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109Y1 - 매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매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109Y1
KR200488109Y1 KR2020180003426U KR20180003426U KR200488109Y1 KR 200488109 Y1 KR200488109 Y1 KR 200488109Y1 KR 2020180003426 U KR2020180003426 U KR 2020180003426U KR 20180003426 U KR20180003426 U KR 20180003426U KR 200488109 Y1 KR200488109 Y1 KR 2004881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velcro
pulling
members
ma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4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1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1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1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everal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to be put together in one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84Double-sid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Mats or the like for absorbing shocks for jumping, gymnastic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pet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트 조립체(1)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매트 조립체(1)는,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양측에 벨크로(7)가 배치된 제 1매트(3)와; 일측에만 벨크로(9)가 배치되는 제 2매트(5)와; 제 1 및 제 2매트(3,5)를 연결하는 제 1연결수단(11); 일단은 제 1매트(3) 및 제 2매트(5)의 내측 구석(6)에 각각 연결되며, 당기는 경우 매트의 구석(6)이 사선형상(19)으로 당겨짐으로써 매트의 형상이 가변될 수 있는 당김부재(16,18)와; 그리고 당김부재(16,18)를 당겨진 상태로 제 1매트(3) 및 제 2매트(5)의 사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V3,V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매트 조립체{Mat assembly}
본 고안은 매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트의 내측에 당김부재 및 고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당기는 경우 매트의 모서리가 내측으로 당겨져서 사선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어서 사선형상을 갖는 바닥 공간에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매트의 연결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형상이나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트는 적절한 탄성력을 갖으며, 주로 층간소음이나 영아, 유아, 어린이 등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매트는 어린이집이나, 태권도장 등에 설치되며, 다양한 형태로 제조된다. 예를 들면, 한 겹으로 된 단판 형태나, 접이식으로 되어 다수겹으로 된 다판 형태 등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매트는 일정한 바닥 공간에 설치하는 경우, 매트 크기를 임으로 변경시킬 수 없기 때문에 바닥의 모양에 맞도록 매트를 적절하게 절단하거나, 다른 크기의 매트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사각형 바닥이 아닌 삼각형, 혹은 오각형 형상의 바닥모양에는 수직형상 및 수평형상 뿐만 아니라 사선형상도 포함되므로 기존의 사각형상의 매트로 설치하는 경우 사선 구간에 매트와 벽체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므로 매트를 정확하게 설치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실용신안출원 제10-2016-119183호(명칭:놀이매트)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매트의 구석 형상을 사선형상으로 가변시킬 수 있어서, 바닥공간에 사선형상이 포함된 경우에도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매트를 횡방향으로 접거나 종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하고, 연결수단에 의하여 이웃한 매트와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설치할 수 있는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매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바,
매트 조립체(1)는,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양측에 벨크로(7)가 배치된 제 1매트(3)와;
일측에만 벨크로(9)가 배치되는 제 2매트(5)와;
제 1 및 제 2매트(3,5)를 연결하는 제 1연결수단(11)과;
일단은 제 1매트(3) 및 제 2매트(5)의 내측 구석(6)에 각각 연결되며, 당기는 경우 매트의 구석(6)이 사선형상(19)으로 당겨짐으로써 매트의 형상이 가변될 수 있는 당김부재(16,18)와; 그리고
당김부재(16,18)를 당겨진 상태로 제 1매트(3) 및 제 2매트(5)의 사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V3,V4)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매트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사각형상의 매트 내부 구석에 당김부재를 장착하여 당김으로써 매트의 구석 형상을 사선형상으로 변형시켜서 수평 및 수직형상 뿐만 아니라 사선형상이 포함된 바닥 공간에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둘째, 횡방향의 폭을 길게하거나 종방향의 폭을 길게하여 길이 및 폭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공간에 다양한 형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다수개의 매트를 연결하는 벨크로를 탄력적인 구조로 함으로써 매트 사이가 벌어지거나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매트를 탄력에 의하여 당김으로써 정위치에서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써 일측에만 벨크로가 배치된 매트와, 양측에 벨크로가 배치된 매트가 연결수단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매트의 내부에 당김부재가 구비되어 당겨지는 경우 매트의 구석을 당겨서 사선형상으로 변형하는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매트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매트가 내측에 구비된 당김부재에 의하여 당겨지는 것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매트가 5각형상의 바닥 공간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매트의 다른 실시예로서 횡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고 양측에 벨크로가 배치된 매트와, 일측에만 벨크로가 배치된 매트가 연결수단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매트를 서로 연결하여 설치한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b)는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는 도 6에 도시된 매트를 서로 연결하여 설치한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b)는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a),(b),(c)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매트를 서로 혼합하여 이웃한 매트와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매트를 연결수단에 의하여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조립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제안하는 매트 조립체(1)는,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양측에 벨크로(7)가 배치된 제 1매트(3)와; 일측에만 벨크로(9)가 배치되는 제 2매트(5)와; 제 1 및 제 2매트(3,5)를 연결하는 제 1연결수단(11); 일단은 제 1매트(3) 및 제 2매트(5)의 내측 구석(6)에 각각 연결되며, 당기는 경우 매트의 구석(6)이 사선형상(19)으로 당겨짐으로써 매트의 형상이 가변될 수 있는 당김부재(16,18)와; 그리고 당김부재(16,18)를 당겨진 상태로 제 1매트(3) 및 제 2매트(5)의 사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V3,V4)를 포함한다.
