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559U - 주사기 - Google Patents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559U
KR20190000559U KR2020170004479U KR20170004479U KR20190000559U KR 20190000559 U KR20190000559 U KR 20190000559U KR 2020170004479 U KR2020170004479 U KR 2020170004479U KR 20170004479 U KR20170004479 U KR 20170004479U KR 20190000559 U KR20190000559 U KR 201900005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pace
supply cap
nozz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4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126Y1 (ko
Inventor
권세미
Original Assignee
동화약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화약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화약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44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126Y1/ko
Priority to PCT/KR2018/009065 priority patent/WO2019039778A1/ko
Publication of KR201900005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5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1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1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19Syringes having more than one chamber, e.g. including a manifold coupling two parallelly aligned syringes through separate channels to a common discharge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8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8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 A61M5/284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comprising means for injection of two or more media, e.g. by mix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03Leak prevention means for distal end of syringes, i.e. syringe end for mounting a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2005/3131Syringe barrels specially adapted for improving sealing or sli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2005/3142Modular constructions, e.g. supplied in separate pieces to be assembled by end-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린더와 공급캡을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시켜 일체로 구성하고, 사용시 실린더와 공급캡에 분리 보관된 내용물들이 서로 혼합될 수 있도록 연통시킴으로써, 이종 물질을 분리된 상태로 함께 보관할 수 있어 보관의 용이성이 있고, 회전 동작을 통해 이종 물질의 혼합이 가능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사기{SYRINGE}
본 고안은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와 공급캡을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시켜 일체로 구성하고, 사용시 실린더와 공급캡에 분리 보관된 내용물들이 서로 혼합될 수 있도록 연통시킴으로써, 이종 물질을 분리된 상태로 함께 보관할 수 있어 보관의 용이성이 있고, 회전 동작을 통해 이종 물질의 혼합이 가능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사기는 질병 치료나 검사 등을 위하여 약제를 주사하거나 혈액을 채취하는 등 다양한 의료용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는 미용 목적으로 화장품을 주사기에 충진하여 피부 도포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종래의 주사기는, 약제 또는 화장품 등의 물질을 수용하기 위해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전단이 바늘을 결합시키거나 물질을 토출시키기 위한 노즐이 형성되는 실린더와, 실린더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과, 피스톤과 함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로드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주사기는, 로드와 피스톤을 후퇴시키는 동작으로 노즐을 통해 수용공간으로 물질을 채우거나, 로드와 피스톤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수용공간으로 물질을 채우는 구조를 가지며, 로드를 전진시켜 일정 압력에 의해 물질이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작동 방식을 갖는다.
그런데, 종래의 주사기는 실린더의 수용공간에 단일 종류의 물질만이 수용되는 구조로, 복수의 물질을 주사하는 경우, 별도의 용기에 수용된 복수의 물질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후, 실린더의 수용공간에 혼합된 물질을 수용시키거나, 복수의 주사기를 이용해 복수의 물질을 개별 주사하는 등 주사 과정이 매우 번거로웠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2152호(2017년 07월 21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일회용 주사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실린더와 공급캡을 1차로 나사 결합시켜 일체로 구성하고, 사용시 실린더와 공급캡을 2차로 나사 결합시켜 실린더와 공급캡에 분리 보관된 물질들이 서로 혼합될 수 있도록 서로 연통시킴으로써, 이종 물질을 분리된 상태로 함께 보관할 수 있어 보관의 용이성이 있고,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이종 물질을 혼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주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분리된 공급캡을 실린더의 전단에 재결합시켜 노즐을 밀폐시킴으로써, 사용 후 남아있는 혼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보관의 용이성이 있고, 노즐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으며, 필요시 공급캡을 분리시켜 재사용할 수 있는 주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주사기는, 내부의 혼합공간에 제1물질이 수용되며, 상기 혼합공간에 연통되도록 전단에 노즐이 돌출 형성되는 실린더와, 상기 혼합공간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후방으로 노출되는 로드를 갖는 주사기에 있어서, 내부의 수용공간에 제2물질이 수용되며, 일측으로 개방된 결합공간이 상기 노즐의 외부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전단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장착되는 