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647B1 -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안전모 - Google Patents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647B1
KR102159647B1 KR1020200048128A KR20200048128A KR102159647B1 KR 102159647 B1 KR102159647 B1 KR 102159647B1 KR 1020200048128 A KR1020200048128 A KR 1020200048128A KR 20200048128 A KR20200048128 A KR 20200048128A KR 102159647 B1 KR102159647 B1 KR 102159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thelial
wire
band
endothelium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철
이동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부구조안전기술단
박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부구조안전기술단, 박상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부구조안전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048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6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2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 A42B3/145Size adjustmen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 A42B3/324Adjustable helmet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피와 턱끈이 작용자의 머리크기에 맞춰 자동으로 조절되는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안전모는 착용자의 머리를 덮어 보호하는 캡본체, 상기 캡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머리 둘레를 감싸며 양단이 착용자의 후두부에서 겹쳐지고 겹쳐지는 길이에 따라 내경이 조절되는 내피밴드, 상기 내피밴드에 걸쳐져 착용자의 턱에 걸쳐지는 턱끈, 상기 내피밴드의 겹쳐진 양끝단을 서로 겹쳐지는 방향으로 당켜 상기 내피밴드의 내경이 축소되도록 상기 캡본체의 전방에서 상기 내피밴드의 겹쳐진 끝단까지 양단이 연장되어 연결되는 내피조절와이어, 및 상기 내피밴드의 직경이 축소되도록 상기 내피조절와이어를 잡아 당기거나, 당김을 해제하는 와이어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작동부는 상기 캡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내피조절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상기 내피밴드의 내경을 조절하는 와이어롤러, 상기 내피조절와이어를 감는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모터, 상기 롤러모터의 무게에 의한 상기 캡본체의 무게중심을 맞추도록 상기 캡본체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롤러모터에 의해 상기 내피조절와이어가 당겨져 상기 내피밴드의 내경이 축소되도록 상기 롤러모터를 작동시키거나 작동을 정지시키는 작동버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안전모{Safety cap with automatic adjustment of the endothelium for safety inspection and diagnosis}
본 발명은 내피와 턱끈이 작용자의 머리크기에 맞춰 자동으로 조절되는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안전점검 및 진단을 수행할 때에는 낙하물 또는 추락에 대비하여 안전모를 착용한다.
안전모는 충격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충격이 직접적으로 머리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피가 설치된다.
내피는 머리 둘레에 밀착되는 내피밴드부와, 머리의 상부에 안착되는 헤드내피부, 및 턱에 걸 수 있는 턱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착용자마다 머리 둘레가 다르기 때문에 안전모의 착용 시 내피를 조절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50518호(2012.5.31.공고)의 "안전모용 머리받침밴드 조임 조절장치"가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안전모용 머리받침 밴드 조임 조절장치는 머리받침밴드 양단부가 후두부에 접하는 밀착커버에 조절손잡이를 통해 조일 수 있도록 조임 조절장치를 구성하여 착용자의 머리 둘레 맞춰 조절손압이를 통해 머리받침 밴드를 머리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안전모용 머리받침 밴드 조임 조절장치는 착용자가 수동조작에 의해 머리받침 밴드를 조절해야할 뿐만 아니라, 턱끈도 머리에 맞춰 조절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장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배터리를 장비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휴대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롤러모터에 의해 내피밴드를 조절하는 내피조절와이어를 당김으로써, 자동으로 내피밴드를 머리에 밀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피조절와이어의 턱끈경유부에 의해 턱끈도 함께 착용자의 머리크기에 맞춰 조절할 수 있어 수동조작에 의한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안전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롤러모터를 작동하는 배터리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USB단자가 설치되어 USB전원을 사용하는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장비를 캡본체에 설치하여 사용하여 휴대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안전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안전모는 착용자의 머리를 덮어 보호하는 캡본체, 상기 캡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머리 둘레를 감싸며 양단이 착용자의 후두부에서 겹쳐지고 겹쳐지는 길이에 따라 내경이 조절되는 내피밴드, 상기 내피밴드에 걸쳐져 착용자의 턱에 걸쳐지는 턱끈, 상기 내피밴드의 겹쳐진 양끝단을 서로 겹쳐지는 방향으로 당켜 상기 내피밴드의 내경이 축소되도록 상기 캡본체의 전방에서 상기 내피밴드의 겹쳐진 끝단까지 양단이 연장되어 연결되는 내피조절와이어, 및 상기 내피밴드의 직경이 축소되도록 상기 내피조절와이어를 잡아 당기거나, 당김을 해제하는 와이어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작동부는 상기 캡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내피조절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상기 내피밴드의 내경을 조절하는 와이어롤러, 상기 내피조절와이어를 감는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모터, 상기 롤러모터의 무게에 의한 상기 캡본체의 무게중심을 맞추도록 상기 캡본체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롤러모터에 의해 상기 내피조절와이어가 당겨져 상기 내피밴드의 내경이 축소되도록 상기 롤러모터를 작동시키거나 작동을 정지시키는 작동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내피조절와이어는 상기 