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8192A -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 - Google Patents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8192A
KR20230038192A KR1020237000943A KR20237000943A KR20230038192A KR 20230038192 A KR20230038192 A KR 20230038192A KR 1020237000943 A KR1020237000943 A KR 1020237000943A KR 20237000943 A KR20237000943 A KR 20237000943A KR 20230038192 A KR20230038192 A KR 20230038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ontinuous reception
radio interface
communication
user equipment
configuration parame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0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미트리오스 카람파트시스
카르티케얀 가네산
프라티크 바수 말리크
요아킴 뢰허
Original Assignee
레노보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노보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레노보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30038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1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5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terminals via a wireless link, e.g. side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40Resource management for direct mode communication, e.g. D2D or side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위한 장치들, 방법들, 및 시스템들이 개시된다. 하나의 방법(1000)은 제1 사용자 장비에서 제1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1002)를 포함한다. 방법(1000)은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에 대한 서비스 품질 요건들을 수신하는 단계(1004)를 포함한다. 방법(1000)은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그리고 서비스 품질 요건들에 기반하여 불연속 수신 통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1006)를 포함한다. 방법(1000)은 불연속 수신 통신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들을 전송 및 수신하는 단계(1008)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Joachim Loehr에 의해 2020년 7월 13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A SIDELINK DRX MECHANISM-INTERACTION WITH UU DRX OPERATION"인 미국 특허 출원 제63/051,184호, Prateek Basu Mallick에 의해 2020년 7월 13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SIDELINK POWER SAVING USING A DRX MECHANISM AND MINIMIZING ENSUING HALF DUPLEX ISSUES"인 미국 특허 출원 제63/051,207호, Dimitrios Karampatsis에 의해 2020년 7월 13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SUPPORTING POWER SAVING FOR PC5 COMMUNICATIONS"인 미국 특허 출원 제63/051,217호, 및 Karthikeyan Ganesan에 의해 2020년 7월 13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EMENT FOR SL POWER SAVING"인 미국 특허 출원 제63/051,233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 출원들 모두는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discontinuous reception configuration parameters)에 관한 것이다.
특정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는, 불연속 수신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들은 다양한 방식들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위한 방법들이 개시된다. 장치들 및 시스템들은 또한 이러한 방법들의 기능들을 수행한다. 방법의 일 실시예는 제1 사용자 장비에서 제1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 방법은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에 대한 서비스 품질 요건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이 방법은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그리고 서비스 품질 요건들에 기반하여 불연속 수신 통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이 방법은 불연속 수신 통신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들을 전송 및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위한 하나의 장치는 제1 사용자 장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 장치는 제1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고;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에 대한 서비스 품질 요건들을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이 장치는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그리고 서비스 품질 요건들에 기반하여 불연속 수신 통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이 장치는 전송기를 포함한다. 불연속 수신 통신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기가 통신들을 전송하고 수신기가 통신들을 수신한다.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위한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정책 제어 기능에서 제1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응하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정책 연관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 방법은 사용자 장비에 대한 가입 프로파일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입 프로파일은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에 대한 디폴트 불연속 수신 구성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이 방법은 제1 사용자 장비에 대해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들을 위한 구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이 방법은 제1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비-액세스 계층 제어 평면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구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위한 다른 장치는 정책 및 제어 기능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 장치는 제1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응하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정책 연관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이 장치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가입 프로파일을 획득하고 - 가입 프로파일은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에 대한 디폴트 불연속 수신 구성을 포함함 -; 제1 사용자 장비에 대해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들을 위한 구성 정보를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이 장치는 제1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비-액세스 계층 제어 평면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구성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기를 포함한다.
위에서 간략하게 설명된 실시예들의 더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 도면들에 예시된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이러한 도면들은 일부 실시예들만을 도시하며, 따라서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면서,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의 이용을 통해 추가적인 특이성 및 상세로 기술되고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에 이용될 수 있는 장치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에 이용될 수 있는 장치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DRX 구성에 기반하여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5는 요구되는 QoS를 지원하도록 DRX를 확장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NAS(예를 들어, AMF 기반)를 통한 DRX 구성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네트워크 통신도이다.
도 7은 PC5를 통한 유니캐스트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UE들 사이의 DRX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네트워크 통신도이다.
도 8은 NAS(예를 들어, PCF 기반)를 통한 DRX 구성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네트워크 통신도이다.
도 9는 중계 UE(예를 들어, RSU)를 통한 DRX 구성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네트워크 통신도이다.
도 10은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위한 방법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위한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들의 양태들은 시스템, 장치, 방법, 또는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전적으로 하드웨어 실시예, 전적으로 소프트웨어 실시예(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한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모두 일반적으로 "회로", "모듈" 또는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양태들을 조합한 실시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코드로 지칭되는 머신 판독가능한 코드, 컴퓨터 판독가능한 코드, 및/또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에 구현된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들은 유형적, 비일시적, 및/또는 비전송적일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들은 신호들을 구현하지 않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저장 디바이스들은 코드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들만을 이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특정 기능 유닛들은 그 구현 독립성을 더 특별히 강조하기 위해 모듈들로서 라벨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은 맞춤형 초고밀도 집적(very-large-scale integration)("VLSI") 회로들 또는 게이트 어레이들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회로, 기성품 반도체들, 예컨대 로직 칩들, 트랜지스터들, 또는 다른 개별 구성요소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또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들,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들 등과 같은 프로그래머블 하드웨어 디바이스들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은 또한 다양한 유형들의 프로세서들에 의한 실행을 위해 코드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코드의 식별된 모듈은, 예를 들어, 객체, 절차, 또는 기능 등으로서 조직화될 수 있는, 예를 들어, 실행가능한 코드의 하나 이상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별된 모듈의 실행파일들은 물리적으로 함께 위치될 필요는 없고, 논리적으로 함께 결합될 때, 모듈을 포함하고 모듈에 대한 언급된 목적을 달성하는, 상이한 위치들에 저장된 이질적인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실상, 코드의 모듈은, 단일 명령어, 또는 다수의 명령어들일 수 있고, 심지어, 수 개의 상이한 코드 세그먼트들에 걸쳐, 상이한 프로그램들 사이에, 그리고 수 개의 메모리 디바이스들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동작 데이터는 본 명세서에서 모듈들 내에서 식별되고 예시될 수 있으며, 임의의 적절한 형태로 구현되고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데이터 구조 내에서 조직화될 수 있다. 동작 데이터는 단일 데이터 세트로서 수집될 수 있거나, 상이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들에 걸치는 것을 포함하여 상이한 위치들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모듈 또는 모듈의 부분들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 부분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 상에 저장된다.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의 임의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홀로그래픽, 마이크로기계,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저장 디바이스의 더 구체적인 예들(비포괄적인 목록)은,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갖는 전기 접속, 휴대용 컴퓨터 디스켓,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휴대용 컴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D-ROM"), 광학 저장 디바이스,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것이다. 본 문서의 맥락에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또는 이와 관련하여 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적 매체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대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는 임의의 수의 라인들일 수 있고, 파이썬(Python), 루비(Ruby), 자바(Java), 스몰토크(Smalltalk), C++ 등과 같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C" 프로그래밍 언어 등과 같은 종래의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들, 및/또는 어셈블리 언어들과 같은 기계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작성될 수 있다. 코드는 완전히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독립형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부분적으로는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원격 컴퓨터 상에서, 또는 완전히 원격 컴퓨터 또는 서버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후자의 시나리오에서, 원격 컴퓨터는 근거리 네트워크("LAN") 또는 광역 네트워크("WAN")를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에 접속될 수 있거나, 그 접속은 (예를 들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외부 컴퓨터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일 실시예", "실시예", 또는 유사한 언어에 대한 언급은, 그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일 실시예에서", "실시예에서", 및 유사한 언어의 문구들의 출현들은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며, 명백히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이지만 전부는 아닌 실시예들"을 의미할 수 있다. 용어들 "포함하는(including, comprising)", "갖는", 및 그 변형들은 명백히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을 의미한다. 열거된 항목들의 목록은, 명백히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임의의 또는 모든 항목들이 상호 배타적이라는 것을 암시하지 않는다. 단수형 용어들은, 명백히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을 또한 지칭한다.
