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6691A -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 - Google Patents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6691A
KR20190006691A KR1020170087696A KR20170087696A KR20190006691A KR 20190006691 A KR20190006691 A KR 20190006691A KR 1020170087696 A KR1020170087696 A KR 1020170087696A KR 20170087696 A KR20170087696 A KR 20170087696A KR 20190006691 A KR20190006691 A KR 20190006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and
opening
tighten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4907B1 (ko
Inventor
하민우
Original Assignee
하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민우 filed Critical 하민우
Priority to KR1020170087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907B1/ko
Publication of KR20190006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2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42B1/062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크기조절이 용이하면서도 심미감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캡부와 상기 캡부의 하단부 테두리에 결합되어 상기 착용자의 안면 상부에 배치되는 챙을 포함하되 상기 캡부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에 있어서, 상기 조임수단은 상기 캡부의 배면부에 반원형상으로 개구된 개구부의 일측단부에 구비되되, 중앙부에 경유홀이 형성된 고리부와, 일단부가 상기 개구부의 타측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경유홀을 경유하여 상기 개구부의 타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밴드부와, 상기 캡부의 하단부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되 일단부가 상기 밴드부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와이어가 내부에 권취되어 연결되며, 회전조작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에 인장력을 가하여 상기 밴드부를 견인하는 조임장치를 포함하여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cap having apparatus for fastening wire}
본 발명은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기조절이 용이하면서도 심미감이 개선된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자는 햇빛으로부터 착용자의 모발과 두피, 얼굴 피부, 안구를 가려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러한 모자는 착용하는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의 형태로 제공된다. 최근에는 모자가 상술한 본래의 기능에 더해 패션의 일부로 인식되는 경향이 강하며, 이에 따라 모자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되어 일상 생활에 패션 소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모자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세히, 상기 모자는 머리 상측을 덮도록 구비되는 캡부(1,4)와, 상기 캡부(1,4)의 적어도 일측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챙(2,5)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캡부(1,4)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갖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착용자의 다양한 머리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캡부(1,4)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조임수단(3,6)이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모자는 도 1a에서와 같이, 상기 캡부(1)의 배면부에 반원형상으로 개구된 개구부(1a)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되, 일측부재(3a)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홀에 타측부재(3b)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설된 돌기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상기 조임수단(3)을 통해 상기 캡부(1)의 사이즈가 조절될 수 있다.
또는 도 1b에서와 같이, 상기 조임수단(6)은 상기 캡부(4)의 하단부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는 조임끈(6a)과, 상기 조임끈(6a)이 조여진 상태를 구속할 수 있는 구속부재(6b)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전자의 경우 상기 돌기 및 홈이 형성된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캡부(1)의 사이즈가 제한적으로 조절되므로 상기 착용자의 머리를 과도하게 조이거나 반대로 헐거워 쉽게 벗겨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임수단(3)이 실질적으로 상기 캡부(1)의 배면부에 구비됨에 따라 착용자가 상기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정확하게 조절하기 어려우며, 사이즈 조절을 위해 반복적으로 탈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 상기 캡부(4)의 사이즈를 탄력적으로 조절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직물로 구비되는 상기 캡부(4)와 상기 조임끈(6a)이 조여지면서 마찰됨으로 