이러한 메트 조립체(1)에 있어서, 제 1매트(3)는 적절한 탄력을 갖는 바, 내부에는 라텍스와 같은 탄성체(13)가 배치되고, 이 탄성체(13)의 외부는 PE와 같은 재질로 된 커버(15)로 씌워진다.
이때 탄성체(13)는 상층 및 하층 탄성체(12,14)의 2겹으로 구성되며 얇은 두께를 갖는다.
물론, 탄성체(13)로서 라텍스 이외에도 러버(Rubber)와 같은 합성수지 등이 가능하고, 또한 커버(15)로는 PE 이외에도 다양한 재질의 합성수지, 직물재 등도 가능하다.
그리고, 커버(15)의 측면 테두리에는 지퍼(18)와 같은 개폐부재가 배치됨으로써 필요시 개방하여 내측의 탄성체(13)를 인출하거나 투입할 수 있다.
이때, 제 1매트(3)의 내측 구석(6)에는 당김부재(16,18)가 연결됨으로써 제 1매트(3)의 구석(6)을 내측으로 당길 수 있다.
이러한 당김부재(16,18)는 커버(15)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어 상부 및 하부 탄성체(12,14)의 사이를 확장시키는 브라켓(18)과; 브라켓(18)에 연결되어 당김으로써 커버(15)를 상부 및 하부 탄성체(12,14)의 사이로 진입시키는 줄 혹은 와이어(16)를 포함한다.
브라켓(18)은 쐐기형상으로 구비되며,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스펀지, 연질 고무로 형성된다.
따라서, 일측에 연결된 줄(16)을 당기는 경우, 커버(15)의 내측 방향으로 당겨져서 상부 탄성체(12)와 하부 탄성체(14)의 사이로 진입한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 탄성체(12,14)의 일단은 상하로 벌어지며, 그 사이로 브라켓(18) 및 커버(15)가 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줄(16)의 일단은 브라켓(18)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 1매트(3)의 내부에 자유로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부 탄성체(12)의 상면 및 하부 탄성체(14)의 하면에는 제 1벨크로(V1)이 부착되고, 제 1벨크로(V1)는 커버(15)의 내면에 부착된 제 2벨크로(V2)에 대응되어 접합된다.
따라서, 줄(16)에 의하여 브라켓(18) 및 제 1매트(3)의 커버(15)가 내측방향으로 당겨질 때, 상부 및 하부 탄성체(13)도 같이 내측으로 당겨진다.
결국, 제 1매트(3)의 구석(6)은 내측 대각방향으로 당겨져 말림으로써 사선형상(19)으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바닥 공간이 삼각형, 오각형 등 사선형상(19)이 포함된 형상인 경우에도, 이와 같이 모서리를 사선형상(19)으로 변형함으로써 쉽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당김부재(16,18)가 제 1매트(3)의 내측 구석(6)을 당긴 후에는 이 당김부재(16,18)를 일정 위치에 고정할 필요가 있다. 즉, 정위치에 고정시키기 않으면 제 1매트(3) 커버가 탄성력 등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당김부재(16,18)를 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V3,V4)가 요구된다.
