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883A - 간격 조절 공구 - Google Patents

간격 조절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883A
KR20190003883A KR1020170083232A KR20170083232A KR20190003883A KR 20190003883 A KR20190003883 A KR 20190003883A KR 1020170083232 A KR1020170083232 A KR 1020170083232A KR 20170083232 A KR20170083232 A KR 20170083232A KR 20190003883 A KR20190003883 A KR 20190003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member
workpiece
rotation
body portion
rotar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9205B1 (ko
Inventor
임양택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3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205B1/ko
Publication of KR20190003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035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tor-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억지 끼움 방식의 조립 구조에서 조립 부분의 틈새를 적은 힘으로 조절 가능함에 따라 작업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틈새를 통한 조립 부분의 내경 증대시 손상이 최소화되어 내구성 저하가 방지되는 간격 조절 공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간격 조절 공구 {TOOL FOR ADJUSTING GAP}
본 발명은 억지 끼움 방식의 조립 구조에서 조립 부분의 틈새를 벌려 내경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구성시 부품과 부품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볼트 체결 방식, 접착 방식, 억지 끼움 방식 등 다양한 조립 방법이 이용된다.
특히, 억지 끼움 방식의 경우 특정 부품의 외경과, 조립 부품의 내경의 차이에 따라 억지 끼움의 강도가 결정되는데, 특정 부품의 외경과 조립 부품의 내경의 차이가 근삿값에 있어야 충분한 조립 강도가 확보된다.
다만, 특정 부품의 외경과 조립 부품의 내경의 차이가 근삿값에 있을 경우 조립이 매우 어려운바, 조립 부품의 내경 크기가 변화될 수 있도록 틈새를 주어, 조립시에는 조립 부품의 내경 크기가 증가되어 조립이 원활히 되고, 조립 완료시에는 조립 부품의 내경 크기가 감소되어 조립 강도가 확보되도록 한다.
일례로, 차량 너클에 쇽업소버를 억지 끼움 방식으로 조립시, 너클의 조립 단부에 형성된 틈새를 이용하여 쇽업소버가 조립될 수 있도록 내경을 조절해야 한다. 이때, 너클은 강성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가 너클을 강제적으로 변형시키는데 무리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20-2000-0011752 U (2000.07.05)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억지 끼움 방식의 조립 구조에서 조립 부분의 틈새를 적은 힘으로 조절 가능함에 따라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는 간격 조절 공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간격 조절 공구는 작업물에 지지되고, 작업물의 틈새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몸체부;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운동시 직선 운동되는 가압부재; 및 몸체부에서 가압부재가 직선 운동되는 경로 상에 위치되고,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몸체부와 함께 작업물의 틈새에 끼워지도록 형성됨으로써, 가압부재의 직선 운동에 의해 회전 운동되어 작업물의 틈새를 벌리는 회전부재;를 포함한다.
몸체부는 일측에 가압부재가 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관통 연결되고, 타측에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압부재가 측방향으로 이동시 회전부재가 밀려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부의 일측에는 가압부재가 관통되되 나사 연결되어 회전시 측방향으로 직선 이동되고, 작업물의 틈새에 끼워지는 일측걸림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부의 타측에는 회전부재가 가압부재의 직선 운동에 대응되는 위치에 힌지 연결되고, 회전부재에는 작업물의 틈새에 끼워지는 타측걸림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부에서 회전부재가 미회전된 초기 상태에서, 일측걸림단과 타측걸림단은 상호 교차된 상태에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부는,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압부재가 측방향으로 관통 연결된 회전지지부재가 더 포함되며, 타측에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압부재가 측방향으로 이동시 회전부재가 밀려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지지부재에는 가압부재가 관통되되 나사 연결되어 회전시 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작업물의 틈새에 끼워지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부의 일측에는 회전지지부재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회전지지부재가 일측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내에서만 회전되도록 제한하는 일측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측지지부 또는 회전지지부재에는 일측지지부와 회전지지부재가 접촉되는 부위에 일측스톱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부의 타측에는 회전부재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회전부재가 소정 각도 내에서만 회전되도록 제한하는 타측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타측지지부 