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7889A - 스마트 카드용 등록 케이스 - Google Patents

스마트 카드용 등록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7889A
KR20200127889A KR1020200052129A KR20200052129A KR20200127889A KR 20200127889 A KR20200127889 A KR 20200127889A KR 1020200052129 A KR1020200052129 A KR 1020200052129A KR 20200052129 A KR20200052129 A KR 20200052129A KR 20200127889 A KR20200127889 A KR 20200127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ard
envelope
contac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콜라스 프라위츠
패트릭 보방
요엘-얀 퓨레
Original Assignee
아이데미아 아이덴티티 앤드 시큐리티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데미아 아이덴티티 앤드 시큐리티 프랑스 filed Critical 아이데미아 아이덴티티 앤드 시큐리티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200127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3Special arrangements for circuits, e.g. for protecting identification code in memory
    • G06K19/0730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 G06K19/07345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by activating or deactivating at least a part of the circuit on the record carrier, e.g. ON/OFF switches
    • G06K19/0735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by activating or deactivating at least a part of the circuit on the record carrier, e.g. ON/OFF switches by biometrically sensitive means, e.g. fingerprint sensitiv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G06K7/00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the housing being a portable ca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3External electrical conta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4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G06K19/041Constructional details
    • G06K19/042Constructional details the record carrier having a form factor of a credit card and including a small sized disc, e.g. a CD or DV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02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including a batte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being capable of collecting energy from external energy sources, e.g. thermocouples, vibration, electromagnetic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5Mounting details of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G06K7/002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the galvanic contacts of the connector adapted for landing on the contacts of the card upon card inser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0873Details of the card read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16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 sensor or an interface to a sensor
    • G06K19/0718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 sensor or an interface to a sensor the sensor being of the biometric kind, e.g. fingerprint 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G06K7/00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rrect insertion of the card, e.g. end detection switches notifying that the card has been inserted completely and correct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arton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드의 치수들의 엔벨로프형 카드보드 블랭크를 접고 접착함으로써 형성된, 스마트 카드용 반-강성 등록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케이스는 내부 표면의 카드보드 상에 직접 인쇄된 전기 회로를 포함한다. 회로는, 카드가 케이스에 삽입될 때 전원 인터페이스에 연결되고 카드의 전기 접촉부들을 전원 인터페이스에 연결하도록 배열된 접촉 스터드들을 포함한다. 카드의 생체 인식 센서는, 등록을 하지 않을 때 사용자에게 액세스가능하게 유지된다. 관통-개구들은 접촉 스터드 라인들의 양측 상의 카드보드에서 만들어지고 독립적인 가요성 영역들을 형성하는 것을 허용하여, 스터드들과 카드의 전기 접촉부들 사이의 더 나은 접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카드용 등록 케이스{ENROLMENT CASE FOR SMART CARD}
본 발명은 또한 스마트 카드들로서 알려진 집적 회로 카드들에 대한 케이스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많은 스마트 카드들은 지불 또는 운송 서비스들 같은 서비스들에 대한 안전 액세스를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종래에 개인 코드, 일반적으로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코드의 입력을 통해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한 경우, 생체 인식 카드들이라 칭해지는 점점 더 많은 수의 스마트 카드는 이제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해 카드 소지자의 생체 인식 데이터(또는 샘플)를 취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생체 인식 센서(들)를 포함한다.
예컨대, 지문 센서를 갖춘 지불 스마트 카드들이 있다. 자신의 비밀 코드를 표시하는 대신, 카드 소지자는, 카드가 접촉식 지불 단자에 삽입될 때 또는 카드가 비접촉식 지불 단자에 접근될 때 센서 상에 자신의 엄지 손가락을 둔다. 따라서, 카드 소지자는 인증될 수 있다.
생체 인식 카드의 카드 소지자는 일반적으로, 생체 인식 센서에 의해 취득된 새로운 데이터가 인증 목적들을 위해 이후 비교될 참조 데이터로서, 그 자신의 생체 인식 데이터,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지문(들)을 취득하기 위해(또는 등록 단계) 초기(및 일반적으로 고유) 동작으로 진행하여야 한다.
공개물 US 2018/276518호는 특히 도 9에서, 전기 에너지의 소스이고 지문 센서들로 생체 인식 카드들의 이런 등록 단계에 사용가능한 케이스들을 제안한다. 케이스들은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카드의 접촉부들에 대응하는 8 개의 접촉부는 플라스틱 케이싱에 부가되어야 하고 금속 연결 판들은 2 개의 전력 접촉부를 온-보드 셀(on-board cell)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어야 한다. 생체 인식 카드의 등록 모드는 카드의 제1 전력 공급 동안 자동으로 트리거될 수 있다.
이들 케이스는 하기 다양한 이유들 때문에 불만족스럽다: 제조 방법으로 인해 너무 비싸고, 너무 부피가 크고, 환경적으로 손상되고 딱딱하고 부서지기 쉬운 플라스틱의 사용으로 인해 심한 충격들에 너무 취약하고, 금속 연결 판들의 부가를 요구하기 때문에 너무 복잡함. 또한, 이들 제조 방법은 플라스틱의 성형으로 인해 너무 길다.
본 발명은 새로운 타입의 스마트 카드 케이스를 제안함으로써 이들 단점 모두 또는 일부를 극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은 특히, 슬롯을 통해 내부에 스마트 카드를 삽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치수들을 갖는 셀룰로스 섬유 재료로 만들어진 엔벨로프(envelope)로 형성된 스마트 카드용 케이스를 제공하고, 엔벨로프는, 카드가 제1 포지션에 삽입될 때 카드의 전기 접촉부들을 전원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셀룰로스 섬유 재료 상에 직접 퇴적된 전기 회로를 포함한다.
전원 인터페이스는 특히 전기 회로의 일부이다.
셀룰로스, 바람직하게 식물 섬유로 만들어진 재료들은 통상적으로 카드보드(cardboard) 또는 종이이다. 카드가 내부에 삽입될 때 반-강성, 즉, 자체-지지(파단 또는 접힘 없이) 케이스를 획득하기 위해 충분한 평량(grammage)이 취해진다.
셀룰로스 섬유들로 만들어진 지지부 상에 전도성 잉크들을 퇴적하는 많은 기법, 예컨대 잉크-젯 인쇄는 이런 케이스를 빠르고 저비용으로 생산하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감소된 케이스 두께들을 초래한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는 주로 재활용가능한 재료들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사용된 재료의 자연적인 탄성은 케이스가 갑작스럽고 급격한 충격들에 저항하게 한다.
이 케이스는, 참조 생체 인식 데이터의 취득을 허용하도록 스마트 카드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에 생체 인식 스마트 카드의 등록 프로세스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또한 그런 케이스 및 스마트 카드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스마트 카드는 카드의 표면 상에 제공된(예컨대, 표면과 같은 높이) 생체 인식 센서를 갖추며, 생체 인식 센서는, 스마트 카드가 제1 포지션에 삽입될 때 케이스의 외측으로부터 액세스가능하다. 이것은 생체 인식 데이터 취득 단계들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한다.
사용 시, 전원 인터페이스는 케이스 내부의 전기 소스(예컨대, 온보드 셀) 또는 케이스 외부의 전기 소스(예컨대 전력 인터페이스와 커플링되도록 의도된 연결 포트를 갖는 디바이스, 이를테면 USB 포트)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임의적 특징은 종속항들에서 정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 회로는 엔벨로프의 내부 면 상에 퇴적되고, 전원 인터페이스는 엔벨로프의 외부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 회로는 (제1 포지션에) 삽입된 카드와 전기 접촉하기 위해 매트릭스 패턴(즉, 라인들 및 열들)의 하나 이상의 접촉 포지션(들)에 배열된 수개의 접촉 스터드(stud)들을 포함하고, 엔벨로프는 매트릭스 패턴의 2 개의 접촉 포지션 사이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개구를 포함한다. 매트릭스 패턴은 일반적으로 카드의 접촉 패드들의 배열에 대응한다.
