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783U -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 - Google Patents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783U
KR20190000783U KR2020190000743U KR20190000743U KR20190000783U KR 20190000783 U KR20190000783 U KR 20190000783U KR 2020190000743 U KR2020190000743 U KR 2020190000743U KR 20190000743 U KR20190000743 U KR 20190000743U KR 20190000783 U KR20190000783 U KR 201900007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present
cut
stairs
t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7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0267Y1 (ko
Inventor
이대근
Original Assignee
(주)대길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길산업 filed Critical (주)대길산업
Priority to KR20201900007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267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7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7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2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2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6Surfaces thereof; Protecting means for edges or corners thereof
    • E04F11/17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에 관한 것으로서, 평판의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판면을 일정 간격마다 일정 형상으로 절단시킨 절단홀(20); 절단한 절단홀(30)의 주면을 따라 일정 폭이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하는 논슬립 돌기(30)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계단을 이루는 디딤판으로 적용하거나 기존의 디딤판에 용접에 의해 덧대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인 계단 사용이 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Non-slip steel stepping board for stairs}
본 고안은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판의 판면에 일정 형상으로 일정 폭이 융기되도록 한 논슬립 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게 함으로써 형상적인 심미감과 함께 미끄럼 방지 및 이물질의 배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단은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다른 위치를 연결하는 하나의 수직 연결수단으로서,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서 그 형태도 매우 다양하게 형성되고 있다.
즉, 건축물에서는 거푸집을 사용한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계단을 형성하지만 조선소나 대형 구조물 건조현장 등과 같은 곳에서는 계단의 거푸집 자체를 철골로 제작하여 양측에 계단측판을 장착하고, 여기에 철판을 절곡하여 만든 계단층을 연속하여 장착시키는 철골방식의 계단도 있다.
계단은 건축물에서와 같이 건축물에 고정된 구성으로 형성되기도 하지만 이동식으로 형성되기도 하고, 최근에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와 목재를 혼합한 합성목재를 사용하여 디딤판을 형성하기도 한다.
일반적인 사람들이 이용하는 계단은 누구나 안전한 사용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계단의 디딤판 선단으로만 논슬립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산업현장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이 사용하는 계단은 단순히 논슬립 구조만으로는 안전을 보장받을 수가 없다.
특히, 야외 현장에서 주로 사용하게 되는 계단은 비나 눈에 노출되므로 단순한 구성의 논슬립 구조만으로는 근로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등록특허 제1308627호(철골계단 디딤판 조립체)와 등록실용신안 제0343325호(조립식 철골계단의 구조)는 종전의 철골방식의 계단을 제안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선등록 계단에서는 디딤판을 철판으로 형성하면서 판면으로 요철을 형성하거나 각 디딤판 산단에 요철로 이루어지는 논슬립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외에도 철판을 디딤판으로 하는 계단에는 사다리식 계단도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서 계단의 철판 디딤판은 단지 요철을 형성하여 논슬립 기능을 하도록 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망형상으로 형성되게 하기도 하였으나, 동절기에 눈이 내리거나 비가 오게 되면 논슬립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여 추락 또는 낙상의 산업 재해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등록특허 제1308627호(2013.09.09) (문헌 2)등록실용신안 제0343325호(2004.02.17.)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평판의 판면으로부터 일정 형상으로 판면이 융기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장시간의 사용에도 안정되게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다 다양한 형상으로 논슬립 돌기를 형성할 수가 있으므로 디자인적으로 더욱 심미감을 주는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논슬립 돌기에 의해 형성되는 절단홀을 통하여 공기의 유동과 함께 이물질들의 배출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은, 평판의 본체; 상기 본체의 판면을 일정 간격마다 일정 형상으로 절단시킨 절단홀; 절단한 절단홀의 주면을 따라 일정 폭이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하는 논슬립 돌기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상기 절단홀은 상기 본체의 판면을 일정 길이 절개한 절개면 양측의 일정 폭을 톱니모양으로 절단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평판의 본체는 선단이 일정 각도로 하향 절곡되도록 하여 정면 커버면을 형성한다.
상기 정면 커버면에는 상기 논슬립 돌기와의 동일 선상에서 일정 형상으로 판면의 일부가 절단되도록 하여 정면 문양을 형성한다.
