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888U - 개구부에 지지부재를 구비한 모자 - Google Patents

개구부에 지지부재를 구비한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888U
KR20210000888U KR2020190004180U KR20190004180U KR20210000888U KR 20210000888 U KR20210000888 U KR 20210000888U KR 2020190004180 U KR2020190004180 U KR 2020190004180U KR 20190004180 U KR20190004180 U KR 20190004180U KR 20210000888 U KR20210000888 U KR 202100008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
opening
support member
hap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1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진
Original Assignee
장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진 filed Critical 장영진
Priority to KR20201900041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888U/ko
Publication of KR202100008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88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2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 A42B1/225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with openings for hair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2External devices or 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hats, caps or hood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4Decorative arrangements or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8Insignia, logos, emblems or the like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모자의 후방에 형성된 개구부에 구비된 착용자의 머리에 크기에 따라 조절해서 사용하는 조절부재를 지지하고 라벨을 부착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 모자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착용부재(210)로 이루어지고 후두부에 개구부(220)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220)에 조절부재(230)를 구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햅부(200)와 상기 햅부(200)의 전방에 연결되어 햇볕을 차단하는 모자챙(100)으로 구성되는 모자(10)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재(210)로 만들어진 햅부(200)의 후두부에 만든 개구부(220)에 조절부재(230)이 형성된 지지부재(240)의 상단을 봉재결합하고 상기 조절부재(230)에는 조절부재(230)를 삽입통과시켜 조절부재(23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구부에 지지부재를 구비한 모자{Cap}
본 고안은 개구부에 지지부재를 구비한 모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자의 후방에 형성된 개구부에 구비된 착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조절해서 사용하는 조절부재를 지지하고 라벨을 부착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추위, 햇빛, 충격 등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는 기능 이외에 장식적 기능으로 모자를 착용하고 있다.
모자는 일반적으로 얼굴 등에 햇빛을 가리기 위하여 캡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챙과 머리에 씌워지는 캡으로 만들어지는데 일명 야구모자의 착용은 장식적 패션적 의미로 패션을 위한 패션아이템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이러한 챙 달린 모자는 운동이나 레저활동 시 착용하거나 또는 야간에 외출 시 또는 산책을 할 경우에 또는 먼지가 떨어지는 곳에서 작업을 하거나 또는 비나 눈이 내릴 경우에도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모자를 착용하는 사람의 두상은 형상과 크기가 각각 달라 모자를 다양한 여러 사이즈를 만들고 있으나 착용자의 머리카락의 유무와 길이에 따라서도 모자의 크기가 크게 느껴지거나 작게 느껴지기 때문에 모든 모자 착용자의 머리에 정확히 맞는 모자를 만들어 제공할 수는 없는 일이다.
따라서 모자를 어느 정도의 범위로 만들고 그 만들어진 모자안에서 두상에 따라 모자의 사이즈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 대부분의 경우에 모자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조절부재를 캡의 후방, 즉 후두부(後頭部)에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모자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사이즈 방식은 머리의 상부에 놓이는 햅부(200)는 동일한 크기로 만들고 햅부(200)의 하단에는 밴드에 여러 개의 구멍을 일직선으로 마련하고 그 중 어느 하나의 구멍에 고정구를 끼움으로써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 고전적이지만 근래에는 구멍이 없는 버클 형식도 있으며, 탄성체를 이용하는 밴드로 모자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모자에 대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0-1984907호은 "모자크기조절이 용이하면서도 심미감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햅부(200)와 상기 햅부(200)의 하단부테두리에 결합되어 상기 착용자의 안면 상부에 배치되는 챙을 포함하되 상기 햅부(200)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에 있어서, 상기 조임수단은 상기 햅부(200)의 배면부에 반원형상으로 개구된 개구부의 일측단부에 구비되되, 중앙부에 경유홀이 형성된 고리부와, 일단부가 상기 개구부의 타측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경유홀을 경유하여 상기 개구부의 타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밴드부와, 상기 햅부(200)의 하단부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되 일단부가 상기 밴드부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와이어가 내부에 권취되어 연결되며, 회전조작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에 인장력을 가하여 상기 밴드부를 견인하는 조임장치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같이 모자의 후두부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모자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조절부재가 마련되어 있지만 모자 후두부에 만들어진 개구부에 구비된 조절부재는 구멍, 버클 또는 탄성밴드에 의한 주름을 형성하고 있고 공간이 좁아 후두부의 개구부에 있는 조절부재에는 출처를 표시하기 위한 상표나 미적 감흥을 위한 장식을 부착하는 것은 어렵게 되는 것이다.