와이어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피조절와이어를 당길 때, 상기 내피밴드와 함께 상기 턱끈도 함께 당겨지도록 상기 턱끈의 하부로 하향되었다가 다시 상향되는 턱끈경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작동부는 상기 내피조절와이어를 상기 와이어롤러에 감은 상태에서 풀림을 방지하는 래칫고정부, 및 상기 래칫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와이어롤러의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작동부는 상기 내피조절와이어의 작동방향이 전환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내피조절와이어를 상기 턱끈 또는 상기 내피밴드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구는 상기 내피조절와이어를 지지하여 상기 내피조절와이어의 방향을 전환하는 지지롤러, 및 상기 지지롤러가 수용되며 상기 내피조절와이어가 인입되는 인입구와 상기 지지롤러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인출되는 인출구가 형성되는 롤러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피밴드의 양단을 내피조절와이어에 연결하고, 내피조절와이어를 롤러모터에 의해 당겨 착용자의 머리크기에 맞춰 내피밴드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피조절와이어의 턱끈경유부에 의해 턱끈도 함께 조절되어 수동조작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USB전원을 공급하는 USB단자가 설치되어 USB전원을 사용하는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장비를 캡본체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장비를 휴대함에 있어 발생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조절이 가능한 안전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조절이 가능한 안전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조절이 가능한 안전모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조절이 가능한 안전모의 와이어작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조절이 가능한 안전모의 이탈방지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조절이 가능한 안전모의 전기적인 결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안전모(100)는 캡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캡본체(110)는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으며, 캡본체(110)는 착용자가 머리에 쓸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캡본체(110)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머리를 보호할 수 있는 경도를 가질 수 있으며, 캡본체(11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캡본체(110)의 전방에는 눈으로 유입되는 빛을 일부 가릴 수 있도록 챙부(1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캡본체(110)는 외부의 충격에 의한 내구성을 증가시키도록 캡본체(110)의 둘레에는 리브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캡본체(110)의 챙부(111)가 형성된 부분이 전방이라 칭하고, 그 반대방향이 후방이라고 칭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안전모(100)는 내피밴드(130), 및 턱끈(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내피밴드(130)는 캡본체(110)가 머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착용자의 머리 둘레에 캡본체(1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내피밴드(130)는 머리 둘레에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내피밴드(130)는 머리의 후두부와 대응되는 부분의 끝단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일부 겹쳐질 수 있다.
그리고 내피밴드(130)의 겹쳐진 끝단은 밴드클램프(135)에 의해 서로 벌어져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내피밴드(130)의 양끝단은 밴드클램프(135)에서 서로 겹쳐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내피밴드(130)의 내경이 축소될 수 있으며,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내피밴드(130)의 내경이 확장될 수 있다.
내피밴드(130)는 헤드내피(133)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내피(133)는 캡본체(110)를 머리의 상부에 안착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내피밴드(130)의 둘레에서 머리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피밴드(130)와 헤드내피(133)는 서로 분리될 수도 있으며, 헤드내피(133)는 끈의 형태 또는 망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피밴드(130)는 캡본체(110)에 밴드클램프(135)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은 캡본체(1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캡본체(110)에는 내피밴드(130)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립수단(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클립수단은 내피밴드(130)를 캡본체(110)에 끼울 수 있도록 캡본체(110)와 내피밴드(130) 중 어느 하나에는 클립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클립돌출부에 끼워지는 클립부가 형성되어 클립돌출부에 클립부가 끼워지는 형태로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턱끈(131)은 내피밴드(130)의 양측을 연결하는 형태로 내피밴드(130)에 설치되어 착용자에 턱에 걸쳐져 캡본체(110)를 머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턱끈(131)의 양단은 캡본체(110)를 착용한 상태에서 귀가 위치되는 부분의 양단을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턱끈(131)은 둘로 분할되어 서로 체결될 수 있는 체결구에 의해 연결되어 착용 시 체결구를 연결하여 턱에 지지되고, 탈모 시 체결구를 분리하여 턱에서 이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턱끈(131) 또한 내피밴드(130)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턱끈(131)과 내피밴드(130)는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합성수지 또는 가죽 또는 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안전모(100)는 내피조절와이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내피조절와이어(120)는 내피밴드(130)의 양단을 서로 겹쳐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내피밴드(130)의 내경을 축소시켜 내피밴드(130)를 머리 둘레에 밀착 고정시켜 캡본체(110)를 머리에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착용할 수 있다.
