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195Y1 - 의자겸용매트 - Google Patents

의자겸용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195Y1
KR200454195Y1 KR2020080014578U KR20080014578U KR200454195Y1 KR 200454195 Y1 KR200454195 Y1 KR 200454195Y1 KR 2020080014578 U KR2020080014578 U KR 2020080014578U KR 20080014578 U KR20080014578 U KR 20080014578U KR 200454195 Y1 KR200454195 Y1 KR 2004541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chair
coupling
coupling groov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819U (ko
Inventor
신동현
Original Assignee
신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현 filed Critical 신동현
Priority to KR2020080014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195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8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8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1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1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3/00Convertible chairs, stools or benche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겸용매트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호 절첩가능하도록 형성된 후방매트, 하부매트, 전방매트, 상부매트가 연속하여 연결되어 일련의 발포 매트 연결체로 이루어지며, 상부매트의 하측 단부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가 연장형성되고, 후방매트의 일측면에는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접혀진 상태에서 의자로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겸용매트가 제공된다.
매트, 접힘, 결합, 의자

Description

의자겸용매트{mat used as chair}
본 고안은 의자겸용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절첩가능하도록 연결된 일련의 발포매트로 구성되어 두꺼운 매트를 사용하지 아니하고도 접힌 상태에서 충분한 높이를 제공하는 의자로 사용가능한 매트에 관한 것이다.
발포 매트는 수지에 발포제, 가교제, 외피제, 심재 등을 혼합하여 열프레스 성형, 트랜스와 몰딩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매트를 말한다. 이러한 발포매트는 흡음, 단열, 완충 등에 있어서 매우 우수한 기능을 발휘하므로 건축용 재료로 사용되기도 하며, 이와 다르게 가정에서 또는 학교, 체육관 등에서 바닥면에 깔거나 개별적 모양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가정용 등으로 사용되는 발포 매트는, 수지입자를 발포제와 그 밖에 가교제나 충진제를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가열, 혼열하여 만들어진 쉬트를 여러겹 적층시켜 발포 매트를 형성하고, 그 표면에는 다양한 무늬를 형성하여 미려함을 더하도록 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발포 매트를 단순히 매트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침대, 쇼파, 의자 등으로 변형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형상이 변형되도록 이루어진 다양한 매트가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매트는 대부분 여러장의 매트가 단순히 겹쳐지도록 하여 그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이며, 충분한 높이가 필요한 의자 등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다수의 두꺼운 매트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매트를 여러장 겹쳐 의자 등으로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무게가 무거워 이동이 불편하며, 특히 어린 아이들이 사용하는 데에는 불편함이 따른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일련의 연결된 매트가 서로 겹쳐지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접혀져서 고정된 형상을 유지하게 하여 의자로 사용가능한 것과 관련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상호 절첩가능하도록 형성된 후방매트, 하부매트, 전방매트, 상부매트가 연속하여 연결되어 일련의 발포 매트 연결체로 이루어지며, 상부매트의 하측 단부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가 연장형성되고, 후방매트의 일측면에는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접혀진 상태에서 의자로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겸용매트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서로 연결된 일련의 발포 매트가 사각 프레임 형태로 접히도록 하여 얇은 매트에 의하더라도 충분한 높이를 제공하는 의자로 사용될 수 있다.
둘째, 각각의 매트가 서로 직각으로 접히도록 하여, 의자로 사용되는 경우 안정성을 높을 수 있으며, 상부매트가 후방매트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셋째, 후방매트를 전방매트보다 큰 크기로 형성하고 후방매트의 중앙부에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의자로 사용되는 경우 등받이를 형성할 수 있다.
넷째, 좌우측면 모서리에 이음돌기 및 이음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여러개의 의자겸용매트를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활용도를 넓힐 수 있다.
도 1(a) 와 도 1(b)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겸용매트를 도시한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겸용매트(1)는 상호 절첩가능하도록 형성된 후방매트(10), 하부매트(20), 전방매트(30), 상부매트(40)가 연속하여 연결되어 일련의 발포 매트 연결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매트(40)의 하측 단부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41)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후방매트(10)의 표면 상에는 상기 결합돌기(41)가 삽입되는 결합홈(11)이 형성되어, 접혀진 상태에서 의자로 사용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발포 매트는 수지입자를 발포제와 그 밖에 가교제나 충진제를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가열, 혼열하여 만들어진 쉬트를 여러겹 적층시켜 형성된다. 이러한 발포매트는 흡음성, 단열성, 완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여러개의 층이 겹쳐지도록 이루어지며, 내부의 발포층을 보호하는 표피층이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져 강성 또한 우수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후방매트(10), 하부매트(20), 전방매트(30), 상부매트(40)는 모두 이러한 발포 매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방매트(10), 하부매트(20), 전방매트(30), 상부매트(40)는 연속하여 연결되며, 각각의 매트는 단부가 서로 완전히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부분만이 서로 연결되도록 결합 된다.