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342B1 - 헬멧용 가이드수단 - Google Patents

헬멧용 가이드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342B1
KR102515342B1 KR1020210164548A KR20210164548A KR102515342B1 KR 102515342 B1 KR102515342 B1 KR 102515342B1 KR 1020210164548 A KR1020210164548 A KR 1020210164548A KR 20210164548 A KR20210164548 A KR 20210164548A KR 102515342 B1 KR102515342 B1 KR 102515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elmet
shell
guide means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환
남기영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제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제이씨 filed Critical (주)에이치제이씨
Priority to KR1020210164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342B1/ko
Priority to PCT/KR2022/013954 priority patent/WO202309611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42B3/222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42B3/125Cushioning devices with a padded structure, e.g. foam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멧용 가이드수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헬멧용 가이드수단은 헬멧의 이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재(50)에 연결된 와이어(40)와 쉘(10) 사이의 공간으로 소정부재(60)의 삽입을 유도하도록, 와이어(40)와 쉘(10) 사이 공간을 확보시켜주는 가이드부재(1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헬멧용 가이드수단{Guide means for helmet}
본 발명은 헬멧용 가이드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빠른 속도가 동반되는 이륜차 탑승시 사용자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해 헬멧 착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헬멧은 사용자의 전방시계를 확보하기 위해서 전방에 개방부가 형성된다. 이때, 개방부에는 운행 중 유입되는 바람, 먼지의 차단을 위해서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실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개방부에는 주간에 태양광 등이 직접 사용자의 눈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는 바이저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바이저는 헬멧 일측에 구비된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하로 회동되는데, 바이저와 조작부는 바이저 조작용 와이어를 통해서 연결된다. 하지만, 하기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유닛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헤드셋을 헬멧에 고정할 경우, 클램프 유닛이 바이저 조작용 와이어를 가압하거나 밀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램프 유닛이 바이저 조작용 와이어를 가압하거나 밀어내면, 바이저 조작용 와이어가 쉽게 작동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바이저 조작용 와이어가 꺽기면서 영구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클램프 유닛에 의해서 바이저 조작용 와이어가 가압되거나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1076050 B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이동부재(바이저)를 제어하는 제어부재에 연결된 와이어와 쉘 사이의 공간으로 소정부재(무선 통신 장비를 고정하는 클램프)를 유도하는 가이드부재를 채용하여, 소정부재에 의해서 와이어가 가압되거나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헬멧용 가이드수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가이드수단은 헬멧의 이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재에 연결된 와이어와 쉘 사이의 공간으로 소정부재의 삽입을 유도하도록, 상기 와이어와 상기 쉘 사이 공간을 확보시켜주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가이드수단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로부터 연장되거나, 또는 상기 쉘에 결합되어 상기 쉘로부터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가이드수단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와이어를 둘러싸도록 상기 와이어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가이드수단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시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와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가이드수단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면에는 접착성분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가이드수단에 있어서, 소정 라인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가 접혀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면이 상기 소정 라인을 기준으로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접착성분에 의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접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가이드수단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말단에는 상기 소정부재의 삽입을 유도하는 표시부가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가이드수단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바이저이고,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바이저의 회동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가이드수단에 있어서, 상기 쉘의 내부에는 패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패드부와 상기 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가이드수단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쉘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패드부, 및 상기 제1 패드부의 내부에 배치되되, 일측에 상기 