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419U - 피부 치료기 - Google Patents

피부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419U
KR20190000419U KR2020170006091U KR20170006091U KR20190000419U KR 20190000419 U KR20190000419 U KR 20190000419U KR 2020170006091 U KR2020170006091 U KR 2020170006091U KR 20170006091 U KR20170006091 U KR 20170006091U KR 20190000419 U KR20190000419 U KR 201900004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device
convex portion
treatment
modu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354Y1 (ko
Inventor
박유호
Original Assignee
박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유호 filed Critical 박유호
Publication of KR201900004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4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3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3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hermost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8Radiating 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4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using a remot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측면에 광선치료모듈부 또는 온열치료모듈부를 구비한, 치료기 상부와 치료기 좌측부와 치료기 우측부가, 서로 탈부착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광선치료모듈부와 온열치료모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는 치료기 상부에 내장되며, 치료기 상부와 치료기 좌측부와 치료기 우측부를 간단히 부착하여 터널형 피부치료기로 사용하는, 피부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광선치료모듈부 또는 온열치료모듈부를 구비하며 치료기 상부와 치료기 좌측부와 치료기 우측부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피부치료기에 있어서, 치료기 상부의 좌우측면의 중앙부에 제1 상면 연결홈을 구비하며, 치료기 좌측부의 상단의 중앙부에 돌출된 제1 측면 연결 볼록부를 구비하며, 치료기 좌측부의 제1 측면 연결 볼록부가, 치료기 상부의 좌측의 제1 상면 연결홈에 탈부착되며, 치료기 우측부의 상단의 중앙부에 돌출된 제1 측면 연결 볼록부를 구비하며, 치료기 우측부의 제1 측면 연결 볼록부가, 치료기 상부의 우측의 제1 상면 연결홈에 탈부착되며, 치료기 상부와 치료기 좌측부와 치료기 우측부가 결합되면, 터널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한다.
치료기 상부의 제1 상면 연결홈 내의 측벽에, 상면 신호연결용 코넥터를 구비하며, 치료기 좌측부 및 치료기 우측부의 제1 측면 연결 볼록부의 외측의 측벽에, 측면 신호연결용 코넥터를 구비하여, 치료기 상부와 치료기 좌측부와 치료기 우측부가 결합되면, 상면 신호연결용 코넥터와, 측면 신호연결용 코넥터가 결합된다.

Description

피부 치료기{SKIN TREATMENT APPARATUS}
본 고안은, 일측면에 광선치료모듈부 또는 온열치료모듈부를 구비한, 치료기 상부와 치료기 좌측부와 치료기 우측부가, 서로 탈부착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광선치료모듈부와 온열치료모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는 치료기 상부에 내장되며, 치료기 상부와 치료기 좌측부와 치료기 우측부를 간단히 부착하여 터널형 피부치료기로 사용하는, 피부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피부광선조사기는, 다양한 파장대역의 저출력 광선 에너지로 인체를 자극하여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데 사용되며, 주로, 여드름, 검버섯, 기미, 색소성 병변 등의 피부 미용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의료용 온열기는 주로 종양이나 통증 치료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에 따라서는 광선치료와 온열치료 둘다가 필요한 경우가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피부광선조사기와, 의료용 온열기 둘다를 구입해야만 한다.
따라서, 광선치료모듈부와 온열치료모듈부를 구비한 피부치료기가 요망된다.
특히, 피부, 예를들어 얼굴, 목, 복부 등의 상면뿐만 아니라 측면도 치료하기 위해서는 터널형태의 피부치료기가 요망된다.
그러나 터널형태의 피부치료기는 부피가 상당히 크다. 특히, 제조자 또는 판매자의 경우, 다수개의 터널형태의 피부치료기를 보관하거나, 수출하거나, 수입 할 경우에, 부피는 상당히 문제가 된다. 즉, 터널형태의 피부치료기는 보다 넓은 공간을 위한 공간 대여가 필요하거나, 보다 많은 보다 더 큰 수출포장박스를 필요로 하거나, 이송을 위해 보다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금전적인 지출이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치료기 상부와 치료기 좌측부와 치료기 우측부가 서로 간단히 탈부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피부치료기가 요망된다.