인해 상기 캡부(4)의 하단부가 쓸려 주름(c)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상기 모자의 변형을 초래하여 외관상 심미감이 저하되며, 상기 주름(c)이 발생된 부분이 상기 착용자의 머리를 압박함에 따라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462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크기조절이 용이하면서도 심미감이 개선된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를 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캡부와 상기 캡부의 하단부 테두리에 결합되어 상기 착용자의 안면 상부에 배치되는 챙을 포함하되 상기 캡부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에 있어서, 상기 조임수단은 상기 캡부의 배면부에 반원형상으로 개구된 개구부의 일측단부에 구비되되, 중앙부에 경유홀이 형성된 고리부와, 일단부가 상기 개구부의 타측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경유홀을 경유하여 상기 개구부의 타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밴드부와, 상기 캡부의 하단부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되 일단부가 상기 밴드부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와이어가 내부에 권취되어 연결되며, 회전조작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에 인장력을 가하여 상기 밴드부를 견인하는 조임장치를 포함하여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밴드부는 상기 경유홀을 관통하여 이동되는 경유부와, 상기 경유부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와 연결되되 상기 조임장치의 회전조작시 상기 개구부의 타측방향으로 당김 조작되는 조임부와, 상기 경유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의 타측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조임부와 대면 배치되되, 상기 개구부의 타단부측이 상기 조임부와 마찰됨에 의해 주름발생 방향으로 당겨짐을 상쇄시키도록 상기 조임부와 연동시 상기 개구부의 타측단부가 일측방향으로 견인되도록 견인 조작되는 견인부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리부는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되 양단부가 연장부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의 양단부와 일체로 연결된 제2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지지부에는 상기 경유부의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회전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링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임부와 상기 견인부가 대면 배치되는 내면이 이격되어 마찰이 방지되도록 상기 밴드부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이격돌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챙의 일측에는 관통부가 형성되되, 상기 관통부의 테두리는 상기 조임장치 및 그의 대향측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사이에서 클램핑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캡부의 배면측에 형성된 개구부 사이를 연결하는 밴드부가 상기 조임장치의 회전조작시 권취되는 와이어의 인장력에 의해 견인되면서 상기 캡부의 사이즈가 착용자의 다양한 머리크기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미세 조절되므로 착용감 및 활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밴드부는 상기 고리부를 경유하면서 일단부측과 타단부측의 이동방향이 전환됨에 따라 개구부의 타측단부가 상기 조임부와 마찰되어 주름발생 방향으로 당겨지더라도 상기 견인부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견인되어 상쇄됨으로써 주름발생이 방지되어 심미감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고리부의 일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회전링부가 구비되어 상기 조임장치의 회전조작시 상기 밴드부와의 직접적인 마찰이 방지되어 각 구성부품의 내구성이 개선되면서도, 상기 회전링부의 내주직경이 상기 고리부 일측의 외주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자유 회전되므로 조작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조임장치가 상기 캡부보다 견고한 지지력을 갖는 상기 챙에 고정됨에 따라 회전조작시 외력에 의해 상기 조임장치의 위치 변동 또는 상기 조임장치가 체결된 부분의 손상이 방지되며, 상기 착용자가 상기 조임장치의 위치를 가시적으로 확인하기 용이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모자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의 배면부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의 배면도.
도 4는 도 3의 A-B방향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에서 고리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도 3의 D-E방향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에서 조임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의 배면부측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의 배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B방향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에서 고리부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3의 D-E방향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에서 