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472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지원하는 절차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지원하는 절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472A
KR20190002472A KR1020187030770A KR20187030770A KR20190002472A KR 20190002472 A KR20190002472 A KR 20190002472A KR 1020187030770 A KR1020187030770 A KR 1020187030770A KR 20187030770 A KR20187030770 A KR 20187030770A KR 20190002472 A KR20190002472 A KR 20190002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lice
response
routing area
request
area up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2159B1 (ko
Inventor
아포스토리스 살킨트자스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filed Critical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90002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7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a plurality of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s, e.g. multi-call or multi-bearer end-to-end dat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05Multiple registrations, e.g. multih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6De-registration or deta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사이의 이동성 관리를 위한 장치들, 방법들 및 시스템들이 개시된다. 한 장치(300)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5)에 부착하는 부착된 모바일 유닛(405)의 표시를 수신하는(855) 프로세서(325)를 포함한다. 이 프로세서(325)는 또한, 모바일 유닛(405)으로부터 이동성 관리 요청을 수신하고(860), 이동성 관리 요청을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5)에 포워딩한다(865).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 장치(300)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지원하는 절차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주제는 대체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을 지원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다음과 같은 약어가 여기에 정의되며, 이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의 설명에서 언급된다.
3GPP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AP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CP 제어 평면(Control Plane)
DL 다운링크(Downlink)
eNB 진화된 노드 B(Evolved Node B)
EPC 진화된 패킷 코어(Evolved Packet Core)
IMS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 Multimedia Subsystem)
IP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oT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LTE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MBB 모바일 광대역(Mobile Broadband)
mIoT 대규모 사물 인터넷(Massive Internet of Things)
MM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MME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TC 머신-타입 통신(Machine-Type Communications)
OFDM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PDU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GW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LMN 공공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RAN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SC-FDMA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GW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UE 사용자 엔티티/장비(모바일 단말기)
UL 업링크(Uplink)
WiMAX 마이크로파 액세스를 위한 전세계적 상호운용성(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차세대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5세대 또는 "5G" 네트워크)는 상이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을 지원할 것으로 예상된다.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소정의 이용 클래스의 성능 요건을 지원하도록 최적화된 독립적인 네트워크 파티션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높은 데이터 레이트 및 중간 레이턴시를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광대역 서비스에 최적화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낮은 레이턴시 및 높은 신뢰성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주행에 최적화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낮은 이동성 및 낮은 데이터 레이트를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IoT") 또는 머신-타입 통신("MTC")에 최적화된 네트워크 슬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공공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PLMN")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배치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PLMN 내에 복수 회 배치될 수 있어서, 동일한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복수의 인스턴스를 야기한다. 동일한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UE"))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동시에 접속할 수도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UE는, 그 IoT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접속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대규모 IoT에 최적화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접속될 수 있다. 동시에, 동일한 UE가 그 IMS 및/또는 웹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접속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모바일 광대역 통신에 최적화된 또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접속될 수 있다.
그러나, UE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동시에 접속될 때, 이동성 관리("MM") 시그널링이 증가한다. 예를 들어, UE가 유휴 모드에 있고 새로운 라우팅 영역("추적 영역", "등록 영역" 또는 "페이징 영역"이라고도 함)으로 이동할 때, UE는 접속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모두에서 그 현재 위치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는, UE가 각각의 접속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향해 하나씩, 복수의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를 수행할 것을 요구한다. 복수의 MM 절차를 수행하는 것은 UE와 네트워크 사이의 증가된 MM 시그널링을 야기하고 UE의 배터리 수명을 감소시킨다.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사이의 이동성 관리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방법 및 시스템은 또한, 이 장치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 실시예에서, 이 장치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제1 접속을 확립하고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제2 접속을 확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또한, 이동성 관리 이벤트를 검출하고, 제1 접속을 통해 그리고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송된 이동성 관리 요청에 응답하여 이동성 관리 응답을 수신한다. 이동성 관리 응답은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의 응답 및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의 응답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 장치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제1 접속을 확립하는 것은 초기 부착 요청(initial attach request)에 응답하여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초기 부착 응답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초기 부착 응답은,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이상의 이용 클래스의 표시 및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할당된 제1 UE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UE 식별자는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신원(identity)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는 또한, 분리 요청을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송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UE 식별자를 수신하고, 여기서 제2 UE 식별자는 새로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신원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제2 접속을 확립하는 것은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할당된 UE 식별자를 포함하는 추가 부착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제1 접속을 확립하는 것은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장치를 인증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제2 접속을 확립하는 것은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통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장치를 재인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통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장치를 재인증하는 것은,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서,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신원을 저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이동성 관리 응답은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 및 서비스 응답 중 하나이다. 한 실시예에서, 이동성 관리 응답은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이동성 관리 요청을 수락하는지 및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이동성 관리 요청을 수락하는지를 표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복수의 이용 클래스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이동성 관리 응답은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각각의 이용 클래스에 대한 업데이트 결과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송된 이동성 관리 요청에 응답하여 이동성 관리 응답을 수신하는 것은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을 전송하지 않고, 제1 접속을 통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을 전송하는 것, 및 제1 접속을 통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의 응답 및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의 응답을 포함하는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제1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 및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제2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이동성 관리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제1 접속을 통해서 그리고 제1 접속을 통해 전송된 이동성 관리 요청에 응답하여,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의 응답 및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의 응답을 포함하는 이동성 관리 업데이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제1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는: 초기 부착 요청에 응답하여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초기 부착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초기 부착 응답은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이상의 이용 클래스의 표시 및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할당된 UE 식별자를 포함하며, UE 식별자는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신원을 포함한다. 추가 실시예들에서, 이 방법은 분리 요청을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송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UE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UE 식별자는 새로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신원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제2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는,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할당된 UE 식별자를 포함하는 추가 부착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제1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는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장치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제2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는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통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장치를 재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이동성 관리 응답은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 및 서비스 응답 중 하나이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이동성 관리 응답은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이동성 관리 요청을 수락하는지 및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이동성 관리 요청을 수락하는지를 표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복수의 이용 클래스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고, 이동성 관리 응답은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각각의 이용 클래스에 대한 업데이트 결과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송된 이동성 관리 요청에 응답하여 이동성 관리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는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을 전송하지 않고, 제1 접속을 통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제1 접속을 통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의 응답 및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의 응답을 포함하는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사이의 이동성 관리를 위한 또 다른 장치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부착하는 부착된 모바일 유닛의 표시를 수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또한, 모바일 유닛으로부터 이동성 관리 요청을 수신하고 이동성 관리 요청을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포워딩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 장치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는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제1 이동성 관리 응답을 수신한다. 프로세서는 또한, 이동성 관리 요청에 기초하여 제2 이동성 관리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제3 이동성 관리 응답을 모바일 유닛에 전송하고, 제3 이동성 관리 응답은 제1 이동성 관리 응답 및 제2 이동성 관리 응답으로부터의 정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이용 클래스를 지원하고, 여기서, 제3 이동성 관리 응답은 모바일 유닛이 부착되어 있는 각각의 이용 클래스에 대한 업데이트 결과를 포함하며, 이동성 관리 요청은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 및 서비스 요청 중 하나이고, 제3 이동성 관리 응답은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 및 서비스 응답 중 하나이다. 한 실시예에서, 이 장치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제1 이용 클래스를 지원하고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제2 이용 클래스를 지원한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는 추가로, 모바일 유닛으로부터 초기 부착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UE 식별자를 모바일 유닛에 할당하고, 여기서, UE 식별자는 장치의 신원을 포함하고 초기 부착 응답을 모바일 유닛에 전송하며, 초기 부착 응답은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이상의 이용 클래스의 표시 및 UE 식별자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부착하는 모바일 유닛의 표시를 수신하는 것은,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등록 요청 - 등록 요청은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하는 슬라이스 식별자 및 모바일 유닛에 속하는 모바일 유닛 식별자를 포함함 - 을 수신하는 것, 및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하는 슬라이스 식별자를 저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동성 관리 요청을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포워딩하는 것은, 모바일 유닛이 부착되어 있는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식별하는 것 및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하는 슬라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목적지 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하여 이동성 관리 요청을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등록 요청은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수신된 재인증 요청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는 추가로, 재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통해 모바일 유닛으로 장치를 재인증한다.
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모바일 유닛이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응답하여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등록해제 메시지를 수신하고, 여기서, 프로세서는 등록해제 메시지에 응답하여 모바일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이동성 관리 요청을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포워딩하는 것을 중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모바일 유닛으로부터 분리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새로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됨 - 를 선택하고, 한 세트의 슬라이스 신원들을 선택된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송하며, 한 세트의 슬라이스 신원들은 모바일 유닛이 접속되어 있는 모든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추가로,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UE 식별자를 수신하고, UE 식별자를 포함하는 분리 응답을 모바일 유닛에 전송하며, 여기서, UE 식별자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신원을 포함한다.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사이의 이동성 관리를 위한 또 다른 방법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부착하는 부착된 모바일 유닛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모바일 유닛으로부터 이동성 관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이동성 관리 요청을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포워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이 방법은,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제1 이동성 관리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이동성 관리 요청에 기초하여 제2 이동성 관리 응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제3 이동성 관리 응답을 모바일 유닛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3 이동성 관리 응답은 제1 이동성 관리 응답 및 제2 이동성 관리 응답으로부터의 정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이용 클래스를 지원하고, 여기서, 제3 이동성 관리 응답은 모바일 유닛이 부착되어 있는 각각의 이용 클래스에 대한 업데이트 결과를 포함하며, 이동성 관리 요청은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 및 서비스 요청 중 하나이고, 제3 이동성 관리 응답은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 및 서비스 응답 중 하나이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는 제1 이용 클래스를 지원하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제2 이용 클래스를 지원한다. 한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모바일 유닛으로부터 초기 부착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UE 식별자 - UE 식별자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신원을 포함함 - 를 모바일 유닛에 할당하는 단계, 및 초기 부착 응답 - 초기 부착 응답은 하나 이상의 지원되는 이용 클래스의 표시 및 UE 식별자를 포함함 - 을 모바일 유닛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부착하는 모바일 유닛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는,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등록 요청 - 등록 요청은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하는 슬라이스 식별자 및 모바일 유닛에 속하는 모바일 유닛 식별자를 포함함 - 을 수신하는 단계, 및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하는 슬라이스 식별자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 실시예에서, 이동성 관리 요청을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포워딩하는 단계는, 모바일 유닛이 부착되어 있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식별하는 단계 및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하는 슬라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목적지 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하여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이동성 관리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등록 요청은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수신된 재인증 요청이고, 이 방법은 재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통해 모바일 유닛으로 재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모바일 유닛이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등록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등록해제 메시지에 응답하여 모바일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이동성 관리 요청을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포워딩하는 것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모바일 유닛으로부터 분리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선택하는 단계, 한 세트의 슬라이스 신원들 - 한 세트의 슬라이스 신원들은 모바일 유닛이 접속되어 있는 모든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함 -을 선택된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UE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UE 식별자 - UE 식별자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신원을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분리 응답을 모바일 유닛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앞서 간략히 설명된 실시예들의 더욱 특정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에 예시되어 있는 특정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이들 도면들은 일부 실시예들만을 도시하는 것이고 그에 따라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하면서, 첨부된 도면들의 이용을 통해 추가적인 구체성 및 상세사항과 함께 본 개시내용이 기술되고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사이의 이동성 관리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사이의 이동성 관리에 이용될 수 있는 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사이의 이동성 관리에 이용될 수 있는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사이의 이동성 관리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부착 절차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사이의 이동성 관리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부착 절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사이의 이동성 관리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부착 절차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a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사이의 이동성 관리에 이용되는 분리 절차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b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사이의 이동성 관리에 이용되는 분리 절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a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사이의 이동성 관리를 위한 방법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플로차트도이다;
도 8b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사이의 이동성 관리를 위한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플로차트도이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양태들은, 시스템, 장치, 방법, 또는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전적으로 하드웨어 실시예, (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한) 전적으로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양태들을 결합한 실시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시된 실시예들은, 초고밀도 집적(very-large-scale integration)("VLSI") 회로나 게이트 어레이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회로, 로직 칩, 트랜지스터, 또는 기타의 개별 부품 등의 기성품 반도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또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등의 프로그래머블 하드웨어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객체, 프로시저, 또는 함수로서 구성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코드의 하나 이상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머신 판독가능한 코드, 컴퓨터 판독가능한 코드, 및/또는 이하에서부터는 코드라고 지칭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는 유형의, 비일시적, 및/또는 비전송일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는 신호를 구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저장 디바이스는 코드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만을 이용한다.