선행기술로, 국내 특허공개 제10-2009-0055891호는 피부용 LED 광 조사기에 관한 것으로, 광조사 헤드, 스탠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광조사 헤드는 서로 힌지로 연결된 중엽 패널, 좌엽 패널과 우엽 패널로 이루어지며, 제어부는 스탠드스템에 장착되며, 스탠드스템은 스탠드에 장착된다.
국내 특허공개 제10-2009-0055891호의 광조사 헤드는 중엽 패널, 좌엽 패널과 우엽 패널를 접을 수 있다고 하더라도, 스탠드, 제어부 등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므로, 이 광 조사기의 부피를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다른 선행기술로, 국내 특허공개 제10-2014-0025152호는 피부치료용 광 조사기에 관한 것으로, 전원부, 입력부, 제어부, 광원방출부로 이루어지며, 광원방출부는 연성 인쇄회로기판, 광원들, 금속 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국내 특허공개 제10-2014-0025152호의 광원방출부는 원호형을 이루나,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또한, 전원부, 입력부, 제어부를 별도의 몸체로 구비하므로, 광 조사기의 부피는 크다고 할 수 있다.
다른 선행기술로, 국내 등록특허 제10-1588369호는 터널형 의료용 온열기에 관한 것이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588369호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사람의 몸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져, 이 온열기의 부피는 상당히 크다.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일측면에 광선치료모듈부 또는 온열치료모듈부를 구비한 치료기 상부와 치료기 좌측부와 치료기 우측부가, 서로 탈부착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광선치료모듈부와 온열치료모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는 치료기 상부에 내장되며, 치료기 상부와 치료기 좌측부와 치료기 우측부를 간단히 부착하여 터널형 피부치료기로서 사용하는, 피부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광선치료모듈부 또는 온열치료모듈부를 구비하며 치료기 상부와 치료기 좌측부와 치료기 우측부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피부치료기에 있어서, 치료기 상부의 좌우측면의 중앙부에 제1 상면 연결홈을 구비하며, 치료기 좌측부의 상단의 중앙부에 돌출된 제1 측면 연결 볼록부를 구비하며, 치료기 좌측부의 제1 측면 연결 볼록부가, 치료기 상부의 좌측의 제1 상면 연결홈에 탈부착되며, 치료기 우측부의 상단의 중앙부에 돌출된 제1 측면 연결 볼록부를 구비하며, 치료기 우측부의 제1 측면 연결 볼록부가, 치료기 상부의 우측의 제1 상면 연결홈에 탈부착되며, 치료기 상부와 치료기 좌측부와 치료기 우측부가 결합되면, 터널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치료기 상부의 제1 상면 연결홈 내의 측벽에, 상면 신호연결용 코넥터를 구비하며, 치료기 좌측부 및 치료기 우측부의 제1 측면 연결 볼록부의 외측의 측벽에, 측면 신호연결용 코넥터를 구비하여, 치료기 상부와 치료기 좌측부와 치료기 우측부가 결합되면, 상면 신호연결용 코넥터와, 측면 신호연결용 코넥터가 결합된다.
치료기 상부의 좌측면과 우측면에서, 제1 상면 연결홈의 좌우에, 제2 상면 연결홈과 제3 상면 연결홈을 구비하며, 치료기 좌측부와 치료기 우측부의 상면에서, 제1 측면 연결 볼록부의 좌우에, 제2 측면 연결 볼록부와 제3 측면 연결 볼록부를 구비하며, 제2 상면 연결홈과 제2 측면 연결 볼록부가 결합하고, 제3 상면 연결홈과 제3 측면 연결 볼록부가 결합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 측면 연결 볼록부와 제3 측면 연결 볼록부 중의 하나의 상단에 돌출된 고정턱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턱이 삽입되는 고정턱 결합홈이, 제2 상면 연결홈과 제3 상면 연결홈 중의 하나에 구비된다.