또한, 실시예들의 설명된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실시예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 모듈들, 사용자 선택들, 네트워크 트랜잭션들, 데이터베이스 질의들, 데이터베이스 구조들, 하드웨어 모듈들, 하드웨어 회로들, 하드웨어 칩들 등의 예들과 같은 다수의 특정 상세가 제공된다. 그러나,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실시예들이 특정 상세들 중 하나 이상이 없이, 또는 다른 방법들, 구성요소들, 재료들 등과 함께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다른 경우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 재료들, 또는 동작들은 실시예의 양태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상세히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의 양태들은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 장치들, 시스템들, 및 프로그램 제품들의 개략적인 흐름도들 및/또는 개략적인 블록도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개략적인 흐름도들 및/또는 개략적인 블록도들의 각각의 블록, 및 개략적인 흐름도들 및/또는 개략적인 블록도들에서의 블록들의 조합들은 코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코드는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되어,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이 개략적인 흐름도들 및/또는 개략적인 블록도들의 블록 또는 블록들에 지정된 기능들/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생성하도록 머신을 생성할 수 있다.
코드는 또한,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된 명령어들이 개략적인 흐름도들 및/또는 개략적인 블록도들의 블록이나 블록들에 지정된 기능/동작을 구현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제조 물품을 생성하게 하는 특정한 방식으로 기능하도록 컴퓨터, 다른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 장치,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에 지시할 수 있는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코드는 또한, 컴퓨터, 다른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 장치,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 상에 로딩되어,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컴퓨터, 다른 프로그래머블 장치,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 상에서 수행되어,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코드가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블록이나 블록들에 지정된 기능들/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세스들을 제공하게 하는 컴퓨터 구현 프로세스를 생성하게 할 수 있다.
도면들에서의 개략적인 흐름도들 및/또는 개략적인 블록도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들, 시스템들, 방법들 및 프로그램 제품들의 가능한 구현들의 아키텍처, 기능 및 동작을 예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개략적인 흐름도들 및/또는 개략적인 블록도들에서의 각각의 블록은, 지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의 하나 이상의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대안적인 구현들에서, 블록에서 언급된 기능들은 도면들에서 언급된 순서를 벗어나 발생할 수 있다는 것에 또한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도시된 2개의 블록은, 사실상, 수반된 기능에 따라,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행될 수 있거나, 블록들은 때때로 역순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시된 도면들의 하나 이상의 블록 또는 그 일부와, 기능, 로직, 또는 효과에 있어서 동등한 다른 단계들 및 방법들이 생각될 수 있다.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에서 다양한 화살표 유형들 및 라인 유형들이 이용될 수 있지만, 이들은 대응하는 실시예들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실제로, 일부 화살표들 또는 다른 커넥터들은 도시된 실시예의 논리적 흐름만을 나타내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살표는 도시된 실시예의 열거된 단계들 사이의 명시되지 않은 듀레이션의 대기 또는 모니터링 기간을 나타낼 수 있다. 블록도들 및/또는 흐름도들의 각각의 블록, 및 블록도들 및/또는 흐름도들 내의 블록들의 조합들은 지정된 기능들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특수 목적 하드웨어 기반 시스템들, 또는 특수 목적 하드웨어와 코드의 조합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도 유의할 것이다.
각각의 도면 내의 요소들의 설명은 계속되는 도면들의 요소들을 참조할 수 있다. 유사한 요소들의 대안적인 실시예들을 포함하여, 모든 도면들에서 유사한 번호들은 유사한 요소들을 지칭한다.
