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922U - 배송 상자 - Google Patents

배송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922U
KR20190001922U KR2020180000318U KR20180000318U KR20190001922U KR 20190001922 U KR20190001922 U KR 20190001922U KR 2020180000318 U KR2020180000318 U KR 2020180000318U KR 20180000318 U KR20180000318 U KR 20180000318U KR 20190001922 U KR20190001922 U KR 201900019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delivery box
fastening
lid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3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914Y1 (ko
Inventor
김기백
이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제이이엔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제이이엔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제이이엔엠
Priority to KR20201800003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914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9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9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9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9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1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U-shape to form the base of the container and opposite sides of the body portion, the remaining sides being formed primarily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of these opposite sides, e.g. flaps hing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65D5/36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0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 B65D5/541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the lines of weakness being provided in one or more closure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배송 상자는, 물품이 배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와 연결되고 측면을 지지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의 외측면과 맞닿아 고정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송 상자{Delivery Box}
본 고안은 개봉이 용이한 배송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제품을 포장해서 옮기는 수단으로 상자가 많이 사용된다. 상자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제품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운반의 편리성의 이유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송 상자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배송 대상물이 수납되는 하부 상자와 하부 상자를 덮는 상부 상자로 구성된 배송 상자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제작의 편리성을 위해 물품이 수납되는 상자의 일측에 덮개가 연결되고, 덮개가 상자를 감싸는 형태의 배송 상자 또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배송 상자 중 고정을 위해 테이프를 부착한 경우, 사용자가 물품을 꺼내기 위해 칼이나 가위 등 날카로운 도구를 이용하여 상자를 절단해야 한다. 그런데 날카로운 도구가 없는 경우, 뜯기 위한 번거로움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날카로운 도구가 있다 하더라도 도구의 힘 조절에 실패하는 경우, 물품이 훼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배송 상자에 부착된 테이프는, 배송 상자의 일단을 뜯는 과정에서 일단이 깔끔하게 뜯어지지 않고 수회 반복하여 뜯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테이프 강도를 증가시키게 되면 제작 비용 단가가 증가되어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물품이 배송되는 과정에서 배송 상자가 뜯어지지 않게 고정됨과 동시에 물품을 쉽고 간편하게 개봉할 수 있는 배송 상자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포장된 물품을 별도의 절단 도구 없이 안전하고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물품을 포장 및 배송하기 위한 상자 테이프 또는 접착부재의 사용을 줄여 포장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배송 상자는, 물품이 배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와 연결되고 측면을 지지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측벽부가 형성하는 공간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의 외측면과 맞닿아 고정 및 절단 가능하게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체결부는, 상기 측벽부의 외측면과 맞닿는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덮개부를 고정하는 접착부 및 상기 측벽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의 고정을 해제하는 절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절취부는, 상기 측벽부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적어도 두줄 이상의 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절취부는, 상기 적어도 두줄 이상의 절취선이 형성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보조 절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배송 상자의 측면의 강도를 보강하는 이중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이중 구조의 측벽부 끝단에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이중 구조의 측벽부가 고정되는 결합 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결합 홈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덮개부는, 상기 체결부를 제외한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의 고정을 유지시키는 보조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바닥부, 상기 측벽부, 상기 물품 수용부, 상기 덮개부, 상기 체결부는 하나로 이어진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절취선은, 상기 측벽부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한 절취선의 끝 단이 내측으로 110° 내지 130°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절취선은, 상기 평행한 절취선과 상기 절취선의 끝 단 사이 두께 방향으로의 간격이 2mm 내지 3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물품의 손상 없이 안전하게 배송 박스를 개봉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배송 상자 겉면에 상자를 포장하기 위한 테이핑 과정이 감소하여 포장 과정의 공수가 줄어들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단단한 소재의 배송 상자를 절취선을 따라 손으로 쉽게 뜯을 수 있어 물품 개봉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배송 상자가 일부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배송 상자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배송 상자의 A 영역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배송 상자가 조립된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배송 상자에 형성된 절취선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화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 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면들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구성을 갖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비 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을 부여하 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배송 상자가 일부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배송 상자의 전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배송 상자(100)는 바닥부(110), 측벽부(120), 덮개부(130) 및 체결부(140)를 포함한다.
