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157U - 중공형 강판 프레임 - Google Patents

중공형 강판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157U
KR20190001157U KR2020170005722U KR20170005722U KR20190001157U KR 20190001157 U KR20190001157 U KR 20190001157U KR 2020170005722 U KR2020170005722 U KR 2020170005722U KR 20170005722 U KR20170005722 U KR 20170005722U KR 20190001157 U KR20190001157 U KR 201900011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ar vertical
steel plate
vertical plate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준
Original Assignee
신성씨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씨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성씨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5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157U/ko
Publication of KR201900011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15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7/00Making rigid structural elements or units, e.g. honeycomb structures
    • B21D47/01Making rigid structural elements or units, e.g. honeycomb structures beam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2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 B21D39/021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for panels, e.g. vehicl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판을 절곡 성형하여 휨강성이 향상되어 풍압을 받는 태양전지판이나 외장재가 안정되게 설치되는 철물을 제작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중공형 강판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의한 중공형 강판 프레임은, 일정 두께의 강판을 성형하여 제작된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일정 폭을 갖는 하부판; 하부판의 일측에서 절곡시켜 수직으로 일정 높이만큼 입설시킨 전면수직판; 하부판의 타측에서 절곡시켜 상기 전면수직판의 높이보다 일정 길이만큼 더 높게 수직으로 입설시킨 후면수직판; 상기 후면수직판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절곡시켜 일정 길이만큼 겹침되도록 한 후면수직 상부걸림턱; 후면수직 상부걸림턱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단부에 ⊃형의 내측 시밍부를 갖는 상부 내측결합판; 상기 전면수직판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단부에 내측 시밍부와 ⊂형태로 밀착 결속되는 외측 시밍부를 갖는 상부 외측결합판;을 포함하여 단면에 길이 방향으로 사각 코어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공형 강판 프레임{Hollow steel plate frame}
본 고안은 중공형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판을 절곡 성형하여 휨강성이 향상되어 풍압을 받는 태양전지판이나 외장재가 안정되게 설치되는 철물을 제작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중공형 강판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판은 기본 전지패널을 모듈화 제작하여 철물에 설치된다. 태양전지판은 태양광에 잘 노출되도록 지붕이나 옥상, 경사지나 평지 등에 설치하고 있다. 이 경우 강풍이나 태풍 등 풍압에 안전하게 견디도록 철물에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건물 외벽에 시공되는 외장재의 경우에도 넓은 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층일수록 풍압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설치 구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본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730008호로서,' 태양관 모듈 설치 프레임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기둥들 위에 고정되는 제 1 지지부재들과, 상기 제 1 지지부재들 사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 1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브라켓에 의해 제 1 부재에 설치되는 제 2 지지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2 지지부재들에 의해 구획되어지는 구역에서 각 태양광듈의 측단부들에서 고정구들로 제 1 내지 4 지지부재들에 고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충분한 강성을 갖는 프레임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 배경기술은 지지부재들의 구조가 복잡하여 절곡 성형 가공할 수 없어 압출 방식으로 제작하여야 한다. 이 경우 강판으로 지지부재를 제작할 수 없어 강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배경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665898호로서, '태양광 모듈 프레임'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V-형상 또는 부분적 V-형상 절취부를 갖는 폐쇄형 프레임이 제공된다. 그러나 이 배경기술은 V-형상을 절곡시키는 과정에서 V자 홈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될 문제가 있다.
(0001)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730008호 (0002)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665898호
