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276U - 강화 마루 바닥재 및 층간 소음 방지재 - Google Patents

강화 마루 바닥재 및 층간 소음 방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276U
KR20190003276U KR2020180002857U KR20180002857U KR20190003276U KR 20190003276 U KR20190003276 U KR 20190003276U KR 2020180002857 U KR2020180002857 U KR 2020180002857U KR 20180002857 U KR20180002857 U KR 20180002857U KR 20190003276 U KR20190003276 U KR 201900032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hape structure
flooring
reinforced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8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148Y1 (ko
Inventor
김성필
Original Assignee
김성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필 filed Critical 김성필
Priority to KR20201800028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148Y1/ko
Publication of KR201900032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2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1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1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of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e.g. bonded with synthetic re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5Underlayers in the form of studded or ribbed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Abstract

강화 마루 바닥재가 개시된다. 강화 마루 바닥재는 스크래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제1 레이어; 및 상기 제1 레이어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면에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엠보싱이 형성된 제2 레이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강화 마루 바닥재 및 층간 소음 방지재{Flooring material for reinforced floor and a preventive material for the floor impact sound}
본 고안은 강화 마루 바닥재 및 층간 소음 방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 건축물의 실내 몰탈층에는 일정한 두께의 바닥재를 이용하여 마감하므로 바닥면의 시공을 완성하는 것으로, 근자에 들어서는 목분을 고밀도 압축시켜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강화마루 패널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 각각의 마루패널을 종횡 연속적으로 연결 조립하므로서 실내의 바닥면을 완성 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강화 마루패널을 이용한 종래의 바닥재는 시공시 실내의 콘크리트 및 몰탈층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방지하기 위해 1차적으로 비닐지를 접착제에 의해 접착후 2차적으로 PE폼시트를 접착제비닐지상부에 접착시공하고, 3차적으로 PE폼시트의 상부에 강화 마루패널을 접착시공하여 되는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강화 마루 패널의 경우 지면의 난방 열 전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층간 소음을 방지하고 난방 열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강화 마루 바닥재 및 층간 소음 방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강화 마루 바닥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화 마루 바닥재에 있어서, 스크래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제1 레이어; 및 상기 제1 레이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레이어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면에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엠보싱이 형성된 제2 레이어를 포함하는 강화 마루 바닥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레이어의 저면은 돌출부 및 홈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제1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유닛 구조를 가지는 제1 형상 구조체(210)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레이어의 상면은 상기 돌출부 및 홈부 중 다른 하나로 형성되는 제2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유닛 구조를 가지는 제2 형상 구조체(310)로 형성되되, 상기 제1 형상 구조체(210)의 각 유닛 구조와 상기 제2 형상 구조체(310)의 각 유닛 구조는 크기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형상 구조체(210)에 포함되는 각 유닛 구조의 크기는 상기 제2 형상 구조체(310)에 포함되는 각 유닛 구조 크기의 n배 또는 1/n배 일 수 있다.
상기 제2 레이어의 하면은 충격 흡수를 위해 일정한 높이의 돌출부를 가지는 제3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유닛 구조를 가지는 제3 형상 구조체(410)로 형성되되, 상기 제3 형상 구조체(410)에 포함된 각 유닛 구조의 내부에는 상기 난방 열을 상층으로 전달하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레이어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ABS 수지(ABS 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폴리스티렌(PS: Polystylene)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되, 진공 성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레이어는 우레탄 계열(PU) 또는 수지 계열(UREA)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레이어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다른 강화 마루 바닥재와의 조립을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레이어의 측면 중 나머지는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층간 소음재에 있어서, 복수의 레이어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엠보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층간 소음재는 강화 마루 위에 설치되거나 강화 마루 대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 마루 바닥재 및 층간 소음 방지재를 제공함으로써 층간 소음을 방지하고 난방 열 전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 마루 바닥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레이어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레이어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레이어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레이어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 마루 바닥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레이어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레이어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레이어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 마루 바닥재(100)는 제1 레이어(110) 및 제2 레이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레이어(110)는 