도 1은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원격 유닛들(102) 및 네트워크 유닛들(104)을 포함한다. 특정 수의 원격 유닛들(102) 및 네트워크 유닛들(104)이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만,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임의의 수의 원격 유닛들(102) 및 네트워크 유닛들(104)이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원격 유닛들(102)은, 데스크톱 컴퓨터들, 랩톱 컴퓨터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들, 태블릿 컴퓨터들, 스마트폰들, 스마트 텔레비전들(예를 들어, 인터넷에 접속된 텔레비전들), 셋톱 박스들, 게임 콘솔들, (보안 카메라들을 포함한) 보안 시스템들, 차량 탑재 컴퓨터들,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라우터들, 스위치들, 모뎀들), 항공기들, 드론들 등과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들(102)은, 스마트 시계들, 피트니스 밴드들, 광학 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들 등과 같은 착용형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또한, 원격 유닛들(102)은 가입자 유닛들, 모바일들, 이동국들, 사용자들, 단말기들, 모바일 단말기들, 고정 단말기들, 가입자국들, UE, 사용자 단말기들, 디바이스, 또는 관련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원격 유닛들(102)은 UL 통신 신호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유닛(104)과 직접 통신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들(102)은 사이드링크 통신을 통해 다른 원격 유닛들(102)과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유닛들(104)은 지리적 영역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유닛(104)은 또한 액세스 포인트, 액세스 단말기, 베이스, 기지국, 위치 서버, 코어 네트워크("CN"), 라디오 네트워크 엔티티, 노드-B, eNB(evolved node-B), 5G 노드-B("gNB"), 홈 노드-B, 중계 노드, 디바이스, 코어 네트워크, 항공 서버, 라디오 액세스 노드, 액세스 포인트("AP"), 뉴 라디오("NR"), 네트워크 엔티티,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MF"), 통합 데이터 관리("UDM"), 통합 데이터 저장소("UDR"), UDM/UDR, 정책 제어 기능("PCF"),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기능("NSSF"), OAM(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세션 관리 기능("SMF"), 사용자 평면 기능("UPF"), 애플리케이션 기능, 인증 서버 기능("AUSF"), SEAF(security anchor functionality), TNGF(trusted non-3GPP gateway function), 또는 관련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용어 중 하나 이상을 지칭할 수 있고/있거나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유닛들(104)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네트워크 유닛(104)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제어기를 포함하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의 일부이다.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다른 네트워크들 중에서, 인터넷 및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들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들에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다. 라디오 액세스 및 코어 네트워크들의 이들 및 다른 요소들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일 구현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서 표준화된 NR 프로토콜들을 준수하며, 여기서, 네트워크 유닛(104)은 다운링크("DL") 상에서 OFDM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하고, 원격 유닛들(102)은 업링크("UL") 상에서 단일-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 방식 또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그러나, 보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다른 프로토콜들 중에서도, 일부 다른 개방 또는 독점 통신 프로토콜, 예를 들어, WiMAX,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변형들,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LTE(long term evolution) 변형들, CDMA2000(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Bluetooth®, ZigBee, Sigfoxx를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임의의 특정 무선 통신 시스템 아키텍처 또는 프로토콜의 구현으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네트워크 유닛들(104)은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서빙 영역, 예를 들어 셀 또는 셀 섹터 내의 다수의 원격 유닛(102)을 서빙할 수 있다. 네트워크 유닛들(104)은, 시간, 주파수, 및/또는 공간 도메인에서 원격 유닛들(102)을 서빙하기 위해 DL 통신 신호들을 전송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제1 사용자 장비에서 제1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에 대한 서비스 품질 요건들을 수신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그리고 서비스 품질 요건들에 기반하여 불연속 수신 통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불연속 수신 통신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들을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유닛(102)은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에 이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유닛(104)은, 정책 제어 기능에서 제1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응하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정책 연관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유닛(104)은 사용자 장비에 대한 가입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가입 프로파일은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에 대한 디폴트 불연속 수신 구성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유닛(104)은 제1 사용자 장비에 대해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들을 위한 구성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유닛(104)은 제1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비-액세스 계층 제어 평면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구성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유닛(104)은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에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에 이용될 수 있는 장치(2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장치(200)는 원격 유닛(102)의 일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원격 유닛(102)은, 프로세서(202), 메모리(204), 입력 디바이스(206), 디스플레이(208), 전송기(210), 및 수신기(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입력 디바이스(206) 및 디스플레이(208)는 터치스크린 등의 단일 디바이스로 결합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어떠한 입력 디바이스(206) 및/또는 디스플레이(208)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프로세서(202), 메모리(204), 전송기(210), 및 수신기(21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입력 디바이스(206) 및/또는 디스플레이(208)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고/있거나 논리적 연산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알려진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2)는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중앙 처리 유닛("CPU"), 그래픽 처리 유닛("GPU"), 보조 처리 유닛,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유사한 프로그래머블 제어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및 루틴들을 수행한다.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 입력 디바이스(206), 디스플레이(208), 전송기(210), 및 수신기(212)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204)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204)는 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204)는 동적 RAM("DRAM"), 동기식 동적 RAM("SDRAM"), 및/또는 정적 RAM("SRAM")을 포함하는 RAM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204)는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204)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204)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 둘 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204)는 또한 원격 유닛(102) 상에서 동작하는 운영 체제 또는 다른 제어기 알고리즘들과 같은 프로그램 코드 및 관련 데이터를 저장한다.
입력 디바이스(206)는, 일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 버튼, 키보드, 스타일러스,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알려진 컴퓨터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입력 디바이스(206)는,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또는 유사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로서 디스플레이(208)와 통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입력 디바이스(206)는, 텍스트가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그리고/또는 터치스크린 상에 필기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입력 디바이스(206)는 키보드 및 터치 패널과 같은 2개 이상의 상이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208)는, 일 실시예에서, 임의의 알려진 전자적으로 제어가능한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8)는 시각적, 청각적, 및/또는 촉각적 신호들을 출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208)는 시각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는 전자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08)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프로젝터, 또는 이미지들, 텍스트 등을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는 유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비제한적인 예로서, 디스플레이(208)는 스마트 시계, 스마트 안경, 헤드-업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착용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08)는 스마트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텔레비전, 테이블 컴퓨터, 노트북(랩톱)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 차량 대시보드 등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208)는 사운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08)는 가청 경보 또는 통지(예를 들어, 비프음 또는 차임)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208)는, 진동들, 움직임, 또는 다른 촉각 피드백을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촉각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208)의 전부 또는 일부들은 입력 디바이스(206)와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206) 및 디스플레이(208)는 터치스크린 또는 유사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208)는 입력 디바이스(206)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수신기(210)는, 제1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고;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에 대한 서비스 품질 요건들을 수신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202)는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그리고 서비스 품질 요건들에 기반하여 불연속 수신 통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불연속 수신 통신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기(212)가 통신들을 전송하고 수신기(210)가 통신들을 수신한다.
단 하나의 전송기(210) 및 하나의 수신기(212)가 도시되어 있지만, 원격 유닛(102)은 임의의 적절한 수의 전송기들(210) 및 수신기들(212)을 가질 수 있다. 전송기(210) 및 수신기(212)는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전송기들 및 수신기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송기(210) 및 수신기(212)는 트랜시버의 일부일 수 있다.
