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598B1 - 무거품 치약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무거품 치약 - Google Patents

무거품 치약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무거품 치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598B1
KR101893598B1 KR1020160072732A KR20160072732A KR101893598B1 KR 101893598 B1 KR101893598 B1 KR 101893598B1 KR 1020160072732 A KR1020160072732 A KR 1020160072732A KR 20160072732 A KR20160072732 A KR 20160072732A KR 101893598 B1 KR101893598 B1 KR 101893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t
composition
weight
toothpaste
propol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9997A (ko
Inventor
이상무
권이성
오명수
고혜민
방주연
김성민
신준혁
황동욱
박윤희
박범전
Original Assignee
(주)라파프로폴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파프로폴리스 filed Critical (주)라파프로폴리스
Priority to KR1020160072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598B1/ko
Publication of KR20170139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46Imid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2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fluo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품이 발생되지 않아서 소비자들이 치약 성분이 입안에 남아있는 기분을 감소시켜 기호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무거품 치약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무거품 치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아서 이로 인한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무거품 치약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무거품 치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치아우식증을 유발하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 mutans)균을 억제할 수 있는 무거품 치약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무거품 치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거품 치약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무거품 치약{A TOOTHPASTE COMPOSITION WITHOUT BUBBLES, AND THE TOOTHPASTE MANUFACTURED WITH THE COMPOSITION}
본 발명은 거품이 발생되지 않아서 소비자들이 치약 성분이 입안에 남아있는 기분을 감소시켜 기호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무거품 치약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무거품 치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아서 이로 인한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무거품 치약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무거품 치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치아우식증을 유발하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 mutans)균을 억제할 수 있는 무거품 치약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무거품 치약에 관한 것이다.
구강은 외부 환경과 직접 통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세균 등의 미생물이 항상서식하고 있으며, 구강에 서식하는 세균들에는 Streptococcus mutans, Porphyromonas gingivalis, Prevotella intermedia Prevotella nigrescens 등이 있다. 상기 구강 세균들은 보편적인 경우 인체의 면역 체계와 균형을 유지하며 서식하고 있으므로 문제를 유발하지 않는다.
그러나 구강의 환경은 영양학적, 생리학적으로 변수가 많으므로 특정 구강 세균이 우세하게 증식할 확률이 높으며, 따라서 구강 질환의 발생 빈도는 매우 높다 할 수 있다.
대표적인 구강 질환에는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이 있으며, 상기 구강 질환들은 구강 세균이 독력인자(vilurence factor)를 발현하여 발생한다. 독력인자란 독성(vilurence)을 보유한 모든 종류의 물질(단백질, 지질다당류, 협막, 편모, 항포식인자, 효소 등)을 일컫는다.
구강 세균의 독력인자인 gtfC 및 gtfD 유전자는 균체 외, 또는 균체 표층에 GTase(Glucosyltransferase)라는 효소를 분비하며, 상기 GTase는 음식물 중 자당(sucrose)을 분해하여 치아 표면에 불용성 글루칸(glucan)을 형성한다.
상기 글루칸이 구강 내 다른 미생물들과 치아 표면에 부착하여 치면세균막, 즉 바이오필름(biofilm)을 형성하는데, 이 과정에서 구강 세균의 독력인자인 gbpB 유전자는 상기 글루칸의 치아 표면 부착을 촉진하고, 구강 세균의 또다른 독력인자인 brpA는 내산성을 보유하여, 바이오필름의 안정성을 공고히 하는 역할을 한다.
치아우식증은 상기 바이오필름이 음식물 또는 타액 등과 상호 작용하여 유발되는 질환이며, 치주질환은 바이오필름이 축적되어 치은의 염증이 다른 치아 주위 조직으로 확산되고, 상기 확산된 치은의 염증이 치근막과 백악질을 변성시키고 치조골을 파괴시키는 질환이다.
이에 따라 구강 세균의 바이오필름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바이오필름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기존의 방안으로써, 양치, 스케일링 및 구강청결제 사용 등의 요법을 들 수 있다.
양치는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물질이 함유된 약제인 치약을 묻힌 솔로 치아 표면의 바이오필름을 긁어내는 원리이며, 스케일링은 초음파 기구 등을 사용하여 치아 표면의 바이오필름을 긁어내는 원리이다. 또한 구강청결제는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물질이 함유된 구강청결제를 구강 내에 일정 시간 머금어 구강을 세정하는 원리이다.
