상기 캡(210)의 내주면 하단에도 복수개의 리미트 돌기(219)가 대응하여 구비됨으로써 상기 리미트 돌기(219)와 리미트 요부(229)가 맞물리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리미트 요부(229)는 밸브(200)의 폐쇄 혹은 개방을 위해 상기 캡(210)을 돌렸을 때 상기 캡(210)의 리미트 돌기(219)가 맞물린 채 좌우로 유동하는 좌우 유동부(231)와 상하로 유동하는 상하 유동부(235)를 'ㄴ자' 형으로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캡(210)를 회전시켜서 밸브(200)를 개방했을 때에는 용수철(241)의 장력으로 인해 상하로 유동하게 할 수 있다.
한 편 밸브(200)를 폐쇄하였을 때에는 캡(21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 유동부(235)가 구비된 좌우 유동부(231)의 대응된 일측단 상면에는 돌기 걸이 단턱(239)을 더 구비함으로써 밸브(200)를 폐쇄하여야만 하는 상황에서는 용수철(241)의 장력을 통해 상기 리미트 돌기(219)의 유동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은 밸브(200)의 구성은 인위적인 힘으로 외부에서 공기를 주입하지 아니하여도 개방과 동시에 매트리스부(10)의 진공 상태가 해제되면서 폼 쿠션(101)의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발출 수단으로 구비된 구명튜브는 도 4에 도시한 것을 도 1과 같은 형태로 부풀리기 위해서는 상술한 밸브(200)의 개방을 통한 공기의 자연 유입에만 한정하지 않고 상기 밸브(200)와 이격된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상부 일측에 수동 밸브(150)를 더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유사 시 사용자의 구강 호흡을 통한 인위적인 공기 유입 또한 사용자가 고려할 수 도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 번 사용이 가능하고 장치를 처음 사용하더라도 간편하게 사용법을 익힐 수 있으며 오랜 기간동안 비사용 상태에 있어도 노화나 파손이 잘 일어나지 않는 특징과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200)와 그 주변 요소들의 결합 관계와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부분 확대한 부분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매트리스부(10)의 내부에 구비된 폼 쿠션(101)의 상세한 외형을 도시한 부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폼 쿠션(101)의 바람직한 패턴 형상 중 규칙 메쉬(O)의 예시를 택일 도시한 실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폼 쿠션(101)의 바람직한 패턴 형상 중 불규칙 메쉬(D)의 예시를 택일 도시한 실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사용 예시 중 매트리스부(10)의 팽창 이전의 모습을 도시한 실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200)를 이루는 각 부 구성의 결합 형상과 작용상 결합관계를 상세히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200)를 이루는 각 부 구성의 결합 형상과 작용상 결합관계를 상세히 도시한 부분 분해도.
이하 본 발명의 내용에 있어서, 도면과 실시예를 토대로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폼 쿠션(101)이 충진된 매트리스부(10)와,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밸브(200)와, 상기 밸브(200)와 이격된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상부 일측에 수동 밸브(150)가 구비된 자동 팽창식 구명튜브가 당면한 과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매트리스부(10)의 내부에 충진된 폼 쿠션(101)에 의한 팽창 혹은 수축, 또는 외부 공기 주입에 의한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의 구현으로 한정하며, 동일 혹은 유사하거나 자명하게 도출할 수 있는 범위까지 해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a는 밸브(200)와 그 주변 요소들의 결합관계와 작용에 관하여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외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밸브(200)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통공(201)이 상부에 구비되는 한 편, 내주면 상부에 핀 삽입 요부(211)가 구비된 캡(210)이 상부의 외형을 이루며, 상기 캡(21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통공(201)이 구비되는 한 편 중심단에 결합공(222)이 구비된 프레임부(220)가 하부의 외형을 이룬다.