하나 이상의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의 임의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홀로그래픽, 마이크로기계,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 디바이스의 더 구체적인 예(빠짐없이 열거된 목록은 아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갖는 전기적 접속, 휴대형 컴퓨터 디스켓,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소거가능하고 프로그램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휴대형 컴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D-ROM"), 광학 저장 디바이스,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것이다. 본 명세서의 정황에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거나 이와 연계하여 이용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 매체(tangible medium)일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하나의 실시예" 또는 "한 실시예", 또는 유사한 용어는, 그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특정한 피처, 구조, 또는 특성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문구 "하나의 실시예에서", "한 실시예에서", 및 유사한 용어의 등장은, 반드시는 아니지만,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일 수도 있고,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의 그러나 모든 실시예는 아님"을 의미한다. 용어들 "내포하는", "포함하는", "갖는", 및 이들의 변형은,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을 의미한다. 열거된 항목들의 목록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일부 또는 모든 항목이 상호배타적이라는 것을 암시하지 않는다. 용어 "a", "an" 및 "the"는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또한, 실시예들의 설명된 피처, 구조, 또는 특성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실시예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 모듈, 사용자 선택, 네트워크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 질의, 데이터베이스 구조, 하드웨어 모듈, 하드웨어 회로, 하드웨어 칩 등의 예와 같은 수 많은 특정한 상세사항들이 제공된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상기 특정한 상세사항없이, 또는 다른 방법, 컴포넌트, 재료 등을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다른 사례에서, 널리 공지된 구조, 재료, 또는 동작은 실시예의 양태를 불명확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도시되거나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의 양태들이,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 장치, 시스템, 및 프로그램 제품의 개략적인 플로차트 도면 및/또는 개략적인 블록도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개략적인 플로차트 도면 및/또는 개략적인 블록도의 각각의 블록, 및 플로차트 도면 및/또는 개략적인 블록도 내의 블록들의 조합은 코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들 코드는, 범용 컴퓨터, 특별 목적 컴퓨터, 또는 그 외의 프로그램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되어, 컴퓨터 또는 기타의 프로그램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실행되는 명령어들이 개략적인 플로차트 도면 및/또는 개략적인 블록도의 블록이나 블록들에 명시된 기능/작용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생성하게 하는 머신을 생성할 수 있다.
도면들 내의 개략적인 플로차트 도면 및/또는 개략적인 블록도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제품의 가능한 구현들의 아키텍처, 기능 및 동작을 나타낸다. 이 점에서, 개략적인 플로차트 도면 또는 개략적인 블록도 내의 각각의 블록은, 명시된 논리적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의 하나 이상의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블록도 및/또는 플로차트 도면의 각각의 블록과 블록도 및/또는 플로차트 도면 내의 블록들의 조합은 명시된 기능이나 작용을 수행하는 특별 목적 하드웨어-기반의 시스템, 또는 특별 목적 하드웨어와 코드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도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일부 대안적 구현예에서, 블록 내에 표기된 기능들은 도면들에 표기된 순서와는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도시된 2개의 블록은, 사실상, 포함된 기능에 따라,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행되거나, 때때로 역순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예시된 도면들의 하나 이상의 블록, 또는 그 일부와, 기능이나, 로직이나, 효과에 있어서 동등한 다른 단계들 및 방법들을 생각해 볼 수도 있다. 플로차트 및/또는 블록도에서 다양한 화살표 유형과 라인 유형들이 이용될 수 있지만, 이들은 대응하는 실시예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각각의 도면 내의 요소들의 설명은 선행하는 도면들의 요소들을 참조할 수도 있다. 유사한 요소들의 대안적인 실시예들을 포함한, 모든 도면에서 유사한 번호는 유사한 요소를 지칭한다.
수개의 5G 이용 클래스들(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범주들)을 동시에 지원하기 위하여, 사용자 장비("UE")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동시에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소정의 이용 클래스에 대해 최적화된다. UE의 배터리 소모 및 UE와 네트워크 사이의 이동성 관리("MM") 시그널링 부하 양쪽 모두를 최소화하기 위해, UE는 소정의 MM 메시지를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송하고 다른 접속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예를 들어,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는 전송하지 않는다. 그 다음,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MM 메시지를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중계하고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들로부터 MM 응답을 수집한다.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UE가 접속된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의 MM 응답들을 포함하는 단일의 MM 응답 메시지를 UE로 반환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란, UE가 처음 접속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말한다. UE가 접속하는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라고 지칭된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UE는 초기 부착 절차를 이용하여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부착하고,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추가 부착 절차를 이용하여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부착한다.
MM 시그널링을 최소화하기 위해, UE는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만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를 전송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라우팅 영역"이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내의 위치 영역을 말한다. "라우팅 영역"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예를 들어, eNB)을 포함할 수 있다. UE가 (예를 들어, 유휴 모드인 동안) 라우팅 영역을 변경했다는 것을 UE가 검출하면, UE는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을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송한다. "라우팅 영역"은 또한, "위치 영역", "추적 영역", "등록 영역", "페이징 영역"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을 UE들의 현재 라우팅 영역으로 업데이트하고 (예를 들어, UE가 접속된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통합된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을 전달한다.
도 1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사이의 이동성 관리("MM")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한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원격 유닛(105), 베이스 유닛(110), 및 무선 통신 링크(115)를 포함한다. 특정한 개수의 원격 유닛(105), 베이스 유닛(110), 및 무선 통신 링크(115)가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임의의 개수의 원격 유닛(105), 베이스 유닛(110), 및 무선 통신 링크(115)가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베이스 유닛(110)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120)를 형성한다. RAN(120)은 모바일 패킷 코어(125)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다. 모바일 패킷 코어(125)는 LTE 명세에서 명시된 진화된 패킷 코어("EPC") 등의 5G 패킷 코어로서 존재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임의의 특정한 무선 통신 시스템 아키텍처 또는 프로토콜의 구현으로 제한하고자 함이 아니다. 따라서, 비-LTE 구현예에서, RAN(120)은 "5G" 패킷 코어 네트워크 등의, 상이한 유형의 패킷 코어 네트워크에 결합될 수 있다.
모바일 패킷 코어(125)는 단일 공공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PLMN")에 속하고,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130A-C)를 포함한다. 특정한 개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130A-C)가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임의의 개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모바일 패킷 코어(125)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모바일 패킷 코어(125) 내의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특정한 이용 클래스에 대해 최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130A)는 모바일 광대역 서비스에 대해 최적화될 수 있고(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레이트 및 중간 레이턴시 트래픽에 대해 최적화됨),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130B)는 자율 주행에 대해 최적화될 수 있고(예를 들어, 낮은 레이턴시 및 높은 신뢰성 트래픽에 대해 최적화됨), 제3 네트워크 슬라이스(130C)는 대규모 IoT/MTC에 대해 최적화될 수 있다(예를 들어, 낮은 이동성 및 낮은 데이터 레이트 트래픽에 대해 최적화됨). 모바일 패킷 코어(125) 내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제공된 각각의 최적화된 서비스는 이용 클래스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130A-C) 중 2개 이상은 동일한 이용 클래스에 대해 최적화될 수 있다(예를 들어, 모바일 패킷 코어(125)는 특정한 이용 클래스에 최적화된 네트워크 슬라이스(130A-C)의 복수의 인스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원격 유닛(105)은,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들(personal digital assistants)("PDAs"),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스마트 텔레비전(예를 들어, 인터넷에 접속된 텔레비전), 셋탑 박스, 게임 콘솔, (보안 카메라를 포함한) 보안 시스템, 차량 온보드 컴퓨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예를 들어, 라우터, 스위치, 모뎀) 등의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격 유닛(105)은, 스마트 시계, 피트니스 밴드, 광학 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원격 유닛(105)은, 가입자 유닛, 모바일, 이동국, 사용자, 단말기, 모바일 단말기, 고정 단말기, 가입자 스테이션, UE, 사용자 단말기, 디바이스, 또는 본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기타의 용어들로 지칭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110)은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서빙 영역, 예를 들어, 셀 또는 셀 섹터 내의 다수의 원격 유닛(105)을 서빙할 수 있다. 베이스 유닛(110)은 통신 신호를 통해 하나 이상의 원격 유닛(105)과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원격 유닛(105)은 업링크("UL") 통신 신호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베이스 유닛(110)과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또한, UL 통신 신호는 무선 통신 링크(115)를 통해 운반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110)은, 시간, 주파수, 및/또는 공간 영역에서 원격 유닛(105)을 서빙하기 위해 다운링크("DL") 통신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DL 통신 신호는 무선 통신 링크(115)를 통해 운반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링크(115)는 인가 또는 비인가 무선 스펙트럼의 임의의 적절한 캐리어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링크(115)는 하나 이상의 원격 유닛(105) 및/또는 하나 이상의 베이스 유닛(110)과 통신할 수 있다.