상기 논슬립 돌기는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하며, 양측의 단부쪽으로 점차 돌출 높이가 낮아지게 하여 바닥판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은 철제 판면을 일정 형상과 높이로서 융기시키도록 한 것이므로 장기간 사용에도 변형이나 마모가 방지되는 동시에 안정된 미끄럼 방지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논슬립 돌기를 보다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가 있어 더욱 디자인적으로 심미감을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디딤판은 논슬립 돌기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절단홀을 통하여 각종 이물질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보다 위생적인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을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을 계단에 적용한 사용 상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의 정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은 본체(10)와 절단홀(20) 및 논슬립 돌기(3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고안의 본체(10)는 일정한 두께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철판이다.
본체(10)는 다양한 폭과 길이로 형성이 가능하며, 적용되는 분야에 적절한 사이즈로서 제작된다.
다만, 본체(10)는 디딤판이 되는 부위이지만 전방으로 일정 높이가 수직으로 하향 절곡되는 구성으로도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본체(10)는 전방으로 일정 폭이 더 연장되게 형성되도록 하여 이 부위를 수직으로 하향 절곡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절곡면은 계단에서 정면 커버면(11)을 이루면서 본체(10)의 단부가 갖는 날카로움이 제거되도록 하는 동시에 본체(10)의 휨강도가 더욱 강해지도록 한다.
다시 말해 본체(10)의 전단부를 절곡시키게 되면 단부의 날카로움은 없어지게 되므로 보다 안전한 사용을 제공할 수 있으며, 평면보다는 절곡면이 휨강도에는 더욱 강할 뿐만 아니라 지지 구조물과의 결합력 또한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정면 커버면(11)은 단순한 평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나,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정면 커버면(11)을 다양한 형상으로 절단하여 다양한 이미지로서 구현도 가능하다.
즉, 정면 커버면(11)에는 판면의 일부가 절단되도록 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정면 문양(12)이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일면이 톱니모양으로 절단되도록 하면서 판면 일부가 제거되도록 한 형상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고안의 절단홀(20)은 본체(10)의 판면에서 일정 간격마다 일정 형상으로 절단되도록 한 수직의 관통홀이다.
절단홀(20)은 레이저 가공 등을 통해 판면의 일정 길이가 절단되도록 하여 형성되는 구성이므로 절단하게 되는 형상에 따라서 좀더 다양한 형상으로의 구현이 가능하다.
절단홀(20)은 논슬립 돌기(30)에 의해 형성되며, 다만, 본 고안의 논슬립 돌기(30)는 절단홀(20)의 양측 주면을 따라 일정 폭을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논슬립 돌기(30)는 절단한 절단홀(20)의 주면을 따라 일정 폭이 상향 돌출되게 하여 형성한다.
본체(10)로부터 상향 절곡되게 형성되는 논슬립 돌기(30)는 평면에서 보아 타원형 또는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논슬립 돌기(30)는 길이 중간 부위의 돌출 높이가 가장 높고, 양측으로 가면서 돌출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하여 바닥판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한다.
이때의 논슬립 돌기(30)는 본체(10)로부터 70°~90°의 각도로 절곡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 중 미설명부호 13은 금형 고정홀이다.
상기한 구성의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을 이용한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은 그 자체로 양측 단부를 계단 프레임에 일정 높이 차를 두고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기존의 계단에 용접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을 계단에 적용한 사용 상태도로서,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의 철제 계단에 연결한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주로 철제로 구비되는 계단(40)에 연결해서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산업현장의 계단 뿐만 아니라 조선소의 작업용 계단, 화물용 기차와 같은 사다리형 계단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계단에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은 판면 자체를 절단하고 프레싱에 의해 절곡하는 간단한 가공에 의해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어디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발판에서의 미끄러짐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보다 안전한 계단 이용을 할 수가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기존의 계단을 제거하거나 철거하지 않아도 간단히 용접에 의해 장착이 가능하므로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도록 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경제적 이점이 있다.
한편, 논슬림 돌기(30)의 형상을 다양화할 수가 있어 철 구조물이 주는 차가운 느낌을 보다 부드럽게 전환시킬 수가 있으며, 오랜 사용에도 마모나 손상없이 안정적으로 미끄럼 방지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갖도록 하고 있다.