그러나 이러한 요법들에는 다음과 같은 부작용이 있다.
(a)양치 및 스케일링 : 부주의하거나 과도한 경우, 잇몸에 출혈 및 상처가 생기거나 치아가 시릴 수 있다.
(b)구강청결제 : 구강청결제는 과다하게 사용하였을시 우세하게 분포하는 구강 세균뿐 아니라 모든 구강 세균이 살균된다. 따라서 구강 내 세균 분포의 균형이 무너져 구강 내의 면역력이 감소되어 구강건조증 등의 질환이 유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요법들 중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요법은 양치인데, 이때 양치는 보통 식후 또는 취침 전에 수행함으로써 치아 내부에 찌꺼기 또는 세균을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즉, 양치 요법이 일반화됨에 따라 양치도구인 칫솔과 치약에 관련한 기술이 다수 개발되고 있는데, 특히 치약을 보면 치아의 표면장력을 감소시켜 구강 내 청량감을 제공하고 치아표면이 긁어내질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이를 위해 치약은 계면활성제를 조성물로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계면활성제에 의해 양치 중 거품이 발생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계면활성제에 대한 문제점이 다수 지적되고 있다.
일예로, 계면활성제의 피부 침투력에 의해 심장, 간, 폐 또는 뇌 등에 침투하여 각종 질환을 유발하며, 강알리성 성분이어서 건조를유발하고, 노화 및 트러블을 발생시키고, 지속적인 계면활성제의 누적에 의해 피부질환 또는 체내 유전자 변형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는 것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치약을 제조하되, 거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도록 하면서,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세정력을 갖는 치약을 제안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고자 한다.
한편, 치약에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4330호에 편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약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위에 기재된 기술은, 편백 추출물 및 정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치약용 조성물을 통해 항산화 효과, 항미생물 효과 및 구강 암세포 증식억제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특히 청구항 1을 참조하면 "편백나무로부터 유래한 편백 추출물; 및 편백나무로부터 수증기 증류하여 획득한 편백 정유(essential oi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치약용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위에 기재된 기술은 첫째로 본 출원인이 제안하고자 하는 조성물과 상이하고, 둘째로 기포제로서 계면활성제의 일종인 SLS(라우릴황산나트륨)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SLS 계면활성제는 이미 종래의 치약이나 샴푸 등에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상술된 계면활성제의 문제점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땡글맘의 좌충우돌 블로그(티스토리), http://seonissi.tistory.com/89 참조).
따라서 위의 기술은, 조성물에 의해 항산화, 항미생물 및 구강 암세포 증식억제의 효과를 갖을 수는 있으나, 계면활성제의 문제점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단점이 존재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4330호(2014.08.28.)
본 발명은 거품이 발생되지 않아서 소비자들이 치약 성분이 입안에 남아있는 기분을 감소시켜 기호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무거품 치약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무거품 치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아서 이로 인한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무거품 치약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무거품 치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치아우식증을 유발하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 mutans)균을 억제할 수 있는 무거품 치약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무거품 치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주성분은 알란토인 및 불화나트륨이고, 용제는 정제수이며, 감미제는 녹차추출물, 프로폴리스, 편백오일, 자일리톨, 삭카린나트륨 및 스테비오사이드이고, pH조절제는 구연산나트륨, 초산 및 구연산이며, 보존제는 파라옥시벤조산메틸이고, 청량화제는 L-멘톨이며, 습윤제는 글리세린이고, 착향제는 향료이며, 연마제는 이산화규소이고, 점증제는 카르복실메틸셀루로스이며, 항균제는 