쉘과 상기 제1 패드부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제2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재와 결합된 와이어의 말단이 상기 쉘과 상기 삽입부 사이에 배치될 때,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슬릿부 또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슬릿부 또는 상기 관통부를 통과한 후, 상기 삽입부와 상기 제1 패드부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가이드수단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슬릿부 또는 상기 관통부를 통과한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부에 의해서 커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가이드수단에 있어서, 상기 소정부재는 상기 헬멧에 무선 통신 장비를 고정하는 클램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부재(바이저)를 제어하는 제어부재에 연결된 와이어와 쉘 사이의 공간으로 소정부재(무선 통신 장비를 고정하는 클램프)를 유도하는 가이드부재를 채용함으로써, 소정부재에 의해서 와이어가 가압되거나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가이드수단이 구비된 헬멧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가이드수단이 구비된 헬멧의 일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가이드수단이 구비된 헬멧의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가이드수단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가이드수단의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가이드수단이 구비된 헬멧의 상세 사시도,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가이드수단이 구비된 헬멧의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가이드수단이 구비된 헬멧의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가이드수단이 구비된 헬멧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가이드수단은 헬멧의 이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재(50)에 연결된 와이어(40)와 쉘(10) 사이의 공간으로 소정부재(60)의 삽입을 유도하도록, 와이어(40)와 쉘(10) 사이 공간을 확보시켜주는 가이드부재(1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가이드수단은 헬멧에 적용될 수 있다. 헬멧은 쉘(10), 바이저(30), 와이어(40), 조작부재(5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쉘(10)은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쉘(10)은 강도가 높은 경질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이저(30)는 태양광 등이 사용자의 눈에 직접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사용자의 눈 전방에 배치될 수 있도록 호형(弧形)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바이저(30)는 바이저 제어부(35)를 통해서 쉘(10)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쉘(10)에 대해서 회전하며 제1 위치(도 1 참조)와 제2 위치(도 2 참조)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예들 들어, 제1 위치는 바이저(30)가 사용자의 눈 전방에 배치된 위치를 의미하고(도 1 참조), 제2 위치는 바이저(30)가 쉘(10)의 상측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위치를 의미한다(도 2 참조). 이때, 바이저(30)는 제어부재(50)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재(50)에는 와이어(40)의 일단이 결합되고, 쉘(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바이저 제어부(35)에는 와이어(40)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재(50)를 조작하면 와이어(40)가 이동됨으로써(와이어(40)가 당겨지거나 밀어짐), 바이저 제어부(35)가 회동되고, 그에 따라 바이저(30)는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부재(50)는 쉘(10)의 측면 하단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재(50)는 쉘(10)에 고정된 베이스부재(53), 및 베이스부재(53)에 슬라이딩하도록 결합된 조작부재(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어(40)의 일단이 조작부재(55)에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부재(55)를 조작하여 슬라이딩시키면, 와이어(40)가 당겨지겨나 밀어짐으로써 바이저(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40)는 쉘(10)의 측면 하단 내측를 따라 연장되는데, 쉘(10)에 무선 통신 장비(예를 들어, 블루투스 헤드셋 등)를 고정하는 클램프(60)가 결합될 때, 클램프(60)가 와이어(40)를 가압하거나 밀어낼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와이어(40)가 쉽게 작동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40)가 꺽기면서 영구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가이드수단은 가이드부재(100)를 채용하여 클램프(60)가 와어어를 가압하거나 밀어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00)는 와이어(40)와 쉘(10) 사이의 공간으로 클램프(60)의 삽입을 유도하도록, 와이어(40)와 쉘(10)의 공간을 확보시켜준다. 여기서, 가이드부재(100)는 와이어(40)에 결합되어 와이어(4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재(100)는 쉘(10)과 패드부(20, 제1 패드부(23)) 사이에 배치되고, 와이어(40)로부터 연장되어 패드부(20, 제1 패드부(23))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는 노출된 가이드부재(100)를 이용하여 와이어(40)와 쉘(10) 사이의 공간으로 클램프(60)를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재(100)에 의해서 와이어(40)와 쉘(10) 사이의 공간으로 클램프(60)의 삽입이 유도되면, 클램프(60)가 와이어(40)를 가압하거나 밀어내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부(20, 제1 패드부(23)) 외부로 노출된 가이드부재(100)를 손가락으로 당긴 후, 클램프(60)를 와이어(40)와 쉘(10)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00)는 시트형으로 형성되어 와이어(40)를 둘러싸도록 와이어(40)와 결합될 수 있다. 시트형으로 형성된 가이드부재(100)의 일면에는 접착성분이 형성되어, 접착성분에 의해서 와이어(40)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상의 소정 라인(110)을 따라 가이드부재(100)가 접혀서, 가이드부재(100)의 일면이 소정 라인(110)을 기준으로 제1 영역(113)과 제2 영역(115)을 구획될 수 있다. 