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6830A - 자동 및 쾌속 충진형 오일팬스 - Google Patents

자동 및 쾌속 충진형 오일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6830A
KR20190006830A KR1020170088040A KR20170088040A KR20190006830A KR 20190006830 A KR20190006830 A KR 20190006830A KR 1020170088040 A KR1020170088040 A KR 1020170088040A KR 20170088040 A KR20170088040 A KR 20170088040A KR 20190006830 A KR20190006830 A KR 20190006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tress
valve
cap
limited
foam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주
Original Assignee
김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주 filed Critical 김민주
Priority to KR1020170088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6830A/ko
Publication of KR20190006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8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14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underwater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 E02B15/0864Ai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 E02B15/0885Fo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으로 충진하는 한 편 쾌속으로 내부의 공기를 충진할 수 있는 오일팬스에 관한 것 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폼 쿠션(101)이 충진된 매트리스부(10)와,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밸브(200)와, 상기 밸브(200)와 이격된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상부 일측단에 복수개의 식별 램프(109)가 구비된 자동 및 쾌속 충진형 오일팬스를 구성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하단에 웨이트(112)가 구비된 네트(110)가 상기 매트리스부(10)의 하단에 더 구비되고,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양측단에 각각 벨크로(102)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밸브(200)와 이격된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일측면에 보조 밸브(1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쾌속으로 내부의 공기 충진을 수행할 수 있고 전문 기술 습득의 필요 없이 다회성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한 편, 경량으로써 효율적인 사용 및 운용이 가능한 특징과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및 쾌속 충진형 오일팬스 {The fast outo-charging oil fence}
본 발명은 자동으로 충진하는 한 편 쾌속으로 내부의 공기를 충진할 수 있는 오일팬스에 관한 것 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전문 기술의 습득 필요 없이 빠른 속도로 팽창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한 편 다회성으로 이용할 수 있는 팽창형 오일팬스에 관한 것 이다.
해양에서 팽창형 구명장구의 유지 및 교체는 통상적으로 장치를 구비한 후 2년마다 정기적으로 이루어지며, 구명장구가 손상되거나 압축 공기의 압력이 감소했을 경우 새로 구비하여 교체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 중에서도 구명장구를 팽창시키는 압축 공기는 다양한 형태의 발출 방법이 있으며 수명과 사용 횟수 제한 여부 역시 모두 상이하기 때문에 이를 다루려면 사용에 있어서도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함은 물론 사용하는 압축 공기의 생산조건이 변경되거나 천제지변으로 인한 공급 문제가 발생할 경우 구명장구에 맞는 압축 공기를 다시 찾아 공급하거나 구명장구 자체를 폐기하여야만 했다.
따라서 이를 유지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이 발생했으며, 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통 1회성인 팽창형 구명장구를 다회 사용하거나 정기적인 유지 및 교체를 하지 않는 관행이 일어나면서 국내에만 한정하였을 때에도 세월호, 오룡호 등과 같은 대형 인명 참사가 발생하게 되었다.
특히 평소에는 사용하지 않다가 유사시 사용하는 방식으로 널리 통용되는 팽창형 오일 팬스는 그 크기 자체도 대형이므로 정기 유지 및 교체에 소모되는 비용 또한 막대하며 사용 준비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국내에서 운용하는 수량이 많지 않고, 이와 같은 문제는 곧 또 다른 해양 참사가 일어날 경우 대응할 능력이 부족하여 기름 유출과 같은 큰 재앙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압축 공기를 이용하는 팽창형 장구는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이 발생하며 잘 사용되지도 않기 때문에 최근에는 '자충식' 이라고 일컫는 팽창형 장구의 발출 방식에 관련된 문헌들이 공개되어 개발 및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이 구현되어 있는 문헌은 대표적으로 일본 공개 특허공보 제 2000-354526호로 기록된 휴대용 접이식 쿠션을 참고할 수 있으며, 당해 문헌과 동일 혹은 유사한 방식으로 팽창 혹은 수축이 이루어지는 문헌들은 대한민국 등록 실용공보 제 20-0474404호와 20-0476628호로 기록되어 있는 자충식 온수 매트, 대한민국 등록 실용공보 제 20-0474441호로 기록되어 있는 자충식 전기매트, 일본 공개 특허공보 제 2016-534831호로 기록된 자동 충전식 에어 튜브가 내장된 쿠션 및 그 제작 방법을 참고할 수 있다.