내피조절와이어(120)는 유연하게 휘어지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의 와이어일 수 있으며, 내피조절와이어(120)는 내피조절와이어(120)의 중앙 부분이 캡본체(110)의 챙부(111)가 위치하는 전방에 위치되고 양 끝단이 내피밴드(130)의 양측으로 내피밴드(130)를 따라 캡본체(110)의 후방까지 연장되어 각 위치에 대응되는 내피밴드(130)의 끝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내피조절와이어(120)는 양측 턱끈(131)이 위치된 부분에서 각각 턱끈(131)의 하부로 하향되었다가 다시 상향되는 턱끈경유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내피조절와이어(120)은 캡본체(110)의 전방에서 내피조절와이어(120)를 당기면, 내피조절와이어(120)의 끝단에 연결된 내피밴드(130)의 끝단이 서로 겹쳐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피밴드(130)의 내경이 축소되고, 내피밴드(130)가 머리 둘레에 맞아 더 이상 당겨지지 않은 상태에서 내피조절와이어(120)를 더 당기면 내피조절와이어(120)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턱끈경유부(125)의 길이도 짧아져 턱끈(131)을 상부로 당겨 턱에 턱끈(131)을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
물론, 턱끈(131)과 내피밴드(130)의 인장력에 따라 내피조절와이어(120)를 당길 대, 내피밴드(130)보다 턱끈(131)이 먼저 당겨질 수도 있으며, 내피밴드(130)와 턱끈(131)이 동시에 당겨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안전모(100)는 와이어작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작동부(140)는 캡본체(110)의 전방에 위치되어 내피조절와이어(120)를 감아 당기거나, 당김을 해제할 수 있다.
와이어작동부(140)는 와이어롤러(141) 및 롤러모터(143)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롤러(141)는 내피조절와이어(120)를 감아 캡본체(110)의 전방으로 잡아당기거나, 감긴 내피조절와이어(120)를 풀어 잡아 당김을 해제할 수 있다.
롤러모터(143)는 와이어롤러(141)를 전기의 공급으로 인해 회전시킬 수 있으며, 롤러모터(143)는 전기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롤러모터(143)는 내피조절와이어(120)를 감아 캡본체(110)의 전방으로 잡아 당기는 방향으로 와이어롤러(14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와이어작동부(140)는 래칫고정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칫고정부(145)는 내피조절와이어(120)를 감는 방향과의 반대방향인 역방향으로 와이어롤러(141)가 회전하여 내피조절와이어(12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내피조절와이어(120)가 풀릴 수 있도록 와이어롤러(141)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은 가능하지만 타방향으로 회전은 제한할 수 있으며, 타방향의 회전의 제한을 해제할 수도 있다.
래칫고정부(145)는 톱니부(146)와 래칫기어(147)를 포함할 수 있다.
톱니부(146)는 와이어롤러(141)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으며, 톱니부(146)는 복수 개의 톱니가 와이어롤러(141)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톱니는 와이어롤러(141)의 회전을 허용하는 방향에서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진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래칫기어(147)는 톱니부(146)의 톱니에 맞물려 와이어롤러(141)의 타방향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으며, 래칫기어(147)는 톱니부(146)의 근접한 부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와이어롤러(141)가 회전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경사면에 의해 회전하며 톱니의 이동을 허용하지만,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톱니의 경사면의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단부에 걸려 와이어롤러(141)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와이어작동부(140)는 해제버튼(149)을 포함할 수 있다.