베이스 유닛(110)은 지리적 영역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베이스 유닛(110)은 또한, 액세스 포인트, 액세스 단말기, 베이스, 기지국, 노드-B, eNB, 홈 노드-B, 중계 노드, 디바이스, 또는 본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기타 임의의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베이스 유닛(110)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베이스 유닛(110)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120)의 일부이다.
전형적으로, 2개 이상의 지리적으로 인접한 베이스 유닛(110)들은 함께 라우팅 영역 내로 그룹화된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라우팅 영역은 또한, 위치 영역, 페이징 영역, 추적 영역 또는 본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기타 임의의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각각의 "라우팅 영역"은 그 서빙 베이스 유닛(110)으로부터 원격 유닛(105)으로 전송되는 식별자를 갖는다.
UE가 상이한 "라우팅 영역"을 브로드캐스팅하는 새로운 셀로 이동하면(예를 들어, 새로운 베이스 유닛(110)의 범위 내에서 이동한 경우), 원격 유닛(105)은 라우팅 영역에서의 변화를 검출한다. RAN(120)은, 차례로, 그 현재의 라우팅 영역에서 베이스 유닛(110)을 통해서만 유휴 모드의 UE를 페이징한다. RAN(120)은 복수의 라우팅 영역을 포함한다.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라우팅 영역의 크기(예를 들어, 라우팅 영역에 포함된 기지국의 수)는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시그널링 부하와 페이징 시그널링 부하의 균형을 맞추도록 선택될 수 있다.
RAN(120)은 일반적으로 (모바일 패킷 코어(125) 등의) 코어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130)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다. 모바일 패킷 코어(125)(또는 다른 코어 네트워크)는 특히 인터넷 및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등의, 다른 네트워크에 결합될 수 있다. 모바일 패킷 코어(125)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진, 제어기 및 게이트웨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베이스 유닛(110)은,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130A-C)에 속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서빙 게이트웨이("SGW"), 및/또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GW")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 구현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3GPP 프로토콜의 롱 텀 에볼루션("LTE")을 준수하고, 여기서, 베이스 유닛(110)은 DL 상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하고 원격 유닛(105)은 UL 상에서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그러나, 더 일반적으로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다른 프로토콜들 중에서, 어떤 다른 개방된 또는 전용의 통신 프로토콜, 예를 들어 특히 WiMAX를 구현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은 임의의 특정한 무선 통신 시스템 아키텍처 또는 프로토콜의 구현으로 제한하고자 함이 아니다.
한 실시예에서, 원격 유닛(105)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130A)(예를 들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130B)(예를 들어,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부착될 수 있다. 네트워크 부착 절차는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논의된다. 원격 유닛(105)이 MM 이벤트(예를 들어, 라우팅 영역에서의 변화)를 검출할 때, 원격 유닛(105)은 그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130A))에만 MM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MM 요청을 원격 유닛(105)이 부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포워딩한다. 원격 유닛(105)이 MM 요청 메시지를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만 전송하기 때문에, 원격 유닛(105)과 베이스 유닛(110) 사이의 MM 시그널링이 감소되고 원격 유닛(105)의 배터리 수명이 향상된다.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130A)는, 각각의 원격 유닛(105)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되는, 각각의 원격 유닛(105)에 대한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130A-C)는 네트워크 슬라이스(130A-C)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슬라이스 식별자를 가질 수 있다. 원격 유닛(105)이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130B)에 부착할 때, 원격 유닛(105)은 그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130A))에 속하는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추가 부착 요청을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130B)에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라이스 식별자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130A)에 의해 원격 유닛(105)에 할당된 임시 UE 식별자에 포함된다.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130B)는 이 식별자를 이용하여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식별하고 그 자신의 슬라이스 식별자를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송함으로써,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130B)가 원격 유닛(105)에 대한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임을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통보한다.
어떤 시점에서, 원격 유닛(105)은 더 이상 네트워크 슬라이스(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들(130A-C) 중 하나)의 서비스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유닛(105)은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이용 클래스에 속하는 전송할 트래픽을 더 이상 갖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원격 유닛(105)은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데이터 접속 해제 메시지 등의 분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유닛(105)이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분리될 때,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130B))는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130A))에 통보하고, 그러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더 이상의 MM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중지한다.
원격 유닛(105)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분리될 때,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새로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될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선택한다. 그러면, 구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원격 유닛(105)이 부착되어 있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슬라이스 신원을 전송하고 분리 응답을 원격 유닛(105)에 전송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분리 응답은, 원격 유닛(105)이 향후의 MM 요청들을 어디로 전송할지를 알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원격 유닛(105)에 대한 새로운 임시 UE 식별자에 포함된) 새로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도 2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사이에서 이동성 관리("MM")에 이용될 수 있는 장치(200)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장치(200)는 원격 유닛(105)의 한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원격 유닛(105)은, 프로세서(205), 메모리(210), 입력 디바이스(215), 디스플레이(220), 및 트랜시버(2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입력 디바이스(215) 및 디스플레이(220)는 터치스크린 등의 단일 디바이스로 결합된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5)은 어떠한 입력 디바이스(215) 및/또는 디스플레이(220)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원격 유닛(105)은, 프로세서(205), 메모리(210) 및 트랜시버(225)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입력 디바이스(215) 및/또는 디스플레이(22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5)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고/있거나 논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공지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5)는,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중앙 처리 유닛("CPU"), 그래픽 처리 유닛("GPU"), 보조 처리 유닛,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유사한 프로그래머블 제어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5)는 메모리(210)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및 루틴을 수행한다. 프로세서(205)는, 메모리(210), 입력 디바이스(215), 디스플레이(220), 및 트랜시버(225)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205)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130A)와 제1 접속을 확립하고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130B)와 제2 접속을 확립하도록 트랜시버(225)를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접속은, 원격 유닛(105)과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130A) 사이의, 데이터 접속이 아니라, 시그널링 접속이다. 유사하게, 제2 접속은 원격 유닛(105)과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130B) 사이의 (데이터 접속이 아닌) 시그널링 접속일 수 있다. 제1 접속을 확립하는 것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130)와의 초기 부착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130A)는 원격 유닛(105)에 대한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된다. 제2 접속을 확립하는 것은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130B)와의 추가 부착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130B)는 원격 유닛(105)에 대한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된다. 따라서,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130A) 및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130B)와의 시그널링 접속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130A) 및 제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130B)와의 네트워크 부착을 통해 확립될 수 있다.
프로세서(205)는 또한, 원격 유닛(105)이 무선으로 통신하는 베이스 유닛(110)으로부터 수신된 라우팅 영역 식별자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프로세서(205)는 라우팅 영역에서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동성 관리 이벤트("MM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MM 이벤트란, 원격 유닛(105)이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와 MM 메시지를 통신하도록 요구하는 이벤트를 말한다. MM 이벤트를 검출하는 예는, 라우팅 영역에서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 주기적 위치 업데이트를 위한 타이머의 만료,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 원격 유닛(105) 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업링크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MM 이벤트에 응답하여, 프로세서(205)는 MM 이벤트에 대응하는 MM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5)는, 라우팅 영역에서의 변화 및/또는 주기적 위치 업데이트를 위한 타이머의 만료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그 다음, 프로세서(205)는 (예를 들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와의 시그널링 접속(제1 접속)을 통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만 MM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트랜시버(225)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05)는 또한,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MM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MM 응답 메시지는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의 응답을 포함하고 원격 유닛(105)이 부착되어 있는 각각의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의 응답을 갖는다.
메모리(210)는, 한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210)는 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210)는, 동적 RAM("DRAM"), 동기식 동적 RAM("SDRAM"), 및/또는 정적 RAM("SRAM")을 포함하는 RAM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210)는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21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임의의 적절한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210)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 양쪽 모두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210)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사이에서 MM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210)는, UE 신원(예를 들어, 원격 유닛(105)에 대한 임시 신원), 보안사항, 현재 라우팅 영역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210)는 또한, 원격 유닛(105) 상에서 동작하는 운영 체제 또는 다른 제어기 알고리즘 등의 프로그램 코드 및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입력 디바이스(215)는, 한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 버튼, 키보드, 스타일러스,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공지된 컴퓨터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 디바이스(215)는,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또는 유사한 터치-감지 디스플레이로서 디스플레이(220)와 통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 디바이스(215)는, 텍스트가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가상 키보드 및/또는 터치스크린 상의 필기(handwriting)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 디바이스(215)는, 키보드 및 터치 패널 등의, 2개 이상의 상이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220)는, 한 실시예에서, 임의의 공지된 전자적으로 제어가능한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0)는, 시각적, 청각적, 및/또는 햅틱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20)는 시각적인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는 전자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2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입력 디바이스(215)와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215) 및 디스플레이(220)는 터치스크린 또는 유사한 터치-감지 디스플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20)는 입력 디바이스(215)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20)는, LCD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OLED 디스플레이, 프로젝터, 또는 이미지, 텍스트 등을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는 유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비제한적 예로서, 디스플레이(220)는, 스마트 시계, 스마트 안경, 헤드-업 디스플레이 등의 웨어러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20)는, 스마트 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텔레비젼, 테이블 컴퓨터, 노트북(랩탑)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 차량 대시보드 등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트랜시버(225)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을 통해 복수의 이용 클래스들을 지원하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한다. 구체적으로, 트랜시버(225)는 RAN(120)을 통해 2개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동시에 통신할 수 있다. 트랜시버(225)는 UL 통신 신호를 베이스 유닛(110)에 제공하는데 이용되는 전송기(230)를 포함하고, 수신기(235)는 베이스 유닛(110)으로부터 DL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데 이용된다. 한 실시예에서, 트랜시버(225)는 특정한 이용 클래스에 대한 네트워크 부착을 요청하는데 이용된다. 예를 들어, 전송기(230)는, RAN(120) 내의 베이스 유닛(110)에 초기 부착 요청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이용 클래스와 연관된 네트워크 부착을 요청할 수 있고, 여기서, 베이스 유닛(110)은 표시된 이용 클래스에 기초하여, 초기 부착 요청 메시지를 네트워크 슬라이스(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들(130A-130C) 중 하나)에 포워딩한다. 수신기(235)는 나중에 베이스 유닛(110)을 통해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초기 부착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단 하나의 전송기(230) 및 하나의 수신기(235)가 도시되어 있지만, 트랜시버(225)는 임의의 적절한 개수의 전송기(230) 및 수신기(23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기(230) 및 수신기(235)는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전송기 및 수신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트랜시버(225)는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 및/또는 무선 주파수 대역 상에서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전송기(230) 및 수신기(235) 쌍을 포함하며, 각각의 전송기(230) 및 수신기(235) 쌍은 다른 전송기(230) 및 수신기(235) 쌍들과는 상이한 무선 네트워크 및/또는 라디오 주파수 대역 상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사이에서 이동성 관리("MM")에 이용될 수 있는 장치(3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장치(300)는 네트워크 슬라이스(301)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301)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130A-C) 중 임의의 하나의 실시예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슬라이스(301)는, 프로세서(305), 메모리(310), 입력 디바이스(315), 디스플레이(320), NG 인터페이스(325),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도시된 컴포넌트들(305-330)은, 다수의 엔티티들, 제어기 등의 사이에서, (지리적으로 및/또는 논리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305), 메모리(310), 입력 디바이스(315), 및 디스플레이(320)는, 각각, 원격 유닛(105)의 프로세서(205), 메모리(210), 입력 디바이스(215), 및 디스플레이(220)와 상당히 유사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305)는 원격 유닛(105)과 부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05)는 초기 부착 절차를 이용하여 원격 유닛(105)과 부착하고, 여기서, 네트워크 슬라이스(301)는 원격 유닛(105)에 대한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05)는 추가 부착 절차를 이용하여 원격 유닛(105)과 부착하고, 여기서, 네트워크 슬라이스(301)는 원격 유닛(105)에 대한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301)가 원격 유닛(105)에 대한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인 경우, 프로세서(305)는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부착하는 원격 유닛(105)의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5)는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통해 원격 유닛(105)에 대한 재인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05)는 추가로, 모바일 유닛(105)으로부터 MM 요청을 수신하고 MM 요청을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포워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301)가 원격 유닛(105)에 대한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인 경우, 프로세서(305)는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포워딩되는 원격 유닛(105)에 대한 MM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05)는 추가로, MM 응답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MM 응답 메시지는 네트워크 슬라이스(301)에 의해 지원되는 각각의 이용 클래스에 대한 응답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301)가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인 경우, 프로세서(305)는 (예를 들어, NG 인터페이스(325)를 통해) MM 응답 메시지를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포워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301)가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인 경우, 프로세서(305)는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MM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의 응답 및 원격 유닛이 부착되어 있는 각각의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의 응답들을 포함하는 새로운 MM 응답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NG 인터페이스(325)는, 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내의 또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301)가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인 경우, NG 인터페이스(325)를 통해 하나 이상의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MM 요청 메시지를 포워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네트워크 슬라이스(301)가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인 경우, NG 인터페이스(325)를 통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자신을 등록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원격 유닛(105)으로부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재인증 요청을 포워딩함으로써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등록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0)는, 한 실시예에서, RAN(120)을 통해 원격 유닛(105)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0)는 RAN(120) 내의 하나 이상의 베이스 유닛(110)과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0)는 원격 유닛(105)으로부터 MM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MM 응답 메시지를 다시 원격 유닛(105)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MM 요청 메시지는, 초기 부착 요청, 추가 부착 요청,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 및/또는 서비스 요청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MM 응답 메시지는, 초기 부착 응답, 추가 부착 응답,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 또는 서비스 응답일 수 있다.
