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228A - 충치 예방용 스티커 - Google Patents

충치 예방용 스티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228A
KR20190001228A KR1020170080879A KR20170080879A KR20190001228A KR 20190001228 A KR20190001228 A KR 20190001228A KR 1020170080879 A KR1020170080879 A KR 1020170080879A KR 20170080879 A KR20170080879 A KR 20170080879A KR 20190001228 A KR20190001228 A KR 20190001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ooth
sticker
silica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8748B1 (ko
Inventor
윤현서
이민경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80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748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84Transdermal patches having a drug layer or reservoir, and one or more separate drug-free skin-adhesive layers, e.g. between drug reservoir and skin, or surrounding the drug reservoir; Liquid-filled reservoir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7Magnoliaceae (Magnolia family)
    • A61K36/575Magno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6Papaveraceae (Poppy family), e.g. bloodr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치 예방용 치아 스티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충치 예방용 치아 스티커는 점착층; 상기 점착층 상면에 적층되는 실리카층; 상기 실리카층 상면에 적층되는 약제층; 상기 약제층 상면에 적층되는 표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증은 상기 점착층 일면의 일부분 이상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점착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실리카층은 실리카(SiO2)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약체층은 기공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약제층은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충치 예방용 스티커{TEETH STICKER FOR TOOTH DECAY PREVENTION}
본 발명은 충치 예방용 치아 스티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충치 생성에 원인이 되는 세균 발효작용을 억제하여 충치가 예방될 수 있도록 하는 충치 예방용 치아 스티커에 관한 것이다.
충치(dental caries)의 발생 원인은 다양하나, 일반적으로 구강 내에 상주하는 세균의 발효작용에 의하여 치아에 부착된 음식 찌꺼기의 당분이나 전분 등의 탄수화물이 분해되어 생기는 젖산이 치아 경조직의 석회를 탈각시켜 충치가 발생한다. 이러한 충치를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로는 여러 종들이 알려져 있지만, 특히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가 충치 발생의 주 병원체 요인으로 작용한다(참조: Liljemark W.F. 등, Crit. Rev. Oral Bio. Med. 7: 180-198, 1996).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는 균체 외 또는 균체 표층에 글루코실 트랜스퍼라아제(glucosyltransferase, GTase)라는 효소를 분비함으로써 음식물 내 자당(sucrose)을 기질로 하여 글루코즈(glucose)와 프락토즈(fructose)를 생성하고, 동시에 글루코즈의 중합체인 불용성 글루칸(insoluble glucan)을 치면에 형성하게 된다. 이 글루칸에 의해 구강 내 다른 미생물들이 치면에 부착함으로써 치면 세균막 즉, 치태(dental plaque)를 형성하게 된다. 이 치태 내에서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균을 포함한 젖산균이 증식하여 프락토즈를 탄소원으로 젖산을 생성하고, 부착성 글루칸에 젖산이 포집, 농축된다. 이렇게 농축된 고농도의 산은 치아의 구성성분인 인산칼슘 중 Ca2 +를 녹아내리게 하여 치아의 외막인 법랑질(enamel)을 용해시킴으로서 충치를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참조: Sigmund, S.S. 등, J. Periodontol. 63: 322-331, 1992).
이러한 충치를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스포라마이신(sporamycin), 반코마이신(vancomycin), 클로로헥시딘(chlorhexidine) 등의 항생물질을 이용하는 방법, 유기 또는 무기 불소에 의한 병원성 세균의 억제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참조: Mcbain, A.J. 등, Appl. Environ. Microbiol. 69: 4770-4776, 2003). 그러나, 항생물질을 계속 이용하면 미생물이 내성을 갖게 되거나, 설사, 구토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항생물질의 남용으로 인해 구강 내 상재 균들의 생육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충치의 원인균을 제거하기 위해 지속적인 향균성을 전달하는 방법의 경우 가글 또는 양치하는 과정에서 구강 내부에 일시적인 향균성을 확보할 수 있지만 구강 내부의 충치 원인 균을 100%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충치 원인균이 다시 빠르게 증식할 수 있으며 음식 또는 음료를 섭취하는 과정을 통하여 상기 충치 원인균의 생육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치아에 지속적인 향균성이 제공하여 충치 원인균을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종래 치아에 사용되는 패치는 구강 내부에 수분이 많은 환경으로 스티커 형태로 부착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패치 형태로서 일시적인 치아가림 역할을 위한 것에 머물러 있다. 이에 수분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구강 내 환경에서도 그 부착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일정한 기능성을 부여하는 치아용 스티커를 개발하게 되었다.