해제버튼(149)은 톱니부(146)에 걸려 와이어롤러(141)의 회전을 제한한 상태에서 와이어롤러(141)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래칫기어(147)를 강제적으로 회전시켜 와이어롤러(141)의 타방향으로의 회전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래칫고정부(145)는 내피조절와이어(120)를 캡본체(110)의 전방을 향해 잡아 당기는 방향으로 와이어롤러(141)가 회전은 허용하지만, 내피조절와이어(120)가 풀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제한하기 때문에 내피조절와이어(120)를 당긴 상태에서 캡본체(110)를 벗을 때, 턱끈(131) 및 내피밴드(130)가 조여져 벗기가 힘들다.
이에 따라 해제버튼(149)은 톱니부(146)에 지지되어 회전을 제한한 래칫기어(147)를 톱니에서 이격시키도록 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롤러(141)의 역방향으로의 제한을 해제하여 머리에서 용이하게 탈모할 수 있다.
헤제버튼(149)은 래칫기어(147)의 일단을 가압하여 누르면 회전하여 톱니에서 래칫기어(147)이 이탈되며, 가압을 해제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면서, 래칫기어(147)의 가압을 해제하여 래칫기어(147)이 다시 톱니부(146)에 걸져쳐 와이어롤러(141)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와이어작동부(140)는 배터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배터리(160)는 롤러모터(143)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배터리(160)는 휴대가 가능하며,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60)는 캡본체(110)의 전방에 설치된 롤러모터(143)의 무게에 의해 캡본체(110)가 앞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캡본체(110)의 후방에 설치되어 캡본체(110)의 앞 뒤의 무게균형을 이룰 수 있다.
배터리(160)는 캡본체(110)의 후방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배터리(160)를 캡본체(110)에서 분리한 후 충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배터리(160)와 롤러모터(143)는 전선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배터리(160)의 전원을 롤러모터(143)로 공급할 수 있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작동부(140)는 작동버튼(183)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버튼(183)은 배터리(160)에서 롤러모터(143)로 전달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작동버튼(183)는 푸시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작동버튼(183)을 누르면 배터리(160)의 전원이 롤러모터(143)로 공급되고, 롤러모터(143)가 와이어롤러(141)를 회전시켜 내피조절와이어(120)를 캡본체(110)의 전방으로 당김으로써, 내피가 머리에 밀착되도록 내피의 직경을 축소함과 동시에 턱끈(131)이 턱에 밀착되도록 당길 수 있다.
물론, 작동버튼(183)의 가압을 해제하면, 배터리(160)에서 롤러모터(143)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롤러모터(143)의 작동이 정지될 수 있다.
작동버튼(183)은 착용자가 용이하게 누를 수 있도록 캡본체(110)의 챙부(111)부 또는 캡본체(110)의 일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작동부(140)는 USB단자(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USB단자(150)는 안전점검 및 진단을 수행하기 위해 USB전원을 이용하는 USB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USB장치는 예컨대, USB램프, USB선풍기, USB통신모듈, USB레이져 등일 수 있으며, USB전원을 이용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USB단자(150)는 USB전원만 공급할 뿐, 데이터를 통신하지는 않는다.
USB단자(150)는 배터리(160)의 전원을 USB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할 수 있으며, USB단자(15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USB단자(150)는 USB스위치(181)에 의해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될 수 있다.
이때, USB스위치(181)는 착용자가 작동버튼(183)과 오해하여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캡본체(110)에 서로 대향되는 측면 또는 서로 이격된 방향에 위치되거나,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작동부(140)는 이탈방지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구(170)는 와이어롤러(141)로부터 내피밴드(130)의 끝단가지 연장되는 내피조절와이어(120)의 작동경로상에서 내피조절와이어(1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방지구(170)는 내피조절와이어(120)의 작동경로 상에서 내피조절와이어(120)의 상항 또는 하향되도록 이동방향이 전환되는 부분마다 설치될 수 있으며, 이탈방지구(170)는 지지롤러(171) 및 롤러하우징(173)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롤러(171)는 내피조절와이어(120)가 걸쳐져 내피조절와이어(120)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으며, 롤러하우징(173)의 내부에는 내피조절와이어(1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지지롤러(171)를 감쌀 수 있다.