공급캡 및,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결합공간의 사이를 구획하며, 상기 공급캡과 상기 실린더를 1차 결합시킨 상태에서 공급 위치로 2차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노즐의 가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노즐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차단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제2물질은 상기 공급캡과 상기 실린더를 공급 위치로 2차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로드를 후퇴시키는 경우,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한 흡입력에 의해 상기 노즐의 내부를 통해 상기 혼합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의 전단에는 상기 노즐을 감싸는 상태로 제1간격을 형성하며, 내주면을 따라 제1나사산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제1결합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공급캡의 내부에는 가장자리가 상기 결합공간의 내주면을 따라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차단막이 위치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통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연통홀의 내부에 상기 차단막이 결합되는 링 형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더 작은 직경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공간의 내주면과 제2간격을 형성하며, 외주에는 상기 제1나사산과 대응되도록 제2나사산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제2결합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결합시 상기 제1결합부의 돌출 단부가 상기 제2간격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2결합부의 돌출 단부가 상기 제1간격에 교차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에는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가 상기 실린더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걸림 위치되도록 걸림 단턱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단막은 상기 공급캡과 상기 실린더를 2차 결합시키는 경우, 메인 연결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연통홀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와 상기 차단막 및 상기 제2결합구는 실리콘 소재를 이용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물질은 수분이 없는 분말 형태로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물질은 상기 혼합공간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액체 형태로 수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실린더와 공급캡을 1차로 나사 결합시켜 일체로 구성하고, 사용시 실린더와 공급캡을 2차로 나사 결합시켜 실린더와 공급캡에 분리 보관된 물질들이 서로 혼합될 수 있도록 서로 연통시킴으로써, 이종 물질들을 분리된 상태로 함께 보관할 수 있어 보관의 용이성이 있고,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이종 물질의 혼합이 가능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고안은 분리된 공급캡을 실린더의 전단에 재결합시켜 노즐을 밀폐시킴으로써, 사용 후 남아있는 혼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보관의 용이성이 있고, 필요시 공급캡을 분리시켜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로드의 이동거리 조절을 통해 수용된 물질(약제 등)의 유입 양을 조절할 수 있어, 물질들의 혼합 비율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사기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사기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사기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사기를 보여주기 위한 1차 결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주사기를 보여주기 위한 2차 결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사기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사기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사기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사기를 보여주기 위한 1차 결합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주사기를 보여주기 위한 2차 결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사기는 실린더(10)와, 피스톤(20)과, 로드(30)와, 공급캡(100) 및, 차단막(2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실린더(10)는 합성수지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10)의 내부에는 일정 양의 제1물질(약제 등, A)을 수용하기 위한 혼합공간(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10)는 혼합공간(11)에 수용된 제1물질(A)의 저장 양과 보관 상태 및 종류 등을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10)의 전단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직경의 노즐(12)이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노즐(12)의 내부에는 혼합공간(A)과 연통되도록 통로가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10)의 전단에는 노즐(12)의 외주를 감싸는 상태로 제1결합구(40)가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노즐(12)과 제1결합구(40)는 원통 형상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제1결합구(40)의 내주면과 노즐(12)의 외주면 사이에는 제1간격(G1)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간격(G1)은 도 3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 될 제2결합구(140)의 전단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제1결합구(40)의 내주면에는 제1나사산(41)이 나선을 형성하면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나사산(41)은, 상기 제1결합구(40)와 후술 될 제2결합구(140)를 교차로 결합시키는 경우, 후술 될 제2나사산(141)과 대응되게 나선 결합된다.
뿐만 아니라, 실린더(10)의 후단에는 사용자가 손가락(검지, 중지 등)으로 전면을 파지하기 위한 손가락 걸림부를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노즐(12)의 돌출된 끝단은 제1결합구(40)보다 더 길게 돌출되며, 상기 노즐(12)과 상기 제1결합구(40)의 중심 축 선은 동일 선상에 위치된다.
