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164A - 절삭 공구 - Google Patents

절삭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164A
KR20190005164A KR1020187032317A KR20187032317A KR20190005164A KR 20190005164 A KR20190005164 A KR 20190005164A KR 1020187032317 A KR1020187032317 A KR 1020187032317A KR 20187032317 A KR20187032317 A KR 20187032317A KR 20190005164 A KR20190005164 A KR 20190005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liquid
cutting edge
cutting tool
axis
clearanc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2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야 나카타
유키 즈츠미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덴꼬오 하드메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덴꼬오 하드메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덴꼬오 하드메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5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1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6Drills with lubricating or cooling equipment
    • B23B51/068Details of the lubricating or cooling channel
    • B23B51/0686Cross-sectional shape of coolant 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6Drills with lubricating or cool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28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0/00Compensating adverse effects during turning, boring or drilling
    • B23B2250/12Cooling and lubr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08Side or plan views of cutt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08Side or plan views of cutting edges
    • B23B2251/082Curved cutt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40Flutes, i.e. chip conveying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4Drills for trepanning
    • B23B51/0486Drills for trepanning with lubricating or cool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50/00Compensating adverse effects during milling
    • B23C2250/12Cooling and 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절삭 공구는 경사면과, 여유면을 가지고 있다. 여유면에는 냉각액 공급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경사면과 여유면의 능선이 절삭날을 구성하고 있다.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냉각액 공급 구멍의 외형은, 절삭날에 대향하는 제1 부분과, 제1 부분에서 보아 절삭날과 반대측에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제1 부분은 제2 부분을 향하여 연장되는 오목부를 갖는다. 오목부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측부 및 제2 측부와, 제1 측부 및 제2 측부의 쌍방과 연속하는 바닥부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단면에 있어서, 제1 측부의 접선과, 제2 측부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는, 160°이하이다.

Description

절삭 공구
본 발명은 절삭 공구에 관한 것으로, 특정적으로는, 축선의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쿨런트 구멍을 갖는 절삭 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6년 5월 1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인 특허 출원 제2016-100714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한다. 상기 일본 특허 출원에 기재된 모든 기재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쿨런트 구멍을 갖는 절삭 공구에 있어서는, 쿨런트 구멍의 단면 형상은 일반적으로 둥근 것이 많다. 그러나, 쿨런트의 공급량을 증가시켜, 날끝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쿨런트 구멍의 단면 형상을 바꾼 절삭 공구가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0255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쿨런트 구멍의 단면 형상을 대략 삼각 형상으로 한 쿨런트 구멍을 갖는 드릴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쿨런트 구멍의 내벽면의 간극은,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증대하고, 또한 증대하는 비율이 외주측을 향하여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국제 공개 제2014/118881호 공보(특허문헌 2)에는, 쿨런트 구멍의 단면 형상을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한 쿨런트 구멍을 갖는 드릴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쿨런트 구멍은, 전방측 내벽면과, 전방측 내벽면과 대향하는 후방측 내벽면과, 외주측 내벽면과, 외주측 내벽면의 곡률 반경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내주측 내벽면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0255호 공보 특허문헌 2: 국제 공개 제2014/118881호 공보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른 절삭 공구는, 축선의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절삭 공구로서, 경사면과, 경사면과 연속하는 여유면을 구비하고 있다. 여유면에는 냉각액 공급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경사면과 여유면의 능선이 절삭날을 구성하고 있다.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냉각액 공급 구멍의 외형은, 축선에 평행한 방향에서 보아 절삭날에 대향하는 제1 부분과, 제1 부분에서 보아 절삭날과 반대측에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제1 부분은 제2 부분을 향하여 연장되는 오목부를 갖는다. 오목부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측부 및 제2 측부와, 제1 측부 및 제2 측부의 쌍방과 연속하는 바닥부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단면에 있어서, 제1 측부의 접선과, 제2 측부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는, 160°이하이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드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영역 Ⅱ에 있어서의 사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드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른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Ⅴ-Ⅴ선을 따른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은 제1 냉각액 공급 구멍의 제1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7은 제1 냉각액 공급 구멍의 제2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8은 제1 냉각액 공급 구멍의 제3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9는 제1 냉각액 공급 구멍의 제4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드릴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드릴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엔드 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다.
도 13은 샘플 1에 따른 드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다.
도 14는 샘플 2에 따른 드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다.
도 15는 샘플 3에 따른 드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다.
도 16은 샘플 4에 따른 드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다.
도 17은 냉각액 토출량과, 냉각액 공급 구멍의 형상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2번면에 있어서의 냉각액의 평균 유속과, 냉각액 공급 구멍의 형상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2번면에 있어서의 냉각액의 평균 유속과, 오목부의 접선 각도(θ1)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쿨런트 구멍의 단면적을 확대하면 절삭날에의 냉각 효과는 높아진다. 그러나, 단면적의 확대에 의해 공구 본체의 두께가 감소하기 때문에, 절삭 공구의 강도는 저하하여, 가공 중에 공구가 파손될 리스크가 높아진다. 그 때문에, 절삭 공구의 강도 저하를 최저한으로 그치게 하면서, 구멍의 단면적을 확대하여 냉각액의 유량을 증가시켜, 효율적으로 절삭날에 쿨런트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0255호 공보에 기재된 드릴을 회전시키면서 절삭 가공을 행하는 경우, 냉각액에 가해지는 원심력 때문에, 일부의 냉각액은 쿨런트 구멍으로부터 여유면의 외주측을 통하여 회전 방향의 후방(힐측)으로 흐르고, 나머지 냉각액은 쿨런트 구멍으로부터 여유면의 내주측을 취하여 회전 방향의 후방(힐측)으로 흐른다. 그 때문에, 상기 드릴에 있어서는, 쿨런트 구멍에서 보아 회전 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절삭날의 중앙부 및 절삭날 중 가장 절삭 속도가 높아 날끝의 온도 상승이 현저한 최외주부를 향하여 냉각액을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일양태의 목적은, 절삭 공구의 강도 저하를 최저한으로 그치게 하면서, 냉각액의 유량을 증가시키고, 또한 절삭날의 중앙부 및 최외주부를 향하여 효율적으로 냉각액을 공급 가능한 절삭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효과]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르면, 절삭 공구의 강도 저하를 최저한으로 그치게 하면서, 냉각액의 유량을 증가시키고, 또한 절삭날의 중앙부 및 최외주부를 향하여 효율적으로 냉각액을 공급 가능한 절삭 공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개요]
먼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른 절삭 공구(100)는, 축선(O)의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절삭 공구(100)로서, 경사면(14a)과, 경사면(14a)과 연속하는 여유면(10)을 구비하고 있다. 여유면(10)에는, 냉각액 공급 구멍(1)이 마련되어 있다. 경사면(14a)과 여유면(10)의 능선이 절삭날(13)을 구성하고 있다. 축선(O)에 직교하는 단면(S)에 있어서의 냉각액 공급 구멍(1)의 외형(30)은, 축선(O)에 평행한 방향에서 보아, 절삭날(13)에 대향하는 제1 부분(31)과, 제1 부분(31)에서 보아 절삭날(13)과 반대측에 있는 제2 부분(32)을 포함하고 있다. 제1 부분(31)은, 제2 부분(32)을 향하여 연장하는 오목부(40)를 갖는다. 오목부(40)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측부(41) 및 제2 측부(42)와, 제1 측부(41) 및 제2 측부(42)의 쌍방과 연속하는 바닥부(43)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단면(S)에 있어서, 제1 측부(41)의 접선(41a)과, 제2 측부(42)의 접선(42a)이 이루는 각도(θ1)는, 160°이하이다.