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서 각각의 매트가 휘어지는 등의 현상 없이 소정의 각도로 절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상부매트(40)의 하측 단부, 즉 본 고안인 위자겸용매트(1)의 하측 단부에는 결합돌기(41)가 연장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41)는 상기 상부매트(40)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41)는 상기 결합홈(11)에 끼워져 본 고안이 의자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연결부분이며 쉽게 분리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돌기(41)는 상기 결합홈(1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1)에 억지 끼워진다. 상기 결합돌기(41)는 발포체로 이루어져 탄성 복원력이 우수하며 상기 결합홈(11) 내부에서 압축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결합돌기(41)는 중간 부분이 가장 두껍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41)의 단부는 상기 결합홈(11)의 크기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41)의 중간 부분은 상기 결합홈(11)의 크기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상기 결합돌기(41)는 압축되면서 상기 결합홈(1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41)는 상기 결합홈(11) 내부에서 강하게 밀착되므로 상기 상부매트(40)과 상기 후방매트(1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방매트(10)의 표면에는 상기 결합홈(1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41)기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후방매트(10), 하부매트(20), 전방매트(30), 상부매트(40)는 평상시에는 바닥에 깔아 하나의 매트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술한 구성에 따라 필요시에 접 어 의자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겸용매트(1)에서, 상기 후방매트(10), 하부매트(20), 전방매트(30), 상부매트(40)는 상호 직각으로 절첩되어, 상기 상부매트(40)가 상기 후방매트(10)에 수직인 방향으로 결합된다.
본 고안에서 각각의 매트는 반드시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혀야 의자의 형상을 이루는 것은 아니나,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후방매트(10), 하부매트(20), 전방매트(30), 상부매트(40)가 접혀져 의자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후방매트(10)와 전방매트(30)는 하중을 지지하는 다리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상기 후방매트(10)와 전방매트(30)가 지면과 수직을 이루지 않는 경우라면, 상기 상부매트(40)에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후방매트(10) 및 전방매트(30)에 수직방향으로뿐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하중이 작용하기 때문에, 의자를 형성한 본 고안은 상대적으로 큰 하중이 작용할 때에는 견디지 못하고 접혀져서 쓰러지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매트(40)가 상기 후방매트(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돌기(41)가 상기 결합홈(11)에 충분히 깊숙이 결합될 수 없으므로 이 또한 문제점이 될 수 있으므로, 서로 직교하도록 한다.
도 2(a)와 도2(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겸용매트(1)를 도시 한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겸용매트(1)에서, 상기 후방매트(10)는, 상기 결합홈(11)이 상기 후방매트(1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후방매트(10)는 상기 전방매트(30)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매트가 접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이 의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고안이 의자를 형성하도록 접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매트(10)는 다리의 역할을 할 뿐 아니라, 등받이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후방매트(10)가 충분히 크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매트(40)가 상기 후방매트(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매트(10)의 상측 부분이 등받이로 기능 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겸용매트(1)를 도시한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겸용매트(1)에서, 상기 후방매트(10), 하부매트(20), 전방매트(30), 상부매트(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매트에는, 한쪽 측면 모서리를 따라 이음돌기(50)가 형성되고 반대쪽 측면 모서리를 따라 상기 이음돌기(50)가 끼워지는 이음홈(60)이 형성된다.
상기 이음돌기(50)와 이음홈(60)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의자겸용매트(1)가 여러 개 결합된 상태에서 의자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 다. 본 고안을 여러개 결합하여 넓은 하나의 매트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음돌기(50) 및 이음홈(60)은 상기 후방매트(10), 하부매트(20), 전방매트(30), 상부매트(40)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 이상의 매트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음돌기(50)는 상기 후방매트(10), 하부매트(20), 전방매트(30), 상부매트(40)의 좌우측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이음돌기(50)와 대응되는 형상을 한 상기 이음홈(60)은 반대쪽 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도록 하여 본 고안인 의자겸용 매트를 반복하여 여러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이음돌기(50)는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며, 싱기 이음홈(60)은 상기 이음돌기(50)가 꼭 맞게 끼워지도록 상기 이음돌기(5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도 1(a) 와 도 1(b)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겸용매트를 도시한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
도 2(a)와 도2(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겸용매트를 도시한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겸용매트를 도시한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의자겸용매트 10 : 후방매트
11 : 결합홈 20 : 하부매트
30 : 전방매트 40 : 상부매트
41 : 결합돌기 50 : 이음돌기
60 : 이음홈