또는 회전부재의 타측단에는 타측지지부와 회전부재가 접촉되는 부위에 타측스톱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부에는 작업물과 반대되는 단부에 연장된 파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압부재의 일측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핸들바가 결합되고, 타측단이 회전부재의 일측단에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부재의 일측단에는 가압부재가 접촉되는 부위에 각도조절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부의 일측과 회전부재에는 각각 작업물과 대향하는 부위에 탄성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압부재의 일측단에 설치되어 가압부재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부는, 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모터에서 연장되어 가압부재에 연결되고, 모터 동작시 모터의 회전 동력을 가압부재에 전달하는 연결로드; 일단이 모터에 결합되고 타단이 몸체부에 결합됨으로써 모터 동작에 의해 가압부재의 회전시 모터와 몸체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지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간격 조절 공구에 따르면, 억지 끼움 방식의 조립 구조에서 조립 부분의 틈새를 적은 힘으로 조절 가능함에 따라 작업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틈새를 통한 조립 부분의 내경 증대시 손상이 최소화되어 내구성 저하가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 공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 공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 공구를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7은 도 1에 도시된 간격 조절 공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간격 조절 공구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 공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 공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 공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7은 도 1에 도시된 간격 조절 공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간격 조절 공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물(10)에 지지되고, 작업물(10)의 틈새(10c)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몸체부(100); 몸체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운동시 직선 운동되는 가압부재(200); 및 몸체부(100)에서 가압부재(200)가 직선 운동되는 경로 상에 위치되고, 몸체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몸체부(100)와 함께 작업물(10)의 틈새에 끼워지도록 형성됨으로써, 가압부재(200)의 직선 운동에 의해 회전 운동되어 작업물(10)의 틈새를 벌리는 회전부재(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작업물(10)은 너클(10a)이 될 수 있으며, 너클(10a)의 조립단부에 쇽업소버(10b)가 결합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여 보면, 너클(10a)의 조립단부에는 내경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틈새가 형성되고, 조립단부의 틈새를 강제적으로 벌려 쇽업소버(10b)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너클(10a)은 강성체로 구성됨에 따라 조립단부의 틈새를 벌릴 경우 1 ton 이상의 반력이 발생되는데, 작업자의 힘으로 틈새를 벌려 작업을 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다. 또한, 작업자가 틈새 사이로 도구를 끼어 강제적으로 벌리거나, 과도하게 틈새를 벌릴 경우 너클(10a)의 조립단부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간격 조절도구는 몸체부(100), 가압부재(200), 회전부재(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몸체부(100)는 작업물(10)의 틈새에 끼워짐과 동시에 작업물(10)에 지지되도록 형성되고, 몸체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재(300)도 작업물(10)의 틈새에 끼워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몸체부(100)와 회전부재(300)가 작업물(10)의 틈새에 끼워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압부재(200)를 회전시키면, 가압부재(200)가 몸체부(100)에서 직선 이동되어 회전부재(300)를 밀어줌으로써 회전부재(300)가 회전 이동됨에 따라 작업물(10)의 틈새를 벌린다.
단, 작업물(10)의 틈새가 과도하게 벌어질 경우 내구 손상이 발생되는바, 몸체부(100)의 타측에는 회전부재(300)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회전부재(300)가 소정 각도 내에서만 회전되도록 제한하는 타측지지부(102)가 형성된다. 여기서, 타측지지부(102)는 회전부재(300)의 타측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회전부재(300)가 소정 각도 회전시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회전부재(300)가 타측지지부(102)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는 소정 각도는 1 mm 정도로, 작업물(10)에 부품이 끼워질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이 확보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몸체부(100)에서 가압부재(200)를 회전시켜 회전부재(300)를 회전 이동시킴에 따라 작업물(10)의 틈새를 벌리는 작업시, 회전부재(300)는 몸체부(100)에 형성된 타측지지부(102)에 접촉되는 위치까지만 회전됨으로써 회전부재(300)의 과도한 회전에 의해 작업물(10)이 손상되지 않는다.