스터드들은 회로를 형성하는 전기 트랙에 관하여 추가 두께를 형성한다. 이는 전도성 재료의 액적들일 수 있다.
실제로, 전원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2 개의 스터드는 카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다른 스터드(들)는, 예컨대 등록 루틴의 실행 시 카드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상적으로 LED(Light-Emitting Diode)들, 라우드스피커, 촉각 피드백, 스크린을 형성하는 전기 회로의 컴포넌트들의 활성화를 구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런 배열로, 엔벨로프에서 만들어진 개구에 의해 분리된 접촉 포지션들에 배열된 스터드들은 사용된 재료의 탄성으로 인해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 스터드의 유사한 치수는 카드와 전기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고, 이는 제조 제약들을 감소시킨다(더 큰 허용오차가 허용됨). 결국, 더 나은 전기 접촉이 삽입된 카드로 달성된다.
일 특징에 따르면, 엔벨로프는 접촉 스터드들을 보유하는 매트릭스 패턴의 2 개의 연속적인 행(라인들 또는 열들) 사이에 각각 배열된 복수의 개구를 포함한다. 따라서, 매트릭스 패턴의 연속적인 라인들 또는 열들은 이들 개구에 의해 2 개씩 분리된다. 이들 라인 또는 열은 독립적인 가요성 영역들을 정의한다.
예컨대, 2 개의 세장형 개구는 표준 ISO/IEC 7816-2에 따라 통상적으로 접촉부들(c1-c3 및 c5-c7)에 대등하는 접촉 스터드들을 보유하는 패턴의 3 개의 연속적인 라인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대응하는 스터드들과 카드의 더 나은 접촉을 위해 3 개의 라인의 움직임을 독립적으로 만든다.
일 특징에 따르면, 엔벨로프는 접촉 스터드들을 보유하는 전체 매트릭스 패턴 외부에 배열된 하나 이상(통상적으로 2 개)의 단부 개구(들)를 더 포함한다. 단부 개구들은 상기 복수의 개구에 평행하거나 대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위의 예에서, 3 개의 연속적인 라인의 양 측 상에 제공된 4 개의 세장형 개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3 개 중) 2 개의 외부 라인의 스터드는 엔벨로프의 몸체에 관하여 훨씬 더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다시, 이는 카드와의 전기 접촉을 개선시킨다.
세장형 개구는 동일한 라인의 2 개의 단부 접촉 포지션을 포함하는 길이 이상인 거리에 걸쳐 연장되는 개구일 수 있다.
만들어진 개구들은 동일한 형상들 및 치수들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매트릭스 패턴은 표준 ISO/IEC 78162: 2007에 따라 4 개의 라인 중 2 개의 열로 형성된다. 이 경우, 라인의 2 개의 접촉부의 외부 에지들은 적어도 9.62 mm 떨어진다. 세장형 개구의 길이는 예컨대 실질적으로 카드와 같은 높이의 접촉 영역의 대응하는 길이의 이 값보다 더 크게, 특히 12 내지 20 mm로 제공될 수 있다.
개구의 폭은 부분적으로 0.1 내지 1 mm, 통상적으로 0.3 내지 0.8 mm로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2 개의 상이한 라인의 접촉 포지션들 사이에 제공된 간격, 통상적으로 전술한 표준에서 0.84 mm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 회로는 엔벨로프 상에 퇴적된 하나 이상의 전도성 트랙 부분(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예컨대, LED) 및 임의적인 에너지 소스로 이루어진다. 전기 회로의 이런 간단한 구성은 저비용으로 덜 복잡한 제조를 허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셀룰로스 섬유 재료로 만들어진 엔벨로프가 일 부분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런 부분 또는 "블랭크(blank)"는 필요한 경우 엔벨로프를 형성하기 위해 접혀지고 접착된다. 다시, 이런 배열은 동작들 및 제조 비용을 단순화시킨다.
일 특정 특징에 따르면, 엔벨로프는 카드를 제1 포지션을 향해 안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안내 수단은 엔벨로프의 전면 패널 및 후면 패널을 함께 고정시키는 플랩(flap)들에 의해 형성된다. 플랩들은 통상적으로 패널들 중 하나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특히, 플랩들은 케이스 내로 카드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삽입 슬롯의 측면에 경사진 에지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슬롯(예컨대 엔벨로프의 일 측에 의해 구성됨)을 통해 내부에 스마트 카드를 삽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치수들을 갖는 엔벨로프-형 케이스의 2 개의 면을 형성하도록 의도된 2 개의 인접하고 힌지된 패널을 포함하는, 카드 케이스에 대해 셀룰로스 섬유 재료로 만들어진 블랭크에 관한 것이고, 전기 회로는 적어도 상기 패널 중 제1 패널의 셀룰로스 섬유 재료 상에 직접 퇴적되고, 전기 회로는, 카드가 엔벨로프-형 케이스의 제1 포지션에 삽입될 때 카드의 전기 접촉부들을 전원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배열된 접촉 스터드들을 제1 패널 상에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접촉 스터드들은 제1 포지션에 삽입된 카드와 전기 접촉하기 위해 매트릭스 패턴의 하나 이상의 접촉 포지션(들)에 배열되고, 제1 패널은 매트릭스 패턴의 2 개의 접촉 포지션 사이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1 패널은 접촉 스터드들을 보유하는 매트릭스 패턴의 2 개의 연속적인 행(라인들 또는 열들) 사이에 각각 배열된 복수의 개구, 및 상기 복수의 개구에 평행하고(대안적으로 수직임) 접촉 스터드들을 보유하는 전체 매트릭스 패턴 외부에 배열된 2 개의 단부 개구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수개의 조립된 조각들로 제조된 엔벨로프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스마트 카드용 케이스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슬롯(예컨대 엔벨로프의 일 측에 의해 구성됨)을 통해 내부에 스마트 카드를 삽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치수들을 갖는 엔벨로프-형 케이스의 2 개의 면을 형성하도록 의도된 2 개의 인접하고 힌지된 패널을 포함하는, 셀룰로스 섬유 재료로 만들어진 블랭크를 형성하는 단계 - 전기 회로는 적어도 상기 패널 중 제1 패널의 셀룰로스 섬유 재료 상에 직접 퇴적되고, 전기 회로는 전원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접촉 스터드들을 제1 패널 상에 포함함 -,
카드가 엔벨로프-형 엔벨로프의 제1 포지션에 삽입될 때 접촉 스터드들이 카드의 전기 접촉부들을 전원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블랭크를 접고 접착함으로써 엔벨로프-형 케이스를 획득하는 단계.
블랭크는 스마트 카드 케이스에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엘리먼트들에 관련된 수단, 통상적으로 케이스 블랭크를 폐쇄하는 것을 허용하고 삽입 동안 카드를 안내/접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역할을 할 수 있는 플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임의의 제한 없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예시하는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예시된 이하의 설명에서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스마트 카드의 제1 예를 예시한다.
도 2는 스마트 카드의 제2 예를 예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에 따른 스마트 카드들에 대한 등록 케이스를 예시한다.
도 4는 내부에 도입된 스마트 카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등록 케이스의 내부 면상에 직접 퇴적된 전기 회로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4a는 스마트 카드의 접촉 패드들과 도 4의 전기 회로의 스터드 사이의 전기 접촉을 예시한다.
도 5a는 등록 케이스의 제1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5b는 등록 케이스의 제2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5c는 등록 케이스의 제3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5d는 등록 케이스의 제4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5e는 등록 케이스의 제5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6a는 등록 케이스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를 위한 블랭크의 컷-아웃(cut-out)을 예시한다.
도 6b는 등록 케이스의 제조를 위한 도 6a의 블랭크 상에 전도성 트랙 부분들의 인쇄를 예시한다.
도 6c는 도 5c의 구성의 등록 케이스의 제조를 위한 도 6b의 블랭크의 개구들의 생성을 예시한다.
도 6d는 등록 케이스의 제조를 위해 도 6c의 블랭크 상에 전자 컴포넌트들을 설치하고, 이어서 이의 접힘 및 접착을 예시한다.
