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443A - 유기질 재료의 건조 공정 중 탄화의 조기 감지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질 재료의 건조 공정 중 탄화의 조기 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443A
KR20190000443A KR1020170079445A KR20170079445A KR20190000443A KR 20190000443 A KR20190000443 A KR 20190000443A KR 1020170079445 A KR1020170079445 A KR 1020170079445A KR 20170079445 A KR20170079445 A KR 20170079445A KR 20190000443 A KR20190000443 A KR 20190000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ization
exhaust
concentration
carbon dioxide
carbon mon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5921B1 (ko
Inventor
최용준
박원찬
송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079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921B1/ko
Priority to JP2019520775A priority patent/JP6791475B2/ja
Priority to EP18820234.5A priority patent/EP3514526B1/en
Priority to PCT/KR2018/002270 priority patent/WO2018236026A1/ko
Priority to US16/462,061 priority patent/US11668666B2/en
Priority to CN201880004070.0A priority patent/CN109891222A/zh
Publication of KR20190000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6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measuring method or the display, e.g. intermittent measurement or digital display
    • G01N33/0063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measuring method or the display, e.g. intermittent measurement or digital display using a threshold to release an alarm or display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2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of heat, i.e. calorimetry, e.g. by measuring specific heat, by measuring thermal conductivity
    • G01N25/48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of heat, i.e. calorimetry, e.g. by measuring specific heat, by measuring thermal conductivity on solution, sorption, or a chemical reaction not involving combustion or catalytic oxidation
    • G01N25/4806Detail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sample
    • G01N25/4813Detail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sample concerning the measuring means
    • G01N25/482Detail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sample concerning the measuring means concerning the temperature responsi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1/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 G01K11/003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using absorption or generation of gas, e.g. hydroge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56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moisture cont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CO or CO2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1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by using a detection device for specific gases, e.g. combustion products, produced by the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dust or loosely-baled or loosely-piled materials, e.g. in silos, in chimn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질 재료 건조 공정 중 탄화 조기 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유기질 재료의 열분해에 의해 발생되는 물(H2O), 일산화탄소(CO) 또는 이산화탄소(CO2)를 포함하는 배기 온도의 단위 시간당 변화량, 배기 중의 일산화탄소/이산화탄소의 발생 농도를 측정하여 이를 탄화 발생으로 판단함으로써 건조기 내의 탄화를 조기 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질 재료의 건조 공정 중 탄화의 조기 감지방법 {METHOD FOR EARLY DETECTING CARBONIZATION DURING DRYING PROCESS OF ORGANIC MATERIALS}
본 발명은 유기질 재료 제품의 합성 후 건조기 내에서의 건조 공정 중 탄화에 의한 화재 등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탄화 현상의 조기 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생산되고 있는 유기질 재료 제품, 예를 들어, 입자계 기초 소재 제품 등의 경우, 합성, 탈수 등의 공정을 거쳐 건조기에서 건조되며, 건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열풍의 온도 및 풍속을 제어함으로써 사양에 맞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제어 가능한 여러 건조 인자 중 높은 열풍 온도를 사용할수록 제품 품질(잔류 용매 저감 측면) 및 생산량 증대에는 유리하지만, 제품 품질 및 안전상의 이유로 일정 수준 이하의 열풍 온도에서 건조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조기 내 탄화 사고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탄화 가능성은 항상 잠재되어 있고 이는 큰 화재 사고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안전성 및 생산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부분의 탄화 현상의 원인은 불명확하므로 탄화의 조기 감지를 통한 예방이 최선책인데, 현재는 건조기에서 방출되는 배기 온도를 확인하거나 탄화 발생 시에 작업자가 직접 냄새를 맡아 탄화를 감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탄화 발생 시점을 감지하는 데에 부정확하며 안전사고가 일어날 수도 있으므로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보다 정확하게 탄화 발생 시점을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었고, 본 발명자들은 배기 온도 상승, 일산화탄소/이산화탄소 농도 상승 등을 이용하여 탄화 현상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을 밝혀냈다.