이러한 고정부재(V3,V4)는 당김부재(16,18)에 부착되는 제 3벨크로(V3)와; 상부 혹은 하부 탄성체(12,14)에 부착되어 당김부재(16,18)의 제 3벨크로(V3)가 부착되어 고정되는 제 4벨크로(V4)를 포함한다.
따라서, 당김부재(16,18)를 일정 거리 당긴 후, 제 3 및 제 4벨크로(V4)를 서로 부착시켜서 고정함으로써 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당김부재(16,18)의 당겨지는 거리를 표시하기 위하여 하부 탄성체(14)의 상면에 눈금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당김부재(16,18)가 당겨지는 거리를 표시함으로써 제 1매트의 구석(6)의 당겨지는 거리를 파악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접혀지는 매트의 구석(6)면적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매트(3)의 구석(6)을 사선형상(19)으로 변형한 후, 사선형상(19)의 바닥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제 2매트(5)도 제 1매트(3)와 동일한 구조 및 재질을 갖는 바, 내측 구석(6)에 연결되어 사선형상(19)으로 당겨짐으로써 매트의 형상이 가변될 수 있는 당김부재(16,18)와, 그리고 당김부재(16,18)를 고정하는 고정부재(V3,V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매트(3)는 제 2매트(5)에 비교하여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폭이 2배 이상으로 크다. 즉, 제 2매트(5)는 제 1매트(3)의 절반의 폭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제 2매트(5)의 커버(15)에도 측면 테두리에 지퍼(18)와 같은 개폐부재가 배치되며, 내측 구석(6)에는 당김부재(16,18)가 연결된다.
이 당김부재(16,18)의 일단은 제 2매트(5)의 내측 구석(6)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 2매트(3)의 내부에 자유로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부 및 하부 탄성체(12,14)에는 제 1벨크로(V1)가 부착되고, 커버(15)의 내면에는 제 2벨크로(V2)가 부착된다.
따라서, 제 2매트(3)의 커버(15)가 당김부재(16,18)에 의하여 내측방향으로 당겨질 때, 상부 및 하부 탄성체(13)도 같이 내측으로 당겨진다.
결국, 제 2매트(5)의 구석(6)은 내측으로 당겨져 말림으로써 사선형상(19)으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매트(5)의 구석(6)을 사선형상(19)으로 변형한 후, 사선형상(19)의 바닥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매트(3)와 제 2매트(5)를 서로 이웃하여 연결하거나 배치를 바꾸어서 연결하는 등의 방식으로 배치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바닥 공간이 삼각, 오각 등 다각형상인 경우에는 제 1매트(3)와 제 2매트(5)를 적절하게 배치하고, 당김부재(16,18)를 당김으로써 제 1매트(3) 혹은 제 2매트(5)의 구석(6)을 사선형상(19)으로 변환함으로써 벽체와 정확하게 접촉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매트(3,5)의 저면에는 벨크로(7,9)가 각각 배치됨으로써 제 1연결수단(11)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연결수단(11)은 제 1매트(3)와 제 2매트(5)에 배치된 벨크로(7,9)에 접착되어 연결할 수 있는 재질, 예를 들면 벨크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상적인 벨크로와 같이 상면에는 걸림고리가 배열된다(부드러운 면).
따라서, 이러한 제 1연결수단(11)이 일측은 제 1매트(3)의 벨크로(7)에 접착되고, 타측은 제 2매트(5)의 벨크로(9)에 접착됨으로써 제 1 및 제 2매트(3,5)는 한 쌍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크로(9)는 스판덱스사, 고무사 등의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직조된다. 따라서, 벨크로(9)에 의하여 매트 사이를 연결하는 경우, 사이가 벌어지거나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매트를 탄력에 의하여 당김으로써 정위치에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이 제안하는 매트는 제 1 및 제 2매트(3,5)가 제 1연결수단(11)에 의하여 한 쌍으로 연결되며, 이때 제 1매트(3)와 제 2매트(5)의 폭이 서로 다르고, 벨크로(7,9)의 위치도 다름으로써 매트를 적절하게 배열하는 경우, 다양한 공간에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및 제 2매트(3,5)를 설치하는 예가 도 7(a) 및 (b)에 도시되는 바, 도 7(a)는 횡방향으로 길이가 길어서 넓은폭을 갖는 제 1매트(3)가 가운데 배치되고, 폭이 좁은 제 2매트(5) 2개가 양측에 배치되는 구조이다. 이때, 제 1매트(3)의 양측에는 벨크로(7)가 배치되고, 양측에 배치되는 제 2매트(5)의 벨크로(9)는 일측에만, 즉 제 1매트(3) 방향에만 벨크로가 배치된다.
