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876U - 누름 소리가 발생되는 키보드 스위치 - Google Patents
누름 소리가 발생되는 키보드 스위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0876U KR20190000876U KR2020187000067U KR20187000067U KR20190000876U KR 20190000876 U KR20190000876 U KR 20190000876U KR 2020187000067 U KR2020187000067 U KR 2020187000067U KR 20187000067 U KR20187000067 U KR 20187000067U KR 20190000876 U KR20190000876 U KR 2019000087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ring
- moving spring
- assembly
- base
- gu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ergonomic functions, e.g. for miniature keyboards; characterised by operational sensory functions, e.g. sound feedback
- H01H13/8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ergonomic functions, e.g. for miniature keyboards; characterised by operational sensory functions, e.g. sound feedback characterised by tactile feedback fea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01H13/22—Driving mechanisms acting with snap a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01H13/706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sm between keys and layered keyboards
- H01H13/707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sm between keys and layered keyboards characterised by springs, e.g. Euler sp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Snap-action arrangements, i.e. in which during a single opening operation or a single closing operation energy is first stored and then released to produce or assist the contact movement
- H01H5/04—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5/14—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by twisting of torsion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3—Soun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5/00—Springs
- H01H2235/012—Euler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누름 소리가 발생하는 키보드 스위치는, 베이스(1)와 커버(2)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2)는 베이스(1) 상에 커버되어 수용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챔버에는 누름 어셈블리, 스프링(4)과 도통 어셈블리(5)가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4)은 누름 어셈블리 저부와 베이스(1)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누름 어셈블리 상단은 커버(2)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누름 어셈블리에는 누름 블록(31)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1) 상에는 가이드 경사면(11)과 탄성재(6)가 각각 설치되되, 상기 탄성재(6)의 일단부는 누름 블록(31)의 직하단에 위치하고, 가이드 경사면(11)의 직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누름 블록(31)은 가이드 경사면(11) 측변에 위치한다. 상기 키보드 스위치는 내부공간을 충분히 이용하여, 키보드 스위치가 최대한 작다는 전제하에서, 키보드 스위치가 누름과정에서 양호한 촉감을 갖도록 할 수 있고, 누름과정에서 소리를 발생하도록 하여, 오랫동안 슈퍼슬림형 키보드 스위치가 공간제한으로 인하여 큰 키보드 스위치와 같은 소리를 발생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사용자의 체험도를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키보드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름 소리가 발생하는 키보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의 수많은 조작은 키보드 스위치를 입력수단으로서 사용해야 하는데, 키보드 스위치의 좋고 나쁨은 입력 기기의 체험을 결정하기에, 키보드 스위치가 양호한 촉감과 음감(聲感)을 갖고 있어야 한다. 종래에 금속편을 이동 접촉 스프링으로서 사용하는 슬림형 키보드 스위치는 스위치 내부공간의 제한으로 인해 금속편의 탄성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누름촉감이 부족하다. 생산업체에서는 금속편 재료, 형상 등 각 방면에서 부단히 개선하여, 누르는 느낌을 증가하도록 하지만, 줄곧 누름 촉감에 대한 개선에만 한하다보니, 슬림형 키보드 스위치 내부 공간이 제한되어 여직껏 키보드 스위치처럼 누름 소리를 갖지 못하게 되었다.
상기 부족점에 대하여, 본 고안은 내부공간을 충분히 이용하여, 키보드 스위치가 최대한 작다는 전제하에서, 키보드 스위치가 누름과정에서 양호한 촉감을 갖도록 할 수 있고, 누름과정에서 소리를 발생하도록 하여, 오랫동안 슈퍼슬림형 키보드 스위치가 공간제한으로 인하여 큰 키보드 스위치와 같은 소리를 발생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사용자의 체험도를 향상시키는, 누름 소리가 발생하는 키보드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술적 해결방안은 아래와 같다.
