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365A -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어 전기발생과 직사광 실내유입을 차단하는 다층 슬라이딩 태양전지판 - Google Patents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어 전기발생과 직사광 실내유입을 차단하는 다층 슬라이딩 태양전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365A
KR20190005365A KR1020170085898A KR20170085898A KR20190005365A KR 20190005365 A KR20190005365 A KR 20190005365A KR 1020170085898 A KR1020170085898 A KR 1020170085898A KR 20170085898 A KR20170085898 A KR 20170085898A KR 20190005365 A KR20190005365 A KR 20190005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olar panel
roof
rails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순열
Original Assignee
정순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순열 filed Critical 정순열
Priority to KR1020170085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5365A/ko
Publication of KR20190005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3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K2016/003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solar power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0Energy harvesting concepts as power supply for auxiliaries' energy consumption, e.g. photovoltaic sun-roof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자의 전후로 움직이거나 전후좌우로 슬라이딩하여 움직이는 3개 또는 5개의 태양전지판으로 이루어진 다층 슬라이딘 태양전지판에 관한 것으로, 3개의 전지판으로 이루어질 경우 1개는 자동차 지붕 위에 고정(제1판)되고 2개는 전후로 슬라이딩(제2판, 제3판) 하면서 제2판과 제2판은 제1판의 하부로 완전히 들어가 접히고 나올 때는 전후로 슬라이딩하여 나오면서 자동차의 전후 유리창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며, 5개의 전지판으로 이루어질 경우 제1판, 제2판 및 제3판은 위와 같고, 제2판 및 제3판의 구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제4판 및 제5판이 자동차의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제1판의 하부로 완전히 들어가 접히고 나올 때는 전후로 슬라이딩하여 나오면서 자동차의 좌우 유리창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태양광을 보다 많이 받을 수 있도록 다층 슬라이딩 구조로 형성하여 태양광 전기를 많이 얻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며, 자동차의 지붕과 유리창 위에서 태양빛을 차단 및 단열작용을 함으로써 자동차의 실내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어 전기발생과 직사광 실내유입을 차단하는 다층 슬라이딩 태양전지판{Multi-layer sliding solar panel installed on the roof of the car for direct sunlight block and electricity generation}
본 발명은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어 태양광 전기를 얻어 사용할 수 있고, 유리창이과 지붕에 비치는 직사광을 차단하여 차량의 실내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형성된 다층 슬라이딩 태양전지판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지붕에 결합 고정되는 하부(114)와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측부(115,116)와, 측부 상단 사이에 형성된 상부(117)와, 측부(115,116) 내벽에 형성되는 중간받침대(118,119)를 포함하여 형성된 프레임(110)과;
하부(114)의 내면 양쪽 가장자리와 중간받침대(118,119) 상부에 각각 설치되고 양 측부(115,116)와 인접하여 형성된 4개의 레일(121,122,123,124)과;
레일(121,122,123,124)을 따라 전후로 움직이는 모터(131,132,133,134)와;
상부(117)에 고정 설치된 태양전지 제1판(151)과;
중간받침대(118,119)에 설치된 레일(121,122)을 따라 움직이는 모터(131,132) 위에 올려져 결합되어 모터(131,132)의 작동에 따라 레일(121,122)를 따라 움직이면서 프레임(110) 내부에 들어가고 나가도록 형성된 태양전지 제2판(152)와;
하부(114)에 설치된 레일(123,124)를 따라 움직이는 모터(133,134) 위에 올려져 결합되어 모터(133,134)의 작동에 따라 레일(123,124)를 따라 움직이면서 프레임(110) 내부에 들어가고 나가도록 형성된 태양전지 제3판(1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어 전기발생과 직사광 실내유입을 차단하는 다층 슬라이딩 태양전지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자의 전후로 움직이거나 전후좌우로 슬라이딩하여 움직이는 3개 또는 5개의 태양전지판으로 이루어진 다층 슬라이딘 태양전지판에 관한 것으로, 3개의 전지판으로 이루어질 경우 1개는 자동차 지붕 위에 고정(제1판)되고 2개는 전후로 슬라이딩(제2판, 제3판) 하면서 제2판과 제2판은 제1판의 하부로 완전히 들어가 접히고 나올 때는 전후로 슬라이딩하여 나오면서 자동차의 전후 유리창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며, 5개의 전지판으로 이루어질 경우 제1판, 제2판 및 제3판은 위와 같고, 제2판 및 제3판의 구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제4판 및 제5판이 자동차의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제1판의 하부로 완전히 들어가 접히고 나올 때는 전후로 슬라이딩하여 나오면서 자동차의 좌우 유리창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태양광을 보다 많이 받을 수 있도록 다층 슬라이딩 구조로 형성하여 태양광 전기를 많이 얻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며, 자동차의 지붕과 유리창 위에서 태양빛을 차단 및 단열작용을 함으로써 자동차의 실내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특히 여름날 자외선이 강한 햇빛에 자량이 노출되면 실내온도가 급격히 올라가게 되며 내부에 있는 어린이, 노약자는 쉽게 건강을 해치거나 자칫 사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책으로 본 발명은 태양전지판을 3개 이상 다층의 전지판을 형성함으로써 접으면 3개 이상이 겹치면 큰 단열기능을 하게 되어 지붕이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하며 펼치게 되면 지붕과 전후 또는 전후좌우 유리창으로 들어오는 햇빛을 단열 및 차단함으로써 실내온도 상승을 막아주도록 개발한 것이다.