제1물질(A)은, 수분이 없는 분말 형태로 만든 후, 혼합공간(11)의 개방된 부위를 통해 일정 양을 채워 넣을 수 있으나, 상기 제1물질(A)의 종류는 다양하게 선택이 가능하다.
피스톤(20)은, 혼합공간(11)의 전후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피스톤(20)의 가장자리가 혼합공간(11)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20)은 혼합공간(11)을 전후 방향으로 구획시키기 위해, 일정 탄성력을 갖는 고무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로드(30)는, 피스톤(2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로드(30)의 전단이 피스톤(20)에 결합되고, 반대되는 후단은 파지가 가능하도록 실린더(10)의 후방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30)의 후단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엄지 등)으로 후면을 누르거나, 손가락(검지, 중지 등)으로 전면을 파지하여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손가락 걸림부를 형성시킬 수 있다.
공급캡(100)은, 내부에 액체 상태의 제2물질(약제 등, B)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110)이 일정 넓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공급캡(100)은 실린더(10)의 전단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급캡(100)의 결합 방향측 내부에는 노즐(12)과 제1결합구(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공간(120)이 외부로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간(120)의 내주면은, 후술 될 제2결합구(140)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직경의 원주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캡(100)의 외주면에는 회전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실린더(10)의 폭 방향을 따라 다수의 다각면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캡(100)은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제2물질(B)의 저장 양과 보관 상태 및 종류 등을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제작할 수 있다.
아울러, 결합공간(120)의 내주면에는 후술 될 몸체(130)의 가장자리가 실린더(1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걸림 위치되도록 걸림 단턱(13)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 단턱(13)은, 후술 될 몸체(130)의 후단을 걸림 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걸림 단턱(13)은 후술 될 몸체(130)의 후방에만 형성된다.
특히, 상기 공급캡(100)의 내부에는 가장자리가 결합공간(120)의 내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몸체(130) 및, 상기 몸체(130)의 일면으로부터 제2결합구(140)가 더 작은 직경으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30)의 내부에는 연통홀(131)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연통홀(131)의 내부에는 후술 될 차단막(20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30)의 가장자리측 후단은 도 3 내지 5에서처럼 수용공간(110)으로 이동되지 걸림 단턱(13)에 걸림 위치된다.
또한, 상기 몸체(130)는 결합공간(120)의 개방된 일단을 통해 분리시킬 수도 있는데, 차단막(200)이 개방된 몸체(130)를 신규한 몸체(130)로 교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몸체(130)는 결합공간(120)의 내주면과 대응되도록 원판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몸체(130)의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제2결합구(140)는, 몸체(130)의 일면으로부터 더 작은 직경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결합구(140)는 몸체(130)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결합구(140)는 몸체(130)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결합구(140)의 외주면과 결합공간(120)의 내주면 사이에 제2간격(G2)이 형성된다.
상기 제2간격(G2)은, 전술한 제1결합구(40)의 전단이 삽입되는 공간으로, 실린더(10)와 공급캡(100)을 결합시키는 경우, 제1결합구(400)의 전단이 제2간격(G2)을 통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구(140)는 제1결합구(40)의 내부에 교차로 결합된 상태에서 정/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원통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2결합구(140)의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41)과 대응되게 나사 결합되도록 제2나사산(141)이 나선을 형성하면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제1결합구(40)와 상기 제2결합부(140)를 상호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제1결합구(40)의 돌출된 단부가 제2간격(G2)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2결합구(G2)의 돌출 단부가 제1간격(G1)에 교차로 삽입된다.
아울러, 몸체(130)와 제2결합구(140)의 중심 축 선은 동일 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몸체(130)와 제2결합구(140)의 중심 축 선은 전술한 노즐(12)과 제1결합구(40)의 중심 축 선과 동일 선상에 위치된다.
차단막(200)은, 혼합공간(110)과 결합공간(120)의 사이를 구획하여, 상기 혼합공간(110)에 수용된 제2물질(B)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차단막(200)의 가장자리가 연통홀(131)의 내주면을 따라 결합되며, 상기 차단막(200)은 공급캡(100)과 실린더(10)를 공급위치로 2차 결합시키는 경우에 가장자리가 개방된다.