도 3은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에 이용될 수 있는 장치(3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장치(300)는 네트워크 유닛(104)의 일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네트워크 유닛(104)은, 프로세서(302), 메모리(304), 입력 디바이스(306), 디스플레이(308), 전송기(310), 및 수신기(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302), 메모리(304), 입력 디바이스(306), 디스플레이(308), 전송기(310), 및 수신기(312)는, 각각, 원격 유닛(102)의 프로세서(202), 메모리(204), 입력 디바이스(206), 디스플레이(208), 전송기(210), 및 수신기(212)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수신기(312)는 제1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응하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정책 연관 요청을 수신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302)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가입 프로파일을 획득하고 - 가입 프로파일은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에 대한 디폴트 불연속 수신 구성을 포함함 -; 제1 사용자 장비에 대해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들을 위한 구성 정보를 결정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전송기(310)는 제1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비-액세스 계층 제어 평면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구성 정보를 전송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보행자들을 위한 UE 인터페이스("PC5")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장비("UE")를 통한 사이드링크 통신은 전력 효율이 있는 사이드링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대 사물("V2X") UE는 일정한 레이트로 PC5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협력 인식 메시지("CAM")는 100ms마다 PC5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일정한 동작은 UE의 전력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V2X UE들(예를 들어, 자동차들 또는 노변 유닛들("RSU들"))은 이러한 일정한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큰 배터리 용량을 갖는다. 한편, 보행자 UE들(예를 들어, 스마트폰들, 스마트 시계들)은 제한된 배터리 용량 또는 이용가능한 라디오 리소스들을 갖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V2X 보행자 UE는 전력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PC5를 통해 불연속 수신("DRX")을 적용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DRX 동기화는 전력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서비스를 실행하는 V2X UE들 사이에서 수행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eNB 및/또는 gNB라는 용어는 기지국에 대해 사용되지만, 임의의 다른 라디오 액세스 노드(예를 들어, 기지국("BS"), eNB, gNB, 액세스 포인트("AP"), 뉴 라디오("NR") 등)에 의해 대체가능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게다가,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특정 실시예들은 NR V2X와 관련하여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을 지원하는 임의의 모바일 통신 시스템들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은 함께 조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UE는 PC5를 통한 사이드링크 통신에 이용할 DRX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UE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기능("AMF") 또는 정책 제어 기능("PCF")으로부터 비-액세스 계층("NAS") 시그널링을 통해 PC5를 통한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DRX 구성을 수신한다. 제2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들은 UE(예를 들어, V2X 계층)가 요구된 DRX 파라미터들을 식별하는 것을 돕는 동기화 파라미터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UE는 DRX 동기화 기능으로서 동작하는 UE(예를 들어, RSU UE)로부터 DRX 구성을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일단 UE가 PC5를 통해 이용할 DRX를 수신하면, UE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V2X 메시지들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기 위해 DRX를 적용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UE는 수신된 DRX 구성에 기반하여 PC5를 통한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활성 시간" 및 "비활성 시간"을 구성한다. 또한, UE가 "비활성 시간"에 있을 때, UE는 "휴면" 상태로 진입하고 PC5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 메시지들을 전송하거나 청취하지 않는다. 더욱이, UE가 "활성 시간"에 있을 때, UE는 V2X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PC5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 메시지들을 청취할 수 있다. V2X 애플리케이션이 UE 비활성 상태 동안 데이터를 제공한다면, UE는 그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활성 시간 기간 동안 이를 전송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UE는 UE를 통한 통신을 위해 동일한 DRX 구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Uu") 및 PC5 인터페이스에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DRX 구성에 기반하여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타이밍도(400)이다. 타이밍도(400)는 DRX에 기반한 UE 상태(404)와 비교하여 애플리케이션 계층(402)의 통신들의 타이밍을 예시한다. UE 상태(404)가 비활성 기간(406)에 있는 동안, 애플리케이션 계층(402)은 데이터(408)를 전송하고 410에서 412까지의 제1 시간 기간을 포함한다. 더욱이, 제2 시간 기간(414)(예를 들어, 1초)은 각각의 데이터(408) 전송 사이에 있을 수 있다. UE 상태(404)는 예시된 바와 같이 활성 시간(416)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NAS 기반 DRX 구성이 있을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UE는 NAS 시그널링을 통해 AMF 또는 PCF로부터 PC5를 통한 사이드링크 통신에 이용할 DRX 구성을 수신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AMF는 PC5를 통한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DRX 구성이 UE 가입에 기반하여 UE에 제공될 것이 요구된다고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AMF는, UDR(unified data repository)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의해, UE가 보행자 UE로서 PC5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도록 허가되는지를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UE 가입을 결정한다. UE에 제공되는 DRX 구성은 AMF에서의 사전 구성에 기반할 수 있다. 사전 구성은 보행자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서비스 품질("QoS") 요건들의 지식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단 UE가 DRX 구성을 수신하면, UE는 DRX를 적용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일부 V2X 애플리케이션들은 (예를 들어, 특정 QoS 요건들을 갖는 제공자 서비스 식별자("PSID") 또는 지능형 전송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식별자("ITS-AID")에 의해 식별되는) V2X 서비스에 대해 PC5를 통한 사이드링크 통신들을 요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낮은 레이턴시 및 높은 보장된 비트 레이트("GBR") 요건들이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AMF에 의해 제공되는 DRX 구성은 낮은 레이턴시 및/또는 높은 GBR을 지속하기에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UE는 구성된 DRX에 오프셋을 추가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낮은 레이턴시 및/또는 높은 GBR 요건들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활성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이것은 도 5에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요구되는 QoS를 지원하도록 DRX를 확장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500)이다. 개략적인 블록도(500)에서, (예를 들어, 낮은 레이턴시 QoS를 지원하기 위한 DRX에 기반한) UE 상태(502)는 활성 시간(504), 후속하는 오프셋(506), 후속하는 비활성 기간(508)의 반복을 포함한다.
도 6은 NAS(예를 들어, AMF 기반)를 통한 DRX 구성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네트워크 통신(600) 도면이다. 네트워크 통신들(600)은 UE(602)(예를 들어, 보행자 UE), AMF(604), 및 통합 데이터 관리("UDM") 및/또는 UDR("UDM/UDR")(606)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도시된 네트워크 통신들(600) 각각은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UE(602)로부터 AMF(604)로 전송되는 제1 통신(608)에서, UE(602)는 등록 요청을 AMF(604)에 전송함으로써 표준 인증 절차들을 이용하여 등록할 메시지를 3GPP 네트워크에 전송한다. UE(602)는 UE(602)가 V2X 가능하다는 표시를 등록 요청에 포함시킨다.
AMF(604)는 인증 서버 기능("AUSF") 선택, 인증, 및 보안을 수행한다(610).
UDM/UDR(606)로부터 AMF(604)로 전송되는 제2 통신(612)에서, 등록 절차 동안, AMF(604)는 UDR/UDM(606)으로부터 가입 프로파일을 수신한다. UDM/UDR(606)은 UE(602)가 보행자 UE로서 PC5를 통한 V2X 통신에 대해 허가된다는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가입 프로파일을 포함한다(614).
AMF(604)는 UE(602)가 보행자 UE로서 PC5를 통한 V2X 통신에 대해 허가된다는 것을 가입 제공으로부터 결정한다(616).
또한, AMF(604)는 PC5를 통해 요구되는 DRX 구성을 결정한다(618). 또한, AMF(604)는 동일한 트래픽 영역에 등록된 모든 UE들이 동일한 DRX 구성을 수신하는 것을 보장한다.
AMF(604)로부터 UE(602)로 전송되는 제3 통신(620)에서, AMF(604)는 UE(602)에 전송되는 등록 수락 메시지에서 PC5를 통한 DRX 구성을 제공한다.