조임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10)는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캡부(7)와, 상기 캡부(7)의 하단부 테두리에 결합되어 상기 착용자의 안면 상부에 배치되는 챙(8)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10)는 상기 조임수단(20)을 조작하여 상기 캡부(7)의 사이즈가 상기 착용자의 머리크기에 대응하여 조절되되, 상기 조임수단(20)은 고리부(30), 밴드부(40) 그리고 조임장치(5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캡부(7)의 배면부에는 반원형상으로 개구되어 내측에 소정의 개구공간(9c)이 형성된 개구부(9)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9)의 양측단부(9a,9b) 사이 간격이 조절됨에 따라 상기 캡부(7)의 사이즈가 상기 착용자의 다양한 머리크기에 대응하여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리부(30)는 상기 개구부(9)의 일측단부(9a)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고리부(30)는 상기 개구부(9)의 일측단부(9a)에 연결되는 제1지지부(31), 상기 제1지지부(31)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되 양단부가 연장부(33)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31)의 양단부와 일체로 연결된 제2지지부(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부(31), 상기 제2지지부(32) 및 상기 연장부(33)가 연결된 중앙부에 경유홀(34)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지지부(31)는 상기 개구부(9)의 일측단부(9a)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고, 도 4에서와 같이 별도의 결속수단(35)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밴드부(40)의 일단부(40a)가 상기 개구부(9)의 타측단부(9b)에 고정되고 타단부(40b)는 상기 경유홀(34)을 경유하여 상기 개구부(9)의 타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9)의 일측단부(9a) 및 타측단부(9b) 사이는 상기 밴드부(40)에 의해 실질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부(9)의 타측방향은 상기 개구부(9)의 타측단부(9b)에 대응되는 방향이며, 후술되는 상기 개구부(9)의 일측방향은 상기 타측방향과 대향측인 상기 개구부(9)의 일측단부(9a)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밴드부(40)는 유연하면서도 견인력에 대한 신축성이 최소화된 재질이라면 한정하지 않으며, 예컨대 천연 또는 합성섬유 재질의 직물이 소정의 폭을 갖는 띠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밴드부(40)는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 비닐 재질 또는 가죽 재질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w)의 인장력이 상기 밴드부(40)를 견인하는 힘으로 실질적으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 개구부(9)의 양측단부(9a,9b) 사이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고리부(30)에 상기 밴드부(40)가 관통시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31) 및 상기 제2지지부(32)는 상기 밴드부(40)의 단폭을 초과하는 길이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부(33)는 상기 밴드부(40)의 두께를 초과하는 길이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밴드부(40)가 상기 경유홀(34)을 경유하여 이동시 마찰에 의한 간섭이 최소화되므로 조작신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임장치(50)에 권취되는 와이어(w)의 일단부가 연장되되 상기 고리부(30)를 경유하여 상기 개구부(9)의 타측단부(9b)에 고정될 수도 있으나, 상기 와이어(w)는 상기 조임장치(50)에 권취될 수 있는 얇은 직경으로 구비되므로 견인지지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밴드부(40)가 소정의 단폭값을 갖는 띠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인장력에 대한 견인지지력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부(40)와 상기 와이어(w)가 별도로 구비되되, 상기 와이어(w)의 일단부와 상기 밴드부(40)의 타단부(40b)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밴드부(40)의 교체가 용이하면서도 다양한 패턴이나 무늬가 형성된 밴드부(40)로 교체하여 외적 심미감이 더욱 개선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조임장치(50)는 상기 캡부(7)의 하단부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는 상기 와이어(w)의 일부분이 내부에 권취되어 연결되되, 회전조작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w)에 인장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캡부(7) 또는 상기 챙(8)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조임장치(50)는 상기 개구부(9)를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고리부(30)가 고정된 대향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와이어(w)의 일단부는 상기 밴드부(40)의 타단부(40b)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조임장치(50)가 회전조작되면 상기 와이어(w)가 상기 조임장치(50)의 내부에 구비된 릴부에 권취되면서 이와 연결된 상기 밴드부(40)가 상기 조임장치(50)측으로 견인된다. 