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183A -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183A
KR20190004183A KR1020170084457A KR20170084457A KR20190004183A KR 20190004183 A KR20190004183 A KR 20190004183A KR 1020170084457 A KR1020170084457 A KR 1020170084457A KR 20170084457 A KR20170084457 A KR 20170084457A KR 20190004183 A KR20190004183 A KR 20190004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uried layer
epitaxial layer
buried
conductivity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5098B1 (ko
Inventor
김현식
김원찬
장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이씨
Priority to KR1020170084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098B1/ko
Publication of KR20190004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8Structural electrical arrangements for semiconduct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n combination with batteries
    • H01L23/62Protection against overvoltage, e.g. fuses, shu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9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formation of epitaxial layers by a deposition pro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lead-in layers inseparab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48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lead-in layers inseparab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body consisting of layered constructions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and insulating layers, e.g. planar contacts

Abstract

본 발명은 칩 스케일 패키지(Chip Scale Package)에서 기존에 비해 더 낮은 클램핑 전압과 높은 피크 펄스 전류를 갖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예로, 제 1 도전형의 서브스트레이트;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에피텍셜층; 상기 에피택셜층에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제 1 매립층; 상기 제 1 매립층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제 2 매립층; 상기 에피택셜층에 한쌍으로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제 3 매립층; 상기 에피택셜층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매립층과 제 3 매립층의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도전형의 고농도 영역; 상기 에피택셜층에서 상기 제 3 매립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한쌍과, 상기 제 1 매립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개로 형성되는 제 1 도전형의 제 1 도전형 영역; 및 상기 에피택셜층에서 상기 제 3 매립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한쌍과, 상기 제 1 매립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개로 형성되는 제 2 도전형의 제 2 도전형 영역을 포함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Transient voltage suppres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동작 원리 및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VG)과 부하(RLOAD) 사이에 과도 전압 억제 소자(TVS)(예를 들면, 바리스터, 타이리스터, 다이오드(정류/제너))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일측은 접지(GND)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부하(RLOAD)에서 요구되는 전압 이상의 과도 전압이 입력될 경우, 이 과도 전압에 의한 과도 전류(ITV)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TVS)를 통하여 접지(GND)쪽으로 흐르고, 클램핑되어 안정화된 저전압만이 부하(RLOAD)에 인가됨으로써, 그 부하(RLOAD)가 과도 전압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다.
본 발명은 칩 스케일 패키지(Chip Scale Package)에서 기존에 비해 더 낮은 클램핑 전압과 높은 피크 펄스 전류를 갖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는 제 1 도전형의 서브스트레이트;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에피텍셜층; 상기 에피택셜층에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제 1 매립층; 상기 제 1 매립층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제 2 매립층; 상기 에피택셜층에 한쌍으로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제 3 매립층; 상기 에피택셜층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매립층과 제 3 매립층의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도전형의 고농도 영역; 상기 에피택셜층에서 상기 제 3 매립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한쌍과, 상기 제 1 매립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개로 형성되는 제 1 도전형의 제 1 도전형 영역; 및 상기 에피택셜층에서 상기 제 3 매립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한쌍과, 상기 제 1 매립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개로 형성되는 제 2 도전형의 제 2 도전형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피택셜층의 상부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에까지 이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매립층, 제 3 매립층 및 제 1 고농도 영역에 해당되는 영역을 수평 방향에서 격리시키는 트렌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매립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개로 형성되는 제 2 도전형 영역은 이격된 각각 다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 1 매립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제 1 도전형 영역과 교대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매립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개로 형성되는 제 2 도전형 영역은 상부에 형성되는 전극을 통해 상기 한쌍의 제 1 도전형 영역 