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6832A - 자동 팽창형 부표 - Google Patents

자동 팽창형 부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6832A
KR20190006832A KR1020170088042A KR20170088042A KR20190006832A KR 20190006832 A KR20190006832 A KR 20190006832A KR 1020170088042 A KR1020170088042 A KR 1020170088042A KR 20170088042 A KR20170088042 A KR 20170088042A KR 20190006832 A KR20190006832 A KR 20190006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valve
frame part
disposed
h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주
Original Assignee
김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주 filed Critical 김민주
Priority to KR1020170088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6832A/ko
Publication of KR20190006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8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22Inflatable buoys with gas gener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4Illuminating
    • B63B2201/08Electric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4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 F21W2111/047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for light-bu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위적으로 공기를 주입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팽창하는 부표에 관한 것 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재질이 나일론으로 한정되는 한 편 내부에 폼 쿠션(101)이 충진된 프레임부(10)가 구비되고, 상단에 O링(201)과 방수캡(205)이 더 구비되는 밸브(200)가 상기 프레임부(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자동 팽창형 부표를 통해 당면한 과제를 해결한다.
상술한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서술하면 재질이 나일론, 라텍스, 실리콘으로 택일 한정된 코팅부(105)가 상기 프레임부(10)의 양측단의 굴곡면 모서리에 더 구비되고, 프레임부(10)의 양측단과 포켓(110)의 하단에 고리부(102)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고리부(102)의 외주면에는 걸고리 링(104)이 더 구비되고, 상기 걸고리 링(104)과 대응한 고리부(102)의 내주면에 걸고리 지지부(103)가 더 구비되는 한 편 상기 걸고리 링(104)과 걸고리 지지부(103)가 고리부(102)와 인접하도록 상호 결합 구비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전문 기술 습득의 필요 없이 다회성으로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한 편, 경량으로써 효율적인 사용 및 운용이 가능하고 오랜 기간동안 사용할 수 있는 특징과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팽창형 부표 {The Auto-chareging buoy}
본 발명은 인위적으로 공기를 주입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팽창하는 부표에 관한 것 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횟수에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보관 및 운반에 용이한 자동 팽창형 부표에 관한 것 이다.
현재까지 널리 이용되고 있는 부표는 대부분이 플라스틱이며,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부표로는 스티로폼형 부표가 있다. 스티로폼으로 이루어 진 부표는 부식에 강하고 값이 저렴하며, 별다른 설계적 고려 없이도 해수면 위에 부양하기 때문에 부표로써의 활용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해양수산부에 의하면 부피를 기준으로 국내 해양쓰레기 중 약 37%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스티로폼 부표라는 조사 결과가 있었으며, 스티로폼 부표는 오래 사용할 경우 알갱이로 잘게 부서져 수거와 처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를 먹이로 오인한 물고기, 새 등 동물의 폐사로 이어져 해양생태계 파괴와 자연경관 훼손 등 해양 환경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Co2와 같은 팽창 가스에 의해 팽창하는 팽창형 부표나 플라스틱 사출 부표가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팽창형 부표는 사용중이지 않을 때에는 공기를 빼 내어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다.
하지만 해양에서 팽창형 장구의 유지 및 교체는 통상적으로 장치를 구비한 후 2년마다 정기적으로 이루어지며, 팽창형 장구가 손상되거나 압축 공기의 압력이 감소했을 경우 새로 구비하여 교체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장구를 팽창시키는 압축 공기는 다양한 형태의 발출 방법이 있으며 수명과 사용 횟수 제한 여부 역시 모두 상이하기 때문에 이를 다루려면 사용에 있어서도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함은 물론 사용하는 압축 공기의 생산조건이 변경되거나 천제지변으로 인한 공급 문제가 발생할 경우 구명장구에 맞는 압축 공기를 다시 찾아 공급하거나 구명장구 자체를 폐기하여야만 했다.
따라서 이를 유지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이 발생했으며, 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통 1회성인 팽창형 장구를 다회 사용하거나 정기적인 유지 및 교체를 하지 않게 되었기 때문에 오랜 시간동안 사용하지 못하고 터져 버리는 단점이 존재했다.
상술한 팽창형 부표는 일본 공개 특허공보 공개평 H08-085492호로 기록되어 있는 수몰 부표용 표지 부표 장치에서 그 기술적 요지를 참고한 후 본 원 요지와 비약할 수 있다.