상기 (1)에 따른 절삭 공구(100)에 따르면, 절삭날(13)에 대향하는 제1 부분(31)은 오목부(40)를 가지고 있고, 오목부(40)의 제1 측부(41)의 접선(41a)과, 제2 측부(42)의 접선(42a)이 이루는 각도(θ1)는, 160°이하이다. 이에 의해, 절삭날(13)의 중앙부 및 최외주부를 향하여, 냉각액을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40)가 제2 부분(32)을 향하여 연장됨으로써, 절삭날(13)과 개구부(50) 사이의 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결과로서, 절삭 공구(100)의 강도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그치게 하면서, 냉각액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2) 상기 (1)에 따른 절삭 공구(100)에 있어서, 제2 부분(32)은,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져도 좋다. 회전 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부분(32)의 치수를 좁게 함으로써, 회전 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절삭날을 향하는 절삭액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3) 상기 (1) 또는 (2)에 따른 절삭 공구(100)에 있어서, 축선(O)과 평행한 방향에서 보아, 절삭날(13)의 외주 단부(71)와, 축선(O)을 잇는 직선에 평행한 제1 방향(A)에 있어서, 외형(30)은, 축선(O)으로부터 외주 단부(71)를 향하여, 제1 방향(A)에 대하여 수직인 제2 방향(B)에 있어서의 치수가 작아지는 부분(39)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절삭날(13)의 최외주부를 향하여, 냉각액을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4) 상기 (3)에 따른 절삭 공구(100)에 있어서, 축선(O)에 평행한 방향에서 보아, 제1 방향(A)에 있어서의 외형(30)의 최대 치수는, 제2 방향(B)에 있어서의 제1 부분(31)에서 제2 부분(32)까지의 치수보다 커도 좋다. 이에 의해, 절삭날(13)의 최외주부를 향하여, 냉각액을 보다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5) 상기 (1)에 따른 절삭 공구(100)에 있어서, 외형(30)은 제1 측부(41)와 연속하는 제1 볼록부(81)와, 제2 측부(42)와 연속하는 제2 볼록부(82)와, 제1 볼록부(81) 및 제2 볼록부(82)의 쌍방과 연속하는 제3 볼록부(83)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제3 볼록부(83)는 바닥부(43)에서 보아, 절삭날(13)과 반대측으로 연장된다. 이에 의해, 냉각액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상세]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이후, 본 실시형태라고 칭함)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먼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절삭 공구(1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절삭 공구(100)는, 예컨대, 축선(O)의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드릴(100)로서, 선단부(4)와, 후단부(5)와, 섕크부(6)와, 제1 경사면(14a)과, 제2 경사면(24a)과, 제1 여유면(10)과, 제2 여유면(20)과, 제1 홈부(14)와, 제2 홈부(24)를 주로 가지고 있다. 제1 홈부(14) 및 제2 홈부(24)는,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여유면(10)은, 제1 경사면(14a)과 연속한다. 제1 경사면(14a)과 제1 여유면(10)의 능선이 제1 절삭날(13)을 구성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여유면(20)은, 제2 경사면(24a)과 연속한다. 제2 경사면(24a)과 제2 여유면(20)의 능선이 제2 절삭날(23)을 구성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여유면(10)에는 제1 냉각액 공급 구멍(1)이 마련되어 있다. 제1 냉각액 공급 구멍(1)은 제1 여유면(10) 및 후단부(5)의 쌍방에서 개구한다. 제1 냉각액 공급 구멍(1)의 후단부(5)의 개구부로부터 냉각액이 도입되고, 제1 여유면(10)의 제1 개구부(50)로부터 냉각액이 방출된다. 마찬가지로, 제2 여유면(20)에는 제2 냉각액 공급 구멍(2)이 마련되어 있다. 제2 냉각액 공급 구멍(2)은 제2 여유면(20) 및 후단부(5)의 쌍방에서 개구한다. 제2 냉각액 공급 구멍(2)의 후단부(5)의 개구부로부터 냉각액이 도입되고, 제2 여유면(20)의 제2 개구부(60)로부터 냉각액이 방출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여유면(10)은 제1 전방 여유면(11)(2번면)과, 제1 후방 여유면(12)(3번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전방 여유면(11)의 외주측에, 제1 마진부(15)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제1 개구부(50)는 예컨대 제1 후방 여유면(12)에서 개구하고 있다. 