중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매립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 1 도전형 영역 및 제 2 도전형 영역은 다이오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매립층은 상기 서브스트레이트를 통해 상기 고농도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매립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2 도전형 영역, 에피택셜층, 제 2 매립층, 제 1 매립층 및 서브스트레이트는 쇼클리 다이오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피택셜층의 상부로부터 형성되어 고농도 영역, 제 1 도전형 영역 및 제 2 도전형 영역의 각 일부를 노출시키는 절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피택셜층은 상기 제 1 매립층 및 제 3 매립층이 형성되는 제 1 에피택셜층, 상기 제 1 에피택셜층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매립층이 형성되는 제 2 에피택셜층, 상기 제 2 에피택셜층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전형 영역 및 제 2 도전형 영역이 형성되는 제 3 에피택셜층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제조 방법은 제 1 도전형의 서브스트레이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에 제 1 도전형의 에피텍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에피택셜층에 대해 제 2 도전형의 제 1 매립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에피택셜층에 대해 상기 제 1 매립층의 측부 영역에서 제 1 도전형의 고농도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에피택셜층에 대해 상기 제 1 매립층의 상부에 제 1 도전형의 제 2 매립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에피택셜층에 대해 상기 제 1 매립층과 고농도 영역의 측부에 각각 상기 제 2 도전형의 한쌍의 제 3 매립층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에피택셜층에 대해 한쌍의 상기 제 1 매립층과 제 3 매립층에 각각 해당하는 상측 영역에서 제 1 도전형의 제 1 도전형 영역과 제 2 도전형의 제 2 도전형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피택셜층에 대해 상기 제 1 매립층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제 1 도전형 영역과 제 2 도전형 영역은 각각 다수개로 구비되어, 서로 교대로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피택셜층의 상부로부터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에까지 이르도록, 상기 제 1 매립층, 제 3 매립층 및 고농도 영역에 해당되는 영역을 각각 격리하도록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매립층의 상부에 전극을 형성하여 한쌍의 상기 제 1 도전형 영역 중 하나와 상기 제 4 매립층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PNPN 구조의 쇼클리 다이오드(Shockley Diode)를 구비하고, PN 순방향 다이오드를 연결한 구조를 통해 기존에 비해 더 낮은 클램핑 전압과 높은 피크 펄스 전류를 갖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동작 원리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n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구조에 대해 등가 회로를 함께 표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등가 회로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n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제조 방법은 서브스트레이트 준비 단계(S1), 제 1 에피택셜층 형성 단계(S2), 제 1 매립층 형성 단계(S3), 제 1 고농도 영역 형성 단계(S4), 제2 매립층 형성 단계(S5), 제 2 에피택셜층 형성 단계(S6), 제 3 매립층 형성 단계(S7), 제 3 에피택셜층 형성 단계(S8), 제 4 매립층 형성 단계(S9), 제 2 고농도 영역 형성 단계(S10), 트렌치 형성 단계(S11), 제 1 도전형 영역 형성 단계(S12), 제 2 도전형 영역 형성 단계(S13), 컨택 형성 단계(S14), 금속 전극 형성 단계(S15) 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2의 각 단계들에 대해 도 3a 내지 도 3o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스트레이트 준비 단계(S1)에서 제 1 도전형의 서브스트레이트(110)가 준비된다. 서브스트레이트(110)는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는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서브스트레이트(110)는, 일례로, 진성 반도체에 5족 원소인 비소(As), 인(P) 또는 안티몬(Sb)등의 불순물이 고농도로 주입되어 형성된 N++형 반도체 기판일 수 있다. 여기서, 고농도라 함은 후술할 에피텍셜층(120)의 불순물 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농도가 크다는 의미이다. 한편, 제 1 도전형의 서브스트레이트(110)는 진성 반도체에 3족 원소인 갈륨(Ga), 인듐(In) 또는 붕소(B)등의 불순물이 고농도로 주입된 P형일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서브스트레이트(110)가 N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에피택셜층 형성 단계(S2)에서 제 1 에피택셜층(12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600~2000℃의 고온에서 서브스트레이트(110)의 상면에 SiH4등의 가스와 5가 원소인 비소(As), 인(P) 또는 안티몬(Sb) 등이 포함된 가스를 저농도로 함께 흘려줌으로써, 상기 서브스트레이트(110)의 표면에 N형의 제1에피텍셜층(120)이 증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매립층 형성 단계(S3)에서 서브스트레이트(110)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제 2 도전형의 제 1 매립층(1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매립층(130)은 제 1 에피텍셜층(120)의 상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일정 깊이로 형성된다. 또한, 제 1 매립층(130)은 PNPN 구조의 쇼클리 다이오드(Shockley Diode)가 형성될 위치, 예를 들어 상기 서브스트레이트(110)의 대략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매립층(130)은 상기 쇼클리 다이오드(Shockley Diode)의 구조에서 P+형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매립층(130)은 제 1 에피텍셜층(120)의 상면에 1차로 규소 산화막, 질소 산화막 등의 절연막(미도시)을 제 1 매립층(130)이 형성될 이외의 영역에 형성한 후, 3족 원소인 갈륨(Ga), 인듐(In) 또는 붕소(B)등의 불순물을 직접 이온주입 하거나 또는 열확산 공정을 진행하여, P+형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서브스트레이트(110)의 하면에는 하면 절연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면 절연막은 규소 산화막, 질소 산화막, 언도프트 폴리 실리콘(undoped poly silicon), PSG(Phospho-Silicate-Glass), BPSG(Boro-Phosphor-Silicate-Glass) 또는 이들의 등가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하면 절연막은 고농도의 제 1 도전형 서브스트레이트(110)의 오토도핑을 방지한다.