여기서, 타측지지부(102) 또는 회전부재(300)의 타측단에는 타측지지부(102)와 회전부재(300)가 접촉되는 부위에 타측스톱퍼(30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타측스톱퍼(303)는 탄성 소재의 고무재질로 구성되어 타측지지부(102)와 회전부재(300)의 접촉시 마찰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300)의 타측단에 함몰되게 설치되어 설치 공간이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회전부재(300)의 일측단에는 가압부재(200)가 접촉되는 부위에 각도조절부(302)가 마련되도록 하여, 핸들바(220)의 회전 각도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각도조절부(302)는 회전부재(300)에 마련된 상태에서, 두께에 따라 가압부재(200)가 이동되는 거리를 규제함으로써 핸들바(220)의 회전 각도가 결정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각도조절부(302)를 다양한 작업물 중 해당 작업물에 적합한 벌림량을 고려하여, 그 작업물에 적합한 두께의 각도조절부(302)를 회전부재(300)에 마련해줌으로써 핸들바(220)의 회전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아울러, 핸들바(220)의 각도가 규제됨으로써 핸들바(220)의 프리상태 및 작동상태의 각도를 결정하여, 특정 상황에 맞춰 핸들바(220)가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각도조절부(302)에는 가압부재(200)와 회전부재(300)가 상호 접촉시 마찰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기 위한 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는 마찰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열처리된 경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질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200)의 일측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핸들바(220)가 결합되고, 타측단이 회전부재(300)의 일측단에 접촉되도록 구성하여, 작업자가 핸들바(220)를 잡아 회전시킴에 따라 가압부재(200)가 회전 운동됨에 따른 직선 이동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핸들바(220)는 작업물(10)의 틈새를 벌릴 때 필요로 하는 토크에 따라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에는 작업물(10)과 반대되는 단부에 연장된 파지부(10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파지부(106)는 작업자가 파지하기 쉽도록 봉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작업자가 파지부(106)를 잡아 몸체부(100)를 작업물(10)에 고정한 상태에서 핸들바(220)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몸체부(100)가 작업물(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부재(300)가 회전되어 작업물(10)의 틈새를 벌릴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몸체부(100)의 일측과 회전부재(300)에는 각각 작업물(10)과 대향하는 부위에 탄성지지부(104,30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작업물(10)의 틈새를 조절하기 위한 작업시, 몸체부(100)의 일측과 회전부재(300)는 작업물(10)에 접촉되는바, 몸체부(100)와 회전부재(300)에는 작업물(10)과 대향하여 접촉되는 부위에 각각 탄성지지부(104,304)를 형성하여, 몸체부(100)와 회전부재(300)가 작업물(10)에 접촉됨에 따른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탄성지지부(104,304)는 고무 재질과 같은 연질의 소재로 구성되어 몸체부(100) 및 회전부재(300)가 작업물(10)에 접촉시 해당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작업물(10)의 틈새를 쉽게 적은 힘으로 작업물(10)의 틈새 간극을 조정 가능함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틈새를 통한 조립 부분의 내경 증대시 과도한 내경 증대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어 내구성 저하가 방지된다.
하기에는 본 발명의 간격 조절 공구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는 일측에 가압부재(200)가 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관통 연결되고, 타측에 회전부재(3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압부재(200)가 측방향으로 이동시 회전부재(300)가 밀려 회전될 수 있다.
즉, 몸체부(100)의 일측에는 가압부재(200)가 관통 연결되고, 타측에는 회전부재(3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가압부재(200)가 회전됨에 따른 직선 운동에 의해 회전부재(300)가 밀려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몸체부(100)와 회전부재(300)가 작업물(10)의 틈새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부재(300)가 몸체부(100)에서 회전됨에 따라 작업물(10)의 틈새를 벌려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실시예에서는 가압부재(200)의 일측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핸들바(220)가 결합되고, 몸체부(100)에는 작업물(10)과 반대되는 단부에서 연장된 파지부(106)가 형성됨으로써 작업자가 파지부(106)를 파지하여 몸체부(100)를 작업물(1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핸들바(220)를 조작하여 틈새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다.