도 7은 케이스의 면들을 형성하는 패널들 사이의 힌지에 안내 플랩 없는 도 5c의 등록 케이스의 일 변형을 예시한다.
도 8a는 케이스의 면들을 형성하는 패널들 사이의 힌지에 안내 플랩 없이 등록 케이스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를 위한 블랭크의 컷-아웃을 예시한다.
도 8b는 등록 케이스의 제조를 위한 도 8a의 블랭크 상에 전도성 트랙 부분들의 인쇄를 예시한다.
도 8c는 도 7 의 구성의 등록 케이스의 제조를 위한 도 8b의 블랭크의 개구들의 생성을 예시한다.
도 8d는 등록 케이스의 제조를 위해 도 8c의 블랭크 상에 전자 컴포넌트들의 설치 및 이의 접힘 및 접착을 예시한다.
도 9는 도 6d의 등록 케이스에 대한 블랭크의 일 변형을 예시한다.
도 10은 도 8d의 등록 케이스에 대한 블랭크의 일 변형을 예시한다.
도 11a는 도 2에 따른 스마트 카드에 적응된 등록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배면도로 예시한다.
도 11b는 도 11a의 등록 케이스를 정면도로 예시한다.
도 12는 접힘 및 접착 이전의 최종 상태에서, 도 11a 및 도 11b의 등록 케이스에 대한 블랭크의 예를 예시한다.
도 1은 집적 회로 카드의 예를 구성하는 스마트 카드(10)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점선들로 표현된 컴포넌트들은 일반적으로 카드 몸체(12)에 숨겨지는 반면 실선들로 표현된 컴포넌트들은 볼 수 있다.
카드는 서비스들(지불, 전화, 운송)에 액세스하도록 의도될 수 있다.
그러므로, 폭(I) 및 길이(L)의 스마트 카드(10)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카드 몸체(12)를 포함하고, 카드(10)의 메인 표면(여기서 전면)(14)은 일반적으로 그래픽 인쇄들을 포함한다. 카드(10)는 표준 ISO/IEC 7810: 2003, ID-1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포맷 1FF일 수 있다.
카드(10)는 전자 모듈(20) 및 카드의 동작을 위한 코드 명령들(24), 특히 등록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연관된 메모리들(RAM, ROM)(22)을 포함한다.
카드(10)는 또한 외측과의 통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들), 특히 상부 표면(14)과 같은 높이의 단자들 또는 접촉 스터드들(26)의 세트 및 비접촉 통신 마이크로제어기(30)(NFC 타입)에 의해 제어되는 임의적인 안테나(28)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26)는 바람직하게 표준 ISO/IEC 7816-2, 예컨대 이의 2007년 버전에 따른다. 인터페이스(26)는 4 개의 라인의 2 개의 열의 매트릭스 패턴에 따라 분포된 8 개의 전기 접촉부로 구성된다. 표준에 따라 c1 내지 c8로 표시된 전기 접촉 포지션은 각각의 매트릭스 포지션에 대응한다. 종래에, 제1 라인의 접촉부들(c1 및 c5)은 카드에 전력을 공급하는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반면, 접촉부들(c4 및 c8)은 사용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28-30)는 표준 ISO/IEC 14443을 준수한다.
카드(10)가 (접촉 또는 접촉 없이) 판독기에 제시될 때, 카드(10)는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판독기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어서, 코드 명령들(24)은 자동으로 또는 커맨드 시 실행될 수 있다.
카드(10)는 또한 카드의 상이한 상태들 또는 정보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생체 인식 센서(들)(40) 및 임의적인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32), 통상적으로 LED들 및/또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상이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버스(들)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생체 인식 센서(40)는 일반적으로 카드(10)의 상부 표면(14)과 같은 높이의 취득 영역(42)을 포함한다.
표현된 예에서, 생체 인식 센서(40)는 예컨대 공개물 FR 3 061 333 A1호에 설명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용량성 지문 센서이다.
용량성 센서(40)는 픽셀들의 영역(42)으로 형성된다.
다른 생체 인식 센서들, 예컨대 비-배타적 방식으로, 광학 센서, 발광 센서, 다중스펙트럼 이미징 센서, 열 센서, 초음파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생체 인식 센서(40)가 카드 몸체(12)의 후면(16)(접촉 패드들(26)을 보유하는 메인 표면(14)과 반대편) 상에 제공된 유사한 카드(10)를 나타낸다.
도 3은 등록 케이스(50) 및 슬롯(51)을 통해 내부에 삽입되는 스마트 카드(10)를 도시한다. 스마트 카드(10)는 등록을 위한 포지션에 있다. 물론, 그런 케이스는 예시 목적들을 위해 본원에서 취해진 간단한 등록 이외의 카드(10)를 사용하는 다른 동작들에 사용될 수 있다.
케이스는 식물 셀룰로스 섬유 재료, 통상적으로 카드보드로 만들어진 반-강성 엔벨로프(500)로 형성된다. 엔벨로프는 슬롯(51)을 통해 내부에 카드(10)를 삽입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엔벨로프는 예컨대 자신의 측면들 중 3 개의 측면 상에 플랩들을 접착함으로써 서로 고정되게 만들어진 유사한 치수들의 2 개의 패널로 형성되고, 하나의 패널은 전면(510)을 형성하고 다른 패널은 후면(520)을 형성한다. 접착되지 않은 마지막 측면은 삽입 슬롯(51)에 의해 형성된다.
패널들은 등록 동작들을 위해 따라야 할 로고 또는 명령들을 내부에 배치하기 위해 카드보드, 특히 후면 패널(520) 상에 간단한 인쇄에 의해 자신의 외부 면(케이스의 내부와 반대편)에 대해 맞춤화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등록 포지션에서, 생체 인식 센서(40)는 케이스(50)의 외측으로부터 액세스가능하여, 사용자가 등록 동안 센서를 사용하게 한다. 이 포지션에서, 카드(10)는 엔벨로프(500)의 접착 에지들 중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USB 수 플러그(male plug)로서 본원에서 나타낸 전원 인터페이스(530)를 통해 3 내지 5V의 내부 또는 외부 전원 소스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케이스(50)가 인터페이스(530)를 통해 대응하는 전력공급 소켓 내에 삽입될 때, 카드(10)는, 카드가 등록 포지션에 삽입될 때 카드(10)의 전기 접촉부들(26)을 전원 인터페이스(53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엔벨로프의 셀룰로스 섬유 재료 상에 직접 퇴적된 전기 회로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도 4는 접촉부들(26)과 인터페이스(530) 사이의 이런 전기 연결을 허용하는 전기 회로(550)의 일 예를 예시한다.
전기 회로(550)는 패널들 중 하나의 내부 또는 내부 면 상에 인쇄된다.
도 4는 전면 패널(510)의 내부면(510INT) 상의 인쇄를 도시한다. 변형들은 아래에 예시된다.
전기 회로(550)는 전도성 트랙 부분들(또는 세그먼트들)(흑색 부분들)(551) 및 트랙에 연결된 전자 컴포넌트들, 여기서는 2 개의 LED(552)로 이루어진다.
전도성 트랙 부분들은, 카드가 등록 포지션에 있을 때 (패널(510)의 외부 면을 통해 본)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10)의 패드들(26)과 접촉을 이루도록 배열된 수개의 접촉 스터드(553)를 포함한다. 접촉 스터드들(553)은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 전도성 액적들 또는 크림핑된 리벳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들(553)은 매트릭스 패턴의 하나 이상의 접촉 포지션(들)에 배열된다. 예에서, 사용된 패턴은 접촉부들(c1 내지 c8)(접촉부들은 점선들로 표현됨)에 대응하는 4 개의 라인의 2 개의 열로 구성된 표준 78162: 2007의 패턴이다. 접촉부들(c1 및 c5)을 향한 스터드들(553)은, 케이스(50)가 자신의 인터페이스(530)를 통해 전력 디바이스에 삽입될 때 카드(10)에 전력을 공급하는 목적을 위해 인터페이스(530)의 트랙 부분들(VCC 및 GND)에 직접 연결된다.