한 편, 압축 공기를 이용하는 팽창형 장구의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에 의해 최근에는 '자충식' 이라고 일컫는 팽창형 장구의 발출 방식에 관련된 문헌들이 공개되어 개발 및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이 구현되어 있는 문헌은 대표적으로 일본 공개 특허공보 제 2000-354526호로 기록된 휴대용 접이식 쿠션을 참고할 수 있으며, 당해 문헌과 동일 혹은 유사한 방식으로 팽창 혹은 수축이 이루어지는 문헌들은 대한민국 등록 실용공보 제 20-0474404호와 20-0476628호로 기록되어 있는 자충식 온수 매트, 대한민국 등록 실용공보 제 20-0474441호로 기록되어 있는 자충식 전기매트, 일본 공개 특허공보 제 2016-534831호로 기록된 자동 충전식 에어 튜브가 내장된 쿠션 및 그 제작 방법을 참고할 수 있다.
당해 문헌들은 매트리스의 내부에 폴리 우레탄, 메모리폼계의 폼 쿠션을 구비하고 팽창 혹은 수축을 상기 매트리스의 외부 일측에 구비된 밸브에 의한 공기 유입을 통함으로써 상기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는 수축된 폼 쿠션이 매트리스 내부의 진공 상태에 의해 형상을 복원하지 못하다가 밸브를 열었을 때 내부의 진공상태가 풀리면서 폼 쿠션이 팽창함과 동시에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방식이며, 별도의 공기 충전이 필요하지 않고 다회 사용할 수 있는것이 큰 장점이다.
하지만 특히 해상에서 사용되어야 할 부표는 그 크기에 비례하여 무게 또한 상당한 수준으로써 자충식으로 제조하여 실시할 경우 내부에 구비되는 폼 쿠션의 무게를 가볍게 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해상의 악조건에서도 다회 사용이 가능하도록 그 구조를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1. 일본 공개 특허 공보 공개평 제 H08-085492호. 2. 일본 공개 특허공보 제 2000-354526호. 3.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공보 제 20-0474404호. 4.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공보 제 20-0476628호. 5.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공보 제 20-0474441호. 6. 일본 공개 특허공보 제 2016-53483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 으로써, 전문 기술 습득의 필요 없이 다회성으로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한 편, 경량으로써 효율적인 사용 및 운용이 가능하고 오랜 기간동안 사용할 수 있는 자동 팽창형 부표를 얻고자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폼 쿠션(101)이 충진된 프레임부(10)와, 상기 프레임부(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밸브(200)와, 상기 밸브(200)와 이격된 상기 프레임부(10)의 상부 일측에 복수개의 식별 램프(109)가 구비된 자동 팽창형 부표가 당면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한 편, 하단에 무게추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웨이트(112)를 내부에 구비하는 포켓(110)을 상기 프레임부(10)의 일부로써 상기 프레임부(10)의 하단에 더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한 편, 상기 프레임부(10)의 양측단과 포켓(110)의 하단에 각각 고리부(102)를 더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복수개의 자동 팽창형 부표를 연결해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상에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은 발출 수단이 구비된 부표는 도 4 내지 도 5와 같은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서 해수에서 장시간 표류할 수 있어야 하고 해수 등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부(10)를 제작할 때 결합이나 접착이 필연적으로 일어나는 양측단의 굴곡면 모서리에는 코팅부(105)가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코팅부(105)는 내식성이 우수한 나일론, 라텍스, 실리콘 중 택일 한정되는 연질의 합성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레임부(10)를 제작할 때 결합이나 접착이 일어난 모서리면이 해상에서의 장시간 표류에 의한 염해로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상기 프레임부(10)의 내부에 구비된 폼 쿠션(101)에 염해가 발생하거나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휴대하여 다회성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문 기술 습득의 필요 없이 다회성으로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한 편, 경량으로써 효율적인 사용 및 운용이 가능하고 오랜 기간동안 사용할 수 있는 특징과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200)와 그 주변 요소들의 결합 관계와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부분 확대한 부분 확대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부(10)의 내부에 구비된 폼 쿠션(101)의 상세한 외형을 도시한 부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폼 쿠션(101)의 바람직한 패턴 형상 중 규칙 메쉬(O)의 예시를 택일 도시한 실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폼 쿠션(101)의 바람직한 패턴 형상 중 불규칙 메쉬(D)의 예시를 택일 도시한 실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부(10)를 팽창시킨 후 바람직한 주간 사용 예시를 도시한 실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부(10)를 팽창시킨 후 바람직한 야간 사용 예시를 도시한 실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리부(102)를 이루는 각 부 구성의 결합 형상과 작용상 결합관계를 상세히 도시한 부분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기 밸브(150)를 이루는 각 부 구성의 결합 형상과 작용상 결합관계를 상세히 도시한 부분 분해도.