치료기 상부의 좌측면과 우측면에서, 제1 상면 연결홈의 좌우측에, 자석 또는 자화금속을 내장한 상면 자석부를 구비하며, 치료기 좌측부 및 치료기 우측부의 상단에서, 제1 측면 연결 볼록부의 좌우측에, 자석 또는 자화금속을 내장한 측면 자석부를 구비한다.
치료기 상부의 상면에는 홈형태의 리모콘 수납부를 구비하며, 리모콘 및 리모콘 수납부에는 자석 또는 자화 금속이 장착되어, 리모콘 수납부에 리모콘을 탈부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치료기 상부는, 저면부의 중앙부에 상부 통공을 구비하여, 광선치료모듈부 또는 온열치료모듈부가, 치료기 상부 내에 장착되되, 상부 통공을 통해 노출되도록 장착되게 이루어진, 상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의 위에 고정, 장착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부 프레임의 정면부에 광선치료모듈부 또는 온열치료모듈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패널이 구비된다.
치료기 좌측부 및 치료기 우측부는, 중앙부에 측부 통공을 구비하여, 광선치료모듈부 또는 온열치료모듈부가, 치료기 좌측부 및 치료기 우측부의 내에 장착되되, 측부 통공을 통해 노출되도록 장착되게 이루어진, 측부 프레임; 측부 프레임의 위에 고정, 장착되는 측부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측면 커버부의 상면의 중앙에는 제1 측면 연결 볼록부의 일부 몸체가 되는 제1 측면 연결 볼록부의 제1몸체가 돌출되어 있으며, 측부 프레임의 상면의 중앙에는 제1 측면 연결 볼록부의 다른 일부 몸체가 되는 제1 측면 연결 볼록부의 제2몸체가 돌출되어 있으며, 측면 연결 볼록부 제1몸체와 측면 연결 볼록부 제2몸체가 결합되어 형성된 제1 측면 연결 볼록부의 측벽에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에는 신호연결용 코넥터 또는 신호연결용 코넥터용 핀이 삽입된다.
측면 커버부의 상면에서 제1 측면 연결 볼록부의 좌우에는, 제2 측면 연결 볼록부의 일부몸체와 제3 측면 연결 볼록부의 일부몸체가 돌출되어 있으며, 측부 프레임의 상면에서 제1 측면 연결 볼록부의 좌우에는, 제2 측면 연결 볼록부의 다른 일부몸체와 제3 측면 연결 볼록부의 다른 일부몸체가 돌출되어 있으며, 제2 측면 연결 볼록부의 일부몸체와 제2 측면 연결 볼록부의 다른 일부몸체가 결합되며, 제3 측면 연결 볼록부의 일부몸체와 제3 측면 연결 볼록부의 다른 일부몸체가 결합된다.
광선치료모듈부는, 회로 기판 위에 LED가 열을 이루어 설치되는, LED 어레이 모듈; LED 어레이 모듈을 덮어 씌우도록 이루어진, 투명커버; 투명커버의 위에 위치되되, 투명커버의 크기보다 크며, 테두리를 제외한 부분이 통공인, 광선치료모듈 프레임 통공을 구비하며, 광선치료모듈 프레임 통공의 크기는 투명커버의 크기보다 작은, 광선치료모듈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투명커버의 테두리에, 하나 이상의 커버고정용 홈을 구비하며, 커버고정용 홈)에는, 광선치료모듈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는 커버고정용 턱이 삽입된다.
커버고정용 홈은 단면이 반원형을 이루는 홈이며, 외측으로 개방부를 형성하는 홈이며, 커버고정용 턱은 단면이 반원형을 이루는 턱이다.
커버고정용 홈은 투명커버의 좌우 양측의 중앙에 구비되며, 커버고정용 턱은 광선치료모듈 프레임 통공의 테두리부의 좌우양측 중앙에 구비된다.
광선치료모듈부는 광선치료모듈 프레임의 상측과 하측 중의 일측에, 또는 상측과 하측에, 모듈 고정용 통공을 구비하며, 광선치료모듈부가, 상부 프레임 저면부의 상부 통공, 또는 측부 프레임 중앙면부의 측부 통공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부 프레임 또는 측부 프레임에 구비된 모듈설치홈과, 광선치료모듈부의 모듈 고정용 통공이, 나사로 고정된다.