일 예로, 상기 차단막(20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연결부(21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연통홀(131)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수용공간(110)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 연결부(210)를 제외한 차단막(200)의 나머지 가장자리 부위를 연통홀(131)에 얇은 두께로 연결시킴으로써, 노즐(12)의 가압력에 의해 차단막(200)의 일부분이 쉽게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단막(200)은 연통홀(131)을 차단하는 상태로 막을 형성하고, 실린더(10)의 제1결합구(40)와 공급캡(100)의 제2결합구(140)를 1차 결합시키는 경우, 개방되지 않고 수용공간(110)을 차단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상기 차단막(200)은 공급캡(100)과 실린더(10)를 1차 결합시킨 상태에서 공급 위치로 2차 결합시키는 경우, 노즐(12)의 전단이 차단막(200)의 일면을 가압한다.
이때, 상기 차단막(20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12)의 가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수용공간(110)과 상기 노즐(12)의 내부를 연통시킨다.
이후, 공급캡(100)과 실린더(10)를 공급 위치로 2차 결합시킨 상태에서 로드(30)를 후퇴시키는 경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제2물질(B)이 피스톤(20)의 이동에 의한 흡입력에 의해 상기 노즐(12)의 통로를 통해 혼합공간(11)으로 유입된다.
한편, 전술한 몸체(130)와 차단막(200) 및 제2결합구(140)는 실리콘(silicon) 등의 소재를 이용해 일체로 성형할 수 있으며, 제2물질(B)은 혼합공간(11)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공간(110)에 액체 형태로 수용될 수 있다.
이하, 도 4와 5를 참조로 본 고안의 주사기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전술한 구성들과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먼저, 실린더(10)의 제1결합구(40)와 공급캡(100)의 제2결합구(140)를 1차로 결합시키는 경우, 노즐(12)의 전단을 연통홀(131)의 내부에 삽입시킨다.
이후, 실린더(10)의 제1결합구(40)와 공급캡(100)의 제2결합구(140)를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1차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제1결합구(40)의 돌출된 단부가 제2간격(G2)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제2결합구(140)의 돌출된 단부가 제1간격(G1)로 삽입되며, 노즐(12)의 돌출된 단부가 연통홀(131)에 일정 길이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는, 노즐(12)의 돌출된 단부가 차단막(200)을 가압하지 않는 위치까지 삽입되며, 실린더(10)의 전단과 공급캡(100)의 대응되는 전단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 위치된다.
이와 같이, 실린더(10)의 제1결합구(40)와 공급캡(100)의 제2결합구(140)를 1차로 결합시키는 경우는, 제1물질(A)이 수용된 실린더(10)와 제2물질(B)이 수용된 공급캡(100)이 일체로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는, 차단막(200)이 개방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므로, 주사기를 사용 대기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실린더(10)와 공급캡(100)을 하나의 몸체로 결합시킨 상태로 운반 및 포장 등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서처럼 공급캡(100)에 수용된 제2물질(B)과 실린더(10)에 수용된 제1물질(A)을 혼합시키는 경우, 실린더(10)의 제1결합구(40)와 공급캡(100)의 제2결합구(140)를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2차로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제1결합구(40)의 돌출된 단부가 제2간격(G2)을 따라 더 삽입됨과 동시에, 제2결합구(140)의 돌출된 단부가 제1간격(G1)로 더 삽입되며, 노즐(12)의 돌출된 단부가 차단막(200)의 일면을 수용공간(110)으로 가압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노즐(12)의 가압력에 의해 차단막(200)의 가장자리 중 일부분이 연통홀(131)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수용공간(110)으로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는, 차단막(200)의 개방에 의해 수용공간(110)과 연통홀(131)과 노즐(12)의 내부 통로 및 혼합공간(11)이 상호 연통된다.