이때, 접착성분에 의해서 제1 영역(113)과 제2 영역(115)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이드부재(100)를 접어서 접착성분으로 제1,2 영역(113, 115)을 접착시킴으로써, 가이드부재(100)를 와이어(4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가이드부재(100)가 시트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이드부재(100)는 케이블 타이 등 와이어(40)를 둘러싸도록 와이어에 결합되는 공지된 모든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재(100)의 말단에는 클램프(60)의 삽입을 유도하는 표시부(120)가 표시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00)의 말단은 패드부(20, 제1 패드부(23))의 외부로 노출되므로(도 5 참조), 가이드부재(100)의 말단에 표시된 표시부(120) 역시 패드부(20, 제1 패드부(23))의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는 표시부(120)의 안내에 따라 클램프(60)를 삽입할 수 있다. 표시부(120)의 내용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INSERT CLAMP HERE"라는 문구와 클램프(60)의 삽입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가 표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가이드부재(100)에는 1개 이상의 절취선(130)이 표시될 수 있다(도 6 참조). 모델에 따라 와이어(40)의 상대적인 위치가 상이할 수 있는데, 모델에 따라 가이드부재(100)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절취선(130)을 따라 절취하여, 가이드부재(100)의 전체적인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긴 가이드부재(100)가 필요할 경우 그대로 사용하고, 상대적으로 짧은 가이드부재(100)가 필요할 경우 절취선(130)을 따라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일정한 길이의 가이드부재(100)를 제작하여 다양한 모델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쉘(10)의 내부에는 패드부(2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패드부(20)는 제1 패드부(23)와 제2 패드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패드부(23)는 쉘(10)의 내부에 배치되고, 발포폴리스타이렌(Expanded Polystyren, EPS) 등으로 형성되어 적절한 강도와 탄성을 갖는다. 또한, 제2 패드부(25)는 제1 패드부(23)의 내부에 배치되고, 사용자와 직접 접촉되어 착용 안정감을 향상시킨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패드부(25)의 일측에는 쉘(10)과 제1 패드부(23)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27)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쉘(10), 제1 패드부(23), 및 제2 패드부(25) 순으로 배치되되, 제2 패드부(25)의 삽입부(27)는 쉘(10)과 제1 패드부(23)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재(50)의 조작부재(55)와 결합된 와이어(40)는 쉘(10)과 삽입부(2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40)에 결합된 가이드부재(100)는 클램프(60)를 삽입할 때 뿐만 아니라 평소에도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패드부(25)의 삽입부(27)에는 와이어(40)가 통과하는 슬릿부(27a)가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40)는 슬릿부(27a)를 통과한 후, 제2 패드부(25)의 삽입부(27)와 제1 패드부(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재(100)는 슬릿부(27a)를 통과한 후 삽입부(27)와 제1 패드부(23) 사이에 배치된 와이어(40)에 결합된다(도 10 참조). 따라서, 가이드부재(100)는 평소에 제2 패드부(25)의 삽입부(27)에 의해서 커버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클램프(60)를 삽입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2 패드부(25)를 제거한 후, 와이어(40)로부터 연장된 가이드부재(100)를 제1 패드부(23)의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도 5 참조), 사용자는 노출된 가이드부재(100)를 이용하여 와이어(40)와 쉘(10) 사이의 공간으로 클램프(60)를 삽입할 수 있다.
한편, 제2 패드부(25)의 삽입부(27)에는 반드시 슬릿부(27a)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관통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어부재(50)와 와이어(40)가 바이저(30)의 회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재(50)와 와이어(40)는 헬멧에 적용되는 모든 종류의 이동부재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100)가 클램프(60)의 삽입을 유도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이드부재(100)는 헬멧에 결합되는 모든 종류의 소정부재의 삽입을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재(100)는 와이어(40)에 결합되어 와이어(40)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가이드부재(100)는 반드시 와이어(40)에 결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00)는 쉘(10)의 내부에 결합되어 연장됨으로써, 와이어(40)를 쉘(10)의 내벽으로부터 이격시켜 와이어(40)와 쉘(10) 사이의 공간을 확보시켜줄 수 있고, 그 공간으로 클램프(60)를 삽입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쉘 20: 패드부
23: 제1 패드부 25: 제2 패드부
27: 삽입부 27a: 슬릿부
30: 바이저 35: 바이저 제어부
40: 와이어 50: 제어부재
53: 베이스부재 55: 조작부재
60: 클램프 100: 가이드부재
110: 소정 라인 113: 제1 영역
115: 제2 영역 120: 표시부
130: 절취선

Claims (12)

  1. 헬멧의 이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재에 연결된 와이어와 쉘 사이의 공간으로 소정부재의 삽입을 유도하도록, 상기 와이어와 상기 쉘 사이 공간을 확보시켜주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헬멧용 가이드수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로부터 연장되거나, 또는 상기 쉘에 결합되어 상기 쉘로부터 연장되는 헬멧용 가이드수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와이어를 둘러싸도록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는 헬멧용 가이드수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시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와 결합되는 헬멧용 가이드수단.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면에는 접착성분이 형성되는 헬멧용 가이드수단.