본 고안의 피부치료기는, 일측면에 광선치료모듈부 또는 온열치료모듈부를 구비한 치료기 상부와 치료기 좌측부와 치료기 우측부가, 서로 탈부착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광선치료모듈부와 온열치료모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는 치료기 상부에 내장되며, 치료기 상부와 치료기 좌측부와 치료기 우측부를 간단히 부착하여 터널형 피부치료기로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은 치료기 상부에 제어부가 내장되어 콤팩트하고, 치료기 상부와 치료기 좌측부와 치료기 우측부가 간단히 장착되어 터널형태의 피부치료기가 가능하면서, 그 부피가 크지 않아, 이동 또는 보관시에 용이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피부치료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피부치료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피부치료기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피부치료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피부치료기의 일예이다.,
도 6은 도 1의 피부치료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피부치료기의 치료기 상부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치료기 상부의 연결부를 나타낸다.
도 9은 본 고안의 피부치료기(100)의 치료기 상부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1의 피부치료기의 치료기 좌측부를 나타낸다.
도 11는 본 고안의 피부치료기(100)의 치료기 좌측부의 분해사시도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2은 도 1의 광선치료모듈부의 사시도이다.
도 13는 본 고안의 광선치료모듈부의 일예이다.
도 14는 도 13의 광선치료모듈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은 도 1의 온열치료모듈부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의 온열치료모듈부의 일예이다.
도 17은 도 1의 제어 패널의 일예이다.
도 18는 도 1의 리모콘의 일예이다.
이하, 본 고안의 피부치료기의 구조,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피부치료기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피부치료기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피부치료기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피부치료기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피부치료기의 일예이고, 도 6은 도 1의 피부치료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피부치료기(100)는,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치료기 상부(110)와 치료기 좌측부(120)와 치료기 우측부(130)를 구비하며, 아래측에 개방부(140)를 구비한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지며, 치료기 좌측부(120)와 치료기 우측부(130)의 사이의 거리가 치료기 상부에서 멀어질수록 커지도록 이루어져, 개방부에 인체를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3 및 도 6에서와 같이, 치료기 상부(110)와 치료기 좌측부(120)와 치료기 우측부(130)는 판형태로 이루지며, 내측면에 광선치료모듈부(160) 또는 온열치료모듈부(170)를 구비하며, 치료기 상부(110)와 치료기 좌측부(120)는 서로 탈부착가능하며, 치료기 상부(110)와 치료기 우측부(130)는 서로 탈부착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치료기 상부(110)와 치료기 좌측부(120)와 치료기 우측부(130)를 간단히 부착하여 터널형 피부치료기로 사용된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치료기 상부(110)의 내측면에 광선치료모듈부(160)만이 설치된 것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이로써 본 고안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광선치료모듈부(160) 또는 온열치료모듈부(170)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설치되어질 수 있다.
피부치료기(100)의 저면, 즉, 치료기 좌측부(120)와 치료기 우측부(130)의 저면에는 미끄러짐 등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받침(154)이 장착되어 있다.
치료기 상부(110)의 상면에는 홈형태의 리모콘 수납부(115)를 구비하며, 리모콘(200)을 탈부착가능 하도록 이루어지되, 리모콘(200) 또는 리모콘 수납부(115)에 자석 또는 자화 금속이 장착되어, 리모콘 수납부(115)에 장착된 리모콘(200)이 떨어지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서, 리모콘 수납부(115)는 생략될 수 있다.
도 5의 (a)는 리모콘 수납부(115)를 구비하지 않는 피부치료기의 일예이고, 도 5의 (b)는 리모콘 수납부(115)를 구비하는 피부치료기의 일예이다.
도 7은 도 1의 피부치료기의 치료기 상부를 나타내며, 도 8은 도 7의 치료기 상부의 연결부를 나타내며, 도 9은 본 고안의 피부치료기(100)의 치료기 상부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고안의 피부치료기(100)의 치료기 상부(110)의 배면사시도의 일예이고, 도 9의 (b)는 도 9의 (a)의 치료기 상부(110)의 분해사시도이다.