베이스와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베이스 상에 커버되어 수용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챔버에는 누름 어셈블리, 스프링과 도통 어셈블리가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은 누름 어셈블리 저부와 베이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누름 어셈블리 상단은 커버 상단에 위치하는 누름 소리가 발생하는 키보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 어셈블리에는 누름 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상에는 가이드 경사면과 탄성재가 각각 설치되되, 상기 탄성재의 일단부는 누름 블록의 직하단에 위치하고, 가이드 경사면의 직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누름 블록은 가이드 경사면 측변에 위치한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재는 토션 스프링으로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스프링 바디, 스프링 바디 상단에 연결되는 제 1 단부, 및 스프링 바디 하단에 연결되는 제 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제 1 단부는 누름 블록 직하단까지 연장되고, 제 2 단부는 베이스 상에 고정연결되며, 상기 토션 스프링의 제 1 단부는 누름 블록 하면과 당접된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누름 어셈블리는 가이드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 블록은 가이드 코어 측변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 블록 단부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누름 블록은 전체적으로 삼각형을 이룬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누름 어셈블리는 가이드 코어와 평형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 블록은 가이드 코어 또는 평형 프레임 측변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 블록 단부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누름 블록은 전체적으로 삼각형을 이룬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누름 블록 하면과 누름 어셈블리의 각도가 90 도보다 크지 않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누름 블록 하면의 길이가 가이드 경사면 하면의 너비보다 작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내측 저부에는 가이드 로드가 상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로드 상에는 가이드 홀이 설치되며, 상기 누름 어셈블리 하단에는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위치결정 로드가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은 가이드 로드와 위치결정 로드 외측에 씌움설치된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통 어셈블리는 이동 스프링과 정지 스프링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이동 스프링은 이동 스프링 인출편, 이동 스프링 인출편 하단에 설치되는 제 1 삽입부, 및 이동 스프링 인출편 측면에 설치되는 압축부와 이동 촉점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스프링 인출편은 U 형을 이루며, 상기 이동 스프링 인출편은 좌측 이동 스프링 연결편, 우측 이동 스프링 연결편, 및 좌측 이동 스프링 연결편과 우측 이동 스프링 연결편 사이에 연결되는 호형 이동 스프링 연결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삽입부는 좌측 이동 스프링 연결편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부와 이동 촉점은 우측 이동 스프링 연결편 측변에 설치되며; 상기 정지 스프링은 정지 스프링 연결판, 정지 스프링 연결판 하단에 설치되는 제 2 삽입부, 및 정지 스프링 연결판에 설치되어 이동 촉점과 대응되는 정지 촉점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내측 저부 중앙위치에는 누름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중앙 수용홈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내측 저부와 중앙 수용홈의 좌측에 도통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좌측 수용홈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내측 저부와 중앙 수용홈의 우측에 탄성재가 삽입되는 우측 수용홈이 설치된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측 수용홈 내에는 좌측 이동 스프링 연결편이 삽입되는 제 1 슬롯, 압축부를 지지하기 위한 보스, 및 정지 스프링이 삽입되는 제 2 슬롯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우측 수용홈 내에는 토션 스프링의 스프링 바디가 삽입되는 제 3 슬롯, 및 토션 스프링의 제 1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 4 슬롯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 3 슬롯 측변에는 토션 스프링의 제 1 단부가 관통되는 개구가 설치된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내측 저부에는 위치 제한부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 제한부는 탄성재 일단부의 직상단에 위치하고, 누름 블록 측변에 위치한다.
본 고안의 유리한 효과는 아래와 같다.
누름 어셈블리 상의 누름 블록, 베이스 상의 가이드 경사면, 및 탄성재의 결합구조 설계에 의하면, 누름 어셈블리를 누르는 과정에서, 탄성재는 가이드 경사면에 의하여 누름 블록이 이탈되도록 이끌어, 탄성재가 위치에너지를 방출하여 베이스를 두드리면 소리가 나서, 키보드 스위치 내부공간을 충분히 이용하여, 키보드 스위치가 최대한 작은 전제하에서, 키보드 스위치가 누름과정에서 양호한 촉감을 갖도록 할 수 있고, 누름과정에서 소리를 발생하도록 하여, 오랫동안 슬림형 키보드 스위치가 공간제한으로 인하여 큰 키보드 스위치와 같은 소리를 발생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사용자의 체험도를 향상시켰다.
상기는 고안의 기술방안에 대한 개괄적인 서술로서, 이하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고안에 대해 더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실시예 1의 폭발 구조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베이스의 구조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부분 구조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다른 부분의 구조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탄성재의 구조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도통 어셈블리의 구조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의 누름 어셈블리의 구조도이다.
