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212Y1 - 야외용 접이식 매트 - Google Patents

야외용 접이식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212Y1
KR200490212Y1 KR2020180003859U KR20180003859U KR200490212Y1 KR 200490212 Y1 KR200490212 Y1 KR 200490212Y1 KR 2020180003859 U KR2020180003859 U KR 2020180003859U KR 20180003859 U KR20180003859 U KR 20180003859U KR 200490212 Y1 KR200490212 Y1 KR 2004902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lange
extension part
side plate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8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완
Original Assignee
강경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완 filed Critical 강경완
Priority to KR20201800038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2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2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2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1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everal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to be put together in one cover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야외용 접이식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레이트 형상의 매트 본체, 본체의 사각테두리로부터 일방향으로 절첩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측벽부, 측벽부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며 절첩되는 플랜지부 및 플랜지부의 각각 일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이웃하는 플랜지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야외용 접이식 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야외용 접이식 매트{A FOLDING TYPE MAT FOR OUTDOOR}
본 고안은 야외용 접이식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하게 절곡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측벽부와 측벽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시킨 플랜지부를 각각 연결시키는 연결부에 의해 벌레 및 낙엽 등이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야외용 접이식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용 매트는 바닥에 깔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접거나 말아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일정넓이를 갖는 천이나 합성수지 필름 등으로 얇게 형성된다.
이러한 야외용 매트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가볍고 유연한 재질 및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야외활동 시 약한 바람에 의해서도 날리거나 접혀 위에 올려놓은 휴대품이 날리거나 손상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이 고르지 못한 경우 사용자가 앉아 있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야외용 매트의 단점을 해결하는 다양한 구조의 야외용 매트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먼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45523호 "휴대용 시트매트"를 살펴보면, 의자의 바닥면, 의자의 바닥면과 등받이면을 덮어서 깔개로 사용되는 휴대용 시트매트에 있어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폴리우레탄 발포체 재질의 깔개부재, 상기 깔개부재를 접은 뒤에 이를 고정하여 깔개부재의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묶음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시트매트의 구성을 제공하고 있다.
즉, 깔개부재를 접은 뒤에 묶음수단인 밸크로, 스냅 등으로 깔개부재의 접은 상태를 유지하여 소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사용시 묶음수단을 해제한 뒤에 깔개부재를 펴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49755호 "야외용 접이식 매트"를 살펴보면, 공기주입용 마개를 가지는 에어 매트에 있어서, 상기 에어 매트는 각각 개별적으로 공기가 주입되도록 다수개의 단위매트로 구성되며, 상기 단위매트들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접합 고정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야외용 접이식 매트의 구성을 제공하고 있다.
즉, 필요한 단위매트에만 에어를 주입하여 사용하도록 됨에 따라, 갯바위 등과 같이 바닥면이 울퉁불퉁한 장소에서도 아무런 불편 없이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히 뾰족하게 튀어나온 돌멩이가 위치된 단위매트는 에어를 주입하지 않도록 하여 찢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장점은 있으나, 야외 및 캠핑장에서 사용 시 바닥의 벌레 또는 낙엽 등 외부적인 요인에 의한 오염물질이 매트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 제20-0245523호 등록실용 제20-0349755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체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하게 절곡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측벽부와 측벽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시킨 플랜지부를 각각 연결시키는 연결부에 의해 벌레 및 낙엽 등이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새로운 구조의 야외용 접이식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플레이트 형상의 매트 본체,
상기 본체의 사각테두리로부터 일방향으로 절첩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며 절첩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의 각각 일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기 플랜지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야외용 접이식 매트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접이식 매트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일측이 절첩되게 연장되는 제1 절첩편이 형성된 제1 측판, 상기 제1 측판을 마주보며 배치되고 일측이 절첩되게 연장되는 제2 절첩편이 형성된 제2 측판, 상기 본체의 테두리 중 단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일측이 절첩되게 연장되어 상기 제1 측판에 이웃하는 제3 절첩편이 형성된 제3 측판 및 상기 제3 측판을 마주보며 배치되고 일측이 절첩되게 연장되어 상기 제2 측판에 이웃하는 제4 절첩편이 형성된 제4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접이식 매트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1 