각자 결합을 이루는 캡(210)의 내주면 상부와 프레임부(220)의 상부면 사이에는 와셔링(250)이 구비되며, 상기 와셔링(250)은 고무, 나일론, 라텍스, 실리콘 중 택일 한정되는 연질의 합성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어서 밸브(200)를 통해 매트리스부(10)의 공기 유입을 차단해야 할 경우 상기 캡(210)을 돌렸을 때 프레임부(220)의 통공(201)과 함께 상기 캡(210)의 통공(201)을 동시에 폐쇄함으로써 공기나 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작용에 의한 구성의 결합은 상기 프레임부(220)의 내주면 하단에 구비된 결합 핀(290)을 상기 캡(210)의 내주면 상부에 구비된 핀 삽입 요부(211)에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밸브(200)의 구성이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결합 핀(290)이 상기 프레임부(220)의 결합공(222)과 와셔링(250)의 내주면에 삽입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핀 삽입 요부(211)로 도달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 편, 상기 결합공(222)의 상부와 핀 삽입 요부(211)의 하부에는 용수철 수납 단턱(240)이 더 구비되게 함으로써 상기 와셔링(25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용수철(241)이 구비되게 하고 상기 용수철(241)의 내주면에도 상기 결합 핀(290)이 더 삽입되게 하여 상기 용수철(241)이 그 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캡(210)을 개방하여 외부에서 공기를 유입받게 될 경우 와셔링(250)이 상기 캡(210)의 내주면 상부와 프레임부(220)의 상부면 사이의 공간을 더 확보하게 함으로써 공기가 밸브(200)를 통해 보다 원활히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 편, 먼지 거름망(295)이 구비된 핀 고정캡(291)이 상기 결합 핀(290)의 하단에 더 구비됨으로써 상기 프레임부(220)의 내주면 하단과 결합 핀(29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해서 반복적인 밸브(200)의 사용에 의한 결합 핀(290)의 유동이 발생하여 공기 유입 공간이 확보되지 않는 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 편, 매트리스부(10)의 내부에 있는 폼 쿠션(101)에 유해한 먼지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다만 이상과 같은 결합으로만 이루어져 있을 경우 본 원 발명에 의한 밸브(200)를 실제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밸브(200)의 개방을 위한 필요 조작범위를 숙지하지 못하게 되며 더 나아가서는 밸브(200)의 결합 해제나 고장 등과 같은 상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프레임부(220)의 외주면 일측에 복수개의 리미트 요부(229)가 대응하여 구비되고, 상기 캡(210)의 내주면 하단에도 복수개의 리미트 돌기(219)가 대응하여 구비됨으로써 상기 리미트 돌기(219)와 리미트 요부(229)가 맞물리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리미트 요부(229)는 밸브(200)의 폐쇄 혹은 개방을 위해 상기 캡(210)을 돌렸을 때 상기 캡(210)의 리미트 돌기(219)가 맞물린 채 좌우로 유동하는 좌우 유동부(231)와 상하로 유동하는 상하 유동부(235)를 'ㄴ자' 형으로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캡(210)를 회전시켜서 밸브(200)를 개방했을 때에는 용수철(241)의 장력으로 인해 상하로 유동하게 할 수 있다.
한 편 밸브(200)를 폐쇄하였을 때에는 캡(21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 유동부(235)가 구비된 좌우 유동부(231)의 대응된 일측단 상면에는 돌기 걸이 단턱(239)을 더 구비함으로써 밸브(200)를 폐쇄하여야만 하는 상황에서는 용수철(241)의 장력을 통해 상기 리미트 돌기(219)의 유동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밸브(200)의 완전한 폐쇄를 통하여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부(220)의 외주면 일측에 방수 링(245)을 더 삽입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캡(210)의 리미트 돌기(219)를 상기 돌기 걸이 단턱(239)에 거치한 상태일 경우 상기 캡(210)의 하단이 상기 방수 링(245)을 압착함으로써 상기 프레임부(220)와 캡(210)의 비어 있는 부분을 완전히 폐쇄하여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 실시예이며, 이때 사용되는 방수 링(245)은 고무, 라텍스, 나일론, 실리콘 중 택일한 재질로 제조되어 실시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밸브(200)의 구성은 인위적인 힘으로 외부에서 공기를 주입하지 아니하여도 개방과 동시에 매트리스부(10)의 진공 상태가 해제되면서 폼 쿠션(101)의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인데, 이때 구비되는 폼 쿠션(101)은 그 질량이 가벼워야 하며 폼이 충진되어 있는 부분의 탄성력이 높아야 형태의 장기적인 유지가 가능하고 휴대가 용이하며 팽창 시 다량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어서 장시간 수면 위에 부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폼 쿠션(101)의 재질은 폴리 프로필렌, 폴리 에틸렌, 폴리 우레탄으로 택일 한정하며 폴리 프로필렌은 상기 언급 한정한 재질들에 비해 가볍고 복원력이 뛰어난 특징이 있으며, 압축 시 축소율이 1/4 수준의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도 뛰어난 복원력을 지니며, 폴리 우레탄은 언급 한정한 재질들에 비해 그 무게가 가벼운 편은 아니지만 가장 뛰어난 복원력을 지니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폼 쿠션(101)은 폼의 타공 너비가 6mm 내지 13mm로 택일 한정되는 한 편, 폼의 충진부는 0.8mm 내지 1.6mm로 택일 한정되는 입체 파이버 형태로써 한정되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며 그 형태는 도 3에 도시된 형상과 동일 혹은 유사한 형태의 규칙 도형 메쉬(O) 혹은 도 3a에 도시된 형상과 동일 혹은 유사한 형태의 불규칙 도형 메쉬(O)가 되어야 하는데, 이상과 같은 구조는 충진부의 입체적인 배열을 통하여 상기 폼 쿠션(101)이 강한 탄성력과 강성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무게가 경량화되는 한 편 신속한 발출이 가능한 특징과 함께 상기 매트리스부(10)의 내부를 차지하는 공기의 용적을 증대하도록 함으로써 수면 위에서 안정적인 부양력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고 오랜 기간 동안 수축이 되어 있더라도 팽창 시 원래 형상으로 복원하는 능력이 탁월하다.
