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632U - 범퍼 침대 - Google Patents

범퍼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632U
KR20190002632U KR2020180001632U KR20180001632U KR20190002632U KR 20190002632 U KR20190002632 U KR 20190002632U KR 2020180001632 U KR2020180001632 U KR 2020180001632U KR 20180001632 U KR20180001632 U KR 20180001632U KR 20190002632 U KR20190002632 U KR 201900026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lcro fastener
male
bumper
bumper be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6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0388Y1 (ko
Inventor
이순주
Original Assignee
(주)폴콜렉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폴콜렉션 filed Critical (주)폴콜렉션
Priority to KR20201800016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388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6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6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3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3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7/00Children's beds
    • A47D7/002Children's bed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6Children's play- pens
    • A47D13/066Children's play- pens dismoun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A47D15/003Mattresses foldable, e.g. baby m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47D15/008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in beds, play-pens or cra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벨크로 파스너를 설치해야 하는 길이가 짧아서 재료 소모가 적고 벨크로 파스너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이웃하는 측벽들이 2중, 3중으로 튼튼하게 결합될 수 있고, 다양하게 변형하여 설치할 수 있는 범퍼 침대가 개시된다. 상기 범퍼 침대는 바닥 매트, 양측 끝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이웃하는 것끼리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결합수단과 상기 양측 끝부분의 상기 결합수단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 매트의 둘레에 각각 설치하기 위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측벽 및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연결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 매트 하부에 깔린 상태에서 상기 연결결합부를 통해 3개 이상의 상기 중간결합부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바닥 매트를 사이에 두고 측벽들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연결바닥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Description

범퍼 침대{Bumper bed}
본 고안은 범퍼 침대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아나 어린이가 사용하기에 적합한 범퍼 침대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범퍼 침대는 쿠션이 있는 바닥 매트의 둘레를 따라 쿠션이 있는 측벽으로 둘러싸서 유아 또는 어린이가 그 안에서 안전하게 잠을 자거나 놀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 매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측벽을 세우고 이웃하는 측벽끼리 연결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범퍼 침대로는 공개번호 10-2018-0017758호(발명의 명칭: 유아용 범퍼침대, 발명자: 옥윤선, 박중혁)의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옥윤선 등의 고안은 측벽끼리의 연결을 위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부분에 각각 벨크로 파스너를 설치함과 아울러 측벽이 바닥 매트에서 벌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바닥 매트의 측면과 측벽의 하측 내면 전 길이에 걸쳐 각각 벨크로 파스너를 설치한 구성을 하고 있다.
옥윤선 등의 고안은 벨크로 파스너를 설치해야 하는 길이가 길어서 재료가 많이 소요되고 벨크로 파스너 설치에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그리고 바닥 매트가 없는 경우, 측벽이 안팎으로 작용하는 작은 힘에도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휘어질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범퍼침대로는 등록번호 10-1661721호(발명의 명칭: 범퍼침대매트, 발명자: 서정옥)의 등록특허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서정옥의 범퍼 침대는 측벽끼리의 연결을 위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부분에 각각 벨크로 파스너를 설치함과 아울러 측벽이 바닥 매트에서 벌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마주보는 양쪽의 두 측벽과 바닥 매트의 대응하는 양쪽 측면에 전 길이에 걸쳐 각각 벨크로 파스너를 설치하고, 다른 양쪽의 두 측벽은 접을 수 있게 바닥 매트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연결한 구성을 하고 있다.
이러한 서정옥 고안은 벨크로 파스너를 설치해야 하는 길이가 길어서 재료가 많이 소요되고 벨크로 파스너 설치에 시간도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양쪽의 두 측벽을 바닥 매트에 대해 접을 수 있게 바닥 매트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연결하여 만들기가 까다롭다.