본 발명은 기존 유기질 재료 제품의 합성 후 사용되는 건조기 내 건조 공정 진행 중 탄화에 의한 화재 등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탄화 현상 조기 감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열풍 및 열수를 사용하는 건조기 내부의 불명확한 원인에 의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배기 온도 및 일산화탄소/이산화탄소 농도 감지방법을 제공한다.
유기질 재료 제품은 합성, 탈수 등의 공정을 거친 후 건조기에서 열풍에 의해 건조되는데, 유기질 재료가 가열되면 열분해에 의해 물(H2O),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등이 방출되고, 이 과정에서 발열반응이 수반되어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는 배기 온도 상승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화 현상 시 발생하는 발열반응에 따른 배기 온도 상승 및/또는 일산화탄소/이산화탄소 발생 농도 등을 측정하여 탄화 현상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실제 현장 탄화와 비슷한 조건에서의 재현 실험실 테스트(Lab Test)를 통해 일산화탄소/이산화탄소 발생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탄화 감지 가능성을 분석했으며, 그 가능성을 토대로 실제 적용 사례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유기질 재료를 고온에서 건조시키고 탄화 가능성이 있는 물질을 건조시키는 경우, 탄화 및 화재 예방에 따른 안전성 및 제품 생산성 향상이 기대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방법은 다수의 미분으로 인해 건조기 내부 상황을 시각으로 확인하기가 불가능한 상황, 즉 외부에서 냄새 감지 외에 탄화 확인 방법이 없는 상황에 사용되며, 또한 건조기 내부 온도가 높아 가스 농도 측정기를 내부에 설치할 수 없고 배기된 후 싸이클론 등에서 특정 온도 이하로 식은 기체 농도를 통해 측정해야 하는 경우 적용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1) 유기질 재료를 건조기 내에서 열풍 건조시키는 단계; 및
(2) 상기 건조에 의해 방출되는 물(H2O), 일산화탄소(CO) 또는 이산화탄소(CO2)를 포함하는 배기 온도의 단위 시간당 변화량을 탐지하는 단계; 또는
(3) 상기 배기 중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탐지하는 단계; 또는
(4) 상기 배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탐지하는 단계를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2) 단계에서 배기 온도가 0.5℃/min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또는 상기 (3) 단계에서 일산화탄소 농도가 2ppm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상기 (4) 단계에서 이산화탄소 농도가 10% 이상 증가하는 경우를 탄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유기질 재료의 건조 공정 중 탄화의 조기 감지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유기질 재료는 직경 500μm 이하의 폴리머 입자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유기질 재료의 건조와 탄화가 발생하는 공간은 폴리머 입자를 건조시키기 위해 산업체에서 주로 활용하는 대형(수십 m2) 유동층 건조기(fluidized bed dryer, FBD: 입자를 유동화시켜 건조시키는 건조기)의 내부이다.
본 발명의 탄화 조기 감지방법은 건조기 배기 온도의 단위 시간당 변화량 및/또는 배기 중의 일산화탄소/이산화탄소의 농도 증가를 측정하여 이를 탄화 발생으로 판단함으로써 건조기내의 탄화를 조기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비교예에 따른 탄화 감지방법으로서, 제품 건조 시 건조기 내부 또는 배기 온도를 모니터링하며 미리 특정해 놓은 정상 온도 범위를 벗어나면 탄화 발생으로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단위 시간당 배기 온도 변화량을 모니터링하여 온도 상승량이 일정 값 이상으로 측정될 경우 경고 신호(warning signal)를 작동시켜 탄화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유기질 재료의 건조 공정 중 탄화의 조기 감지방법은,
(1) 유기질 재료를 건조기 내에서 열풍 건조시키는 단계; 및
(2) 상기 건조에 의해 방출되는 물(H2O), 일산화탄소(CO) 또는 이산화탄소(CO2)를 포함하는 배기 온도의 단위 시간당 변화량을 탐지하는 단계; 또는
(3) 상기 배기 중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탐지하는 단계; 또는