도 4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사이의 이동성 관리("MM")에 이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400)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400)은,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0)와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5) 양쪽 모두와 통신하는 UE(405)를 포함한다. 소정 실시예에서, UE(405)는 원격 유닛(105)의 한 실시예일 수 있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UE(405)의 동작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된 프로세서(205)에 의해 수행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430-435) 각각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네트워크 슬라이스(301)의 한 실시예일 수 있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430-435)의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프로세서(305)에 의해 수행된다.
UE(405)는 모바일 운영 체제("OS")(410) 및 UE(405) 상에서 실행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이들 애플리케이션은, IMS 애플리케이션(415), 웹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420), 및 IoT 애플리케이션(425)을 포함한다. 여기서,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0)는 MBB 트래픽을 위해 최적화된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이고,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5)는 대규모 IoT("mIoT") 트래픽을 위해 최적화된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이다.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430-435)는 하나 이상의 이용 클래스를 지원할 수 있다.
IMS(415) 애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 접속을 요청하는 것에 응답하여, 모바일 OS(410)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 여기서는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0)를 통해 제1 데이터 네트워크("DN")(440)와 제1 데이터 접속(455)을 확립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0)는 IMS 애플리케이션(415)에 대응하는 제1 이용 클래스를 지원한다. 제1 데이터 접속(455)을 확립하기 전에, UE(405)는 데이터 접속(455)을 확립하기 위해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예를 들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0))에 부착한다.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0)는 UE(405)가 부착하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이기 때문에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서 지정된다.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0)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이동성 관리에서 주요 역할을 수행한다.
웹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420)이 네트워크 접속을 요청하는 것에 응답하여, 모바일 OS(410)는 제2 데이터 네트워크(445)와 제2 데이터 접속(460)을 확립한다. 한 실시예에서, 제2 데이터 접속(460)은 제1 데이터 접속(455)과는 상이한 이용 클래스에 대응한다. 여기서,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0)는 또한, 웹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420)에 대응하는 제2 이용 클래스를 지원한다. 대안으로서, 웹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420) 및 IMS 애플리케이션(415)에 대응하는 이용 클래스는 동일할 수 있다. UE(405)가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0)에 이미 부착되어 있고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0)가 웹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420)에 대응하는 이용 클래스를 지원하기 때문에, UE(405)는 또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부착하지 않고 제2 데이터 접속(460)을 확립할 수 있다.
IoT 애플리케이션(425)이 네트워크 접속을 요청하는 것에 응답하여, 모바일 OS(410)는 제3 DN(450)과 제3 데이터 접속(465)을 확립한다.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0)는 IoT 애플리케이션(425)에 대응하는 이용 클래스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UE(405)는 제3 데이터 접속(465)을 형성하기 전에 IoT 애플리케이션(425)에 대응하는 제3 이용 클래스를 지원하는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5)에 부착한다.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5)는, UE(405)가 이미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서 지정된다.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5)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이동성 관리에서 보조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UE(405)는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0) 및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5) 양쪽 모두에 동시에 접속(또는 부착)될 수 있다. 또한, UE(405)는 상이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430-435)을 통해 상이한 데이터 네트워크들(440-450)에 접속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415-425)에 대해 별개의 데이터 접속(455-465)이 확립되어, 각각의 애플리케이션(415-45)이 애플리케이션 트래픽을 가장 잘 지원할 수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통해 상이한 데이터 네트워크(440-450)와 통신하는 것을 허용한다.
UE(405)가 모든 부착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MM 메시지를 전송할 필요성을 결정할 때, UE(405)는 이동성 관리 메시지를 단지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0)에만 전송한다. 예를 들어, UE(405)가 라우팅 영역을 변경했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UE(405)는 그 현재 위치를 업데이트하는 이동성 관리 메시지를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0)에만 전송한다.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0)는, 차례로, 업데이트된 위치를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5)에 전송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405)에 의해 전송된 이동성 관리 메시지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들(430-435)로부터의 응답을 요구한다. 따라서,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430-435)는 MM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5)는 그 응답 메시지를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0)에 전송할 수 있고, 여기서,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0)는 그 자신의 응답 메시지를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5)로부터 수신된 응답 메시지와 통합한다. 그 다음,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0)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단일의 (통합된) MM 응답 메시지를 UE(405)에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은 또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430-435) 사이에 인터페이스(470)(예를 들어, NG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NG 인터페이스(470)는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0)와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5) 사이의 슬라이스간 통신을 용이하게 한다. 도시된 실시예가 단일의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5)를 도시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400)은 2개 이상의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0) 및 복수의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5)는 NG 인터페이스(470)를 통해 통신할 것이다.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5)는 NG 인터페이스(470)를 이용하여 UE(405)에 관련된 MM 정보를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들)(435)에 통신한다. 상기 예에서,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0)는 UE(405) 위치를 업데이트하는 MM 메시지를 NG 인터페이스(470)를 통해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들)(435)에 전송한다. 추가 실시예들에서, NG 인터페이스(470)는 또한,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UE(405)가 2차 슬라이스에 부착될 때 UE(405)를 인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사이에서의 이동성 관리("MM")를 위해 이용되는 위치 관리 절차(500)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UE(405), RAN(505),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 및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와의 통신이 예시되어 있다. UE(405)는 도 4를 참조하여 전술된 UE(405)와 상당히 유사할 수 있다. 추가로, RAN(505)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들(510-515)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RAN(120)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130)와 상당히 유사할 수 있다. 위치 관리 절차(500)는 UE(405)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들(510-515)로 그 현재의 라우팅 영역을 어떻게 업데이트하는지를 나타낸다.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515)는, 모바일-착신형 서비스가 UE(405)에 전달될 때 페이징을 개시하기 위하여 UE(405)의 현재 라우팅 영역을 알 필요가 있다.
위치 관리 절차(500)는 UE(405)가 초기 부착 절차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에 부착하는 것(520)으로 시작한다. UE(405)는 RAN(505)을 통해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와 통신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에 대한 초기 접속에 응답하여,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0)가 된다.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 클래스에 대해 UE(405)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이용 클래스 X" 및 "이용 클래스 Y"를 지원한다. 이용 클래스 X는 모바일 광대역("MBB") 또는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 이용 클래스(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레이트 및 중간 레이턴시를 가짐)에 대응할 수 있고, 이용 클래스 Y는 미션-결정적(mission-critical) 이용 클래스(예를 들어, 낮은 레이턴시 및 높은 신뢰성을 가짐)에 대응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UE(405)에서의 IMS 애플리케이션(415) 및 웹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420) 각각은 이용 클래스 X에 대응하는 요구되는 이용 클래스를 갖는다.
또한, UE(405)는 추가적인 부착 절차를 이용하여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에 부착한다(525). UE(405)는 RAN(505)을 통해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와 통신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추가 부착에 응답하여,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는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5)가 된다.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 클래스에 대해 UE(405)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는 (예를 들어, 낮은 이동성 및 낮은 데이터 레이트를 갖는) 대규모 IoT 또는 빈번하지 않은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이용 클래스에 대응할 수 있는 "이용 클래스 Z"를 지원한다. 초기 부착 절차 및 추가 부착 절차는 도 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추가 부착 절차 동안,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의 신원을 파악하고 저장한다(530). 한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서빙된 UE들과 각각의 서빙된 UE에 대응하는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의 대응관계 테이블을 저장한다. 한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에 속하는 슬라이스 식별자를 저장한다. 슬라이스 식별자는, IP 주소 등의,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의 네트워크 주소로 변환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변환된 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NG 인터페이스(470)를 통해)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와 통신할 수 있다.