또한 종래 자동차의 지붕 위 태양전지판은 지붕정도의 크기이거나 고정식의 것이었으며, 태양전지판 크기가 작아서 야외에서 전기밥솥 등의 전기기구를 사용하기에는 전력이 부족하였으며, 지붕보다 큰 구조로 형성하더라도 고정식으로 유리창을 덮은 경우가 있으나 운전시야에 방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지붕크기 정도의 프레임에 3-5개의 전지판을 슬라이딩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종래기술을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야외에서 생활하더라도 지장이 없을 정도의 전기 생산이 가능할 뿐 아니라 충전량이 많아져 전기자동차일 경우 전기공급량이 많아져 충전기간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 실내온도 상승을 저지시켜 실내온도 상승으로 인한 에어컨 사용을 저감시켜주고 고온의 실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종래 선행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47703호에 자동차 지붕에 설치된 조망창에 태양광 전지를 설치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13130호에 자동차 바퀴와 연동하여 공기저항을 최소화하는 태양전지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며, 공개특허공보 제10-1995-0011427호에 고정식 태양전지판이 공지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층 슬라이딩 태양전지판과는 목적, 구성 및 효과가 상이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붕크기 정도의 프레임에 3-5개의 전지판을 슬라이딩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종래기술을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야외에서 생활하더라도 지장이 없을 정도의 전기 생산이 가능할 뿐 아니라 충전량이 많아져 전기자동차일 경우 전기공급량이 많아져 충전기간이 늘어나게 해 주며, 또한 자동차 실내온도 상승을 저지시켜 실내온도 상승으로 인한 에어컨 사용을 저감시켜주고 고온의 실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를 예방토록 해 주는 전후 또는 전후좌우로 슬라이딩하면서 접히고 펼쳐지는 다층 슬라이딩 태양전지판을 제공함으로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 지붕에 결합 고정되는 하부(114)와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측부(115,116)와, 측부 상단 사이에 형성된 상부(117)와, 측부(115,116) 내벽에 형성되는 중간받침대(118,119)를 포함하여 형성된 프레임(110)과;
하부(114)의 내면 양쪽 가장자리와 중간받침대(118,119) 상부에 각각 설치되고 양 측부(115,116)와 인접하여 형성된 4개의 레일(121,122,123,124)과;
레일(121,122,123,124)을 따라 전후로 움직이는 모터(131,132,133,134)와;
상부(117)에 고정 설치된 태양전지 제1판(151)과;
중간받침대(118,119)에 설치된 레일(121,122)을 따라 움직이는 모터(131,132) 위에 올려져 결합되어 모터(131,132)의 작동에 따라 레일(121,122)를 따라 움직이면서 프레임(110) 내부에 들어가고 나가도록 형성된 태양전지 제2판(152)와;
하부(114)에 설치된 레일(123,124)를 따라 움직이는 모터(133,134) 위에 올려져 결합되어 모터(133,134)의 작동에 따라 레일(123,124)를 따라 움직이면서 프레임(110) 내부에 들어가고 나가도록 형성된 태양전지 제3판(1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어 전기발생과 직사광 실내유입을 차단하는 다층 슬라이딩 태양전지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2판(152) 및 제3판(153)과 같은 구조의 제4판(154) 및 제5판(155)가 그 하부에 연결 형성되되, 제2판(152) 및 제3판(153)이 전후로 슬라이딩하면서 들어가고 나가도록 형성된 것에 대해 직각인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들어가고 나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어 전기발생과 직사광 실내유입을 차단하는 다층 슬라이딩 태양전지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프레임은 자동차의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하부(114), 측부(115,116), 상부(117) 및 양 측부(115,116) 내의 중간 정도 높이에 형성된 중간받침대(118,119)로 형성된 것이다.
하부(114) 내면 양쪽으로 레일(123,124)가 형성되고 중간받침대(118,119)에 각각 레일(121,122)가 전후 방향(자동차 기준)으로 형성된 것이다.
프레임(110)의 상부(114)에는 태양전지 제1판(151)이 결합 설치되고, 중간받침대와 상부(114) 사이에 제2판이, 그리고 하부(114)와 중간받침대(118,119) 사이에 제3판이 설치되며, 제2판 및 제3판에는 레일 위로 유동하면서 전지판을 이동시키는 감속 모터가 형성된 것이다.
감속 모터의 바퀴와 레일의 결합은 진동이나 충격에 분리되지 않는 구조가 되어야 하며, 전후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바퀴와 레일이 서로 기어로 맞물려서 결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모터 구동에 의한 슬라이딩은 그 밖에 여러 가지 공지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태양전지 제2판과 제3판 하부에 연결하여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제4판 및 제5판을 형성하여 전후좌우로 4개의 태양전지판이 슬라이딩되면서 접히고 펼쳐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모터의 작동제어는 차량 실내에 스위치를 설치하여 제어할 수 있고, 별도의 무선리모컨을 만들어 무선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승용차뿐 아니라 건설용 차량, 기차, 배 등 다양한 운송기구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지붕크기 정도의 프레임에 3-5개의 전지판을 슬라이딩 구조로 형성하여 