(4) 상기 배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탐지하는 단계를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2) 단계에서 배기 온도가 0.5℃/min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또는 상기 (3) 단계에서 일산화탄소 농도가 2ppm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상기 (4) 단계에서 이산화탄소 농도가 10% 이상 증가하는 경우를 탄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2) 내지 (4) 단계 중 2개 이상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유기질 재료는 직경 500μm 이하의 폴리머 입자, 예를 들어, 아크릴로나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MBS),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건조에 의해 방출되는 물(H2O), 일산화탄소(CO) 또는 이산화탄소(CO2)를 포함하는 배기 온도의 단위 시간당 변화량이 0.5℃/min 이상인 경우를 탄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나, 이는 재료 및 건조기 상태에 따라, 예를 들어, 2℃/4min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배기 중의 일산화탄소 농도가 2ppm을 초과하는 경우를 탄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배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10% 이상 증가하는 경우를 탄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온도의 단위 시간당 변화량이 0.5℃/min 이상이고 상기 배기 중의 일산화탄소 농도가 2ppm을 초과하는 경우를 탄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온도의 단위 시간당 변화량이 0.5℃/min 이상이고 상기 배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10% 이상 증가하는 경우를 탄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배기 중의 일산화탄소 농도가 2ppm을 초과하고 상기 배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10% 이상 증가하는 경우를 탄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온도의 단위 시간당 변화량이 0.5℃/min 이상이고 상기 배기 중의 일산화탄소 농도가 2ppm을 초과하며 상기 배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10% 이상 증가하는 경우를 탄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탄화 조기 감지방법은 특정한 탄화 발생 조건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감지방법에 비해 정확하게 탄화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하여, 탄화 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 안정성 및 제품 생산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아래에 기재한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비교예 - 건조기 내부/배기 온도 모니터링
본 비교예에서는 종래 방식에 따른 탄화 감지방법을 기재한다.
유기질 재료 제품 합성 후 건조 시 건조기 내부 혹은 배기 온도를 모니터링하여 미리 특정해 놓은 정상 운전 범위를 벗어나면 탄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대응한다.
대형 건조기의 경우, 내부 온도 측정 데이터에 노이즈가 다수 발생한다. 이로 인해 실제 탄화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상황에 따라 특정 온도 이상이 되거나 특정 온도 이상을 한동안 유지하는 경우가 많을 수 있다. 또한, 탄화에 의한 급격한 온도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정상 운전 범위 사이라면 탄화로 인한 발열 반응을 추정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해, 시간에 따른 건조기 내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 1을 살펴 보면, "①"은 정상 운전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보이나, 데이터 노이즈나 상황에 따라 발생 가능한 현상으로 탄화 가능성은 사실상 낮다. 반면, "②"는 급격한 온도 변화로 볼 때 탄화 가능성이 있으나 정상 운전 범위 내에 있어서 탄화 인지 가능성이 낮다.
따라서, 종래 방식에 따른 탄화 감지방법으로는 정확한 탄화 시점 감지의 신뢰성이 떨어진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탄화 조기 감지방법을 기재한다.
1. 건조기 배기 온도 변화량 모니터링
상기 비교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위 시간당 배기 온도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여 활용할 수 있다.
단위 시간당 배기 온도 변화량을 모니터링하여, 특별한 온도 변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온도 상승량이 일정 값 이상으로 측정될 경우(발열 반응을 동반한 탄화가 발생하는 경우 급격한 온도 상승이 발생) 경고 신호(warning signal)를 작동시켜 탄화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단위 시간당 배기 온도 변화량을 나타내는 도 2를 살펴 보면, 온도 상승량이 온도 변화량 한계선을 넘을 경우("②"에 해당), 탄화 가능성이 있다.
탄화에 대한 실험실 테스트(Lab Test) 결과, 온도의 단위 시간당 변화량이 0.5℃/min 이상인 경우를 탄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제로 단위 시간당 배기 온도 변화량를 모니터링한 결과를 대량 생산 공정에 적용한 사례가 있다.