이후, 로드(3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피스톤(20)의 이동에 의한 흡입력에 의해 수용공간에 수용된 제2물질(B)이 연통홀(131)과 노즐(12)의 내부 통로를 통해 혼합공간(11)으로 유입되어 제1물질(A)과 혼합된다.
다음으로, 주사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실린더(10)와 공급캡(100)을 잠금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공급캡(100)을 분리시킨다.
이 경우, 실린더(10)의 노즐(12)이 개방되므로, 제1물질(A)과 제2물질(B)이 혼합된 혼합물을 주사할 수 있으며, 공급캡(100)을 재결합시키는 경우, 노즐(12)이 밀폐되므로 추후 재사용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실린더(10)와 공급캡(100)을 1차로 나사 결합시켜 일체로 구성하고, 사용시 실린더(10)와 공급캡(100)을 2차로 나사 결합시켜 실린더(10)와 공급캡(100)에 분리 보관된 물질들이 서로 혼합될 수 있도록 서로 연통시킴으로써, 제1물질(A) 및 제2물질(B)을 분리된 상태로 함께 보관할 수 있어 보관의 용이성이 있고,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이종 물질의 혼합이 가능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분리된 공급캡(100)을 실린더(10)의 전단에 재결합시켜 노즐(12)을 밀폐시킴으로써, 사용 후 남아있는 혼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보관의 용이성이 있고, 노즐(12)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으며, 필요시 실린더(10)로부터 공급캡(100)을 분리시켜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로드(30)의 이동거리 조절을 통해 제2물질(B)의 유입 양을 조절할 수 있어, 제1물질(A)과 제2물질(B)의 혼합 비율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EK.
지금까지 본 고안의 주사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실린더 11: 혼합공간
12: 노즐 13: 걸림 단턱
20: 피스톤 30: 로드
40: 제1결합구 41: 제1나사산
100: 공급캡 110: 수용공간
120: 결합공간 130: 몸체
131: 연통홀 140: 제2결합구
141: 제2나사산 200: 차단막
210: 메인 연결부 A: 제1물질
B: 제2물질 G1: 제1간격
G2: 제2간격

Claims (8)

  1. 내부의 혼합공간에 제1물질이 수용되며, 상기 혼합공간에 연통되도록 전단에 노즐이 돌출 형성되는 실린더와, 상기 혼합공간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후방으로 노출되는 로드를 갖는 주사기에 있어서,
    내부의 수용공간에 제2물질이 수용되며, 일측으로 개방된 결합공간이 상기 노즐의 외부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전단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장착되는 공급캡; 및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결합공간의 사이를 구획하며, 상기 공급캡과 상기 실린더를 1차 결합시킨 상태에서 공급 위치로 2차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노즐의 가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노즐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차단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제2물질은,
    상기 공급캡과 상기 실린더를 공급 위치로 2차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로드를 후퇴시키는 경우,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한 흡입력에 의해 상기 노즐의 내부를 통해 상기 혼합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전단에는,
    상기 노즐을 감싸는 상태로 제1간격을 형성하며, 내주면을 따라 제1나사산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제1결합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공급캡의 내부에는,
    가장자리가 상기 결합공간의 내주면을 따라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차단막이 위치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통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연통홀의 내부에 상기 차단막이 결합되는 링 형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더 작은 직경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공간의 내주면과 제2간격을 형성하며, 외주에는 상기 제1나사산과 대응되도록 제2나사산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제2결합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결합시 상기 제1결합부의 돌출 단부가 상기 제2간격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2결합부의 돌출 단부가 상기 제1간격에 교차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에는,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가 상기 실린더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걸림 위치되도록 걸림 단턱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상기 공급캡과 상기 실린더를 2차 결합시키는 경우, 메인 연결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연통홀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차단막 및 상기 제2결합구는,
    실리콘 소재를 이용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물질은,
    수분이 없는 분말 형태로 수용되며,
    상기 제2물질은,