따라서, 제 1연결수단(11)이 제 1매트(3)의 벨크로(7)와 제 2매트(5)의 벨크로(9)를 서로 접착시킴으로써 일체로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 2매트(5)가 접촉하는 벽체가 사선형상(19)일 때, 제 2매트(5)의 당김부재(16,18)를 당김으로써 구석(6)을 사선형상(19)으로 변환시켜서 벽체의 형상과 일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 1매트(3)와 제 2매트(5)의 사이가 벌어지거나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탄력성을 갖는 제 1연결수단(11)이 탄력에 의하여 매트를 당김으로써 정위치에 연결할 수 있다.
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매트(3)를 중간에 2개 배치하고, 양측에 제 2매트(5)를 각각 연결할 수도 있다.
이때, 제 2매트(5)가 접촉하는 벽체가 사선형상(19)일 때, 제 2매트(5)의 당김부재(16,18)를 당김으로써 구석(6)을 사선형상(19)으로 변환시켜서 벽체의 형상과 일치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매트(3)와 제 2매트(5)를 적절하게 배열하고, 벨크로 방식의 제 1연결수단(11)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 6에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방향으로 길이가 길고 양측에 벨크로(24)가 배치된 제 3매트(20)와; 종방향으로 길이가 길고 일측에만 벨크로(26)가 배치된 제 4매트(22)와; 제 3 및 제 4매트(20,22)를 연결하는 제 2연결수단(28)과; 일단은 제 3매트(20) 및 제 4매트(22)의 내측 구석(6)에 각각 연결되며, 당기는 경우 매트의 구석(6)이 사선형상(19)으로 당겨짐으로써 매트의 형상이 가변될 수 있는 당김부재(16,18)와; 그리고 당김부재(16,18)를 당겨진 상태로 제 3매트(20) 및 제 4매트(22)의 사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V3,V4)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 3 및 제 4매트(20,22)는 전술한 실시예의 제 1 및 제 2매트(3,5)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즉, 제 3 및 제 4매트(20,22)는 적절한 탄력을 갖는 바, 내부에는 라텍스와 같은 탄성체(13)가 각각 배치되고, 이 탄성체(13)의 외부는 PE와 같은 재질로 된 커버(15)로 씌워진다.
이때 탄성체(13)는 상층 및 하층의 2겹으로 구성되며 얇은 두께를 갖는다.
물론, 탄성체(13)로서 라텍스 이외에도 러버(Rubber)와 같은 합성수지 등이 가능하고, 또한 커버(15)로는 PE 이외에도 다양한 재질의 합성수지, 직물재 등도 가능하다.
그리고, 커버(15)의 측면 테두리에는 지퍼(18)와 같은 개폐부재가 배치됨으로써 필요시 개방하여 내측의 탄성체(13)를 인출하거나 투입할 수 있다.
이때, 제 3 및 제 4매트(20,22)의 내측 구석(6)에는 당김부재(16,18)가 연결됨으로써 제 3 및 제 4매트(20,22)의 구석(6)을 내측으로 당길 수 있다. 그리고, 이 당김부재(16,18)는 제 1 및 제 2매트(3,5)에 연결된 당김부재(16,18)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당김부재(16,18)의 일단은 제 3매트(20) 혹은 제 4매트(22)의 내측 구석(6)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로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부 및 하부 탄성체(13)에는 제 1벨크로(V1)가 부착되고, 이 벨크로는 커버(15)의 내측에 부착된 제 2벨크로(V2)에 대응되어 접합된다.