어떤 시점에서, UE(405)는 새로운 라우팅 영역으로 이동했고 네트워크(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들(510-515))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검출한다(535). 일부 실시예들에서, UE(405)는 자신이 새로운 라우팅 영역에 있고 네트워크에서의 그 위치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할 때 유휴 모드에 있다.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 및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를 별개로 업데이트하는 것 대신에, UE(405)는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 여기서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만을 업데이트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405)는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에 전송한다(540). 소정 실시예들에서,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초기 부착 동안에 생성된 보안 키를 이용하여 인코딩된다.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하고 UE(405)의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여기서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를 식별한다(545). 한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UE(405)가 부착되어 있는 각각의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슬라이스 식별자를 저장하는 대응관계 테이블을 참조한다.
UE(405)의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식별한 후,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라우팅 영역 요청 메시지를 UE(405)의 각각의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포워딩한다(550).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에 포워딩한다(550). 도 4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NG 인터페이스(470)를 이용하여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515)와 통신할 수 있다.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여기서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는 UE(405)가 새로운 라우팅 영역에서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인가되었는지를 결정한다(555). 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가 "이용 클래스 Z"를 지원하는 경우,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는 UE(405)가 이용 클래스 Z에 대한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인가되었는지를 (예를 들어, 그 가입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각각의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여기서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만)는 UE가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각각의 이용 클래스에 대한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인가되었는지를 결정한다.
UE(405)가 새로운 라우팅 영역에서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인가되었는지를 결정한 후에, 각각의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는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에 전송한다(560). 각각의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의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는,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각각의 이용 클래스에 대해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가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수락되었는지를 나타낸다. 여기서,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는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에 전송하고,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는, UE(405)가 이용 클래스 Z에 대해 새로운 라우팅 영역에서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인가되었는지를 나타낸다.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여기서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또한, UE(505)가 새로운 라우팅 영역에서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인가되었는지를 결정한다(565).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UE(405)가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각각의 이용 클래스에 대해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인가되었는지를 결정한다. 여기서,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UE(405)가 이용 클래스 X와 이용 클래스 Y 양쪽 모두에 대해 새로운 라우팅 영역에서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인가되었는지를 결정한다.
UE(405)가 새로운 라우팅 영역에서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인가되었는지를 결정한 후,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UE(405)가 부착되어 있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의 응답들을 편집한다. 따라서,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UE(405)가 부착되어 있는 각각의 이용 클래스에 대해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의 결과를 포함하는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각각의 이용 클래스 X, Y 및 Z에 대해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의 결과를 포함하는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570). UE(405)는 이들 결과를 저장하고 새로운 라우팅 영역에서 이용 클래스 X, Y 및 Z에 대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도 5의 실시예들에서,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UE(405)가 부착하는 제1 슬라이스이기 때문에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0)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UE(405)는 IoT 애플리케이션(425)(여기서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의 이용 클래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에 먼저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IoT 트래픽(예를 들어, "이용 클래스 Z")에 대해 최적화된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는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0)일 것이고, MBB 트래픽(예를 들어, "이용 클래스 X")에 대해 최적화된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5)일 것이다.
도 6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사이에서의 이동성 관리("MM")를 위해 이용되는 네트워크 부착 절차(600)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UE(405), RAN(505),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510), 및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515)와의 통신이 도시되어 있다. UE(405)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전술된 UE(405)와 상당히 유사할 수 있다. 또한, RAN(505),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 및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는 도 5를 참조하여 전술된 것들과 상당히 유사할 수 있다. 네트워크 부착 절차(600)는 UE(405)가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0) 및 하나 이상의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5)에 어떻게 부착되는지를 나타낸다. UE(405)는 네트워크 부착 절차(600)를 구현하기 전에 어떠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도 부착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한다.
네트워크 부착 절차(600)는, UE(405)가 특정한 이용 클래스, 여기서는 "이용 클래스 X"에 대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예를 들어, UE(405) 내의 IMS 애플리케이션(415)은 네트워크 접속성을 요청할 수 있고, UE(405)는 IMS 애플리케이션(415)을 이용 클래스 X와 연관시킬 수 있다. 이용 클래스 X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UE(405)는 초기 부착 요청 메시지를 RAN(505)에 전송한다(605). 초기 부착 요청 메시지는, 요구되는 이용 클래스가 이용 클래스 X임을 명시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505)는 초기 부착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용 클래스를 이용하여, 요구되는 이용 클래스, 여기서는 이용 클래스 X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를 선택한다(610). 그 다음, RAN(505)은 초기 부착 요청 메시지를 선택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 여기서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에 포워딩한다(615).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초기 부착 요청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UE(405)를 인증한다(620). 한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 및 UE(405)는 전체 상호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성공적이면, UE(405) 및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보안 키(623)를 생성한다. 보안 키(623)는 UE(405)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 사이의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보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UE(405)를 인증하면,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초기 부착 응답 메시지로 초기 부착 요청 메시지에 응답한다(625). 초기 부착 응답 메시지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에 의해 지원되는 이용 클래스들의 목록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이용 클래스 X" 뿐만 아니라 제2 이용 클래스인 "이용 클래스 Y" 양쪽 모두를 지원한다. 초기 부착 응답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에 의해 지원되는 모든 이용 클래스에 대해 UE(405)를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에 부착한다.
초기 부착 응답 메시지는 UE(405)에 대한 임시 신원을 더 포함한다. 임시 신원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즉, 슬라이스 식별자는 임시 신원을 생성하는 슬라이스 인스턴스를 식별한다. 예시적인 임시 신원은 "identity@slice_id"이며, 여기서 "slice_id"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의 슬라이스 식별자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초기 부착 응답 메시지는 또한, UE(405)를 서빙하기 위해 할당된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 내의 제어 평면("CP") 기능에 대한 신원을 포함한다. 할당된 CP 기능은 또한, UE(405)에 대한 "서빙" CP 기능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는 하나 이상의 CP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UE(405)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예를 들어, 이용 클래스 X 및 이용 클래스 Y)에 의해 지원되는 이용 클래스들에 관한 모든 시그널링 메시지를, 이들 메시지 내에 CP 기능 신원을 포함시킴으로써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 내의 서빙 CP 기능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UE(405)는 이용 클래스 Y에 대한 PDU 세션을 확립하라는 요청을 서빙 CP 기능에 전송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UE(405)는 이제 이용 클래스 X 및 이용 클래스 Y를 위해 부착된다(630). 이러한 이용 클래스들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에 의해 지원된다. UE(405)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에 부착될 때 또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에 부착되지 않았기 때문에,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예를 들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0))가 된다. UE(405)는 이용 클래스 X 및 이용 클래스 Y에 관련된 모든 시그널링 메시지를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에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 내의 서빙 CP 기능에) 전송한다(635). UE(405)는 이용 클래스 Y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데이터 접속을 확립하기 전에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에 다시 부착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 유의한다.
어떤 때에, UE(405)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이용 클래스 Z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한다(640). 예를 들어, UE(405) 내의 IoT 애플리케이션(425)은 데이터 접속성을 요청할 수 있다. UE(405)는 IoT 애플리케이션(425)을 이용 클래스 Z와 연관시킬 수 있다. UE(405)는 추가로, 그 현재의 부착 상태가 이용 클래스 Z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UE(405)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에 부착된다; 그러나,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이용 클래스 Z를 지원하지 않는다.
따라서, UE(405)는 이용 클래스 Z에 부착하기 위해 추가 부착 요청 메시지를 RAN(505)에 전송한다(645). 추가 부착 요청 메시지는, UE(405)가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여기서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에 이미 부착된 후에, 추가의(예를 들어, 제2, 제3 등)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에 부착하는데 이용된다. 초기 부착 요청 메시지와 유사하게, 추가 부착 요청 메시지는 요구되는 이용 클래스, 여기서는 이용 클래스 Z를 명시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UE(405)는 어떤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이용 클래스 Z를 지원하는지를 모른다(알 필요가 없다). 오히려, UE(405)는 어떤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다양한 이용 클래스를 지원하는지를 알 기 위해 RAN(505)에 의존할 수 있다.
앞서와 같이, RAN(505)은 추가 부착 요청 메시지(예를 들어, 이용 클래스 Z) 내의 요구되는 이용 클래스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를 선택한다(650). 여기서, RAN(505)은 이용 클래스 Z를 지원하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를 선택한다. 따라서, RAN(505)은 추가 부착 요청 메시지를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에 포워딩한다(655). 한 실시예에서, RAN(505)은 추가 부착 요청 메시지를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의 CP 기능에 포워딩한다. 포워딩된 추가 부착 요청 메시지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가 하나보다 많은 이용 클래스를 지원하는 상황에서, 특정한 이용에 대해 UE(405)를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에 부착하기 위해 요구되는 이용 클래스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추가 부착 요청 메시지는 또한,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에 의해 UE(405)에 할당된 임시 신원을 포함한다.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는 수신된 임시 신원을 이용하여 UE(405)에 대한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결정한다(660). 여기서, 임시 신원 내의 슬라이스 식별자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를 나타낸다.
한 실시예에서,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는 슬라이스 식별자(여기서는 "slice_id")를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의 네트워크 주소(예를 들어, IP 주소)로 변환하기 위해 DNS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네트워크 주소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 내의 CP 기능(예를 들어, UE(405)의 서빙 CP 기능)과 통신하는데 이용된다. 도 4를 참조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515)는 NG 인터페이스(470)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와 통신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는 UE(405)와 인증한다(665).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를 통해 UE(405)와 그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 사이의 상호 재인증 절차를 개시한다. 유익하게, 재인증은 전형적으로 전체 인증보다 신속하다. 재인증의 결과로서, UE(405) 및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새로운 보안 키를 생성한다.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UE(405)와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 사이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보호하는데 이용되는 보안 키(667)를 생성하기 위해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에 의해 이용되는 마스터 키를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에 제공한다. 동일한 마스터 키 및 보안 키(667)가 역시 UE(405)에서 생성된다.
재인증에 응답하여,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UE(405)가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여기서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에 부착되었다는 것을 인식한다.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향후의 이용을 위해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신원(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에 속하는 슬라이스 식별자)을 저장한다(670).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는 재인증 시그널링 내에서 자신의 신원을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에 전송한다.
UE(405)가 성공적으로 재인증된 후,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는 추가 부착 요청을 수락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는 부착 요청을 수락하는 추가 부착 응답 메시지를 UE(405)에 전송한다(675). 초기 부착 응답 메시지와 유사하게, 추가 부착 응답 메시지는 또한,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에 의해 지원되는 이용 클래스들의 목록을 포함한다. UE(405)는 추가 부착을 이들 이용 클래스들(예를 들어, 적어도 이용 클래스 Z)과 연관시킨다.