    상기 혼합공간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액체 형태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KR2020170004479U 2017-08-24 2017-08-24 주사기 KR2004891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479U KR200489126Y1 (ko) 2017-08-24 2017-08-24 주사기
PCT/KR2018/009065 WO2019039778A1 (ko) 2017-08-24 2018-08-09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479U KR200489126Y1 (ko) 2017-08-24 2017-08-24 주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559U true KR20190000559U (ko) 2019-03-06
KR200489126Y1 KR200489126Y1 (ko) 2019-09-05

Family

ID=65439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479U KR200489126Y1 (ko) 2017-08-24 2017-08-24 주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9126Y1 (ko)
WO (1) WO20190397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972B1 (ko) * 2019-06-27 2020-11-25 라이오팁 코리아 주식회사 이종약제 혼합형 듀얼챔버 주사기용 어댑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9824A (ja) * 2001-12-28 2003-07-15 Terumo Corp シリンジおよびガスケット
KR200442317Y1 (ko) * 2007-05-21 2008-10-29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분말 주입용 주사기
JP4697398B2 (ja) * 2005-02-22 2011-06-08 藤森工業株式会社 注射用キット及び薬剤入りシリンジの調製方法
KR101406543B1 (ko) * 2012-08-02 2014-06-11 조희민 분말 및 액체 약제 혼합형 이중 복합 주사기
KR200476123Y1 (ko) * 2013-02-19 2015-01-30 주식회사 오스코텍 뼈 분말 주입용 주사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767B1 (ko) * 2015-08-13 2016-04-08 (주)씨앤텍코리아 이종 물질 혼합형 주사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9824A (ja) * 2001-12-28 2003-07-15 Terumo Corp シリンジおよびガスケット
JP4697398B2 (ja) * 2005-02-22 2011-06-08 藤森工業株式会社 注射用キット及び薬剤入りシリンジの調製方法
KR200442317Y1 (ko) * 2007-05-21 2008-10-29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분말 주입용 주사기
KR101406543B1 (ko) * 2012-08-02 2014-06-11 조희민 분말 및 액체 약제 혼합형 이중 복합 주사기
KR200476123Y1 (ko) * 2013-02-19 2015-01-30 주식회사 오스코텍 뼈 분말 주입용 주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972B1 (ko) * 2019-06-27 2020-11-25 라이오팁 코리아 주식회사 이종약제 혼합형 듀얼챔버 주사기용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9778A1 (ko) 2019-02-28
KR200489126Y1 (ko) 2019-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7752B2 (en) Dispenser with sealed chamber and one-way valve for providing metered amounts of substances
US7798185B2 (en) Dispenser and method for storing and dispensing sterile food product
KR0138353Y1 (ko) 일회용 주사기
US2688966A (en) Compartmented ampoule
JPH1057486A (ja) 多チャンバ注射器筒内に使用するためのバイパスを有するストッパ組立体
US11140963B2 (en) Cap for scalp care container capable of applying liquid
JPH07204212A (ja) 粘性工作材料とくに歯科工作材料用の定量を投与するための噴射器
JP2697663B2 (ja) 複数薬液混注具
KR20160090369A (ko) 프리필드 시린지
KR20170021017A (ko) 이중 주사기
KR20190000559U (ko) 주사기
KR100810158B1 (ko) 약품 분배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카트리지
WO2018173925A1 (ja) メスシリンジ及びシリンジキット
EP2620124B1 (en) Injection syringe
US20170072141A1 (en) Syringe Assembly for Storing, Mixing, and Releasing Two Reactive Compounds
KR20170122938A (ko) 주사기 방식의 이종 물질 혼합기 및 그 조립방법
US20140350477A1 (en) Disposable syringe
JP2019063168A (ja) 注射器、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用の注射器およ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KR20180039912A (ko) 액체 도포가 가능한 두피 케어용기용 마개
KR102116430B1 (ko) 이액형 화장품 용기
KR101673263B1 (ko) 마스크팩용 포장용기
JP5248167B2 (ja)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用注射器、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および包装済み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WO2018062496A1 (ja)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及びシリンジ
JPH0819603A (ja) 使い捨て式浣腸用薬液注入用容器
KR20210158468A (ko) 프리필드 바이알 주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