상세하게,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몸체부(100)의 일측에는 가압부재(200)가 관통되되 나사 연결되어 회전시 측방향으로 직선 이동되고, 작업물(10)의 틈새에 끼워지는 일측걸림단(1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몸체부(100)의 일측으로 가압부재(200)가 관통되어 직선 운동이 가능하며, 가압부재(200)는 몸체부(100)에 나사 연결됨으로써 회전 운동시 직선 운동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에는 작업물(10)의 틈새에 끼워지는 일측걸림단(101)이 형성되는데, 이 일측걸림단(101)은 몸체부(100)에서 작업물(10)과 대향하는 부위에 위치되고, 갈고리 형태로 이루어지며, 작업물(10)의 틈새에 원활히 끼워지도록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몸체부(100)의 타측에는 회전부재(300)가 가압부재(200)의 직선 운동에 대응되는 위치에 힌지 연결되고, 회전부재(300)에는 작업물(10)의 틈새에 끼워지는 타측걸림단(30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부재(300)는 몸체부(100)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압부재(200)의 직선 운동에 의해 밀리도록 위치되어, 가압부재(200)의 직선 운동에 의해 회전 운동된다. 이러한 회전부재(300)에는 작업물(10)의 틈새에 끼워지는 타측걸림단(301)이 형성되는데, 이 타측걸림단(301)은 작업물(10)에 대향하는 부위에 위치되고, 갈고리 형태로 이루어지며, 작업물(10)의 틈새에 원활히 끼워지도록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몸체부(100)에서 회전부재(300)가 미회전된 초기 상태에서, 일측걸림단(101)과 타측걸림단(301)은 상호 교차된 상태에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100)의 일측걸림단(101)은 하나의 갈고리 형태로 절곡 형성되고, 회전부재(300)의 타측걸림단(301)은 일측걸림단(101)을 중심으로 이격된 두 개의 갈고리 형태로 절곡 형성됨으로써, 몸체부(100)에서 회전부재(300)가 미회전된 초기 상태는 일측걸림단(101)과 타측걸림단(301)이 상호 교차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일측걸림단(101)과 타측걸림단(301)은 평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일측걸림단(101)과 타측걸림단(301)이 작업물(10)의 틈새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부재(300)의 회전시 작업물(10)의 틈새를 안정적으로 벌릴 수 있으며, 작업물(10)의 틈새에 면접촉됨에 따라 내구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제2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는,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압부재(200)가 측방향으로 관통 연결된 회전지지부재(120)가 더 포함되며, 타측에 회전부재(3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압부재(200)가 측방향으로 이동시 회전부재(300)가 밀려 회전될 수 있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 서술된 회전부재(300)와 더불어, 몸체부(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지지부재(120)를 더 구성하는 것으로, 회전지지부재(120)와 회전부재(30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작업물의 틈새가 벌어지도록 동작된다.
즉, 몸체부(100)의 일측에는 회전지지부재(1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회전지지부재(120)에 가압부재(200)가 관통 연결되며, 몸체부(100)의 타측에는 회전부재(3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가압부재(200)가 회전됨에 따른 직선 운동에 의해 회전부재(300)가 밀려 회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지지부재(120)와 회전부재(300)가 작업물(10)의 틈새에 끼워진 상태에서, 가압부재(200)가 회전부재(300) 측으로 이동시 가압부재(200)가 회전지지부재(120)와 회전부재(300)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킴에 따라 작업물(10)의 틈새가 벌려져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실시예는 가압부재(200)의 일측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핸들바(220)가 결합되고, 몸체부(100)에는 작업물(10)과 반대되는 단부에서 연장된 파지부(106)가 형성됨으로써 작업자가 파지부(106)를 파지하여 몸체부(100)를 작업물(1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핸들바(220)를 조작하여 틈새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회전지지부재(120)에는 가압부재(200)가 관통되되 나사 연결되어 회전시 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작업물(10)의 틈새에 끼워지는 걸림턱(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회전지지부재(120)에는 가압부재(200)가 관통되어 직선 운동이 가능하며, 가압부재(200)는 회전지지부재(120)에 나사 연결됨으로써 회전 운동시 직선 운동될 수 있다.