또 모자의 모자챙(100)을 부착한 앞에만 라벨 등을 부착하는 경우에는 모자 착용자가 모자챙(100)을 뒤로하여 앞과 뒤를 바꿔 착용 할 경우 대중에 노출되는 광고 등에는 모자 앞에 라벨을 부착하여 광고가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 조절부재를 만드는 재료는 일반적으로 직물 가죽 등 소정의 길이를 갖는 띠로 만들어 직물띠를 일단 또는 양단을 개구부의 가장자리의 햅(hap)부의 양쪽에서 봉재로 고정하여 조절부재가 밑으로 쳐지게 되는 것에 의해 미적감각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 모자의 후두부에 형성한 개구부는 하나로 형성되어 머리가 긴 경우에는 머리카락을 묶어 개구부로 빼내 모자를 착용하였으나 이는 단순히 머리카락을 하나로 묶는 단순함으로 인해 다양한 연출이 어럽다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0-1984907호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모자 햅부(200)의 후방에 만든 개구부에 모자 착용자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지지하여 조절부재가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그 지지부재에 라벨 등을 부착하여 광고 및 장식미를 증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개구부의 중앙에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개구부를 양쪽으로 형성하여 머리카락을 여러 가닥으로 묶어 모자밖으로 노출시켜 다양한 연출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다수개의 착용부재(210)로 이루어지고 후두부에 개구부(220)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220)에 조절부재(230)를 구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햅부(200)와 상기 햅부(200)의 전방에 연결되어 햇볕을 차단하는 모자챙(100)으로 구성되는 모자(10)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재(210)로 만들어진 햅부(200)의 후두부에 만든 개구부(220)에 지지부재홀(241)이 형성된 지지부재(240)의 상단을 봉재결합하고 상기 지지부재홀(241)에 조절부재(230)를 삽입통과시켜 조절부재(23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부재(240)를 상부는 넓고 하부가 좁은 형상 또는 상부는 좁고 하부가 넓은 형상으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부재(240)의 양측단부를 곡선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부재(240)의 상하부를 절개하여 홈(24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부재(240)를 모자(10)의 측면부에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조절부에 라벨을 부착한 지지부재(240)로 조절부재(230)를 지지하여 설치하여 광고효과를 높이고 조절부재(230)가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지 하는 효과가 있다.
또 개구부를 두 개로 분리형성하여 머리카락을 두가닥으로 묶어 모자밖으로 노출시켜 다양한 연출을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모자조절 장치를 구비한 모자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모자에 지지부재를 구비한 것을 보인 개구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지지부재를 구비한 개구부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지지부재에 조절부재가 삽입설치를 보인 일부절개단면도.
도 5a, 5b, 5c는 본 고안 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도.
도 6는 본 고안의 모자의 측면에 개구부가 설치된 것을 보인 개략도.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모자에 지지부재를 구비한 것을 보인 개구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지지부재를 구비한 개구부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지지부재에 조절부재가 삽입설치를 보인 일부절개단면도이며, 도 5a, 5b, 5c는 본 고안 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모자의 측면에 개구부가 설치된 것을 보인 개략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개구부에 지지부재를 구비한 모자를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자(10)는 햅부(200)의 하단의 테두리를 따라 전방으로 연장조립되어 햇볕을 차단하는 모자챙(100)과 다수개의 착용부재(210)로 이루어져 머리에 얹져지는 햅부(200)로 구성되는데, 다수개의 착용부재(210)를 반구형으로 형성하여 소정의 내부공간을 갖고 후부에는 상기 착용자의 다양한 머리크기에 대응하여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재(230)를 구비하여 머리를 덮도록 구비되는 햅부(200)가 구비된다.
모자챙(100)는 햅부(200)의 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운동, 등산, 낚시, 야외활동시 태양광선 및 바람으로부터 안면부를 보호하는 것이다.