자몽종차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거품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여,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주성분 0.22 중량%, 용제 94.045 중량%, 감미제 2.705 중량%, pH조절제 0.3 중량%, 보존제 0.1 중량%, 청량화제 0.03 중량%, 습윤제 1.0 중량%, 착향제 0.5 중량%, 연마제 0.2 중량%, 점증제 0.8 중량% 및 항균제 0.1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거품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여,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프로폴리스 및 편백오일은, 1:1 비율이고, 총합은 0.0125mg/ml 내지 0.1mg/ml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거품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여,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거품이 발생되지 않아서 소비자들이 치약 성분이 입안에 남아있는 기분을 감소시켜 기호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아서 이로 인한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은 치아우식증을 유발하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 mutans)균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무거품 치약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프로폴리스를 각각 0.0125mg/ml, 0.025mg/ml, 0.5mg/ml 및 0.1mg/ml 첨가한 경우에 S. mutans 균의 활성을 흡광도로 측정한 결과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무거품 치약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편백을 각각 0.0125mg/ml, 0.025mg/ml, 0.5mg/ml 및 0.1mg/ml 첨가한 경우에 S. mutans 균의 활성을 흡광도로 측정한 결과이다.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무거품 치약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프로폴리스 및 편백을 1:1로 혼합하여 각각 0.0125mg/ml, 0.025mg/ml, 0.5mg/ml 및 0.1mg/ml 첨가한 경우에 S. mutans 균의 활성을 흡광도로 측정한 결과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실시예 1. 무거품 치약 조성물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를 미첨가하여 사용시 거품발생이 없는 치약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크게 주성분, 감미제, pH조절제, 용제, 보존제, 청량화제, 습윤제, 착향제, 연마제, 점증제 및 항균제를 성분으로 포함하는데, 상기 성분들의 특성 및 기능을 아래 [표 1]을 참조할 수 있다.
성분 특성 및 기능
주성분 중치예방, 치주질환 예방, 항산화작용 및 치석침착예방
감미제 치약의 맛을 조절
pH조절제 치약의 산도(pH) 조절
용제 용제, 정제수
보존제 치약의 보존성 확보를 위한 방부제
청량화제 치약의 청량감을 제공
습윤제 치약의 표면장력 감소, 계면활성제 대체
치약의 굳는 현상 방지
착향제 치약의 향을 조절
연마제 치아 연마 기능
점증제 치약의 점도를 조절
향균제 세균번식예방 및 세균치료
위의 [표 1]과 같은 각 성분은 주성분 0.22 중량%, 용제 94.045 중량%, 감미제 2.705 중량%, pH조절제 0.3 중량%, 보존제 0.1 중량%, 청량화제 0.03 중량%, 습윤제 1.0 중량%, 착향제 0.5 중량%, 연마제 0.2 중량%, 점증제 0.8 중량% 및 항균제 0.1 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성분 첨가를 위해 사용되는 조성물은 아래 [표 2]를 참조한다.
No. 성분 조성물 사용량(%) 비고
1
주성분
알란토인 0.2
불화나트륨 0.02
2 용제 정제수 94.045


3


감미제
녹차추출물 0.1
프로폴리스 1.0
편백오일 1.0
자일리톨 0.5
삭카린나트륨
(가용성)
0.005
스테비오사이드 0.1

4

pH조절제
구연산나트륨 0.2
초산 0.02
구연산 0.08
5 보존제 파라옥시
벤조산메틸
0.1
6 청량화제 L-menthol
(L-멘톨)
0.03
7 습윤제 글리세린 1.0
8 착향제 향료 0.5
9 연마제 이산화규소 0.2
10 점증제 카르복실메틸
셀루로스
0.8
11 항균제 자몽종자추출물 0.1
위의 [표 2]와 같이 본 발명은, 주성분으로 알란토인 및 불화나트륨을 포함하고, 용제로서 정제수를 포함하며, 감미제로 녹차추출물, 프로폴리스, 편백오일, 자일리톨, 삭카린나트륨 및 스테비오사이드를 포함하고, pH조절제로 구연산나트륨, 초산 및 구연산을 포함한다.
또한, 보존제로서 파라옥시벤조산메틸을, 청량화제로서 L-멘톨을, 습윤제로서 글리세린을, 착향제로서 향료를, 연마제로서 이산화규소를, 점증제로서 카르복실메틸셀루로스를, 항균제로서 자몽종차추출물을 이용한다.
그리고 각 조성물들은 위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 성분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프로폴리스 및 편백오일은 1:1의 혼합비로 혼합되도록 하며, 총 함량이 0.025mg/ml, 0.05mg/ml 및 0.1mg/ml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한다.