제1 개구부(50)는 제1 전방 여유면(11)에서 개구하고 있어도 좋고, 제1 전방 여유면(11) 및 제1 후방 여유면(12)의 경계(19)를 가로지르도록 개구하고 있어도 좋다. 축선(O)에 평행한 방향에서 보아, 제1 개구부(50)는 제1 절삭날(13)과, 제1 힐부(18)와, 제1 외주부(16)로 둘러싸여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여유면(20)은 제2 전방 여유면(21)(2번면)과, 제2 후방 여유면(22)(3번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전방 여유면(21)의 외주측에, 제2 마진부(25)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제2 개구부(60)는 예컨대 제2 후방 여유면(22)에서 개구하고 있다. 제2 개구부(60)는 제2 전방 여유면(21)에서 개구하고 있어도 좋고, 제2 전방 여유면(21) 및 제2 후방 여유면(22)의 경계(29)를 가로지르도록 개구하고 있어도 좋다. 축선(O)에 평행한 방향에서 보아, 제2 개구부(60)는 제2 절삭날(23)과, 제2 힐부(28)와, 제2 외주부(26)로 둘러싸여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여유면(10)은 제1 힐부(18)에 있어서 제1 힐면(17)과 연속하고 있다. 제1 힐면(17)은 제2 홈부(24)에 연속하고 있다. 제1 힐부(18)는 축선(O)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에서 보아, 직선형으로 신장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여유면(20)은 제2 힐부(28)에 있어서 제2 힐면(27)과 연속하고 있다. 제2 힐면(27)은 제1 홈부(14)에 연속하고 있다. 제2 힐부(28)는 축선(O)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에서 보아, 직선형으로 신장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전방 여유면(11)은, 축선(O)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후단부(5)측으로 경사져 있다. 제1 후방 여유면(12)은 제1 전방 여유면(11)에 대하여 후단부(5)측으로 경사져 있다. 축선(O)에 평행한 방향(X)에 있어서, 제1 개구부(50)에 있어서 제1 절삭날(13)의 근처에 위치하는 부분(51)은, 제1 절삭날(13)의 멀리에 위치하는 부분(52)보다, 공구의 회전 방향의 전방측에 위치한다. 제1 경사면(14a)은 축선(O)과 평행한 방향(X)보다, 제1 개구부(50)측으로 경사져 있어도 좋다.
다음에,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제1 냉각액 공급 구멍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절삭 공구(100)의 선단부(4)로부터 후단부(5)의 방향으로 거리(H)(도 1 참조)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축선(O)에 직교하는 면에서 절삭 공구(100)를 절단하였을 때의 절삭 공구(100)의 단면(S)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거리(H)는 예컨대 5 ㎜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단면(S)에 있어서의, 제1 냉각액 공급 구멍(1)의 외형(30)은, 예컨대 곡옥 형상이다. 외형(30)은 예컨대 제1 부분(31)과, 제2 부분(3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부분(31)은 축선(O)에 평행한 방향에서 보아, 제1 절삭날(13)에 대향한다. 제2 부분(32)은 제1 부분(31)과 연속하며, 제1 부분(31)에서 보아 제1 절삭날(13)과 반대측에 있다. 제1 부분(31)은 제2 부분(32)을 향하여 연장되는 오목부(40)를 갖는다. 오목부(40)는 제2 부분(32)을 향하여 돌출한다. 바꾸어 말하면, 오목부(40)는 내측으로 볼록하다. 오목부(40)는 예컨대 원호형이다. 제2 부분(32)은 바람직하게는 단면(S)에 있어서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내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오목부(40)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측부(41) 및 제2 측부(42)와, 제1 측부(41) 및 제2 측부(42)의 쌍방과 연속하는 바닥부(43)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제1 부분(31)은 오목부(40)와, 제1 측부(41)와 연속하는 제1 볼록부(33)와, 제2 측부(42)와 연속하는 제2 볼록부(36)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제1 볼록부(33)는 제1 정점(34)을 갖는다. 제2 볼록부(36)는 제2 정점(37)을 갖는다. 제1 정점(34) 및 제2 정점(37) 중 적어도 한쪽은, 외형(30)에 있어서 제1 절삭날(13)과 최근접하는 위치이다. 제1 볼록부(33) 및 제2 볼록부(36)는 예컨대 원호형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선(O)에 평행한 방향에서 보아, 제1 절삭날(13)은 회전 방향의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고 있는 부분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축선(O)에 평행한 방향에서 보아, 오목부(40)의 바닥부(43)는, 제1 절삭날(13)의 만곡부에 대향하여도 좋다. 오목부(40)의 바닥부(43)는 제1 절삭날(13)의 중앙에 대향하고 있어도 좋다.