또한, 도 3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2 에피택셜층 형성 단계(S4)에서 상기 제 1 에피택셜층(120)의 상부에 제 2 에피택셜층(1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에피택셜층(140)은 상기 제 1 에피택셜층(160)은 상기 제 1 에피택셜층(120)과 동일하게 SiH4등의 가스와 5가 원소인 비소(As), 인(P) 또는 안티몬(Sb) 등이 포함된 가스를 저농도로 함께 흘려줌으로써, 상기 제 1 에피택셜층(120)의 표면에 N형의 제 2 에피텍셜층(160)이 증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고농도 영역 형성 단계(S5)에서 상기 제 1 매립층(130)의 측부에 제 1 도전형의 제 1 고농도 영역(1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농도 영역(140)은 제 2 에피텍셜층(140)의 상면에 1차로 규소 산화막, 질소 산화막 등의 절연막(미도시)을 제 1 고농도 영역(150)이 형성될 이외의 영역에 형성한 후, 5족 원소인 비소(As), 인(P) 또는 안티몬(Sb)등의 고농도 불순물을 직접 이온주입 하거나 또는 열확산 공정을 진행하여, N++형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f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2 매립층 형성 단계(S6)에서 상기 제 1 매립층(130)의 상부에 N+형의 제 2 매립층(160)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매립층(160)은 상기 제 2 에피택셜층(140)에 대해 5족 불순물을 직접 이온주입하거나 열확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매립층(160)은 쇼클리 다이오드의 구조에서 N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매립층 형성 단계(S7)에서 상기 제 1 매립층(130)과 제 1 고농도 영역(150)의 외측에 대해 P형의 제 3 매립층(17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매립층(170)은 상기 제 1 매립층(130)과 동일하게 3족 원소를 직접 이온 주입하거나 열확산 공정을 진행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매립층(170)은 상기 제 1 매립층(130)에 비해서는 상대적인 저농도인 P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h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3 에피택셜층 형성 단계(S8)에서 상기 제 2 에피택셜층(140)의 상부에 제 3 에피택셜층(180)이 형성된다. 상기 제 3 에피택셜층(180)은 상기 제 2 에피택셜층(140)과 마찬가지로 SiH4등의 가스와 5가 원소인 비소(As), 인(P) 또는 안티몬(Sb) 등이 포함된 가스를 저농도로 함께 흘려줌으로써, N+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후, 도 3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고농도 영역 형성 단계(S9)에서, 상기 제 2 에피택셜층(180)에 대해 N+형의 제 2 고농도 영역(190)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고농도 영역(190)은 상기 제 1 고농도 영역(150)의 상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고농도 영역(190) 역시 상기 제 1 고농도 영역(150)과 마찬가지로 제 2 에피텍셜층(180)의 상면에 1차로 규소 산화막, 질소 산화막 등의 절연막(미도시)을 제 2 고농도 영역(190)이 형성될 이외의 영역에 형성한 후, 5족 원소인 비소(As), 인(P) 또는 안티몬(Sb)등의 고농도 불순물을 직접 이온주입 하거나 또는 열확산 공정을 진행하여, N++형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고농도 영역(150)과 제 2 고농도 영역(190)은 상기 서브스트레이트(110)에 접촉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서브스트레이트(110)로부터 전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스트레이트(110)를 포함한 쇼클리 다이오드 구조가 상술한 것처럼 후단에 위치한 순방향 다이오드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렌치 형성 단계(S10)에서 상기 제 3 에피택셜층(180)의 상면으로부터 트렌치(2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트렌치(200)는 상기 제 3 에피택셜층(18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다수의 트렌치(201 내지 218)의 구조로서 형성되고, 그 내부에 각각 절연재가 충진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트렌치(201) 및 제 2 트렌치(202)는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3 에피택셜층(180), 제 2 에피택셜층(140), 제 1 에피택셜층(120), 제 3 매립층(170)을 통과하여 상기 서브스트레이트(110)에까지 이르도록 형성되어, 격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상부에 있는 제 3 에피택셜층(180)에 형성되는 다이오드 구조가 독립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3 트렌치(203) 및 제 4 트렌치(204)는 역시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4 매립층(190), 제 2 매립층(160), 제 1 매립층(130)을 통과하여, 상기 