자동차 지붕과 전후, 전후좌우 유동하도록 형성, 야외에서 생활하더라도 전기밥솥 등 전기기구를 사용하면서 생활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전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전기자동차일 경우 전기공급량이 많아져 충전 간 기간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 실내온도 상승을 저지시켜 실내온도 상승으로 인한 에어컨 사용을 저감시켜줄 뿐 아니라 자동차 실내 고온 발생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어린이, 노약자 등에 발생하는 건강 상 문제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쟁이나 천재지변 등으로 원자력 발전소 등의 발전시설 가동중단으로 인하여 전기 공급이 중단되어 전기로 생활이 이루어지고 있는 아파트 등 현대식 주거지를 뜨나 야외에서 차량에 거주하면서 전기밥솥 등을 사용하며 생활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전후 슬라이딩 방식의 태양전지판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도 1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 전후좌우 슬라이딩 방식의 태양전지판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전후 슬라이딩 방식의 태양전지판을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도 1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차량의 지붕에 결합 고정되는 프레임(110)의 상부(117)에 태양전지 제1판(151)이 형성되며, 제2판(152)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것이며 제3판(153)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접힌 상태에서는 제2판과 제3판은 제1판 하부 프레임 속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며, 펼친 상태에서는 제2판과 제3판이 슬라이딩 배출되어 제2판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앞유리를 덮게 되고 제3판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뒷유리를 덮게 된다. 물론 차량의 종류에 따라 유리창 크기와 유무가 있으므로 그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110)은 하부(114), 측부(115,116), 상부(117) 및 측부 내면에 형성된 중간받침대(118,119)로 형성된다.
프레임은 전후로 제2판과 제3판이 들어가고 나오고 하기 때문에 전후방향은 개방된 구조가 된다.
프레임(110)은 하부(114)가 자동차(100) 지붕 위에 볼트 등에 의해 4군데 이상 견고하게 결합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114)의 양쪽에는 전후방향으로 레일(123,124)가 형성되고, 중간받침대(118,119)에 각각 레일(121,122)이 형성된다.
중간받침대(118,119)와 상부(117) 사이에 제2판(152)가 형성되고, 중간받침대(118,119)와 하부(114) 사이에 제3판(153)이 형성되며, 제2판 하부에는 모터(131,132)가 양쪽에 형성되어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가 레일(121,122)를 따라 움직이면서 제2판을 슬라이딩 시키게 되며, 제3판 하부에는 모터(133,134)가 각각 형성되어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가 레일(123,124)를 따라 움직이면서 제3판을 슬라이딩시킨다.
모터(131,132,133,134)는 감속기가 부착된 것이며 모터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가 모터의 하부에 형성된 것이다.
레일(121,122,123,124)에 올려져 움직이는 모터(131,132,133,134)의 바퀴는 진동이나 충돌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기어로 맞물려 움직이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기타 다양한 공지기술을 활용하여 슬라이딩 유동케 할 수 있는 것이다.
태양전지판에서 발생한 전기는 차량 내 장착된 베터리에 충전되거나 별도의 베터리를 사용하여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모터의 가동과 정지는 차량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고 별도의 리모컨을 사용하여 무선조종에 의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제1판과 제2판을 펼쳐서 사용하여 본 바, 전기밥솥을 사용하여 밥을 지을 수 있었으며, 밤에는 컴퓨터, 전등을 켤 수 있어 2,3인 가족의 야외생활에 지장이 없을 정도의 전기를 충전하여 사용하여 수 있었다.
또한 여름철 직사광선에 의해 자동차 실내는 금방 70℃ 이상의 올라가고 100℃ 이상 치솟기도 하며, 자동차를 엔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내부에 음식을 보관하거나 아이 등 사람이 앉아있기가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태양전지판을 펼친 상태에서는 직사광선을 막아 실내온도 상승속도가 현저히 느려질 뿐 아니라 그늘과 같은 환경을 제공하여 45℃도 이하로 실내온도를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3은 도 2의 구조에서 제2판(152) 및 제3판(153)과 같은 구조의 제4판(154) 및 제5판(155)을 프레임 하부에 연결 형성하되 자동차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한 것이며, 도 2에서 상부(117)를 없애고 그것을 하부(114)의 밑 부분에 연속하여 형성하되 제4판과 제5판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개방부가 좌우로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제2판 내지 제5판이 전후좌우로 슬라이딩되어 나온 상태를 도 3에서 보여 주고 있으며, 제1판(151)은 고정 상태로 지붕으로 오는 직사광선을 차단하고 단열기능을 제공하며, 제2판(152)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앞 유리로 들어오는 직사광선을 차단하며, 제3판(153)은 뒷 유리로 들어오는 직사광선을 차단하며, 제4판(154)은 오른쪽 창문으로 들어오는 직사광선을 차단하며, 제5판(155)은 왼쪽 창문으로 들어오는 직사광선을 차단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범주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이다.
100:자동차 110:프레임 114:하부 115,116:측부 117:상부 118,119:중간받침대 121,122,123,124:레일 131,132,133,134:모터 151:제1판 152:제2판 153:제3판 154:제4판 155:제5판