다른 스터드들(553)(여기서는 접촉부들(c2 및 c7)을 향하는 2 개의 스터드)이 제공될 수 있고, 이는 등록 프로그램(24)이 실행될 때, 등록 프로그램(24)이 전면 패널(510) 상에서 또한 볼 수 있는 여기서 2 개의 LED(552)에 의해 표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게 한다(도 3 참조). 사용자 인터페이스(552)는 특히 등록 동작을 구성하는 다양한 단계 동안 사용자를 안내할 수 있다.
물론, LED들 이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예컨대 라우드스피커 또는 촉각 컴포넌트들(압전 컴포넌트들 또는 PVDF에 기반함)이 제공될 수 있다.
전도성 트랙 부분들은 또한 전도성 트랙으로 형성된 전기 저항기들(554)을 포함한다. 전도성 트랙의 길이, 폭, 두께 및 사용된 재료는 원하는 전기 저항 특징에 따라 결정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트랙 부분들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전기 저항기들(554)은 (인접한 부분들(551)과 비교할 때) 감소된 폭 및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다.
예에서, 저항기들(554)은 접촉부(c7)에 대한 스터드(553)를 2 개의 LED(552)에 연결한다. 바람직하게, 전기 저항기들(554)은 통상적으로 엔벨로프의 에지들로부터 멀리 떨어진, 기계적 비틀림에 약간 영향을 받는 엔벨로프(500)의 영역 상에 인쇄된다. (그러므로 패널들의 에지들에 케이스의 면들을 형성함).
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대안적으로 USB 인터페이스(530)의 사용에 대안적으로, 전력 소스는 케이스(50) 내부에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전원 인터페이스는 형성된 케이스 내부의 회로에 제공된다. 전력 소스, 통상적으로 배터리는 내부 전원 인터페이스와 접촉하여 케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변형에서, 케이스(50)는, 패널들(510/520) 중 하나의 외부 표면 상에, 내부 전원 인터페이스와 접촉하도록 (예컨대 버튼 전지의 형태로) 내부에 배터리를 도입하기 위한 컷-아웃을 만들 장소를 나타내는 마킹이 제공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등록 케이스(50)의 상이한 변형을 예시한다. 이들 케이스는 개구들(511)의 수 및 이의 배열이 서로 상이하고, 개구들(511)은 이들 스터드들의 움직임이 독립적이고 따라서 카드의 접촉 패드들(26)과 더 나은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스터드들(553) 사이에 전면 패널(510) 상에 만들어진다. 비록 이들 변형들이 USB 인터페이스(530)가 예시되지만, 이들 변형들은 또한 임의의 타입의 전원 인터페이스에 적용된다.
전기 회로(550) 및 특히 접촉 스터드들(553)은 도면들의 더 나은 가독성을 위해 투명한 방식으로 표현된다.
도 5a에서, 전면 패널(510)은 카드의 접촉부들(26)의 우측에 어떠한 개구도 포함하지 않는다.
도 5b 및 도 5c에서, 엔벨로프(500)의 전면 패널(510)은 매트릭스 패턴의 2 개의 접촉 포지션 사이, 및 2 개의 스터드(553) 사이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개구를 포함한다.
도 5b의 예에서, 각각 2 개의 접촉 열(c1-c4 및 c5-c8)에 관련된 스터드들을 분리하는 단일 수직 세장형 개구(511)가 제공된다. 표현된 예에서, 관통-개구(511)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카드(10)의 접촉 모듈(26)의 폭(I26)(또는 높이)과 동일하다.
도 4 및 도 4a의 케이스에 대응하는 도 5c의 예에서, 엔벨로프의 전면 패널(510)은 접촉 스터드들을 보유하는 매트릭스 패턴의 2 개의 연속적인 행, 여기서 라인들 사이에 각각 배열된 복수의 개구(511)를 포함한다. 도 4a의 케이스의 예에 대해, 스터드들은 접촉부들(c1/c5, c2/c6 및 c3/c7)(접촉부들(c4 및 c8)은 사용되지 않고 있음)에 대응하는 제1 3 개의 라인 상에 제공된다. 개구들(511)은 이들 3 개의 라인을 2 개씩 분리하여, 이들에게 상대적 움직임 자유도를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2 개의 개구(511) 사이의 카드보드 탭은 개선된 가요성을 가지며, 이는 보유한 스터드(들)의 개선된 접촉을 허용한다.
추가로 그리고 임의적으로, 개구들(511)과 평행한 단부 개구들(511e)은 접촉 스터드들을 보유하는 매트릭스 패턴의 모두 3 개의 라인 외부에 제공된다. 이것은 전면 패널(510)의 나머지에 관하여 2 개의 단부 라인(여기서 이들 단부 라인은 c1/c5 및 c3/c7에 대응함)의 움직임 자유도를 개선하는 것을 허용한다. 특히, 개구들(511 및 511e) 사이의 카드보드 탭은 개선된 가요성을 가지며, 이는 보유한 스터드(들)의 개선된 접촉을 허용한다.
각각의 개구(511, 511e)는 관통-개구이다.
각각의 개구(511, 511e)는 전술한 표준에 따라 패턴의 동일 라인의 2 개의 접촉부(예컨대 c1 및 c5)의 외부 에지들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큰 길이, 즉 9.62 mm보다 큰 길이를 갖는다. 도면에서, 개구들의 길이는 카드(10)의 접촉 영역(26)의 폭보다 더 작다. 그러나, 그 폭 이상일 수 있다. 그러므로, 개구의 길이는 10 mm보다 클 수 있고, 바람직하게 12 내지 20 mm일 수 있다.
도 5d에 표현된 변형에서, 복수의 개구는 매트릭스 패턴의 2 개의 연속적인 라인(보다 일반적으로 열들을 포함하는 행들)의 접촉 포지션들을 분리하는 적어도 2 개의 별개의 개구(511g 및 511d)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적어도 2 개(여기서 2 개)의 단부 개구(511eg 및 511ed)는 접촉 스터드들을 보유하는 매트릭스 패턴의 라인들 외부와 동일한 측면 상에 제공된다. 이것은 매트릭스 패턴의 동일한 라인의 접촉 스터드들의 독립적인 가요성을 개선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예시된 예에서, 개구들의 쌍들은 도 5c의 단일 개구 대신 제공된다. 동일한 쌍의 개구들 사이의 비절단 중앙 카드보드 부분은 약 1.5 내지 2 mm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개구들(511g, 511d, 511eg 및 511ed)은 통상적으로 5 내지 9.25 mm의 길이를 갖는다. 라인당 2 개 초과의 접촉 포지션을 갖는 매트릭스 패턴의 경우, 라인당 더 많은 수의 개구가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단부 개구들(511e)에 대해) 도 5c에 따른 개구들과 (예컨대 접촉 스터드들을 보유하는 연속적인 라인들 사이의 개구들(511g, 511d)에 대해) 도 5d에 따른 개구들을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개구(511, 511e, 511g, 511d, 511eg 및 511ed)는 각각의 대응하는 스터드의 폭 절반 및 컷-아웃에 대한 허용오차에 의해 감소된, 전술한 표준에 따라 2 개의 연속 라인의 2 개의 접촉부(예컨대 c1 및 c2)의 중심간 피치 사이의 거리보다 더 작은 폭, 즉 통상적으로 0.1 mm 내지 1 mm를 갖는다.
동일한 케이스 상에 만들어진 모든 개구는 동일한 치수들 및/또는 형상들(예컨대 직사각형)을 가질 수 있다.
도 5e는, 개구들(511)에 수직(여기서 수직)인 단부 개구들(511v)이 접촉 스터드들을 보유하는 전체 매트릭스 패턴 외부에 부가되는 도 5c의 일 변형을 예시한다. 수직 단부 개구들(511v)은 또한 도 5d의 개구들과 결합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평행 단부 개구들(511e, 511ed, 511eg)가 없을 수 있다.