치료기 상부(110)의 일측면, 즉, 정면에는 제어 패널(150)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볼수 있어, 사용하기 편리하다.
치료기 상부(110)의 좌우측(좌우 양단)에는, 도 8에서와 같이, 제1 상면 연결홈(116), 제2 상면 연결홈(181), 제3 상면 연결홈(182) 및 상면 자석부(117)를 구비한다.
제1 상면 연결홈(116)은 치료기 상부(110)의 좌우측면의 중앙에 위치되며, 치료기 상부(110)와 치료기 좌측부(120), 그리고, 치료기 상부(110)와 치료기 우측부(130)를 결합하여 고정함과 동시에, 이들 사이에 신호(전원,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면 신호연결 및 결합용 홈이라고 할 수 있다.
제1 상면 연결홈(116)의 내측에는 상면 신호연결용 코넥터(142)가 장착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상면 연결홈(116)의 내측의 벽면에 장착되어 있다. 치료기 상부(110)의 좌우측의 제1 상면 연결홈(116)에, 치료기 좌측부(120)과 치료기 우측부(130)의 제1 측면 연결 볼록부(136)와 결합되며, 이에 따라, 상면 신호연결용 코넥터(142)는, 제1 측면 연결 볼록부(136)의 측벽에 위치되는 측면 신호연결용 코넥터(141)와 연결된다. 즉, 상면 신호연결용 코넥터(142)가 제1 상면 연결홈(116) 내의 측벽에 위치되고, 측면 신호연결용 코넥터(141)가 제1 측면 연결 볼록부(136)의 외측의 측벽에 위치되어, 상면 신호연결용 코넥터(142)와 측면 신호연결용 코넥터(141)가 결합됨에 의해, 액체 등이 피부치료기(100)에 쏟아져도 코넥터 부분에 스며들 가능성이 적으며, 또한 접촉불량의 발생율을 줄이고, 잡음에 의해 오동작할 가능성을 줄였다. 만약, 상면 신호연결용 코넥터(142)가 제1 상면 연결홈(116)의 저면에 위치되고, 측면 신호연결용 코넥터(141)가 제1 측면 연결 볼록부(136)의 상단에 위치되는 경우, 상면 신호연결용 코넥터(142)에서 측면 신호연결용 코넥터(141)가 빠지거나 접촉불량이 일어날 가능성이 보다 많으며, 이에따라 잡음 등이 발생하여 오동작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제2 상면 연결홈(181)와 제3 상면 연결홈(182)은 제1 상면 연결홈(116)의 좌우에 위치되어, 치료기 상부(110)와 치료기 좌측부(120), 그리고, 치료기 상부(110)와 치료기 우측부(130)를 결합하여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결합 고정용 홈이라고 할 수 있다. 제2 상면 연결홈(181)와 제3 상면 연결홈(182)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상면 연결홈(181)와 제3 상면 연결홈(182) 중의 하나는 고정턱(147)이 삽입되기 위한 고정턱 결합홈(148)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상면 연결홈(181)과 제3 상면 연결홈(182) 각각에는 치료기 좌측부(120)와 치료기 우측부(130)의 제2 측면 연결 볼록부(131)와 제3 측면 연결 볼록부(132) 각각이 삽입된다.
도 6, 도 9, 도 10 등에서는 제2 상면 연결홈(181)은 고정턱 결합홈(148)을 구비하고, 제2 측면 연결 볼록부(131)에 고정턱(147)을 구비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로써, 본 고안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면, 제3 상면 연결홈(182)이 고정턱 결합홈(148)을 구비하고, 제3 측면 연결 볼록부(132)에 고정턱(147)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제2 상면 연결홈(181)과 제3 상면 연결홈(182) 각각이, 제2 측면 연결 볼록부(131)와 제3 측면 연결 볼록부(132) 각각과 결합될 뿐만아니라, 고정턱(147)과 고정턱 결합홈(148)이 결합함으로써, 치료기 상부(110)와 치료기 좌측부(120), 그리고, 치료기 상부(110)와 치료기 우측부(130)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하여, 일단 결합된 것은 쉽게 이탈되지 않게 한다.