이때의 프로폴리스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프로폴리스(propolis)는 꿀벌이 생존과 번식을 위해 여러 식물에서 뽑아낸 수지(樹脂)와 같은 물질에 자신의 침과 효소 등을 섞어서 만든 물질로, 성분으로는 유기물과 미네랄(무기염류)이 가장 많고, 그 외 104종 정도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이 중 미네랄, 비타민, 아미노산, 지방, 유기산 및 플라보노이드 등은 세포 대사에 중요한 기능을 하며, 테르펜류 등은 항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항염, 항산화, 면역 증강에 효능이 있는데, 항염효과는 프로폴리스에 의해 체내의 프로스타그란딘을 생성하는 효소를 억제하기 때문이고, 항산화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활성산소를 제거하기 때문이며, 항암 효과는 케르세틴 등에 의해 암세포의 유전자가 복제되기 전에 차단함으로써 가능하다
특히 프로폴리스의 경우 항산화에 효능이 있기 때문에 대상의 산폐작용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대상이 음식인 경우 갈변정도를 저하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혼합된 프로폴리스(추출물)를 제조하는 일예를 설명한다.
1-1. 프로폴리스 에탄올 추출물 제조
프로폴리스는 브라질산 프로폴리스 원괴 70kg과 95% 알코올(주정) 280L를 중량기준 약 1:4의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랭크에 투입하여 교반날개로 교반시키면서 총 7~14일 동안 프로폴리스 원괴의 유효성분이 추출되도록 숙성한다.
그 후 여과를 수행한 뒤 농축온도 55~60℃ 및 진공도 680~720mmHg의 압력상태에서 감압증류방식으로 농축을 수행하여 프로폴리스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한다.
1-2. 편백오일 추출물 제조
편백은 전남 보성에서 획득한 편백잎을 통해 수증기 증류법으로 추출하여 편백오일 추출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는, 편백잎을 60~90% 알코올에 3~15시간 동안 침지시킨 뒤, 압력탱크를 이용해 2.0~5.0kgf/cm2 고압스팀 및 1.0~4.5kgf/cm2의 고압공기를 공급하고, 이 후 90~150℃의 온도에서 1.0~3.0kgf/cm2의 압력으로 설정된 압력탱크에서 수증기를 배출하고, 배출되는 수증기를 냉가시켜 응축수로 변환한 뒤, 상기 응축구를 편백오일과 편백수로 분리하여 편백오일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술된 한정사항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용매가 알코올 대신 물, 알코올, 에테르, 클로로포름, 플로필렌글리콜 등의 용매로 적용될 수 있으며, 편백잎 외에도 편백뿌리, 줄기 또는 가지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서, 편백잎을 침지한 뒤와 고압스팀과 고압공기를 공급하기 이전에 편백잎을 추출하여 추출된 추출물을 이용해 고압스팀과 고압공기를 공급하여 편백오일을 제조할 수도 있는데, 이때 추출은 마이크로파 반응기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5~10분의 시간 동안 50~300GHz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위에 한정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간 및 주파수 등 추출 조건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도 있으며, 추출법 또한 상기한 마이크로파 공정 추출법 외에도 용매 추출법, 이산화탄소 초임계 추출법, 수증기 증류추출법, 감압추출법, 퍼콜레이션 추출법 등의 다양한 추출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1-3. 혼합 추출물 제조
상기에서 제조된 프로폴리스 에탄올 추출물과 편백오일 추출물을 1:1 비율로 혼합한다. 다만, 1:1 비율로 혼합됨으로서 제조된 혼합 추출물의 총합은 0.0125mg/ml, 0.025mg/ml, 0.5mg/ml 및 0.1mg/ml가 되도록 제조된다.
즉, 1:1 비율로 혼합되므로 프로폴리스 에탄올 추출물 및 편백오일 추출물은, (a)혼합추출물의 총합이 0.0125mg/ml인 경우 각각 0.0062mg/ml씩 혼합되고, (b)총합이 0.025mg/ml인 경우 각각 0.0125mg/ml씩 혼합되며, (c)총합이 0.05mg/ml인 경우 각각 0.025mg/ml씩 혼합되고, (d)총합이 0.1mg/ml인 경우 각각 0.05mg/ml씩 혼합되는 것이다.