당해 문헌들은 매트리스의 내부에 폴리 우레탄, 메모리폼계의 폼 쿠션을 구비하고 팽창 혹은 수축을 상기 매트리스의 외부 일측에 구비된 밸브에 의한 공기 유입을 통함으로써 상기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는 수축된 폼 쿠션이 매트리스 내부의 진공 상태에 의해 형상을 복원하지 못하다가 밸브를 열었을 때 내부의 진공상태가 풀리면서 폼 쿠션이 팽창함과 동시에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방식이며, 별도의 공기 충전이 필요하지 않고 다회 사용할 수 있는것이 큰 장점이다.
하지만 특히 해상에서 사용되어야 할 오일팬스는 그 크기에 비례하여 무게 또한 상당한 수준으로써 자충식으로 제조하여 실시할 경우 내부에 구비되는 폼 쿠션의 무게를 가볍게 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해상의 악조건에서도 다회 사용이 가능하도록 그 구조를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1. 일본 공개 특허공보 제 2000-354526호. 2.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공보 제 20-0474404호. 3.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공보 제 20-0476628호. 4.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공보 제 20-0474441호. 5. 일본 공개 특허공보 제 2016-53483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 으로써, 쾌속으로 내부의 공기 충진을 수행할 수 있고 전문 기술 습득의 필요 없이 다회성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한 편, 경량으로써 효율적인 사용 및 운용이 가능한 자동 및 쾌속 충진 팽창형 오일팬스를 얻고자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폼 쿠션(101)이 충진된 매트리스부(10)와,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밸브(200)와, 상기 밸브(200)와 이격된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상부 일측에 복수개의 식별 램프(109)가 구비된 자동 및 쾌속 충진형 오일팬스가 당면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한 편, 하단에 무게추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웨이트(112)가 구비된 네트(110)를 상기 매트리스부(10)의 하단에 더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한 편,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양측단에 각각 벨크로(102)를 더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복수개의 자동 및 쾌속 충진형 오일팬스를 연결해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상에서 발생한 기름 유출을 막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은 발출 수단으로 구비된 오일팬스는 도 4 내지 도 5와 같은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서 그 크기가 커야 하고 매트리스부(10)의 양측단에 구비된 벨크로(102)를 통해 한 번에 여러 개체를 연결해서 사용하여야 하므로 해상에서의 신속한 팽창과 배치를 위해 상술한 밸브(200)의 개방을 통한 공기의 자연 유입에만 한정하지 않고 상기 밸브(200)와 이격된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일측면에 보조 밸브(150)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유사 시 Co2, 팽창가스, 질소 중 택일 한정된 외부의 인위적인 공기 유입 또한 사용자가 고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상과 같은 구성의 결합과 작용을 통해 당면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쾌속으로 내부의 공기 충진을 수행할 수 있고 전문 기술 습득의 필요 없이 다회성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한 편, 경량으로써 효율적인 사용 및 운용이 가능한 특징과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200)와 그 주변 요소들의 결합 관계와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부분 확대한 부분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매트리스부(10)의 내부에 구비된 폼 쿠션(101)의 상세한 외형을 도시한 부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폼 쿠션(101)의 바람직한 패턴 형상 중 규칙 메쉬(O)의 예시를 택일 도시한 실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폼 쿠션(101)의 바람직한 패턴 형상 중 불규칙 메쉬(D)의 예시를 택일 도시한 실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사용 예시 중 매트리스부(10)의 팽창 이전의 모습을 도시한 실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사용 예시 중 매트리스부(10)의 팽창 이후의 모습을 도시한 실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200)를 이루는 각 부 구성의 결합 형상과 작용상 결합관계를 상세히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200)를 이루는 각 부 구성의 결합 형상과 작용상 결합관계를 상세히 도시한 부분 분해도.
이하 본 발명의 내용에 있어서, 도면과 실시예를 토대로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폼 쿠션(101)이 충진된 매트리스부(10)와,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밸브(200)와, 상기 밸브(200)와 이격된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상부 일측에 복수개의 식별 램프(109)가 구비된 자동 및 쾌속 충진형 오일팬스가 당면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한 편, 하단에 무게추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웨이트(112)가 구비된 네트(110)를 상기 매트리스부(10)의 하단에 더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한 편,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양측단에 각각 벨크로(102)를 더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복수개의 자동 및 쾌속 충진형 오일팬스를 연결해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상에서 발생한 기름 유출을 막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매트리스부(10)의 내부에 충진된 폼 쿠션(101)에 의한 팽창 혹은 수축, 또는 외부 공기 주입에 의한 상기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의 구현으로 한정하며, 동일 혹은 유사하거나 자명하게 도출할 수 있는 범위까지 해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a는 밸브(200)와 그 주변 요소들의 결합관계와 작용에 관하여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외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밸브(200)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통공(201)이 상부에 구비되는 한 편, 내주면 상부에 암나사부(211)가 구비된 캡(210)이 상부의 외형을 이루며, 상기 캡(21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통공(201)이 구비되는 한 편 중심단에 결합공(222)이 구비된 프레임부(220)가 하부의 외형을 이룬다.
