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873U - 팩트 용기 - Google Patents

팩트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873U
KR20190002873U KR2020180002055U KR20180002055U KR20190002873U KR 20190002873 U KR20190002873 U KR 20190002873U KR 2020180002055 U KR2020180002055 U KR 2020180002055U KR 20180002055 U KR20180002055 U KR 20180002055U KR 20190002873 U KR20190002873 U KR 201900028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hook
case
contain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0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필수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20201800020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873U/ko
Publication of KR201900028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87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40/222Means for closing the li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40/222Means for closing the lid
    • A45D2040/223Means for closing the lid comprising a latch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팩트 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팩트 용기의 버튼 결합부에 탄성변형이 가능한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버튼 결합부가 깨지는 형상을 최소화시키는 버튼 구조를 제공하는 팩트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팩트 용기{Compact container}
본 고안은 팩트 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팩트 용기의 버튼 결합부가 깨지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팩트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팩트 타입 화장품 용기(이하 팩트 용기)는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색조화장품 등을 내부에 충전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만든 용기를 말한다.
이러한 팩트 용기는 내부 충전물의 밀폐 및 보호를 위해 뚜껑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상기 뚜껑은 끼워 맞춤, 나사 결합, 또는 힌지 결합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팩트 용기가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중에 힌지 결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좀 더 견고하게 상기 뚜껑을 닫아놓을 수 있는 후크 구조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하지만 전술한 후크 구조는 사용자가 팩트 용기를 떨어트릴 때 발생하는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기술의 버튼 구조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56977호'에 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56977호'에서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용기힌지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타측에 형성되는 버튼 삽입홀과, 상기 용기힌지부에 의해 일측이 상기 용기본체와 힌지 결합되는 용기뚜껑과, 상기 용기뚜껑의 타측에 형성되는 후크와,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에 결합되며, 환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버튼 프레임과, 상기 버튼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고, 조립 후 상기 버튼 삽입홀에 끼워지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상면에 상기 후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멍과, 상기 구멍의 내부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후크와 체결되는 뚜껑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뚜껑이 개폐될 수 있는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하지만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56977호'의 버튼 구조는 상기 버튼이 상기 버튼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뚜껑 걸림돌기가 상기 버튼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뚜껑 걸림돌기와 상기 후크로 구성된 결합부가 탄성변형을 할 수 있는 범위가 극히 한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때 상기 결합부에 가해지는 힘이 완화되지 않아, 상기 결합부가 깨지고, 용기가 정상적으로 개폐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56977호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팩트 용기에 외부적인 충격이 가해졌을 때, 팩트 용기의 버튼 결합부가 깨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팩트 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팩트 용기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하부 힌지부와, 상기 하부 힌지부에 의해 상기 하부 케이스에 일측이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타측에 형성되는 상부 후크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타측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타측을 후크 체결할 수 있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 후크 삽입홈과, 상기 상부 후크 삽입홈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버튼의 내측면 중 일면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걸림돌기 및 상기 상부 걸림돌기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수직홈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홈은 상부와 앞뒤가 개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홈의 하면은 모서리가 둥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상부 걸림돌기의 상부에 수평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상부 걸림돌기의 상면이 본체의 상면보다 낮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버튼의 본체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상부 걸림돌기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수직홈을 형성하여, 상기 두 수직홈의 사이가 탄성변형이 가능한 후크의 형상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외부충격이 가해졌을 때 버튼과 상부 케이스 사이의 결합부에 가해지는 힘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부 걸림돌기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수직홈의 밑면을 둥근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수직홈 밑면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상부 걸림돌기의 위쪽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부 걸림돌기의 상면이 버튼의 본체의 상면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상부 걸림돌기의 상면을 통해 가해질 수 있는 압축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버튼을 하부 케이스에 고정시키지 않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활의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외부충격이 가해졌을 때 버튼에 가해지는 힘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팩트 용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팩트 용기의 버튼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팩트 용기의 버튼의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팩트 용기의 버튼의 배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팩트 용기의 버튼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팩트 용기의 버튼의 저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고안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팩트 용기는 납작한 원통의 형태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의 경우 원통의 축으로 향하는 방향이 안쪽방향을 의미하며, 원통의 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이 바깥쪽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버튼(300)에서는 원통의 축으로 향하는 방향이 뒤쪽방향을 의미하며, 원통의 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이 앞쪽방향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팩트 용기는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와, 하부 케이스(100)에 끼워지는 버튼(300)을 포함한다.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는 힌지 결합되어 힌지 결합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상부 케이스(200)를 열고 닫을 수 있다.