이를 통해, 상기 개구부(9)의 양측단부(9a,9b) 사이 간격이 좁아지면서 상기 캡부(7)의 사이즈가 상기 착용자의 다양한 머리크기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조절됨에 따라 활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부(7)의 하단부 테두리를 따라 상기 밴드부(40)의 타단부(40b)측 일부분 및 상기 와이어(w)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조임홈부(7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w)의 양단부, 상기 밴드부(40)와 상기 와이어(w)의 연결부분이 상기 조임홈부(7a)의 내측으로 이동되므로 상기 착용자의 두발 또는 피부와의 직접적인 마찰이 방지되어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임장치(50)의 회전조작시 상기 와이어(w)의 이동경로가 상기 캡부(7)의 하단부 테두리에 제한되므로 상기 캡부(7)의 반구형 프로파일이 실질적으로 유지되어 상기 모자(10)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심미감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임장치(50)는 릴부, 구속수단 및 회전커버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릴부는 상기 캡부(7) 또는 상기 챙(8)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고정되는 부품인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w)의 중앙부가 권취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w)의 양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캡부(7)의 하단부 테두리를 따라 구비된 상기 조임홈부(7a)에 삽입되되, 일단부는 상기 개구부(9)의 타측단부(9b)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밴드부(40)의 타단부(40b)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조임장치(50)를 회전조작하면 상기 와이어(w)가 상기 릴부에 권취되면서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해 상기 밴드부(40)가 견인됨에 따라 상기 개구부(9)의 양측단부(9a,9b) 사이 간격이 탄력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밴드부(40)는 상기 조임장치(50)의 회전반경에 대응하여 견인간격이 미세하게 조절됨에 따라 상기 캡부(7)의 사이즈가 상기 착용자의 다양한 머리크기에 대응하여 정확하게 조절되므로 착용만족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임장치(50)를 회전조작하는 간단한 방법만으로도 상기 착용자의 따른 머리크기 및 두발상태에 대응하여 최적화된 사이즈로 조절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 및 활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와이어(w)의 타단부는 일단부와 대향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조임홈부(7a) 내측에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w)의 양단부가 싱기 캡부(7)의 하단부 테두리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임장치(50)를 회전조작하면 상기 와이어(w)의 중앙부가 권취되면서 상기 캡부(7)의 하단부 테두리를 감싸도록 연장된 상기 와이어(w)의 양단부 길이 자체가 상대적으로 짧아지므로 상기 캡부(7)의 하단부 테두리가 조여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캡부(7)가 상기 착용자의 머리에 실질적으로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바람이 불거나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모자(10)가 상기 착용자의 머리에서 분리됨이 방지되어 착용안정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와이어(w)는 일단부가 상기 조임장치(50)의 내부에 권취되되 외측으로 연장되는 타단부가 상기 밴드부(40)의 타단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임장치(50)를 회전조작하여 상기 와이어(w)의 일단부가 상기 릴부에 권취되면서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해 상기 밴드부(40)가 선택적으로 견인됨에 따라 상기 개구부(9)의 양측단부(9a,9b) 사이 간격이 조절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릴부에 권취되기 위해 실질적으로 얇은 직경으로 구비되는 와이어(w)의 국소적인 압박에 의한 상기 착용자의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회전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착용자의 손으로 조작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회전된다. 이때, 상기 회전커버의 회전력이 상기 릴부에 전달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w)가 상기 릴부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권취되며 상기 와이어(w)의 일단부에 연결된 상기 밴드부(40)도 견인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커버의 회전력이 상기 릴부에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회전커버와 상기 릴부 사이에 상기 구속수단이 구비된다. 즉, 상기 회전커버의 회전방향 또는 승강 상태 등에 따라 상기 구속수단이 상기 회전커버와 상기 릴부를 선택적으로 매개함으로써 상기 회전커버 및 상기 릴부가 연동 회전되거나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조임장치(50)의 작동 및 구체적인 구조는 기출원된 등록특허 제1053551호, 제953398호 및 제1028468호와 같은 선행기술의 와이어 조임장치에 개시되어 있으며, 해당분야에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구속수단의 구속력에 의해 상기 회전커버와 상기 릴부가 상호 연동되도록 조작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커버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릴부에 상기 와이어(w)의 중앙부가 권취된다. 그리고, 상기 조임장치(50)의 외부로 연장된 상기 와이어(w)의 양단부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지면서 상기 밴드부(40)의 타단부(40b)가 상기 조임장치(50)측으로 견인된다.