단면(S)에 있어서, 제1 측부(41)의 제1 접선(41a)과, 제2 측부(42)의 제2 접선(42a)이 이루는 각도(θ1)는, 0°보다 크며 160°이하가 바람직하다. 추가로 말하면, 각도(θ1)는 40°이상 150°이하가 보다 효과적이다. 제1 접선(41a)은 예컨대 제1 정점(34)과 바닥부(43)를 잇는 제1 곡선의 변곡점에 있어서의 제1 곡선의 접선이다. 마찬가지로, 제2 접선(42a)은 예컨대 제1 정점(34)과 바닥부(43)를 잇는 제2 곡선의 변곡점에 있어서의 제2 곡선의 접선이다. 예컨대, 제1 접선(41a)과 제2 접선(42a)이 이루는 각도(θ1)가 최소가 되도록, 제1 정점(34) 및 바닥부(43) 사이의 어떤 위치에 있어서의 제1 곡선의 제1 접선(41a)이 결정되고, 또한 제2 정점(37) 및 바닥부(43) 사이의 어떤 위치에 있어서의 제2 곡선의 제2 접선(42a)이 결정된다. 각도(θ1)를 160°이하로 함으로써, 제1 절삭날(13)의 중앙부(C)를 향하여, 냉각액을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선(O)과 평행한 방향에서 보아, 제1 절삭날(13)의 외주 단부(71)와, 축선(O)을 잇는 직선(A)에 평행한 방향을 제1 방향(A)으로 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냉각액 공급 구멍(1)의 외형(30)은, 축선(O)으로부터 외주 단부(71)를 향함에 따라, 제1 방향(A)에 대하여 수직인 제2 방향(B)에 있어서의 치수가 작아지는 협착 부분(39)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협착 부분(39)은 제1 부분(31)의 일부와, 제2 부분(32)의 일부에 의해 구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협착 부분(39)은 제1 부분(31)과 제2 부분(32)의 경계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절삭날(13)의 최외주부(D)를 향하여, 냉각액을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결과로서, 주속이 높기 때문에 발열량이 커지는 제1 절삭날(13)의 외주 단부(71)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방향(A)에 있어서의 외형(30)의 최대 치수(WA)는, 바람직하게는 제2 방향(B)에 있어서의 제1 부분(31)에서 제2 부분(32)까지의 치수(WB)보다 크다. 최대 치수(WA)는 치수(WB)의 1.1배 이상, 4.0배 이하가 바람직하다. 추가로 말하면, 최대 치수(WA)는 치수(WB)의 1.4배 이상, 2.0배 이하가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외형(30)이 곡옥 형상(도 5 참조)인 경우는, 치수(WB)는 제2 방향(B)에 있어서의 외형(30)의 최대 치수이다. 외형(30)이 3잎형(도 9 참조)인 경우는, 치수(WB)는 제2 방향(B)에 있어서의 제1 볼록부(81)에서 덴트부(84)까지의 거리 또는 제2 방향(B)에 있어서의 제2 볼록부(82)에서 덴트부(85)까지의 거리이다. 제2 방향(B)에 있어서의, 제1 정점(34) 또는 제2 정점(37)에서 바닥부(43)까지의 거리(WC)(도 5 참조)는, 치수(WB)의 0.01배 이상, 0.5배 이하가 바람직하다. 추가로 말하면, 거리(WC)는 치수(WB)의 0.03배 이상, 0.3배 이하가 보다 효과적이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선(O)에 평행한 방향에서 보아, 외주 단부(71)와 축선(O)을 잇는 직선(A)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냉각액 공급 구멍(1)의 제1 정점(34)에서 직선(A)까지의 거리를 LA로 하고, 외주 단부(71)와 축선(O)을 잇는 직선(A)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정점(37)에서 직선(A)까지의 거리를 LB로 한다. 공구의 날끝 직경[즉, 축선(O)에 평행한 방향에서 보아, 제1 절삭날(13)의 외주 단부(71)와 제2 절삭날(23)의 외주 단부(72) 사이의 거리]을 LD라고 하면, LA는 0.03×LD 이상 0.20×LD 이하이고, LB는 0.03×LD 이상 0.20×LD 이하의 범위에 있고, 또한 LB/LA가 0.8 이상 1.3 이하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냉각액 공급 구멍으로부터 나온 냉각액 중 공구 회전 방향 후방을 향하는 흐름을 보다 많이 절삭날의 외주부를 향하여 공급할 수 있다.
다음에, 제1 냉각액 공급 구멍의 제1 변형예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40)는 모나 있어도 좋다. 오목부(40)의바닥부(43)는 제2 부분(32)을 향하여 뾰족하다. 제1 측부(41) 및 제2 측부(42)는 직선형이다. 바닥부(43)는 2개의 직선이 연결된 정점이다. 제1 접선(41a)은 예컨대 직선형의 제1 측부(41)와, 곡선형의 제1 볼록부(33)의 경계(35)에 있어서의 접선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접선(41a)은 제1 측부(41)를 따른 직선이다. 마찬가지로, 제2 접선(42a)은 예컨대 직선형의 제2 측부(42)와, 곡선형의 제2 볼록부(36)의 경계(38)에 있어서의 접선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접선(42a)은 제2 측부(42)를 따른 직선이다.
다음에, 제1 냉각액 공급 구멍의 제2 변형예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40)는 직선형의 제1 측부(41)와, 직선형의 제2 측부(42)와, 직선형의 바닥부(43)에 의해 규정되어 있어도 좋다. 바닥부(43)가 연장되는 방향은, 제1 방향(A)과 거의 평행이어도 좋다. 제1 측부(41)와바닥부(43)가 이루는 제2 각도(θ2)는, 예컨대 90°이상이다. 마찬가지로, 제2 측부(42)와 바닥부(43)가 이루는 제3 각도(θ3)는, 예컨대 90°이상이다. 제2 각도(θ2)는 제3 각도(θ3)와 동일하여도 좋고, 상이하여도 좋다.
제1 접선(41a)은 제1 측부(41)를 따른 직선이다. 마찬가지로, 제2 접선(42a)은 제2 측부(42)를 따른 직선이다. 제2 각도(θ2) 및 제3 각도(θ3)의 쌍방이 90°인 경우, 축선(O)에 평행한 방향에서 보아, 제1 측부(41)의 제1 접선(41a)과, 제2 측부(42)의 제2 접선(42a)이 이루는 각도(θ1)는, 0°이다.
다음에, 제1 냉각액 공급 구멍의 제3 변형예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냉각액 공급 구멍(1)의 외형(30)은, 가상의 삼각형(53)에 내접하고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부분은 오목부(40)와, 제1 측부(41)와 연속하는 제1 볼록부(33)와, 제2 측부(42)와 연속하는 제2 볼록부(36)를 가지고 있다. 제1 볼록부(33)는 직선형의 제1 대향부(34)를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볼록부(36)는 직선형의 제2 대향부(37)를 가지고 있다. 오목부(40)는 제1 대향부(34) 및 제2 대향부(37) 사이에 있다. 제2 부분은 서로 대향하는 제1 직선부(32a) 및 제2 직선부(32b)와, 제1 직선부(32a) 및 제2 직선부(32b) 사이에 있는 곡률부(32c)를 갖는다.
제1 직선부(32a)는 제1 대향부(34) 및 제2 직선부(32b)의 각각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직선부(32b)는 제2 대향부(37) 및 제1 직선부(32a)의 각각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제1 대향부(34) 및 제2 대향부(37)와, 제1 직선부(32a)와, 제2 직선부(32b)는, 가상의 삼각형에 접하고 있다. 상기에 있어서는, 외형(30)은 가상의 삼각형에 내접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외형(30)은 가상의 삼각형에 내접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형(30)은 예컨대 가상의 사각형(예컨대 사다리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등)에 내접하여도 좋고, 가상의 다각형에 내접하여도 좋다.