하부 케이스(100)는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케이스(100)의 안쪽에는 화장품 내용물이 담긴다.
하부 케이스(100)의 일측에는 하부 힌지부(110)가 형성되고, 하부 케이스(100)의 타측에는 버튼 삽입홈(120)이 형성된다.
버튼 삽입홈(120)은 상부가 개방되게 안쪽방향과 바깥쪽방향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버튼 삽입홈(120)의 형상은 후술할 버튼(300)의 본체(310)의 전면의 형상과 동일 유사하고, 버튼 삽입홈(120)의 크기는 본체(310)의 전면의 크기와 유사하거나 더 크다.
버튼 삽입홈(120)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손쉽게 버튼(300)을 버튼 삽입홈(120)에 끼울 수 있다.
상부 케이스(200)는 전체적으로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상부 케이스(200)의 일측에는 상부 힌지부(210)가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200)의 타측에는 상부 후크(220)가 형성된다.
상부 힌지부(210)는 하부 케이스(100)의 하부 힌지부(110)와 결합되어, 상부 케이스(200)를 상부 힌지부(210)에 형성되는 힌지 축을 중심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한다.
상부 후크(220)는 상부 케이스(200)의 타측에서 아랫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부 케이스(200)와 연결되는 상부 후크(220)의 일단에는 이음부(221)가 형성되고,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상부 후크(220)의 타단에는 버튼 걸림돌기(222)가 형성된다.
이음부(221)의 일단은 상부 케이스(200)와 연결되며, 상부 케이스(200)의 안쪽방향으로 연장된 후 아랫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쪽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이음부(221)가 후술할 버튼(300)의 전후 내측면과 이격될 수 있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아랫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버튼(300)의 상하방향 길이의 절반정도가 되게 형성된다.
이음부(221)와 상부 케이스(200)의 내면이 만나는 부분의 모서리는 둔각을 이루게 형성되어, 상기 모서리 부분의 강도를 높여준다.
이음부(221)의 형상에 의해, 상부 후크(220)는 상부 케이스(200)의 바깥쪽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다. 이로 인해, 상부 후크(220)가 상부 케이스(200)의 바깥쪽방향으로 힘을 받았을 때, 상부 후크(220)가 깨지는 현상을 최소화될 수 있다.
버튼 걸림돌기(222)는 이음부(221)의 타측에서 안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버튼 걸림돌기(222)의 상면은 버튼 걸림돌기(222)가 후술할 버튼(300)의 상부 걸림돌기(321)의 하면에 의해 쉽게 슬라이딩 되도록 안쪽방향으로 갈수록 아랫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버튼 걸림돌기(222)의 하면은 상부 케이스(200)를 닫을 때 버튼 걸림돌기(222)의 하면이 상부 걸림돌기(321)의 상면에서 쉽게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둥글게 형성된다.
버튼 걸림돌기(222)의 안쪽면은 후술할 하부 후크(320)와 닿지 않게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이격된 공간에 의해, 외부 충격으로 인해 버튼 걸림돌기(222)가 하부 후크(320) 쪽으로 이동하더라도, 외부 충격의 크기가 충분히 작다면 버튼 걸림돌기(222)와 하부 후크(320)가 닿지 않을 수도 있다.
버튼(300)은 도 2 내지 도 6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버튼(300)은 본체(310)와 본체(310)의 후면에 형성되는 하부 후크(320)와 본체(31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연장부재(330)를 포함한다.