본 고안은 강판을 절곡 성형하여 휨강성이 향상되어 풍압을 받는 태양전지판이나 외장재가 안정되게 설치되는 철물을 제작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중공형 강판 프레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의한 중공형 강판 프레임은, 일정 두께의 강판을 성형하여 제작된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일정 폭을 갖는 하부판; 하부판의 일측에서 절곡시켜 수직으로 일정 높이만큼 입설시킨 전면수직판; 하부판의 타측에서 절곡시켜 상기 전면수직판의 높이보다 일정 길이만큼 더 높게 수직으로 입설시킨 후면수직판; 상기 후면수직판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절곡시켜 일정 길이만큼 겹침되도록 한 후면수직 상부걸림턱; 후면수직 상부걸림턱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단부에 ⊃형의 내측 시밍부를 갖는 상부 내측결합판; 상기 전면수직판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단부에 내측 시밍부와 ⊂형태로 밀착 결속되는 외측 시밍부를 갖는 상부 외측결합판;을 포함하여 단면에 길이 방향으로 사각 코어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 시밍부와 외측 시밍부는 사각 코어홀의 내측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 내측결합판에는 내측 시밍부를 사각 코어홀의 내측에 위치시키는 경사턱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중공형 강판 프레임에 따르면, 강판으로 절곡 성형되어져 단면 강성과 휨내력이 증가되어 철물의 제작에 사용되는 경우 풍압에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후면수직 상부걸림턱이 후면수직판에 의해 겹칩되어져 있어 후면수직 상부걸림턱의 직립 자세를 더욱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내측 시밍부와 외측 시밍부가 결합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한 상부 내측결합판 또는 상부 외측결합판에 체결공을 형성시킬 수 있어 태양전지판, 외장재 등 각종 판재나 부자재를 설치하기 위한 바탕철물이나 프레임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부걸림턱의 보강된 직립 자세를 갖기 때문에 태양전지판이나 외장재 등을 쉽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중공형 강판 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측면도.
도 3은 도 1의 중공형 강판 프레임의 양쪽 단부를 사선으로 절단하여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중공형 강판 프레임들의 예시도.
도 4는 도 3의 중공형 강판 프레임들을 적용한 철물의 제작예시도.
도 5는 도 4의 철물에 태양전지판을 설치한 과정을 보여준 예시도.
아래에서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중공형 강판 프레임(1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일정 두께(t)의 강판을 절곡 성형하여 제작된다. 중공형 강판 프레임(10)은 길이방향으로 일정 폭(w)을 갖는 하부판(101), 하부판(101)의 일측에서 절곡시켜 수직으로 일정 높이(h)만큼 입설시킨 전면수직판(102), 하부판(101)의 타측에서 절곡시켜 상기 전면수직판(102)의 높이(h)보다 일정 길이(s)만큼 더 높게 수직으로 입설시킨 후면수직판(103), 상기 후면수직판(103)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절곡시켜 일정 길이(s)만큼 겹침되도록 한 후면수직 상부걸림턱(104), 후면수직 상부걸림턱(104)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단부에 ⊃형의 내측 시밍부(105a)를 갖는 상부 내측결합판(105), 상기 전면수직판(102)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단부에 내측 시밍부(105a)와 ⊂형태로 밀착 결속되는 외측 시밍부(106a)를 갖는 상부 외측결합판(10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중공형 강판 프레임(10)은 하부판(101), 전면수직판(102), 후면수직판(103), 상부 내측결합판(105) 및 상부 외측결합판(106)에 의해 단면에 길이 방향으로 사각 코어홀(1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내측결합판(105) 및 상부 외측결합판(106)을 동일한 수평면상에 배치시키기 위해 내측 시밍부(105a)와 외측 시밍부(106a)는 사각 코어홀(110)의 내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사각 코어홀(110)은 정사각 또는 직사각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부 내측결합판(105)에는 내측 시밍부(105a)를 사각 코어홀(110)의 내측에 위치시키는 경사턱(105b)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중공형 강판 프레임(10)은 강판으로 절곡 성형되어져 도 3과 같이 다양한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중공형 강판 프레임(10)은 단면 강성과 휨내력이 증가되어 도 4와 같이 중공형 강판 프레임(10)들을 접합시켜 철물(200)을 제작하는 경우 풍압에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다. 중공형 강판 프레임(10)들간의 접합은 예로 용접이 될 수 있으나 그 밖의 다른 체결 수단(브라켓과 볼트 등)을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후면수직 상부걸림턱(104)이 후면수직판(103)에 의해 겹칩되어져 있어 후면수직 상부걸림턱(104)의 직립 자세를 더욱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내측 시밍부(105a)와 외측 시밍부(106a)가 결합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한 상부 내측결합판(105) 또는 상부 외측결합판(106)에 도시안된 체결공을 형성시킬 수 있어 태양전지판, 외장재 등 각종 판재나 부자재를 설치하기 위한 철물(바탕철물)이나 프레임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부걸림턱(104)의 보강된 직립 자세로 견고하게 상기 태양전지판이나 외장재 등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중공형 강판 프레임(10)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4개를 준비한 후 이를 접합시킴으로써 하나의 바탕철물(200)을 제작할 수 있다. 이 바탕철물(200)에 태양광 전지판(210)을 설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고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고안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중공형 강판 프레임
101: 하부판
102: 수직판
103: 후면수직판
104: 후면수직 상부걸림턱
105: 상부 내측결합판
105a: 내측 시밍부
105b: 경사턱
106: 상부 외측결합판
106a: 외측 시밍부
110: 사각 코어홀