도시된 실시예는 재인증 프로세스를 통해 UE(405)와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515) 사이의 인증을 도시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의 어떠한 관여도 없이 전체 상호인증을 이용하여 UE(405)와 인증할 수 있다. 여기서, 전체 상호 인증은, 전술된 바와 같이, UE(405)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 사이의 인증(620)과 유사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와 UE(405) 사이의 전체 상호 인증 후에,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510)에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여 1차 슬라이스에 UE(405)의 추가 부착을 통보한다.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등록 메시지를 통해 취득된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신원을 저장한다(670). 한 실시예에서, 등록 메시지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에 속하는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추가 부착 응답 메시지는 UE(405)를 서빙하기 위해 할당된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 내의 CP 기능에 대한 신원을 포함한다. 할당된 CP 기능은 또한,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 내의 UE(405)에 대한 "서빙" CP 기능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UE(405)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예를 들어, 이용 클래스 Z)에 의해 지원되는 이용 클래스들에 관한 모든 시그널링 메시지를, 이들 메시지 내에 CP 기능 신원을 포함시킴으로써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 내의 서빙 CP 기능에 전송한다.
이 시점에서, UE(405)는 이제, 이용 클래스 Z, 이용 클래스 X, 및 이용 클래스 Y를 위해 부착된다(680). UE(405)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에 부착될 때 몇몇 이용 클래스들에 대해 이미 부착되었기 때문에,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는 UE(405)에 대한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된다. UE(405)는, 이용 클래스 Z에 관한 모든 시그널링 메시지를,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에 (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 내의 서빙 CP 기능에) 전송한다(635). UE(405)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가 별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들(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 및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을 배치하는지를 알지 못한다(그리고 알 필요가 없다)는 점에 유의한다. 오히려, UE(405)는 하나 이상의 이용 클래스에 대한 부착과 관련이 있다. 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는 (전술된 바와 같이)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들로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은 하나 이상의 이용 클래스를 지원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이용 클래스들을 지원하는 단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들에서,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UE(405)가 부착하는 제1 슬라이스이기 때문에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0)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UE(405)는 IoT 애플리케이션(425)(여기서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의 이용 클래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에 먼저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IoT 트래픽(예를 들어, "이용 클래스 Z")에 대해 최적화된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는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0)일 것이고, MBB 트래픽(예를 들어, "이용 클래스 X" 및/또는 "이용 클래스 Y")에 대해 최적화된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5)일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사이의 이동성 관리("MM")를 위해 이용되는 UE(405)의 네트워크 분리 절차를 나타낸다. 도 7a는, UE(405)가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분리하는데 이용하는 분리 절차(700)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UE(405), RAN(505),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510), 및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515)와의 통신이 도시되어 있다. UE(405)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된 UE(405)와 상당히 유사할 수 있다. 또한, RAN(505),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 및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전술된 것들과 상당히 유사할 수 있다. UE(405)는, 네트워크 분리 절차(700)를 구현하기 전에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 양쪽 모두에 부착된다고 가정한다.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와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 양쪽 모두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의 소정 시점에서, UE(405)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와의 마지막 데이터 접속을 종료하고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로부터 분리하기로 결정한다(705). 예를 들어, UE(405)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에 의해 지원되는 이용 클래스를 요구하는 마지막 데이터 세션을 종료했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이용 클래스 X" 및 "이용 클래스 Y"를 지원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용 클래스 X는 일반 애플리케이션 이용 클래스에 대응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미리결정된 비활성 기간 동안 이용 클래스 X 또는 이용 클래스 Y에 대한 어떠한 데이터 활동도 없는 경우, UE(405)는 이용 클래스 X 및 이용 클래스 Y로부터 분리하기로 결정한다(705). 이들 이용 클래스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에 의해 지원될 때, UE(405)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로부터 분리한다.
따라서, UE(405)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에 분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710). 소정 실시예들에서, 분리 요청 메시지는 데이터 접속 해제 메시지일 수 있다. 분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새로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될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715)(여기서,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는 유일한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임).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UE(405)의 720 슬라이스 컨텍스트 정보를 선택된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여기서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515))에 전달한다. UE(405)의 슬라이스 컨텍스트 정보는, UE(405)가 부착되어 있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슬라이스 신원들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슬라이스 컨텍스트 정보는, UE(405)가 부착되어 있는 각각의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슬라이스 식별자들을 저장하는 대응관계 테이블이다.
UE(405)의 슬라이스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면,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는 UE(405)에 대한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430)가 된다(725). 일부 실시예들에서, (새로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서의)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는 UE(405)에 대한 새로운 임시 신원을 생성한다. 새로운 임시 신원은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는 응답 메시지를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에 전송한다(730). 응답은 슬라이스 컨텍스트 정보의 수신을 확정하고/하거나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가 UE(405)에 대한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역할을 대신한다고 확인응답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응답 메시지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를 식별하는 UE(405)에 대한 새로운 임시 신원을 포함한다.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510)는 분리 응답 메시지를 UE(405)로 전송한다(735). 분리 응답 메시지는 새로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분리 응답 메시지는 UE(405)에 대한 새로운 임시 신원을 포함한다. 분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UE(405)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를 새로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인 것으로 식별한다. 예를 들어, UE(405)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의 슬라이스 식별자를 (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의 서빙 CP 기능의)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의 IP 주소로 변환하기 위해 DNS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UE(405)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UE(405)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에 의해 지원되는 이용 클래스들에 대해 분리된다. 여기서, UE(405)는 이용 클래스 X와 이용 클래스 Y 양쪽 모두에 대해 분리된다. UE(405)는 이제, UE(405)에 대한 새로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된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로 MM 메시지를 보낼 것이다.
도 7b는, UE(405)가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로부터 분리하는데 이용하는 분리 절차(750)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UE(405), RAN(505),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510), 및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515)와의 통신이 도시되어 있다. UE(405)는 도 4 내지 도 7a를 참조하여 전술된 UE(405)와 상당히 유사할 수 있다. 또한, RAN(505),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 및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는 도 5 내지 도 7a를 참조하여 전술된 것들과 상당히 유사할 수 있다. UE(405)는, 네트워크 분리 절차(750)를 구현하기 전에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 양쪽 모두에 부착된다고 가정한다.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와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 양쪽 모두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의 소정 시점에서, UE(405)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와의 마지막 데이터 접속을 종료하고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로부터 분리하기로 결정한다(755). 예를 들어, UE(405)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에 의해 지원되는 이용 클래스를 요구하는 마지막 데이터 세션을 종료했을 수 있다. 여기서,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는 "이용 클래스 Z"를 지원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용 클래스 Z는 IoT/MTC 이용 클래스에 대응할 수 있다. 미리결정된 비활성 기간 동안 이용 클래스 Z에 대한 어떠한 데이터 활동도 없는 한 실시예에서, UE(405)는 이용 클래스 Z로부터 분리하기로 결정하고(755), 이것은 UE(405)가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로부터 분리되는 것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UE(405)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에 분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760). 소정 실시예들에서, 분리 요청 메시지는 데이터 접속 해제 메시지일 수 있다. 분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는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여기서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에 통보한다(765).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UE(405)가 부착되어 있는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관한 그 저장된 슬라이스 식별자들을 업데이트한다(770). 또한,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로의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또는 기타의 MM 메시지)의 전송을 중단한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는 NG 인터페이스(470)를 통해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에 통보한다.
마지막으로,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는 분리 응답 메시지를 UE(405)에 전송한다(775). 이 시점에서, UE(405)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로부터 분리된다(780). 또한, UE(405)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5)에 의해 지원되는 이용 클래스들로부터 분리된다. 여기서, UE(405)는 이용 클래스 Z로부터 분리된다.
도 8a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사이의 이동성 관리("MM")를 위한 방법(800)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플로차트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800)은 원격 유닛(105) 또는 UE(405) 등의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방법(800)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GPU, 보조 처리 유닛, FPGA 등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800)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제1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80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5)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510) 등의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제1 접속을 확립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805)는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원격 유닛을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제1 접속은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와의 시그널링 접속이다.
제1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805)는 제1 이용 클래스를 포함하는 초기 부착 요청을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컴포넌트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제1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805)는 애플리케이션이 제1 이용 클래스에 대한 데이터 접속성을 요청하는 것에 응답하여 발생한다. 또한, 제1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805)는 초기 부착 요청에 응답하여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초기 부착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초기 부착 응답은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할당된 제1 UE 식별자뿐만 아니라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이상의 이용 클래스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UE 식별자는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신원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800)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서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의 제2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810)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5)는 무선 트랜시버(225)를 통해 제2 접속을 확립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810)는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통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원격 유닛을 재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제2 접속은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와의 시그널링 접속이다.
제2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810)는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할당된 제1 UE 식별자를 포함하는 추가 부착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제2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810)는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추가 부착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부착 응답은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할당된 제2 UE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UE 식별자는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신원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800)은 MM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815)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5)는 MM 이벤트를 검출한다(815). 일부 실시예들에서, MM 이벤트는 라우팅 영역에서의 변화이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5)는 라우팅 영역에서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815). 또 다른 예로서, MM 이벤트는, 주기적인 위치 업데이트를 위한 타이머의 만료,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 및/또는 원격 유닛(105) 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업링크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방법(800)은, MM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820)를 포함하고, MM 응답은 제1 접속을 통해서 그리고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송된 MM 요청에 응답하여 수신되며, 여기서, MM 응답은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의 응답을 및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의 응답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무선 트랜시버(225)는 MM 응답을 수신한다(820).
일부 실시예들에서, MM 요청은 라우팅 영역(또는 위치) 업데이트 요청이고, MM 응답은 라우팅 영역(또는 위치) 업데이트 응답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MM 요청은 서비스 요청일 수 있고, 여기서 MM 응답은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의 응답 내의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의 응답을 포함하는 서비스 응답이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MM 응답은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MM 요청을 수락하는지 및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MM 요청을 수락하는지를 표시한다. 추가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복수의 이용 클래스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고, MM 응답은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각각의 이용 클래스에 대한 업데이트 결과를 포함한다. 방법(800)은 종료한다.
도 8b는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사이의 이동성 관리("MM")를 위한 방법(850)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플로차트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850)은 네트워크 슬라이스(301) 등의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방법(850)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GPU, 보조 처리 유닛, FPGA 등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850)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서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부착하는 부착된 모바일 유닛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85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05)는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부착하는 부착된 모바일 유닛(예를 들어, 원격 유닛(105))의 표시를 수신한다(855). 일부 실시예들에서,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부착하는 부착된 모바일 유닛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855)는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등록 요청은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하는 슬라이스 식별자 및 모바일 유닛에 속하는 모바일 유닛 식별자를 포함한다.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부착하는 부착된 모바일 유닛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855)는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하는 슬라이스 식별자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접속하는 NG 인터페이스이다.
방법(850)은 부착된 모바일 유닛으로부터 MM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86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05)는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MM 요청을 수신한다(860). 일부 실시예들에서, MM 요청은 라우팅 영역(또는 위치) 업데이트 요청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MM 요청은 서비스 요청일 수 있다.