수신된 DRX 구성에 기반하여, UE(602)는 활성 시간 및 비활성 시간을 결정한다(622). UE(602)는 활성 시간 동안에만 PC5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들을 전송 및/또는 청취한다. 또한, UE(602)의 액세스 계층("AS") 계층은 PC5에 대한 활성 시간 및 비활성 시간을 구성한다. UE(602)에서의 AS 계층은 비활성 시간 동안 V2X 메시지들을 전송 또는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이것은 브로드캐스트, 그룹캐스트, 및 유니캐스트 전송들에 적용될 수 있다.
UE(602)의 AS 계층은 어느 시간 간격에서 V2X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는지에 관해 상위 계층들에 통지할 수 있다(624). 또한, UE(602)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QoS 요건들을 갖는 PC5를 통한 사이드링크 통신을 통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요청한다(626). 또한, UE(602)는 구성된 DRX가 QoS 요건들을 지원할 수 없다고 결정하고(628) 요구되는 QoS를 지원하기 위해 구성된 DRX에서의 추가적인 오프셋을 결정한다. UE(602)는 임의의 V2X 서비스를 위해 PC5를 통한 모든 사이드링크 통신들에 대해 DRX를 적용한다(630). 일단 UE(602)가 요구되는 DRX를 결정하면, UE(602)는 유니캐스트 시그널링을 통해 동일한 V2X 애플리케이션 및 V2X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다른 UE들과 DRX를 교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는 2개의 UE가 유니캐스트 링크를 통해 PC5를 통한 사이드링크 통신들 동안 QoS 요건들을 교환할 때 상이한 DRX 구성이 요구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도 7에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도 7은 PC5를 통한 유니캐스트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UE들 사이의 DRX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네트워크 통신(700) 도면이다. 네트워크 통신들(700)은 제1 UE(702)(예를 들어, 보행자 UE)와 제2 UE(704)(예를 들어, 보행자 UE)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도시된 네트워크 통신들(700) 각각은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성들에서, 제1 UE(702)와 제2 UE(704) 사이에서 전송되는 제1 통신(706)에서, 수신된 DRX 구성에 기반하여, 제1 UE(702) 및 제2 UE(704)는 활성 시간 및 비활성 시간을 결정한다. 제1 UE(702) 및 제2 UE(704)는 활성 시간 동안에만 PC5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들을 전송 및/또는 청취한다.
제1 UE(702)와 제2 UE(704) 사이에서 전송되는 제2 통신(708)에서, 각각의 UE의 AS 계층은 이용되는 활성 시간 및 비활성 시간을 상위 계층들에 통지할 수 있다.
제1 UE(702)와 제2 UE(704) 사이에서 전송되는 제3 통신(710)에서, 제1 UE(702)가 제2 UE(704)와 PC5를 통해 유니캐스트 세션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면, 제1 UE(702)는 활성 시간 기간 동안 유니캐스트 접속을 확립한다. 보안 연관 동안, 제1 UE(702) 및 제2 UE(704) 둘 다는 QoS 요건들 및 연관된 DRX 구성을 결정한다.
제1 UE(702) 및 제2 UE(704) 둘 다는 협상된 DRX를 이용한다(712). 유니캐스트 세션이 종료되면, 제1 UE(702) 및 제2 UE(704)는 디폴트 DRX로 폴백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DRX 구성은 PCF로부터 NAS를 통해 제공된다. PCF는 프로비저닝된 V2X 구성 정보 내에서 보행자 UE들에 의해 이용되는 V2X 서비스들에 대해 PC5를 통해 디폴트 DRX를 제공한다. V2X 구성 정보는, 1) (예를 들어, PSID 또는 ITS-AID에 의해 식별되는) 보행자 UE들에 대한 V2X 서비스의 디폴트 DRX 구성으로의 매핑; 2) QoS 요건(예를 들어, QoS 클래스, 패킷 지연 예산("PDB") 등)마다의 DRX 구성의 매핑 - 일 실시예에서, QoS 요건마다 디폴트 DRX 구성 및 추가적인 오프셋이 있을 수 있음 -; 및/또는 3) 캐스트 유형(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마다의 DRX 구성의 매핑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이 PC5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을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경우, UE는 DRX를 결정하기 위해 V2X 구성 내의 DRX 구성을 이용한다. 애플리케이션이 특정 QoS 요건들을 가지면, UE는 수신된 DRX 구성에 기반하여 추가적인 오프셋을 결정한다. PCF로부터의 DRX 구성을 UE에 제공하기 위한 절차가 도 8에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도 8은 NAS(예를 들어, PCF 기반)를 통한 DRX 구성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네트워크 통신(800) 도면이다. 네트워크 통신들(800)은 제1 UE(802)(예를 들어, 보행자 UE), 제2 UE(804)(예를 들어, 보행자 UE), RAN(806), AMF(808), UDM/UDR(810), 및 PCF(812)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도시된 네트워크 통신들(800) 각각은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UE(804)로부터 AMF(808)로 전송되는 제1 통신(814)에서 그리고/또는 제1 UE(802)로부터 AMF(808)로 전송되는 제2 통신(816)에서, 제1 UE(802) 및 제2 UE(804)는 등록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표준 인증 절차들을 이용하여 3GPP 네트워크에 등록한다. 제1 UE(802) 및 제2 UE(804)는 제1 UE(802) 및 제2 UE(804)가 V2X 가능하다는 표시를 등록 요청에 포함시킨다.
AMF(808)는 AUSF 선택, 인증 및 보안을 수행한다(818).
AMF(808)와 UDM/UDR(810) 사이에서 전송되는 제3 통신(820)에서, 등록 절차 동안, AMF(808)는 UDR/UDM(810)으로부터 가입 프로파일을 수신한다. UDM/UDR(810)은 UE들이 보행자 UE들로서 PC5를 통한 V2X 통신에 대해 허가된다는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가입 프로파일을 포함한다(822).
AMF(808)는 UE들이 보행자 UE들로서 PC5를 통한 V2X 통신에 대해 허가된다는 것을 가입 제공으로부터 결정하고(824), PCF(812)를 선택한다.
AMF(808)와 PCF(812) 사이에서 전송되는 제4 통신(826)에서, AMF(808)는 V2X 능력 표시를 포함하는 UE 정책 연관을 PCF(812)와 확립한다.
AMF(808)로부터 제2 UE(804)로 전송되는 제5 통신(828)에서 그리고/또는 AMF(808)로부터 제1 UE(802)로 전송되는 제6 통신(830)에서, AMF(808)는 등록 수락 메시지로 UE들과의 등록을 완료한다.
PCF(812)는 UDM/UDR(810)에 의해 제공되는 가입 정보에 기반하여 V2X 구성을 결정한다(832). PCF(812)는 PC5를 통한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DRX 구성을 V2X 구성에 포함시킨다.