따라서, 제 3 및 제 4매트(20,22)의 커버(15)가 당김부재(16,18)에 의하여 내측방향으로 당겨질 때, 상부 및 하부 탄성체(12,14)도 같이 내측으로 당겨지고, 결국, 제 3 및 제 4매트(20,22)의 구석(6)은 내측으로 당겨져 말림으로써 사선형상(19)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3 및 제 4매트(20,22)의 구석(6)을 사선형상(19)으로 변형한 후, 사선형상(19)의 바닥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 3매트(20)는 저면의 양 테두리에 벨크로(24)가 각각 배치되고, 제 4메트는 저면의 일측 테두리에만 벨크로(26)가 배치된다.
이러한 제 3 및 제 4매트(20,22)는 종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연결수단(28)은 전술한 실시예의 제 1연결수단(11)과 동일한 재질인 탄력성을 갖는 벨크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연결수단(28)은 일측은 제 3매트(20)의 벨크로(24)에 접착되고, 타측은 제 4매트(22)의 벨크로(26)에 접착됨으로써 제 3 및 제 4매트(20,22)는 한 쌍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2연결수단(28)이 탄력성을 갖음으로 제 3 및 제 4매트(20,22)의 사이가 벌어지거나 맞지 않는 경우에도 매트를 당겨서 정위치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3 및 제 4매트(20,22)가 제 2연결수단(28)에 의하여 한 쌍으로 연결되며, 매트를 적절하게 배열하는 경우, 다양한 공간에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제 3매트(20)가 접촉하는 벽체가 사선형상(19)일 때, 제 3매트(20)의 당김부재(16,18)를 당김으로써 구석(6)을 사선형상(19)으로 변환시켜서 벽체의 형상과 일치시키게 된다.
이러한 제 3 및 제 4매트(20,22)를 설치하는 예가 도 8(a) 및 (b)에 도시되는 바, 도 8(a)는 길이가 길고 양측에 벨크로(24)가 배치된 제 3매트(20)가 중간에 배치되고, 일측에만 벨크로(26)가 배치된 제 4매트(22)가 제 3매트(20)의 양 바깥쪽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 2연결수단(28)이 제 3매트(20)의 벨크로(24)와 제 4매트(22)의 벨크로(26)를 서로 접착시킴으로써 일체로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벨크로(24)가 배치된 제 3매트(20)가 중간에 2개 배치되고, 일측에만 벨크로(26)가 배치된 제 4매트(22)가 제 3매트(20)의 양 바깥쪽에 배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3매트(20)와 제 4매트(22)를 적절하게 배열하고, 벨크로 방식의 제 2연결수단(28)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의 제 1 및 제 2매트(3,5)와, 본 실시예의 제 3 및 제 4매트(20,22)를 서로 혼합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즉,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길이가 긴 제 3매트(20) 혹은 제 4매트(22)를 2개 배치하고, 일측에 제 1매트(3)를 배치하는 방식이다.
이때에도 제 3 및 제 4매트(20,22)에는 내측에 당김부재(16,18)가 배치되고, 탄성체에 벨크로가 부착됨으로써 당김부재(16,18)를 당기는 경우 사선형상(19)으로 당겨지는 점은 동일하다.
혹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길이가 긴 제 3매트(20) 혹은 제 4매트(22)를 일정 거리 떨어지게 배치하고, 그 사이에 제 1매트(3)를 배치하는 방식이다.
혹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매트(20) 혹은 제 4매트(22) 2개를 중간에 배치하고, 양측에 제 2매트(5)를 각각 배치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제 1 내지 제 4매트(22)를 서로 혼합하여 배치함으로써 종방향 혹은 횡방향으로 길이의 제약을 받지 않음으로 다양한 공간에 다양한 형상으로 배치할 수 있다.

Claims (5)

  1.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양측에 벨크로(7)가 배치된 제 1매트(3)와;
    일측에만 벨크로(9)가 배치되는 제 2매트(5)와;
    제 1 및 제 2매트(3,5)를 연결하는 제 1연결수단(11);
    일단은 제 1매트(3) 및 제 2매트(5)의 내측 구석(6)에 각각 연결되며, 당기는 경우 매트의 구석(6)이 사선형상(19)으로 당겨짐으로써 매트의 형상이 가변될 수 있는 당김부재(16,18)와; 그리고
    당김부재(16,18)를 당겨진 상태로 제 1매트(3) 및 제 2매트(5)의 사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V3,V4)를 포함하는 매트 조립체(1).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매트(3,5)는 내부에 상하층으로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탄성체(12,14)와; 상부 및 하부 탄성체(12,14)의 외부에 씌워지는 커버(15)와; 커버(15)에 배치되어 커버(15)를 개폐하는 지퍼(18)와; 상부 및 하부 탄성체(12,14)의 표면에 부착되는 제 1벨크로(V1)와; 커버(15)의 내측에 부착되어 제 1벨크로(V1)가 부착되는 제 2벨크로(V2)를 포함하는 매트 조립체(1).