KR 10-2016-0099379 A
본 발명의 목적은 수분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구강 내 환경에서도 그 부착성이 유지되면서도 치아 표면에 충치 원인균을 제거하거나 충치 유발효소를 억제하는 약제를 제공하여 지속적인 충치 예방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충치 예방용 치아 스티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에 부착되어 일상생활 중에 부착된 스티커가 치아에서 떨어지거나 박리되되는 문제가 없고, 이질감이 적은 충치 예방용 치아 스티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치 예방용 치아 스티커는 점착층(100); 상기 점착층 상면에 적층되는 실리카층(200); 상기 실리카층 상면에 적층되는 약제층(300); 상기 약제층 상면에 적층되는 표지층(400)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증은 상기 점착층 일면의 일부분 이상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점착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실리카층은 실리카(SiO2)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약체층은 기공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약제층은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실리카층(200)에 포함된 실리카는 평균입경이 0.1 내지 100 μm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실리카는 표면의 일부 이상이 왁스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물추출물은 노루귀(Hepatica asiatica)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물추출물은 태산목(Magnolia grandiflora) 추출물, 피나물(Hylomecon vernalis)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물추출물은 나노 캡슐화 되어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표지층(400)은 상면에 불소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에틸렌(PE), 염화비닐리덴(PVDC), PET, PVC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재료로 포함하는 코팅층(500)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물추출물의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500)의 어느 일면에 무늬 또는 색채가 인쇄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치 예방용 치아 스티커는 점착층(100); 상기 점착층 상면에 적층되는 실리카층(200); 상기 실리카층 상면에 적층되는 약제층(300); 상기 약제층 상면에 적층되는 표지층(400)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증은 상기 점착층 일면의 일부분 이상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점착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실리카층은 실리카(SiO2)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약체층은 기공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약제층은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점착층(100)을 치아에 직접 부착되어 충치 예방용 치아 스티커가 치아 표면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점착제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식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점착제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점착층(100)은 점착제를 상기 실리카층(200) 배면에 도포하여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점착층은 점착제를 상기 실리카층(200)의 배면의 일부분에 도포하여 첨착부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구강 내부는 침, 음식물 또는 음료 등을 섭취하는 통로가 되므로 항상 수분이 많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점착층이 구강내부에 존재하는 수분과 직접 닿을 경우 점착제가 가진 접착력이 저하되어 상기 충치 예방용 치아 스티커가 치아로부터 쉽게 떨어져나가는 문제가 있다. 