이때 혼합 추출물의 바람직한 총합은 아래 실험예들을 통해 후술하겠지만, 개략적으로 정리하여 보면, 0.025mg/ml, 0.5mg/ml 및 0.1mg/ml 중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인 사항은 실험예 1 내지 4를 통해 설명한다.
실험예 1.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S. mutans ) 성장억제 측정 실험
1-1. 실험재료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시예에 비롯한 프로폴리스에 대한 프로폴리스 에탄올 추출물과 편백에 대한 편백오일을 각각 0.0125mg/ml, 0.025mg/ml, 0.5mg/ml 및 0.1mg/ml로 하여 실험재료로 하였으며, 더불어 상기 프로폴리스 에탄올 추출물 및 편백오일을 1:1로 혼합하되 농도를 0.0125mg/ml, 0.025mg/ml, 0.5mg/ml 및 0.1mg/ml로 하여 실험재료로 하였다.
1-2. 실험방법
프로폴리스 에탄올 추출물과 편백오일을 농도별로 S. mutans에 대한 항균 활성을 관하기 위하여 BHI 액체배지에 각 실험재료를 첨가한 후, S. mutans를 접종하여 37℃의 항온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S. mutans 성장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는 BHI 액체배지를 기준으로 ELISA reader(molecular Cevices Co., CF., U.S.A.)를 이용하여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S. mutans 균을 1×108 CFU/ml이 되게 접종하였다.
1-3. 실험결과
본 실험에 따른 실험결과는 첨부된 도면의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무거품 치약 조성물에서 프로폴리및 0.1mg/ml 첨가한 경우에 S. mutans 균의 활성을 흡광도로 측정한 결과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무거품 치약 조성물에서 편백을 각각 0.0125mg/ml, 0.025mg/ml, 0.5mg/ml 및 0.1mg/ml 첨가한 경우에 S. mutans 균의 활성을 흡광도로 측정한 결과이며,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무거품 치약 조성물에서 프로폴리스 및 편백을 1:1로 혼합하여 각각 0.0125mg/ml, 0.025mg/ml, 0.5mg/ml 및 0.1mg/ml 첨가한 경우에 S. mutans 균의 활성을 흡광도로 측정한 결과이다.
먼저, 첨부된 도면의 도 1a 및 도 1b를 보면 프로폴리스와 편백의 첨가량이 증가할 수록 S. mutans 균의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S. mutans 균의 성장억제가 증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도 1c를 보면, 프로폴리스와 편백을 0.0062mg/ml씩 첨가하여 총 0.0125mg/ml를 첨가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각을 0.0125mg/ml, 0.025mg/ml 및 0.05mg/ml씩 첨가하여 총 0.025mg/ml, 0.05mg/ml 및 0.1mg/ml를 첨가하였을 때는 프로폴리스 또는 편백을 각각 첨가하였을 때보다 S. mutans 균의 활성 정도가 크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프로폴리스 및 편백을 1:1 비율로 하여 0.025mg/ml, 0.05mg/ml 및 0.1mg/ml를 첨가하는 경우 S. mutans 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정도가 크게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S. mutans ) 산 생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도 측정 실험
2-1. 실험재료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험예 1을 기반으로, 프로폴리스 및 편백을 1:1 비율로 하여 총 0.0125mg/ml, 0.025mg/ml, 0.05mg/ml 및 0.1mg/ml를 첨가한 것을 실험재료로 하였다.
2-2. 실험방법
프로폴리스 에탄올 추출물과 편백오일의 첨가에 따른 S. mutans에 의한 유기산 생성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예 1을 기반하여 각 실험재료에 S. mutans 균을 접종하여 24시간 배양 후 pH meter(ORIONSA 720, U.S.A.)로 pH를 측정하였다.
2-3. 실험결과
본 실험에 따른 결과는 아래의 [표 3]을 참조한다.
