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187U - 메모리 카드 - Google Patents

메모리 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187U
KR20190002187U KR2020190000653U KR20190000653U KR20190002187U KR 20190002187 U KR20190002187 U KR 20190002187U KR 2020190000653 U KR2020190000653 U KR 2020190000653U KR 20190000653 U KR20190000653 U KR 20190000653U KR 20190002187 U KR20190002187 U KR 201900021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ard
main body
protrusion
projec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6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781Y1 (ko
Inventor
이시바시 카주노리
Original Assignee
피지에스, 인코포레이티드.
배홍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지에스, 인코포레이티드., 배홍찬 filed Critical 피지에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021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1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7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3Special arrangements for circuits, e.g. for protecting identification code in memory
    • G06K19/0730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 G06K19/07318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by hindering electromagnetic reading or writing
    • G06K19/07327Passive means, e.g. Faraday c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메모리 카드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는 예상치 못한 돌발적인 힘으로 본체에서 돌기부가 쉽게 접히지 않고, 게다가 의도적으로 돌기부를 접으려고 하는 경우에 본체에서 돌기부를 쉽고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재기록 금지를 영구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를 제공하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는 본체(10)에는 데이터 재기록이 가능하다고 인식되는 위치에 돌기부(11)가 설치되며, 돌기부(11)의 단변 일부와 본체(10)를 연결하는 제1 접속부(12a) 및 돌기부(11)의 장변 일부와 본체(10)를 연결하는 제2 접속부(1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메모리 카드{MEMORY CARD}
본 고안은 반도체 소자가 내장된 메모리 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쉽고 확실하게 재기록(rewritable)을 금지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에 관한 것이다.
[선행 기술의 설명]
종래의 메모리 카드는 본체의 특정 위치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특정 위치에 돌기부가 형성됨으로써 데이터의 재기록이 가능했으며, 그 특정 위치에 돌기부가 없는 경우에는 데이터의 재기록이 금지되는 것이었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메모리 카드에서는 본체와 돌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돌기부 일체형 타입)과 돌기부가 슬라이드(slide)하는 것(돌기부 슬라이드 타입)이 있었다.
[돌기부 일체형 타입]
종래의 메모리 카드로 본체에 돌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 일체형 타입에서는 돌기부의 위치는 고정이고, 그 위치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데이터 기록 장치가 메모리 카드에 데이터를 재기록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돌기부 슬라이드 타입]
또한, 종래의 돌기부를 슬라이드시키는 돌기부 슬라이드 타입의 메모리 카드는 돌기부를 특정 위치에 설정함으로써, 데이터 기록 장치가 데이터 재기록이 가능하다고 인식하고, 돌기부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데이터 재기록을 금지로 인식하는 것이다.
돌기부 일체형 타입의 종래 메모리 카드에서는 돌기부가 본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데이터의 재기록이 상시 가능하게 인식될 수 있다.
돌기부 일체형 타입의 메모리 카드를 데이터 재기록 금지로 하려면 돌기부를 제거할 필요가 있지만, 돌기부를 접는 것은 예상한(상정한)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무리하게 돌기부를 접으려고 하면, 본체까지도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돌기부 슬라이드 타입에서는 데이터의 재기록 금지 위치에 돌기부를 슬라이드할 수 있지만, 데이터의 재기록 가능 위치에 돌기부를 슬라이드시켜 되돌리면, 데이터의 재기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데이터의 재기록을 영구적으로 금지할 수 있는 구조는 아니었다.
또한, 관련된 선행 기술로서는 일본공개특허 제2003-006603호 공보 「IC카드 및 이 IC카드를 가지는 정보 처리 장치」[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제2004-252672호 공보 「메모리카드용 어댑터 및 그 제조 방법」[특허문헌 2], 일본실용신안 제3202055호 공보 「메모리 카드 및 케이스」[특허문헌 3]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IC카드를 PC 등에 장착할 때 돌출부에 걸리는 굽힘력을 놓치는 구조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소형 메모리 카드를 한층 큰 대형 메모리카드용 소켓에 접속하기 위한 구조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인용문헌) 3에는 메모리 카드에 있어서, 데이터의 재기록이 가능하다고 인식되는 위치에 설치된 돌기부를 접기 쉽게 하여 재기록 불가능 상태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구조가 나타나 있다.
