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888U - 도어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도어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888U
KR20190002888U KR2020180002076U KR20180002076U KR20190002888U KR 20190002888 U KR20190002888 U KR 20190002888U KR 2020180002076 U KR2020180002076 U KR 2020180002076U KR 20180002076 U KR20180002076 U KR 20180002076U KR 20190002888 U KR20190002888 U KR 201900028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hole
adhesive
case member
metal o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0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진부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디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디글로벌 filed Critical (주)에이치디글로벌
Priority to KR20201800020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888U/ko
Publication of KR201900028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88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59Specific frame characteristics
    • E06B2003/7061Wooden frames
    • E06B2003/7063Wooden frames reinforced; in combination with other materials, e.g. foam, honeycomb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59Specific frame characteristics
    • E06B2003/7061Wooden frames
    • E06B2003/7069Wooden frames with clad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도어용 프레임이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 및 목재 내삽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 내부를 전체적으로 상기 목재 내삽 부재가 채움으로써,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에 의해 상기 목재 내삽 부재의 변형이나 썩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목재 내삽 부재에 의해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 내부가 전체적으로 채워져서,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 내부의 결로 현상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도어용 프레임{Frame for door}
본 고안은 도어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도어용 프레임은 현관문, 중문 등의 도어에 적용되어, 상기 도어의 내부를 구성하는 유리 등의 내부 벽체의 외곽에서 상기 내부 벽체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도어용 프레임은 상기 내부 벽체의 테두리를 따라 둘러져서, 상기 내부 벽체를 전체적으로 지지한다.
이러한 도어용 프레임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용 프레임에 의하면, 목재로 제작되는 경우, 그 목재 특성 상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형되거나 썩을 수 있는 문제가 있었고,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하여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로 제작되는 경우, 그 금속재 특성 상 결로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제 20-2018-0001208호, 공개일자: 2018.05.02., 고안의 명칭: 현장시공이 용이하도록 연결대가 장착된 댐퍼장착용 도어 프레임
본 고안은 목재의 변형이나 썩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면서도, 결로 현상 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도어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도어용 프레임은 도어에 적용되어, 상기 도어의 내부를 구성하는 내부 벽체의 외곽에서 상기 내부 벽체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용 프레임의 외관을 이루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삽입홀이 형성되는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 및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에 결로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의 상기 삽입홀 전체에 삽입되어,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 내부 전체를 채우고, 목재로 이루어지는 목재 내삽 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도어용 프레임에 의하면, 도어용 프레임이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 및 목재 내삽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 내부를 전체적으로 상기 목재 내삽 부재가 채움으로써,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에 의해 상기 목재 내삽 부재의 변형이나 썩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목재 내삽 부재에 의해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 내부가 전체적으로 채워져서,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 내부의 결로 현상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프레임이 도어에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프레임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를 보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목재 내삽 부재를 보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프레임에 모헤어가 삽입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를 보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어용 프레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프레임이 도어에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프레임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를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목재 내삽 부재를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프레임에 모헤어가 삽입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프레임(100)은 도어(10)에 적용되어, 상기 도어(10)의 내부를 구성하는 유리 등의 내부 벽체(20)의 외곽에서 상기 내부 벽체(2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110)와, 목재 내삽 부재(130)를 포함한다.
도면 번호 30은 상기 도어용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손잡이이다.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110)는 상기 도어용 프레임(100)의 외관을 이루고,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삽입홀(112)이 형성되는 것으로, 동일 단면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사출 등을 통해 성형된 상태에서, 요구되는 길이로 절단되어 사용된다.
상세히,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110)는 케이스 몸체(111)와, 고정부(115)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몸체(111)는 상기 삽입홀(112)이 그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112)과 연통되는 삽입구(113)가 형성되는 것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패널이 그 일 측에서 서로 연결되어 막히고 그 타 측이 개방되어 상기 삽입구(113)가 형성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 고정부(115)는 상기 케이스 몸체(111)에서 상기 삽입구(113)가 형성된 측의 타 측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상기 삽입홀(112)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아진 형태의 고정홀(116)이 그 내부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115)는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외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함몰된 외면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115)는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내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단턱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15)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양 측에 서로 대면되도록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110)는 한 쌍의 외면 돌기(120)와, 모헤어 끼움홀(121)을 포함한다.
한 쌍의 상기 외면 돌기(120)는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외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함몰된 외면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고정부(115)의 외면에서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서로 대면되도록 돌출되는 것으로, 한 쌍의 상기 외면 돌기(120) 사이의 이격 공간이 모헤어(40)의 삽입 입구가 되고, 한 쌍의 상기 외면 돌기(120)와 상기 고정부(115)의 외면 사이의 공간이 상기 모헤어 끼움홀(121)로 된다.