이상과 같은 발출 수단으로 구비된 구명튜브는 도 4에 도시한 것을 도 1과 같은 형태로 부풀리기 위해서는 상술한 밸브(200)의 개방을 통한 공기의 자연 유입에만 한정하지 않고 상기 밸브(200)와 이격된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상부 일측에 수동 밸브(150)를 더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유사 시 사용자의 구강 호흡을 통한 인위적인 공기 유입 또한 사용자가 고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폼 쿠션(101)이 자체적으로 형상을 복원하면서 매트리스부(10)의 형태를 잡아주기 때문에 급작스러운 공기 유입에 의한 매트리스부(10)의 손상을 방지하는 한 편, 상기 폼 쿠션(101)의 내부 충전 정도에 따라 공기의 충진 필요 면적 역시 반감되기 때문에 밸브(200)를 개방한 상태에서 수동 밸브(150)를 통해 외부 공기를 주입할 경우 상기 밸브(200)가 자체적으로 체크 밸브(팽창형 장구를 사용할 때 지나친 공기 유입을 방지하는 용도)의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다.
팽창된 매트리스부(10)는 특히 수면에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내식성이 강한 재질인 나일론을 사용하도록 하며, 익수자가 팽창된 매트리스부(10)를 잘 잡고 구조를 대기할 수 있도록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일측면에 복수개의 손잡이부(300)를 더 구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명튜브의 유지와 보수는 물론 우수한 사용성 역시도 구비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실시범위는 앞서 한정한 바와 같지만, 상술한 구성 및 작용의 범위만으로만 한정하지는 아니하고 균등론적 해석을 통하여 본 원 발명에 의한 구성과 작용의 범위 안에서 자명하게 도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범위가 한정될 수 있도록 한다.
10 : 매트리스부 101 : 폼 쿠션
150 : 수동 밸브 200 : 밸브
201 : 통공 210 : 캡
211 : 핀 삽입 요부 219 : 리미트 돌기
220 : 프레임부 222 : 결합공
229 : 리미트 요부 231 : 좌우 유동부
235 : 상하 유동부 239 : 돌기 걸이 단턱
240 : 용수철 수납 단턱 241 : 용수철
245 : 방수 링 250 : 와셔링
290 : 결합 핀 291 : 핀 고정캡
295 : 먼지 거름망 300 : 손잡이부
O : 규칙 도형 메쉬 D : 불규칙 도형 메쉬

Claims (5)

  1. 재질이 나일론으로 한정되는 한 편 내부에 폼 쿠션(101)이 충진된 매트리스부(10)와,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밸브(200)와, 상기 밸브(200)와 이격된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상부 일측에 수동 밸브(150)가 구비된 자동 팽창식 구명튜브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일측면에 복수개의 손잡이부(3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밸브(200)는 복수개의 통공(201)이 상부에 구비되는 한 편, 하부에 용수철 수납 단턱(240)이 구비된 핀 삽입 요부(211)가 내주면 상부에 구비된 캡(210)이 상기 밸브(200)의 상부 외형을 이루며, 복수개의 통공(201)이 구비되는 한 편 상부에 용수철 수납 단턱(240)이 구비된 결합공(222)이 중심단에 구비된 프레임부(220)가 상기 캡(210)의 하부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밸브(200)의 하부 외형을 이루도록 하고,
    고무, 라텍스, 나일론, 실리콘 중 택일한 재질로 구비된 방수 링(245)을 상기 프레임부(220)의 외주면 일측에 더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팽창식 구명튜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220)의 외주면 일측에 복수개의 리미트 요부(229)가 대응하여 더 구비되고,
    상기 캡(210)의 내주면 하단에 복수개의 리미트 돌기(219)가 대응하여 더 구비됨으로써 상기 리미트 돌기(219)와 리미트 요부(229)가 맞물리도록 하며,
    상기 리미트 요부(229)는 상기 리미트 돌기(219)가 맞물린 채 좌우로 유동할 수 있는 좌우 유동부(231)와 상하로 유동하는 상하 유동부(235)를 'ㄴ자' 형으로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상하 유동부(235)가 구비된 좌우 유동부(231)의 대응된 일측단 상면에 돌기 걸이 단턱(239)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팽창식 구명튜브.