Claims (3)

  1. 일정 두께(t)의 강판을 성형하여 제작된 프레임(10)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일정 폭(w)을 갖는 하부판(101);
    하부판(101)의 일측에서 절곡시켜 수직으로 일정 높이(h)만큼 입설시킨 전면수직판(102);
    하부판(101)의 타측에서 절곡시켜 상기 전면수직판(102)의 높이(h)보다 일정 길이(s)만큼 더 높게 수직으로 입설시킨 후면수직판(103);
    상기 후면수직판(103)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절곡시켜 일정 길이(s)만큼 겹침되도록 한 후면수직 상부걸림턱(104);
    후면수직 상부걸림턱(104)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단부에 ⊃형의 내측 시밍부(105a)를 갖는 상부 내측결합판(105);
    상기 전면수직판(102)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단부에 내측 시밍부(105a)와 ⊂형태로 밀착 결속되는 외측 시밍부(106a)를 갖는 상부 외측결합판(106);을 포함하여 단면에 길이 방향으로 사각 코어홀(1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강판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시밍부(105a)와 외측 시밍부(106a)는 사각 코어홀(110)의 내측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강판 프레임.
  3. 제 2항에 있어서,
    상부 내측결합판(105)에는 내측 시밍부(105a)를 사각 코어홀(110)의 내측에 위치시키는 경사턱(105b)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강판 프레임.
KR2020170005722U 2017-11-07 2017-11-07 중공형 강판 프레임 KR2019000115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722U KR20190001157U (ko) 2017-11-07 2017-11-07 중공형 강판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722U KR20190001157U (ko) 2017-11-07 2017-11-07 중공형 강판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157U true KR20190001157U (ko) 2019-05-15

Family

ID=6653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722U KR20190001157U (ko) 2017-11-07 2017-11-07 중공형 강판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15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2559A1 (ko) * 2019-07-03 2021-01-07 주식회사 네모이엔지 수상 태양광 설비용 부유식 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898B1 (ko) 2012-09-05 2016-10-12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오하이오 인코포레이티드 태양광 모듈 프레임
KR101730008B1 (ko) 2015-07-31 2017-05-12 황도익 태양광 모듈 설치 프레임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898B1 (ko) 2012-09-05 2016-10-12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오하이오 인코포레이티드 태양광 모듈 프레임
KR101730008B1 (ko) 2015-07-31 2017-05-12 황도익 태양광 모듈 설치 프레임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2559A1 (ko) * 2019-07-03 2021-01-07 주식회사 네모이엔지 수상 태양광 설비용 부유식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5731B2 (en) Solar panel rack
US8549800B2 (en) Bearing frame for a panel such as a photoelectric panel and building external wall including such frames
US9425732B2 (en) Solar panel rack
WO2014101246A1 (zh) 光伏板系统、光伏板固定装置及装设光伏板系统的方法
US9534380B2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KR102017846B1 (ko) 태양광모듈의 지주 베이스 구조
CN103924703A (zh) 一种剪切型防屈曲耗能支撑
JP5991512B2 (ja) 太陽光パネル架台
US20190338520A1 (en) Truss system and reinforcement
KR101730008B1 (ko) 태양광 모듈 설치 프레임 구조
KR20190001157U (ko) 중공형 강판 프레임
JP6915998B2 (ja) 壁材の取付具、壁構造、及び取付具の製造方法
JP2010090593A (ja) 床構造およびユニット式建物の施工方法
JP3827242B2 (ja) 鉄骨構造物の屋根受け部における柱梁継手構造
JP2016158379A (ja) パネル材支持構造
JP2010229771A (ja) 太陽エネルギー変換モジュールの配線引き込み構造及び太陽エネルギー変換モジュールを備える外装構造
CN210537787U (zh) 一种农业大棚几字钢梁
JP2016199882A (ja) バルコニーにおける手摺取付構造
KR101641334B1 (ko) 조립식 라운드 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공법
KR101695378B1 (ko) 유닛 모듈, 모듈러 건축물 및 모듈러 건축물의 제조방법
JP7401712B1 (ja) ソーラー屋根装置
JP6029317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7282569B2 (ja) 建物の施工方法
CN209779992U (zh) 一种无檩条屋面刚架梁下翼缘隅撑的连接结构
JP6527389B2 (ja) 屋根パネルユニットおよび建物の屋根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