각자 결합을 이루는 캡(210)의 내주면 상부와 프레임부(220)의 상부면 사이에는 와셔링(250)이 구비되며, 상기 와셔링(250)은 고무, 나일론, 라텍스, 실리콘 중 택일 한정되는 연질의 합성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어서 밸브(200)를 통해 매트리스부(10)의 공기 유입을 차단해야 할 경우 상기 캡(210)을 돌렸을 때 프레임부(220)의 통공(201)과 함께 상기 캡(210)의 통공을 동시에 폐쇄함으로써 공기나 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 편, 상기 와셔링(250)의 중심단 상부와 하부는 도 6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비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캡(210)을 개방해서 매트리스부(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게 할 때 용수철을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캡(210)의 내주면 상부와 프레임부(220)의 상부 사이의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작용에 의한 구성의 결합은 상기 프레임부(220)의 내주면 하단에 구비된 결합 수나사부(290)를 상기 캡(210)의 내주면 상부에 구비된 암나사부(211)에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밸브(200)의 구성이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결합 수나사부(290)가 상기 프레임부(220)의 결합공(222)과 와셔링(250)의 내주면을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암나사부(211)로 도달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 편, 상기 결합 수나사부(290)의 하단에는 나사 고정캡(291)을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프레임부(220)의 내주면 하단과 결합 수나사부(29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해서 반복적인 밸브(200)의 사용에 의한 결합 수나사부(290)의 유동이 발생하여 공기 유입 공간이 확보되지 않는 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이상과 같은 결합으로만 이루어져 있을 경우 본 원 발명에 의한 밸브(200)를 실제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밸브(200)의 개방을 위한 필요 조작범위를 숙지하지 못하게 되며 더 나아가서는 밸브(200)의 결합 해제나 고장 등과 같은 상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프레임부(220)의 외주면 일측에 복수개의 리미트 요부(229)가 대응하여 구비되고, 상기 캡(210)의 내주면 하단에도 복수개의 리미트 돌기(219)가 대응하여 구비됨으로써 상기 리미트 돌기(219)와 리미트 요부(229)가 맞물리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리미트 요부(229)는 밸브(200)의 폐쇄 혹은 개방을 위해 상기 캡(210)을 돌렸을 때 상기 캡(210)이 좌우로 유동하는 수치적 범위와 상하로 유동하는 수치적 범위가 동시에 고려되여야 하므로 상기 결합 수나사부(290)의 0.5회전 내지 1회전 내외의 피치와 동일한 높이와 폭만큼 비스듬하게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상과 같이 구비되었을 경우 매트리스부(10)에 공기가 유입되게 하기 위해 밸브(200)를 열었을 때 사용자들이 밸브(200)의 개방을 위한 필요 조작범위를 숙지할 수 있음과 함께 용수철 없이도 캡(210)과 프레임부(220) 사이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밸브(200)의 구성은 인위적인 힘으로 외부에서 공기를 주입하지 아니하여도 개방과 동시에 매트리스부(10)의 진공 상태가 해제되면서 폼 쿠션(101)의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인데, 이때 구비되는 폼 쿠션(101)은 그 질량이 가벼워야 하며 폼이 충진되어 있는 부분의 탄성력이 높아야 형태의 장기적인 유지가 가능하고 휴대가 용이하며 팽창 시 다량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어서 장시간 수면 위에 부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폼 쿠션(101)의 재질은 폴리 프로필렌, 폴리 에틸렌, 폴리 우레탄으로 택일 한정하며 폴리 프로필렌은 상기 언급 한정한 재질들에 비해 가볍고 복원력이 뛰어난 특징이 있으며, 압축 시 축소율이 1/4 수준의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도 뛰어난 복원력을 지니며, 폴리 우레탄은 언급 한정한 재질들에 비해 그 무게가 가벼운 편은 아니지만 가장 뛰어난 복원력을 지니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폼 쿠션(101)은 폼의 타공 너비가 3mm 내지 9mm로 택일 한정되는 한 편, 폼의 충진부는 0.8mm 내지 1.6mm로 택일 한정되는 입체 파이버 형태로써 한정되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며 그 형태는 도 3에 도시된 형상과 동일 혹은 유사한 형태의 규칙 도형 메쉬(O) 혹은 도 3a에 도시된 형상과 동일 혹은 유사한 형태의 불규칙 도형 메쉬(O)가 되어야 하는데, 이상과 같은 구조는 충진부의 입체적인 배열을 통하여 상기 폼 쿠션(101)이 강한 탄성력과 강성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무게가 경량화되는 한 편 신속한 발출이 가능한 특징과 함께 상기 매트리스부(10)의 내부를 차지하는 공기의 용적을 증대하도록 함으로써 수면 위에서 안정적인 부양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발출 수단으로 구비된 오일팬스는 도 4 내지 도 5와 같은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서 그 크기가 커야 하고 매트리스부(10)의 양측단에 구비된 벨크로(102)를 통해 한 번에 여러 개체를 연결해서 사용하여야 하므로 신속한 발출이 필수적인 요건이다.
