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208U - 현장시공이 용이하도록 연결대가 장착된 댐퍼장착용 도어 프레임 - Google Patents

현장시공이 용이하도록 연결대가 장착된 댐퍼장착용 도어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208U
KR20180001208U KR2020160006096U KR20160006096U KR20180001208U KR 20180001208 U KR20180001208 U KR 20180001208U KR 2020160006096 U KR2020160006096 U KR 2020160006096U KR 20160006096 U KR20160006096 U KR 20160006096U KR 20180001208 U KR20180001208 U KR 201800012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door
connecting rod
damp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0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944Y1 (ko
Inventor
김용갑
Original Assignee
김용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갑 filed Critical 김용갑
Priority to KR20201600060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944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2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2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9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9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을 위하여 연결대가 장착된 댐퍼장착용 도어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속도조절용 댐퍼가 장착된 도어 프레임의 여유공간 내부에 연결대를 장착하여, 상기 도어 프레임을 다른 도어 조립체와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장 시공시에 매우 용이하게 도어 구조를 완성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을 위하여 연결대가 장착된 댐퍼장착용 도어 프레임{Door frame with damper for connecting other door assembly}
본 고안은 조립을 위하여 연결대가 장착된 댐퍼장착용 도어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속도조절용 댐퍼가 장착된 도어 프레임의 여유공간 내부에 연결대를 장착하여, 상기 도어 프레임을 다른 도어 조립체와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장 시공시에 매우 용이하게 도어 구조를 완성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건축물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특별한 모양을 요구하지 않는 한 좌,우 수직부재와 상, 하 가로부재로써 장방형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보통이며, 목재, 합성수지재, 금속재 등을 소재로 하고, 대부분 벽을 시공할 때 조립된 도어틀을 같이 설치하게 된다.
근래에는 다세대, 오피스텔, 아파트 등과 같이 대단위로 건축하는 예가 많아 도어의 수요 또한 급격히 늘어나게 되었으며, 급격히 늘어난 수요에 맞추어 대량생산 체제를 갖추게 되었고, 이로 인해 생산처에서는 좌,우 수직부재와 상, 하 수평 부재들을 모두 조립하여 장방형의 완성된 상태로 공급하기에 이르렀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현관문을 지나서는 중문형태의 슬라이드 도어, 또는 미닫이 도어가 설치되어 그 출입문이 미닫이식으로 좌우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는 슬라이딩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설치사용되고 있는 슬라이딩도어는, 문틀상부에 설치되는 안내레일을 타고 슬라이딩 도어가 이동되면서 안내레일 양끝에 설치된 안내 로울러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폴딩도어(Folding Door)는 말 그대로 접이문을 말하는 것으로, 건물벽체의 내외벽 대체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기계적 외력에 대응해 내구성이 보장되며 방음, 방풍의 효과가 있어 외부용으로도 적합하다. 또한, 제품에 유리를 적용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디자인이 우수하여 내부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폴딩도어는 공간을 가치 있게 활용하고자 기존 문들의 50% 개폐구조를 90% 이상으로 열리게 하여 주거용으로는 넓은 생활공간을 그리고 상가용으로는 고객들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여 주로 고급 레스토랑, 아파트, 주택, 상가 등의 출입구 또는 분합문에 쓰이는 추세이다.
이러한 폴딩도어는 벽체의 출입구 외측에 도어를 완전히 개방할 공간이 없는 곳에서 출입구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데, 출입구 형태를 따라 문틀프레임을 구성하고, 복수개의 슬라이딩도어가 서로 회동가능하게 힌지에 의해 연결되며 슬라이딩도어 일단이 문틀프레임 일측에 회동되도록 연결된다.
도어 프레임은 건축물의 다른 도어조립체등과 상호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도어 프레임의 외측에 별도의 연결대를 부착하여, 연결대와 다른 도어 조립체를 상호 연결하여, 건물에 장착되는 것이다.
최근에는 도어가 열릴 때에 도어의 열리는 속도를 완충시키며, 닫힐 때에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문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도어 프레임의 내측에 속도조절댐퍼가 장착되는 도어 프레임이 많이 사용되는 추세로 있으며, 여기서 사용되는 도어 프레임은 댐퍼가 장착되는 내부 공간이 필요하여, 자연스럽게 도어 프레임의 수직높이가 증가되고 있으며, 다른 도어 조립체와의 상호 연결을 위하여, 도어 프레임의 외측에 연결대를 부착하여야 하며, 이로 인하여, 도어의 수직높이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현장시공시에 도어 프레임의 외측에 별도의 연결대를 부착하여야 시공이 복잡하고, 인건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속도조절댐퍼가 장착되는 도어 프레임의 여유 공간에 연결대를 장착하여, 도어 프레임의 수직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공간활용을 최적으로 이용하는 도어 프레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공장에서 도어 프레임의 내부에 연결대를 사전에 장착하여, 현장에서 용이하게 다른 도어 조립체와의 상호 연결을 손쉽게 작업할 수 있는 연결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부샤시에 