Conc.(mg/ml) pH
(배양 전)
pH
(배양 후)
편백 프로폴리스 NaF(0.1%)
0 0 - 7.31±0.00 5.25±0.00
0.00625 0.00625 - 7.32±0.00 5.31±0.00*
0.0125 0.0125 - 7.31±0.00 6.60±0.00*
0.025 0.025 - 7.31±0.00 7.29±0.01*
0.05 0.05 - 7.31±0.00 7.29±0.01*
- - NaF(0.1%) 7.28±0.00 7.28±0.00
위 [표 3]에 따르면, 배양하기 전의 pH 농도는 약 7.31의 수치를 나타냈으나, 배양한 후의 pH 농도는 편백 및 프로폴리스가 0.00625mg/ml 첨가된 경우에는 5.31±0.00으로 나타났고, 0.0125mg/ml 첨가된 경우에는 6.60±0.00으로 나타났으며, 0.025mg/ml 및 0.05mg/ml 첨가된 경우에는 7.29±0.01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값은 편백과 프로폴리스가 0mg/ml인 경우의 5.25±0.00에 비해 증가하기는 하였지만, 배양하기 전의 pH 농도에 비해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으므로, pH의 강하가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주성분은 알란토인 및 불화나트륨이고, 용제는 정제수이며, 감미제는 녹차추출물, 프로폴리스, 편백오일, 자일리톨, 삭카린나트륨 및 스테비오사이드이고, pH조절제는 구연산나트륨, 초산 및 구연산이며, 보존제는 파라옥시벤조산메틸이고, 청량화제는 L-멘톨이며, 습윤제는 글리세린이고, 착향제는 향료이며, 연마제는 이산화규소이고, 점증제는 카르복실메틸셀루로스이며, 항균제는 자몽종차추출물이고,
    상기 주성분 0.22 중량%, 용제 94.045 중량%, 감미제 2.705 중량%, pH조절제 0.3 중량%, 보존제 0.1 중량%, 청량화제 0.03 중량%, 습윤제 1.0 중량%, 착향제 0.5 중량%, 연마제 0.2 중량%, 점증제 0.8 중량% 및 항균제 0.1 중량%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로폴리스 및 편백오일은, 1:1 중량비로 혼합되되 총합은 0.0125mg/ml 내지 0.1mg/ml가 되도록 함으로써,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 mutans)균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지 않은 치약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지 않은 치약.
KR1020160072732A 2016-06-10 2016-06-10 무거품 치약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무거품 치약 KR101893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732A KR101893598B1 (ko) 2016-06-10 2016-06-10 무거품 치약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무거품 치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732A KR101893598B1 (ko) 2016-06-10 2016-06-10 무거품 치약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무거품 치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997A KR20170139997A (ko) 2017-12-20
KR101893598B1 true KR101893598B1 (ko) 2018-10-04

Family

ID=60931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732A KR101893598B1 (ko) 2016-06-10 2016-06-10 무거품 치약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무거품 치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5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6105B (zh) * 2018-01-05 2021-02-26 广州泓汇日化科技有限公司 一种止血、清利湿热牙膏及其制备方法
KR102343906B1 (ko) * 2021-09-24 2021-12-28 주식회사 실크바이오 세리신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89524A (ja) * 2013-03-27 2014-10-06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89524A (ja) * 2013-03-27 2014-10-06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997A (ko)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588B1 (ko) 동백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562923B (zh) 含有益生菌的口腔护理组合物及其在牙膏中的应用
CN102573769A (zh) 洁齿剂组合物
KR101893598B1 (ko) 무거품 치약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무거품 치약
KR102090119B1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CN102552082A (zh) 一种含有余甘子提取物的牙膏
KR101782858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60467B1 (ko) 구기자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1916377B1 (ko) 치아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73373B1 (ko)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KR102230888B1 (ko) 치약 조성물
RU2312657C2 (ru) Ополаскиватель для полости рта
KR101632910B1 (ko) 편백 추출물 및 생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95242B1 (ko) 구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균 억제용 항균 조성물
KR101807744B1 (ko) 프로폴리스 및 편백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면세균막 형성 원인균에 대한 항균 약제용 조성물
CN105726402B (zh) 龙须藤提取物在制备口腔护理品中的应用
KR101851990B1 (ko) 구강 세균의 독력인자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하는 편백 오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편백 오일
KR102343906B1 (ko) 세리신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380075B1 (ko) 노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8366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70103482A (ko) 연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15575B1 (ko) 개똥쑥과 죽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3494A (ko) 과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78208A (ko) 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미생물에 대한 항균 및 치아 미백용 조성물
KR20240011429A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케어 치약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