즉, 구강 내부는 지속적으로 수분이 공급, 유지되는 환경을 가지고 있어, 그렇지 않은 손톱 또는 피부표면에 스티커가 부착되는 환경과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점착부를 구성하는 점착층의 경우 점착제가 도포되지 않는 부분으로 구강 내의 수분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경로 쪽으로 이동한 수분이 상기 실리카층(200)에 포함된 실리카의 다공질로 흡수되기 때문에 점착제와 구강 내 수분이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수분이 많은 구강 내 환경에서도 상기 점착층(100)의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점착층(100)이 상기 실리카층(200)의 배면 중 일부분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점착부를 이루면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실리카층(200) 배면 전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접착층(100) 형성된 경우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한 접착성을 접착성능과 지속가능한 접착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점착층(100)은 전면에 점착제가 도포되고, 기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기공으로 구강 내 수분이 실리카층(200)으로 이동하고, 약제층(300)에 포함된 식물 추출물이 치아 표면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층은 실리카(SiO2)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실리카층(200)은 구강 내의 수분을 흡수하여 상기 실리카층(200) 배면에 위치하는 점착층(100)의 접착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소하면서도, 상기 실리카층의 상면에 위치하는 약제층(300)에 포함되는 원인균을 제거하거나 충치 유발효소를 억제하는 식물 추출물이 실리카층(200)을 통하여 치아 표면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실리카층(200)에 포함된 실리카 입자는 상기 실리카층(200) 상면에 배치된 상기 약제층(300)에 포함된 상기 식물 추출물을 흡수하고, 상기 실리카층(200)의 배면쪽으로 구강 내 수분이 흡수되면, 상기 실리카 입자는 이미 흡수된 식물 추출물을 배출하면서 상기 구강내 수분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구강 내 수분 흡수에 따라 점착층의 접착력 감소 문제를 해소하면서도 상기 수분의 흡수 과정에서 약제층(300)에 포함된 식물 추출물과 같은 충치 억제 성분이 치아 쪽으로 이동하여 치아 표면에 직접 닿아 충치를 유발하는 원인균을 제거하거나 충치 유발효소를 억제하는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치아 표면에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항 충치 활성을 제공하면서도 구강 내 수분에 의한 스티커의 접착력 상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당 기간 치아에 부착되면서 지속적으로 충치 원인균을 제거하고 충치 유발 효소를 억제함으로서 충치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착층(100)이 치아표면에서 이탈되어 치아 부분이 다시 오염되거나 치아의 일부분에만 상기 식물 추출물이 도포되어 충치 억제 효과를 감소시키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약제층(300)은 기공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기공에 의하여 약제층에 포함된 식물 추출물이 실리카층(200)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약제층(300)은 불소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에틸렌(PE), 염화비닐리덴(PVDC), PET, PVC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합성수지 재료를 사용하거나 천연직물지 또는 종이재를 사용한 것으로 기공을 포함하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을 약제층(300)에 포함하게 하는 방식은 캡슐화, 직접 흡수 방식, 기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약제층(300)은 원인균을 제거하거나 충치 유발효소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실리카층에 포함된 실리카는 평균입경이 0.1 내지 100 μm인 것일 수 있다. 실리카 입자의 평균입경이 0.1 μm 미만인 경우 수분 흡수에 따른 약제 배출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수분흡수 및 약제층에 포함된 식물추출물을 치아 쪽으로 이동시키는 효과를 낼 수 없다. 반면 100 μ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포함된 다공질이 용량이 크게 감소하여 한번 사용으로 수분과 약제의 용량이 평형을 이루면서 수분 흡수 효과가 없게 되므로 점착층(100)의 접착성능이 저하되어 치아의 일부분에 충치 유발 효소가 제거되지 않으므로 치아 일부분부터 충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실리카층에 포함된 실리카는 평균입경이 0.3 내지 10 μm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수분흡수 및 약제층에 포함된 식물추출물이 이동하는 목적을 가장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는 표면의 일부 이상이 왁스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실리카 입자의 표면이 왁스로 코팅된 경우 실리카의 다공질의 입구를 상기 왁스가 막아 일부 경로에 의한 이동으로 수분 흡수에 따른 실리카에 흡수된 식물 추출물의 배출을 보다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수분흡수과정에서 