측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양측이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연장부가 형성된 제1 플랜지판, 상기 제2 측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 플랜지판을 마주보며 배치되고, 양측이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연장부가 형성된 제2 플랜지판, 상기 제3 측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양측이 연장되는 한 쌍의 제3 연장부가 형성된 제3 플랜지판 및 상기 제4 측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3 플랜지판을 마주보며 배치되고, 양측이 연장되는 한 쌍의 제4 연장부가 형성된 제4 플랜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접이식 매트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연장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3 연장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연결판, 상기 제1 연결판을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2 연장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4 연장부에 이웃하는 제2 연결판, 상기 제3 연장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3 연장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연결판 및 상기 제3 연결판을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4 연장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연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접이식 매트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3등분으로 구획되는 유닛이 형성된 구획편 및 상기 구획편 중앙에 배치된 상기 유닛의 양측에 볼록하게 형성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측벽부 및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본체를 둘러싸도록 순차적으로 절첩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2 연장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야외용 접이식 매트는 본체의 테두리를 측벽부 및 플랜지부로 접은 후 결합하여 야외 및 캠핑장에서 사용하더라도 벌레 및 나엽 등이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하고 편리하게 사용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야외용 접이식 매트는 측벽부에 제1 내지 제4 절편부를 구비하여, 제1 내지 제4 절편부가 측벽부의 외측에 위치하여 플랜지부를 지지함으로써, 플랜지부가 꺽이거나 휘는 현상을 방지하여 벌레가 측벽부를 타고 본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야외용 접이식 매트는 연결판에 형성된 돌기부를 측벽부에 결합시킴으로써, 플랜지부 및 측벽부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견고하게 매트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접이식 매트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완성전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접이식 매트의 본체 및 측벽부를 펼쳐서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접이식 매트의 저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접이식 매트의 플랜지부를 펼쳐서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접이식 매트의 연결부를 펼쳐서 나타낸 전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접이식 매트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접이식 매트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완성전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접이식 매트의 본체 및 측벽부를 펼쳐서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접이식 매트의 저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접이식 매트의 플랜지부를 펼쳐서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접이식 매트의 연결부를 펼쳐서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접이식 매트(10)는 본체(100), 측벽부(200), 플랜지부(300) 및 연결부(4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접이식 매트(10)는 플레이트 형상의 매트 본체(100), 본체의 사각테두리로부터 일방향으로 절첩되어 본체의 테두리를 따라 벽체를 형성하는 측벽부(200), 측벽부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며 절첩되는 플랜지부(300) 및 플랜지부의 각각 일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이웃하는 플랜지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40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0)는 플레이트 형상의 매트로서 텐트의 하층부에 배치되고 깔판역할을 하도록 딱딱한 반유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00)는 후술하는 측벽부 및 플랜지부에 의해 접혀지도록 접힌선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100)는 야외, 공원 등에 펼쳐서 사용이 가능하고 탄성력을 가지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측벽부(200)는 본체(100)의 사각테두리로부터 일방향으로 절첩되어 벽체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측벽부(200)는 제1 측판(210), 제2 측판(220), 제3 측판(230) 및 제4 측판(240)을 포함한다.
제1 측판(210)은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일측이 절첩되게 연장되는 제1 절첩편(2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절첩편(2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을 평면으로 볼 때 제1 측판(210)의 우측에 위치하고, 접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측판(210)은 본체(100)의 길이방향 테두리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 형상되어, 접힌선을 따라 본체(100)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질 수 있다.
제2 측판(220)은 제1 측판(210)을 마주보며 배치되고 일측이 절첩되게 연장되는 제2 절첩편(221)이 형성된다.
즉, 제2 측판(220)은 제1 측판(210)으로부터 본체(100)의 단방향 거리만큼 이격되어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연장 형성되어, 접힌선을 따라 본체(100)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진다.
제3 측판(230)은 본체(100)의 테두리 중 단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일측이 절첩되게 연장되어 제1 측판(210)에 이웃하는 제3 절첩편(231)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3 측판(230)은 본체(100)의 테두리 길이방향을 따라 벽체로 형성된 제1 측판(210) 및 제3 측판(230)의 일단을 연결해주는 것으로 후술하는 제4 측판(240)에 의해 사각박스형상의 벽체를 이루게 된다.