다음에, 제1 냉각액 공급 구멍의 제4 변형예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냉각액 공급 구멍(1)의 외형(30)은, 3잎 형상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외형(30)은 제1 볼록부(81)와, 제2 볼록부(82)와, 제3 볼록부(83)를 가지고 있다. 제1 볼록부(81)는 제1 측부(41)와 연속한다. 제2 볼록부(82)는 제2 측부(42)와 연속한다. 제3 볼록부(83)는 제1 볼록부(81) 및 제2 볼록부(82)의 쌍방과 연속한다.
제3 볼록부(83)는 오목부(40)의 바닥부(43)에서 보아, 제1 절삭날(13)과 반대측으로 연장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3 볼록부(83)는 제1 절삭날(13)과 반대측으로 돌출한다. 제2 볼록부(82)는 제1 절삭날(13)의 외주 단부(71)를 향하여 연장된다. 제1 볼록부(81)와 제3 볼록부(83)의 경계인 제1 덴트부(84)는, 외형(30)의 내부에서 보아, 제2 볼록부(82)의 반대측에 있다. 제1 덴트부(84)는 제1 힐부(18)에 대향한다. 제1 볼록부(81)는 축선(O)을 향하여 연장된다. 제2 볼록부(82)와 제3 볼록부(83)의 경계인 제2 덴트부(85)는, 외형(30)의 내부에서 보아, 제1 볼록부(81)의 반대측에 있다. 제2 덴트부(85)는 제1 외주부(16)에 대향한다.
또한, 도 3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선(O)과 평행한 방향에서 보아, 제1 여유면(10)의 형상 및 제2 여유면(20)의 형상은, 점대칭이다. 마찬가지로, 축선(O)과 평행한 방향에서 보아, 제1 절삭날(13)의 형상 및 제2 절삭날(23)의 형상은, 점대칭이다. 마찬가지로, 축선(O)과 평행한 방향에서 보아, 제1 냉각액 공급 구멍의 외형(30)의 형상 및 제2 냉각액 공급 구멍(2)의 외형의 형상은, 점대칭이다. 그 때문에, 제1 개구부(5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 개구부(60)로부터의 냉각액은, 효과적으로 제2 전방 여유면(21)의 중앙부(C) 및 최외주부(D)에 공급된다. 즉, 제2 절삭날(23)의 중앙부 및 최외주부를 향하여 냉각액이 효과적으로 공급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드릴의 변형예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개구부(50)는 제1 절삭날(13)과, 제1 힐부(18)와, 제1 외주부(16)로 둘러싸여 있다. 제1 개구부(50)의 형상은 곡옥 형상이다. 제1 여유면(10)은 제1 힐부(18)에 있어서 제1 힐면(17)과 연속하고 있다. 제1 힐면(17)은 제2 홈부(24)에 연속하고 있다. 제1 힐부(18)는 축선(O)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에서 보아, 원호형으로 신장하고 있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제2 여유면(20)은 제2 힐부(28)에 있어서 제2 힐면(27)과 연속하고 있다. 제2 힐면(27)은 제1 홈부(14)에 연속하고 있다. 제2 힐부(28)는 축선(O)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에서 보아, 원호형으로 신장하고 있어도 좋다.
제1 힐부(18)의 형상은 일반적으로는 직선 형상이다. 그러나, 직선 형상의 경우에는, 치수의 변동에 의해, 제1 힐부(18)와 제1 냉각액 공급 구멍(1)이 교차하는 경우도 상정된다. 이 경우, 냉각액은 제1 힐면(17)으로 흐르기 쉬워진다. 그 결과, 여유면(10)에의 냉각액 공급량이 약간이지만 적어지는 경우가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힐부(18)의 형상을 원호 형상으로 함으로써, 냉각액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1 여유면(10)에 공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힐부(28)의 형상을 원호 형상으로 함으로써, 냉각액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2 여유면(20)에 공급할 수 있다.
절삭 공구는 축선(O)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피삭재를 절삭 가능한 회전 절삭 공구이면 좋고, 드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절삭 공구는 예컨대 바닥날과 외주날을 갖는 엔드 밀이어도 좋고, 날끝 교환식의 공구여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드 밀(101)은, 예컨대 제1 경사면(14a)과, 제1 여유면(10)과, 제2 경사면(24a)과, 제2 여유면(20)을 주로 가지고 있다. 제1 경사면(14a)과 제1 여유면(10)의 능선이, 제1 바닥날(13)을 구성한다. 마찬가지로, 제2 경사면(24a)과 제2 여유면(20)의 능선이, 제2 바닥날(23)을 구성한다.