PCF(812)로부터 제1 UE(802)로 전송되는 제7 통신(834)에서 그리고/또는 PCF(812)로부터 제2 UE(804)로 전송되는 제8 통신(836)에서, PCF(812)는 투명한 UE 구성 업데이트를 통해 UE 정책 전달을 이용하여 V2X 구성을 UE들에 제공한다.
수신된 DRX 구성 및 V2X 애플리케이션의 요건들(예를 들어, QoS 요건들, 애플리케이션 주기성)에 기반하여, 제1 UE(802) 및 제2 UE(806)는 활성 시간 및 비활성 시간을 결정한다(838). 제1 UE(802) 및 제2 UE(806)는 활성 시간 동안에만 (예를 들어, PC5를 통한 DRX 구성에 따라) 보행자들에 의해 이용되는 특정 V2X 서비스들에 대해 PC5를 통해 V2X 메시지들을 전송 및/또는 청취한다.
제2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 계층 DRX 구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메시지 주기성 및 QoS 요건들은 UE의 상위 계층들로부터 V2X 계층으로 제공된다. V2X 계층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신되는 DRX 구성 및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의 요건들에 기반하여 최상의 DRX 구성을 결정한다.
제3 실시예에서, 중계 UE를 통한 동적 DRX 동기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에서, PC5를 통한 DRX는 PC5를 통한 사이드링크 통신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V2X 서비스의 DRX 구성 동기화를 지원하는 UE(예를 들어, 'DRX 동기화' UE 및/또는 중계 UE로서의 이 UE)와 동기화된다. DRX 동기화 UE는 PC5 및/또는 Uu를 통한 사이드링크 통신들을 지원하는 RSU일 수 있다. DRX 동기화 UE는 자신이 지원하는(예를 들어, PSID 또는 ITS-AID에 의해 식별되는 보행자 서비스를 위한 V2X 통신을 지원하는) V2X 서비스들의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을 통해 광고한다. UE는 또한 DRX 동기화가 하나 이상의 V2X 서비스에 대해 지원되는 것을 추가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DRX 동기화 UE에 의해 광고되는 서비스들에 관심 있는 UE들은 UE들의 활성 V2X 서비스들에 기반하여 DRX 동기화 정보를 이용하여 유니캐스트 접속을 확립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중계 UE 또는 DRX 동기화 UE는 보행자 UE에 대한 서비스 유형마다 이용될 DRX 구성을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고, 보행자 UE는 DRX 구성을 이용하여 다른 보행자 UE들에 메시지들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DRX 동기화 UE는 DRX 동기화 UE가 광고하는 서비스들에 관심 있는 모든 UE들에 대해 동일한 DRX 구성을 유지하고 DRX 동기화 UE와 유니캐스트 접속을 확립한 각각의 UE의 QoS 요건들에 기반하여 모든 UE들에 대한 DRX 구성을 업데이트한다.
도 9는 중계 UE(예를 들어, RSU)를 통한 DRX 구성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네트워크 통신(900) 도면이다. 네트워크 통신들(900)은 제1 UE(902)(예를 들어, 보행자 UE), 제2 UE(904)(예를 들어, 보행자 UE), 및 중계 UE(906)(예를 들어, DRX 동기화 UE)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도시된 네트워크 통신들(900) 각각은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계 UE(906)로부터 제2 UE(904)로 전송되는 제1 통신(908)에서 그리고/또는 중계 UE(906)로부터 제1 UE(902)로 전송되는 제2 통신(910)에서, DRX 동기화 UE의 역할을 하는 중계 UE(906)는 제1 UE(902) 및 제2 UE(904)로의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을 통해 하나 이상의 V2X 서비스의 DRX 동기화에 대한 지원을 광고한다.
제1 UE(902)는 제1 통신(908)의 '목적지 계층-2 ID'에 기반하여, PC5 기반 RSU와의 유니캐스트 접속을 확립하기로 결정한다(912).
제1 UE(902)로부터 중계 UE(906)로 전송되는 제2 통신(914)에서, 제1 UE(902)는 소스 사용자 정보, 및/또는 (예를 들어, V2X 서비스 정보 내의) 요청된 V2X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직접 통신 요청을 중계 UE(906)에 전송한다.
제1 UE(902)와 중계 UE(906) 사이에서 전송되는 잠재적인 제3 통신(916)에서, 제1 UE(902)와 중계 UE(906)(예를 들어, RSU 기반 PC5) 사이에 보안 연관이 확립된다. 보안 연관 동안, 제1 UE(902)는 그 QoS 요건들을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UE(902)는 그 현재의 DRX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중계 UE(906)는 요구되는 DRX 구성을 결정하고 제1 UE(902)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중계 UE(906)로부터 제1 UE(902)로 전송되는 제4 통신(918)에서, 보안 연관이 완료되면, 중계 UE(906)는 직접 통신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UE(904)는 단계들(912 내지 918)을 통해 중계 UE(906)와의 유니캐스트 접속을 확립한다(920).
중계 UE(906)가 DRX 구성이 변경되었다고 결정하면(922), 중계 UE는 서비스들에 대한 새로운 DRX 구성으로 모든 UE들을 업데이트한다.
중계 UE(906)로부터 제1 UE(902)로 전송되는 선택적인 제5 통신(924)에서, 중계 UE(906)는 유니캐스트 접속을 갖는 모든 UE들에 대한 링크 수정 요청의 전송을 개시하고 업데이트된 DRX 구성(예를 들어, V2X 서비스 정보, DRX 정보)을 제공한다.
제1 UE(902)로부터 중계 UE(906)로 전송되는 선택적인 제6 통신(926)에서, 제1 UE(902)는 링크 수정 확인응답을 전송한다.
UE들은 중계 UE(906)에 의해 광고되는 V2X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모든 V2X 통신에 대해 구성된 DRX를 적용한다(928, 930).
도 10은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위한 방법(1000)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1000)은 원격 유닛(102) 등의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1000)은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프로세서, 예를 들어,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GPU, 보조 처리 유닛, FPGA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방법(1000)은 제1 사용자 장비에서 제1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1002)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1000)은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에 대한 서비스 품질 요건들을 수신하는 단계(1004)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1000)은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그리고 서비스 품질 요건들에 기반하여 불연속 수신 통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1006)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방법(1000)은 불연속 수신 통신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들을 전송 및 수신하는 단계(1008)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는 정책 제어 기능으로부터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그리고 서비스 품질 요건들에 기반하여 불연속 수신 통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서비스 품질 요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에 대한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는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 내에 포함된 서비스 품질 요건들에 대한 오프셋 파라미터의 매핑에 기반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에 대한 서비스 품질 요건들을 수신하는 단계는 제2 사용자 장비로부터 서비스 품질 요건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불연속 수신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불연속 수신 통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활성 시간 및 비활성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비활성 시간은, 제1 사용자 장비가 휴면 상태에 있고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 메시지들을 전송하지 않으며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 메시지들을 청취하지 않는 시간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는 디폴트 불연속 수신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는 디폴트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디폴트 불연속 수신 통신으로 폴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폴트 불연속 수신 구성은 차량 대 사물 서비스 유형마다의 구성의 매핑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디폴트 불연속 수신 구성은 서비스 품질 요건마다의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의 매핑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디폴트 불연속 수신 구성은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그룹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또는 유니캐스트 전송마다의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의 매핑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들을 전송 및 수신하는 단계는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사용자 장비와의 통신들을 전송 및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들은 Uu 인터페이스를 통한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포함한다.