상면 자석부(117)는 치료기 상부(110)의 좌우측에 하나 이상의 자석이 내장 또는 외장되며, 바람직하게는 제1 상면 연결홈(116)의 양측에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상면 자석부(117)는 치료기 상부(110)와 치료기 좌측부(120), 그리고, 치료기 상부(110)와 치료기 우측부(130)의 결합시, 측면 자석부(137)와 결합되어, 결합부분에 틈새가 생기지 않고 잘 결합하도록 하기 위해 장착된 것이다. 상면 자석부(117)는 치료기 상부(110)의 좌우측에 하나 이상의 자석이 내장 또는 외장되며, 바람직하게는 제1 상면 연결홈(116)의 양측에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치료기 상부(110)의 좌우측의 제1 상면 연결홈(116), 제2 상면 연결홈(181), 제3 상면 연결홈(182) 각각에, 치료기 좌측부(120)과 치료기 우측부(130)의 제1 측면 연결 볼록부(136), 제2 측면 연결 볼록부(131), 제3 측면 연결 볼록부(132) 각각이 결합되며, 이때 상면 자석부(117)와 측면 자석부(137)가 자동적으로 결합된다.
즉, 치료기 상부(110)의 좌측면의 제1 상면 연결홈(116)에, 치료기 좌측부(120)의 제1 측면 연결 볼록부(136)이 결합되며, 치료기 상부(110)의 좌측면의 제2 상면 연결홈(181)에, 치료기 좌측부(120)의 제2 측면 연결 볼록부(131)이 결합되며. 치료기 상부(110)의 좌측면의 제3 상면 연결홈(182)에, 치료기 좌측부(120)의 제3 측면 연결 볼록부(132)가 결합된다. 치료기 상부(110)의 우측면의 제1 상면 연결홈(116)에, 치료기 우측부(130)의 제1 측면 연결 볼록부(136)가 결합되며, 치료기 상부(110)의 우측면의 제2 상면 연결홈(181)에, 치료기 우측부(120)의 제2 측면 연결 볼록부(131)가 결합되며. 치료기 상부(110)의 우측면의 제3 상면 연결홈(182)에, 치료기 우측부(120)의 제3 측면 연결 볼록부(132)가 결합된다. 이때 상면 자석부(117)와 측면 자석부(137)도 자동적으로 결합된다.
도 9에서와 같이 치료기 상부(110)는, 상부 커버(111)와 상부 프레임(112)을 포함하며, 또한, 광선치료모듈부(160) 또는 온열치료모듈부(170)를 더 포함한다.
상부 커버(111)는 상부 프레임(112)의 위에 장착되는 것으로, 정면 또는 배면에서 보았을 때, 원호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부 커버(111)의 외측에 리모콘 수납부(115)를 구비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미도시되었지만, 상부 커버(111)의 좌우측 양단에 홈 또는 턱(미도시)을 구비하여, 상부 프레임(112)의 좌우측 양단의 홈 또는 턱(미도시)과 결합되어, 상부 커버(111)가 상부 프레임(112)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2)은 상부 프레임 저면부(151)와 상부 프레임 정면부(152)와 상부 프레임 배면부(1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부 프레임 저면부(151)는 중앙부에 사각형의 상부 통공(113)을 가지며, 정면 또는 배면에서 보았을 때, 원호형으로 이루어지며, 광선치료모듈부(160) 또는 온열치료모듈부(170)가 상부 통공(113)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부 프레임 저면부(151) 내측에서, 상부 통공(113)의 테두리에, 홈, 즉, 모듈설치홈(158)을 구비하되, 모듈설치홈(158)은, 상부 통공(113)을 가로질러, 서로 마주보도록 쌍을 이루어 설치된다. 모듈설치홈(158)에는 광선치료모듈부(160)의 연결단자(168) 또는 온열치료모듈부(170)의 연결단자(178)가 위치되며, 상기 연결단자(168, 178)의 통공들과, 모듈설치홈(158)의 홈은 나사(미도시)에 의해 결합되어, 광선치료모듈부(160) 또는 온열치료모듈부(170)를 치료기 상부(110)에 고정한다.