표면에 형성된 왁스가 계속 벗져지면서 수분 흡수 및 약제 배출량을 주기적으로 늘려주기 때문에 충치 원인균 및 충치 유발 효소를 억제하는데 필요한 식물추출물의 공급의 주기를 조절하고 충치 예방용 치아 스티커의 수명을 크게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왁스는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왁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가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식물추출물은 노루귀(Hepatica asiatica)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식물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노루귀는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특성은 나무 밑에서 자라며 노루귀가 잘 자라는 곳의 토양은 비옥하고 양지식물이다. 키는 9 내지 14㎝이고, 잎은 길이가 5㎝이고, 3갈래로 난 잎은 난형이며 끝이 둔하고 솜털이 많이 나있다. 꽃은 흰색, 분홍색, 청색으로 꽃줄기 위로 한 송이가 달리고 지름은 약 1.5㎝ 정도이다. 열매는 6월에 달린다. 꽃이 피고 나면 잎이 나오기 시작하는데, 그 모습이 마치 노루의 귀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상기 노루귀 추출물은 충치유발 균인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균에 대한 향균 및 억제 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치아 또는 잇몸에 미치는 부작용이 없어 상기 충치 예방용 스티커의 약제로서 지속적으로 치아쪽으로 제공하여도 부작용의 문제가 없고 충지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식물추출물은 태산목(Magnolia grandiflora) 추출물, 피나물(Hylomecon vernalis)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태산목은 양옥란(洋玉蘭)이라고도 한다. 높이 약 20 내지 30m이며, 가지와 겨울눈에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거나 긴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고 길이 10 내지 20cm, 나비 5 내지 10cm이다. 끝이 둔하고 혁질(革質이다. 겉면은 짙은 녹색으로서 윤기가 있고 뒷면에는 갈색 털이 빽빽이 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길이 2 내지 3cm이다. 한편 꽃은 5 또는 6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지름 15 내지 20cm이고 가지 끝에 위를 향하여 1개씩 달린다. 향기가 강하고 꽃받침은 3개, 꽃잎은 9 내지 12개이다. 암술과 수술은 많으며 수술대는 자주색이다. 열매는 골돌과로서 9월에 익는데, 타원형이고 짧은 털이 나며 붉은 종자가 2개씩 나와서 붉은 실로 매달린다.
상기 피나물은 깊은산 숲속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잘 자라며, 뿌리줄기는 짧고 굵으며 여기서 잎과 꽃줄기가 나와서 높이 30cm 내외로 자라고 자르면 노란빛을 띤 붉은색 유액이 나온다. 잎은 깃꼴겹잎이고 작은잎은 넓은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불규칙고 깊게 패어진 톱니가 있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잎자루가 길고 줄기에서는 어긋나며 5개의 작은잎으로 되어 있다. 꽃은 양성화로 4 또는 5월에 피고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산형꽃차례에 1∼3개의 꽃이 달린다. 꽃자루는 길고 끝에 꽃이 1개씩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2개이고 꽃잎은 4개이며 윤기가 나는 노란색이다. 수술은 여러 개이다. 열매는 삭과로서 7월에 익는데, 좁은 원기둥 모양이며 길이 3 내지 5cm이고 많은 종자가 들어 있다. 풀 전체를 약용하고, 독성이 있으나 봄에 나물로 하기도 한다. 한국, 중국 만주, 헤이룽강, 우수리강 등에 분포한다.
상기 노루귀 추출물과 함께 상기 태산목 추출물 또는 상기 피나물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충치 원인균에 대한 향균 효과 및 충치 유발 효소를 억제하는 효과가 증대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노루귀 추출물; 상기 노루귀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태산목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 및 상기 피나물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충치 유발균에 대한 억제 활성이 크게 증가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함량으로도 높은 충치 억제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식물추출물은 나노 캡슐화 되어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나노 캡슐화 된 경우 일정한 농도가 유지되면서 치아 쪽으로 상기 식물 추출물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충치 예방용 스티커가 치아 표면에 부착된 동안에 우수한 충치 예방 효과를 낼 수 있다.