햅부는 다수개의 착용부재(210)로 머리에 얹어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착용자의 머리에 얹어지고 상기 햅부의 후두부에는 모자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부착한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220)에는 지지부재홀(241)을 구비한 지지부재(240)의 상단을 모자(10)의 개구부(220) 상단부에 봉재결합하여 상기 지지부재홀(241)에는 조절부재(230)를 삽입통과시켜 조절부재(23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햅부(200)는 다수개의 착용부재(210)를 반구형으로 봉재하여 만들고 후두부에는 반원상의 개구부(220)를 형성하고 그 개구부(220)에는 모자의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230)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재(240)는 도 2에서와 같이, 모자(10)의 상기 햅부의 배면에 반원형상으로 개구된 개구부(220)에 부착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240)는 직물지, 가죽 등의 띠로 만들고 직물지는 양측을 접어 양측의 접혀진 부분을 봉재한 후에 양측이 접혀 봉재물의 중간부분을 접어 중간 접혀진 부분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봉재 등으로 스토퍼(242)를 형성하여 탄성부재가 이상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스토퍼(242) 하부에는 지지부재홀(241)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부재(240)의 하단의 넓이는 개구부의 넓이 보다 좁은 크기로 만들어 부착사용한다
상기 지지부재홀(241)은 조절부재(230)를 삽입시켜 지지하면서 지지부재(240)의 이동이 용이한 크기로 만들어 조절부재(230)가 좌우로 자유롭게 이동되게 하여 모자의 사이즈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조절부재(230)는 탄성체를 구비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띠로 만들어 조절부재(230)의 양단을 햅부(200)의 착용부재(210)에 봉재하여 고정부착하거나 직물지로 직물띠를 만들어 각각의 직물띠의 단부를 햅부에 봉재 부착한 후에 하나의 직물띠 또는 각각의 직물띠에 금속 등의 재질로 된 조절부를 조립사용한다.
이와같은 조절부재(230)는 소정의 넓이와 길이로 갖는 띠로 만들어 조절부재를 지지하는 것이 없는 경우에는 조절부재(230)의 무게에 의해 특히 조절부를 구비한 조절부재(230)는 무게에 의해 밑으로 쳐지게 되는데 직물띠 등로 만든 조절부재를 지지부재홀(241)에 삽입하여 지지함으로 인해 조절부재(230)가 밑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금속 등 고리로 만든 조절부를 지지부재홀(241)에 삽입시켜 조절부가 보이지 않게 되어 모자(10) 착용 시 장식미를 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242)는 상기 지지부재(240)를 반으로 접은 부위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봉재하여 형성하는데 스토퍼(242)는 조절부재(230)의 좌우로 이동은 자유롭게 이동하게 하고 조절부재가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조절부재(230)가 변형되지 않고 언제나 조절부재(230)가 동일한 형상을 유지하게 하여 장식미를 더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조절부재(23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40)의 외면에는 장식 식별마크 등 다양한 장식물(250)을 부착하여 모자(10)의 장식미를 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는 지지부재홀(241)이 형성된 스토퍼(242)와는 거리를 두고 지지부재(240)의 상단을 개구부(220)에 봉재결합한다.
상기 개구부(220)의 상단에 봉재하는 지지부재(240)의 형상은 개구부(2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용한다.
상기 햅부(200)의 후방에 만들어진 개구부(220)의 일단과 햅부의 착용부재와 착용부재의 연결부분에는 직물지 등으로 만든 직물마감띠(211)로 감싸 봉재로 마무리하여 개구부(220)를 만드는 것에 의해 착용부재(210)의 단부를 보호하여 직물을 짠 착용부재(210)의 올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오래동안 모자를 사용할 수 있고 또 직물마감띠(211)를 다양한 색상과 형태로 만들어 사용함으로 인해 모자의 미적감각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개구부(220)는 통상적으로 타원형으로 만드는 것이므로 지지부재(240)의 상단을 개구부(220)의 형상에 대응하여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사용한다.