이때, 상기 밴드부(40)는 상기 고리부(30)를 경유하여 일단부(40a)측과 타단부(40b)측 내면이 실질적으로 대면 배치됨에 따라 상기 밴드부(40)의 타단부(40b)가 상기 조임장치(50)측으로 견인되면 상기 고리부(30)와 상기 밴드부(40)의 일단부측 사이에 배치된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진다. 이를 통해, 상기 개구부(9)의 양측단부(9a,9b) 사이 간격이 좁혀지면서 상기 캡부(7)의 하단부 테두리 둘레가 전체적으로 작아지므로 상기 캡부(7)의 사이즈가 상기 착용자의 머리크기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미세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자가 상기 모자(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조임장치(50)를 회전시키는 단순한 조작만으로 상기 모자(10)의 사이즈가 상기 착용자의 머리크기에 최적화되어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절되므로 사용편의성 및 착용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조임장치(50)는 내주의 원주방향에 따라 일방향 래칫형 기어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조임장치(50)가 회전조작되어 상기 와이어(w)의 중앙부가 상기 릴부에 권취된 상태에서 반대방향으로 풀림을 구속함에 따라 상기 모자(10)가 조여진 상태가 유지되므로 임의로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구속수단의 구속력이 해제되어 상기 회전커버가 상기 릴부와 분리되어 개별 회전되도록 조작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커버의 회전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릴부가 자유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w)가 상기 릴부로부터 자연스럽게 풀리면서 상기 와이어(w)의 노출된 양단부 길이가 길어지므로 상기 캡부(7)의 사이즈가 느슨하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밴드부(40)는 경유부(41), 조임부(43) 그리고 견인부(42)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경유부(41), 상기 조임부(43) 및 상기 견인부(42)는 실질적으로 하나의 띠 형상 부재를 각 부분의 기능에 따라 구분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경유부(41)는 상기 경유홀(34)을 관통하는 상기 밴드부(40)의 중앙부측에 형성되며 내면이 상기 제2지지부(32)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조임장치(50)의 회전조작 또는 승강 상태에 따라 상기 경유부(41)의 내면이 상기 제2지지부(32)의 외주면에 밀착 지지되어 슬라이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조임부(43)는 상기 경유부(41)의 타단부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w)의 일단부와 연결되되, 상기 조임장치(50)의 회전조작시 상기 개구부(9)의 타측방향으로 당김 조작된다. 즉, 상기 밴드부(40)의 타단부(40b)가 상기 와이어(w)의 일단부와 연결된다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조임부(43)의 최외측 말단부가 상기 와이어(w)의 일단부와 연결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견인부(42)는 상기 경유부(4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9)의 타측단부(9b)에 고정되되 상기 조임부(43)와 대면 배치된다. 즉, 상기 밴드부(40)는 상기 경유부(41)를 중심으로 길이방향 양단부측이 대면 배치되도록 접힌 띠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경유부(41)가 상기 개구부(9)의 일측단부(9a)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조임부(43) 및 상기 견인부(42)의 최외측 말단부가 상기 개구부(9)의 타측단부(9b)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고리부(30)에 상기 경유부(41)가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조임장치(50)의 회전조작시 상기 와이어(w)가 상기 릴부에 권취되면 상기 조임부(43)가 상기 조임장치(50)측으로 당김 조작된다. 그리고, 상기 상기 견인부(42)가 연동되어 견인 조작되면서 상기 개구부(9)의 타측단부(9b)가 일측방향으로 견인됨에 따라 상기 개구부(9)의 양측단부(9a,9b) 사이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밴드부(40)는 상기 경유홀(34)을 경유하여 상기 제2지지부(32)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조임장치(40)의 회전조작시 당김/견인 조작되어 이동되는 방향이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조임장치(50)가 회전조작되어 상기 와이어(w)가 상기 릴부에 권취되면 상기 고리부(30)를 기준으로 상기 경유부(41) 및 상기 견인부(42)의 일부분이 상기 조임부(43)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조임부(43)의 최외측 말단부는 상기 조임홈부(7a)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고리부(30) 및 상기 밴드부(40)의 일단부(40a) 사이에 배치된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지면서 상기 캡부(7)의 사이즈가 타이트하게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릴부가 상기 회전커버와 분리되면 상기 와이어(w)의 구속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고리부(30)를 기준으로 상기 경유부(41) 및 상기 조임부(43)의 일부분이 상기 견인부(42)측으로 이동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리부(30) 및 상기 밴드부(40)의 일단부(40a) 사이에 배치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짐에 따라 상기 캡부(7)의 사이즈가 느슨하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임부(43)의 최외측 말단부 즉, 상기 밴드부(40)의 타단부(40b)는 상기 조임장치(50)의 회전조작시 상기 개구부(9)의 타측단부(9b)측과 중첩된다. 