상기 표지층은 상면에 불소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에틸렌(PE), 염화비닐리덴(PVDC), PET, PVC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재료로 포함하는 코팅층(500)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에 의하는 경우 구강 내부에서의 이물감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코팅층의 어느 일면에 무늬 또는 색채가 인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색채 또는 무늬의 인쇄로 착용자로 하여금 외관으로 보여지는 치아형태를 꾸밀 수 있도록 하여 밝고 하얀 치아 또는 기타 심미감을 줄 수 있는 디자인을 인쇄하여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무늬 또는 색채의 인쇄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치 예방용 치아 스티커는 치아 표면에 부착되어 충치 원인균을 제거하거나 충치 유발효소를 억제하는 약제를 치아 쪽으로 지속적으로 방출함으로서 지속적인 충치 예방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치 예방용 치아 스티커는 치아에 부착되어 일상생활 중에 부착된 스티커가 치아에서 떨어지거나 박리되되는 문제가 없고, 이질감이 적은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치 예방용 치아 스티커를 도시한 단면도에 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치 예방용 치아 스티커를 도시한 단면도에 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1: 치아 스티커의 제조]
본 발명의 치아용 스티커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표 1과 같은 구성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치아용 스티커를 제조하였다. 하기의 표 1에서 일반점착층은 점착층 일면 전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점착층이 형성된 것을 말한다. 상기의 실리카층은 일정한 평균입경을 가지는 미분만 실리카를 포함하는 층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실시예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점착층 일반점착증 기공이 형성된 점착층 기공이 형성된 점착층 기공이 형성된 점착층 기공이 형성된 점착층 기공이 형성된 점착층
실리카층 - 평균 입경 0. 1 μm 평균 입경 0. 3 μm 평균 입경 10μm 평균 입경 20 μm 평균 입경 30 μm
약제층 과산화수소 과산화수소 과산화수소 과산화수소 과산화수소 과산화수소
표지층 PE 필름 PE 필름 PE 필름 PE 필름 PE 필름 PE 필름
하기의 표 1을 참조하면, 충치 예방 활성 보다 효과가 직접적으로 확인될 수 있는 치아 미백 활성을 통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치아 스티커의 부착성 및 약제층에 포함된 약제의 주기적 공급성능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에서 약제는 과산화수소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치아 스티커의 테스트]
상기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각 성인 10인에게 부착하게 하고 10일 간 평가하였다. 평가항목으로는 초기 부착성, 부착 유지력, 치아 미백활성 정도, 스티커 미백활성 수명을 평가하여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였다. 객관적인 평가를 위하여 상기 평가 기간 동안 시험자의 커피, 담배를 제한하였고, 음식류를 제한하였다. 상기 스티커 미백활성 수명은 실리카층의 입경 자체에 의한 수분 흡수와 약제 배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10인의 성인 중 5인을 선별하여 스티커 부착 후 5일이 되는 날 스티커를 제거하게 하고, 10일간 부착한 다른 5인의 시험자와 비교함으로서 미백활성의 수명을 비교 평가하여 지수로 산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냈었다. 하기의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비교예 실시예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초기부착성 8 9 9 9 9 9
부착유지력 2 7 8 9 7 6
치아미백활성 3 5 8 9 6 5
스티커 미백 활성 수명 2 6 10 10 6 5
(단위: 지수)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경우 전반적인 평가가 우수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특히 초기부착성의 경우 점착층에 기공이 형성되어 치아에 부착되는 형태가 오히려 더 안정적이었으며, 착용감이 편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비교예의 경우 침과 섞이면서 스티커가 이틀 이상을 버티기 어려웠으며, 금방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스티커가 떨어지는 과정에서 점착면이 벌어져 잇몸 쪽으로 과산화수소가 흘러나와 잇몸을 자극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실시예의 경우 부착유지력이 상당히 우수하였으며, 특히 실시예 3 및 4에 의하는 경우 부착성이 우수하고 지속적으로 구강 내 분비물과 과산화수소가 교체되면서 치아쪽으로 미백활성을 높이는 효과를 낼 수 있어 치아 미백활성 및 스티커 미백 활성 수명이 우수다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스티커를 사용하는 경우 부착성 및 부착유지력이 우수하다는 것과 약제층에 포함된 약제가 주기적으로 치아쪽으로 공급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2: 식물 추출물의 제조]
1. 노루귀(Hepatica asiatica) 추출물의 제조
노루귀에 20배 부피비의 4시간 동안 100℃에서 열수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한 뒤 상기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하고 감압하여 건조하여 노루귀 추출물(C1)을 제조하였다.
2. 태산목 (Magnolia grandiflora ) 추출물 및 피나물( Hylomecon vernalis ) 추출물의 제조
상기 노루귀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태산목 추출물(C2) 및 피나물 추출물(C3)을 제조하였다.
3. 혼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노루귀 추출물(C1), 태산목 추출물(C2) 및 피나물 추출물(C3)을 하기의 표 3과 같은 범위로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 M1 내지 M6를 제조하였다.