도 8은 실시예 2의 폭발 구조도이다.
도 1 은 실시예 1의 폭발 구조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베이스의 구조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부분 구조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다른 부분의 구조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탄성재의 구조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도통 어셈블리의 구조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의 누름 어셈블리의 구조도이다.
도 8은 실시예 2의 폭발 구조도이다.
본 고안이 예정된 목표에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한 기술적 수단 및 효과를 더한층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누름 소리가 발생하는 키보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베이스(1)와 커버(2)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2)는 베이스(1) 상에 커버되어 수용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챔버에는 누름 어셈블리, 스프링(4)과 도통 어셈블리(5)가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4)은 누름 어셈블리 저부와 베이스(1)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누름 어셈블리 상단은 커버(2)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누름 어셈블리에는 누름 블록(31)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1) 상에는 가이드 경사면(11)과 탄성재(6)가 각각 설치되되, 상기 탄성재(6)의 일단부는 누름 블록(31)의 직하단에 위치하고, 가이드 경사면(11)의 직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누름 블록(31)은 가이드 경사면(11) 측변에 위치하여 탄성재(6)를 누르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재(6)는 토션 스프링(6')으로서, 상기 토션 스프링(6')은 스프링 바디(61'), 스프링 바디(61') 상단에 연결되는 제 1 단부(62'), 및 스프링 바디(61') 하단에 연결되는 제 2 단부(63')를 포함하고, 상기 토션 스프링(6')의 제 1 단부(62')는 누름 블록(31) 직하단까지 연장되고, 제 2 단부(63')는 베이스(1) 상에 고정연결되며, 상기 토션 스프링(6')의 제 1 단부(62')는 누름 블록(31) 하면과 당접되는 바, 누름 어셈블리가 아래로 눌리울 때, 누름 블록(31)도 같이 눌리우게 되어, 베이스(1) 상의 가이드 경사면(11)이 토션 스프링(6')의 제 1 단부(62')가 누름 블록(31)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이끌어, 제자리로 스프링 백(springback)되어 복귀하면서 베이스(1)를 두드리면 소리가 발생한다.
아울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 어셈블리는 가이드 코어(3)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 블록(31)은 가이드 코어(3) 측변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 블록(31)은 전체적으로 삼각형을 이루고, 상기 누름 블록(31) 단부는 경사면(311)을 구비하여, 누름 블록(31)을 누를 때, 경사면(311)의 설치에 있어서, 토션 스프링(6')의 제 1 단부(62')가 누름 블록(31)으로부터 이탈하도록 이끄는 동작에 대해 더한층 이끄는 작용을 한다.
아울러 상기 누름 블록(31) 하면과 누름 어셈블리의 각도는 90 도 보다 크지 않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대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누름 블록(31) 하면의 길이는 가이드 경사면(11) 하면의 너비보다 작아, 누름 블록(31) 하면의 길이가 가이드 경사면(11) 하면의 너비보다 크거나 같으면, 누름 블록(31)을 누르는 과정에서, 토션 스프링(6')의 제 1 단부(62')가 가이드 경사면(11) 하단에 이동할 때, 토션 스프링(6')의 제 1 단부(62')는 여전히 누름 블록(31)으로부터 이탈될 수 없어, 누름 블록(31) 하면의 길이를 가이드 경사면(11) 하면의 너비보다 작게 설정해야만, 토션 스프링(6')의 제 1 단부(62')가 가이드 경사면(11)에서 부단히 경사지게 아래로 이동할 때, 가이드 경사면(11) 하단에 이동하지 못하고, 토션 스프링(6')의 제 1 단부(62')는 누름 블록(31)으로부터 이탈되어, 토션 스프링(6')이 제자리로 스프링 백되어 복귀하면서 베이스(1)를 두드리면 소리가 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 내측 저부에는 가이드 로드(12)가 상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로드(12) 상에는 가이드 홀(121)이 설치되며, 상기 누름 어셈블리 하단에는 가이드 홀(121)에 삽입되는 위치결정 로드(32)가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4)은 