강화 마루 바닥재(100)의 상측 레이어로, 제1 레이어(110)의 상면에는 비닐지와 같은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제1 레이어(110)의 상면에는 강화 마루 바닥재(100)의 무늬가 형성되며, 스크래치나 낙서로부터 제1 레이어(110)의 상면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투명 비닐지와 같은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제1 레이어(110)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제1 레이어(110)가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는 것을 가정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ABS 수지(ABS 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폴리스티렌(PS: Polystylene)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레이어(110)는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레이어(110)는 진공 형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레이어(110)는 수컷 형 또는 암틀 중 하나의 형태를 이용하여 가열 연화시킨 플라스틱 시트를 누르고, 플라스틱 시트와 형식 사이에 있는 공기를 진공으로 흡입하여 형식에 밀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진공 성형 자체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레이어(120)는 일면에 층간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엠보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레이어(120)는 제1 레이어(110)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층간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레이어(120)는 지면의 난방 열을 효율적으로 상측부(즉, 제1 레이어(110))로 전달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다. 즉, 각 엠보싱 내부에 빈 홀(hole)이 형성됨에 따라 지면의 난방 열이 제2 레이어(120)에 의해 흡수되지 않고, 형성된 홀의 공기층을 따라 직접적으로 제1 레이어(110)로 전달됨에 따라 열 전달 효율이 높은 이점이 있다.
즉, 제2 레이어(120)는 제1 레이어(110)의 하부에 위치되며, 제1 레이어(110)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지면에서 올라오는 난방 열을 제1 레이어(11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레이어(110)와 제2 레이어(120)는 블록 조립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레이어(110)와 제2 레이어(120)가 맞닿는 제1 레이어(110)의 하면과 제2 레이어(120)의 상면은 각각 제1 형상 구조체(210) 및 제2 형상 구조체(31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 인해, 제1 레이어(110)의 하면은 제1 레이어(110)의 상면에 끼워 맞춰짐에 따라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형상 구조체(210)와 제2 형상 구조체(310)가 격자 구조체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제1 형상 구조체(210)는 제2 형상 구조체(3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홈부를 가지는 격자 구조체일 수 있다. 또한, 제2 형상 구조체(310)는 격자 구조체이되, 돌출부를 가지는 격자 구조체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형상 구조체(310)가 형성된 제2 레이어(120)의 상면의 돌출부는 제1 레이어(110)의 하면에 형성된 제1 형상 구조체(210)의 홈부에 끼워 맞춰짐에 따라 조립될 수 있다.
제1 형상 구조체(210)와 제2 형상 구조체(310)의 형상은 동일하나 크기는 동일할 수도 있으며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형상 구조체(310)의 각 유닛 구조의 크기는 제1 형상 구조체(210)의 각 유닛 구조의 1/n일 수 있다. 즉, 제1 형상 구조체(210)의 각 유닛 구조의 크기는 제2 형상 구조체(310)의 각 유닛 구조의 크기에 n배일 수 있다.
도 2에는 제1 레이어(110)의 상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제1 레이어(110)의 하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제2 레이어(120)의 상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1 레이어(110)의 하면 및 제2 레이어(120)의 상면에 형성된 제1 형상 구조체(210) 및 제2 형상 구조체(310)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격자 형상 구조체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1 형상 구조체(210) 및 제2 형상 구조체(310)는 격자 형상 구조체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제2 레이어(120)의 하면은 충격을 흡수하고 난방 열을 상측부(즉, 제1 레이어(110))로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제3 형상 구조체(410)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형상 구조체(410)의 형상은 제1 형상 구조체(210) 또는 제2 형상 구조체(310)의 형상과는 상이한 형상일 수 있으며, 각 유닛 구조의 크기 또한 제1 형상 구조체(210) 또는 제2 형상 구조체(310)의 각 유닛 구조와는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제2 레이어(120)는 수mm 내지 수cm 두께를 가지도록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레이어(120)는 3cm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제2 레이어(120)의 저면(즉, 하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레이어(120)의 하면은 제3 형상 구조체(410)로 형성되되, 제3 형상 구조체(410)의 각 유닛 구조는 일정 깊이를 가지는 돌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형상 구조체(410)의 각 유닛 구조는 중심부에 홀(420)이 형성될 수 있다. 홀(420)은 제3 형상 구조체(410)의 각 유닛 구조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홀(420)은 제2 형상 구조체(310)를 관통할 수도 있으며, 각 유닛 구조만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홀(420)은 지면에서 올라오는 난방 열을 효율적으로 제1 레이어(110)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3 형상 구조체(410)의 각 유닛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3 형상 구조체(410)의 각 유닛 구조는 6각형 이외에도,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즉, 제3 형상 구조체(410)는 다각형 형상의 엠보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레이어(120)는 제1 레이어(110)의 하부에서 충격을 흡수하고, 난방 열을 상층부로 전달하기 위해, 우레탄 계열(PU) 또는 수지 계열(UREA)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레이어(110)와 제2 레이어(120)를 포함하는 각 블록 유닛은 다른 블록 유닛과 조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레이어(110)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돌출부(130)가 형성되며, 나머지 측면은 홈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블록 유닛의 돌출부(130)는 제2 블록 유닛의 홈부(140)와 결합되며, 제1 블록 유닛의 홈부(140)는 제3 블록 유닛의 돌출부(13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강화 마루 바닥재는 층간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층간 소음 방지재로써, 강화 마루를 대체하여 설치될 수도 있으며, 기존의 강화 마루 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제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강화 마루 바닥재
110: 제1 레이어
120: 제2 레이어

Claims (9)