이하, 본 발명의 내용에 있어서 도면과 실시예를 토대로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폼 쿠션(101)이 충진된 프레임부(10)와, 상기 프레임부(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밸브(200)와, 상기 밸브(200)와 이격된 상기 프레임부(10)의 상부 일측에 복수개의 식별 램프(109)가 구비된 자동 팽창형 부표가 당면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한 편, 하단에 무게추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웨이트(112)를 내부에 구비하는 포켓(110)을 상기 프레임부(10)의 일부로써 상기 프레임부(10)의 하단에 더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한 편, 상기 프레임부(10)의 양측단과 포켓(110)의 하단에 각각 고리부(102)를 더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복수개의 자동 팽창형 부표를 연결해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상에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a는 밸브(200)와 그 주변 요소들의 결합관계와 작용에 관하여 상기 프레임부(10)의 외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부분 확대 분해도이다. 상기 밸브(200)는 통상의 자충식 튜브에 널리 이용되는 밸브와 구성의 결합 및 그 작용이 동일하나 상기 밸브(200)의 상단에 O링(201)과 방수캡(205)이 상술한 순서대로 더 결합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파력 등에 의해 밸브(200)로 해수나 침전물 등이 유입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파력, 갈매기 등 조류에 의한 자연적 요인에 의하여 밸브(200)가 개방되지 않아야 할 상황에서 부득이하게 개방되었을 경우 공기의 입출입에 의한 프레임부(10)의 내부 공기압 유동 및 형상의 변형, 해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밸브(200)의 구성은 인위적인 힘으로 외부에서 공기를 주입하지 아니하여도 개방과 동시에 프레임부(10)의 진공 상태가 해제되면서 폼 쿠션(101)의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인데, 이때 구비되는 폼 쿠션(101)은 그 질량이 가벼워야 하며 폼이 충진되어 있는 부분의 탄성력이 높아야 형태의 장기적인 유지가 가능하고 휴대가 용이하며 팽창 시 다량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어서 장시간 수면 위에 부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폼 쿠션(101)은 폼의 타공 너비가 9mm 내지 12mm로 택일 한정되는 한 편, 폼의 충진부는 0.8mm 내지 1.6mm로 택일 한정되는 입체 파이버 형태로써 한정되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며 그 형태는 도 3에 도시된 형상과 동일 혹은 유사한 형태의 규칙 도형 메쉬(O) 혹은 도 3a에 도시된 형상과 동일 혹은 유사한 형태의 불규칙 도형 메쉬(O)가 되어야 하는데, 이상과 같은 구조는 충진부의 입체적인 배열을 통하여 상기 폼 쿠션(101)이 강한 탄성력과 강성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무게가 경량화되는 한 편 신속한 발출이 가능한 특징과 함께 상기 프레임부(10)의 내부를 차지하는 공기의 용적을 증대하도록 함으로써 수면 위에서 안정적인 부양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발출 수단이 구비된 부표는 도 4 내지 도 5와 같은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서 해수에서 장시간 표류할 수 있어야 하고 해수 등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부(10)를 제작할 때 결합이나 접착이 필연적으로 일어나는 양측단의 굴곡면 모서리에는 코팅부(105)가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코팅부(105)는 내식성이 우수한 나일론, 라텍스, 실리콘 중 택일 한정되는 연질의 합성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레임부(10)를 제작할 때 결합이나 접착이 일어난 모서리면이 해상에서의 장시간 표류에 의한 염해로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상기 프레임부(10)의 내부에 구비된 폼 쿠션(101)에 염해가 발생하거나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휴대하여 다회성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한 편, 이상과 같이 코팅부(105)를 구비하고도 장시간 해상에서 부표가 표류하게 되면 프레임부(10)가 염분이나 해수를 흡수하게 되거나 해상에서 밸브(200)를 개방하여 팽창시키게 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프레임부(10)의 