도 11은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위한 방법(1100)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1100)은 네트워크 유닛(104)과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1100)은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프로세서, 예를 들어,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GPU, 보조 처리 유닛, FPGA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방법(1100)은 정책 제어 기능에서 제1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응하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정책 연관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1102)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1100)은 사용자 장비에 대한 가입 프로파일을 획득하는 단계(1104)를 포함한다. 가입 프로파일은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에 대한 디폴트 불연속 수신 구성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1100)은 제1 사용자 장비에 대해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들을 위한 구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1106)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방법(1100)은 제1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비-액세스 계층 제어 평면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구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1108)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제1 사용자 장비에서 제1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에 대한 서비스 품질 요건들을 수신하는 단계;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그리고 서비스 품질 요건들에 기반하여 불연속 수신 통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불연속 수신 통신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들을 전송 및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는 정책 제어 기능으로부터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그리고 서비스 품질 요건들에 기반하여 불연속 수신 통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서비스 품질 요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에 대한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는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 내에 포함된 서비스 품질 요건들에 대한 오프셋 파라미터의 매핑에 기반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에 대한 서비스 품질 요건들을 수신하는 단계는 제2 사용자 장비로부터 서비스 품질 요건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불연속 수신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불연속 수신 통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활성 시간 및 비활성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비활성 시간은, 제1 사용자 장비가 휴면 상태에 있고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 메시지들을 전송하지 않으며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 메시지들을 청취하지 않는 시간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는 디폴트 불연속 수신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는 디폴트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디폴트 불연속 수신 통신으로 폴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폴트 불연속 수신 구성은 차량 대 사물 서비스 유형마다의 구성의 매핑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디폴트 불연속 수신 구성은 서비스 품질 요건마다의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의 매핑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디폴트 불연속 수신 구성은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그룹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또는 유니캐스트 전송마다의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의 매핑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들을 전송 및 수신하는 단계는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사용자 장비와의 통신들을 전송 및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들은 Uu 인터페이스를 통한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는 제1 사용자 장비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수신기; 프로세서; 및 전송기를 더 포함하며, 수신기는, 제1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고;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에 대한 서비스 품질 요건들을 수신하고; 프로세서는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그리고 서비스 품질 요건들에 기반하여 불연속 수신 통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고; 불연속 수신 통신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기가 통신들을 전송하고 수신기가 통신들을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신기가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것은 수신기가 정책 제어 기능으로부터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가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그리고 서비스 품질 요건들에 기반하여 불연속 수신 통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것은 프로세서가 서비스 품질 요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에 대한 오프셋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가 오프셋을 결정하는 것은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 내에 포함된 서비스 품질 요건들에 대한 오프셋 파라미터의 매핑에 기반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가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에 대한 서비스 품질 요건들을 수신하는 것은 수신기가 제2 사용자 장비로부터 서비스 품질 요건들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가 불연속 수신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불연속 수신 통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것은 프로세서가 활성 시간 및 비활성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비활성 시간은, 제1 사용자 장비가 휴면 상태에 있고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 메시지들을 전송하지 않으며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 메시지들을 청취하지 않는 시간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수신기가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것은 수신기가 디폴트 불연속 수신 구성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는 디폴트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디폴트 불연속 수신 통신으로 폴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폴트 불연속 수신 구성은 차량 대 사물 서비스 유형마다의 구성의 매핑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디폴트 불연속 수신 구성은 서비스 품질 요건마다의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의 매핑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디폴트 불연속 수신 구성은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그룹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또는 유니캐스트 전송마다의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의 매핑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기가 통신들을 전송하고 수신기가 통신들을 수신하며,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기가 제2 사용자 장비와의 통신들을 전송하고 수신기가 제2 사용자 장비와의 통신들을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들은 Uu 인터페이스를 통한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정책 제어 기능에서 제1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응하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정책 연관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장비에 대한 가입 프로파일을 획득하는 단계 - 가입 프로파일은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에 대한 디폴트 불연속 수신 구성을 포함함 -; 제1 사용자 장비에 대해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들을 위한 구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비-액세스 계층 제어 평면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구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는 정책 및 제어 기능을 포함한다. 이 장치는 수신기; 프로세서; 및 전송기를 더 포함하며, 수신기는 제1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응하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정책 연관 요청을 수신하고; 프로세서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가입 프로파일을 획득하고 - 가입 프로파일은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에 대한 디폴트 불연속 수신 구성을 포함함 -; 제1 사용자 장비에 대해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들을 위한 구성 정보를 결정하고; 전송기는 제1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비-액세스 계층 제어 평면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구성 정보를 전송한다.
실시예들은 다른 특정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들에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만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보다는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표시된다. 청구항들의 등가의 의미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경들은 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제1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수신기;
    프로세서; 및
    전송기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기는,
    제1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discontinuous reception configuration parameters)을 수신하고;
    상기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에 대한 서비스 품질 요건들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그리고 상기 서비스 품질 요건들에 기반하여 불연속 수신 통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고;
    상기 불연속 수신 통신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송기가 통신들을 전송하고 상기 수신기가 통신들을 수신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가 상기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것은 상기 수신기가 정책 제어 기능으로부터 상기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그리고 상기 서비스 품질 요건들에 기반하여 상기 불연속 수신 통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서비스 품질 요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상기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에 대한 오프셋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오프셋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 내에 포함된 상기 서비스 품질 요건들에 대한 오프셋 파라미터의 매핑에 기반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가 상기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에 대한 상기 서비스 품질 요건들을 수신하는 것은 상기 수신기가 제2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서비스 품질 요건들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불연속 수신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상기 불연속 수신 통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프로세서가 활성 시간 및 비활성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시간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휴면 상태에 있고 상기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 메시지들을 전송하지 않으며 상기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 메시지들을 청취하지 않는 시간을 포함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가 상기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것은 상기 수신기가 디폴트 불연속 수신 구성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디폴트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디폴트 불연속 수신 통신으로 폴백하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불연속 수신 구성은 차량 대 사물 서비스 유형마다의 구성의 매핑을 포함하는,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불연속 수신 구성은 서비스 품질 요건마다의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의 매핑을 포함하는,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불연속 수신 구성은 상기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그룹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또는 유니캐스트 전송마다의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의 매핑을 포함하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송기가 통신들을 전송하고 상기 수신기가 통신들을 수신하며,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송기가 제2 사용자 장비와의 통신들을 전송하고 상기 수신기가 제2 사용자 장비와의 통신들을 수신하는,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들은 Uu 인터페이스를 통한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포함하는, 장치.