그리고, 롤러하우징(173)에는 내피조절와이어(120)가 인입되는 인입구와 인입구로 인입된 내피조절와이어(120)가 지지롤러(171)에 의해 방향이 전환된 상태에서 인출되는 인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내피조절와이어(120)의 방향이 전환되지 않은 내피밴드(130) 또는 턱끈(131) 또는 캡본체(110)의 부분 또는 내피조절와이어(120)의 방향 전환이 크지 않은 부분에서 내피조절와이어(120)를 지지하는 와이어지지구(175)가 설치될 수 있으며, 와이어지지구(175)는 내피조절와이어(120)가 관통되어 지나면서 내피조절와이어(12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안전모(100)는 내피밴드(130)에서 착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부분이 절단되고, 절단된 양단은 서로 일부 겹쳐진 상태로 밴드클램프(135)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내피조절와이어(120)는 캡본체(110)의 전방에서 양끝단이 캡본체(110)의 각 측면을 통해 내피밴드(130)의 겹쳐진 끝단까지 연장되어 내피조절와이어(120)의 끝단이 각각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되는 내피밴드(130)의 끝단에 연결된다.
캡본체(110)의 전방에는 와이어작동부(140)가 위치되며, 와이어작동부(140)는 롤러모터(143)에 의해 와이어롤러(141)가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와이어롤러(141)에는 내피조절와이어(120)가 연결되어 와이어롤러(141)의 회전에 의해 내피조절와이어(120)가 감기면서 내피밴드(130)의 양단을 서로 겹쳐지는 방향으로 당겨 내피밴드(130)의 직경을 축소킬 수 있다.
롤러모터(143)는 작동버튼(18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버튼(183)을 작동 시에 롤러모터(143)가 와이어롤러(141)를 회전시켜 내피조절와이어(120)를 감아 당기고, 작동버튼(183)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롤러모터(143)의 작동을 멈춰 내피조절와이어(120)의 당김을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내피조절와이어(120)에서 턱끈(131)이 결합되는 양측 단에는 각각 내피조절와이어(120)가 턱끈(131)의 하부로 하향되었다가 다시 상향되는 턱끈경유부(125)가 형성되어 내피조절와이어(120)가 당겨질 경우, 내피밴드(130)의 내경을 축소시키면서, 턱끈(131)을 상부로 올려 턱끈(131)을 턱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때, 내피조절와이어(120)의 하향되었다가 다시 상향되는 부분과 같이 내피조절와이어(120)의 방향이 전환되는 부분에는 내피조절와이어(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170)가 설치되며, 이탈방지구(170)의 내부에는 지지롤러(171)가 설치되어 내피조절와이어(120)가 지지롤러(171)에 걸쳐짐으로써, 내피조절와이어(120)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내피조절와이어(120)의 이동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물론, 이탈방지구(170)는 내피조절와이어(120)의 이동 방향이 전환되는 내피밴드(130)의 부분 또는 턱끈(131)의 부분 또는 캡본체(110)의 부분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롤러(141)의 둘레에는 톱니부(146)가 형성되고, 래칫기어(147)가 톱니부(146)의 둘레에 걸쳐지도록 설치되며, 래칫기어(147)에 근접한 부분에는 래칫기어(147)를 톱니부(146)에서 이격시키도록 해제버튼(149)이 설치된다.
또한, 캡본체(110)의 전방에는 배터리(160)의 전원을 이용하여 USB전원을 공급하는 USB단자(150)가 설치되며, 캡본체(110)에는 배터리(160)의 전원을 USB단자(150)로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USB스위치(181)가 설치된다.
배터리(160)는 롤러모터(143)의 무게로 인해 캡본체(110)가 전방으로 기울어져 시야를 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캡본체(110)의 후방에 설치되어 캡본체(110)의 전방과 후방의 무게 균형을 맞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안전모(100)는 착용자가 내피밴드(130)의 내주에 머리 둘레가 위치하도록 안전모(100)를 착용하고, 턱끈(131)을 턱에 건 상태에서 작동버튼(183)을 작동시킨다.
작동버튼(183)을 작동하면, 롤러모터(143)가 와이어롤러(141)를 회전시키고, 와이어롤러(141)에는 내피조절와이어(120)가 감기면서, 내피밴드(130)의 양단을 서로 겹쳐지는 방향으로 당긴다.