상부 프레임 저면부(151)의 좌우 양측에는 제1 상면 연결홈(116)을 형성하는 통형태의 상면연결홈 지지구(119)를 구비한다. 물론, 상면연결홈 지지구(119)의 측 벽에는 상면 신호연결용 코넥터(14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면 신호연결용 코넥터(142)는 치료기 좌측부(120)와 치료기 우측부(130)의 광선치료모듈부(160) 또는 온열치료모듈부(170)을 제어하거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 제어신호선 등을 위한 코넥터이다.
상부 프레임 저면부(151)의 좌우 양측면, 즉, 치료기 상부의 좌우측면은 사선을 이룬다.
즉, 상면연결홈 지지구(119)는 상면 신호연결용 코넥터(142)를 삽입하기 위한 신호선용 통공(미도시)을 구비한다. 상면 신호연결용 코넥터(142)의 측벽의 어디에도 설치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 정면부(152)는 원호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정면(또는 그 외측)에 제어 패널(150)이 구비된다.
상부 프레임 배면부(153)는 원호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전원 코넥터용 통공(155)를 구비하며, 전원 코넥터용 통공(155)에는 전원 코넥터(미도시)가 설치된다.
도 10은 도 1의 피부치료기의 치료기 좌측부(또는 치료기 우측부)를 나타내며, 도 11은 본 고안의 피부치료기(100)의 치료기 좌측부(또는 치료기 우측부)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0의 (a)는 치료기 좌측부(120)(또는 우측부(130))의 외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의 (b) 는 치료기 좌측부(120)(또는 우측부(130))의 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치료기 좌측부(120)와 치료기 우측부(130)의 상면에는, 제1 측면 연결 볼록부(136), 제2 측면 연결 볼록부(131), 제3 측면 연결 볼록부(132) 및 측면 자석부(137)가 구비된다.
제1 측면 연결 볼록부(136)는 치료기 좌측부(120)와 치료기 우측부(130)의 상면 중앙에 위치되며, 치료기 상부(110)와 치료기 좌측부(120), 그리고, 치료기 상부(110)와 치료기 우측부(130)를 결합하여 고정함과 동시에, 이들 사이에 신호(전원,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측면 신호연결 및 결합용 홈이라고 할 수 있다.
제1 측면 연결 볼록부(136)의 측벽에는 측면 신호연결용 코넥터(142)가 장착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측면 연결 볼록부(136)의 외측의 벽면에 장착되어 있다.
치료기 좌측부(120)와 치료기 우측부(130)의 상면의 제1 측면 연결 볼록부(136)가, 치료기 상부(110)의 제1 상면 연결홈(116)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이에 따라, 측면 신호연결용 코넥터(142)는, 상면 신호연결용 코넥터(141)과 결합된다.
제2 측면 연결 볼록부(131)와 제3 측면 연결 볼록부(132)는 제1 측면 연결 볼록부(136)의 좌우에 위치되어, 치료기 상부(110)와 치료기 좌측부(120), 그리고, 치료기 상부(110)와 치료기 우측부(130)를 결합하여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결합 고정용 턱이라고 할 수 있다.
제2 측면 연결 볼록부(131)와 제3 측면 연결 볼록부(132)는 사각형 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측면 연결 볼록부(131)와 제3 측면 연결 볼록부(132) 중의 하나는 고정턱(147)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측면 연결 볼록부(131)와 제3 측면 연결 볼록부(132) 각각은 치료기 상부(110)의 좌우 양단에 있는 제1 상면 연결홈(116)와 제2 상면 연결홈(181) 각각에 삽입된다.
측면 자석부(137)는 치료기 좌측부(120)와 치료기 우측부(130)의 상면에 하나 이상의 자석이 내장 또는 외장되며, 바람직하게는 제1 측면 연결 볼록부(136)의 양측에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면 자석부(117)와 측면 자석부(137)는 자석 또는 자화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치료기 좌측부(120)와 치료기 우측부(130)는 동일하거나, 좌우대칭일 수 있다.