  15. 정책 및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수신기;
    프로세서; 및
    전송기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기는 제1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응하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정책 연관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한 가입 프로파일을 획득하고 - 상기 가입 프로파일은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에 대한 디폴트 불연속 수신 구성을 포함함 -;
    제1 사용자 장비에 대해 상기 제2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들을 위한 구성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전송기는 상기 제1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비-액세스 계층 제어 평면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상기 구성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KR1020237000943A 2020-07-13 2021-07-10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 KR202300381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51184P 2020-07-13 2020-07-13
US202063051217P 2020-07-13 2020-07-13
US202063051233P 2020-07-13 2020-07-13
US202063051207P 2020-07-13 2020-07-13
US63/051,217 2020-07-13
US63/051,207 2020-07-13
US63/051,233 2020-07-13
US63/051,184 2020-07-13
PCT/IB2021/056211 WO2022013700A1 (en) 2020-07-13 2021-07-10 Discontinuous reception configuration parameters for commun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192A true KR20230038192A (ko) 2023-03-17

Family

ID=769590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0943A KR20230038192A (ko) 2020-07-13 2021-07-10 통신을 위한 불연속 수신 구성 파라미터들
KR1020237001126A KR20230038199A (ko) 2020-07-13 2021-07-10 사이드링크 불연속 수신 구성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126A KR20230038199A (ko) 2020-07-13 2021-07-10 사이드링크 불연속 수신 구성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4) US20230276527A1 (ko)
EP (4) EP4179795A2 (ko)
JP (2) JP2023534266A (ko)
KR (2) KR20230038192A (ko)
CN (4) CN115804240A (ko)
AU (1) AU2021307585A1 (ko)
BR (3) BR112023000651A2 (ko)
CA (2) CA3182835A1 (ko)
MX (2) MX2023000592A (ko)
WO (4) WO202201369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7395A1 (zh) * 2020-10-15 2022-04-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侧行链路的传输方法和终端
WO2022086271A1 (ko) * 2020-10-22 2022-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에서 단말-간 조정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20225297A1 (en) * 2021-01-13 2022-07-1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idelink control signaling
US20220295408A1 (en) * 2021-03-15 2022-09-15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aving in sidelink
US11889497B2 (en) * 2021-07-28 2024-01-30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sidelink communications
US11576122B1 (en) * 2021-08-05 2023-02-07 Qualcomm Incorporated Sidelink discontinuous reception (DRX) support indication and detection
US20230073478A1 (en) * 2021-09-06 2023-03-09 Qualcomm Incorporated Discontinuous reception (drx) configuration for sidelink communications by a user equipment (u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6011A1 (en) * 2010-11-15 2012-05-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anaging communications across a wireless network
WO2016089294A1 (en) * 2014-12-02 2016-06-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ake-up for d2d communication
EP3466161B1 (en) * 2016-05-24 2023-04-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discontinuous reception mode in a wireless network
CN109479189B (zh) * 2016-07-21 2022-04-05 三星电子株式会社 设备到设备(d2d)通信中通过侧链路发现用户设备(ue)的系统和方法
CN108307486A (zh) * 2016-08-11 2018-07-20 索尼公司 用于网络控制端和网络节点的电子设备和方法
CN116709271A (zh) * 2017-03-24 2023-09-05 苹果公司 用于机器类型通信和窄带物联网设备的唤醒信号
US11218964B2 (en) * 2017-04-26 2022-01-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wake-up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2740764A (zh) * 2018-09-17 2021-04-30 苹果公司 用于功率节省的信令的系统、方法和设备
US20220256464A1 (en) * 2019-07-29 2022-08-11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Sidelink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79795A2 (en) 2023-05-17
US20230262738A1 (en) 2023-08-17
WO2022013699A3 (en) 2022-02-24
WO2022013698A3 (en) 2022-02-24
MX2023000591A (es) 2023-02-13
WO2022013699A2 (en) 2022-01-20
US20230262601A1 (en) 2023-08-17
BR112023000610A2 (pt) 2023-01-31
WO2022013698A2 (en) 2022-01-20
EP4179794A1 (en) 2023-05-17
EP4179836A2 (en) 2023-05-17
CN115918007A (zh) 2023-04-04
BR112023000651A2 (pt) 2023-01-31
WO2022013700A1 (en) 2022-01-20
JP2023535892A (ja) 2023-08-22
US20230276364A1 (en) 2023-08-31
MX2023000592A (es) 2023-02-13
CA3182835A1 (en) 2022-01-20
AU2021307585A1 (en) 2023-03-09
WO2022013717A3 (en) 2022-02-24
JP2023534266A (ja) 2023-08-08
CN115769638A (zh) 2023-03-07
US20230276527A1 (en) 2023-08-31
WO2022013717A2 (en) 2022-01-20
EP4179669A2 (en) 2023-05-17
CN115769663A (zh) 2023-03-07
BR112023000507A2 (pt) 2023-01-31
CA3182840A1 (en) 2022-01-20
KR20230038199A (ko) 2023-03-17
CN115804240A (zh) 202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76527A1 (en) Discontinuous reception configuration parameters for communication
US20180249530A1 (en) Supportting network slic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136889A1 (en) Target network slice information for target network slices
US20230299897A1 (en) Configuring a sidelink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WO2022184277A1 (en) Traffic communication pattern mapping
US20230254736A1 (en) System information block sizing
WO2023061616A1 (en) Relaying data volume information
WO2023001393A1 (en) Model training using federated learning
US20240147427A1 (en) Paging occasion monitoring
US20230276285A1 (en) Disabling analytics information of a network analytics function
US20230300729A1 (en) User equipment radio capabilities
US20240147235A1 (en) Network slice admission control
WO2022208363A1 (en) Including a serving cell identity in a discovery message
WO2023078576A1 (en) Multi-access protocol data unit session access type usage
CA3204558A1 (en) Sidelink discontinuous reception configuration
WO2023156915A1 (en) Configuring quality of experience measurements
CA3214039A1 (en) Allowing connectivity between a uav and a uav-c
WO2022018587A1 (en) Radio resource control inactive state sidelink commun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