이들 수직 개구들은 카드의 접촉부들(26)에 대한 스터드들(553)의 기계적 작용에 의해, 더 나은 전기 접촉을 위해 스터드들(533)을 보유하는 다양한 카드보드 탭들의 독립적인 가요성을 보장하면서, 접촉부들(26)을 향하는 패널(510)의 전체 영역을 상승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개구들(511, 511e)의 길이는 스터드들(553)에 가깝게 수직 단부 개구들(511v)을 포지셔닝하기 위해 도 5c에 비교할 때 감소된다. 개구들(511, 511e)의 길이는 예컨대 12 내지 16 mm로 구성된다.
수직 단부 개구들(511v)의 길이는 카드 접촉 모듈(26)의 높이의 크기 정도, 통상적으로 표준 ISO/IEC 7816-2: 2007의 케이스에 대해 8 내지 16 mm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전면 패널(510)과 후면 패널(520) 사이에 샌드위치된 안내부들(521, 522, 523)을 교차 해칭된 부분들로 도시한다. 안내부들은 카드(10)를 등록 포지션을 향해 안내하는 데 사용된다.
안내부들(521 및 523)은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슬롯(51)의 측면 상에 경사진 부분을 포함하고, 따라서 케이스(50) 내에 카드(1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슬롯(51)에 관하여 엔벨로프의 하단부(즉 대향 측)에 제공된 안내부(522)는 등록 포지션에서 카드(10)와 접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역할을 한다.
이들 안내부는 패널들(510, 520)의 하나 또는 둘 모두에 힌지되고 전면 패널(510) 및 후면 패널(520)을 함께 고정하는 플랩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 플랩들의 두께는 카드(10)의 삽입을 위해 2 개의 패널(510, 520) 사이에 스페이서를 만드는 것을 허용한다. (이상적으로 접착제를 갖는 카드보드의 단일 두께로 형성된) 스페이서는 접촉 스터드들(530)의 두께에 의해 증가된 전술한 표준에서 특정된 바와 같은 카드의 최대 두께 이상이다.
안내부들의 치수들은 카드(10)의 삽입(등록) 포지션에서 스터드들(553)을 향하는 접촉부들(26)의 올바른 포지셔닝을 허용하도록 결정된다.
패널들(510 및 520)(및 그러므로 케이스(50))의 치수들은, 카드(10)의 이런 삽입 포지션에서, 생체 인식 센서(40)가 완전히 케이스(50) 외부에 있고 따라서 사용자에게 쉽게 액세스가능한 것을 허용하도록 선택된다.
도 6a 내지 도 6d는 일 부분, 특히 도 4, 도 4a 및 도 5c에 예시된 버전으로 형성된 그런 케이스(5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한다. 바람직하게 카드보드 또는 임의의 재활용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진 블랭크(600)는 0.8 내지 1.2 mm로 구성된 두께이고, 이는 원하는 스페이서를 만들게 한다.
도 6a는 동일한 카드보드 플레이트로부터 일 부분으로 깨끗한 블랭크 절단을 도시한다. 도 6a는, 힌지(699)(힌지들은 일반적으로 파선들로 표현됨)를 형성하는 공통 에지를 따라 서로 접힐 때 케이스(50)의 2 개의 면/패널(510 및 520)을 형성하도록 의도된 2 개의 인접하고 힌지된 직사각형 패널(610 및 620)을 포함한다. 힌지(699)에 직교하는 에지들(61)(패널들)은, 패널들이 접힐 때 삽입 슬롯(51)의 에지들을 정의한다.
패널(610)과 일 부분으로 형성된 탭(630)은 더 긴 단부 부분(632)에 힌지된 제1 부분(631) 상에서, 슬롯(51)을 형성하는 에지(61)와 반대쪽 에지 상의 제1 패널(610)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2 개의 부분(631 및 632)은 공통 에지에 의해 힌지된다.
탭(630)은 (외부 전력 소스의 케이스에서) 전력 인터페이스(530)를 형성하도록 의도된다. 그렇게 하기 위해, 단부 부분(632)은 인터페이스(630)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해 부분(631)의 후면으로 접혀지고 접착되도록 의도된다. 탭(630)의 폭은 유리하게 수 플러그 USB의 폭에 대응한다. 2 개의 접착된 부분의 두께는 USB 수 연결기의 내부 지지부의 두께에 대응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가능하게 힌지(접혀지고 이어서 접착됨)되고 동일한 카드보드 부분에 형성된 다른 부분들은 원하는 두께를 획득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제2 패널(620)은 슬롯(51)을 형성하는 힌지(699) 및 에지(61) 이외의 2 개의 에지 상에서 연장되는 3 개의 힌지된 플랩(621, 622, 623)을 포함하고, 슬롯(51)은, 상기 플랩들이 접혀질 때, 접착(바람직하게 양 측들)함으로써 원하는 스페이서와 함께 케이스(50)를 형성하도록 2 개의 패널(610 및 620)을 함께 유지하는 것을 허용한다. 제안된 구성에서, 이들 플랩은 위에서 개시된 안내부들(521, 522, 523)을 형성한다.
힌지(699) 및 힌지된 플랩들(622 및 623)은 원하는 스페이서 및 2 개의 패널의 에지들(61)에 의해 형성된 슬롯(51)을 갖는 엔벨로프(500)에서 블랭크(600)를 폐쇄하는 것을 허용한다.
플랩(621)은 힌지(699)와 연속하는 에지를 갖는다. 이 에지는 제2 패널(620)과 함께 플랩(621)의 힌지에 수직이다. 따라서, 플랩의 접혀진 포지션에서, 이 에지는 플랩을 보강하는 힌지(699)와 정렬된다.
플랩들(621 및 623)은 특히 슬롯(51)을 형성하는 에지(61)의 측면 상에서 그들의 경사진 단부들에 의해, 케이스(50)에 카드(1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허용한다(도 5c 참조).
대안적으로, 플랩들(621 및 623)은 (힌지(699)에 관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 대칭인 구성들로 제1 패널(610)에 연결, 힌지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6b는 카드보드 블랭크(600) 상에, 특히 블랭크(600)의 일 면 상에만, 특히 전면 패널(510)의 내부 면(510INT)을 형성하도록 의도된 패널(610)의 일 면 상에만 직접 전도성 트랙 부분들(551)(저항기들(554)을 포함함)의 퇴적을 도시한다. 블랭크의 일 면에만의 인쇄는 설계 비용 측면에서 장점을 갖는다.
이들 트랙 부분(551)은, 카드(10)가 삽입 포지션에 있을 때(도 4a 참조), 최종으로 형성된 스터드들(553)이 카드(10)의 대응하는 접촉부들(26)의 우측에 포지셔닝되도록 제공된 위치에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잉크-젯 인쇄, 오프셋 인쇄, 플렉소그래픽(flexographic) 인쇄 또는 스크린 인쇄에 의한 트랙 부분들의 부가적인 제조의 종래 기법들이 이런 퇴적에 사용될 수 있다. 은 또는 구리 또는 흑연 입자-기반 전도성 잉크가 사용될 수 있다. 구리-기반 잉크의 사용의 경우, 산화로부터 구리 트랙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 부가적인 흑연-기반 층의 퇴적이 예상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코팅 기법들은 트랙 부분들(551)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력 트랙 부분들(VCC 및 GND)은 전력 인터페이스(530)를 형성하는 탭(630)의 부분들(631 및 632)까지 연장된다. 이런 위치에서 트랙 부분들의 갭 및 폭은 원하는 인터페이스, 예컨대 USB 포맷을 준수한다. 단부 부분(632)이 접혀지고 부분(631)의 후면에 접착될 때, 단부 부분(632)의 트랙 부분들(VCC 및 GND)은 유리하게 외부 소스의 USB 암 소켓과 전기 접촉을 만들기 위해 케이스(50)(도 5c 참조)의 전면 상에서 배향된다. 따라서, 케이스가 자신의 인터페이스(530)를 통해 외부 소스의 포트 USB에 도입될 때, 생체 인식 센서(40)(도 1) 및 LED들(552)은 이에 따라 케이스(50)에 포지셔닝된 카드(10)의 상단 상에서 쉽게 액세스가능하다.