내피조절와이어(120)에 의해 내피밴드(130)가 당겨지면 내피밴드(130)의 내경이 축소되면서 착용자의 머리 둘레에 내피밴드(130)가 밀착되고, 내피밴드(130)가 더 이상 축소되지 않으면, 턱끈경유부(125)를 경유하는 내피조절와이어(120)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턱끈(131)이 상부로 이동시켜 턱에 턱끈(131)이 밀착된다.
이때, 턱끈(131)이 턱에 먼저 밀착되고, 후에 내피밴드(130)의 내경이 축소되거나, 내피밴드(130)의 내경이 축소됨과 동시에 턱끈(131)이 턱에 밀착될 수도 있다.
이렇게 턱끈(131)이 턱에 밀착되고, 내피밴드(130)가 머리 둘레에 밀착되면, 착용자는 작동버튼(183)의 가압을 해제하여 롤러모터(143)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롤러모터(143)에 의해 와이어롤러(141)가 회전하면, 와이어롤러(141)의 톱니부(146)의 톱니들을 래칫기어(147)가 넘어가며 와이어롤러(141)의 회전을 허용하지만, 반대방향으로는 톱니에 걸쳐져 회전을 제한하기 때문에 롤러모터(143)의 작동이 정지되더라도 와이어롤러(141)에서 내피조절와이어(120)가 풀리지 않기 때문에 견고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착용자는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USB장치 예컨대, USB램프 또는 USB통신모듈을 USB단자(150)에 꽂은 상태에서 USB스위치(181)를 작동시키면, 배터리(160)의 전원이 USB장치로 전달되면서, USB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안전모(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탈모할 경우에는 착용자는 해제버튼(149)을 가압하여 누르면, 래칫기어(147)가 톱니부(146)에서 이탈되면서 와이어롤러(141)가 롤러모터(143)에 의해 회전하던 반대방향으로 회전의 제한이 해제되면서, 턱끈(131)과 내피밴드(130)를 길이가 연장되도록 당기면, 와이어롤러(141)에 감겼던 내피조절와이어(120)가 풀리면서, 캡본체(110)를 용이하게 탈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안전모(100)는 내피조절와이어(120)를 롤러모터(143)에 작동 의해 당겨지면서 내피의 내경이 축소되어 내피밴드(130)를 수동조작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용이하게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내피조절와이어(120)가 롤러모터(143)의 작동에 의해 당겨지면 내피조절와이어(120)의 턱끈경유부(125)가 턱끈(131)을 당겨 턱에 내피밴드(130)와 함께 턱뜬도 밀착되도록 당겨져 안전모(100)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다.
또한, USB전원을 공급하는 USB단자(150)가 설치되어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해 USB전원을 사용하는 별도의 전원공급장치가 없더라도 USB장치를 안전모(100)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구(170)에 의해 내피조절와이어(120)를 지지하여 내피조절와이어(120)가 내피밴드(130) 또는 턱끈(131)에서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안전모
110: 캡본체 111: 챙부
120: 내피조절와이어 125: 턱끈경유부
130: 내피밴드 131: 턱끈
133: 헤드내피 135: 밴드클램프
140: 와이어작동부 141: 와이어롤러
143: 롤러모터 145: 래칫고정부
146: 톱니부 147: 래칫기어
149: 해제버튼 150: USB단자
160: 배터리 170: 이탈방지구
171: 지지롤러 173: 롤러하우징
175: 와이어지지구 181: USB스위치
183: 작동버튼

Claims (4)

  1. 착용자의 머리를 덮어 보호하는 캡본체,
    상기 캡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머리 둘레를 감싸며 양단이 착용자의 후두부에서 겹쳐지고 겹쳐지는 길이에 따라 내경이 조절되는 내피밴드,
    상기 내피밴드에 걸쳐져 착용자의 턱에 걸쳐지는 턱끈,
    상기 내피밴드의 겹쳐진 양끝단을 서로 겹쳐지는 방향으로 당켜 상기 내피밴드의 내경이 축소되도록 상기 캡본체의 전방에서 상기 내피밴드의 겹쳐진 끝단까지 양단이 연장되어 연결되는 내피조절와이어, 및
    상기 내피밴드의 직경이 축소되도록 상기 내피조절와이어를 잡아 당기거나, 당김을 해제하는 와이어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작동부는
    상기 캡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내피조절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상기 내피밴드의 내경을 조절하는 와이어롤러,
    상기 내피조절와이어를 감는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모터,
    상기 롤러모터의 무게에 의한 상기 캡본체의 무게중심을 맞추도록 상기 캡본체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롤러모터에 의해 상기 내피조절와이어가 당겨져 상기 내피밴드의 내경이 축소되도록 상기 롤러모터를 작동시키거나 작동을 정지시키는 작동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안전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조절와이어는
    상기 와이어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피조절와이어를 당길 때, 상기 내피밴드와 함께 상기 턱끈도 함께 당겨지도록 상기 턱끈의 하부로 하향되었다가 다시 상향되는 턱끈경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안전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작동부는
    상기 내피조절와이어를 상기 와이어롤러에 감은 상태에서 풀림을 방지하는 래칫고정부, 및
    상기 래칫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와이어롤러의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안전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작동부는
    상기 내피조절와이어의 작동방향이 전환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내피조절와이어를 상기 턱끈 또는 상기 내피밴드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구는 상기 내피조절와이어를 지지하여 상기 내피조절와이어의 방향을 전환하는 지지롤러, 및 상기 지지롤러가 수용되며 상기 내피조절와이어가 인입되는 인입구와 상기 지지롤러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인출되는 인출구가 형성되는 롤러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안전모.