상기 지지부재(240)는 개구부(220)의 중앙부에 부착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개구부(220)를 2개로 분리하여 만들어 개구부(220)로 나오는 머리카락을 두 가닥으로 나누어 노출시켜 멋을 더욱 더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40)를 상부는 넓고 하부를 좁게 만들어 사용하거나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의 상하단에 요홈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지지부재(240)의 양측단부를 곡선으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40)를 상부는 넓고 하부가 좁은 형상이나 상부는 좁고 하부가 넓은 형상으로 만들거나 양측단부를 곡선으로 만드는 것, 상기 상하부를 절개하여 홈(244)를 만들어 부착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지지부재(240)에 의한 장식미를 증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구부를 측면부에 만들어 지지부재(240)를 모자(10)의 측면부에 부착사용 한다.
상기 지지부재(240)를 모자(10)의 측면부에 만드는 것에 의해 모자를 더욱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모자 100 : 모자챙
200 : 햅부 210 : 착용부재
220 : 개구부 230 : 조절부재
240 : 지지부재 241 : 지지부재홀
242 : 스토퍼 250 : 장식물

Claims (5)

  1. 다수개의 착용부재(210)로 이루어지고 후두부에 개구부(220)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220)에 조절부재(230)를 구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햅부(200)(1)와 상기 햅부(200)의 전방에 연결되어 햇볕을 차단하는 모자챙(100)으로 구성되는 모자(10)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재(210)로 만들어진 햅부(200)의 후두부에 만든 개구부(220)에 조절부재(230)이 형성된 지지부재(240)의 상단을 봉재결합하고 상기 조절부재(230)에는 조절부재(230)를 삽입통과시켜 조절부재(23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에 지지부재를 구비한 모자.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재(240)를 상부는 넓고 하부가 좁은 형상 또는 상부는 좁고 하부가 넓은 형상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에 지지부재를 구비한 모자.
  3.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재(240)의 양측을를 곡선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에 지지부재를 구비한 모자.
  4.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재(240)의 상.하부에 절개하여 홈(24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에 지지부재를 구비한 모자.
  5.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재(240)를 모자(10)의 측면부에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에 지지부재를 구비한 모자.
KR2020190004180U 2019-10-16 2019-10-16 개구부에 지지부재를 구비한 모자 KR2021000088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180U KR20210000888U (ko) 2019-10-16 2019-10-16 개구부에 지지부재를 구비한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180U KR20210000888U (ko) 2019-10-16 2019-10-16 개구부에 지지부재를 구비한 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888U true KR20210000888U (ko) 2021-04-26

Family

ID=75733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180U KR20210000888U (ko) 2019-10-16 2019-10-16 개구부에 지지부재를 구비한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0888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907B1 (ko) 2017-07-11 2019-05-31 하민우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907B1 (ko) 2017-07-11 2019-05-31 하민우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2762B1 (en) Chin strap for a cap and combination thereof
US7798155B2 (en) Headwear with interwoven gripping fibers
US6347410B1 (en) Self-sizing baseball cap
US5170509A (en) Cap with decorative hair attachment
US6990692B1 (en) Cap with curved visor
US7676849B2 (en) Free-size headwear
US11219261B1 (en) Cap with aperture
US20160255895A1 (en) Adjustable Hats Including Eyelets
US20090241241A1 (en) Configurable headgear
US20210022428A1 (en) Hooded clothing arrangement and cap
KR100756548B1 (ko) 모자용 햇빛가리개
GB2353204A (en) Free-size cap with size adjusting band
JP3219279U (ja) 日除け帽子
KR20210000888U (ko) 개구부에 지지부재를 구비한 모자
US5704062A (en) Sun visor
US10820647B2 (en) Wearable hairpiece for partial head covering
KR101963301B1 (ko) 차양막이 구비된 차양모자와 이의 제조방법
KR200260781Y1 (ko) 모자
JP3202931U (ja) 日除け帽子
KR20120117142A (ko) 차양으로 된 모자
KR200292741Y1 (ko) 일회용 썬캡
KR200458395Y1 (ko) 장식기능이 강화된 햇빛가리개 모자
KR200234837Y1 (ko) 내풍성 및 크기조절이 용이한 모자
KR20120000506U (ko) 차양막이 형성된 모자
KR200201496Y1 (ko) 사이즈의 조절기능을 구비한 운동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