여기서, 상기 밴드부(40) 및 상기 캡부(7)가 실질적으로 소정의 마찰계수를 갖는 직물소재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밴드부(40)의 타단부(40b)가 상기 조임장치(50)측으로 견인되면 상기 개구부(9)의 타측단부(9b)측과 중첩되는 부분이 마찰된다. 이로 인해, 상기 조임장치(50)측으로 쓸림이 발생하면서 상기 개구부(9)의 타측단부(9b)측에는 상기 밴드부(40)와 중첩되는 영역(f)에 대응하여 주름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밴드부(40)는 상기 고리부(30)를 중심으로 상기 조임부(43)와 상기 견인부(42)가 접혀진 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조임장치(50)의 회전조작시 당김/견인 조작되는 방향이 상호 대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조임부(43)가 상기 조임장치(50)측인 상기 개구부(9)의 타측방향으로 견인되면 상기 고리부(30)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견인부(42)는 상기 개구부(9)의 일측방향으로 견인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임부(43)와 상기 개구부(9)의 타측단부(9b) 일부분이 마찰되어 상기 조임장치(50) 및 상기 개구부(9)의 타측단부(9b) 사이에 마찰로 인한 주름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견인부(42)에 의해 상기 개구부(9)의 타측단부(9b)가 일측방향으로 견인될 수 있는 견인력이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9)의 타단부측이 상기 조임부(43)와 마찰됨에 의해 주름발생 방향 즉, 상기 조임장치(50)측으로 당겨짐을 상쇄시킴에 따라 주름 발생이 방지되므로 외형적 심미감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자(10)의 사이즈를 조절한 후 별도로 상기 캡부(7)의 형태를 수정하던 번거로움이 실질적으로 제거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리부(30)에는 상기 밴드부(40)가 관통되어 상기 조임장치(50)의 회전조작에 따라 이동되되, 상기 제2지지부(32)에는 상기 경유부(41)의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회전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링부(32a)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전링부(32a)는 중앙부에 상기 제2지지부(32)의 단면직경보다 큰 직경의 체결홀(32b)이 형성되며 외주면은 실질적으로 상기 밴드부(40)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조임장치(50)를 회전조작시 상기 밴드부(40)가 상기 고리부(30)를 경유하여 이동되면 상기 회전링부(32a)가 상기 제2지지부(32)를 중심으로 자유 회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지지부(32) 및 상기 밴드부(40) 내면의 직접적인 마찰이 방지되므로 각 구성부품의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링부(32a)는 복수개의 링부재가 상기 제2지지부(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원통형 슬리브 또는 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중앙부 중공에 상기 제2지지부(32)가 관통되는 상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회전링부(32a)는 단면형상이 원형으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32)의 외주면 및 상기 회전링부(32a)의 내주면이 상호 마찰되어 마모될 수 있는 면적이 최소화되므로 내구성이 더욱 개선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조임부(43)와 상기 견인부(42)가 대면 배치되는 내면이 이격되도록 상기 밴드부(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돌기(40c)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임부(43)와 상기 견인부(42)의 내면이 상기 이격돌기(40c)의 돌설된 두께만큼 이격되므로 직접적인 마찰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돌기(40c)는 단부가 라운드지게 돌설됨에 따라 상호 접촉되는 면적이 최소화되어 마찰에 의한 상기 밴드부(40)의 마모 손상이 방지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격돌기(40c)는 상기 밴드부(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밴드부(40)가 상기 경유부(41)를 중심으로 접힌 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대면 배치되는 이격돌기(40c)의 대향면이 최소한으로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밴드부(40)의 외면은 마찰계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코팅부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밴드부(40)의 손상 및 쓸림이 방지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챙(8)의 일측에는 관통부(8a)가 형성되되 상기 관통부(8a)의 테두리는 상기 조임장치(50) 및 그의 대향측에 결합되는 결합부재(59) 사이에서 클램핑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챙(8)은 상기 캡부(7)의 하단부 테두리측에 연결되되 전면측으로 연장된 형태가 유지되도록 소정의 강성을 갖는 심지부의 외측에 상기 캡부(7)의 재질과 대응되는 직물이 커버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심지부는 플라스틱 또는 두꺼운 종이 등으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캡부(7)보다 견고한 지지력을 가지므로 상기 조임장치(50)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임장치(50)를 회전조작하기 위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조임장치(50)의 위치가 변동됨이 방지되어 상기 와이어(w) 및 상기 밴드부(40)가 명확하게 견인 조작될 수 있으므로 