  1. 강화 마루 바닥재에 있어서,
    스크래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제1 레이어; 및
    상기 제1 레이어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면에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엠보싱이 형성된 제2 레이어를 포함하는 강화 마루 바닥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어의 저면은 돌출부 및 홈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제1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유닛 구조를 가지는 제1 형상 구조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레이어의 상면은 상기 돌출부 및 홈부 중 다른 하나로 형성되는 제2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유닛 구조를 가지는 제2 형상 구조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1 형상 구조체의 각 유닛 구조와 상기 제2 형상 구조체의 각 유닛 구조는 크기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마루 바닥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상 구조체에 포함되는 각 유닛 구조의 크기는 상기 제2 형상 구조체에 포함되는 각 유닛 구조 크기의 n배 또는 1/n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마루 바닥재.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어의 하면은 충격 흡수를 위해 일정한 높이의 돌출부를 가지는 제3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유닛 구조를 가지는 제3 형상 구조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3 형상 구조체에 포함된 각 유닛 구조의 내부에는 상기 난방 열을 상층으로 전달하도록 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3 형상 구조체는 엠보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마루 바닥재.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어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ABS 수지(ABS 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폴리스티렌(PS: Polystylene)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되, 진공 성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마루 바닥재.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어는 우레탄 계열(PU) 또는 수지 계열(UREA)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마루 바닥재.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어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다른 강화 마루 바닥재와의 조립을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레이어의 측면 중 나머지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마루 바닥재.
  8. 층간 소음재에 있어서,
    복수의 레이어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엠보싱이 형성되는 층간 소음 방지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소음재는 강화 마루 위에 설치되거나 강화 마루 대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재.

KR2020180002857U 2018-06-21 2018-06-21 강화 마루 바닥재 및 층간 소음 방지재 KR2004931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857U KR200493148Y1 (ko) 2018-06-21 2018-06-21 강화 마루 바닥재 및 층간 소음 방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857U KR200493148Y1 (ko) 2018-06-21 2018-06-21 강화 마루 바닥재 및 층간 소음 방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276U true KR20190003276U (ko) 2019-12-31
KR200493148Y1 KR200493148Y1 (ko) 2021-02-04

Family

ID=69022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857U KR200493148Y1 (ko) 2018-06-21 2018-06-21 강화 마루 바닥재 및 층간 소음 방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14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4018A (ko) 2021-10-15 2023-04-24 이장원 층간 소음 방지용 조립식 바닥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867B1 (ko) * 1996-06-10 1999-06-15 임장규 건축용 방진판의 시공방법
JPH11241491A (ja) * 1998-02-20 1999-09-07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防音床材、および防音床材用の緩衝材の製造方法
KR100750484B1 (ko) * 2005-07-29 2007-08-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모양층 및 목질계 보드를 포함하는 마루바닥재
KR20080100758A (ko) * 2007-05-14 2008-11-19 영보화학 주식회사 열효율이 우수한 일체형 쿠션 바닥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867B1 (ko) * 1996-06-10 1999-06-15 임장규 건축용 방진판의 시공방법
JPH11241491A (ja) * 1998-02-20 1999-09-07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防音床材、および防音床材用の緩衝材の製造方法
KR100750484B1 (ko) * 2005-07-29 2007-08-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모양층 및 목질계 보드를 포함하는 마루바닥재
KR20080100758A (ko) * 2007-05-14 2008-11-19 영보화학 주식회사 열효율이 우수한 일체형 쿠션 바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148Y1 (ko) 2021-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31399T3 (es) Panel de suelo elástico multicapa que tiene un núcleo de PVC reforzado
US20060130416A1 (en) Flooring element
KR102116007B1 (ko) 층간소음 발생을 저감한 차음 복합마루판 및 그 제조방법
US11649641B2 (en) Panel and method of producing a panel
US20210238862A1 (en) Panel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a Panel
JP2023517687A (ja) パネル及び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239366B1 (ko) 신축변형 흡수 마루판
KR100918595B1 (ko) 층간소음 방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03276U (ko) 강화 마루 바닥재 및 층간 소음 방지재
KR101462830B1 (ko)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KR20020066607A (ko) 바닥 마루판
KR100721850B1 (ko) 에어홀을 갖는 층간 차음시트
KR101460239B1 (ko) 층간 소음방지용 매트
NL2029176B1 (en) Panel and method for producing a panel
US11542712B2 (en) Panel and method of producing a panel
KR101564207B1 (ko)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패널
NL2025119B1 (en) Panel and method for producing a panel
KR101373091B1 (ko) 바닥 충격음 저감용 층간 차음재
JP2008267035A (ja) 床用緩衝体、床構造、及び、補強床敷設方法
KR20100047106A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0399608Y1 (ko) 조립식 마루 바닥재
KR100470497B1 (ko) 마루바닥재
KR101565049B1 (ko) 차음용 층간 바닥재
KR20150066951A (ko) 층간 진동 소음 흡수 블록
NL2024806B1 (en) Panel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a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