또한, 회전지지부재(120)에는 작업물(10)의 틈새에 끼워지는 걸림턱(121)이 형성되는데, 이 걸림턱(121)은 작업물(10)에 대향하는 부위에 위치되고 갈고리 형태로 절곡되게 형성되며, 작엄물의 틈새에 원활히 끼워지도록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00)의 타측에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회전부재(300)가 마련됨에 따라 회전지지부재(120)는 회전부재(300)와 함께 틈새에 끼워지고, 회전 동작에 의해 작업물(10)의 틈새가 벌어지게 한다.
한편, 몸체부(100)의 일측에는 회전지지부재(120)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회전지지부재(120)가 일측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내에서만 회전되도록 제한하는 일측지지부(10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지지부재(120)가 일측지지부(105)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는 소정 각도는 1 mm 정도로, 작업물(10)에 부품이 끼워질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이 확보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압부재(200)를 이동시켜 회전지지부재(120)와 회전부재(300) 간의 거리가 이격됨에 따라 회전지지부재(120)와 회전부재(300)의 회전시 회전지지부재(120)는 몸체부(100)에 형성된 일측지지부(105)에 접촉되는 위치까지만 회전됨으로써 회전지지부재(120)의 과도한 회전에 의해 작업물(10)이 손상되지 않는다. 여기서, 회전부재(300)는 제1실시예의 설명시 서술된 타측지지부(102)에 의해 회전 위치가 제한된다.
여기서, 일측지지부(105) 또는 회전지지부재(120)에는 일측지지부(105)와 회전지지부재(120)가 접촉되는 부위에 일측스톱퍼(1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일측스톱퍼(125)는 탄성 소재의 고무재질로 구성되어 일측지지부(105)와 회전지지부재(120)의 접촉시 마찰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지지부재(120)의 일측단에 함몰되게 설치되어 설치 공간이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3실시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200)의 일측단에는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240);를 더 포함함으로써 가압부재(200)의 회전이 전동으로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즉, 가압부재(200)는 구동부(240)에서 전달되는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가압부재(200)를 회전시키지 않고, 스위치 조작만으로 가압부재(200)가 회전됨에 따라 작업 편의성이 더욱 향상된다. 여기서, 작업물(10)의 틈새를 벌리는 몸체부(100) 및 회전부재(300)는 제1실시예와 같이 적용될 수 있으며, 몸체부(100)에 관통된 가압부재(200)에 구동부(240)가 더 포함되는 것이다.
상세하게, 구동부(240)는, 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241); 모터(241)에서 연장되어 가압부재(200)에 연결되고, 모터(241) 동작시 모터(241)의 회전 동력을 가압부재(200)에 전달하는 연결로드(242); 일단이 모터(241)에 결합되고 타단이 몸체부(100)에 결합됨으로써 모터(241) 동작에 의해 가압부재(200)의 회전시 모터(241)와 몸체부(100)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지그(243);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모터(241)는 정역 회전 모터이고, 스위치 조작에 의해 온오프 동작되며, 가압부재(200)와 나사 연결된 연결로드(242)를 통해 회전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단, 모터(241) 동작시 가압부재(200)가 회전되지 않고, 반력에 의해 모터(241) 자체가 회전될 수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모터(241)와 몸체부(100)에 연결되어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지그(243)가 마련됨으로써 모터(241)의 회전 동력이 가압부재(200)에 정확히 전달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모터(241)와 몸체부(100)에 연결되어 모터(241)와 몸체부(10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지그(243)에 의해, 모터(241) 동작시 가압부재(200)에 전달된 회전동력에 의해 가압부재(200)가 정확히 회전 이동되어 회전부재(300)를 회전시킴에 따라 작업물(10)의 틈새를 벌릴 수 있다.
이러한 고정지그(243)는 모터(241)와 몸체부(100)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착용 또는 탈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기에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간격 조절 공구의 제1실시예를 참고하여 작업물(10)의 틈새 조절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작업물(10)은 너클(10a)과 쇽업소버(10b)를 예시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일측걸림단(101)과 회전부재(300)의 타측걸림단(301)을 너클(10a) 조립단부의 틈새(10c)에 삽입한 상태에서, 핸들바(220)를 회전 조작하면 핸들바(220)와 함께 가압부재(200)가 몸체부(100)에서 회전 이동됨에 따라 회전부재(300)를 밀어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몸체부(100)의 일측걸림단(101)과 회전부재(300)의 타측걸림단(301)이 너클(10a) 조립단부의 틈새(10c)를 벌려 내경이 커지게 되고, 쇽업소버(10b)가 삽입 가능한 상태가 되어 너클(10a)에 쇽업소버(10b)를 원활히 장착할 수 있다.