Claims (2)

  1. 자동차 지붕에 결합 고정되는 하부(114)와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측부(115,116)와, 측부 상단 사이에 형성된 상부(117)와, 측부(115,116) 내벽에 형성되는 중간받침대(118,119)를 포함하여 형성된 프레임(110)과;

    하부(114)의 내면 양쪽 가장자리와 중간받침대(118,119) 상부에 각각 설치되고 양 측부(115,116)와 인접하여 형성된 4개의 레일(121,122,123,124)과;

    레일(121,122,123,124)을 따라 전후로 움직이는 모터(131,132,133,134)와;

    상부(117)에 고정 설치된 태양전지 제1판(151)과;

    중간받침대(118,119)에 설치된 레일(121,122)을 따라 움직이는 모터(131,132) 위에 올려져 결합되어 모터(131,132)의 작동에 따라 레일(121,122)를 따라 움직이면서 프레임(110) 내부에 들어가고 나가도록 형성된 태양전지 제2판(152)와;


    하부(114)에 설치된 레일(123,124)를 따라 움직이는 모터(133,134) 위에 올려져 결합되어 모터(133,134)의 작동에 따라 레일(123,124)를 따라 움직이면서 프레임(110) 내부에 들어가고 나가도록 형성된 태양전지 제3판(1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어 전기발생과 직사광 실내유입을 차단하는 다층 슬라이딩 태양전지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어 전기발생과 직사광 실내유입을 차단하는 다층 슬라이딩 태양전지판은 제2판(152) 및 제3판(153)과 같은 구조의 제4판(154) 및 제5판(155)가 그 하부에 연결 형성되되, 제2판(152) 및 제3판(153)이 전후로 슬라이딩하면서 들어가고 나가도록 형성된 것에 대해 직각인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들어가고 나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어 전기발생과 직사광 실내유입을 차단하는 다층 슬라이딩 태양전지판.
KR1020170085898A 2017-07-06 2017-07-06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어 전기발생과 직사광 실내유입을 차단하는 다층 슬라이딩 태양전지판 KR201900053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898A KR20190005365A (ko) 2017-07-06 2017-07-06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어 전기발생과 직사광 실내유입을 차단하는 다층 슬라이딩 태양전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898A KR20190005365A (ko) 2017-07-06 2017-07-06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어 전기발생과 직사광 실내유입을 차단하는 다층 슬라이딩 태양전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365A true KR20190005365A (ko) 2019-01-16