따라서 해상에서의 신속한 팽창과 배치를 위해 상술한 밸브(200)의 개방을 통한 공기의 자연 유입에만 한정하지 않고 상기 밸브(200)와 이격된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일측면에 보조 밸브(150)를 더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유사 시 Co2, 팽창가스, 질소 중 택일 한정된 외부의 인위적인 공기 유입 또한 사용자가 고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폼 쿠션(101)이 자체적으로 형상을 복원하면서 매트리스부(10)의 형태를 잡아주기 때문에 급작스러운 공기 유입에 의한 매트리스부(10)의 손상을 방지하는 한 편, 상기 폼 쿠션(101)의 내부 충전 정도에 따라 공기의 충진 필요 면적 역시 반감되기 때문에 밸브(200)를 개방한 상태에서 보조 밸브(150)를 통해 외부 공기를 주입할 경우 상기 밸브(200)가 자체적으로 체크 밸브(팽창형 장구를 사용할 때 지나친 공기 유입을 방지하는 용도)의 역할을 수행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길이 2m, 너비 350Φ인 오일팬스 개체를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 3초 내지 5초 사이에 완전히 팽창되도록 할 수 있다.
팽창된 매트리스부(10)는 특히 해수면에서 기름 유출과 같은 재난을 방지하기 위해 내식성이 강한 재질인 나일론을 사용하도록 하며, 야간에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식별 램프(10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식별 램프(109)는 LED램프와 빛 반사천을 택일하여 사용하도록 하며, 사용 환경과 조건, 제조 단가를 고려하여 실시자가 자유롭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실시범위는 앞서 한정한 바와 같지만, 상술한 구성 및 작용의 범위만으로만 한정하지는 아니하고 균등론적 해석을 통하여 본 원 발명에 의한 구성과 작용의 범위 안에서 자명하게 도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범위가 한정될 수 있도록 한다.
10 : 매트리스부 101 : 폼 쿠션
102 : 벨크로 109 : 식별 램프
110 : 네트 112 : 웨이트
150 : 보조 밸브 200 : 밸브
201 : 통공 210 : 캡
211 : 암나사부 219 : 리미트 돌기
220 : 프레임부 222 : 결합공
229 : 리미트 요부 250 : 와셔링
290 : 결합 수나사부 291 : 나사 고정캡
O : 규칙 도형 메쉬 D : 불규칙 도형 메쉬

Claims (6)

  1. 재질이 나일론으로 한정되는 한 편 내부에 폼 쿠션(101)이 충진된 매트리스부(10)와,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밸브(200)와, 상기 밸브(200)와 이격된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상부 일측단에 복수개의 식별 램프(109)가 구비된 자동 및 쾌속 충진형 오일팬스에 있어서,
    하단에 웨이트(112)가 구비된 네트(110)가 상기 매트리스부(10)의 하단에 더 구비되고,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양측단에 각각 벨크로(102)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밸브(200)와 이격된 상기 매트리스부(10)의 일측면에 보조 밸브(1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쾌속 충진형 오일팬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200)는,
    복수개의 통공(201)이 상부에 구비되는 한 편 내주면 상부에 암나사부(211)가 구비된 캡(210)이 상부의 외형을 이루며,
    복수개의 통공(201)이 구비되는 한 편 중심단에 결합공(222)이 구비된 프레임부(220)가 상기 캡(210)의 하부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하부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쾌속 충진형 오일팬스.