내부에 염분이 축척되어 버리므로 정기적으로 상기 프레임부(10)의 내부에 공기를 통하게 함으로써 염분을 빼 주어야 하기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200)와 이격된 상기 프레임부(10)의 일측면에 복수개의 통기 밸브(150)가 더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유사 시 Co2, 팽창가스, 질소 중 택일 한정된 외부의 인위적인 공기 유입을 통해 정기적으로 프레임부(10)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통기 밸브(150)의 상단에 방수 와셔 링(155)과 통기 밸브 캡(152)이 상술한 순서대로 더 결합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파력 등에 의해 통기 밸브(150)로 해수나 침전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편, 팽창된 프레임부(10)는 특히 해수면에서의 장시간 사용을 위하여 내식성이 강한 재질인 나일론을 사용하도록 하며, 야간에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복수개의 식별 램프(10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식별 램프(109)는 LED램프와 빛 반사천을 택일하여 사용하도록 하며, 사용 환경과 조건, 제조 단가를 고려하여 실시자가 자유롭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자동 팽창형 부표의 바람직한 사용 실시예시에 있어서, 다수의 부표를 매달도록 함으로써 해상 경계를 표시하거나 해저면에 거치하도록 함으로써 유동을 방지하여야 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0)의 양측단과 포켓(110)의 하단에 구비된 고리부(102)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리부(102)는 상기 프레임부(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지만 다수의 부표를 매달거나 해저면에 부표를 거치하였을 경우 프레임부(10)의 재질로는 그 형태를 유지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고리부(102)의 외주면에는 걸고리 링(104)을 구비하고, 상기 걸고리 링(104)과 대응한 고리부(102)의 내주면에 걸고리 지지부(103)를 더 구비한 후 상기 걸고리 링(104)과 걸고리 지지부(103)가 고리부(102)와 인접하도록 상호 결합 구비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걸고리 링(104)과 걸고리 지지부(103)는 금속 재질로 한정하도록 하며 종래의 카라비너 혹은 체인을 상기 걸고리 링(104)에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오랫동안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한 일 실시예이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실시범위는 앞서 한정한 바와 같지만, 상술한 구성 및 작용의 범위만으로만 한정하지는 아니하고 균등론적 해석을 통하여 본 원 발명에 의한 구성과 작용의 범위 안에서 자명하게 도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범위가 한정될 수 있도록 한다.
10 : 프레임부 101 : 폼 쿠션
102 : 고리부 103 : 걸고리 지지부
104 : 걸고리 링 105 : 코팅부
109 : 식별 램프 110 : 포켓
112 : 웨이트 150 : 통기 밸브
152 : 통기 밸브 캡 155 : 방수 와셔 링
200 : 밸브 201 : O링
205 : 방수캡

Claims (4)

  1. 재질이 나일론으로 한정되는 한 편 내부에 폼 쿠션(101)이 충진된 프레임부(10)가 구비되고, 상단에 O링(201)과 방수캡(205)이 더 구비되는 밸브(200)가 상기 프레임부(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자동 팽창형 부표에 있어서,
    재질이 나일론, 라텍스, 실리콘으로 택일 한정된 코팅부(105)가 상기 프레임부(10)의 양측단의 굴곡면 모서리에 더 구비되고,
    웨이트(112)를 내부에 구비하는 포켓(110)을 상기 프레임부(10)의 일부로써 상기 프레임부(10)의 하단에 더 구비되고,
    프레임부(10)의 양측단과 포켓(110)의 하단에 고리부(102)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고리부(102)의 외주면에는 걸고리 링(104)이 더 구비되고,
    상기 걸고리 링(104)과 대응한 고리부(102)의 내주면에 걸고리 지지부(103)가 더 구비되는 한 편 상기 걸고리 링(104)과 걸고리 지지부(103)가 고리부(102)와 인접하도록 상호 결합 구비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팽창형 부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폼 쿠션(101)은 폼의 타공 너비가 9mm 내지 12mm로 택일 한정되는 한 편, 폼의 충진부는 0.8mm 내지 1.6mm로 택일 한정되는 입체 파이버 형태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팽창형 부표.