[특허문헌 1]일본공개특허 제2003-006603호, "IC 카드 및 이 IC 카드를 갖는 정보 처리 장치" [특허문헌 2]일본공개특허 제2004-252672호, "메모리 카드용 어댑터 및 그 제조 방법" [특허문헌 3]일본실용신안 제3202055호, "메모리 카드 및 케이스"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메모리 카드는 의도하여 돌기부를 접으려고 했을 경우에는 확실하고 쉽게 돌기부를 접을 수 있고, 예상치 못한 돌발적인 힘으로는 돌기부가 쉽게 접히지 않는 상반되는 과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메모리 카드의 데이터 재기록(rewritable, 쓰기 및 변경) 및 재기록 금지를 제어하는 돌기부를 쉽게 제거하는 것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3에는 메모리 카드 본체와 돌기부가 돌기부의 장변 부분에 접속(연결)되고, 그 접속부에 홈을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그 접속부에 예상치 못한 힘이 가해지면 의도치 않게 돌기부가 접히는 일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정으로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예상치 못한 돌발적인 힘으로는 본체에서 돌기부가 쉽게 접히는 일이 없고, 더욱이 의도하여 돌기부를 접으려고 하는 경우에는 본체에서 돌기부를 쉽고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재기록 금지를 영구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종래 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반도체 소자가 내장된 본체를 가지는 메모리 카드로서, 본체에는 데이터의 재기록(rewritable, 쓰기 및 변경)이 가능하다고 인식되는 위치에 돌기부가 설치되고, 돌기부의 단변 일부와 본체를 연결하는 제1 접속부와 돌기부의 장변 일부와 본체를 연결하는 제2 접속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메모리 카드에 있어서, 본체는 제1 평판과 제2 평판이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고, 돌기부는 제1 평판의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메모리 카드에 있어서, 제1 접속부는 돌기부의 단변 중앙부에 설치되고, 제 2 접속부는 돌기부의 장변에서 제1 접속부의 먼 쪽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메모리 카드는 본체에는 데이터의 재기록이 가능하다고 인식되는 위치에 돌기부가 설치되고, 제1 접속부가 돌기부의 단변 일부와 본체를 연결하며, 제2 접속부가 돌기부의 장변 일부와 본체를 연결하므로, 예상치 못한 돌발적인 힘으로는 본체에서 돌기부가 쉽게 접히지 않지만 의도하고 돌기부를 접는 경우에는 본체에서 돌기부를 쉽고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재기록 금지를 영구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메모리 카드의 표면의 개략을 나타내는 전체도이다.
도 2는 본 메모리 카드의 이면(뒷면)의 개략을 나타내는 전체도이다.
도 3은 본 메모리 카드의 돌기부의 표면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메모리 카드의 돌기부 및 제2 접속부의 단면 설명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형태의 개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는 반도체 소자가 내장된 본체를 가지는 메모리 카드이며, 본체에는 데이터의 재기록이 가능하다고 인식되는 위치에 돌기부가 설치되며, 돌기부의 단변 일부와 본체를 연결하는 제1 접속부 및 돌기부의 장변 일부와 본체를 연결하는 제2 접속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돌발적인 힘으로는 본체에서 돌기부가 쉽게 접히지 않지만 의도하고 돌기부를 접는 경우에는 본체에서 돌기부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재기록 금지를 영구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본 메모리 카드의 구성: 도 1, 도 2]
이어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본 메모리 카드)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메모리 카드의 표면의 개략을 나타내는 전체도이고, 도 2는 본 메모리 카드의 이면(뒷면)의 개략을 나타내는 전체도이다.
본 메모리 카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에서는 본체(10)의 좌측 상단에, 이면(뒷면)에서는 본체(10)의 우측 상단에 재기록 및 재기록 금지를 제어하는 돌기부(11)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돌기부(11)의 위치는 데이터 기록 장치가 재기록이 가능하다고 인식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돌기부(11)를 슬라이드하는 것이 아니라 본체(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돌기부(11)를 본체(10)에서 접어 제거함으로써, 재기록 금지를 인식시키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기록 및 재기록 금지를 인식하는 영역에는 본체(10)의 일부를 자른 노치(notch) 부분(13)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본체(10)에 대해 측면의 일부를 잘라 부족한 오목부(凹)를 포함하는 노치 부분(13)이 있다.