구동신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외력이 가해져 상기 조임장치(50)가 체결된 부분이 찢어지거나 상기 조임장치(50)가 상기 모자(10)로부터 분리됨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조임장치(50)가 실질적으로 상기 모자(10)의 전면부에 대응하는 상기 챙(8)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착용자가 상기 조임장치(50)의 위치를 가시적으로 확인하기 용이하므로 사용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조임장치(50)의 구성부품이 상기 착용자의 두발 및 두피 등에 직접 밀착 또는 가압됨이 방지되므로 착용감이 더욱 개선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관통부(8a)는 상기 조임장치(50)의 하면부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임장치(50)의 하면에는 후크(50a)가 돌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부(8a)를 중심으로 상기 조임장치(50)의 하면부와 대향 배치되는 상기 결합부재(59)에는 상기 후크가 걸림 구속되는 후크홈(59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임장치(50)의 하면부에 돌설된 상기 후크(50a)가 상기 관통부(8a)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부재(59)에 형성된 후크홈(59a)에 걸림 구속되면 상기 관통부(8a)의 테두리는 상기 조임장치(50) 및 상기 결합부재(59) 사이에서 클램핑 결합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조임장치(50)의 하면부와 상기 결합부재(59)의 상호 대향면에는 외주면에 나사산 및 나사홈이 형성된 결합단턱부가 더 형성되어 나사 체결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관통부(8a)의 테두리가 상기 조임장치(50) 및 상기 결합부재(59) 사이에 클램핑 결합될 수 있는 구조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더욱이, 상기 조임장치(50)는 상기 하우징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심지부가 일체로 확장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10)는 상기 캡부(7)의 배면측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9)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밴드부(40)가 상기 조임장치(50)의 회전조작시 권취되는 상기 와이어(w)의 인장력에 의해 견인된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9) 사이 간격이 좁아지면서 상기 캡부(7)의 사이즈가 착용자의 다양한 머리크기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미세 조절되므로 착용감 및 활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밴드부(40)는 상기 고리부(30)를 경유하면서 일단부(40a)측과 타단부(40b)측의 이동방향이 전환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구부(9)의 타측단부(9b)가 상기 조임부(43)와 마찰되어 주름발생 방향으로 당겨지더라도 상기 견인부(42)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견인되어 상쇄됨으로써 주름발생이 방지되어 심미감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부(30)의 일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회전링부(32a)가 구비되어 상기 조임장치(50)의 회전조작시 상기 밴드부(40)와의 직접적인 마찰이 방지되어 각 구성부품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회전링부(32a)의 내주직경이 상기 고리부(30) 일측의 외주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자유 회전되므로 상기 조임장치(50)의 회전조작시 부드럽게 구동되어 조작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조임장치(50)가 상기 캡부(7)보다 견고한 지지력을 갖는 상기 챙(8)에 고정됨에 따라 회전조작시 외력에 의해 상기 조임장치(50)의 위치 변동 또는 상기 조임장치(50)가 체결된 부분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자가 상기 조임장치(50)의 위치를 가시적으로 확인하기 용이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4,7 : 캡부 2,5 : 챙
9 : 개구부 10 : 모자
20 : 조임수단 30 : 고리부
34 : 경유홀 40 : 밴드부
41 : 경유부 42 : 견인부
43 : 조임부 50 : 조임장치
59 : 결합부재 w : 와이어

Claims (5)

  1.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캡부와 상기 캡부의 하단부 테두리에 결합되어 상기 착용자의 안면 상부에 배치되는 챙을 포함하되 상기 캡부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에 있어서, 상기 조임수단은
    상기 캡부의 배면부에 반원형상으로 개구된 개구부의 일측단부에 구비되되, 중앙부에 경유홀이 형성된 고리부와,
    일단부가 상기 개구부의 타측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경유홀을 경유하여 상기 개구부의 타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밴드부와,
    상기 캡부의 하단부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되 일단부가 상기 밴드부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와이어가 내부에 권취되어 연결되며, 회전조작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에 인장력을 가하여 상기 밴드부를 견인하는 조임장치를 포함하여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상기 경유홀을 관통하여 이동되는 경유부와,
    상기 경유부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와 연결되되 상기 조임장치의 회전조작시 상기 개구부의 타측방향으로 당김 조작되는 조임부와,