제1 여유면(10)은 제1 전방 여유면(11)과 제1 후방 여유면(12)을 포함하고 있다. 제1 냉각액 공급 구멍(1)의 제1 개구부(50)는, 예컨대 제1 전방 여유면(11)과 제1 후방 여유면(12)에 걸치도록 마련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개구부(50)는 제1 전방 여유면(11)과 제1 후방 여유면(12)의 경계(19)를 가로지르도록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여유면(20)은 제2 전방 여유면(21)과 제2 후방 여유면(22)을 포함하고 있다. 제2 냉각액 공급 구멍(2)의 제2 개구부(60)는, 예컨대 제2 전방 여유면(21)과 제2 후방 여유면(22)에 걸치도록 마련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 개구부(60)는 제2 전방 여유면(21)과 제2 후방 여유면(22)의 경계(29)를 가로지르도록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절삭 공구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절삭 공구(100)에 따르면, 제1 절삭날(13)에 대향하는 제1 부분(31)이 오목부(40)를 가지고, 오목부(40)의 제1 측부(41)의 접선(41a)과, 제2 측부(42)의 접선(42a)이 이루는 각도(θ1)는, 160°이하이다. 이에 의해, 제1 절삭날(13)의 중앙부를 향하여, 냉각액을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40)가 제2 부분(32)을 향하여 연장됨으로써, 제1 절삭날(13)과 외형(30) 사이의 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결과로서, 절삭 공구(100)의 강도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그치게 하면서, 냉각액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절삭 공구(100)에 따르면, 제2 부분(32)은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회전 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부분(32)의 치수를 좁게 함으로써, 회전 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절삭날(13)을 향하는 절삭액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절삭 공구(100)에 따르면, 축선(O)과 평행한 방향에서 보아, 제1 절삭날(13)의 외주 단부(71)와, 축선(O)을 잇는 직선에 평행한 제1 방향(A)에 있어서, 외형(30)은, 축선(O)으로부터 외주 단부(71)를 향하여, 제1 방향(A)에 대하여 수직인 제2 방향(B)에 있어서의 치수가 작아지는 협착 부분(39)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절삭날(13)의 최외주부를 향하여, 냉각액을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절삭 공구(100)에 따르면, 축선(O)에 평행한 방향에서 보아, 제1 방향(A)에 있어서의 외형(30)의 최대 치수는, 제2 방향(B)에 있어서의 제1 부분(31)에서 제2 부분(32)까지의 치수보다 크다. 이에 의해, 제1 절삭날(13)의 최외주부를 향하여, 냉각액을 보다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절삭 공구(100)에 따르면, 외형(30)은 제1 측부(41)와 연속하는 제1 볼록부(81)와, 제2 측부(42)와 연속하는 제2 볼록부(82)와, 제1 볼록부(81) 및 제2 볼록부(82)의 쌍방과 연속하는 제3 볼록부(83)를 가지고 있다. 제3 볼록부(83)는 바닥부(43)에서 보아, 절삭날(13)과 반대측으로 연장된다. 이에 의해, 냉각액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절삭 공구(100)는, 절삭 공구의 강도를 종래와 동등하게 유지하면서, 냉각액 공급 구멍의 단면적을 확대하여 절삭액의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절삭 공구(100)는, 종래 충분히 보내는 것이 어렵던 절삭날의 중앙부 및 최외주부를 향하여 냉각액을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증가한 절삭액으로 절삭 부스러기의 원활한 배출을 재촉하는 것뿐만 아니라, 예컨대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열 전도율이 낮은 피삭재에 대해서도, 고온이 되는 날끝을 효과적으로 냉각·윤활하여, 안정적이며 또한 고능률의 절삭 가공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절삭날의 온도 상승 억제에 의해 마모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1개의 공구를 길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현장에서의 공구비 삭감에도 기여한다.
실시예 1
(샘플 준비)
먼저, 냉각액 공급 구멍의 단면 형상이 상이한 샘플 1∼4에 따른 절삭 공구(100)의 모델을 준비하였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 1에 따른 절삭 공구(100)의 모델은, 대략 원형의 냉각액 공급 구멍(1)을 가지고 있다. 냉각액 공급 구멍(1)의 단면적은 1.6 ㎟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 2에 따른 절삭 공구(100)의 모델은, 대략 삼각 형상의 냉각액 공급 구멍(1)을 가지고 있다. 냉각액 공급 구멍(1)의 단면적은 3.0 ㎟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 3에 따른 절삭 공구(100)의 모델은,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냉각액 공급 구멍(1)을 가지고 있다. 냉각액 공급 구멍(1)의 단면적은 3.0 ㎟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 4에 따른 절삭 공구(100)의 모델은, 곡옥 형상의 냉각액 공급 구멍(1)을 가지고 있다. 냉각액 공급 구멍(1)의 단면적은 3.0 ㎟이다.
(평가 방법)
샘플 1∼4에 따른 절삭 공구(100)의 모델을 이용하여, 냉각액의 1분간의 토출량과, 제1 전방 여유면(11) 및 제2 전방 여유면(21)(즉, 2번면)에 있어서의 평균 유속을 유체 시뮬레이션에 의해 계산하였다. 드릴의 직경을 8.0 ㎜로 하였다. 드릴의 주속을 80 m/분으로 하였다. 제1 냉각액 공급 구멍(1) 및 제2 냉각액 공급 구멍(2)에 도입되는 냉각액의 유입 압력을 2.0 ㎫로 하였다.
(평가 결과)
도 17은 냉각액 토출량과, 냉각액 공급 구멍의 형상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냉각액 토출량이란, 냉각액 공급 구멍으로부터 1분간에 나오는 냉각액의 토탈의 유량이다. 도 17에 있어서는, 샘플 1에 따른 절삭 공구의 모델의 냉각액 토출량을 100(%)로 하여, 각 샘플의 냉각액 토출량을 상대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 2∼4에 따른 절삭 공구는, 샘플 1에 따른 절삭 공구보다 냉각액의 토출량이 크다. 즉, 냉각액 공급 구멍(1)의 단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절삭액의 토출량이 커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동일한 냉각액 공급 구멍(1)의 단면적의 경우, 곡옥 형상의 냉각액 공급 구멍(1)을 갖는 샘플 4에 따른 절삭 공구는, 대략 삼각 형상의 냉각액 공급 구멍(1)을 갖는 샘플 2 및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냉각액 공급 구멍(1)을 갖는 샘플 3에 따른 절삭 공구보다, 절삭액의 토출량이 커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 18은 2번면에 있어서의 냉각액의 평균 유속과, 냉각액 공급 구멍의 형상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에 있어서는, 샘플 1에 따른 절삭 공구의 모델의 냉각액의 평균 유속을 100(%)으로 하여, 각 샘플의 냉각액의 평균 유속을 상대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 2 및 3에 따른 절삭 공구는, 샘플 1에 따른 절삭 공구보다 2번면에 있어서의 냉각액의 평균 유속이 낮다. 즉, 단순히 냉각액 공급 구멍(1)의 단면적을 크게 하는 것만으로는, 2번면에 있어서의 냉각액의 평균 유속이 높아지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샘플 4에 따른 절삭 공구는, 샘플 1에 따른 절삭 공구보다 2번면에 있어서의 냉각액의 평균 유속이 22% 높아졌다. 즉, 냉각액 공급 구멍(1)의 단면 형상을 곡옥 형상으로 함으로써, 냉각액의 토출량을 크게 하고, 또한 2번면에 있어서의 냉각액의 평균 유속을 높게 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샘플 준비)
다음에, 냉각액 공급 구멍의 단면 형상을 곡옥 형상으로 하고, 또한 오목부(40)의 접선 각도(θ1)가 상이한 절삭 공구(100)의 모델을 준비하였다. 접선 각도(θ1)는 전술한 제1 접선(41a)과 제2 접선(42a)이 이루는 각도(θ1)(도 5 참조)이다. 도 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의 외형(30)의 오목부(40)의 접선 각도(θ1)를, 180°에서 40°까지 변화시킨 모델을 작성하였다.