  3. 제 2항에 있어서,
    당김부재(16,18)는 커버(15)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어 상부 및 하부 탄성체(12,14)의 사이를 확장시키는 브라켓(18)과; 브라켓(18)에 연결되어 당김으로써 커버(15)를 상부 및 하부 탄성체(12,14)의 사이로 진입시키는 줄 혹은 와이어(16)를 포함하는 매트 조립체(1).
  4. 제 1항에 있어서,
    고정부재(V3,V4)는 당김부재(16,18)에 부착되는 제 3벨크로(V3)와; 상부 혹은 하부 탄성체(12,14)에 부착되어 당김부재(16,18)의 제 3벨크로(V3)가 부착되어 고정되는 제 4벨크로(V4)를 포함하는 매트 조립체(1).
  5. 제 1항에 있어서,
    제 1연결수단(11)은 탄력성을 갖는 벨크로를 포함함으로써, 제 1 및 제2매트(3,5)의 사이가 벌어지거나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탄력성에 의하여 당김으로써 정위치에 결합시킬 수 있는 매트 조립체(1).
KR2020180003426U 2017-08-01 2018-07-25 매트 조립체 KR20048810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04051 2017-08-01
KR2020170004051 2017-08-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109Y1 true KR200488109Y1 (ko) 2018-12-13

Family

ID=64668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426U KR200488109Y1 (ko) 2017-08-01 2018-07-25 매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109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5243A (ko) * 2012-12-11 2014-06-19 조승훈 놀이용 입체매트
KR20140136581A (ko) * 2013-05-20 2014-12-01 권민서 놀이 매트를 겸한 놀이완구 정리함
KR20150135811A (ko) * 2014-05-26 2015-12-04 이재혁 놀이 매트 어셈블리
KR101638571B1 (ko) * 2015-11-27 2016-07-11 주식회사 루젠 절첩식 매트
KR20160119183A (ko) 2014-03-31 2016-10-12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반사재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반사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5243A (ko) * 2012-12-11 2014-06-19 조승훈 놀이용 입체매트
KR20140136581A (ko) * 2013-05-20 2014-12-01 권민서 놀이 매트를 겸한 놀이완구 정리함
KR20160119183A (ko) 2014-03-31 2016-10-12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반사재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반사재
KR20150135811A (ko) * 2014-05-26 2015-12-04 이재혁 놀이 매트 어셈블리
KR101638571B1 (ko) * 2015-11-27 2016-07-11 주식회사 루젠 절첩식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1531B2 (en) Sleeping pad with pillow formed by bending and temporarily fixing
US8332976B1 (en) Interchangeable adaptable bed sheet configuration
US6634042B2 (en) Crib mattress cover
US20130084413A1 (en) Anti-fatigue mat with removable resilient cushioning member
CN105581572A (zh) 床垫套及其包覆床垫的方法
KR101650338B1 (ko)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KR200488109Y1 (ko) 매트 조립체
KR200427949Y1 (ko) 매트
KR101269863B1 (ko) 유아용 놀이매트
US7600279B1 (en) Bedspread system
JP6286194B2 (ja) トレイ
KR101700524B1 (ko) 가변 놀이 매트
KR101638571B1 (ko) 절첩식 매트
KR200490388Y1 (ko) 범퍼 침대
JP3225276U (ja) サイドレール用カバー
KR20170004222U (ko) 유아용 매트
KR20150135811A (ko) 놀이 매트 어셈블리
KR102549297B1 (ko) 시트 패드용 파스너 테이프
JP3176517U (ja) 愛玩動物用ベッド
KR101863494B1 (ko) 놀이 매트 어셈블리
JP3842849B2 (ja) 紙製陳列棚台
AU2017101094A4 (en) Bed Cover
KR101421082B1 (ko) 안전 시트 유닛
JP5173075B1 (ja) 睡眠用枕
KR101732013B1 (ko)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