전력 인터페이스(530)를 형성하는 제1 부분(631)의 트랙 부분들(VCC 및 GND)(카드의 후면을 향해 배향된 트랙 부분들)을 보호하기 위해, 제1 부분(631) 및 임의적인 부분들(631 및 632) 사이의 힌지 영역 상에 절연 보호 층의 퇴적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특히, 전력 인터페이스(530)가 도입될 USB 암 소켓에 제공된 전도성 엘리먼트들에 의한 임의의 단락을 회피시킨다.
스터드들(553)은 예컨대 전도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전도성 비드(bead)들을 접착하거나, 전도성 재료(통상적으로 액적들)의 추가 두께(3D)를 인쇄하거나 또는 크림핑된 리벳들을 고정함으로써 제공된 위치들에 형성된다.
도 6c는 등록 포지션에 도입된 카드(10)의 접촉부들(26)에 관하여 적절한 위치들에 관통-개구(511, 511e)를 만드는 다음 단계를 도시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는 ISO 7816 포맷의 3 개의 라인(c1/c5, c2/c6 및 c3/c7)의 어느 한 측에 4 개의 동일한 직사각형 개구를 만드는 것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들 라인 각각을 향하는 스터드들(553)을 보유하는 카드보드 영역들은 유리하게 접촉부들(26)과 스터드들의 전기 접촉을 용이하게 하는 탄성이 제공된다. 물론, 개구들의 다른 배열들은 원하는 케이스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종래의 스탬핑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홀들(652)은 LED들(552)을 위해 제공된 위치들에서 패널(610)에 만들어진다. 이들 홀은 바람직하게 LED들(552)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므로, 이들 LED는 홀들의 주변에 의해 엔벨로프(500) 내에 유지된다.
다이오드들을 위한 클리어런스 홀(clearance hole)들(662)은 또한, 플랩(622)이 접혀지고 케이스(50)가 형성되면(도 5c) 플랩(622) 상에서 홀들(652)의 우측에 제공된다. 이들 홀은, 플랩(622)에 의해 찌그러짐이 없이 형성된 케이스(50)에 이들 다이오드에 대한 공동을 형성하기 위해 다이오드들(552)의 치수들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도 6d에 예시된 다음 단계는 회로(500)에 다이오드들(552)의 삽입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LED들(552)은 전도성 트랙 부분들(551)과의 이들 단자들의 전기 접촉을 촉진시키기 위해 전도성 접착제로 접착된다.
임의적으로, 에폭시-기반 수지의 하나의 방울(drop)은 다이오드들(552)을 보호하고 더 나은 기계적 강도를 허용하기 위해 다이오드들(552) 상에 퇴적("글로브탑(globtop)" 기법)될 수 있다. 또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여 다이오드들(552) 이하의 충전("언더필(underfill)" 기법)은 더 나은 기계적 강도를 위해 예상될 수 있다.
이어서, 최종 단계는 따라서 생산된 블랭크(600)를 접고 접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 단부 부분(632)은 트랙 부분들(VCC 및 GND)을 보유하지 않는 면들에 의해 제1 부분(631)에 대해 접혀지고 접착되고,
- 플랩들(621, 622, 623)은 각각 영역들(521, 522, 523)(도 6d의 교차 해칭된 부분들) 상에 접히고 접착되고,
- 2 개의 패널(610 및 620)은 함께 접혀지고 접착된다(특히 영역들(521, 522, 523)에서 접착됨), 다이오드들(552)은 플랩(622)의 홀들(662)과 맞물린다.
따라서, 획득된 케이스(50)(도 3 및 도 5c)는, 카드(10)가 내부에 삽입될 때 (파단 또는 접힘 없이) 자체지지된다.
도 7은 개구들(511 및 511e)의 존재에 의해 도 5c에 대한 일 변형을 예시한다. 이 변형은 또한 도 5a, 도 5b, 도 5d 및 도 5e의 케이스들에 적용가능하다.
이런 변형에서, 케이스의 면들을 형성하는 패널들(610, 620) 사이의 힌지에서 안내 플랩(621)은 제공되지 않고, 이는 블랭크(600)를 설계하는 단계 및 케이스(50)를 형성하기 위해 접힘 및 접착 단계들을 단순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어서, 에지(699)를 따른 접힘은 (나머지 플랩들(622 및 623) 외에) 카드(10)의 안내 기능을 수행한다.
도 8a 내지 도 8d는 이런 케이스(5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한다. 도 6a 내지 도 6d에 관련하여 위에서 제공된 설명들은 플랩(621)을 제외하고 적용된다.
도 9는 (개구들(511, 511e, 511d, 511g, 511ed, 511eg)의 수 및 이의 배열을 적응시킴으로써) 도 5a, 도 5b, 도 5c, 도 5d 또는 도 5c에 따른 케이스(50)를 제조하는 프로세스 동안 도 6d의 일 변형을 예시한다. 도 6a 내지 도 6c에 대응하는 상이한 단계들은 제시를 단순화하기 위해 표현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은 도 9에 비추어 추론된다.
이 실시예에서, 전원 인터페이스(530)를 형성하는 탭(630)은 도 6a에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하게, 제2 패널(620)로부터 연장된다.
결과적으로, 제1 패널(610)의 내부 면 상에 주로 인쇄되는 회로(550)는 최대 탭(630)의 제1 부분(631)까지 2 개의 전도성 트랙 부분(VCC 및 GND)에 의해 연장된다. 이런 배열은, 암 USB 소켓과의 전기 접촉이 제1 탭 부분(631)의 사용자 영역(여기에서 볼 수 있음)에 의해 이루어질 것이기 때문에, 탭의 단부 부분(632)까지 이들 2 개의 트랙 부분의 연장을 요구하지 않는다. 이는 탭의 2 개의 부분(631 및 632) 사이의 접힘부에서 이들 트랙 부분의 취성 지점이 없음을 초래한다. 또한, 단락을 회피하기 위해 부분들 양측에 절연 층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탭의 단부 부분(632)은 전원 인터페이스(530)에 강성 및 충분한 두께를 부여하는 목적을 위해 제1 부분(631)의 후면으로 접히고 접착되도록 의도된다. 물론, 원하는 두께에 도달하기에 충분한 수의 층들을 획득하기 위해 접히고 접착되는 다른 부분들이 제공될 수 있다.
2 개의 패널 사이의 전도성 트랙 부분들의 연장은 2 개의 패널(610 및 620)의 동일한 면 상에서 이루어지고, 이는 제조 방법을 단순화한다.
이들 트랙 부분이 2 개의 패널 사이의 접힘부(699)를 통과하기 때문에, 신축가능, 특히 은기반 잉크는 바람직하게 이런 제조에 사용된다. 이것은 전도성 트랙 부분들의 신뢰성을 개선시킨다. 특히, 이들 전도성 트랙 부분은 접힘부의 외곽에(외곽에만) 지그재그 인쇄되고, 이는 잉크의 탄성 강도를 개선시킨다.
제2 패널(620) 상에 퇴적된 전도성 트랙 부분들은 바람직하게 플랩들(621 및 622)(즉, 도면에서 교차 해칭 영역들(521 및 522))의 접힘 및 접착을 위해 예약된 패널의 부분에서 만들어진다. 이 경우, 이들 트랙 부분들은, 카드(10)가 블랭크(600)로 형성된 케이스(50) 내로 도입될 때 카드(10)에 대한 마찰에 의해 변경될 가능성이 없다.
또한, 3 개의 플랩(621, 622, 623)은 항상 케이스(50)를 폐쇄하고 슬롯(51)을 통해 내부에 도입되는 카드(10)를 안내하기 위해 제공된다.
케이스(50) 하단 플랩(622)은, 제2 패널(620) 상의 탭(630)의 존재로 인해, 제1 패널(610)에 연결, 힌지된다.