2. 배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모니터링
유기질 재료의 탄화 과정에서는 물 및 일산화탄소/이산화탄소가 발생하며 이산화탄소가 가장 다량 발생하므로 이산화탄소 농도 모니터링을 통해 일정 농도 이상에서 경고 신호를 작동시켜 탄화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탄화에 대한 실험실 테스트(Lab Test) 결과 탄화 및 연기 발생 시에 10% 이상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는 바, 이를 토대로 탄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3. 배기 중 일산화탄소 농도 모니터링
유기질 재료의 탄화 시에 일산화탄소는 이산화탄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발생량의 1/10 내지 1/5의 수준으로 발생한다.
이산화탄소의 경우 공기 중에 일반적으로 400ppm 수준으로 존재하는데, 상황 및 환경에 따라 레퍼런스(reference) 농도가 실제로 100ppm 이상 차이가 날 수 있어 데이터 변동(data fluctuation)이 심하다. 이에 반해 일산화탄소는 공기 중에 0 내지 2ppm으로 존재하여 레퍼런스의 기준선(base line) 농도가 명확하고 데이터 변동이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2ppm을 초과하여 증가하면 탄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아래에 실제 현장에서의 탄화를 재현한, 본 발명에서 실시한 실험실 테스트(Lab Test)의 내용 및 결과를 기재한다.
<실험실 테스트 관련 내용>
실험실 테스트는 유동층 건조기(FBD)에서 건조되는 ABS 분말에 관한 내용이지만 기타 유기재료 물질의 다양한 형태의 건조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험실 테스트 목적
ABS 분말의 탄화 모니터링을 위한 탄화 감지 계기를 설치하여 CO/CO2의 감지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실험실 테스트 내용
- 건조기 누적 분말 탄화 현상 재현
- 표면 온도 상승에 따른 ABS 분말의 외형 변화, 및 CO와 CO2 농도 변화 관찰
실험실 테스트 CO/CO 2 측정기 사양
- CO 측정기: 정확도(accuracy) 5ppm, 범위(range) 0 ~ 1,000ppm, 반응 시간: ~ 30초
- CO2 측정기: 정확도 40ppm, 범위 0 ~ 4,000ppm, 반응 시간: ~ 30초
실험실 테스트 결과
Figure pat00001
* 대기 중 CO 및 CO2의 평균 농도는 각각 0 내지 2ppm 및 400ppm 수준이나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상기 표에서 외형 변화, 즉 표면 변색에 대한 1) ~ 4)의 상태는 다음과 같다(적색 표시 부분이 밑면 상태이다).
1) 약한 변색 2) 변색 심화(표면 확인 가능)
Figure pat00002
3) 탄화 진행(육안으로 4) 탄화/연기 발생
내부 탄화 확인 가능)
Figure pat00003
실험실 테스트 결론
- ABS 분말 적체 및 표면 온도 증가에 의한 탄화 현상 재현 및 표면 온도 증가에 따른 외형적 변화 및 CO와 CO2 농도 변화를 관찰했다.
- 탄화 현상 재현이 가능하다.
- 일산화탄소 농도의 경우 탄화가 진행됨에 따라 발생하는 농도의 미량 변화를 관찰했으며, 연기 및 완전한 탄화가 발생하기 전 비교적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농도 변화 및 연기 발생 후 급격한 농도 변화 관찰을 통해 일산화탄소 센서를 통한 탄화 감지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레퍼런스 농도가 거의 0ppm 수준이라는 장점이 있다.