가이드 로드(12)와 위치결정 로드(32) 외측에 씌움설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통 어셈블리(5)는 이동 스프링(51)과 정지 스프링(52)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이동 스프링(51)은 이동 스프링 인출편(511), 이동 스프링 인출편(511) 하단에 설치되는 제 1 삽입부(512), 및 이동 스프링 인출편(511) 측면에 설치되는 압축부(513)와 이동 촉점(514)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스프링 인출편(511)은 U 형을 이루며, 상기 이동 스프링 인출편(511)은 좌측 이동 스프링 연결편(5111), 우측 이동 스프링 연결편(5112), 및 좌측 이동 스프링 연결편(5111)과 우측 이동 스프링 연결편(5112) 사이에 연결되는 호형 이동 스프링 연결편(5113)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삽입부(512)는 좌측 이동 스프링 연결편(5111)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부(513)와 이동 촉점(514)은 우측 이동 스프링 연결편(5112) 측변에 설치되며; 상기 정지 스프링(52)은 정지 스프링 연결판(521), 정지 스프링 연결판(521) 하단에 설치되는 제 2 삽입부(522), 및 정지 스프링 연결판(521)에 설치되어 이동 촉점(514)과 대응되는 정지 촉점(523)을 구비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 내측 저부 중앙위치에는 누름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중앙 수용홈(13)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1) 내측 저부와 중앙 수용홈(13)의 좌측에 도통 어셈블리(5)가 삽입되는 좌측 수용홈(14)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1) 내측 저부와 중앙 수용홈(13) 우측에 탄성재(6)가 삽입되는 우측 수용홈(15)이 설치된다. 상기 좌측 수용홈(14) 내에는 좌측 이동 스프링 연결편(5111)이 삽입되는 제 1 슬롯(141), 압축부(513)를 지지하기 위한 보스(142), 및 정지 스프링(52)이 삽입되는 제 2 슬롯(143)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우측 수용홈(15) 내에는 토션 스프링(6')의 스프링 바디(61')가 삽입되는 제 3 슬롯(151), 및 토션 스프링(6')의 제 1 단부(62')를 수용하기 위한 제 4 슬롯(152)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 3 슬롯(151) 측변에는 토션 스프링(6')의 제 1 단부(62')가 관통되는 개구(1511)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1) 내측 저부에는 위치 제한부(16)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 제한부(16)는 탄성재(6) 일단부의 직상단에 위치하고, 누름 블록(31) 측변에 위치한다.
실시예 2: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와 실시예 1의 주요한 구별점은 하기와 같다. 상기 누름 어셈블리는 가이드 코어(3)와 평형 프레임(7)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 블록(31)은 가이드 코어(3) 또는 평형 프레임(7) 측변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 블록(31) 단부는 경사면(311)을 구비하고, 상기 누름 블록(31)은 전체적으로 삼각형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평형 프레임(7)은 가이드 코어(3)에 대해 위치결정하여, 누름 어셈블리의 네개 모서리를 누를 때, 평형 프레임(7)은 누름 어셈블리의 중심축이 항상 베이스(1) 가이드 로드(12)의 중심축에 수직가능하도록 하여, 누름 과정에서, 누름 어셈블리가 경사지거나 키 걸림이 쉽게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키보드 스위치가 누름과정에서, 조작이 수월하고, 촉감이 자유롭고, 지압 촉감이 좋아지도록 보장한다.
본 고안의 작업원리는 아래와 같다.
사용할 때, 누름 어셈블리를 아래로 누를 때, 누름 어셈블리의 위치결정 로드(32)는 베이스(1)의 가이드 로드(12)의 가이드 홀(121)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여, 스프링(4)이 눌리우는 동시에, 이동 스프링(51)의 이동 촉점(514)과 정지 스프링(52)의 정지 촉점(523)이 접촉하도록 하여, 키보드 스위치를 도통시키고; 아울러, 누름 어셈블리를 아래로 누르는 과정에서, 누름 어셈블리 상의 누름 블록(31)이 탄성재 토션 스프링(6')의 제 1 단부(62')를 누르면, 토션 스프링(6')의 제 1 단부(62')는 베이스(1) 상의 가이드 경사면(11)을 통하여 누름 어셈블리 상의 누름 블록(31)으로부터 이탈되어, 탄성재는 위치에너지를 방출하여 키보드 스위치 베이스(1)를 두드려 소리를 내고; 누름 어셈블리 상의 누름힘이 제거될 때, 스프링(4)의 탄성 회복력으로 인하여, 누름 어셈블리가 위로 이동하여 누르기 전의 위치로 복귀하여, 이동 스프링(51)의 이동 촉점(514)과 정지 스프링(52)의 정지 촉점(523) 사이의 접촉이 차단되게 하여, 키보드 스위치를 차단한다.