(평가 방법)
각 접선 각도에 있어서의 냉각액의 평균 유속을 유체 시뮬레이션에 의해 계산하였다. 제1 볼록부(33) 및 제2 볼록부(36)의 곡률 반경을 0.49 ㎜로 하였다. 제2 부분(32)의 곡률 반경을 1.05 ㎜로 하였다. 드릴의 직경을 8.0 ㎜로 하였다. 드릴의 주속을 80 m/분으로 하였다. 제1 냉각액 공급 구멍(1) 및 제2 냉각액 공급 구멍(2)에 도입되는 냉각액의 유입 압력을 2.0 ㎫로 하였다.
(평가 결과)
도 19는 2번면에 있어서의 냉각액의 평균 유속과, 오목부(40)의 접선 각도(θ1)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선 각도(θ1)가 180°에 있어서의 냉각액의 평균 유속은, 약 3.3(m/s)이다. 접선 각도(θ1)가 작아지면, 냉각액의 평균 유속은 서서히 증가한다. 접선 각도(θ1)가 160°이하가 되면, 냉각액의 평균 유속은 급격히 증가한다. 접선 각도(θ1)가 60°이상 160°미만의 범위에 있어서, 냉각액의 평균 유속은 거의 일정하며, 높은 평균 유속을 유지한다. 접선 각도(θ1)가 60°미만이 되면, 냉각액의 평균 유속은 서서히 감소하지만 여전히 높은 평균 유속을 나타낸다. 즉, 접선 각도(θ1)가 160°이하의 조건에 있어서, 2번면에 있어서의 냉각액의 평균 유속이 높아지는 것이 실증되었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 및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청구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 제1 냉각액 공급 구멍(냉각액 공급 구멍) 2 : 제2 냉각액 공급 구멍
4 : 선단부 5 : 후단부
6 : 섕크부 10 : 제1 여유면(여유면)
14a : 제1 경사면 11 : 제1 전방 여유면
12 : 제1 후방 여유면 13 : 제1 절삭날(절삭날)
14 : 제1 홈부 15 : 제1 마진부
16 : 제1 외주부 17 : 제1 힐면
18 : 제1 힐부 19, 29, 35, 38 : 경계
20 : 제2 여유면 21 : 제2 전방 여유면
22 : 제2 후방 여유면 23 : 제2 절삭날
24 : 제2 홈부 24a : 제2 경사면
25 : 제2 마진부 26 : 제2 외주부
27 : 제2 힐면 28 : 제2 힐부
30 : 외형 31 : 제1 부분
32 : 제2 부분 32a : 제1 직선부
32b : 제2 직선부 32c : 곡률부
33, 81 : 제1 볼록부 34 : 제1 정점(제1 대향부)
36, 82 : 제2 볼록부 37 : 제2 정점(제2 대향부)
39 : 협착 부분(부분) 40 : 오목부
41 : 제1 측부 41a : 제1 접선(접선)
42 : 제2 측부 42a : 제2 접선(접선)
43 : 바닥부 50 : 제1 개구부(개구부)
51, 52 : 부분 53 : 삼각형
60 : 제2 개구부 71 : 외주 단부
83 : 제3 볼록부 84, 85 : 덴트부
100 : 절삭 공구, 드릴 101 : 절삭 공구, 엔드 밀
A : 제1 방향 B : 제2 방향
C : 중앙부 D : 최외주부
O : 축선 WA : 최대 치수
WB : 치수 WC : 거리
X : 방향

Claims (5)

  1. 축선의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절삭 공구로서,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과 연속하는 여유면을 구비하고,
    상기 여유면에는 냉각액 공급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경사면과 상기 여유면의 능선이 절삭날을 구성하고,
    상기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냉각액 공급 구멍의 외형은, 상기 축선에 평행한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절삭날에 대향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서 보아 상기 절삭날과 반대측에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을 향하여 연장되는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오목부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측부 및 제2 측부와, 상기 제1 측부 및 상기 제2 측부의 쌍방과 연속하는 바닥부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부의 접선과, 상기 제2 측부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는, 160°이하인, 절삭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절삭 공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선과 평행한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절삭날의 외주 단부와, 상기 축선을 잇는 직선에 평행한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외형은, 상기 축선으로부터 상기 외주 단부를 향하여,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제2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작아지는 부분을 갖는, 절삭 공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축선에 평행한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외형의 최대 치수는,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제2 부분까지의 치수보다 큰, 절삭 공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은 상기 제1 측부와 연속하는 제1 볼록부와, 상기 제2 측부와 연속하는 제2 볼록부와, 상기 제1 볼록부 및 상기 제2 볼록부의 쌍방과 연속하는 제3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제3 볼록부는 상기 바닥부에서 보아, 상기 절삭날과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절삭 공구.