바닥부(110)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바닥부(110)는 원형 형상 또는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닥부(110) 상에 배송 물품이 안착될 수 있다.
측벽부(121, 123, 125)는 바닥부(110)와 연결되어 형성되며 배송 상자(100)의 측면을 지지하고 배송 상자(100)에 배치된 물품을 보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측벽부(121, 123, 125)는 바닥부(110)와 소정 각도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직각을 이룰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후술하게 될 이중 구조를 가지지 않는 측벽부(121, 123)의 양 끝단에는 배송 상자(100)의 조립 및 내구성을 위한 보조 측벽부(121a, 123a)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배송 상자(100)는 물품을 단순히 포장하는 용도로 사용되지 않고, 물품을 원거리로 배송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송 상자(100)의 강도가 증대되어야 하는 바, 측벽부(125)는 이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측벽부(125)의 이중 구조를 위해 측벽부(125)는 접힘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끝단에 결합 돌기(125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부(110)에는 접힌 측벽부(125)와 이에 따른 결합 돌기(125a)를 수용할 수 있는 결합 홈(110a)이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130)는 하나의 측벽부(123) 상단에 연장 형성되며, 바닥부(110)와 측벽부(121, 123, 125) 사이에 물품이 배치되는 공간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덮개부(130)는 배송 상자(100)를 포장하고, 이를 개봉한 후에도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개폐를 위한 체결부(140) 및 보조 체결부(145)가 덮개부(130)의 일단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한 측의 측벽부(123)에 덮개부(130)를 따라 연장 형성된 체결부(140)는 반대편 측벽부(121)와 맞닿아 고정될 수 있다. 기존의 조립식 배송 상자 또는 배송 상자의 경우, 포장 과정에서 돌출부가 상자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삽입된 영역이 테이프로 고정되고 이를 절단 도구를 이용하여 해제한다. 반면, 본 고안의 배송 상자(100)는 측벽부(121)의 외측면과 맞닿은 체결부(140)가 고정 및 고정 해제의 역할을 수행하여 물품을 제공하는 사람과 물품을 받는 사람 모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체결부(145)는 체결부(140)를 제외한 덮개부(130)의 양 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송 상자(100)를 개봉한 후에도 덮개부(130)를 이용하여 빈틈없이 배송 물품을 보호할 수 있으며, 측벽부(121)의 상단에 형성된 개방 홈(121b)을 이용하여 배송 상자(100)를 쉽게 개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배송 상자(100)는 바닥부(110), 측벽부(120), 덮개부(130), 체결부(140)가 하나의 이어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고정을 위한 테이핑 과정이 최소화되어 배송 상자(100)의 제작 단가가 감소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배송 상자의 A 영역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배송 상자가 조립된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배송 상자에 형성된 절취선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체결부(140)는 측벽부(125)의 외측면과 맞닿는 일면에 접착부(141)를 구비하며, 이에 따라 배송 상자(100)의 덮개부(130)가 고정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접착부(141)는 체결부(140)의 끝단에 측벽부(125)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측벽부(125)의 일단과 동일한 길이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방향은 측벽부(125)의 가로, 세로 길이 중 더 긴 방향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배송 상자(100)의 고정력이 증대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접착부(141)는 측벽부(125)와 맞닿는 체결부(140) 일면의 표면 상에 테이프, 글루건, 풀 등과 같은 체결부재나, 체결부(140) 내부에 접착력을 가진 화학적 접착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체결부(140)는 접착부(141)와 평행한 길이 방향으로, 접착부(141)에 의해 고정된 덮개부(13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절취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배송 상자(100)의 절취부(143)가 한 줄의 절취선으로 구성되고, 절취부(143) 상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배송 상자(100)가 뜯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에 따라, 절취부(143)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적어도 두줄 이상의 절취선(143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취부(143)의 두줄 이상의 절취선(143b)은 지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 해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한 방향으로 꺾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절취선(143b)은 간격이 좁은 점선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두꺼운 소재의 배송 상자(100)를 절취부(143)의 끊어짐 없이 쉽게 뜯을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절취선(143b)의 측벽부 길이 방향으로 평행한 길이(D1)는 6~7mm, 복수 개의 절취선(143b) 간의 이격 거리(D2)는 1~3mm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평행한 길이(D1)는 6.5mm, 이격 거리(D2)는 2mm이며, 이에 따라, 배송 상자(100)의 절취선(143b)이 외력에 의해 개봉되지 않는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절취선(143b)의 끝 단은 내측으로 110° 내지 130°의 각도를 이룰 수 있으며, 평행한 절취선과 절취선의 끝 단 사이 두께 방향으로의 간격(H3)이 2mm 내지 3mm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취선(143b)의 끝 단은 120°의 각도를 이루며, 내측으로 2.5mm의 두께만큼 돌출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절취선(143b)을 이용하여 두꺼운 소재의 배송 상자(100)를 쉽게 뜯을 수 있다.