형성된 슬라이드 통로에 각각 대응되며,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각각의 도어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도어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상부샤시의 통로중, 어느 한 통로에 속도조절댐퍼가 장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속도조절댐퍼가 장착되지 않은 다른 통로에 격벽을 설치하여, 연결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공간에 연결대를 삽입장착하도록; 이루어진 조립을 위하여 연결대가 장착된 댐퍼장착용 도어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속도조절댐퍼가 장착되는 도어 프레임의 여유 공간에 연결대를 장착하여, 도어 프레임의 수직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공간활용을 최적으로 이용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공장에서 도어 프레임의 내부에 연결대를 사전에 장착하여, 현장에서 용이하게 다른 도어 조립체와의 상호 연결을 손쉽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다중의 슬라이드 도어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기술의 도어 프레임에 연결대를 장착한 도어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도어프레임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도어 프레임에 연결대를 장착한 도어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고안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부샤시(10)에 형성된 슬라이드 통로(11)에 각각 대응되며,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각각의 도어(3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도어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상부샤시(10)의 통로(11)중, 어느 한 통로(11)에 속도조절댐퍼(50)가 장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속도조절댐퍼(50)가 장착되지 않은 다른 통로(11)에 격벽(12)을 설치하여, 연결공간(13)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공간(13)에 연결대(80)를 삽입장착하도록; 이루어진 조립을 위하여 연결대가 장착된 댐퍼장착용 도어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공간(13)의 외측에 고정용 돌출턱(14)을 형성하여, 연결대(80)가 안정적으로 삽입고정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대(80)의 외면에는 필요한 도어조립체(70)를 부착하여, 도어구조 (100)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대(80)가 연결공간(13)에 장착하기 위하여, 나사부착, 본드부착, 타카 부착중에서 어느 한가지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프레임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다중의 슬라이드 도어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이는 슬라이드 통로(11)중 어느 슬라이드 통로(11)에 속도조절댐퍼가 장착되며, 슬라이드 통로(11)에서 다수개의 도어(30)가 상호 연결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열리고 닫히며, 상기 속도조절댐퍼에 의하여 도어의 속도에 완충기능을 부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한 도어구조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다수개의 도어(30)중에서 안쪽에 위치한 도어(30)는 상부샤시(10)에 고정되어 있으며, 바같쪽에 위치한 도어(30)가 열리고 닫히면, 이와 연결된 중간부에 위치한 도어(30)도 함께 열리고 닫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도어 프레임에 연결대를 장착한 도어구조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어프레임은 속도조절댐퍼(50)가 장착되어, 수직높이가 크게 형성되며, 도어 조립체(71,72)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연결대(13)를 고정수단(90)을 이용하여 상면에 장착시켜야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상기 연결대(13)가 장착되는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며, 상기 공간으로 인한 도어가 장착되는 공간이 부족하게 되며, 또한, 시공시에 현장에서 연결대(13)를 별도로 도어 프레임에 장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도어프레임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어 프레임(90)의 상부샤시(10)에는 다수개로 슬라이드 통로(11)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로(11)에 대응되며,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각각의 도어(30)가 상호 연결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상부샤시(10)의 통로(11)중, 어느 한 통로(11)에 속도조절댐퍼(50)가 장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속도조절댐퍼(50)가 장착되지 않은 다른 통로(11)에 격벽(12)을 설치하여, 연결공간(1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공간(13)에 연결대(80)가 삽입장착되도록 하며, 상기 연결공간(13)의 외측에는 고정용 돌출턱(14)을 형성하여, 연결대(80)가 안정적으로 삽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대(80)가 연결공간(13)에 장착하기 위하여, 나사부착, 본드부착, 타카 부착중에서 어느 한가지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도어 프레임에 연결대를 장착한 도어구조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상기 연결대(80)의 외면에는 도어측면조립체(72) 및 도어상면조립체(71)가 부착되도록, 이를 포괄적으로 표현한 도어조립체(70)를 부착하여, 도어구조(100)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대(80)가 연결공간(13)에 장착하기 위하여, 내벽에 나사부착, 본드부착, 타카 부착중에서 어느 한가지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상부샤시 11: 통로
12: 격벽 13: 연결공간
14: 돌출턱 30: 도어
50: 속도조절댐퍼 70: 도어조립체
90: 고정수단
100: 도어구조