플랩(621)은 힌지(699)의 부근에서, 제1 패널(610)(예시된 바와 같이) 또는 제2 패널(620)(도 6에서와 같이)에 상호교환 가능하게 연결, 힌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힌지(699)와 평행한 플랩(621)은 힌지(699)로부터 거리(δ)에 배열된다. 이것은 힌지 영역(699)에 인쇄된 전도성 트랙 부분들을 접힘으로 인한 가능한 전도성 파손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허용한다. 실제로, 이런 간격(δ)으로 인해, 힌지(699)의 양측에서 동일한 트랙 부분의 2 개의 영역은, 2 개의 패널(610 및 620)이 접히고 접착될 때 접촉된다. 임의적으로, 접촉 스터드들은 힌지(699)의 양측 상의 동일한 트랙 부분의 더 신뢰성 있는 접촉을 이루기 위해 힌지(699) 부근(힌지의 일 측 또는 양측들)에서 이들 트랙 부분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플랩(623)은 제1 패널(610)(예시된 바와 같이) 또는 제2 패널(620)(도 6에서와 같이)에 상호교환 가능하게 연결, 힌지될 수 있다.
플랩들(621 및 623)은 케이스(50) 내에 카드(1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슬롯(51)을 형성하는 에지(61)의 측면 상에 특히 내향으로 경사진 단부들을 포함한다.
도 10은 둘 모두인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 도 7의 케이스(50)를 획득하기 위한 도 8d의 일 변형. 탭(630)은 이런 제2 패널의 내부 면 상에 트랙 부분들(VCC 및 GND)의 연장을 요구하는 제2 패널(620)에 연결되도록 제공되고; 그리고
- 플랩(621)이 생략된 경우의 도 9의 일 변형.
다시, 도 6a/ 8a 내지 도 6c/ 8c에 대응하는 상이한 단계들은 제시를 단순화하기 위해 표현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은 도 10에 비추어 추론된다.
접힘부(699)는 플랩(621) 대신, 카드(10)가 슬롯(51)을 통해 도입될 때 카드(10)의 안내를 위한 역할을 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2에 따른 카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즉 하부 면(16)(접촉부들(26)을 보유하는 면(14)과 반대편) 상에 생체 인식 센서(40)가 제공되는 케이스(50)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트랙 부분들(VCC 및 GND)의 단부들은, 카드(10)가 삽입되면 카드(10)의 생체 인식 센서(40)가 액세스가능한 측면과 동일한 케이스(50)의 측면 상에 제공된다(도 11b).
예시된 예에서, 다이오드들(552)은 케이스(50)의 다른 측면 상에서 볼 수 있다(도 11a). 일 변형에서, 다이오드들(552)은 생체 인식 센서(40)와 동일한 측면 상에서 볼 수 있고, 이는 도 11b에 표현된다.
도 12는 도 11a 및 도 11b의 케이스에 대응하는 블랭크(600)의 일 예를 예시한다. 이 도면은 케이스(50)를 구성하는 마지막 단계 동안 블랭크를 나타낸다. 다시, 도 6a/ 8a 내지 도 6c/ 8c에 대응하는 다양한 이전 단계들은 제시를 단순화하기 위해 표현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은 도 12에 비추어 추론된다.
유리하게, 전기 회로(550)는 단일 패널, 여기서 제1 패널(610)의 일 면상에만 퇴적된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기 회로는 소형이다. 전도성 트랙 부분들(551)은 임의의 접힘 영역을 통과하지 않아, 오기능 위험성들을 감소시킨다.
사용자가 생체 인식 센서(40)를 볼 때 사용자를 향해 배향된 케이스(50)의 면 상에 다이오드들(552)을 갖기 위한 일 변형에서, 천공들(652)은 제2 패널(620)(및 제1 패널에 있지 않음)에 만들어질 수 있고 다이오드들(552)은, 케이스(50)가 폐쇄될 때 제2 패널(620)의 이들 천공에 맞물리도록 뒤집어질 수 있다. 이들 천공은 백색 점선 원들로 예시된다.
플랩들(621 및 623)은 제1 패널(610) 또는 제2 패널(620)(예시된 바와 같이)에 상호교환 가능하게 연결, 힌지될 수 있다. 플랩들(621 및 623)은 케이스(50) 내에 카드(1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슬롯(51)을 형성하는 에지(61)의 측면 상에 특히 경사진 단부들을 포함한다.
플랩(621)은 임의적이다. 플랩(621)이 없을 때, 접힘부(699)는, 카드(10)가 케이스(50) 내에 삽입될 때 카드(10)에 대한 안내부로서 역할을 한다.
도 10 및 도 12는 예시된 것(도 5c에서와 같이 4 개의 개구) 이외의 개구들의 배열, 특히 도 5a(개구 없음), 도 5b, 도 5d 및 도 5e의 배열들을 포함하는 케이스의 제조에 적용가능하다.
전술한 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고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위의 예들은 접힘 및 접착에 의해 케이스(50)를 형성하기 위해 단일 카드보드 블랭크(600)(또는 동일한 것)의 사용에 기반한다. 일 변형에서, 케이스(50)는 가능한 접힘들과 함께, 수개의 독립적인 카드보드 부분들(또는 동일한 것)의 접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개구 배열들(511)이 설명 및 예시되지만, 본 발명은 동일한 치수들 또는 상이한 치수들의 개구들을 포함하는 다른 배열들에 적용가능하다.

Claims (15)

  1. 슬롯(51)을 통해 내부에 스마트 카드를 삽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치수들을 갖는 셀룰로스 섬유 재료로 만들어진 엔벨로프(envelope)로 형성된 스마트 카드(10)용 케이스(50)로서,
    상기 엔벨로프는, 상기 카드가 제1 포지션에 삽입될 때 상기 카드의 전기 접촉부들(26)을 전원 인터페이스(53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기 셀룰로스 섬유 재료 상에 직접 퇴적된 전기 회로(550)를 포함하는 케이스(5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회로(550)는 상기 엔벨로프의 내부 면 상에 퇴적되고, 상기 전원 인터페이스는 상기 엔벨로프의 외부 부분을 가질 수 있는 케이스(5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회로(550)는 삽입된 카드(10)와 전기 접촉하기 위해 매트릭스 패턴의 하나 이상(one or several)의 접촉 포지션(들)에 배열된 수개의 접촉 스터드들(contact studs)(553)을 포함하고, 상기 엔벨로프는 상기 매트릭스 패턴의 2 개의 접촉 포지션 사이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개구(511)를 포함하는 케이스(5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엔벨로프는 접촉 스터드들(553)을 보유하는(carrying) 상기 매트릭스 패턴의 2 개의 연속적인 행 사이에 각각 배열된 복수의 개구(511)를 포함하는 케이스(50).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엔벨로프는 접촉 스터드들(553)을 보유하는 전체 매트릭스 패턴 외부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단부 개구(들)(511e)를 더 포함하는 케이스(50).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 패턴은 표준 ISO/IEC 7816-2: 2007에 따라 4 개의 라인의 2 개의 열로 형성되는 케이스(5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회로(550)는 상기 엔벨로프 상에 퇴적된 하나 이상의 전도성 트랙 부분(들)(55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552) 및 임의적인 에너지 소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스(5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셀룰로스 섬유 재료로 만들어진 상기 엔벨로프는 일 부분으로 형성되는 케이스(5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벨로프는 상기 카드(10)를 상기 제1 포지션을 향해 안내하기 위한 수단(521, 522, 523)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엔벨로프의 전면 패널(610) 및 후면 패널(620)을 함께 고정시키는 플랩들(flaps)(621, 622, 623)에 의해 형성되는 케이스(5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들은 상기 삽입 슬롯(51)의 측면 상에 경사진 에지를 갖는 케이스(50).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케이스(50) 및 스마트 카드(10)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스마트 카드(10)는 상기 카드의 표면 상에 제공된 생체 인식 센서(40)를 갖추고, 상기 생체 인식 센서는, 상기 스마트 카드가 제1 포지션에 삽입될 때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부터 액세스가능한 시스템.