- 이산화탄소 농도의 경우 실험 장비가 단순하고 계기 정확도가 낮아 실험실 테스트를 통한 측정 구현에 한계가 있었으나, 탄화 및 연기 발생 시에 레퍼런스 농도(환경/상황에 따라 변화 가능)에 비해 10% 가량 농도 상승을 관찰하여 이산화탄소 센서를 통한 탄화 감지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본 실험은 개방된 공간에서 진행된 실험으로, 실제 밀폐된 공간에서 감지하게 될 건조기에서 우수한 성능의 일산화탄소/이산화탄소 측정기를 사용한 농도 측정을 통해 탄화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술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양태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유기질 재료의 건조 공정 중 탄화의 조기 감지방법으로서,
    (1) 유기질 재료를 건조기 내에서 열풍 건조시키는 단계; 및
    (2) 상기 건조에 의해 방출되는 물(H2O), 일산화탄소(CO) 또는 이산화탄소(CO2)를 포함하는 배기 온도의 단위 시간당 변화량을 탐지하는 단계; 또는
    (3) 상기 배기 중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탐지하는 단계; 또는
    (4) 상기 배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탐지하는 단계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2) 단계에서 배기 온도가 0.5℃/min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또는 상기 (3) 단계에서 일산화탄소 농도가 2ppm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상기 (4) 단계에서 이산화탄소 농도가 10% 이상 증가하는 경우를 탄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탄화의 조기 감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질 재료가 직경 500μm 이하의 폴리머 입자인, 탄화의 조기 감지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입자가 아크릴로나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MBS),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중 하나 이상인, 탄화의 조기 감지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가 유동층 건조기(fluidized bed dryer, FBD: 입자를 유동화시켜 건조시키는 건조기)인, 탄화의 조기 감지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 내지 (4) 단계 중 2개 이상을 포함하는, 탄화의 조기 감지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의 단위 시간당 변화량이 0.5℃/min 이상이고 상기 배기 중의 일산화탄소 농도가 2ppm을 초과하는 경우를 탄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탄화의 조기 감지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의 단위 시간당 변화량이 0.5℃/min 이상이고 상기 배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10% 이상 증가하는 경우를 탄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탄화의 조기 감지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중의 일산화탄소 농도가 2ppm을 초과하고 상기 배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10% 이상 증가하는 경우를 탄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탄화의 조기 감지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의 단위 시간당 변화량이 0.5℃/min 이상이고 상기 배기 중의 일산화탄소 농도가 2ppm을 초과하며 상기 배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10% 이상 증가하는 경우를 탄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탄화의 조기 감지방법.
KR1020170079445A 2017-06-23 2017-06-23 유기질 재료의 건조 공정 중 탄화의 조기 감지방법 KR102195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445A KR102195921B1 (ko) 2017-06-23 2017-06-23 유기질 재료의 건조 공정 중 탄화의 조기 감지방법
JP2019520775A JP6791475B2 (ja) 2017-06-23 2018-02-23 有機質材料の乾燥工程中の炭化の早期検知方法
EP18820234.5A EP3514526B1 (en) 2017-06-23 2018-02-23 Method for early detection of carbonization during drying of organic material
PCT/KR2018/002270 WO2018236026A1 (ko) 2017-06-23 2018-02-23 유기질 재료의 건조 공정 중 탄화의 조기 감지방법
US16/462,061 US11668666B2 (en) 2017-06-23 2018-02-23 Method for early detection of carbonization during drying of organic material
CN201880004070.0A CN109891222A (zh) 2017-06-23 2018-02-23 有机材料的干燥过程中的碳化的早期检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445A KR102195921B1 (ko) 2017-06-23 2017-06-23 유기질 재료의 건조 공정 중 탄화의 조기 감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443A true KR20190000443A (ko) 2019-01-03
KR102195921B1 KR102195921B1 (ko) 2020-12-28

Family

ID=64737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445A KR102195921B1 (ko) 2017-06-23 2017-06-23 유기질 재료의 건조 공정 중 탄화의 조기 감지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68666B2 (ko)
EP (1) EP3514526B1 (ko)
JP (1) JP6791475B2 (ko)
KR (1) KR102195921B1 (ko)
CN (1) CN109891222A (ko)