이렇게, 너클(10a)에 쇽업소버(10b)가 장착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바(2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조작을 통해, 가압부재(200)가 몸체부(100)에서 회전 이동되어 반대방향으로 후퇴 이동되고, 가압부재(200)에 밀려있던 회전부재(300)는 자유 회전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몸체부(100)의 일측걸림단(101)과 회전부재(300)의 타측걸림단(301)을 너클(10a) 조립단부의 틈새(10c)에서 원활히 탈거할 수 있으며, 너클(10a) 조립단부가 원상태로 복원됨에 따라 쇽업소버(10b)를 감싸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간격 조절 공구에 따르면, 억지 끼움 방식의 조립 구조에서 조립 부분의 틈새(10c)를 적은 힘으로 조절 가능함에 따라 작업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틈새(10c)를 통한 조립 부분의 내경 증대시 손상이 최소화되어 내구성 저하가 방지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몸체부 101:일측걸림단
102:타측지지부 104,304:탄성지지부
105:일측지지부 105:파지부
120:회전지지부재 121:걸림턱
125:일측스톱퍼 200:가압부재
220:핸들바 240:구동부
241:모터 242:연결로드
243:고정지그 300:회전부재
301:타측걸림단 302:각도조절부
303:타측스톱퍼

Claims (17)

  1. 작업물에 지지되고, 작업물의 틈새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몸체부;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운동시 직선 운동되는 가압부재; 및
    몸체부에서 가압부재가 직선 운동되는 경로 상에 위치되고,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몸체부와 함께 작업물의 틈새에 끼워지도록 형성됨으로써, 가압부재의 직선 운동에 의해 회전 운동되어 작업물의 틈새를 벌리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간격 조절 공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부는 일측에 가압부재가 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관통 연결되고, 타측에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압부재가 측방향으로 이동시 회전부재가 밀려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 공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몸체부의 일측에는 가압부재가 관통되되 나사 연결되어 회전시 측방향으로 직선 이동되고, 작업물의 틈새에 끼워지는 일측걸림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 공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몸체부의 타측에는 회전부재가 가압부재의 직선 운동에 대응되는 위치에 힌지 연결되고, 회전부재에는 작업물의 틈새에 끼워지는 타측걸림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 공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몸체부에서 회전부재가 미회전된 초기 상태에서, 일측걸림단과 타측걸림단은 상호 교차된 상태에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 공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부는,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압부재가 측방향으로 관통 연결된 회전지지부재가 더 포함되며,
    타측에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압부재가 측방향으로 이동시 회전부재가 밀려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 공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회전지지부재에는 가압부재가 관통되되 나사 연결되어 회전시 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작업물의 틈새에 끼워지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 공구.
  8. 청구항 6에 있어서,
    몸체부의 일측에는 회전지지부재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회전지지부재가 일측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내에서만 회전되도록 제한하는 일측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 공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일측지지부 또는 회전지지부재에는 일측지지부와 회전지지부재가 접촉되는 부위에 일측스톱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 공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부의 타측에는 회전부재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회전부재가 소정 각도 내에서만 회전되도록 제한하는 타측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 공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타측지지부 또는 회전부재의 타측단에는 타측지지부와 회전부재가 접촉되는 부위에 타측스톱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 공구.
  12.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부에는 작업물과 반대되는 단부에 연장된 파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 공구.
  13.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압부재의 일측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핸들바가 결합되고, 타측단이 회전부재의 일측단에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 공구.
  14.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부재의 일측단에는 가압부재가 접촉되는 부위에 각도조절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 공구.
  15.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부의 일측과 회전부재에는 각각 작업물과 대향하는 부위에 탄성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 공구.