M1 M2 M3 M4 M5 M6
C1 100 100 100 100 100 100
C2 20 - 10 20 40 50
C3 - 20 10 20 40 50
(단위: 중량부)
[실험예 2: 식물 추출물의 충치 유발균 억제 효과실험]
상기 식물추출물 C 1 내지 C3,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 M1 내지 M6에 대한 향균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96well plate에 플레이트에 타액(saliva) 0.01 ml를 넣고 2시간 이상 건조를 진행한 뒤에 동일한 농도(2w%로 희석)로 상기 C1 내지 C3, M1 내지 M6를 주입하고,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균을 800ppm 주입한 뒤 35℃를 유지하면서 배양하였다. 비교예는 식물추출물을 처리 하지 않았다.
이후 24 시간 배양 결과 세균막을 염색하고 세척한 뒤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균막 생성율(%)을 하기의 표 4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control C1 C2 C3 M1 M2 M4 M5 M^
세균막 생성율 100 40 100 100 40 30 0 0 20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균이 상대적으로 많이 처리된 환경에서도 노루귀 추출물(C1)의 경우 충치 유발 활성을 일정 부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태산목 추출물(C2) 및 피나물 추출물(C3)의 경우 각각은 충치 유발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지만, 상기 노루귀 추출물과 혼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서 충지 유발을 억제하는 효과가 증진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M4, M5에 의하는 경우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가 상당히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치면상의 세균막 억제에 관한 실험]
상기 C1 내지 C3, M1 내지 M6의 추출물에 있어서 치면상의 세균막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추출물 별로 일주일 간 동일한 조건으로 구강관리를 한 5인에게 1일 간 칫솔질을 하지 못하도록 한 뒤 치태 축적도를 측정하였다. 이후 각 시험자의 치아 표면을 깨끗이 닦아내도록 하고, 2일 간 시험자에게 제공된 동일한 치약에 상기 추출물을 각각 혼합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후 각 시험자의 치면을 착색제로 염색하여 세균막의 부착정도를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여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 상기 지수는 증류수를 처리한 군을 1로 하고 다른 시험예를 비교 평가하였고, 각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세균막 형성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증류수 C1 C2 C3 M1 M2 M4 M5 M^
세균막 생성율 1 4 2 2 4 5 6 7 5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C1의 경우 치면에 세균막에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C1에 C2 및 C3가 혼합되는 경우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추출물의 혼합물 중에서는 M4 및 M5가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점착층
200: 실리카층
300: 약제층
400: 표지층
500: 코팅층

Claims (9)

  1. 점착층;
    상기 점착층 상면에 적층되는 실리카층;
    상기 실리카층 상면에 적층되는 약제층;
    상기 약제층 상면에 적층되는 표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증은 상기 점착층 일면의 일부분 이상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점착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실리카층은 실리카(SiO2)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약체층은 기공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약제층은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인
    충치 예방용 치아 스티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층에 포함된 실리카는 평균입경이 0.1 내지 100 μm인 것인
    충치 예방용 치아 스티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는 표면의 일부 이상이 왁스로 코팅된 것인
    충치 예방용 치아 스티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추출물은 노루귀(Hepatica asiatica) 추출물인 것인
    충치 예방용 치아 스티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추출물은 태산목(Magnolia grandiflora) 추출물, 피나물(Hylomecon vernalis)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인
    충치 예방용 치아 스티커.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추출물은 나노 캡슐화 되어 포함된 것인
    충치 예방용 치아 스티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층은 상면에 불소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에틸렌(PE), 염화비닐리덴(PVDC), PET, PVC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재료로 포함하는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충치 예방용 치아 스티커.
  8.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추출물의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인
    충치 예방용 치아 스티커.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어느 일면에 무늬 또는 색채가 인쇄된 것인
    충치 예방용 치아 스티커.