서브스트레이트(110)에까지 이르도록 형성되어, 이들 구조가 상술한 쇼클리 다이오드 구조의 일부를 형성하면서, 다른 구조들과 독립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 트렌치(205) 및 제 6 트렌치(216)는 역시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2 고농도 영역(190) 및 제 1 고농도 영역(150)을 통과하여 상기 서브스트레이트(110)에까지 이르도록 형성되어, 이들 구조가 서브스트레이트(110)에 연결된 전기 경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7 트렌치(207) 및 제 8 트렌치(208)는 역시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3 에피택셜층(180), 제 2 에피택셜층(140), 제 1 에피택셜층(120), 제 3 매립층(170)을 통과하여 상기 서브스트레이트(110)에까지 이르도록 형성되어, 격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상부에 있는 제 3 에피택셜층(180)에 형성되는 다이오드 구조가 독립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도 3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도전형 영역 형성 단계(S11)에는 상기 제 1 트렌치(201) 및 제 2 트렌치(202)의 사이에 형성된 웰 영역과, 상기 제 3 트렌치(203) 및 제 4 트렌치(204)의 사이에 형성된 웰 영역과, 상기 제 7 트렌치(207) 및 제 8 트렌치(208)의 사이에 형성된 웰 영역에 대해 각각 N+형의 제 1 도전형 영역(210, 2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트렌치(201) 및 제 2 트렌치(202)의 사이에 형성된 웰 영역과 상기 제 7 트렌치(207) 및 제 8 트렌치(208)의 사이에 형성된 웰 영역에 대해 형성된 제 1 도전형 영역(210)은 하나씩 형성되며, 이후 각각 순방향의 다이오드 구조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3 트렌치(203) 및 제 4 트렌치(204)의 사이에 형성된 웰 영역에 형성된 제 1 도전형 영역(211)은 각각 이격된 다수개로 구비되며, 도 3k에서는 4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갯수로서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후, 도 3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도전형 영역 형성 단계(S12)에서 상기 제 1 트렌치(201) 및 제 2 트렌치(202)의 사이에 형성된 웰 영역과, 상기 제 3 트렌치(203) 및 제 4 트렌치(204)의 사이에 형성된 웰 영역과, 상기 제 7 트렌치(207) 및 제 8 트렌치(208)의 사이에 형성된 웰 영역에 대해 각각 P+형의 제 2 도전형 영역(220, 221)이 형성된다. 이러한 도전형 영역(220, 221)은 3족 원소인 갈륨(Ga), 인듐(In) 또는 붕소(B)등의 불순물을 직접 이온주입 하거나 또는 열확산 공정을 진행하여, P+형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중, 상기 제 1 트렌치(201) 및 제 2 트렌치(202)의 사이에 형성된 웰 영역과, 상기 제 7 트렌치(207) 및 제 8 트렌치(208)의 사이에 형성된 웰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 2 도전형 영역(220)은 상기 제 1 도전형 영역(210)와 대응되도록 위치하고, 이들 도전형 영역(220, 230)의 구조를 통해 다이오드의 구조가 완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트렌치(203) 및 제 4 트렌치(204)의 사이에 형성된 웰 영역과에 형성된 제 2 도전형 영역(221)은 상기 제 1 도전형 영역(211)에 대응되어 교대하도록 이격된 다수개로 형성되며, 도 3l에서는 5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갯수로서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 2 도전형 영역(221)은 그 하부에 위치한 상기 제 3 에피택셜층(190), 제 2 매립층(160), 제 1 매립층(130) 및 서브스트레이트(110)와 함께 순차적으로 PNPN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쇼클리 다이오드(Shockley Diode)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쇼클리 다이오드 구조는 전후의 순방향 다이오드와 함께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낮은 캐패시턴스를 갖는 양방향성의 과도 전압 억제 소자(TVS)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비해 낮은 클램핑 전압(Vc)과 높은 피크 펄스 전류(Ipp)를 갖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램핑 전압(Vc)은 5A의 전류를 기준으로 측정한 결과, 기존 12V에 비해 낮아진 5V로 측정되었기 때문에 기존에 비해 낮은 전압으로부터도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에서 피크 펄스 전류(Ipp)는 기존 5A에서 8A로 증가였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 제 1 도전형 영역 형성(S11)에서 상기 제 1 도전형 영역(210, 211)들, 그리고 상기 제 2 도전형 영역 형성 단계(S12)에서 제 2 도전형 영역(220, 221)들은 각각 단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쇼클리 다이오드와 전후단의 다이오드의 구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공수를 줄일 수 있다.