특히, 절단홀(20)을 통한 이물질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므로 항상 청결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본체 11 : 정면 커버면
12 : 정면 문양 20 : 절단홀
30 : 논슬립 돌기 40 : 계단

Claims (6)

  1. 평판의 본체;
    상기 본체의 판면을 일정 간격마다 일정 형상으로 절단시킨 절단홀;
    절단한 절단홀의 주면을 따라 일정 폭이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하는 논슬립 돌기;
    를 구비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홀은 상기 본체의 판면을 일정 길이 절개한 절개면 양측의 일정 폭을 톱니모양으로 절단되도록 하는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선단이 일정 각도로 하향 절곡되도록 하여 정면 커버면을 형성하는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면 커버면에는 상기 논슬립 돌기와의 동일 선상에서 일정 형상으로 판면의 일부가 절단되도록 하여 정면 문양을 형성하는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 돌기는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하는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 돌기는 양측의 단부쪽으로 점차 돌출 높이가 낮아지게 하여 바닥판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하는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
KR2020190000743U 2019-02-22 2019-02-22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 KR2004902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743U KR200490267Y1 (ko) 2019-02-22 2019-02-22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743U KR200490267Y1 (ko) 2019-02-22 2019-02-22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783U true KR20190000783U (ko) 2019-03-27
KR200490267Y1 KR200490267Y1 (ko) 2019-10-21

Family

ID=65891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743U KR200490267Y1 (ko) 2019-02-22 2019-02-22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267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427Y1 (ko) * 1991-12-18 1996-10-21 채동숙 계단용 미끄럼 방진물의 설치구조
KR200330867Y1 (ko) * 2003-08-01 2003-10-22 유민호 무늬와 야광으로 논스립이 구성된 계단용 디딤판.
KR20080100303A (ko) * 2008-07-23 2008-11-17 김용근 조립식 계단
KR101308627B1 (ko) 2007-01-29 2013-09-2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철골계단 디딤판 조립체
KR200479300Y1 (ko) * 2014-07-10 2016-01-13 (주)백양씨엠피 작업용 안전 발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427Y1 (ko) * 1991-12-18 1996-10-21 채동숙 계단용 미끄럼 방진물의 설치구조
KR200330867Y1 (ko) * 2003-08-01 2003-10-22 유민호 무늬와 야광으로 논스립이 구성된 계단용 디딤판.
KR101308627B1 (ko) 2007-01-29 2013-09-2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철골계단 디딤판 조립체
KR20080100303A (ko) * 2008-07-23 2008-11-17 김용근 조립식 계단
KR200479300Y1 (ko) * 2014-07-10 2016-01-13 (주)백양씨엠피 작업용 안전 발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267Y1 (ko)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100489A4 (en) System and components for safely enclosing handrails, stairways, walkways and platforms
CA2178785C (en) Stair support assembly
EP2852719B1 (en) Stair element and method for cladding thereof
KR101253080B1 (ko) 미끄럼방지 데크
KR20140043615A (ko) 조립식 계단
US20130212960A1 (en) Modules for converting a stairway
US20080277200A1 (en) Cover insert
KR20190000783U (ko)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
JP2012233355A (ja) 階段
EP1840297A2 (en) Cover insert
KR101869390B1 (ko) 표면에 교차콤부가 형성된 목재데크 제조방법 및 목재데크
US20040201006A1 (en) Baluster, balustrade, and method therefor
KR102257578B1 (ko) 계단용 논슬립 디딤판과 그의 제작방법
KR20140093418A (ko) 토목건축용 조립식 친환경 목재
GB1559379A (en) Device for application to a wooden stair or step
US20030159382A1 (en) Decorative/protective trim cap
JP5656524B2 (ja) 階段用養生ボード
JP3066411U (ja) 建築用材
KR200209599Y1 (ko) 조립식 계단거푸집
KR20170027037A (ko) 횡단보도 진출입로의 도로경계석
JP3145471U (ja) 階段用滑り止め部材
JPH1046774A (ja) 階段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CN210288673U (zh) 地下室出地面楼梯间
EP3553251A1 (en) Assembly as well as a supporting structure and a profile for such an assembly
US20080010916A1 (en) Staircase and nosing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