또한, 서정옥 고안은 양측의 두 측벽은 항상 바닥 매트에 연결되어 있어서 설치하거나 접어서 보관하고자 할 때 바닥 매트와 양측의 두 측벽을 함께 들고 다녀야 하므로 힘이 약한 사람은 취급하기가 어렵다. 그뿐만 아니라 서정옥 고안은 측벽을 접어서 세운 상태에서 바깥쪽에 배치되는 측벽 하부가 지지를 받지 못하는 구조이어서 측벽이 바깥으로 넘어지기 쉽고 파손의 우려도 크다.
또한, 종래의 범퍼 침대는 측벽을 바닥에 눕혀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 외에는 별다른 기능을 가지지 않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벨크로 파스너를 설치해야 하는 길이를 줄여 재료 소모와 벨크로 파스너 설치에 필요한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측벽이 바깥으로 벌어지지 않는 범퍼 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바닥 매트와 측벽의 조립이 쉽고, 때에 따라 벨크로 파스너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이불 등을 바닥 매트 대신 사용하는 경우에도 측벽들을 튼튼하게 조립할 수 있는 범퍼 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이웃하는 측벽들 간에 2중으로 튼튼하게 결합될 수 있는 범퍼 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바닥 매트에 벨크로 파스너와 같은 결합부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범퍼 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범퍼 침대의 단점을 개선하여 측벽과 바닥 매트를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고, 측벽을 튼튼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추가의 기능을 가지도록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범퍼 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범퍼 침대는 바닥 매트; 양측 끝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이웃하는 것끼리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결합수단과 상기 양측 끝부분의 상기 결합수단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 매트의 둘레에 각각 설치하기 위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측벽; 및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연결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 매트 하부에 깔린 상태에서 상기 연결결합부를 통해 3개 이상의 상기 중간결합부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바닥 매트를 사이에 두고 측벽들을 각각 연결할 수 있게 구성된 연결바닥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측벽의 양측 가장자리의 바깥면 또는 양측 가장자리의 안쪽면을 따라 상하로 각각 부착된 암/수 벨크로 파스너부재와 이웃하는 두 측벽들의 상기 암/수 벨크로 파스너부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수/암 벨크로 파스너 띠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때에 따라, 상기 결합수단은 일측의 상기 측벽의 단부면과 이웃하는 상기 측벽의 안쪽면 가장자리에 상하로 각각 부착되어 서로 부착 가능한 암벨크로 파스너부재와 수벨크로 파스너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측벽의 단부면 또는 안쪽면 가장자리에 상하로 각각 부착되어 서로 부착 가능한 암벨크로 파스너부재와 수벨크로 파스너부재 및 상기 측벽의 양측 가장자리의 바깥면 또는 양측 가장자리의 안쪽면을 따라 상하로 각각 부착된 암/수 벨크로 파스너부재와 이웃하는 두 측벽들의 암/수 벨크로 파스너부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수/암 벨크로 파스너 띠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결합부와 상기 연결결합부는 암벨크로 파스너와 수벨크로 파스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바닥재는 천이나 피혁 또는 합성수지로 된 것이 좋다.