상기 모헤어 끼움홀(121)은 상기 각 외면 돌기(120)와 상기 고정부(115)의 외면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10)에 적용되는 상기 모헤어(40)가 삽입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모헤어(40)는 융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용 프레임(100)과 상기 도어(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10) 문틀 사이의 공간을 막아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한 쌍의 상기 외면 돌기(120)와 상기 모헤어 끼움홀(121)의 조합은 상기 고정부(115)의 양 측 외면에 각각 외측을 향하도록 하나씩 형성되고, 그에 따라 상기 고정부(115)의 양 측 외면에 상기 모헤어(40)가 각각 하나씩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목재 내삽 부재(130)는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110)에 결로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110)의 상기 삽입홀(112) 전체에 삽입되어,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110) 내부 전체를 채우고,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목재 내삽 부재(130)는 상기 케이스 몸체(111) 내부의 상기 삽입홀(112) 내벽에 밀착되도록 상기 삽입홀(112)에 삽입되는 내삽 몸체(131)와, 상기 내삽 몸체(131)에서 돌출되되, 상기 고정홀(116)에 끼워지도록 상기 고정홀(116)에 삽입되는 고정 몸체(13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몸체(132)는 상기 내삽 몸체(131)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단턱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내삽 몸체(131)와 상기 고정 몸체(132)가 상기 삽입홀(112)에 삽입되다가, 상기 고정홀(116)에 상기 고정 몸체(132)가 끼워져 고정되면, 상기 내삽 몸체(131)도 상기 삽입홀(112)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목재 내삽 부재(130)는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110)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목재 내삽 부재(130)는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110)로부터 이탈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도어용 프레임(100)이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110) 및 상기 목재 내삽 부재(130)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110) 내부를 전체적으로 상기 목재 내삽 부재(130)가 채움으로써,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110)에 의해 상기 목재 내삽 부재(130)의 변형이나 썩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목재 내삽 부재(130)에 의해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110) 내부가 전체적으로 채워져서,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110) 내부의 결로 현상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프레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210)가 접착제 수용부(2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접착제 수용부(240)는 고정부(215)의 내벽에서 돌출 형성되되, 접착제(245)가 그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다.
목재 내삽 부재의 고정 몸체가 매끄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접착제 수용부(240) 중 상기 고정 몸체가 인입되어 상기 고정 몸체와 최초로 접하는 쪽은 상기 고정부(215)의 내벽과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215)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기 고정 몸체가 고정홀(216)에 삽입될 때, 상기 고정 몸체가 상기 접착제 수용부(240)를 깨트리면서 상기 접착제 수용부(240) 내부의 상기 접착제(245)가 흘러나와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고정홀(216) 내벽이 서로 접착된다.
이 때, 상기 접착제 수용부(240)의 깨트려진 파편들이 상기 접착제(245)와 혼합되면서 상기 고정부(215)와 상기 고정 몸체 사이에 퍼져서, 상기 고정부(215)와 상기 고정 몸체 사이가 더욱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210)는 상기 고정부(215)의 내외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고정부(215)를 관통하는 접착제 유동 관통 홀(2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 몸체가 상기 고정홀(216) 내부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접착제 유동 관통 홀(250)은 상기 접착제 수용부(240)보다 상대적으로 더 상기 고정홀(216) 내부 쪽에 위치되고, 그에 따라 상기 고정 몸체에 의해 상기 접착제 수용부(240)가 깨트려지면서 흘러나온 상기 접착제(245) 중 일부가 상기 고정 몸체에 의해 밀리면서 상기 접착제 유동 관통 홀(250)을 통해 상기 고정부(215) 외부로 흘러나오고, 상기 고정부(215) 외부로 흘러나온 상기 접착제(245)에 의해 모헤어와 모헤어 끼움홀(221) 내벽이 접착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접착제(245)에 의해,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210), 상기 목재 내삽 부재 및 상기 모헤어가 함께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도어용 프레임에 의하면, 목재의 변형이나 썩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면서도, 결로 현상 발생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 : 도어
20 : 내부 벽체
100 : 도어용 프레임
110 :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
130 : 목재 내삽 부재

Claims (5)

  1. 도어에 적용되어, 상기 도어의 내부를 구성하는 내부 벽체의 외곽에서 상기 내부 벽체를 지지하는 도어용 프레임으로서,
    상기 도어용 프레임의 외관을 이루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삽입홀이 형성되는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 및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에 결로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의 상기 삽입홀 전체에 삽입되어,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 내부 전체를 채우고, 목재로 이루어지는 목재 내삽 부재;를 포함하는 도어용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는