아울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절취부(143)는 일정한 간격(H2)을 이루며, 두줄 이상의 절취선(143b)으로 구성되는데, 이때 바람직한 간격(H2)은 15mm일 수 있다. 또한, 두줄 이상의 절취선(143b)이 이루는 내측 간격(H1)은 10mm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송 상자(100)를 최소한의 힘으로 용이하게 뜯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취부(143)의 절취선(143b) 형상에 따른 배송 상자(100) 개봉의 편의성은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표 1] 에 기재된 수치는 사용자가 절취부(143)를 이용하여 배송 상자(100)를 개봉하는 과정에서, 절취부(143)의 중간이 끊어지지 않고, 절취선(143b) 주변에 잔여물이 남지 않은 정도를 의미한다. 수치 범위는 0~5 사이이며, 숫자가 5에 가까울수록 배송 상자(100)가 깔끔하고 편리하게 뜯겨짐을 의미할 수 있다.
Figure utm00001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두꺼운 소재의 배송 상자(100)를 절취부(143) 중간의 끊어짐 없이 쉽게 뜯을 수 있도록, 절취부(143)는 접착부(141)의 고정력이 적용되는 거리 범위 내에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배송 상자(100)는 절취부(143)와 접착부(141)의 배치 간격으로 단단하게 고정하고, 배송 상자(100)의 간편한 고정 해제가 가능하여 접착부(141)의 보강을 위한 추가 비용이 들지 않아, 경제적일 수 있따.
아울러, 절취부(143)는 체결부(140)의 좌측 또는 우측 끝단에 절취 가이드(143c)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절취부(143)를 용이하게 덮개부(13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절취부(143)는 적어도 두줄 이상의 절취선(143b)이 형성하는 영역에 보조 절취부(143a)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절취부(143a)는 절취부(143)를 이용한 배송 상자(100)의 개봉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접착부(141)가 배치되는 면 상에 또는 체결부(14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절취부(143a)는 실, 비닐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절취부(143)가 중간에 끊기더라도 사용자는 보조 절취부(143a)를 이용하여 절취부(143)를 뜯어낼 수 있다. 또한, 보조 절취부(143a)를 부착함과 동시에 절취부(143) 상에 비닐 또는 파라핀을 코팅하여 절취부(143)를 이용하여 보다 쉽게 배송 상자(100)를 뜯어낼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배송 상자(100)는 도 4에 도시된 높이가 낮은 정육면체 외에도 물품을 감싸고 운반할 수 있는 다각형, 원형 등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배송 상자(100)를 수령한 사용자는 별도의 절단 도구(예. 칼, 가위)를 사용하지 않고 물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으며, 절단 도구의 사용으로 인한 물품 훼손 가능성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기존의 배송 상자(100)의 단단한 포장을 위해 사용되었던 테이프 소모가 줄어들어, 포장 과정에서 제작 단가가 줄어드는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 심으로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 고안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비록 본 명세서에 특정한 용어 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 이지 의미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특허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본질적인 기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형태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균등물은 현 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 능을 수행하도록 고안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배송 상자
110: 바닥부 110a: 결합 홈
121, 123, 125: 측벽부
121a, 123a: 보조 측벽부 121b: 개방 홈
125a: 결합 돌기
130: 덮개부
140: 체결부 141: 접착부
143: 절취부
143a: 보조 절취부 143b: 절취선
143c: 절취 가이드
145: 보조 체결부

Claims (10)

  1. 물품이 배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와 연결되고 측면을 지지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측벽부가 형성하는 공간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의 외측면과 맞닿아 고정 및 절단 가능하게 형성되는 체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측벽부의 외측면과 맞닿는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덮개부를 고정하는 접착부; 및
    상기 측벽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의 고정을 해제하는 절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상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는,
    상기 측벽부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적어도 두줄 이상의 절취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상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는,
    상기 적어도 두줄 이상의 절취선이 형성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보조 절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상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배송 상자의 측면의 강도를 보강하는 이중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상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구조의 측벽부 끝단에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이중 구조의 측벽부가 고정되는 결합 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결합 홈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상자.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체결부를 제외한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의 고정을 유지시키는 보조 체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상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상기 측벽부, 상기 물품 수용부, 상기 덮개부, 상기 체결부는 하나로 이어진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배송 상자.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상기 측벽부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한 절취선의 끝 단이 내측으로 110° 내지 130°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상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상기 평행한 절취선과 상기 절취선의 끝 단 사이 두께 방향으로의 간격이 2mm 내지 3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상자.