상기 범퍼 매트는 4단으로 접을 수 있게 된 것이고, 2단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측벽들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벨크로 파스너를 설치해야 하는 길이가 짧아서 재료 소모가 적고 벨크로 파스너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설치된 측벽이 바깥으로 벌어지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바닥 매트와 측벽의 조립이 쉽고, 때에 따라 벨크로 파스너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이불 등을 바닥 매트 대신 사용하는 경우에도 측벽들을 튼튼하게 조립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르면, 이웃하는 측벽들이 2중, 3중으로 튼튼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범퍼 침대는 중간연결부와 연결바닥재 및 4단으로 구성된 바닥 매트로 인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범퍼 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 범퍼 침대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범퍼 침대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 내지 6은 본 고안에 따른 범퍼 침대의 다른 설치 예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범퍼 침대의 또 다른 설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범퍼 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 범퍼 침대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범퍼 침대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범퍼 침대(100)는 바닥 매트(110)를 구비한다. 이 바닥 매트(110)로는 4각형으로 된 것이 일반적이지만, 때에 따라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여타의 다각형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 바닥 매트(110)로는 4단으로 접을 수 있게 되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2단으로 접은 상태에서 측벽(120)들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게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범퍼 침대(100)는 바닥 매트(110)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측벽(120)들을 구비한다. 바닥 매트(110)가 4각형인 경우, 측벽(120)도 바람직하게 4개가 구비된다. 바닥 매트(110)가 3각형인 경우, 3개의 측벽(120)이 필요하다. 바닥 매트(110)가 5각형 이상인 경우, 측벽(120)도 바닥 매트(110)의 변의 개수만큼 필요하다. 이러한 측벽(120)의 양측 끝부분에는 벨크로 파스너와 같은 결합수단(13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결합수단(130)은 이웃하는 측벽(120)들끼리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실시 예에서, 결합수단(130)은 좌우 양측 측벽(120)의 양쪽 단부면과 바깥면에 설치되는 벨크로 파스너(132), 전후 양측 측벽(120)의 안쪽면 가장자리와 바깥면 가장자리에 각각 설치되는 벨크로 파스너(132) 및 이웃하는 측벽(120)의 바깥면에 설치된 벨크로 파스너(132)를 서로 연결하여주는 벨크로 파스너 띠(134)로 구성된 것을 보여준다. 여기에서, 좌우 양측 측벽(120)의 양쪽 단부면에 설치된 벨크로 파스너(132)와 전후 양측 측벽(120)의 안쪽면에 설치된 벨크로 파스너(132)는 서로 부착될 수 있도록 둘 중 하나는 암벨크로 파스너로 구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수벨크로 파스너로 구성된다.
이러한 측벽(120)의 양측 끝부분의 결합수단(130) 사이에는 중간결합부(13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중간결합부(136)는 본 고안의 일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 종래 기술과 차별되는 구성요소들 중 하나이다. 이러한 중간결합부(136)는 바람직하게 측벽(120)의 좌우 중앙부 바깥면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좌우 중앙부 바깥면에서의 설치 위치와 1변에서의 설치 개수는 변동될 수 있다. 이 중간결합부(136) 역시 벨크로 파스너가 바람직하지만, 뒤에서 설명되는 연결겹할부와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서로 잠글 수 있는 단추 형태의 것 등 여타의 것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범퍼 침대(100)는 연결바닥재(140)를 가진다. 이 연결바닥재(140)는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연결결합부(142)를 가진다. 앞에서 설명한 중간결합부(136)가 암 벨크로 파스너인 경우, 연결결합부(142)로는 수벨크로 파스너가 사용되고, 암, 수벨크로 파스너의 설치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암, 수벨크로 파스너 대신 똑딱이 단추나 여타의 단추, 지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연결바닥재(140)는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요소 중 하나로서 원하는 대로 접을 수 있게 천이나 피혁 또는 천형태의 합성수지로 된 것이 좋다.
이 실시 예에서는 연결결합부(142)가 90도 간격으로 4개 설치된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결바닥재(140)는 바닥 매트(110) 하부에 깔린 상태에서 연결결합부(142)를 통해 각각의 측벽(120)에 설치된 중간결합부(136)와 각각 결합되어 바닥 매트(110)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측벽(120)들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범퍼 침대(100)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범퍼 침대(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곳의 바닥에 연결바닥재(140)를 깐다. 그런 다음, 중간결합부(136)가 바닥 쪽을 향하게 하여 하나의 측벽(120)을 연결바닥재(140)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세우고, 연결결합부(142)를 중간결합부(136)에 부착한다.
연결바닥재(140) 상에 세워진 측벽(120)의 한쪽 끝에서 다른 측벽(120)을 앞의 측벽(120)에서와 같은 요령으로 세우되, 한쪽 측벽(120)의 단부면에 설치된 벨크로 파스너(132)에 다른 측벽(120)의 안쪽면 가장자리에 설치된 벨크로 파스너(132)를 부착하고, 새로 세운 측벽(120)의 중간결합부(136)에도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연결결합부(142)를 부착한다.