방법(850)은 MM 요청을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포워딩하는 단계(86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05)는 MM 요청을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포워딩한다(865).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동성 관리 요청을 포워딩하는 단계(865)는, 모바일 유닛이 부착되어 있는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식별하는 단계,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슬라이스 식별자를 네트워크 주소로 변환하는 단계, 및 MM 요청을 변환된 네트워크 주소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850)은 종료한다.
실시예들은 다른 특정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표시된다. 청구항들의 균등물들의 의미와 범위 내에 드는 모든 변경은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38)

  1. 장치로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트랜시버; 및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제1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제2 접속을 확립하며;
    이동성 관리 이벤트를 검출하고;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송된 이동성 관리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이동성 관리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이동성 관리 응답은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의 응답 및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의 응답을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은 시그널링 접속이고,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상기 제1 접속을 확립하는 것은: 초기 부착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초기 부착 응답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초기 부착 응답은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이상의 이용 클래스(usage class)의 표시 및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할당된 제1 사용자 장비("UE")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UE 식별자는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신원(identity)을 포함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분리 요청을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송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UE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제2 UE 식별자는 새로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신원을 포함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은 시그널링 접속이고,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상기 제2 접속을 확립하는 것은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할당된 UE 식별자를 포함하는 추가 부착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상기 제1 접속을 확립하는 것은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상기 장치를 인증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상기 제2 접속을 확립하는 것은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통해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상기 장치를 재인증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리 응답은,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상기 이동성 관리 요청을 수락하는지 및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상기 이동성 관리 요청을 수락하는지를 나타내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복수의 이용 클래스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고, 상기 이동성 관리 응답은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각각의 이용 클래스에 대한 업데이트 결과를 포함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리 응답은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 및 서비스 응답 중 하나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송된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에 응답하여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을 수신하는 것은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을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송하지 않고,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을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10. 방법으로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제1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제2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
    모바일 유닛에 대한 라우팅 영역에서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접속을 통해서 그리고 제1 접속을 통해 전송된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의 응답 및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의 응답을 포함하는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은 시그널링 접속이고,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상기 제1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는: 초기 부착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초기 부착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초기 부착 응답은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이상의 이용 클래스의 표시 및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할당된 사용자 장비("UE")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UE 식별자는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신원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분리 요청을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송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UE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UE 식별자는 새로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신원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은 시그널링 접속이고,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상기 제2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는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할당된 UE 식별자를 포함하는 추가 부착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상기 제1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는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상기 장치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상기 제2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는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통해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상기 장치를 재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은,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상기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을 수락하는지 및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상기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을 수락하는지를 나타내는,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복수의 이용 클래스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고, 상기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은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각각의 이용 클래스에 대한 업데이트 결과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리 응답은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 및 서비스 응답 중 하나인,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송된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에 응답하여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는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을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송하지 않고,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을 상기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장치로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부착하는 부착된 모바일 유닛의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모바일 유닛으로부터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을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포워딩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제1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에 기초하여 제2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을 생성하며;
    상기 제1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 및 상기 제2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으로부터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을 상기 모바일 유닛에 전송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이용 클래스를 지원하고, 상기 제3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은 상기 모바일 유닛이 부착되어 있는 각각의 이용 클래스에 대한 업데이트 결과를 포함하는,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제1 이용 클래스를 지원하며, 상기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제2 이용 클래스를 지원하는, 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모바일 유닛으로부터 초기 부착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장비("UE") 식별자 - 상기 UE 식별자는 상기 장치의 신원을 포함함 - 를 상기 모바일 유닛에 할당하고;
    초기 부착 응답 - 상기 초기 부착 응답은 상기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이상의 이용 클래스의 표시 및 상기 UE 식별자를 포함함 - 을 상기 모바일 유닛에 전송하는, 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부착하는 상기 모바일 유닛의 표시를 수신하는 것은: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등록 요청 - 상기 등록 요청은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하는 슬라이스 식별자 및 상기 모바일 유닛에 속하는 모바일 유닛 식별자를 포함함 - 을 수신하는 것; 및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하는 상기 슬라이스 식별자를 저장하는 것
    을 포함하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을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포워딩하는 것은:
    상기 모바일 유닛이 부착되어 있는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식별하는 것; 및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하는 상기 슬라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목적지 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을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송하는 것
    을 포함하는,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요청은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수신된 재인증 요청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재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통해 상기 모바일 유닛으로 상기 장치를 재인증하는, 장치.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모바일 유닛이 상기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등록해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등록해제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들을 상기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포워딩하는 것을 중단하는, 장치.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모바일 유닛으로부터 분리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 - 상기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새로운 1차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됨 - 를 선택하고;
    한 세트의 슬라이스 신원들 - 상기 한 세트의 슬라이스 신원들은 상기 모바일 유닛이 접속되어 있는 모든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을 포함함 - 을 상기 선택된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송하며;
    상기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사용자 장비("UE")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UE 식별자 - 상기 UE 식별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신원을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분리 응답을 상기 모바일 유닛에 전송하는, 장치.
  29. 방법으로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부착하는 부착된 모바일 유닛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유닛으로부터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을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포워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제1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에 기초하여 제2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 및 상기 제2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으로부터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을 상기 모바일 유닛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이용 클래스를 지원하고, 상기 제3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응답은 상기 모바일 유닛이 부착되어 있는 각각의 이용 클래스에 대한 업데이트 결과를 포함하는, 방법.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는 제1 이용 클래스를 지원하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제2 이용 클래스를 지원하는, 방법.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유닛으로부터 초기 부착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장비("UE") 식별자 - 상기 UE 식별자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신원을 포함함 - 를 상기 모바일 유닛에 할당하는 단계; 및
    초기 부착 응답 - 상기 초기 부착 응답은 하나 이상의 지원되는 이용 클래스의 표시 및 상기 UE 식별자를 포함함 - 을 상기 모바일 유닛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4. 제29항에 있어서,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부착하는 상기 모바일 유닛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등록 요청 - 상기 등록 요청은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하는 슬라이스 식별자 및 상기 모바일 유닛에 속하는 모바일 유닛 식별자를 포함함 - 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하는 상기 슬라이스 식별자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을 상기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포워딩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유닛이 부착되어 있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속하는 상기 슬라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목적지 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을 상기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요청은 상기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수신된 재인증 요청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재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통해 상기 모바일 유닛으로 재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7.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유닛이 상기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등록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해제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들을 상기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포워딩하는 것을 중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8.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유닛으로부터 분리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선택하는 단계;
    한 세트의 슬라이스 신원들 - 상기 한 세트의 슬라이스 신원들은 상기 모바일 유닛이 접속되어 있는 모든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을 포함함 - 을 상기 선택된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로부터 사용자 장비("UE")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UE 식별자 - 상기 UE 식별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신원을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분리 응답을 상기 모바일 유닛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87030770A 2016-04-29 2017-05-0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지원하는 절차 KR1023421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41,870 2016-04-29
US15/141,870 US10028128B2 (en) 2016-04-29 2016-04-29 Procedures to support network slic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US2017/030406 WO2017190134A2 (en) 2016-04-29 2017-05-01 Procedures to support network slicing in a wir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472A true KR20190002472A (ko) 2019-01-08
KR102342159B1 KR102342159B1 (ko) 2021-12-23

Family

ID=59227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770A KR102342159B1 (ko) 2016-04-29 2017-05-0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지원하는 절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10028128B2 (ko)
EP (3) EP3412061B1 (ko)
KR (1) KR102342159B1 (ko)
CN (2) CN109076410B (ko)
WO (1) WO201719013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5645B2 (en) 2015-01-09 2020-12-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PC node selection using custom service types
EP3456080A1 (en) * 2016-05-10 2019-03-20 Netsia,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programmable base stations and software-defined radio access network controllers
EP3840464A1 (en) * 2016-05-12 2021-06-23 Convida Wireless, LLC Connecting to virtualized mobile core networks
US11153744B2 (en) * 2016-05-16 2021-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aming support for next generation slice architecture
JP6759336B2 (ja) * 2016-05-17 2020-09-23 シャープ株式会社 Ue及び通信制御方法
CN109314675A (zh) * 2016-06-03 2019-02-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切片的确定方法、装置及系统
FR3052618A1 (fr) * 2016-06-08 2017-12-15 Orange Procede d'enrichissement d'une signalisation d'une communication et dispositif
CN114615655A (zh) 2016-07-05 2022-06-10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接入蜂窝网络来获得sim简档的方法和设备
WO2018008970A1 (en) * 2016-07-05 2018-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pecified attach procedure and mobility and paging support in data communication network