본 고안의 중점은, 누름 어셈블리 상의 누름 블록, 베이스 상의 가이드 경사면, 및 탄성재의 결합구조 설계에 의하면, 누름 어셈블리를 누르는 과정에서, 탄성재는 가이드 경사면에 의하여 누름 블록이 이탈되도록 이끌어, 탄성재가 위치에너지를 방출하여 베이스를 두드리면 소리가 나서, 키보드 스위치 내부공간을 충분히 이용하여, 키보드 스위치가 최대한 작다는 전제하에서, 키보드 스위치가 누름과정에서 양호한 촉감을 갖도록 할 수 있고, 누름과정에서 소리를 발생하도록 하여, 오랫동안 슈퍼슬림형 키보드 스위치가 공간제한으로 인하여 큰 키보드 스위치와 같은 소리를 발생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사용자의 체험도를 향상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대해 어떠한 제한도 하지 않았기에, 본 고안의 상기 실시예와 같거나 유사한 기술특징을 사용하여, 얻어진 기타구조는 모두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 베이스와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베이스 상에 커버되어 수용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챔버에는 누름 어셈블리, 스프링과 도통 어셈블리가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은 누름 어셈블리 저부와 베이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누름 어셈블리 상단은 커버 상단에 위치하는 누름 소리가 발생하는 키보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 어셈블리에는 누름 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상에는 가이드 경사면과 탄성재가 각각 설치되되, 상기 탄성재의 일단부는 누름 블록의 직하단에 위치하고, 또한 가이드 경사면의 직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누름 블록은 가이드 경사면 측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소리가 발생하는 키보드 스위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재는 토션 스프링으로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스프링 바디, 스프링 바디 상단에 연결되는 제 1 단부, 및 스프링 바디 하단에 연결되는 제 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제 1 단부는 누름 블록 직하단까지 연장되고, 제 2 단부는 베이스 상에 고정연결되며, 상기 토션 스프링의 제 1 단부는 누름 블록 하면과 당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소리가 발생하는 키보드 스위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어셈블리는 가이드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 블록은 가이드 코어 측변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 블록 단부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누름 블록은 전체적으로 삼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소리가 발생하는 키보드 스위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어셈블리는 가이드 코어와 평형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 블록은 가이드 코어 또는 평형 프레임 측변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 블록 단부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누름 블록은 전체적으로 삼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소리가 발생하는 키보드 스위치.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블록 하면과 누름 어셈블리의 각도가 90 도보다 크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소리가 발생하는 키보드 스위치.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블록 하면의 길이가 가이드 경사면 하면의 너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소리가 발생하는 키보드 스위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측 저부에는 가이드 로드가 상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로드 상에는 가이드 홀이 설치되며, 상기 누름 어셈블리 하단에는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위치결정 로드가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은 가이드 로드와 위치결정 로드 외측에 씌움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소리가 발생하는 키보드 스위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통 어셈블리는 이동 스프링과 정지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 스프링은 이동 스프링 인출편, 이동 스프링 인출편 하단에 설치되는 제 1 삽입부, 및 이동 스프링 인출편 측면에 설치되는 압축부와 이동 촉점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스프링 인출편은 U 형을 이루며, 상기 이동 스프링 인출편은 좌측 이동 스프링 연결편, 우측 이동 스프링 연결편, 및 좌측 이동 스프링 연결편과 우측 이동 스프링 연결편 사이에 연결되는 호형 이동 스프링 연결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삽입부는 좌측 