제4 측판(240)은 제3 측판(230)을 마주보며 배치되고 일측이 절첩되게 연장되어 제2 측판(220)에 이웃하는 제4 절첩편(24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측벽부(200)는 본체(100)를 테두리를 감싸는 벽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 4 절첩편(211, 221, 231, 24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측판(210, 220, 230, 240)의 외측에 위치하게 하여 후술하는 플랜지부(300)를 지지함으로써, 플랜지부(300)가 꺾이거나 휘는 현상을 방지하여 벌레가 제1 내지 제4 측판(210, 220, 230, 240)의 외측면을 따라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측벽부(200)는 제1 내지 제 4 절첩편(211, 221, 231, 241)을 제1 내지 제4 측판(210, 220, 230, 240)의 외측에 밀착되게 하여 결합력을 증대시킴으로써, 견고하게 벽체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플랜지부(300)는 측벽부(200)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본체(100)의 외측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며 절첩 된다. 이를 위해, 플랜지부(300)는 제1 플랜지판(310), 제2 플랜지판(320), 제3 플랜지판(330) 및 제4 플랜지판(340)을 포함한다.
제1 플랜지판(310)은 제1 측판(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양측이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연장부(311)가 형성된다. 즉, 제1 플랜지판(310)은 제1 측판(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1 측판(210)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직각을 이루며 본체(100)의 외측방향으로 접히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플랜지판(310)은 벌레 및 낙엽 등이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연장부(311)는 제1 플랜지판(310)의 양측이 절첩되게 한 쌍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 플랜지판(310)이 제1 측판(210)의 일단으로부터 직각을 이루며 접히는 경우, 제1 연장부(311)가 후술하는 제3 플랜지판(330) 및 제4 플랜지판(340)에 서로 인접하게 됨으로써, 후술하는 제3 연장부(331) 및 제 4 연장부(341)의 일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결합된다.
여기서, 제3 연장부(331)는 제4 연장부(341)의 일면에 적층된 후, 제1 연장부(311)가 제4 연장부(341)의 일면에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순서와 상관없이, 제1 연장부(310)가 제3 연장부(331) 또는 제 4 연장부(341)의 일면에 적층하며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플랜지판(320)은 제2 측판(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제1 플랜지판(310)을 마주보며 배치되고, 양측이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연장부(321)가 형성된다. 이때, 제2 플랜지판(320)이 제2 측판(220)의 일단으로부터 직각을 이루며 접히는 경우, 제2 연장부(321)가 제3 연장부(331) 및 제 4 연장부(341)의 일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결합된다.
제3 플랜지판(330)은 제3 측판(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양측이 연장되는 한 쌍의 제3 연장부(331)가 형성된다. 이때, 제3 플랜지판(330)이 제3 측판(230)의 일단으로부터 직각을 이루며 접히는 경우, 제1 플랜지판(310) 및 제2 플랜지판(320)에 서로 인접하게 됨으로써, 제3 연장부(331)가 제1 연장부(311) 및 제2 연장부(321)의 일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결합된다.
제4 플랜지판(340)은 제4 측판(24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제3 플랜지판(330)을 마주보며 배치되고, 양측이 연장되는 한 쌍의 제4 연장부(341)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4 연장부(341)는 제1 연장부(311) 및 제2 연장부(321)의 일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결합된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연결부(400)는 플랜지부(300)의 각각 일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이웃하는 플랜지부(300)를 연결시킨다. 이를 위해, 연결부(400)는 제1 연결판(410), 제2 연결판(420), 제3 연결판(430) 및 제4 연결판(440)을 포함한다.
제1 연결판(410)은 제1 연장부(31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제1 연장부(311) 및 제3 연장부(331) 사이에 배치된다.
일례로, 제1 플랜지판(310) 및 제3 플랜지판(330)이 제1 측판(210) 및 제3 측판(230)의 일단으로부터 직각을 이루며 접히는 경우, 제1 연결판(410)은 제3 연장부(331)의 일면에 적층되며 결합된다.
즉, 제1 연결판(410)은 제3 연장부(331)가 제1 연장부(311)의 일면에 적층된 후, 제3 연장부(331)를 감싸면서 접혀진 후 제3 연장부(331)의 일면에 적층 결합됨으로써, 제1 플랜지판(310) 및 제3 플랜지판(330)의 결합력을 증대시킨다.
제2 연결판(420)은 제1 연결판(410)을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제2 연장부(32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제4 연장부(341)에 이웃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제2 연결판(420)은 제4 연장부(341)의 일면에 적층되며 결합된다.
제3 연결판(430)은 제3 연장부(33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제2 연장부(321) 및 제3 연장부(331) 사이에 배치되며, 제2 연장부(321)의 일면에 적층되어 결합된다.