CN107666666B (zh) * 2016-07-27 2022-11-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密钥的衍生方法及装置
EP3793253A1 (en) 2016-08-10 2021-03-17 NEC Corporation Radio access network node, radio terminal, core network node, and method therefor
EP3499966A1 (en) 2016-08-10 2019-06-19 Nec Corporation Radio access network node, wireless terminal, and methods for these
CN114040455A (zh) 2016-08-10 2022-02-11 日本电气株式会社 无线接入网节点、无线终端及其方法
CN113676972A (zh) 2016-08-10 2021-11-19 日本电气株式会社 无线接入网节点及其方法
US10212590B2 (en) * 2016-08-16 2019-02-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219193B2 (en) * 2016-08-22 2019-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s of network to terminal by using slice
CN107801232B (zh) * 2016-08-31 2021-04-20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传输数据的方法和装置
EP3513531B1 (en) * 2016-09-18 2021-06-23 Alcatel Lucent Unified security architecture
JP6727087B2 (ja) * 2016-09-28 2020-07-22 Kddi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978421B2 (ja) * 2016-09-30 2021-12-08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20180038716A (ko) * 2016-10-07 2018-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Network Function 간 전달하는 방안
CN108012267B (zh) * 2016-10-31 2022-05-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认证方法、相关设备及系统
US10812395B2 (en) * 2016-10-31 2020-10-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olicy configuration of control plane functions by management plane functions
US10785302B2 (en) * 2016-10-31 2020-09-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unified data management in a communication network
CN108024270B (zh) * 2016-11-03 2021-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发送方法、单元和系统
EP3537768B1 (en) * 2016-11-04 2021-06-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Network switching method, apparatus and related equipment
US11696250B2 (en) * 2016-11-09 2023-07-04 Intel Corporation UE and devices for detach handling
WO2018090191A1 (zh) * 2016-11-15 2018-05-24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功能的管理方法、管理单元及系统
EP3563610B1 (en) 2016-12-30 2020-03-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slice selection
WO2018135992A1 (en) * 2017-01-18 2018-07-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of mapping a network slice
JP6855838B2 (ja) * 2017-02-27 2021-04-07 ソニー株式会社 端末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952176B2 (en) * 2017-03-17 2021-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F influenced PDU session management and subscription procedures
CN108632945B (zh) * 2017-03-20 2020-11-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切片选择方法、用户设备及网络设备
US11576043B2 (en) * 2017-03-21 2023-02-07 Lg Electronics Inc. Session management method and SMF node
WO2018200733A1 (en) * 2017-04-27 2018-11-01 Intel IP Corporation Enhanced network slice managem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s
EP4178242A1 (en) 2017-05-05 2023-05-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s of and systems of service capabilities exposure function (scef) based internet-of-things (iot) communications
US10841302B2 (en) * 2017-05-24 2020-11-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UE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8219352A1 (en) * 2017-06-02 2018-12-06 Fg Innovation Ip Company Limited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service-driven mobility management
ES2899600T3 (es) * 2017-06-16 2022-03-14 Ericsson Telefon Ab L M Manejo del contexto de UE en un nodo de acceso por radio desagregado
CN109548092B (zh) * 2017-07-28 2021-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激活session的方法、设备及系统
US10397791B2 (en) * 2017-10-10 2019-08-27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for auto-discovery in networks implementing network slicing
EP3695653A1 (en) * 2017-10-11 2020-08-19 Nec Corporation Ue configuration and update with network slice selection policy
US11165522B2 (en) * 2017-10-12 2021-11-02 Intel Corporation Radio link quality prediction
JP6698618B2 (ja) * 2017-11-20 2020-05-27 シャープ株式会社 Ue及びueの通信制御方法
US10462678B2 (en) * 2017-11-27 2019-10-29 Nxgen Partners Ip, Llc Unified cloud-based core network supporting multiple private CBRS networks of multiple operators with network slicing
FR3074626A1 (fr) * 2017-12-01 2019-06-07 Orange Procede d'acheminement de donnees d'une session initialisee entre un terminal et un serveur
WO2019150245A1 (en) * 2018-02-02 2019-08-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slicing in ims
CN110166405B (zh) * 2018-02-12 2022-03-11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相关装置及系统
AU2019238187B2 (en) * 2018-03-20 2022-08-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 slicing
EP3769478B1 (en) * 2018-03-20 2023-03-0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Network slicing management for the ip multimedia subsystem (ims) domain
CN110392370A (zh) * 2018-04-19 2019-10-29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安全算法的协商方法及装置
US20210045220A1 (en) * 2018-05-03 2021-02-11 RAB Lighting Inc. Circadian stimulus illuminatio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10904827B2 (en) * 2018-09-27 2021-01-26 T-Mobile Usa, Inc. User plane system selection based on latency
US20220007277A1 (en) * 2018-11-06 2022-01-06 Zte Corporation A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user equipment to a network slice
CN110166518B (zh) * 2018-11-14 2021-11-1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会话信息的传输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WO2020102989A1 (zh) * 2018-11-20 2020-05-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注册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EP3895375B1 (en) * 2018-12-10 2023-08-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ms node and method performed therein
WO2020120647A1 (en) * 2018-12-13 2020-06-18 Koninklijke Kpn N.V.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of a communications network
ES2900513T3 (es) * 2019-04-01 2022-03-17 Ntt Docomo Inc Métodos y componentes de red de comunicación para iniciar una autenticación y una autorización específicas de segmento
US10637753B1 (en) * 2019-04-09 2020-04-2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anaging a 5G network using extension information
US11171837B2 (en) * 2019-07-17 2021-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ement of shared network slice instance (NSI) in a wireless network
US11115914B2 (en) 2020-01-29 2021-09-07 Dell Products L.P. Endpoint computing device multi-network slice utilization system
US11595837B2 (en) * 2020-01-29 2023-02-28 Dell Products L.P. Endpoint computing device multi-network slice remediation/productivity system
CN113709764B (zh) * 2020-05-21 2023-06-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US11375417B1 (en) 2021-01-20 2022-06-28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Handover control in a wireless user equipment (UE)
US11451954B1 (en) 2021-02-03 2022-09-20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delivery using multiple data network names (DN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1431A1 (en) * 2007-12-05 2009-06-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llocation of resources to shared spectrum operators
WO2015182141A1 (en) * 2014-05-30 2015-12-03 Nec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dicated core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3672A (ja) * 2000-04-28 2001-11-09 Toshiba Corp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パケット中継装置、無線端末及びパケット処理方法
DE102005005254B4 (de) * 2005-02-04 2007-05-10 Infineon Technologies Ag Mobilfunk-Kommunikationssystem,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obilfunk-Kommunikationssystems, Kernnetz-Vermittlungsschicht-Einhei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Kernnetz-Vermittlungsschicht-Einheit
DE102005022925B4 (de) * 2005-05-13 2012-02-09 T-Mobile International Ag & Co. Kg Generierung einer raumbezogenen Verkehrsdatenbank in einem Funknetz
JP4729119B2 (ja) * 2007-10-25 2011-07-20 富士通株式会社 ラベルスイッチング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通信装置
CN102869120B (zh) * 2008-06-13 2016-01-27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通讯方法及通讯系统以及相关装置
IT1399929B1 (it) * 2010-05-17 2013-05-09 Create Net Ct For Res And Telecomm Experimentation For Networked Communities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 virtualization
US8559299B2 (en) * 2010-11-30 2013-10-1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obile gateways in pool for session resilience
US9003057B2 (en) * 2011-01-04 2015-04-07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information in a mobile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JP5610247B2 (ja) * 2011-03-18 2014-10-22 日本電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ポリシー経路設定方法
US9172678B2 (en) * 2011-06-28 2015-10-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apparatus to improve security of a virtual private mobile network
GB201200757D0 (en) * 2012-01-17 2012-02-29 Ip Access Ltd Network element, integrated circuit,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2015524186A (ja) * 2012-05-09 2015-08-20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フレキシブルなネットワーク共有
IL221667A0 (en) * 2012-08-27 2012-12-31 Univ Ben Gurion Network selection and traffic offloading module
WO2014052750A2 (en) * 2012-09-27 2014-04-0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End-to-end architecture, api framework, discovery, and access in a virtualized network
CN103716213B (zh) * 2012-09-29 2018-02-09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在固定接入网中和在用户设备中运行的方法
WO2014061911A1 (ko) * 2012-10-18 2014-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tc 모니터링 관련 정보 제공 방법
CA2890001A1 (en) * 2012-11-05 2014-05-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returning to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WO2014110410A1 (en) * 2013-01-11 2014-07-1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User-plane congestion management
CN109951836A (zh) * 2013-06-19 2019-06-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联合位置更新处理方法、装置和系统
CN103650437B (zh) * 2013-06-28 2016-11-16 华为技术有限公司 任播服务注册、实现方法及装置、交换设备和系统
CN110830227B (zh) * 2013-07-04 2022-08-19 韩国电子通信研究院 用于多连接性的方法
US9450823B2 (en) * 2013-08-09 2016-09-20 Nec Corporation Hybrid network management
US9667495B2 (en) * 2013-08-19 2017-05-30 Entry Point, Llc Programmable data network management and operation
JP6304753B2 (ja) * 2014-05-12 2018-04-04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のための通信方法
US9674880B1 (en) * 2014-11-04 2017-06-06 Dell Products, Lp Method and apparatus for a smart vehicle gateway with connection context aware radio communication management and multi-radio technology
JP6307172B2 (ja) * 2015-03-20 2018-04-04 株式会社Nttドコモ スライス管理システム及びスライス管理方法
BR112017023037A2 (pt) * 2015-06-01 2018-07-03 Huawei Tech Co Ltd aparelho e método para funções virtualizadas em planos de controle e de dados.
US10111163B2 (en) * 2015-06-01 2018-10-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ized functions in control and data planes
US10021559B2 (en) * 2015-08-04 2018-07-10 Qualcomm Incorporated Supporting multiple concurrent service contexts with a single connectivity context
US10644955B2 (en) * 2015-08-21 2020-05-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slicing
US10425830B2 (en) * 2015-09-07 2019-09-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composing network component configurations
US9775045B2 (en) * 2015-09-11 2017-09-26 Intel IP Corporation Slicing archite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10645528B2 (en) * 2015-09-18 2020-05-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s for reliable communication with mobility along a predictable route
US10506489B2 (en) * 2015-09-18 2019-12-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s for network slice reselection
US10129108B2 (en) * 2015-11-13 2018-11-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s for network management and orchestration for network slicing
US20170289791A1 (en) * 2016-04-05 2017-10-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network slice
JP6750003B2 (ja) * 2016-04-05 2020-09-02 シャープ株式会社 Ue及びueの通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1431A1 (en) * 2007-12-05 2009-06-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llocation of resources to shared spectrum operators
WO2015182141A1 (en) * 2014-05-30 2015-12-03 Nec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dicated core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58414A1 (en) 2020-12-30
US20170318450A1 (en) 2017-11-02
US20210211874A1 (en) 2021-07-08
CN113473461A (zh) 2021-10-01
US20200037146A1 (en) 2020-01-30
WO2017190134A3 (en) 2018-02-01
CN109076410B (zh) 2021-06-18
EP3758414B1 (en) 2022-04-27
EP3412061A2 (en) 2018-12-12
EP3412061B1 (en) 2020-11-18
KR102342159B1 (ko) 2021-12-23
US11451958B2 (en) 2022-09-20
US10986499B2 (en) 2021-04-20
US10028128B2 (en) 2018-07-17
US20180324576A1 (en) 2018-11-08
EP4033812B1 (en) 2023-11-08
WO2017190134A2 (en) 2017-11-02
EP4033812C0 (en) 2023-11-08
US10440555B2 (en) 2019-10-08
EP4033812A1 (en) 2022-07-27
CN109076410A (zh)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215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지원하는 절차
US20240015644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configuring a data connection
US11277814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aging a remote unit with a direct mobile connection
EP3758424B1 (en) Method for determining clock source and device
US11350356B2 (en) Session establishment method, relay device selection method, registration method, and device
KR2015006839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간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4146474A1 (zh) 终端注册方法、终端发现方法、终端及装置
KR20230038192A (ko)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
JPWO2016203874A1 (ja) システム、方法及び端末装置
US11445360B2 (en) Misused aerial usage identification
US20230171598A1 (en) Secondary or Splice-Specific Access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20220152049A (ko) 망간의 UE mobility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40129723A1 (en) Key identification for mobile edge computing functions
US20240129845A1 (en) Data connection establishment in response to a disaster condition
US20240114444A1 (en) Network slice isolation via network slice lists
CN116210251A (zh) 用户设备无线电能力
WO2022208363A1 (en) Including a serving cell identity in a discovery message
WO2024088595A1 (en) Mobility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GB2574016A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20012853A (ko)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서비스의 핸드오버 방법 및 무선 접속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