  3. 제 1항에 있어서,
    상단에 방수 와셔 링(155)과 통기 밸브 캡(152)이 구비된 통기 밸브(150)가 상기 밸브(200)와 이격된 상기 프레임부(10)의 일측면에 복수개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팽창형 부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200)와 이격된 상기 프레임부(10)의 상부 일측에 복수개의 식별 램프(109)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팽창형 부표.
KR1020170088042A 2017-07-11 2017-07-11 자동 팽창형 부표 KR201900068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042A KR20190006832A (ko) 2017-07-11 2017-07-11 자동 팽창형 부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042A KR20190006832A (ko) 2017-07-11 2017-07-11 자동 팽창형 부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832A true KR20190006832A (ko) 2019-01-21

Family

ID=65277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042A KR20190006832A (ko) 2017-07-11 2017-07-11 자동 팽창형 부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68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396B1 (ko) * 2021-02-08 2021-10-29 주식회사 씨존 하이브리드 폼필드 펜더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5492A (ja) 1994-09-16 1996-04-02 Fujikura Rubber Ltd 水没浮標用の標識ブイ装置
JP2000354526A (ja) 1999-06-16 2000-12-26 Tsutomu Higashimura 携帯用折りたたみ式クッション体
KR200474404Y1 (ko) 2014-07-08 2014-09-15 (주)제일하이테크 자충식 온수 매트
KR200474441Y1 (ko) 2014-07-08 2014-09-15 (주)제일하이테크 자충식 전기 매트
KR200476628Y1 (ko) 2013-11-15 2015-03-16 (주)제일하이테크 자충식 온수 매트
JP2016534831A (ja) 2013-08-27 2016-11-10 ハム・ウィシンEui−Shin HAM 自動充電式エアチューブが内蔵されたクッション及びその製作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5492A (ja) 1994-09-16 1996-04-02 Fujikura Rubber Ltd 水没浮標用の標識ブイ装置
JP2000354526A (ja) 1999-06-16 2000-12-26 Tsutomu Higashimura 携帯用折りたたみ式クッション体
JP2016534831A (ja) 2013-08-27 2016-11-10 ハム・ウィシンEui−Shin HAM 自動充電式エアチューブが内蔵されたクッション及びその製作方法
KR200476628Y1 (ko) 2013-11-15 2015-03-16 (주)제일하이테크 자충식 온수 매트
KR200474404Y1 (ko) 2014-07-08 2014-09-15 (주)제일하이테크 자충식 온수 매트
KR200474441Y1 (ko) 2014-07-08 2014-09-15 (주)제일하이테크 자충식 전기 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396B1 (ko) * 2021-02-08 2021-10-29 주식회사 씨존 하이브리드 폼필드 펜더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280B1 (ko) 용기를 이용한 부상 조립체
ES2428728T3 (es) Dispositivo de flotación que comprende un dispositivo de iluminación
US4251943A (en) Collapsible, water-permeable, portable fish trap
KR20080088200A (ko) 부유 및 잠수가 가능한 내파성 이동식 가두리
KR101792551B1 (ko) 내부압을 가지는 어구용 부구 및 그 제조방법
KR102283507B1 (ko) 양식용 부구
WO2005058025A3 (en) Renewably buoyant, self-protective floating habitat
KR20190006832A (ko) 자동 팽창형 부표
KR101431635B1 (ko) 양식장용 부이
KR101715289B1 (ko) 부력 집합체를 구비한 부이
KR102515743B1 (ko) 이중부구체
JP2006306259A (ja) 救助用浮遊球体
KR20190006830A (ko) 자동 및 쾌속 충진형 오일팬스
KR200207971Y1 (ko) 어구용 부표
JP2005052305A (ja) 遊具
US6971133B2 (en) Air mattress apparatus
KR200450136Y1 (ko) 침몰선박 위치확인 및 구명 기능을 갖는 부표장치
KR20150057225A (ko) 타원형 또는 원뿔형 부구 및 그 제조방법
DE60301388D1 (de) Tragbares tauchsystem
KR200493734Y1 (ko) 양식장용 태양광 식별등.
KR101190493B1 (ko) 다기능 에어보트
KR20180107993A (ko) 이중 파이프로 이루어진 부구
KR102562803B1 (ko) 공기주입형 부구
KR102553599B1 (ko) 양식용 부표 및 그 설치구조
KR20160001193U (ko) 트윈링타입 자동팽창 오일펜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