  3. 제 2항에 있어서,
    고무, 나일론, 라텍스, 실리콘 중 택일 한정되는 연질의 합성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 진 와셔링(250)이 상기 캡(210)의 내주면 상부와 프레임부(220)의 상부면 사이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쾌속 충진형 오일팬스.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220)의 내주면 하단에 결합 수나사부(290)가 더 구비되고,
    상기 결합 수나사부(290)의 하단에 나사 고정캡(291)을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프레임부(220)의 내주면 하단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쾌속 충진형 오일팬스.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220)의 외주면 일측에 복수개의 리미트 요부(229)가 대응 구비되고,
    상기 캡(210)의 내주면 하단에 복수개의 리미트 돌기(219)가 대응하여 구비됨으로써 상기 리미트 돌기(219)와 리미트 요부(229)가 맞물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쾌속 충진형 오일팬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폼 쿠션(101)의 재질은 폴리 프로필렌, 폴리 우레탄으로 택일 한정하도록 하며,
    상기 폼 쿠션(101)은 폼의 타공 너비가 3mm 내지 9mm로 택일 한정되는 한 편, 폼의 충진부는 0.8mm 내지 1.6mm로 택일 한정되는 입체 파이버 형태로 한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쾌속 충진형 오일팬스.
KR1020170088040A 2017-07-11 2017-07-11 자동 및 쾌속 충진형 오일팬스 KR201900068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040A KR20190006830A (ko) 2017-07-11 2017-07-11 자동 및 쾌속 충진형 오일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040A KR20190006830A (ko) 2017-07-11 2017-07-11 자동 및 쾌속 충진형 오일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830A true KR20190006830A (ko) 2019-01-21

Family

ID=65277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040A KR20190006830A (ko) 2017-07-11 2017-07-11 자동 및 쾌속 충진형 오일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68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960A (ko) * 2019-09-09 2021-03-1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체 마찰 발전을 이용한 오일펜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4526A (ja) 1999-06-16 2000-12-26 Tsutomu Higashimura 携帯用折りたたみ式クッション体
KR200474404Y1 (ko) 2014-07-08 2014-09-15 (주)제일하이테크 자충식 온수 매트
KR200474441Y1 (ko) 2014-07-08 2014-09-15 (주)제일하이테크 자충식 전기 매트
KR200476628Y1 (ko) 2013-11-15 2015-03-16 (주)제일하이테크 자충식 온수 매트
JP2016534831A (ja) 2013-08-27 2016-11-10 ハム・ウィシンEui−Shin HAM 自動充電式エアチューブが内蔵されたクッション及びその製作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4526A (ja) 1999-06-16 2000-12-26 Tsutomu Higashimura 携帯用折りたたみ式クッション体
JP2016534831A (ja) 2013-08-27 2016-11-10 ハム・ウィシンEui−Shin HAM 自動充電式エアチューブが内蔵されたクッション及びその製作方法
KR200476628Y1 (ko) 2013-11-15 2015-03-16 (주)제일하이테크 자충식 온수 매트
KR200474404Y1 (ko) 2014-07-08 2014-09-15 (주)제일하이테크 자충식 온수 매트
KR200474441Y1 (ko) 2014-07-08 2014-09-15 (주)제일하이테크 자충식 전기 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960A (ko) * 2019-09-09 2021-03-1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체 마찰 발전을 이용한 오일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20198T3 (es) Baño de hidroterapia inflable
CA2403697C (en) Self inflated air cushioned bed
US6237621B1 (en) Valve for inflatable objects
US3813704A (en) Floatable safety cover for swimming pools
CN107128464B (zh) 一种落水自救装置及手环
ES2428728T3 (es) Dispositivo de flotación que comprende un dispositivo de iluminación
US9192872B2 (en) Apparatus for sealing and illuminating a balloon
CN210043597U (zh) 充气床垫装置
US20150151658A1 (en) Adjustable seat cover
KR20190006830A (ko) 자동 및 쾌속 충진형 오일팬스
KR20190006832A (ko) 자동 팽창형 부표
CN210446352U (zh) 气垫装置
EP0925007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inflation assemblies
KR101489311B1 (ko) 인명구조용 팽창튜브
KR200401221Y1 (ko) 구명 튜브
JP2005052305A (ja) 遊具
KR20190006833A (ko) 자동 팽창식 구명튜브
KR102324524B1 (ko) 중공형 부구
KR100685724B1 (ko) 구명 튜브
US7594477B2 (en) Reconfigurable buoyant apparatus
CN210284559U (zh) 一种具有快速充气功能的救生腰包
KR101190493B1 (ko) 다기능 에어보트
KR200488203Y1 (ko) 자동 충전식 표시기둥
WO2010134118A1 (en) Self-inflatable life belt
KR100466242B1 (ko) 자력 팽창식 공기 쿠션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