또한, 연결바닥재(140) 상에 세운 두 측벽(120)이 만나는 모서의 바깥면에 설치된 벨크로 파스너(132)에 벨크로 파스너 띠(134)를 부착하여 이웃하는 두 측벽(120)을 이중으로 연결한다.
때에 따라, 앞에서 설명한, 서로 부착할 수 있는, 한쪽 측벽(120)의 단부면에 설치된 벨크로 파스너(132)와 다른 측벽(120)의 안쪽 면 가장자리에 설치된 벨크로 파스너(132)에 의해 이웃하는 두 측벽(120)을 결합하는 제1결합방식과 두 측벽(120)이 만나는 모서의 바깥면에 설치되는 벨크로 파스너(132)에 벨크로 파스너 띠(134)를 사용하여 이웃하는 두 측벽(120)을 결합하는 제2결합방식 중 한 가지 결합방식만 사용할 수 있으나, 두 결합방식 모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설명한 과정으로 4개의 측벽(120)들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바닥재(140)의 전체 둘레를 따라 세운 다음, 2단으로 접은 상태의 바닥 매트(110)를 측벽(120)들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부로 삽입하여 바닥에 깔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된 범퍼 침대(100)를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범퍼 침대(100)는 설치하기가 쉬울 뿐만 아니라 이웃하는 측벽(120)들 끼리 2중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바닥재(140)가 바닥 매트(110)를 사이에 두고 측벽(120)들을 한 번 더 결합하여주므로 튼튼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측벽(120)이 바깥이나 안쪽으로 벌어지지 않는다.
도 4 내지 6은 본 고안에 따른 범퍼 침대의 다른 설치 예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때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범퍼 침대(10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 측벽(120)을 이웃하는 측벽(120)과 결합을 하지 않고 옆으로 눕혀서 설치하여 한쪽이 개방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또, 때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범퍼 침대(10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 측벽(120)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바닥 매트(110)를 완전히 펼쳐서 바닥 바닥 매트(110)가 측벽(120) 바깥으로 펼쳐지게 하여 넓은 바닥 면적을 가지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 때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범퍼 침대(100)는 도 3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이 연결바닥재(140) 상에 측벽(120)들을 설치한 상태에서, 바닥 매트(110) 대신 집에서 사용하는 이불 등을 측벽(120)들에 둘러싸인 내부 공간으로 삽입하여 바닥에 깔아서 사용할 수 있다. 바닥 매트(110)는 M자 형태로 세워서 유아가 놀 수 있는 놀이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3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범퍼 침대의 또 다른 설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때에 따라, 바닥 매트(110)를 깔고 그 둘레를 따라 측벽(120)들을 설치하되, 중간결합부(136)가 위로 향하게 한 상태로 측벽(120)들을 설치하여, 연결바닥재(140)를 측벽(120)들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연결바닥재(140)로 범퍼 침대(100)의 내부 공간을 전부 또는 일부만 덮을 수 있어서 유아가 범퍼 침대(100) 내부에서 잘 때 빛이 범퍼 침대(10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필요 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범퍼 침대(100)의 상부 쪽 일부만 개방하여 내부를 살필 수 있다.
100: 범퍼 침대 110: 바닥 매트
120: 측벽 130: 결합수단
132: 벨크로 파스너 134: 벨크로 파스너 띠
136: 중간결합부 140: 연결바닥재
142: 연결결합부

Claims (6)

  1. 바닥 매트;
    양측 끝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이웃하는 것끼리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결합수단과 상기 양측 끝부분의 상기 결합수단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 매트의 둘레에 각각 설치하기 위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측벽; 및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연결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 매트 하부에 깔린 상태에서 상기 연결결합부를 통해 3개 이상의 상기 중간결합부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바닥 매트를 사이에 두고 측벽들을 각각 연결할 수 있게 구성된 연결바닥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침대.