Claims (4)

  1. 상부샤시(10)에 형성된 슬라이드 통로(11)에 각각 대응되며,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각각의 도어(3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도어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상부샤시(10)의 통로(11)중, 어느 한 통로(11)에 속도조절댐퍼(50)가 장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속도조절댐퍼(50)가 장착되지 않은 다른 통로(11)에 격벽(12)을 설치하여, 연결공간(13)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공간(13)에 연결대(80)를 삽입장착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을 위하여 연결대가 장착된 댐퍼장착용 도어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간(13)의 외측에 고정용 돌출턱(14)을 형성하여, 연결대(80)가 안정적으로 삽입고정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을 위하여 연결대가 장착된 댐퍼장착용 도어 프레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80)의 외면에는 필요한 도어조립체(70)를 부착하여, 도어구조 (100)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을 위하여 연결대가 장착된 댐퍼장착용 도어 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80)가 연결공간(13)에 장착하기 위하여, 나사부착, 본드부착, 타카 부착중에서 어느 한가지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을 위하여 연결대가 장착된 댐퍼장착용 도어 프레임.
KR2020160006096U 2016-10-21 2016-10-21 현장시공이 용이하도록 연결대가 장착된 댐퍼장착용 도어 프레임 KR2004869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096U KR200486944Y1 (ko) 2016-10-21 2016-10-21 현장시공이 용이하도록 연결대가 장착된 댐퍼장착용 도어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096U KR200486944Y1 (ko) 2016-10-21 2016-10-21 현장시공이 용이하도록 연결대가 장착된 댐퍼장착용 도어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208U true KR20180001208U (ko) 2018-05-02
KR200486944Y1 KR200486944Y1 (ko) 2018-07-16

Family

ID=62166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096U KR200486944Y1 (ko) 2016-10-21 2016-10-21 현장시공이 용이하도록 연결대가 장착된 댐퍼장착용 도어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9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888U (ko) 2018-05-14 2019-11-22 (주)에이치디글로벌 도어용 프레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0022A (ja) * 1998-10-27 2000-05-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連動引戸
KR20030088851A (ko) * 2003-03-05 2003-11-20 주식회사 한올 슬라이딩 도어의 포켓 프레임 구조
KR200439141Y1 (ko) * 2007-04-06 2008-03-21 안중식 3중 슬라이딩도어의 연동장치
KR101156640B1 (ko) * 2009-10-08 2012-06-14 (주)삼우 도어 개폐구조
KR101642410B1 (ko) * 2015-08-20 2016-07-25 김용갑 미는 힘이 덜 드는 속도조절용 다중 슬라이드 도어
KR101659845B1 (ko) * 2014-07-23 2016-09-26 (주)아도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615Y1 (ko) * 2008-04-16 2010-12-29 윤병재 창호용 프레임의 연결구조
KR101946647B1 (ko) * 2012-06-25 2019-02-11 안재옥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0022A (ja) * 1998-10-27 2000-05-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連動引戸
KR20030088851A (ko) * 2003-03-05 2003-11-20 주식회사 한올 슬라이딩 도어의 포켓 프레임 구조
KR200439141Y1 (ko) * 2007-04-06 2008-03-21 안중식 3중 슬라이딩도어의 연동장치
KR101156640B1 (ko) * 2009-10-08 2012-06-14 (주)삼우 도어 개폐구조
KR101659845B1 (ko) * 2014-07-23 2016-09-26 (주)아도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KR101642410B1 (ko) * 2015-08-20 2016-07-25 김용갑 미는 힘이 덜 드는 속도조절용 다중 슬라이드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888U (ko) 2018-05-14 2019-11-22 (주)에이치디글로벌 도어용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944Y1 (ko) 201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98669A1 (en) Sliding barn door hardware
KR102206234B1 (ko)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원터치 방식의 도어연동장치
KR20170057942A (ko) 창호 설치용 유리 난간대
US20110219692A1 (en) Dual slidable shutter assembly
KR101710526B1 (ko) 창문과 창문 틀 프레임 호환이 가능한 커튼 월 시스템
KR100795711B1 (ko) 배수 및 단열패널 결합이 용이한 복합창호 시스템
KR200486944Y1 (ko) 현장시공이 용이하도록 연결대가 장착된 댐퍼장착용 도어 프레임
KR101303277B1 (ko) 미닫이 창호의 도어 어셈블리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0424732Y1 (ko) 발코니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KR101841725B1 (ko) 폴딩도어 구조
CN209670740U (zh) 吊轨三联动铝木复合门
KR101338694B1 (ko) 붙박이장용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드 개폐를 위한 하부프레임 구조
CN106968554A (zh) 多扇无框节能提拉窗
KR20140128127A (ko) 창틀 보조용 덧창
KR101913569B1 (ko) 가변형 구조를 갖는 창호
JP6873658B2 (ja) 間仕切パネル装置
JP6837807B2 (ja) 間仕切パネル装置
CN209670742U (zh) 吊轨二联动铝木复合门
KR102018426B1 (ko) 재단 및 조립이 용이한 입면 분할 창호
KR200411550Y1 (ko) 난간 일체형 이중 창틀
KR20220000287U (ko) 연동도어용 완충장치
KR20160004239U (ko) 글라스창호 및 한지창호를 구비한 복합 창호
KR101583536B1 (ko) 커튼월과 미서기 문의 연결구조
KR101589659B1 (ko) 방풍방음 창호
KR20150117048A (ko) 모듈화 조립식 창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