KR1020187032317A 2016-05-19 2017-04-19 절삭 공구 KR201900051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00714A JP6848160B2 (ja) 2016-05-19 2016-05-19 切削工具
JPJP-P-2016-100714 2016-05-19
PCT/JP2017/015729 WO2017199667A1 (ja) 2016-05-19 2017-04-19 切削工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164A true KR20190005164A (ko) 2019-01-15

Family

ID=60325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2317A KR20190005164A (ko) 2016-05-19 2017-04-19 절삭 공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73553B2 (ko)
EP (1) EP3459663B1 (ko)
JP (1) JP6848160B2 (ko)
KR (1) KR20190005164A (ko)
CN (1) CN109153085B (ko)
WO (1) WO20171996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15668A1 (de) * 2017-07-12 2019-01-17 Kennametal Inc.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neidwerkzeugs sowie Schneidwerkzeug
JP7463689B2 (ja) 2018-12-26 2024-04-09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クーラント穴付き回転工具
US20220111450A1 (en) * 2018-12-26 2022-04-14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Rotating tool with coolant hole
US10814406B1 (en) * 2019-04-24 2020-10-27 Raytheon Technologies Corporation Internal cooling passages for rotating cutting tools
WO2021024848A1 (ja) * 2019-08-07 2021-02-11 株式会社不二越 油孔付きドリル
US20210053128A1 (en) * 2019-08-21 2021-02-25 Kennametal Inc. Rotary cutting tool with enhanced coolant delivery
DE102020102007A1 (de) 2020-01-28 2021-07-29 Zcc Cutting Tools Europe Gmbh Werkzeughalter
US11590587B2 (en) 2020-04-16 2023-02-28 Allied Machine & Engineering Corporation Drill systems with coolant delivery arrangements and methods
CA3203410A1 (en) * 2021-05-10 2022-11-17 Takahiro Yamamoto Drill
WO2023058590A1 (ja) * 2021-10-07 2023-04-13 京セラ株式会社 回転工具および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EP4201561A1 (en) * 2021-12-21 2023-06-28 Seco Tools Ab Drill body of an indexable insert drill and indexable insert drill comprising such a drill body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3186A (en) * 1964-07-02 1967-04-11 Utd Corp Method of affixing a tube to a tool body
US3606560A (en) * 1970-07-01 1971-09-20 Morton Mcclennan Drill
JPS5835369Y2 (ja) * 1978-03-28 1983-08-09 ダイジェット工業株式会社 深穴用ドリル
DE3309860A1 (de) * 1983-02-08 1984-08-09 Fa. Gottlieb Gühring, 7470 Albstadt Bohrwerkzeug
DE4120166C2 (de) * 1991-06-19 1994-10-06 Friedrichs Konrad Kg Strangpreßwerkzeug zur Herstellung eines Hartmetall- oder Keramikstabes mit gedrallten Innenbohrungen
SE525336C2 (sv) * 2002-05-17 2005-02-01 Sandvik Ab Borrverktyg för hålborrning i metalliska material
DE20219753U1 (de) * 2002-12-19 2004-04-22 Gühring, Jörg, Dr. Tieflochbohrer
DE10260136A1 (de) * 2002-12-19 2004-07-01 Gühring, Jörg, Dr. Strangpressverfahren und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r Sinterrohling bzw. Werkzeugkörper
DE10394163D2 (de) * 2002-12-19 2005-11-03 Guehring Joerg Kühlkanal-Geometrie
JP2006510804A (ja) * 2002-12-19 2006-03-30 ギューリング,イェルク コイル状冷却チャネルを有する焼結ブランク
JP2005052940A (ja) * 2003-08-05 2005-03-03 Hitachi Tool Engineering Ltd スパイラルホール付ドリル
JP4955261B2 (ja) * 2005-12-02 2012-06-20 ユニタック株式会社 ガンドリル
AU2009231230A1 (en) * 2008-04-03 2009-10-08 Kennametal Inc. Lathe tool, in particular boring tool
USD602055S1 (en) * 2008-11-28 2009-10-13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Drill with unique shaped coolant holes
SE533679C2 (sv) * 2009-04-07 2010-11-30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Solid stegborr
JP5447130B2 (ja) * 2009-06-15 2014-03-19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クーラント穴付きドリル
IL206283A0 (en) * 2010-06-10 2010-11-30 Iscar Ltd Cutting tool and nozzle therefor
GB201015541D0 (en) * 2010-09-17 2010-10-27 Element Six Ltd Twist drill assembly
DE102012012479A1 (de) * 2012-03-26 2013-09-26 MAPAL Fabrik für Präzisionswerkzeuge Dr. Kress KG Bohrer
EP2952278B1 (en) 2013-01-29 2020-03-11 OSG Corporation Drill
US9333564B2 (en) * 2013-03-15 2016-05-10 Black & Decker Inc. Drill bit
DE102013205056A1 (de) * 2013-03-21 2014-09-25 Gühring KG Mehrschneidiges Bohrwerkzeug mit innenliegenden Kühlkanälen
DE102014013210B4 (de) * 2014-09-06 2021-10-21 Audi Ag Zerspanwerkzeug mit einem Kühlka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48160B2 (ja) 2021-03-24
CN109153085B (zh) 2020-10-30
US11173553B2 (en) 2021-11-16
EP3459663B1 (en) 2023-06-07
EP3459663A1 (en) 2019-03-27
CN109153085A (zh) 2019-01-04
JP2017205844A (ja) 2017-11-24
EP3459663A4 (en) 2020-01-15
US20190143423A1 (en) 2019-05-16
WO2017199667A1 (ja) 2017-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5164A (ko) 절삭 공구
US9216460B2 (en) Coolant-hole equipped drill
KR101528936B1 (ko) 드릴 본체
KR101983093B1 (ko) 다날 엔드밀
JP5984777B2 (ja) ボールエンドミル
WO2011132686A1 (ja) ガンドリル
WO2015080168A1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JP2006239829A (ja) ドリル
JP2010214545A (ja) エンドミル
JP4155157B2 (ja) エンドミル
JP2017159380A (ja) ラジアスエンドミル
JP7491104B2 (ja) ボールエンドミル
JP2019217581A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切削工具
JP2012206216A (ja) ドリルホルダ及び刃先交換式ドリル
JP2012206205A (ja) ドリルホルダ及び刃先交換式ドリル
JP7491105B2 (ja) ボールエンドミル
KR101548450B1 (ko) 볼 엔드밀
JP7463689B2 (ja) クーラント穴付き回転工具
JP2019162698A (ja) ドリル
JP2020082206A (ja) クーラント孔付きエンドミル
BR112021006129A2 (pt) cabeça de corte rotatória e ferramenta de corte rotativa
JP2006315126A (ja) 中ぐり工具
JP2012206204A (ja) ドリルホルダ及び刃先交換式ドリ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