KR1020170080879A 2017-06-27 2017-06-27 충치 예방용 스티커 KR101958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879A KR101958748B1 (ko) 2017-06-27 2017-06-27 충치 예방용 스티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879A KR101958748B1 (ko) 2017-06-27 2017-06-27 충치 예방용 스티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228A true KR20190001228A (ko) 2019-01-04
KR101958748B1 KR101958748B1 (ko) 2019-03-15

Family

ID=65018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879A KR101958748B1 (ko) 2017-06-27 2017-06-27 충치 예방용 스티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7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5164A1 (en) * 2019-09-16 2021-03-25 Align Technology, Inc. Durable ornamental indicia carri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082B1 (ko) 2022-08-14 2023-03-09 김학선 구강 세균 포집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1218A (ja) * 1989-02-23 1990-09-04 Mitsui Toatsu Chem Inc 外用貼付剤
KR20040061731A (ko) * 2002-12-31 2004-07-07 주식회사 태평양 수용성 점착제 용액과 수용성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패취로구성되는 패취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치아 미백 방법
KR20050119914A (ko) * 2004-06-17 2005-12-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기능 복합 패치형 구강 조성물
JP2006305055A (ja) * 2005-04-28 2006-11-09 Finefoods Co Ltd 虫歯用絆創膏
KR20110037739A (ko) * 2009-10-07 2011-04-13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충치예방용 천연 가식성 항균필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99379A (ko) 2015-02-12 2016-08-22 한훈섭 치아 보호용 패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1218A (ja) * 1989-02-23 1990-09-04 Mitsui Toatsu Chem Inc 外用貼付剤
KR20040061731A (ko) * 2002-12-31 2004-07-07 주식회사 태평양 수용성 점착제 용액과 수용성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패취로구성되는 패취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치아 미백 방법
KR20050119914A (ko) * 2004-06-17 2005-12-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기능 복합 패치형 구강 조성물
JP2006305055A (ja) * 2005-04-28 2006-11-09 Finefoods Co Ltd 虫歯用絆創膏
KR20110037739A (ko) * 2009-10-07 2011-04-13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충치예방용 천연 가식성 항균필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99379A (ko) 2015-02-12 2016-08-22 한훈섭 치아 보호용 패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5164A1 (en) * 2019-09-16 2021-03-25 Align Technology, Inc. Durable ornamental indicia carrier
US11109946B2 (en) 2019-09-16 2021-09-07 Align Technology, Inc. Durable ornamental indicia carrier
CN114641257A (zh) * 2019-09-16 2022-06-17 阿莱恩技术有限公司 持久的装饰性标记载体
US11471253B2 (en) 2019-09-16 2022-10-18 Align Technology, Inc. Durable ornamental indicia c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8748B1 (ko) 201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95750B (zh) 一种活性消炎牙膏
KR20170029106A (ko) 유산균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20160090708A (ko) 동백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58748B1 (ko) 충치 예방용 스티커
Almas et al. Miswak (salvadora persica chewing stick) and its role in oral health; an update
KR101978365B1 (ko) 김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43508B1 (ko) 감귤 또는 라임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12181A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20170089737A (ko) 잣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내 위생증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60467B1 (ko) 구기자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1978377B1 (ko) 치아 미백용 스티커
KR101914491B1 (ko) 모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항균용 조성물
Topcuoglu et al. Antibacterial effect of Kenger gum on mutans streptococci and its cytotoxic effect on the 3T3 fibroblast cell line.
KR101893598B1 (ko) 무거품 치약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무거품 치약
KR101632910B1 (ko) 편백 추출물 및 생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13223B1 (ko) 편백 추출물 및 편백 정유을 포함하는 구강세정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9051778A (ja) ストレプトコッカス・ミュータンス(S.mutans)抗菌剤、抗う蝕剤、口腔用剤及びう蝕予防用飲食物
KR102230888B1 (ko) 치약 조성물
KR101978355B1 (ko)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95242B1 (ko) 구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균 억제용 항균 조성물
KR101219513B1 (ko) 구강세균의 증식에 의한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경구용 조성물
KR20170085703A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내 항염 및 구취 제거용 조성물
CN107362112B (zh) 一种护龈愈合牙膏
KR101217715B1 (ko) 구강세균의 증식에 의한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경구용 조성물
KR101011049B1 (ko) 알파-하이드록시산을 포함하며 가글 후 응고물이 형성되는 구강용 액상 조성물 및 치과구강용 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