또한, 노치 부분(13)에 돌기부(11)가 들어가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돌기부(11)도 노치 부분(13)에서 재기록이 가능하다고 인식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본 메모리 카드는, 특징 부분으로서, 돌기부(11)와 본체(10)가 제1 접속부(12a)와 제2 접속부(12b)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1 및 제2 접속부(12a, 12b)는 본체(10)에서 돌기부(11)를 접고, 돌기부(11)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메모리 카드의 돌기부의 상세 구성: 도 3]
다음으로, 본 메모리 카드의 돌기부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메모리 카드의 돌기부의 표면 상세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속부(12a)는 본체(10)의 노치 부분(13)의 단변 한쪽과 돌기부(11)의 단변 일부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접속부(12b)는 본체(10)의 노치 부분(13)의 장변과 돌기부(11)의 장변 일부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접속부(12a)가 도 3의 돌기부(11)의 상측 단변의 중앙 부분과 본체(10)의 노치 부분(13)의 상측 단변의 중앙 부분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접속부(12b)가 도 3의 돌기부(11)의 우측 장변의 하측 단부와 본체(10)의 노치 부분(13)의 중앙 부분을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접속부(12a)와 제2 접속부(12b)는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접속부(12a)와 제2 접속부(12b)가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은, 예상치 못한 돌발적인 힘이 돌기부(11)의 상측에 가해진 경우에 제1 접속부(12a)가 파손되어 접히더라도, 제2 접속부(12b)는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돌기부(11)가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예상치 못한 힘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킬 것이다.
또한, 예상치 못한 돌발적인 힘이 돌기부(11)의 하측에 가해진 경우에 제2 접속부(12b)가 파손되어 접히더라도, 제1 접속부(12a)는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는 돌기부(11)가 제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돌기부(11)는 하측에 힘을 가해 제2 접속부(12b)를 접고, 추가로 상측에 힘을 가해 제1 접속부(12a)를 접는 두 가지 동작을 수행하거나, 제1 접속부(12a)를 접고, 제2 접속부(12b)를 접는 두 가지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예상치 못한 힘에 의해 돌기부(11)가 접히지는 않지만, 제1 접속부(12a)와 제2 접속부(12b)의 두 곳을 접음으로써, 쉽고 확실하게 돌기부(11)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예상치 못한 힘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 접속부(12a)는 돌기부(11)의 단변 중앙에 설치하고, 제2 접속부(12b)는 돌기부(11)의 장변 하측 단부에 설치했지만, 제1 접속부(12a)를 돌기부(11)의 단변 좌우 단부에 설치해도 좋고, 제2 접속부(12b)를 돌기부(11)의 장변 중앙부 또는 상측 단부에 설치해도 상관없다.
또한, 제1 및 제2 접속부(12a, 12b)를 각각 한 곳에 연결 했지만 여러 곳에 연결된 구성일 수 있다.
돌기부(11)의 단변 또는 장변의 한쪽에만 접속부가 있을 경우에 비해 예상치 못한 힘에 대한 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메모리 카드의 돌기부 및 제2 접속부의 단면: 도 4]
이어서, 본 메모리 카드의 돌기부 및 제2 접속부의 단면에 대해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메모리 카드의 돌기부 및 제2 접속부의 단면 설명도이다.
본 메모리 카드는 플라스틱의 제1 평판(10a)과 제2 평판(10b)이 접합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반도체를 탑재한 메모리 기판을 내장하고 있다. 제1 평판(10a)은 도 1의 표면에서 상단(표면)의 평면의 평판이고, 제2 평판(10b)은 하단(이면)의 평면의 평판이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11)와 제1 평판(10a)은 제2 접속부(12b)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제1 접속부(12a)를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면은 같은 구성이다. 또한, 돌기부(11), 제1 접속부(12a), 제2 접속부(12b) 및 제1 평판(10a)은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도 4는 제1 접속부(12a)와 제2 접속부(12b)의 두께를 돌기부(11) 및 제1 평판(10a)보다 얇게 형성하여 접기 쉽게 하고 있지만, 접속부의 면적이 작기 때문에 동일한 두께일 수 있다.
또한, 돌기부(11)를 제1 평판(10a)이 아니라 제2 평판(10b)에 연결되도록 형성해도 좋다.