이동 스프링 연결편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부와 이동 촉점은 우측 이동 스프링 연결편 측변에 설치되며; 상기 정지 스프링은 정지 스프링 연결판, 정지 스프링 연결판 하단에 설치되는 제 2 삽입부, 및 정지 스프링 연결판에 설치되어 이동 촉점과 대응되는 정지 촉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소리가 발생하는 키보드 스위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측 저부 중앙위치에는 누름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중앙 수용홈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내측 저부와 중앙 수용홈의 좌측에 도통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좌측 수용홈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내측 저부와 중앙 수용홈의 우측에 탄성재가 삽입되는 우측 수용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소리가 발생하는 키보드 스위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수용홈 내에는 좌측 이동 스프링 연결편이 삽입되는 제 1 슬롯, 압축부를 지지하기 위한 보스, 및 정지 스프링이 삽입되는 제 2 슬롯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우측 수용홈 내에는 토션 스프링의 스프링 바디가 삽입되는 제 3 슬롯, 및 토션 스프링의 제 1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 4 슬롯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 3 슬롯 측변에는 토션 스프링의 제 1 단부가 관통되는 개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소리가 발생하는 키보드 스위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측 저부에는 위치 제한부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 제한부는 탄성재 일단부의 직상단에 위치하고, 또한 누름 블록 측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소리가 발생하는 키보드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610802371.0A CN106206130B (zh) | 2016-09-02 | 2016-09-02 | 一种产生按压声音的键盘开关 |
PCT/CN2017/103450 WO2018041270A1 (zh) | 2016-09-02 | 2017-09-26 | 一种产生按压声音的键盘开关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0876U true KR20190000876U (ko) | 2019-04-05 |
Family
ID=58067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7000067U KR20190000876U (ko) | 2016-09-02 | 2017-09-26 | 누름 소리가 발생되는 키보드 스위치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10650987B2 (ko) |
EP (1) | EP3509082B1 (ko) |
JP (1) | JP6578452B2 (ko) |
KR (1) | KR20190000876U (ko) |
CN (1) | CN106206130B (ko) |
DE (1) | DE212017000109U1 (ko) |
ES (1) | ES2927341T3 (ko) |
WO (1) | WO2018041270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0841U (ko) * | 2017-09-01 | 2020-04-27 | 동관 카이후아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 중간 발광 키 스위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206130B (zh) | 2016-09-02 | 2018-06-29 |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 一种产生按压声音的键盘开关 |
CN206379297U (zh) * | 2016-10-13 | 2017-08-04 | 余正明 | 一种带扭簧的薄型开关 |
CN106783327A (zh) * | 2017-01-23 | 2017-05-31 | 东莞市集贤电子有限公司 | 一种矮轴键盘开关 |
CN206758331U (zh) * | 2017-04-08 | 2017-12-15 |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 一种具有导芯限位功能的键盘开关 |
CN107680860A (zh) * | 2017-07-06 | 2018-02-09 |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 一种具有良好手感的按键开关 |
CN107180719A (zh) * | 2017-07-11 | 2017-09-19 | 东莞市高特电子有限公司 | 一种沉板式超薄光电机械键盘开关及键盘 |
CN107170615A (zh) * | 2017-07-11 | 2017-09-15 | 东莞市高特电子有限公司 | 一种沉板式超薄机械键盘开关及键盘 |
CN107437474A (zh) * | 2017-07-28 | 2017-12-05 | 东莞市高特电子有限公司 | 一种杠杆沉板式超薄机械键盘开关 |
CN107316769A (zh) * | 2017-07-28 | 2017-11-03 | 东莞市高特电子有限公司 | 一种杠杆沉板式超薄光电机械键盘开关 |
CN107393757B (zh) * | 2017-08-16 | 2020-09-29 | 刘二军 | 一种薄型键盘 |
CN107481880A (zh) * | 2017-09-27 | 2017-12-15 | 东莞市高特电子有限公司 | 一种光电感应机械键盘开关 |
CN107464710A (zh) * | 2017-09-27 | 2017-12-12 | 东莞市高特电子有限公司 | 一种方形薄型光电机械键盘开关 |