이후, 도 3m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택 형성 단계(S13)에서 상기 구조의 상면에 대해 절연막(230)을 형성하고, 각 절연막(230)에 비아를 형성하여 각 다이오드 또는 쇼클리 다이오드 구조에 컨택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연막(230)은 규소 산화막, 질소 산화막, 언도프트 폴리 실리콘(undoped poly silicon), PSG(Phospho-Silicate-Glass), BPSG(Boro-Phosphor-Silicate-Glass) 또는 이들의 등가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3n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 전극 형성 단계(S14)에서 상기 상기 절연막(230)을 통해 노출된 제 1 도전형 영역(210), 제 2 도전형 영역(220) 및 제 4 매립층(190) 및 제 2 고농도 영역(190)의 상면에 전극(240)이 형성된다.
상기 전극(240)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니켈(Ni) 및 금(Au) 또는 그 등가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순차 스퍼터링 또는 순차 도금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도면의 좌우측 영역에 형성된 순방향 다이오드의 사이에 쇼클리 다이오드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2 도전형 영역(221), 제 2 에피택셜층(180), 제 2 매립층(160), 제 1 매립층(130) 및 서브스트레이트(110)는 순차적으로 PNPN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쇼클리 다이오드(Shockley Diode)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쇼클리 다이오드 구조는 좌우측의 순방향 다이오드와 함께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낮은 캐패시턴스를 갖는 양방향성의 과도 전압 억제 소자(TVS)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비해 낮은 클램핑 전압(Vc)과 높은 피크 펄스 전류(Ipp)를 갖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회로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구조에 대해 등가 회로를 함께 표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는 상기 제 2 도전형 영역(221), 제 2 에피택셜층(180), 제 2 매립층(160), 제 1 매립층(130) 및 서브스트레이트(110)로 구성된 PNPN 구조의 쇼클리 다이오드(Shockley Diode)가 전단의 순방향 다이오드 및 후단의 순방향 다이오드와 직렬로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5의 순방향 다이오드에 병렬로 도시된 다이오드는 별도로 설명하지 않았지만 기생 다이오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는 낮은 캐패시턴스를 갖는 양방향성의 과도 전압 억제 소자(TVS)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기존에 비해 낮은 클램핑 전압(Vc)과 높은 피크 펄스 전류(Ipp)를 갖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10; 서브스트레이트 120; 제 1 에피택셜층
130; 제 1 매립층 140; 제 2 에피택셜층
150; 제 1 고농도 영역 160; 제 2 매립층
170; 제 3 매립층 180; 제 3 에피택셜층
190; 제 2 고농도 영역 200; 트렌치
210, 211; 제 1 도전형 영역 220, 221; 제 2 도전형 영역
230; 절연막 240; 전극

Claims (13)

  1. 제 1 도전형의 서브스트레이트;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에피텍셜층;
    상기 에피택셜층에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제 1 매립층;
    상기 제 1 매립층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제 2 매립층;
    상기 에피택셜층에 한쌍으로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제 3 매립층;
    상기 에피택셜층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매립층과 제 3 매립층의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도전형의 고농도 영역;
    상기 에피택셜층에서 상기 제 3 매립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한쌍과, 상기 제 1 매립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개로 형성되는 제 1 도전형의 제 1 도전형 영역; 및
    상기 에피택셜층에서 상기 제 3 매립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한쌍과, 상기 제 1 매립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개로 형성되는 제 2 도전형의 제 2 도전형 영역을 포함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택셜층의 상부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에까지 이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매립층, 제 3 매립층 및 제 1 고농도 영역에 해당되는 영역을 수평 방향에서 격리시키는 트렌치를 더 포함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매립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개로 형성되는 제 2 도전형 영역은 이격된 각각 다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 1 매립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제 1 도전형 영역과 교대로 위치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매립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개로 형성되는 제 2 도전형 영역은 상부에 형성되는 전극을 통해 상기 한쌍의 제 1 도전형 영역 중 하나와 연결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매립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 1 도전형 영역 및 제 2 도전형 영역은 다이오드 구조를 형성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매립층은 상기 서브스트레이트를 통해 상기 고농도 영역과 연결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매립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2 도전형 영역, 에피택셜층, 제 2 매립층, 제 1 매립층 및 서브스트레이트는 쇼클리 다이오드 구조를 형성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택셜층의 상부로부터 형성되어 고농도 영역, 제 1 도전형 영역 및 제 2 도전형 영역의 각 일부를 노출시키는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택셜층은 상기 제 1 매립층 및 제 3 매립층이 형성되는 제 1 에피택셜층, 상기 제 1 에피택셜층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매립층이 형성되는 제 2 에피택셜층, 상기 제 2 에피택셜층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전형 영역 및 제 2 도전형 영역이 형성되는 제 3 에피택셜층을 포함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