본체(310)는 전면이 볼록하고 좌우방향으로 긴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310)의 전면의 곡률은 하부 케이스(100)의 곡률과 동일 유사하다. 본체(310)의 전면의 형상은 하부 케이스(100)의 버튼 삽입홈(120)과 동일 유사하고, 본체(310)의 전면의 크기는 버튼 삽입홈(120)과 동일하거나 더 작다.
본체(310)의 전측은 하부 케이스(100)의 버튼 삽입홈(120)에 끼워진다.
본체(310)는 상부 후크 삽입홈(311)과 수직홈(312)과 수평홈(313)과 하면홈(314)을 포함한다.
상부 후크 삽입홈(311)은 본체(310)의 상면에 상부가 개방되며, 상부 케이스(200)의 상부 후크(220)가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된다.
상부 후크 삽입홈(311)의 전면의 중앙부는 전측으로 더 들어가게 형성되어, 상부 후크 삽입홈(311)의 전면이 상부 후크(220)와 이격되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버튼을 누를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수직홈(312)은 후술할 하부 후크(32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수직홈(312)은 상부가 개방되고,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수직홈(312)과 상부 후크 삽입홈(311)은 연통된다.
수직홈(312)의 수직방향 길이는 본체(310)의 수직방향 길이의 1/2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수직홈(312)으로 인해 하부 후크(320)는 탄성변형이 가능해진다.
수직홈(312)의 하면의 모서리는 둥글게 형성되어, 응력이 수직홈(312)에 걸릴 때 응력이 분산되어 수직홈(312)의 하면의 모서리가 쉽게 깨지지 않게 한다.
수평홈(313)은 수직홈(312) 및 하부 후크(320)의 상면에, 상부가 개방되고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수평홈(313)과 수직홈(312)은 연통된다.
수평홈(313)의 좌우방향 길이는 두 수직홈(312)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어, 수직홈(312)에 걸릴 수 있는 응력을 분산해준다.
또한, 수평홈(313)으로 인해 하부 후크(320)의 상면이 본체(310)의 상면보다 낮게 위치하게 되어, 하부 케이스(100) 및 상부 케이스(200)가 버튼(300)에 닿을 때 하부 후크(320)가 받는 압축력을 최소화될 수 있다.
하면홈(314)은 본체(310)의 하면 중앙부에, 좌우방향 길이가 두 수직홈(312) 사이의 거리보다 긴 직사각형 형태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하면홈(314)과 상부 후크 삽입홈(311)은 연통된다.
하면홈(314)으로 인해 본체(310) 하부의 중앙부는 탄성력을 갖게 된다.
하부 후크(320)는 전체적으로 좌우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 후크(320)는 버튼(300)의 전후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다. 이로 인해, 하부 후크(320)가 버튼(300)의 전후방향으로 힘을 받았을 때, 하부 후크(320)가 깨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하부 후크(320)는 상부 걸림돌기(321)를 포함한다.
상부 걸림돌기(321)는 하부 후크(320)의 상부에 전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부 걸림돌기(321)는 상부 케이스(200)를 닫았을 때, 상부 걸림돌기(321)의 하면이 상부 케이스(200)의 버튼 걸림돌기(222)의 상면 위에 위치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부 걸림돌기(321)의 전면은 상부 후크(220)의 안쪽면과 닿지 않게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이격된 공간에 의해, 외부 충격으로 인해 상부 후크(220)가 상부 걸림돌기(321) 쪽으로 이동하더라도, 외부 충격의 크기가 충분히 작다면 상부 걸림돌기(321)와 상부 후크(220)가 닿지 않을 수도 있다.
상부 걸림돌기(321)의 상면은 상부 케이스(200)를 닫을 때 버튼 걸림돌기(222)의 하면이 상부 걸림돌기(321)의 상면에서 쉽게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둥글게 형성된다.