WO (1) WO20182360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32080B2 (en) 2020-08-20 2024-03-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iagnostic and recirculatio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11813926B2 (en) 2020-08-20 2023-11-14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Binding agent and olfaction sensor
US11828210B2 (en) 2020-08-20 2023-11-28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of vehicles using olfaction
US11636870B2 (en) 2020-08-20 2023-04-25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moking cess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881093B2 (en) 2020-08-20 2024-01-23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smoking in vehicles
US11760169B2 (en) 2020-08-20 2023-09-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Particula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olfaction sensors
US11760170B2 (en) 2020-08-20 2023-09-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Olfaction sensor preservation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4551A (ja) * 2004-12-22 2008-07-10 ソルヴェイ(ソシエテ アノニム) 湿潤ポリマーの乾燥方法
KR20110083012A (ko) * 2010-01-13 2011-07-20 주식회사 동성에코테크 유기성 폐기물 탄화처리장치
KR101284033B1 (ko) * 2012-12-14 2013-07-09 (유)성문 가연성 물질 자연발화 방지장치
DE202014101777U1 (de) * 2013-04-19 2014-06-02 Hobré Instruments B.V. Sprühtrocknungsvorrichtung zum Bilden eines Pulvers aus einer Suspension
JP2014514523A (ja) * 2011-03-15 2014-06-19 ティッセンクルップ・ウーデ・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湿潤ポリマー粉体を乾燥させるための方法及び当該方法に適した装置
US20170082573A1 (en) * 2015-09-17 2017-03-23 Fik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moldering in processes with continuous air flow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06368A1 (de) * 1976-02-18 1977-08-25 Adolf H Borst Verfahren zur herstellung aktiver kohlen und einrichtungn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JPS60163934A (ja) * 1984-02-06 1985-08-26 Nippon Zeon Co Ltd 複合重合体の製造方法
US5691703A (en) 1995-06-07 1997-11-25 Hughes Associates, Inc. Multi-signature fire detector
JP2000192051A (ja) * 1998-12-24 2000-07-11 Tokimec Inc 炭化装置
JP2001107052A (ja) 1999-10-05 2001-04-17 Hitachi Chem Co Ltd 異常過熱防止方法及び炭化装置
KR100556503B1 (ko) 2002-11-26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건조 시간제어 방법
US7142105B2 (en) * 2004-02-11 2006-11-28 Southwest Sciences Incorporated Fire alarm algorithm using smoke and gas sensors
US8828471B2 (en) * 2004-07-02 2014-09-09 Meiji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olid milk
JP2006232944A (ja) * 2005-02-23 2006-09-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生ごみ炭化装置
JP2008225857A (ja) 2007-03-13 2008-09-25 Yamaguchi Univ 火災発生時間を予測可能な火災警報装置
JP4382856B2 (ja) * 2008-04-08 2009-12-16 株式会社谷黒組 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熱エネルギー利用方法
US7969296B1 (en) * 2008-08-01 2011-06-28 Williams-Pyro, Inc. Method and system for fire detection
JP5534670B2 (ja) 2008-12-26 2014-07-02 電源開発株式会社 自然発火性の簡易推定方法、固形燃料の製造方法、及び、固形燃料の製造設備
BR112012012467B1 (pt) 2009-11-24 2021-05-18 Gea Process Engineering A/S método para monitorar um secador por pulverização e um secador por pulverização compreendendo uma ou mais câmeras
JP5535730B2 (ja) * 2010-04-02 2014-07-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流動層乾燥設備
KR101135272B1 (ko) 2011-09-02 2012-04-12 정인환 유기폐기물 건조 처리장치
EP2620466B1 (en) * 2012-01-27 2014-09-10 Evonik Degussa GmbH Heat-treatment of water-absorbing polymeric particles in a fluidized bed
CN102634358B (zh) 2012-04-16 2014-03-12 武汉天颖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高效可择热解系统及其使用方法
EP2752660B1 (en) * 2013-01-07 2016-08-31 Nxp B.V. Integrated circuit comprising an optical CO2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US9019109B2 (en) * 2013-01-24 2015-04-28 Ut-Battelle, Llc Smart smoke alarm
KR101365429B1 (ko) 2013-10-04 2014-02-19 주식회사씨애치씨랩 실험대 안전 장치