  6. 청구항 5에 있어서,
    소정 라인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가 접혀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면이 상기 소정 라인을 기준으로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접착성분에 의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접착되는 헬멧용 가이드수단.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말단에는 상기 소정부재의 삽입을 유도하는 표시부가 표시되는 헬멧용 가이드수단.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바이저이고,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바이저의 회동을 제어하는 헬멧용 가이드수단.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쉘의 내부에는 패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패드부와 상기 쉘 사이에 배치되는 헬멧용 가이드수단.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쉘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패드부; 및
    상기 제1 패드부의 내부에 배치되되, 일측에 상기 쉘과 상기 제1 패드부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제2 패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재와 결합된 와이어의 말단이 상기 쉘과 상기 삽입부 사이에 배치될 때,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슬릿부 또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슬릿부 또는 상기 관통부를 통과한 후, 상기 삽입부와 상기 제1 패드부 사이에 배치되는 헬멧용 가이드수단.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슬릿부 또는 상기 관통부를 통과한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부에 의해서 커버되는 헬멧용 가이드수단.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정부재는 상기 헬멧에 무선 통신 장비를 고정하는 클램프인 헬멧용 가이드수단.
KR1020210164548A 2021-11-25 2021-11-25 헬멧용 가이드수단 KR102515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548A KR102515342B1 (ko) 2021-11-25 2021-11-25 헬멧용 가이드수단
PCT/KR2022/013954 WO2023096117A1 (ko) 2021-11-25 2022-09-19 헬멧용 가이드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548A KR102515342B1 (ko) 2021-11-25 2021-11-25 헬멧용 가이드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342B1 true KR102515342B1 (ko) 2023-03-30

Family

ID=85985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548A KR102515342B1 (ko) 2021-11-25 2021-11-25 헬멧용 가이드수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15342B1 (ko)
WO (1) WO2023096117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325U (ko) * 1996-10-11 1998-07-15 김동수 그늘안경이 구비된 모자
KR101076050B1 (ko) 2010-09-29 2011-10-26 주식회사 세나테크놀로지 인터컴 기능을 갖는 헬멧용 블루투스 헤드셋
KR200461561Y1 (ko) * 2010-05-13 2012-07-23 이성석 시선집중 기능챙
JP2015092039A (ja) * 2011-01-20 2015-05-14 カード・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細長舌部を有する取付パネル
CN210329496U (zh) * 2019-08-20 2020-04-17 泉州市旗航数字通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多功能安全帽
KR102159647B1 (ko) * 2020-04-21 2020-09-24 주식회사 중부구조안전기술단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안전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325U (ko) * 1996-10-11 1998-07-15 김동수 그늘안경이 구비된 모자
KR200461561Y1 (ko) * 2010-05-13 2012-07-23 이성석 시선집중 기능챙
KR101076050B1 (ko) 2010-09-29 2011-10-26 주식회사 세나테크놀로지 인터컴 기능을 갖는 헬멧용 블루투스 헤드셋
JP2015092039A (ja) * 2011-01-20 2015-05-14 カード・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細長舌部を有する取付パネル
CN210329496U (zh) * 2019-08-20 2020-04-17 泉州市旗航数字通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多功能安全帽
KR102159647B1 (ko) * 2020-04-21 2020-09-24 주식회사 중부구조안전기술단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내피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안전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96117A1 (ko)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3390B1 (ko) 헤드밴드 구성체 및 이 헤드밴드 구성체가 장착된 용접 헬멧
EP2301369B1 (en) Opening/closing apparatus and helmet including the same
CN100548592C (zh) 具有伸缩刀片的、特别是可在恶劣环境中使用的刀
CN106662744B (zh) 用于头部安装设备的紧凑折叠结构
AU3192701A (en) Device for adjusting head band for protective helmet
EP0474939A1 (en) Helmet
US20210267804A1 (en) Protector for welding
EP2229829A3 (en) Helmet having a guiding mechanism for a compatible visor
KR102515342B1 (ko) 헬멧용 가이드수단
EP2044854B1 (en) Helmet
KR101795452B1 (ko) 타입 가변형 헬멧
KR101995947B1 (ko)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CN107005667B (zh) 可佩戴设备用支承部件
CN101959459B (zh) 穿刺装置
CN118302076A (en) Guiding device for helmet
EP2254347A2 (en) Speaker apparatus
CN203368977U (zh) 电子装置的保护壳
EP2532264A2 (e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230126813A (ko) 친가드 고정수단
JP2007055323A (ja) 車両用シフトレバー装置
CN108944774A (zh) 用于车辆的安全气囊装置
JP3099643U (ja) プロジェクタ
KR102582371B1 (ko) 친가드 회동메커니즘
KR102461899B1 (ko)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JP3045718B1 (ja)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ルド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