  12. 슬롯(51)을 통해 내부에 스마트 카드(50)를 삽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치수들을 갖는 엔벨로프-형 케이스(50)의 2 개의 면(510, 520)을 형성하도록 의도된 2 개의 인접하고 힌지된 패널(610, 620)을 포함하는, 카드(10) 케이스(50)에 대해 셀룰로스 섬유 재료로 만들어진 블랭크(blank)(600)로서,
    전기 회로(550)는 적어도 상기 패널들 중 제1 패널(610)의 셀룰로스 섬유 재료 상에 직접 퇴적되고, 상기 전기 회로는, 상기 카드가 상기 엔벨로프-형 케이스의 제1 포지션에 삽입될 때 상기 카드(10)의 전기 접촉부들(26)을 전원 인터페이스(53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배열된 접촉 스터드(553)들을 상기 제1 패널 상에 포함하는 블랭크(60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스터드들(553)은 상기 제1 포지션에 삽입된 상기 카드와 전기 접촉하기 위해 매트릭스 패턴의 하나 이상의 접촉 포지션(들)에 배열되고, 상기 제1 패널(610)은 상기 매트릭스 패턴의 2 개의 접촉 포지션 사이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511)를 포함하는 블랭크(600).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610)은 접촉 스터드들(553)을 보유하는 상기 매트릭스 패턴의 2 개의 연속적인 행 사이에 각각 배열된 복수의 개구(511), 및 상기 접촉 스터드들을 보유하는 전체 매트릭스 패턴 외부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단부 개구(들)(511e)를 포함하는 블랭크(600).
  15. 스마트 카드(10)용 케이스(5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슬롯(51)을 통해 내부에 스마트 카드(10)를 삽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치수들을 갖는 엔벨로프-형 케이스(50)의 2 개의 면(510, 520)을 형성하도록 의도된 2 개의 인접하고 힌지된 패널(610, 620)을 포함하는, 셀룰로스 섬유 재료로 만들어진 블랭크(600)를 형성하는 단계 - 전기 회로(550)는 적어도 상기 패널들 중 제1 패널(610)의 셀룰로스 섬유 재료 상에 직접 퇴적되고, 상기 전기 회로(550)는 전원 인터페이스(530)에 연결되는 접촉 스터드(553)들을 상기 제1 패널 상에 포함함 -,
    - 상기 카드가 상기 엔벨로프-형 케이스(50)의 제1 포지션에 삽입될 때 상기 접촉 스터드들(553)이 상기 카드(10)의 전기 접촉부들(26)을 상기 전원 인터페이스(53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블랭크(600)를 접고 접착함으로써 상기 엔벨로프-형 케이스(50)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00052129A 2019-05-03 2020-04-29 스마트 카드용 등록 케이스 KR202001278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904662A FR3095735B1 (fr) 2019-05-03 2019-05-03 Etui d’enrôlement pour carte à puce
FR1904662 2019-05-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889A true KR20200127889A (ko) 2020-11-11

Family

ID=67262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129A KR20200127889A (ko) 2019-05-03 2020-04-29 스마트 카드용 등록 케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68766B2 (ko)
EP (1) EP3734493B1 (ko)
JP (1) JP2020184328A (ko)
KR (1) KR20200127889A (ko)
CN (1) CN111882016A (ko)
FR (1) FR30957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23196A1 (en) * 2020-06-09 2021-12-15 Thales Dis France Sa Manufacturing method of a radio-frequency smart card with a metal inlay assembly
FR3116138B1 (fr) 2020-11-12 2023-11-24 St Microelectronics Rousset Dispositif pour l'enrôlement d'une carte à microcircuit
WO2023132770A1 (en) * 2022-01-10 2023-07-13 Fingerprint Cards Anacatum Ip Ab Enrollment assistance device with electronic label, and manufacturing method
WO2023249539A1 (en) * 2022-06-23 2023-12-28 Fingerprint Cards Anacatum Ip Ab Enrollment assistance device with conductor spiral, biometric system and enrollment method
WO2023249540A1 (en) * 2022-06-23 2023-12-28 Fingerprint Cards Anacatum Ip Ab Enrollment assistance device with capacitive coupling pads, biometric system and enrollment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0695A (en) * 1994-04-22 1995-01-10 Polaroid Corporation Image-receiving element for thermal dye transfer method
US6259369B1 (en) * 1999-09-30 2001-07-10 Moore North America, Inc. Low cost long distance RFID reading
WO2003056499A2 (en) * 2001-12-24 2003-07-10 Digimarc Id Systems Llc Pet based multi-multi-layer smart cards
JP2004170548A (ja) * 2002-11-18 2004-06-17 Fuji Photo Film Co Ltd 表面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2000321B1 (de) * 2003-02-27 2013-07-17 Landqart Mehrschichtlaminat
EP1818860B1 (en) * 2006-02-08 2011-03-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RFID device
US8240022B2 (en) * 2006-09-26 2012-08-14 Feinics Amatech Teorowita Methods of connecting an antenna to a transponder chip
FR2935060B1 (fr) * 2008-08-12 2010-09-10 Arjowiggins Licensing Sas E-document comportant un element de perturbation electromagnetique
DE102015222364A1 (de) * 2015-11-12 2017-05-18 Bundesdruckerei Gmbh Wert- oder Sicherheitsdokument aus einem Faserverbundwerkstoff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 Wert- oder Sicherheitsdokuments
US9900984B2 (en) * 2015-12-31 2018-02-20 Taisys Technologies Co. Ltd. Auxiliary mounting structure for mounting advanced smart card
FR3061333B1 (fr) 2016-12-26 2019-05-31 Idemia France Carte plastique mince integrant un capteur d'empreinte digitale et procede de realisation
US10640925B2 (en) * 2017-02-15 2020-05-05 Flex R&D Inc. Lightweight paper board
US10282651B2 (en) 2017-03-23 2019-05-07 Idex Asa Sensor array system selectively configurable as a fingerprint sensor or data entry device
US10694361B2 (en) * 2018-10-11 2020-06-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er-implemented agent assisted electronic business car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84328A (ja) 2020-11-12
EP3734493A1 (fr) 2020-11-04
FR3095735A1 (fr) 2020-11-06
EP3734493C0 (fr) 2023-06-07
US11068766B2 (en) 2021-07-20
EP3734493B1 (fr) 2023-06-07
CN111882016A (zh) 2020-11-03
FR3095735B1 (fr) 2021-05-21
US20200349408A1 (en)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8766B2 (en) Enrolment case for smart card
JP5710615B2 (ja) ポータブルusbオブジェクトを生成するためのカードパーソナライゼーション装置、関連のカード、カードの種類を検出するためのプロセス、および大量郵便プロセスにおけるカードの使用
CN110168567A (zh) 金属双界面卡
JP2005504380A (ja) 通信装置のポートに接続されることを目的とした電子キー
TWI705384B (zh) 適合集成於電子裝置的雙面感測器模組
KR20040032087A (ko) 향상된 전자적 모듈 강도를 구비한 비접촉식 또는 복합접촉-비접촉 스마트 카드
JP2013521153A (ja) 表紙を有する文書
JP2013528299A (ja) 多機能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含むデバイスの製造方法
US11769029B2 (en) Card with fingerprint biometrics
US10013648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n electronic/electrical circuit device
US20200230993A1 (en) Hinged laminated body, layout sheet for hinged laminated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hinged laminated body
EP1521208A1 (en) Electronic identification document
US822644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nic key with USB connector
US20130264812A1 (en) Photo book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18012509A1 (ja) ヒンジ形成体、ヒンジ付積層体、ヒンジ形成体配列シート、ヒンジ付積層体配列シート、冊子
KR20100036851A (ko) Usb형 스마트 카드 및 이를 이용한 칩카드 장착방법
KR20220148276A (ko) 스마트카드용 프리패키지, 스마트카드 및 그 형성방법
CN112396146A (zh) 采用rfid芯片实现监测的电子标签及其系统
JP4882187B2 (ja) 非接触icカード及び非接触icカード送付媒体
US20220121896A1 (en) Chip card
KR200413779Y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소켓
WO2008004214A2 (en) Electrical adapter for coupling to a portable card and a portable card integral with such an adapter
US9911078B2 (en) Card and corresponding method of manufacture
JP2023154506A (ja) 書籍用icタグ付き台紙および書籍
CN118159981A (zh) 用于文件的天线嵌体和具有这种天线嵌体的文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