[실시 형태의 효과]
본 메모리 카드에 의하면, 본체(10)에는 데이터의 재기록이 가능하다고 인식되는 위치에 돌기부(11)가 설치되고, 돌기부(11)의 단변 일부와 본체(10)가 제1 접속부(12a)에서 연결되며, 돌기부(11)의 장변 일부와 본체(10)가 제2 접속부(12b)에서 연결되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돌발적인 힘으로는 본체(10)에서 돌기부(11)가 쉽게 접히지 않지만, 의도하고 돌기부(11)를 접는 경우에는 본체(10)에서 돌기부(11)를 쉽고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고, 데이터의 재기록 금지를 영구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메모리 카드에 의하면, 제1 접속부(12a)를 돌기부(11)의 단변 중앙부에 설치하고, 제2 접속부(12b)를 돌기부(11)의 장변에서 제1 접속부(12a)의 먼 쪽의 단부에 설치하며, 양 연결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예상치 못한 힘이 분리된 두 곳의 접속부에 동시에 가해질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예상치 못한 돌발적인 힘으로는 본체에서 돌기부가 쉽게 부러지는 일이 없고, 게다가 의도하고 돌기부를 접으려고 하는 경우에는 본체에서 돌기부를 쉽고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재기록 금지를 영구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 및 케이스에 적합하다.
10: 본체 10a: 제1 평판
10b: 제2 평판 11: 돌기부
12a: 제1 접속부 12b: 제2 접속부
13: 노치 부분

Claims (3)

  1. 반도체 소자가 내장된 본체를 가지는 메모리 카드로서,
    상기 본체에는 데이터 재기록(rewritable)이 가능하다고 인식되는 위치에 돌기부가 설치되며, 상기 돌기부의 단변 일부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제1 접속부 및 상기 돌기부의 장변 일부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제2 접속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1 평판과 제2 평판이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 평판의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돌기부의 단변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돌기부의 장변에서 상기 제1 접속부의 먼 쪽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KR2020190000653U 2018-02-21 2019-02-15 메모리 카드 KR20049278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00601U JP3216078U (ja) 2018-02-21 2018-02-21 メモリカード
JPJP-U-2018-000601 2018-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187U true KR20190002187U (ko) 2019-08-29
KR200492781Y1 KR200492781Y1 (ko) 2020-12-08

Family

ID=62105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653U KR200492781Y1 (ko) 2018-02-21 2019-02-15 메모리 카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216078U (ko)
KR (1) KR20049278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603A (ko) 2001-07-13 2003-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로더의 승하강장치
JP2004252672A (ja) 2003-02-19 2004-09-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メモリカード用アダプ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61696A (ja) * 2010-09-15 2012-03-29 Bandai Co Ltd パーツ供給品
JP3202055U (ja) 2015-10-30 2016-01-14 株式会社Pgs メモリカード及びケース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201741D1 (de) * 1991-03-01 1995-05-04 Inventio Ag In einem Aufzugsschacht verfahrbares Montagegerüst zur Montage von Schachtausrüst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603A (ko) 2001-07-13 2003-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로더의 승하강장치
JP2004252672A (ja) 2003-02-19 2004-09-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メモリカード用アダプ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61696A (ja) * 2010-09-15 2012-03-29 Bandai Co Ltd パーツ供給品
JP3202055U (ja) 2015-10-30 2016-01-14 株式会社Pgs メモリカード及び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16078U (ja) 2018-05-10
KR200492781Y1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0846B2 (en) Bracket and assembly structure for bracket
USRE42410E1 (en) Adapter, memory card, and memory card module
US6264506B1 (en) Card connection adapter
US7713074B2 (en) Portable data storage apparatus with connector retraction
US20080261449A1 (en) Universal serial bus (usb) flash drive housing a slim usb device and having swivel cap functionalities allowing for two locking positions
JP4811369B2 (ja) 携帯電子機器
KR20200127889A (ko) 스마트 카드용 등록 케이스
KR20190002187U (ko) 메모리 카드
KR20230000582U (ko) 폴더블폰 커버
JP4710057B2 (ja) 外すことができるチップカードのアダプタ媒体と媒体の製造法
EP1983474B1 (en) Plastic card provided with electric contacts
US7866562B2 (en) Fixed write-protect seamless memory card
JP3202055U (ja) メモリカード及びケース
US7881063B2 (en) Nonvolatile memory card and configuration conversion adapter
EP3341215B1 (de) Buchartiges dokument, insbesondere identifikationsdokument, mit einem transpondermodul und verfahren zum sichern von daten in einem buchartigen dokument
US9460378B2 (en) Ultra slim card incorporating a USB device
WO2012026871A1 (en) A foldable card with usb plug
US20060255162A1 (en) Data card and data encoded strip
JP5455469B2 (ja) 支持基材付きカード
JP4558439B2 (ja) 小型電子機器
JP6867128B2 (ja) 包装用のスリーブ
JP6105382B2 (ja) ロック構造
JP2003249290A (ja)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
JP4871700B2 (ja) ドアストッパー
KR200295514Y1 (ko) 바인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