KR1020200048128A 2020-04-21 2020-04-21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안전모 KR102159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128A KR102159647B1 (ko) 2020-04-21 2020-04-21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128A KR102159647B1 (ko) 2020-04-21 2020-04-21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안전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647B1 true KR102159647B1 (ko) 2020-09-24

Family

ID=72706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128A KR102159647B1 (ko) 2020-04-21 2020-04-21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6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342B1 (ko) * 2021-11-25 2023-03-30 (주)에이치제이씨 헬멧용 가이드수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526B1 (ko) * 2010-03-19 2010-10-25 주식회사 산청 헬멧
KR100998030B1 (ko) * 2008-12-26 2010-12-03 한국중부발전(주) 안전모의 내부 장치
KR101150518B1 (ko) * 2010-08-13 2012-05-31 주식회사 에스탑 안전모용 머리받침밴드 조임 조절장치
KR20160028277A (ko) * 2014-09-03 2016-03-11 한국전력공사 안전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030B1 (ko) * 2008-12-26 2010-12-03 한국중부발전(주) 안전모의 내부 장치
KR100989526B1 (ko) * 2010-03-19 2010-10-25 주식회사 산청 헬멧
KR101150518B1 (ko) * 2010-08-13 2012-05-31 주식회사 에스탑 안전모용 머리받침밴드 조임 조절장치
KR20160028277A (ko) * 2014-09-03 2016-03-11 한국전력공사 안전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342B1 (ko) * 2021-11-25 2023-03-30 (주)에이치제이씨 헬멧용 가이드수단
WO2023096117A1 (ko) * 2021-11-25 2023-06-01 (주) 에이치제이씨 헬멧용 가이드수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3523B2 (en) Portable electric lighting lamp with improved fixing
US11357279B2 (en) Closure components for a helmet layer and methods for installing same
US5845341A (en) Combination head and eye-protective apparatus and goggles
JP6422444B2 (ja) 呼吸保護装置ハーネス組立体
KR102159647B1 (ko)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안전모
US5079780A (en) Chinstrap activated head adjustment assembly for a protective helmet assembly
JP2013529727A (ja) ヘルメット用自動調整式保持システム
KR101385672B1 (ko) 턱끈 가이드장치
KR20120065632A (ko) 헤드 밴드
CN115444658A (zh) 自动伸缩式头带结构
JP4542425B2 (ja) ヘルメット
ES2967473T3 (es) Casco protector
KR101984907B1 (ko)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
KR102075106B1 (ko) 하이브리드 버클이 포함된 안전모
KR20120074871A (ko) 걸이를 갖는 안전모
KR102265720B1 (ko) 얼굴 햇빛 차단용 후드
US20220401265A1 (en) Welding Hood
KR20160028277A (ko) 안전모
JP3159855U (ja) 身体装着具
CN210301403U (zh) 一种焊接面罩
KR102303465B1 (ko) 안전 헬멧
KR20090036492A (ko) 햇빛차단용 얼굴가리개
EP0369187A1 (en) Chinstrap activated head adjustment assembly for a protective helmet assembly
KR102263909B1 (ko) 헤드램프 일체형 안전모
KR20200145706A (ko) 사이즈 조정 가능한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