  16.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압부재의 일측단에 설치되어 가압부재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 공구.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구동부는,
    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모터에서 연장되어 가압부재에 연결되고, 모터 동작시 모터의 회전 동력을 가압부재에 전달하는 연결로드;
    일단이 모터에 결합되고 타단이 몸체부에 결합됨으로써 모터 동작에 의해 가압부재의 회전시 모터와 몸체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지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 공구.
KR1020170083232A 2017-06-30 2017-06-30 간격 조절 공구 KR101949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232A KR101949205B1 (ko) 2017-06-30 2017-06-30 간격 조절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232A KR101949205B1 (ko) 2017-06-30 2017-06-30 간격 조절 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883A true KR20190003883A (ko) 2019-01-10
KR101949205B1 KR101949205B1 (ko) 2019-02-19

Family

ID=65020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232A KR101949205B1 (ko) 2017-06-30 2017-06-30 간격 조절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2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23448A (zh) * 2022-03-08 2022-05-24 高春红 一种滚纸轴装配设备
KR20220102814A (ko) * 2021-01-14 2022-07-21 (주)세아메카닉스 다이캐스팅 주조기용 플런저의 슬리브 접촉링 교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268Y1 (ko) * 1995-12-29 1998-10-15 김태구 베어링 분리용 공구
KR20000011752U (ko) 1998-12-08 2000-07-05 김형국 커플링 틈새 조정용 공구
KR20020023289A (ko) * 2002-01-11 2002-03-28 이석현 파지부 간격의 이중조절이 가능한 스패너
KR20020059140A (ko) * 2001-01-02 2002-07-12 권혁수 압축기 겸용 확장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268Y1 (ko) * 1995-12-29 1998-10-15 김태구 베어링 분리용 공구
KR20000011752U (ko) 1998-12-08 2000-07-05 김형국 커플링 틈새 조정용 공구
KR20020059140A (ko) * 2001-01-02 2002-07-12 권혁수 압축기 겸용 확장기
KR20020023289A (ko) * 2002-01-11 2002-03-28 이석현 파지부 간격의 이중조절이 가능한 스패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814A (ko) * 2021-01-14 2022-07-21 (주)세아메카닉스 다이캐스팅 주조기용 플런저의 슬리브 접촉링 교체장치
CN114523448A (zh) * 2022-03-08 2022-05-24 高春红 一种滚纸轴装配设备
CN114523448B (zh) * 2022-03-08 2024-02-13 江西锐泽纸基环保新材料有限公司 一种滚纸轴装配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205B1 (ko) 201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3737B2 (en) Drive arrangement and hatch control
RU2577637C2 (ru) Шарнирно-сочлененное запястье робота
KR101949205B1 (ko) 간격 조절 공구
KR101634671B1 (ko) 차동기어를 이용한 가변 강성 조인트 및 방법
WO2015053217A1 (ja) 給電装置及び給電装置の組立方法
KR102188407B1 (ko) 회전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2 자유도 회전 암
CN111527315B (zh) 具有角度补偿功能的紧固装置
KR101627578B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의 록킹조립체
US20170247942A1 (en) Extensible headrail cap assembly for a window covering
JP2016113761A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KR20150071572A (ko)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JP2020516791A (ja) 自動車の閉鎖要素を駆動するための摩擦接続アッセンブリ
JP2008155665A (ja) パネルへの部品取り付け方法及びその取り付け装置
KR101259387B1 (ko) 토크 인가 및 해제 장치
CN112805120B (zh) 夹持装置
KR102030938B1 (ko) 그립핸들용 위치 가변형 테스트 지그
KR102342861B1 (ko) 전동공구용 보조핸들
JP4889284B2 (ja) ドアクローザ用外装式ストップ装置
CN112338242A (zh) 一种自锁钻夹头
CN110605569A (zh) 安装机构
KR20050005842A (ko) 패널 클램핑 장치
JP6587458B2 (ja) ドライブシャフトの組付け装置
KR101382807B1 (ko) 파팅 갭 조절이 가능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
JP2007313604A (ja) ウェザーストリップ挿入工具および挿入方法
JP2010236559A (ja) 配管の車体へ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