  10. 제 1 도전형의 서브스트레이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에 제 1 도전형의 에피텍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에피택셜층에 대해 제 2 도전형의 제 1 매립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에피택셜층에 대해 상기 제 1 매립층의 측부 영역에서 제 1 도전형의 고농도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에피택셜층에 대해 상기 제 1 매립층의 상부에 제 1 도전형의 제 2 매립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에피택셜층에 대해 상기 제 1 매립층과 고농도 영역의 측부에 각각 상기 제 2 도전형의 한쌍의 제 3 매립층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에피택셜층에 대해 한쌍의 상기 제 1 매립층과 제 3 매립층에 각각 해당하는 상측 영역에서 제 1 도전형의 제 1 도전형 영역과 제 2 도전형의 제 2 도전형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택셜층에 대해 상기 제 1 매립층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제 1 도전형 영역과 제 2 도전형 영역은 각각 다수개로 구비되어, 서로 교대로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제조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택셜층의 상부로부터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에까지 이르도록, 상기 제 1 매립층, 제 3 매립층 및 고농도 영역에 해당되는 영역을 각각 격리하도록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제조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매립층의 상부에 전극을 형성하여 한쌍의 상기 제 1 도전형 영역 중 하나와 상기 제 4 매립층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170084457A 2017-07-03 2017-07-03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955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457A KR101955098B1 (ko) 2017-07-03 2017-07-03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457A KR101955098B1 (ko) 2017-07-03 2017-07-03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183A true KR20190004183A (ko) 2019-01-11
KR101955098B1 KR101955098B1 (ko) 2019-05-30

Family

ID=65028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457A KR101955098B1 (ko) 2017-07-03 2017-07-03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0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2065A (ja) * 1985-04-19 1986-10-28 Sanyo Electric Co Ltd 相補型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KR20150105498A (ko) * 2014-03-06 2015-09-17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저 비용의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JP2016046383A (ja) * 2014-08-22 2016-04-0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2065A (ja) * 1985-04-19 1986-10-28 Sanyo Electric Co Ltd 相補型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KR20150105498A (ko) * 2014-03-06 2015-09-17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저 비용의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JP2016046383A (ja) * 2014-08-22 2016-04-0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098B1 (ko) 2019-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4751B2 (en) SiGe DIAC ESD protection structure
US9019667B2 (en) Protection device and related fabrication methods
US9330961B2 (en) Stacked protection devices and related fabrication methods
US9646836B2 (en)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CN107039501B (zh) 半导体器件
EP2827373B1 (en) Protection device and related fabrication methods
US8841696B2 (en) High-trigger current SCR
KR101686569B1 (ko)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8749024B2 (en) Stacked ESD clamp with reduced variation in clamp voltage
US6815799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KR101731587B1 (ko)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621145B1 (ko)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955098B1 (ko)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779588B1 (ko)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893673B1 (ko)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9395B1 (ko) 래터럴 타입 쇼클리 다이오드 구조를 이용한 양방향 로우 클램핑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04182A (ko)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607207B1 (ko)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24287A (ko) 쇼클리 다이오드 구조를 이용한 양방향 로우 클램핑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850851B1 (ko)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171862B1 (ko) 단방향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171860B1 (ko) 스냅백 구조를 갖는 단방향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187242B1 (ko)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171861B1 (ko)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686568B1 (ko)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