Family

ID=65280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898A KR20190005365A (ko) 2017-07-06 2017-07-06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어 전기발생과 직사광 실내유입을 차단하는 다층 슬라이딩 태양전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536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4742A (zh) * 2019-06-12 2019-08-23 西南交通大学 一种电动汽车太阳能充电装置
CN112087188A (zh) * 2020-08-11 2020-12-15 天台益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车顶太阳能充电设备
CN112865671A (zh) * 2021-01-21 2021-05-28 邵阳学院 一种基于双向dc-dc变换器的车用太阳能发电装置
KR20220001305A (ko) * 2020-06-29 2022-01-05 김상욱 차량에 구비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WO2022017210A1 (zh) * 2020-07-19 2022-01-27 林浩生 一种靠太阳能发电的电动汽车充电系统
KR200495989Y1 (ko) * 2022-04-20 2022-10-07 주식회사 지엘 차량 견인식 태양광 발전장치
KR20230019707A (ko) * 2021-08-02 2023-02-09 박영구 차량용 태양광 발전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4742A (zh) * 2019-06-12 2019-08-23 西南交通大学 一种电动汽车太阳能充电装置
KR20220001305A (ko) * 2020-06-29 2022-01-05 김상욱 차량에 구비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WO2022005001A1 (ko) * 2020-06-29 2022-01-06 김상욱 차량에 구비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WO2022017210A1 (zh) * 2020-07-19 2022-01-27 林浩生 一种靠太阳能发电的电动汽车充电系统
CN112087188A (zh) * 2020-08-11 2020-12-15 天台益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车顶太阳能充电设备
CN112865671A (zh) * 2021-01-21 2021-05-28 邵阳学院 一种基于双向dc-dc变换器的车用太阳能发电装置
KR20230019707A (ko) * 2021-08-02 2023-02-09 박영구 차량용 태양광 발전 장치
KR200495989Y1 (ko) * 2022-04-20 2022-10-07 주식회사 지엘 차량 견인식 태양광 발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5365A (ko)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어 전기발생과 직사광 실내유입을 차단하는 다층 슬라이딩 태양전지판
CN107199847A (zh) 一种基于太阳能光伏的汽车驾驶室智能温控装置及方法
US20170036512A1 (en) System to prevent harm to children, pets or others left in unattended vehicles in hot weather
CN106004466A (zh)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多能源电动汽车
CN104827918A (zh) 一种太阳能全覆盖高隔热性能的电动汽车
US20200358150A1 (en) System for thermal management of a battery
CN104527390B (zh) 两厢汽车驾驶室防晒装置
CN105416007A (zh) 一种汽车用光伏电动卷帘散热装置
CN202782617U (zh) 一种汽车遮阳通风装置
CN109733429B (zh) 一种低地板有轨车辆及其电热装置
CN204526858U (zh) 一种太阳能全覆盖高隔热性能的电动汽车
CN205768931U (zh) 一种分离式c型房车
JP6969045B2 (ja) 電化住宅
CN206797087U (zh) 一种多功能逃生型汽车天窗
KR20110045556A (ko) 차량용 환기시스템
JP3782018B2 (ja) 自動開閉伸縮門扉における給電方法
CN203755724U (zh) 多功能公交候车亭
CN219687469U (zh) 一种景区自动驾驶观光车
CN112622738A (zh) 自行式福祉旅居车的轮椅升降平台安装结构
CN112360319A (zh) 一种翼展式智能抗台风窗户保护装置
CN210881842U (zh) —种低噪音的房车
CN213619529U (zh) 一种商务、休闲两用电动汽车
CN218343356U (zh) 新型自行式c型双层顶结构斜升顶露营旅居车
CN204197063U (zh) 一种整体式多层密封检修活动地板
CN217126718U (zh) 一种建筑塔吊驾驶舱的隔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