    상기 경유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의 타측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조임부와 대면 배치되되, 상기 개구부의 타단부측이 상기 조임부와 마찰됨에 의해 주름발생 방향으로 당겨짐을 상쇄시키도록 상기 조임부와 연동시 상기 개구부의 타측단부가 일측방향으로 견인되도록 견인 조작되는 견인부를 포함하여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되 양단부가 연장부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의 양단부와 일체로 연결된 제2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지지부에는 상기 경유부의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회전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링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와 상기 견인부가 대면 배치되는 내면이 이격되어 마찰이 방지되도록 상기 밴드부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이격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챙의 일측에는 관통부가 형성되되, 상기 관통부의 테두리는 상기 조임장치 및 그의 대향측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사이에서 클램핑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
KR1020170087696A 2017-07-11 2017-07-11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 KR101984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696A KR101984907B1 (ko) 2017-07-11 2017-07-11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696A KR101984907B1 (ko) 2017-07-11 2017-07-11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691A true KR20190006691A (ko) 2019-01-21
KR101984907B1 KR101984907B1 (ko) 2019-05-31

Family

ID=65277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696A KR101984907B1 (ko) 2017-07-11 2017-07-11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9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204127A (ja) * 2019-06-19 2020-12-2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サイズ調整可能な帽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888U (ko) 2019-10-16 2021-04-26 장영진 개구부에 지지부재를 구비한 모자
KR102267223B1 (ko) 2019-10-17 2021-06-21 주식회사 프리락 글로벌 모자용 와이어 조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5659U (ja) * 1994-06-24 1995-01-10 株式会社鈴木商店 サイズ調整帽子
KR200276133Y1 (ko) * 2002-02-14 2002-05-21 홍범기 모자용 밴드구조
KR200324626Y1 (ko) 2003-05-30 2003-08-25 사회복지법인 동천학원 조임끈을 구비한 모자
JP2004050914A (ja) * 2002-07-18 2004-02-19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5659B2 (ja) * 1990-05-30 2000-01-31 大蔵省印刷局長 透明媒体とパララックスバリヤによる立体画像印刷物とその製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5659U (ja) * 1994-06-24 1995-01-10 株式会社鈴木商店 サイズ調整帽子
KR200276133Y1 (ko) * 2002-02-14 2002-05-21 홍범기 모자용 밴드구조
JP2004050914A (ja) * 2002-07-18 2004-02-19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装置
KR200324626Y1 (ko) 2003-05-30 2003-08-25 사회복지법인 동천학원 조임끈을 구비한 모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204127A (ja) * 2019-06-19 2020-12-2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サイズ調整可能な帽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907B1 (ko)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4907B1 (ko)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
US11357279B2 (en) Closure components for a helmet layer and methods for installing same
US20080022438A1 (en) Headwear with Interwoven Gripping Fibers
KR101559109B1 (ko) 볼링용 손목 보호대
JP5042742B2 (ja) 折畳み式帽子
JP3276603B2 (ja) ヘッドバンド
KR102042518B1 (ko) 유아용 캐리어
TWM551934U (zh) 多功能面罩
KR102159647B1 (ko)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안전모
KR20200145706A (ko) 사이즈 조정 가능한 모자
JPS6036562Y2 (ja) かつら
KR102076578B1 (ko) 유아용 캐리어
JP3187317U (ja) 帽子
KR200246395Y1 (ko) 모자 사이즈 자동 조절용 뒷고리
KR200246446Y1 (ko) 차양모
KR102388139B1 (ko) 피부 처짐 방지 장치
KR100950077B1 (ko) 보조 차양을 갖는 차양 모자
CN220125290U (zh) 面罩
KR20180003079U (ko) 머리끈
JP3020676U (ja) サングラス用紐内蔵ワンタッチ自動巻取機付つば付き帽子
KR200363364Y1 (ko) 차양 모자
JP3161483U (ja) 帽子
KR0115498Y1 (ko) 차량 안전벨트
KR200299417Y1 (ko) 자외선 차단용 차양모
EP0937416A2 (en) System for regulating the internal size of an helm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