JP2015146285A (ja) 2014-02-04 2015-08-13 昭和電工株式会社 熱処理物の製造方法および熱処理装置
KR101647356B1 (ko) * 2014-04-03 2016-08-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
JP5843952B1 (ja) * 2014-12-19 2016-01-13 株式会社大和三光製作所 乾燥処理物の半炭化方法とその装置
KR101987438B1 (ko) * 2015-05-13 2019-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 중합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4551A (ja) * 2004-12-22 2008-07-10 ソルヴェイ(ソシエテ アノニム) 湿潤ポリマーの乾燥方法
KR20110083012A (ko) * 2010-01-13 2011-07-20 주식회사 동성에코테크 유기성 폐기물 탄화처리장치
JP2014514523A (ja) * 2011-03-15 2014-06-19 ティッセンクルップ・ウーデ・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湿潤ポリマー粉体を乾燥させるための方法及び当該方法に適した装置
KR101284033B1 (ko) * 2012-12-14 2013-07-09 (유)성문 가연성 물질 자연발화 방지장치
DE202014101777U1 (de) * 2013-04-19 2014-06-02 Hobré Instruments B.V. Sprühtrocknungsvorrichtung zum Bilden eines Pulvers aus einer Suspension
US20170082573A1 (en) * 2015-09-17 2017-03-23 Fik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moldering in processes with continuous air fl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33798A (ja) 2019-11-21
EP3514526B1 (en) 2022-10-26
CN109891222A (zh) 2019-06-14
EP3514526A4 (en) 2020-02-26
EP3514526A1 (en) 2019-07-24
JP6791475B2 (ja) 2020-11-25
US20190331619A1 (en) 2019-10-31
KR102195921B1 (ko) 2020-12-28
WO2018236026A1 (ko) 2018-12-27
US11668666B2 (en) 2023-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0443A (ko) 유기질 재료의 건조 공정 중 탄화의 조기 감지방법
Zhao et al. Changes of chemical 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y levels during thermo-oxidative aging of NBR
CN110044407B (zh) 检测电气故障的方法、实现该方法的装置以及电气外壳
CN110706444B (zh) 一种综合性热解粒子电气火灾监控方法、装置及系统
CN105938649A (zh) 一种感烟探测器火灾灵敏度的检测方法
ITBO20100016A1 (it)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derivare la concentrazione di un gas disciolto in un olio di isolamento elettrico.
Rychlý et al. Chemiluminescence from paper I. Kinetic analysis of thermal oxidation of cellulose
CN109375016A (zh) 六氟化硫在不同过热性故障温度下分解特性测试方法
CN104181078A (zh) 一种测试炸药中易挥发物含量的方法及装置
Anez et al. Detection of incipient self-ignition process in solid fuels through gas emissions methodology
Chakraborty et al. Composition analysis of carbon black-filled polychloroprene rubber compound by thermo-oxidative degradation of the compound
Zhuang et al. The technology of forecasting and predicting the hidden danger of underground coal spontaneous combustion
Marzocca et al. Analysis of network structure formed in styrene–butadiene rubber cured with sulfur/TBBS system
Beneš et al. Lifetime simulation and thermal characterization of PVC cable insulation materials
Tabačiarová et al. Styrene Butadiene Rubber/Carbon Filler‐Based Vapor Sensors
Käser et al. Prediction of the ageing of rubber using the chemiluminescence approach and isoconversional kinetics
CN105116014A (zh) 一种自动闭口闪点测定仪
CN207215642U (zh) 一种野外快速测定土壤含水率的装置
Hernández-López et al. Cellulose-based polymer composite with carbon black for tetrahydrofuran sensing
Hamskog et al. The effect of adding virgin material or extra stabilizer on the recyclability of polypropylene as studied by multi-cell imaging chemiluminescence and microcalorimetry
Martin et al. Comparative study: Oven tests and high-pressure autoclave tests (HPAT) on one commercially available PE-HD material
Krongauz et al. Kinetics of poly (vinyl chloride) thermal and thermo‐mechanical degradation in the presence of epoxidized plasticizer. Induction effect
Fukushima et al. Study on the online monitoring of burn marks by gas sensor
Chen et al. Research on thermal de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H foaming agent with different moisture contents
Oßwald et al. Effect of Antioxidants on the Aging Behavior of NR and S-SBR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