  2. 제1항에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측벽의 양측 가장자리의 바깥면 또는 양측 가장자리의 안쪽면을 따라 상하로 각각 부착된 암/수 벨크로 파스너부재와 이웃하는 두 측벽들의 상기 암/수 벨크로 파스너부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수/암 벨크로 파스너 띠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침대.
  3. 제1항에서, 상기 결합수단은 일측의 상기 측벽의 단부면과 이웃하는 상기 측벽의 안쪽면 가장자리에 상하로 각각 부착되어 서로 부착 가능한 암벨크로 파스너부재와 수벨크로 파스너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침대.
  4. 제1항에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측벽의 단부면 또는 안쪽면 가장자리에 상하로 각각 부착되어 서로 부착 가능한 암벨크로 파스너부재와 수벨크로 파스너부재, 및
    상기 측벽의 양측 가장자리의 바깥면 또는 양측 가장자리의 안쪽면을 따라 상하로 각각 부착된 암/수 벨크로 파스너부재와 이웃하는 두 측벽들의 암/수 벨크로 파스너부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수/암 벨크로 파스너 띠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침대.
  5. 제1항에서, 상기 중간결합부와 상기 연결결합부는 암벨크로 파스너와 수벨크로 파스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바닥재는 천이나 피혁 또는 합성수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침대.
  6. 제1항에서, 상기 범퍼 매트는 4단으로 접을 수 있게 된 것이고, 2단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측벽들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침대.
KR2020180001632U 2018-04-12 2018-04-12 범퍼 침대 KR2004903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632U KR200490388Y1 (ko) 2018-04-12 2018-04-12 범퍼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632U KR200490388Y1 (ko) 2018-04-12 2018-04-12 범퍼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632U true KR20190002632U (ko) 2019-10-22
KR200490388Y1 KR200490388Y1 (ko) 2019-11-06

Family

ID=68381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632U KR200490388Y1 (ko) 2018-04-12 2018-04-12 범퍼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3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804U (ko) * 2021-01-14 2022-07-21 주식회사 알로로 변형 가능한 유아용 다용도 범퍼 침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6366U (ko) * 2012-04-25 2013-11-04 양순원 유아용 공간놀이 범퍼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6366U (ko) * 2012-04-25 2013-11-04 양순원 유아용 공간놀이 범퍼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804U (ko) * 2021-01-14 2022-07-21 주식회사 알로로 변형 가능한 유아용 다용도 범퍼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388Y1 (ko)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2579B2 (en) Support for an inclinable bassinet assembly
US5937458A (en) Crib bumper safety system
CA1208851A (en) Portable playpen
US6067676A (en) Playyard with a door
US7509694B2 (en) Combined crib and playpen assembly
US20110197358A1 (en) Play yard assembly
US7086100B1 (en) Joining assembly for child's bed
CN101940417B (zh) 婴儿床、婴儿床架与婴儿床座布
JP2012522617A (ja) 携帯用組立式フラットベンチ
US20130254990A1 (en) Fitted Sheet
KR101462789B1 (ko)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
KR200490388Y1 (ko) 범퍼 침대
US6804844B2 (en) Mattress sheet
KR101495568B1 (ko) 승용차 상부에 설치가능한 확장형 텐트
KR101700351B1 (ko) 범퍼 매트 세트
KR20200085518A (ko) 조립형 침대 매트리스장치
KR200490212Y1 (ko) 야외용 접이식 매트
KR200476432Y1 (ko) 접이식 매트리스
KR20170004222U (ko) 유아용 매트
KR20150135811A (ko) 놀이 매트 어셈블리
KR20210001419U (ko) 다용도 범퍼매트
KR101863494B1 (ko) 놀이 매트 어셈블리
KR200491483Y1 (ko) 텐트가 구비된 절첩식 침대
KR200488109Y1 (ko) 매트 조립체
KR200361198Y1 (ko) 야외용 절첩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