KR2020180000318U 2018-01-22 2018-01-22 배송 상자 KR2004899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318U KR200489914Y1 (ko) 2018-01-22 2018-01-22 배송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318U KR200489914Y1 (ko) 2018-01-22 2018-01-22 배송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922U true KR20190001922U (ko) 2019-07-31
KR200489914Y1 KR200489914Y1 (ko) 2019-08-28

Family

ID=67439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318U KR200489914Y1 (ko) 2018-01-22 2018-01-22 배송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914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2179U (ko) * 1996-05-09 1997-12-10 이응태 포장용 상자
JP3935599B2 (ja) * 1998-03-19 2007-06-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易開封密封カートン
JP2012091799A (ja) * 2010-10-25 2012-05-17 Kirin Brewery Co Ltd 包装箱
JP3183100U (ja) * 2013-02-13 2013-04-25 康男 広瀬 包装容器
KR20140062430A (ko) * 2011-05-26 2014-05-23 엠발라헤스 캅사, 에스.엘. 보관 및 선적 박스
JP2017036073A (ja) * 2015-08-11 2017-02-16 大日本商事株式会社 箱体用板材、箱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2179U (ko) * 1996-05-09 1997-12-10 이응태 포장용 상자
JP3935599B2 (ja) * 1998-03-19 2007-06-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易開封密封カートン
JP2012091799A (ja) * 2010-10-25 2012-05-17 Kirin Brewery Co Ltd 包装箱
KR20140062430A (ko) * 2011-05-26 2014-05-23 엠발라헤스 캅사, 에스.엘. 보관 및 선적 박스
JP3183100U (ja) * 2013-02-13 2013-04-25 康男 広瀬 包装容器
JP2017036073A (ja) * 2015-08-11 2017-02-16 大日本商事株式会社 箱体用板材、箱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914Y1 (ko)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49522A1 (en) Reusable container for retail display of electric cable components
KR200492642Y1 (ko)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
EP2379002B1 (en) Dental floss package
US5443205A (en) Shipping/display container
EP3484782B1 (en) Shelf-ready pack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426307Y1 (ko) 접착테이프 분리가 용이한 포장상자
JPH04352669A (ja) 包装構成要素
KR20190001922U (ko) 배송 상자
US20080197033A1 (en) Device for use in a carton or container holding a flanged window frame
KR200456896Y1 (ko) 종이상자
US11577896B2 (en) Packaging device
JP5602565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箱
JP6335946B2 (ja) 収容箱、および、カートン
EP2557046A1 (en) Packing case
JP5764614B2 (ja) 果実輸送用包装体
KR200491692Y1 (ko) 행거 배송 박스
US6497334B1 (en) Packaging of nozzle for pressurized dispensing containers
KR101718431B1 (ko) 포장용 케이스
US8479917B1 (en) Carrier for vase
KR102533561B1 (ko) 포장용 상자
JP4312073B2 (ja) ラップフィルム巻物収納箱
JP3148048U (ja) 包装用ケース
AU2009101275A4 (en) Improved Container
JP2008222257A (ja) 梱包材
KR200184300Y1 (ko) 계란재치판과 골판지를 이용한 계란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