KR200488042Y1 (ko) * | 2018-01-19 | 2018-12-06 | 썬전 마티아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이중 돌출점 클램핑 스프링 음향 발생 키보드 스위치 |
CN109714038A (zh) * | 2019-02-03 | 2019-05-03 | 深圳市晶泰电子有限公司 | 轴体开关及带有轴体开关的键盘 |
USD948432S1 (en) * | 2020-09-27 | 2022-04-12 | Tmt Automation Inc. | Reed switch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12718A (ja) * | 1988-06-30 | 1990-01-17 | Omron Tateisi Electron Co | 押ボタンスイッチ |
CN1741219A (zh) * | 2005-09-06 | 2006-03-01 | Tcl国际电工(惠州)有限公司 | 一种按键式开关 |
CN204130403U (zh) * | 2014-09-26 | 2015-01-28 |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 可切换有声/无声的微动开关 |
CN204348569U (zh) * | 2014-11-19 | 2015-05-20 | 余正明 | 一种新型键盘开关 |
CN104992854B (zh) | 2014-12-29 | 2017-12-15 | 余正明 | 一种薄型开关 |
CN106206130B (zh) | 2016-09-02 | 2018-06-29 |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 一种产生按压声音的键盘开关 |
CN206022174U (zh) * | 2016-09-02 | 2017-03-15 |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 一种产生按压声音的键盘开关 |
-
2016
- 2016-09-02 CN CN201610802371.0A patent/CN106206130B/zh active Active
-
2017
- 2017-09-26 ES ES17845572T patent/ES2927341T3/es active Active
- 2017-09-26 KR KR2020187000067U patent/KR20190000876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7-09-26 EP EP17845572.1A patent/EP3509082B1/en active Active
- 2017-09-26 WO PCT/CN2017/103450 patent/WO2018041270A1/zh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09-26 JP JP2018545142A patent/JP6578452B2/ja active Active
- 2017-09-26 DE DE212017000109.7U patent/DE212017000109U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18
- 2018-11-13 US US16/188,316 patent/US10650987B2/en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0841U (ko) * | 2017-09-01 | 2020-04-27 | 동관 카이후아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 중간 발광 키 스위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6206130A (zh) | 2016-12-07 |
WO2018041270A1 (zh) | 2018-03-08 |
EP3509082A4 (en) | 2020-07-08 |
EP3509082A1 (en) | 2019-07-10 |
CN106206130B (zh) | 2018-06-29 |
EP3509082B1 (en) | 2022-08-03 |
JP6578452B2 (ja) | 2019-09-18 |
DE212017000109U1 (de) | 2018-11-27 |
US10650987B2 (en) | 2020-05-12 |
JP2019519061A (ja) | 2019-07-04 |
US20190096606A1 (en) | 2019-03-28 |
ES2927341T3 (es) | 2022-1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00876U (ko) | 누름 소리가 발생되는 키보드 스위치 | |
CN106158481B (zh) | 键盘开关 | |
US10854400B2 (en) | Thin type mechanical keyboard switch | |
CN104882316B (zh) | 一种键盘开关内产生按压声音的方法 | |
KR20190001680U (ko) | 박형 광전기계식 키보드 스위치 | |
CN107393758B (zh) | 一种无凸起按挚的薄型开关 | |
CN104111699A (zh) | 固定结构 | |
CN104796505A (zh) | 智能终端 | |
JP2009224127A (ja) | 複合操作型入力装置 | |
CN207993745U (zh) | 一种按压发声的按键开关 | |
CN207765380U (zh) | 一种火线和零线都可断开的断路器 | |
CN207883563U (zh) | 一种无凸起按挚的薄型开关键盘 | |
WO2018188485A1 (zh) | 一种具有高平衡性的超薄按键开关 | |
CN211319183U (zh) | 一种键盘套件 | |
CN210168026U (zh) | 一种触摸开关按键 | |
CN207441526U (zh) | 一种中间发光的按键开关 | |
CN214797150U (zh) | 用于双电源转换开关的弹簧机构及双电源转换开关 | |
CN219016943U (zh) | 鼠标 | |
KR20130051393A (ko) | 가동 접촉자를 지지하는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회로차단기 | |
KR101255263B1 (ko) | 눌림 촉감을 개선한 키보드용 키 | |
CN220171971U (zh) | 按键结构及键盘 | |
CN220474550U (zh) | 一种断路器 | |
CN216528542U (zh) | 一种稳定型按钮开关 | |
CN203189855U (zh) | 一种拉出式龙头的按钮结构 | |
CN211182009U (zh) | 机械开关、电路结构以及键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