제4 연결판(440)은 제3 연결판(430)을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제1 연장부(311) 및 제4 연장부(341) 사이에 배치된다.
일례로, 제1 플랜지판(310) 및 제4 플랜지판(340)이 제1 측판(210) 및 제4 측판(240)의 일단으로부터 직각을 이루며 접히는 경우, 제4 연결판(440)은 제1 연장부(311)의 일면에 적층되며 결합된다.
즉, 제4 연결판(440)은 제4 연장부(341)가 제1 연장부(311)의 일면에 적층된 후, 제1 연장부(311)를 감싸면서 접현진 후 제1 연장부(311)의 일면에 척층 결합됨으로써, 제1 플랜지판(310) 및 제4 플랜지판(340)의 결합력을 증대시킨다.
한편, 연결부(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편(450) 및 돌기부(460)를 더 포함한다.
구획편(450)은 3등분으로 구획되는 유닛이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돌기부(460)를 형성하기 위해, 연결부(400)를 3등분 시킨다.
돌기부(460)는 구획편(450)의 중앙에 배치된 유닛의 양측에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부(460)는 측벽부(200) 및 플랜지부(300)가 본체(100)를 둘러싸도록 순차적으로 절첩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연장부(311, 321, 331, 341)의 일면에 형성된 홈(301)에 삽입될 수 있게된다.
다시 설명하면, 돌기부(460)는 구획편(450)의 중앙에 배치된 유닛의 양측에 볼록하게 형성되어 전술한 제1 내지 제4 연장부(311, 321, 331, 341)의 일면에 형성된 홈(301)에 삽입되어 본체(100)를 둘러싸는 측벽부(200) 및 플랜지부(300)의 결합력을 증대시킨다.
일례로, 연결부(400)는 플랜지부(300)를 구성하는 제1 내지 제4 연장부(311, 321, 331, 341)의 일면에 적층되게 절첩 된다. 즉, 연결부(400)를 구성하는 제1 내지 제4 연결판(410, 420, 430, 440)이 제1 내지 제4 연장부(311, 321, 331, 341)의 일면에 적층된 후, 제1 내지 제4 연결판(410, 420, 430, 440)에 각각 형성된 돌기부(460)를 제1 내지 제4 연장부(311, 321, 331, 341)의 일면에 형성된 홈(301)에 삽입시킴으로써, 측벽부(200) 및 플랜지부(300)의 결합력을 증대시킨다.
여기서, 홈(301)은 제1 내지 제4 연장부(311, 321, 331, 341)에만 표현되어 있으나, 제1 내지 제4 절첩편(211, 221, 231, 241)에도 형성되어 돌기부(460)가 삽입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접이식 매트(10)는 평소에 일반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전체적으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접어서 보관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접이식 매트(10)는 야외, 캠핑장에서 사용하기위해, 플랜지부(300)가 형성되도록 접어서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매트처럼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 후 공간활용을 위해 접어서 보관하거나 말아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야외용 접이식 매트
100 : 본체
200 : 측벽부
210 : 제1 측판
211 : 제1 절첩편
220 : 제2 측판
221 : 제2 절첩편
230 : 제3 측판
231 : 제3 절첩편
240 : 제4 측판
241 : 제4 절첩편
300 : 플랜지부
310 : 제1 플랜지판
311 : 제1 연장부
320 : 제2 플랜지판
321 : 제2 연장부
330 : 제3 플랜지판
331 : 제3 연장부
340 : 제4 플랜지판
341 : 제4 연장부
400 : 연결부
410 : 제1 연결판
420 : 제2 연결판
430 : 제3 연결판
440 : 제4 연결판
450 : 구획편
460 : 돌기부

Claims (5)

  1. 플레이트 형상의 매트 본체;
    상기 본체의 사각테두리로부터 일방향으로 절첩되어 벽체를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일측이 절첩되게 연장되는 제1 절첩편이 형성된 제1 측판과 상기 제1 측판을 마주보며 배치되고 일측이 절첩되게 연장되는 제2 절첩편이 형성된 제2 측판과 상기 본체의 테두리 중 단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일측이 절첩되게 연장되어 상기 제1 측판에 이웃하는 제3 절첩편이 형성된 제3 측판 및 상기 제3 측판을 마주보며 배치되고 일측이 절첩되게 연장되어 상기 제2 측판에 이웃하는 제4 절첩편이 형성된 제4 측판을 포함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며 절첩되도록 상기 제1 측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양측이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연장부가 형성된 제1 플랜지판과 상기 제2 측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 플랜지판을 마주보며 배치되고, 양측이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연장부가 형성된 제2 플랜지판과 상기 제3 측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양측이 연장되는 한 쌍의 제3 연장부가 형성된 제3 플랜지판 및 상기 제4 측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3 플랜지판을 마주보며 배치되고, 양측이 연장되는 한 쌍의 제4 연장부가 형성된 제4 플랜지판을 포함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의 각각 일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기 플랜지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연장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3 연장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연결판;