  3. 제 1항에 있어서,
    고무, 나일론, 라텍스, 실리콘 중 택일 한정되는 연질의 합성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 진 한 편, 상단과 하단에 각각 용수철(241)이 구비된 와셔링(250)이 상기 캡(210)의 내주면 상부와 프레임부(220)의 상부면 사이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팽창식 구명튜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220)의 내주면 하단에 결합 핀(290)이 더 구비되고,
    먼지 거름망(295)이 구비된 핀 고정캡(291)이 상기 결합 핀(290)의 하단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팽창식 구명튜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폼 쿠션(101)의 재질은 폴리 프로필렌, 폴리 우레탄으로 택일 한정하도록 하며,
    상기 폼 쿠션(101)은 폼의 타공 너비가 6mm 내지 13mm로 택일 한정되는 한 편, 폼의 충진부는 0.8mm 내지 1.6mm로 택일 한정되는 입체 파이버 형태로 한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팽창식 구명튜브.
KR1020170088044A 2017-07-11 2017-07-11 자동 팽창식 구명튜브 KR201900068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044A KR20190006833A (ko) 2017-07-11 2017-07-11 자동 팽창식 구명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044A KR20190006833A (ko) 2017-07-11 2017-07-11 자동 팽창식 구명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833A true KR20190006833A (ko) 2019-01-21

Family

ID=65277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044A KR20190006833A (ko) 2017-07-11 2017-07-11 자동 팽창식 구명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6833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4526A (ja) 1999-06-16 2000-12-26 Tsutomu Higashimura 携帯用折りたたみ式クッション体
KR200474404Y1 (ko) 2014-07-08 2014-09-15 (주)제일하이테크 자충식 온수 매트
KR200474441Y1 (ko) 2014-07-08 2014-09-15 (주)제일하이테크 자충식 전기 매트
KR200476628Y1 (ko) 2013-11-15 2015-03-16 (주)제일하이테크 자충식 온수 매트
JP2016534831A (ja) 2013-08-27 2016-11-10 ハム・ウィシンEui−Shin HAM 自動充電式エアチューブが内蔵されたクッション及びその製作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4526A (ja) 1999-06-16 2000-12-26 Tsutomu Higashimura 携帯用折りたたみ式クッション体
JP2016534831A (ja) 2013-08-27 2016-11-10 ハム・ウィシンEui−Shin HAM 自動充電式エアチューブが内蔵されたクッション及びその製作方法
KR200476628Y1 (ko) 2013-11-15 2015-03-16 (주)제일하이테크 자충식 온수 매트
KR200474404Y1 (ko) 2014-07-08 2014-09-15 (주)제일하이테크 자충식 온수 매트
KR200474441Y1 (ko) 2014-07-08 2014-09-15 (주)제일하이테크 자충식 전기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4082A (en) Recreational floatation device
US5394822A (en) Umbrella support for a recreational floatation device
US10099758B2 (en) Raft for viewing underwater objects
WO2015112924A1 (en) Swim cap for long hair
CN210043597U (zh) 充气床垫装置
EP1937545B8 (en) Buoyancy and rescue device
KR20190006833A (ko) 자동 팽창식 구명튜브
KR102012595B1 (ko) 수면 표시구용 인플레이터장치
KR20190006830A (ko) 자동 및 쾌속 충진형 오일팬스
US8926386B2 (en) Flotation device for improved safety
JP2008237868A (ja) 子供用いす
KR100780046B1 (ko) 의료용 세발기
US7247077B1 (en) Aquatic toys
KR20100012957U (ko) 물놀이용 다기능 튜브
CN111764707A (zh) 一种方便排水的可充气泳池
KR20190006832A (ko) 자동 팽창형 부표
US6923706B1 (en) Aquatic toys
US20090193568A1 (en) Diving Mask
JP3184893U (ja) エアクッション
TWM359504U (en) Diving mask
CN202279223U (zh) 一种新型可调浮力的安全游泳衣
CN219077447U (zh) 一种新型充气泳圈
CN211273440U (zh) 一种眼镜浮
CN212037354U (zh) 一种带充气功能的马桶环盖
BE1026197A1 (nl) Een drijflichaam om rond de nek van een baby of kind aan te brengen en het gebruik van een dergelijk drijflicha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