상부 걸림돌기(321)의 하면과 하부 후크(320)가 만나는 모서리는 둥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외부 충격으로 인해 상부 후크(220)가 하부 후크(320)를 밀게 되더라도, 하부 후크(320)가 받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연장부재(330)는 일단이 본체(310)에 연결되며, 본체(310)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서 후방으로 굴곡지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연장부재(330)의 곡률은 하부 케이스(100)의 곡률보다 작게 형성되어, 버튼(300)이 하부 케이스(100)에 끼워졌을 때, 본체(310)가 연장부재(330)보다 바깥쪽방향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사용자가 버튼(300)을 눌렀을 때 연장부재(330)가 탄성변형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게 한다.
연장부재(330)는 연장부재(330)의 타단에 뒤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기(331)를 포함한다.
연장부재(330)는 하부 케이스(100)에 연장부재(330)의 타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될 수 있게 끼워지며, 돌기(331)는 연장부재(330)가 하부 케이스(1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하부 케이스 110: 하부 힌지부
120: 버튼 삽입홈
200: 상부 케이스 210: 상부 힌지부
220: 상부 후크 221: 이음부
222: 버튼 걸림돌기
300: 버튼 310: 본체
311: 상부 후크 삽입홈 312: 수직홈
313: 수평홈 314: 하면홈
320: 하부 후크 321: 상부 걸림돌기
330: 연장부재 331: 돌기

Claims (3)

  1.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하부 힌지부;
    상기 하부 힌지부에 의해 상기 하부 케이스에 일측이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의 타측에 형성되는 상부 후크;
    상기 하부 케이스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타측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타측을 후크 체결할 수 있는 버튼;
    상기 버튼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 후크 삽입홈;
    상기 상부 후크 삽입홈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버튼의 내측면 중 일면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걸림돌기; 및
    상기 상부 걸림돌기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수직홈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홈은 상부와 앞뒤가 개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트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홈의 하면은 모서리가 둥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트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상부 걸림돌기의 상부에 수평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상부 걸림돌기의 상면이 본체의 상면보다 낮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트 용기.
KR2020180002055U 2018-05-11 2018-05-11 팩트 용기 KR2019000287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055U KR20190002873U (ko) 2018-05-11 2018-05-11 팩트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055U KR20190002873U (ko) 2018-05-11 2018-05-11 팩트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873U true KR20190002873U (ko) 2019-11-20

Family

ID=68692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055U KR20190002873U (ko) 2018-05-11 2018-05-11 팩트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873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977B1 (ko) 2016-06-07 2017-07-13 펌텍코리아 (주) 내용물 용기가 회전되는 콤팩트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977B1 (ko) 2016-06-07 2017-07-13 펌텍코리아 (주) 내용물 용기가 회전되는 콤팩트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11201A1 (en) Gaskets and beverage container systems and kits comprising gaskets
US9346600B2 (en) Discharge container
RU2692433C2 (ru) Пробка для контейнера, имеющая структуру с множеством запирающих элементов
JP6292964B2 (ja) ヒンジキャップ
US10973302B2 (en) Compact container having tension part integrally formed therein
US20240277131A1 (en) Shock absorbing cosmetic compact
KR20190002873U (ko) 팩트 용기
KR200395104Y1 (ko) 접철식 상자
CN103843512B (zh) 旋转式剪草机
JP6681877B2 (ja) 化粧用製品容器の機械式カップリング
US11213107B2 (en) Cushion compact container
KR20200000714U (ko) 도시락 용기
JP4799110B2 (ja) キャップ
JP7138562B2 (ja) 瓶口用キャップ
KR102101926B1 (ko) 화장품 용기
KR102361393B1 (ko) 화장품 용기
KR101970255B1 (ko) 버튼 분리형 팩트
KR200477098Y1 (ko) 덮개에 스토퍼가 부가된 포장용 케이스
KR101142355B1 (ko) 콤팩트 용기
JP2001206415A (ja) キャップ
JP7321640B2 (ja) コンパクト容器
KR20140100014A (ko)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케이스
JP5022826B2 (ja) 耐衝撃性容器
WO2018105709A1 (ja) 容器用のキャップ
JP6236355B2 (ja) 蓋体にシール部が突設されたヒンジ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