    상기 제1 연결판을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2 연장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4 연장부에 이웃하는 제2 연결판;
    상기 제3 연장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3 연장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연결판; 및
    상기 제3 연결판을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4 연장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연결판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3등분으로 구획되는 유닛이 형성된 구획편; 및
    상기 구획편 중앙에 배치된 상기 유닛의 양측에 볼록하게 형성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측벽부 및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본체를 둘러싸도록 순차적으로 절첩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2 연장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접이식 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80003859U 2018-08-18 2018-08-18 야외용 접이식 매트 KR2004902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859U KR200490212Y1 (ko) 2018-08-18 2018-08-18 야외용 접이식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859U KR200490212Y1 (ko) 2018-08-18 2018-08-18 야외용 접이식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212Y1 true KR200490212Y1 (ko) 2019-10-11

Family

ID=68164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859U KR200490212Y1 (ko) 2018-08-18 2018-08-18 야외용 접이식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2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299B1 (ko) 2021-03-30 2022-02-14 주식회사 화진 좌식의자로 변형이 가능한 접이식 매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736Y1 (ko) * 1996-01-09 1998-12-15 권순동 야외용 자리
KR200245523Y1 (ko) 2001-05-31 2001-10-29 신우기업(주) 휴대용 시트매트
KR200349755Y1 (ko) 2004-02-06 2004-05-10 정창석 야외용 에어 매트
KR100888757B1 (ko) * 2007-07-09 2009-03-17 정순옥 돗자리겸용 물놀이튜브
KR200484934Y1 (ko) * 2017-01-12 2017-11-09 유청기 가변형 매트 세트
KR200485388Y1 (ko) * 2017-01-26 2018-01-03 유청기 가변형 매트 세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736Y1 (ko) * 1996-01-09 1998-12-15 권순동 야외용 자리
KR200245523Y1 (ko) 2001-05-31 2001-10-29 신우기업(주) 휴대용 시트매트
KR200349755Y1 (ko) 2004-02-06 2004-05-10 정창석 야외용 에어 매트
KR100888757B1 (ko) * 2007-07-09 2009-03-17 정순옥 돗자리겸용 물놀이튜브
KR200484934Y1 (ko) * 2017-01-12 2017-11-09 유청기 가변형 매트 세트
KR200485388Y1 (ko) * 2017-01-26 2018-01-03 유청기 가변형 매트 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299B1 (ko) 2021-03-30 2022-02-14 주식회사 화진 좌식의자로 변형이 가능한 접이식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5822B1 (en) Collapsible structures
US6848460B2 (en) Collapsible sleeping structures
US6453923B2 (en) Collapsible structures
EP1054121A1 (en) Collapsible structures
US20070062147A1 (en) Portable folding floor unit
JP2012522617A (ja) 携帯用組立式フラットベンチ
WO2010048750A1 (zh) 一种新型塑料地垫
US20170114566A1 (en) System of collapsible panels and structures
KR200490212Y1 (ko) 야외용 접이식 매트
US6354004B1 (en) Ball pen and method
KR101462789B1 (ko)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
US20140115985A1 (en) Convenient and portable space partitioning device
US20050063780A1 (en) Flexible panel
US11357346B1 (en) Collapsible ground sheet
KR20200085518A (ko) 조립형 침대 매트리스장치
KR101951350B1 (ko) 레저 및 구난용 텐트
KR200490388Y1 (ko) 범퍼 침대
KR200454195Y1 (ko) 의자겸용매트
US20090025767A1 (en) Collapsible structures
KR20180000422U (ko) 접이식 깔판 겸용 침대 매트리스
KR20080068617A (ko) 접철식 온열 깔판
KR200437619Y1 (ko) 조립식 평상
KR200419134Y1 (ko) 휴대용 깔개
JP3068323U (ja) 三層式木質組立床板
JP3184573U (ja) パーティション用基体、及び該基体を用いたパーティ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