Claims (4)

  1. 상호 절첩가능하도록 형성된 후방매트, 하부매트, 전방매트, 상부매트가 연속하여 연결되어 일련의 발포 매트 연결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매트의 하측 단부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후방매트의 표면 상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접혀진 상태에서 의자로 사용가능하고,
    상기 후방매트, 하부매트, 전방매트, 상부매트는 상호 직각으로 절첩되어, 상기 상부매트가 상기 후방매트에 수직인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후방매트는, 상기 결합홈이 상기 후방매트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겸용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에 억지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겸용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의 단부는 상기 결합홈의 크기보다 작고, 상기 결합돌기의 중간 부분은 상기 결합홈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겸용매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매트, 하부매트, 전방매트, 상부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매트에는, 한쪽 측면 모서리를 따라 이음돌기가 형성되고 반대쪽 측면 모서리를 따라 상기 이음돌기가 끼워지는 이음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겸용매트.
KR2020080014578U 2008-10-31 2008-10-31 의자겸용매트 KR2004541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578U KR200454195Y1 (ko) 2008-10-31 2008-10-31 의자겸용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578U KR200454195Y1 (ko) 2008-10-31 2008-10-31 의자겸용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819U KR20100004819U (ko) 2010-05-11
KR200454195Y1 true KR200454195Y1 (ko) 2011-06-21

Family

ID=44450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578U KR200454195Y1 (ko) 2008-10-31 2008-10-31 의자겸용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1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321Y1 (ko) 2014-12-18 2015-02-16 임상범 가변 라운드 베드
KR102362299B1 (ko) 2021-03-30 2022-02-14 주식회사 화진 좌식의자로 변형이 가능한 접이식 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364Y1 (ko) * 2013-03-13 2015-02-23 신동현 조립식 매트리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8366U (ko) * 1990-01-25 1991-10-11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8366U (ko) * 1990-01-25 1991-10-11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321Y1 (ko) 2014-12-18 2015-02-16 임상범 가변 라운드 베드
KR102362299B1 (ko) 2021-03-30 2022-02-14 주식회사 화진 좌식의자로 변형이 가능한 접이식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819U (ko) 201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6730B2 (en) Chair, stool assembly, and system
KR200454195Y1 (ko) 의자겸용매트
JP2019122644A (ja) 段ボールベッド
KR200463114Y1 (ko)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를 이용한 쿠션 쇼파
KR20180017758A (ko) 유아용 범퍼침대
KR20160003169U (ko) 퍼즐 매트
KR101204774B1 (ko) 소파로 변형 가능한 매트
KR101269863B1 (ko) 유아용 놀이매트
JP5229903B2 (ja) 段ボール間仕切り、段ボール間仕切り及び床材セット
KR101650338B1 (ko)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JP6796522B2 (ja) 組立家具
KR101869343B1 (ko) 다목적 놀이블록
US20130221302A1 (en) Baby play yard mattress
KR200490212Y1 (ko) 야외용 접이식 매트
KR20180000422U (ko) 접이식 깔판 겸용 침대 매트리스
KR200467754Y1 (ko)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를 이용한 쿠션 쇼파
CN201099969Y (zh) 气垫地板
KR200485842Y1 (ko) 접이식 매트
JP3173985U (ja) 振動吸収・圧力分散クッションアセンブリ構造
KR200334908Y1 (ko) 쿠션용 바닥재
KR101398476B1 (ko) 침대
KR200476697Y1 (ko) 접이식 매트
KR200496931Y1 (ko) 변형 가능한 유아용 다용도 범퍼 침대
JP2006307509A (ja) 簡易和室用畳
JP2015019718A (ja) 畳用すのこベ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