    상기 삽입홀이 그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과 연통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몸체와,
    상기 케이스 몸체에서 상기 삽입구가 형성된 측의 타 측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몸체의 상기 삽입홀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아진 형태의 고정홀이 그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목재 내삽 부재는
    상기 케이스 몸체 내부의 상기 삽입홀 내벽에 밀착되도록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내삽 몸체와,
    상기 내삽 몸체에서 돌출되되, 상기 고정홀에 끼워지도록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프레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케이스 몸체의 외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함몰된 외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는
    상기 케이스 몸체의 외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함몰된 외면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고정부의 외면에서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서로 대면되도록 돌출되는 한 쌍의 외면 돌기와,
    상기 각 외면 돌기와 상기 고정부의 외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에 적용되는 모헤어가 삽입 고정되는 모헤어 끼움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프레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는
    상기 고정부의 내벽에 돌출 형성되되, 접착제가 그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접착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몸체가 상기 고정홀에 삽입될 때, 상기 고정 몸체가 상기 접착제 수용부를 깨트리면서 상기 접착제 수용부 내부의 상기 접착제가 흘러나와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고정홀 내벽이 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프레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재 외곽 케이스 부재는
    상기 고정부의 내외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는 접착제 유동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몸체가 상기 고정홀 내부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접착제 유동 관통 홀은 상기 접착제 수용부보다 상대적으로 더 상기 고정홀 내부쪽에 위치되고, 그에 따라 상기 고정 몸체에 의해 상기 접착제 수용부가 깨트려지면서 흘러나온 상기 접착제 중 일부가 상기 고정 몸체에 의해 밀리면서 상기 접착제 유동 관통 홀을 통해 상기 고정부 외부로 흘러나오고, 상기 고정부 외부로 흘러나온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모헤어와 상기 모헤어 끼움홀 내벽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프레임.
KR2020180002076U 2018-05-14 2018-05-14 도어용 프레임 KR2019000288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076U KR20190002888U (ko) 2018-05-14 2018-05-14 도어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076U KR20190002888U (ko) 2018-05-14 2018-05-14 도어용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888U true KR20190002888U (ko) 2019-11-22

Family

ID=68692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076U KR20190002888U (ko) 2018-05-14 2018-05-14 도어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88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956A (ko) * 2019-12-04 2021-06-14 김병준 메카트로닉스 자동화 교육장비용 케이스 프레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208U (ko) 2016-10-21 2018-05-02 김용갑 현장시공이 용이하도록 연결대가 장착된 댐퍼장착용 도어 프레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208U (ko) 2016-10-21 2018-05-02 김용갑 현장시공이 용이하도록 연결대가 장착된 댐퍼장착용 도어 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956A (ko) * 2019-12-04 2021-06-14 김병준 메카트로닉스 자동화 교육장비용 케이스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83351A1 (en) Composite profiles suitable for insulating window units
US10370890B2 (en) Door frame structure and method for mounting door frame structure
KR200440844Y1 (ko) 유리 취부용 프레임
CN101351611A (zh) 结构元件
US20090013624A1 (en) Window frame
KR20190002888U (ko) 도어용 프레임
US3919821A (en) Multipane glazing unit
KR200426906Y1 (ko) 시스템 창호의 결합 구조
JP2006329305A (ja) コーナー継手及び金属フレーム組立体
JP2006241805A (ja) 複層ガラス扉
KR101704770B1 (ko) 조립형 유리창
KR101688872B1 (ko) 단열형 창틀 조립체
KR20180001307U (ko) 리모델링용 조립식 문틀커버
US20090077911A1 (en) Frame for an opening and related method
TWI544134B (zh) Facing retaining members and doors and windows
KR102322293B1 (ko) 유리지지대의 연결부를 기밀하기 위한 커튼월
PL189228B1 (pl) Rozpórka do szyb izolacyjnych
JP5989567B2 (ja) 面材取付構造及び建具
US3411255A (en) Frameless glass enclosure structure
JP6093254B2 (ja) サッシ
CN205445301U (zh) 门套结构
KR970075206A (ko) 조립식 문틀 및 시공방법
RU156098U1 (ru) Скоба для механ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ения профилированных деталей рам
JP2018135725A (ja) サッシ用枠材及びサッシ
JP2019044348A (ja) 浴室天井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