치료기 좌측부(120)와 치료기 우측부(130)는 측면 커버부(121)와 측부 프레임(122)를 포함하며, 또한, 광선치료모듈부(160) 또는 온열치료모듈부(170)를 더 포함한다.
측면 커버부(121)는 측부 프레임(122)의 위에 장착되는 것으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부가 둥굴려진 것으로, 반원호 형태 또는 "∫" 형태를 이룬다. 측면 커버부(121)의 일측, 즉, 상단의 중앙에는 제1 측면 연결 볼록부(136)의 일부 몸체가 되는 측면 연결구 제1몸체(156)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측면 커버부(121)의 상단에서 제1 측면 연결 볼록부(136)의 좌우에는, 제2 측면 연결 볼록부(131)의 일부몸체(131a, 131b)와 제3 측면 연결 볼록부(132)의 일부몸체(132a, 132b)가 돌출되어 있다.
측면 커버부(121)의 측면 연결구 제1몸체(156)는 측부 프레임(122)의 측면 연결구 제2몸체(157)과 결합되며, 측면 연결구 제1몸체(156)와 측면 연결구 제2몸체(157)가 결합되어, 제1 측면 연결 볼록부(136)의 측벽에 형성되는 통공에서는 신호연결용 코넥터(141) 또는 신호연결용 코넥터용 핀(미도시)이 삽입된다.
또한, 같은 방식으로, 측면 연결구 제1몸체(156)의 제2 측면 연결 볼록부(131)의 일부몸체(131a)와, 측면 연결구 제2몸체(157)의 제2 측면 연결 볼록부(131)의 일부몸체(131b)가 결합되며, 측면 연결구 제1몸체(156)의 제3 측면 연결 볼록부(132)의 일부몸체(132a)와, 측면 연결구 제2몸체(157)의 제3 측면 연결 볼록부(132)의 일부몸체(132b)가 결합된다.
도 11에서는 미도시되었지만, 측면 커버부(121)의 테두리에 홈 또는 턱(미도시)을 구비하며, 이는 측부 프레임(122)의 테두리의 홈 또는 턱(미도시)과 결합되어, 측면 커버부(121)가 측부 프레임(122)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측부 프레임(122)은 측면 커버부(121)와 결합되는 것으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부가 둥굴려진 것으로, 반원호 형태 또는 "∫" 형태를 이룬다.
측부 프레임(122)은 측부 프레임 상면부(125), 측부 프레임 좌면부(126), 측부 프레임 우면부(127), 측부 프레임 저면부(128), 측부 프레임 중앙면부(12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측부 프레임(122)은 측부 프레임 중앙면부(129)를 중심으로, 위와 아래에 측부 프레임 상면부(125)와 측부 프레임 저면부(128)가 있으며, 좌측과 우측에 측부 프레임 좌면부(126)와 측부 프레임 우면부(127)가 있다,
측부 프레임 상면부(125)의 일측, 즉, 상단의 중앙에는 제1 측면 연결 볼록부(136)의 일부 몸체가 되는 측면 연결구 제2몸체(156)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측부 프레임 좌면부(126)과 측부 프레임 우면부(127)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부가 둥굴려진 것으로, 반원호 형태 또는 "∫" 형태를 이룬다.
측부 프레임 저면부(128)에는 고무받침(154)이 장착되어 있다.
측부 프레임 중앙면부(129)는 중앙부에 사각형의 측부 통공(124)을 가지며,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부가 둥굴려진 것으로, 반원호 형태 또는 "∫" 형태를 이룬다. 측부 프레임 중앙면부(129)에서, 광선치료모듈부(160) 또는 온열치료모듈부(170)가 측부 통공(124)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측부 프레임 중앙면부(129) 내측에서, 측부 통공(124)의 테두리에, 홈을 구비한 모듈설치홈(158)를 설치되되, 모듈설치홈(158)은, 측부 통공(124)을 가로질러, 서로 마주보도록 쌍을 이루어 설치된다. 모듈설치홈(158)에는 광선치료모듈부(160)의 연결단자(168) 또는 온열치료모듈부(170)의 연결단자(178)가 위치되며, 상기 연결단자(168, 178)의 통공들과, 모듈설치홈(158)의 홈은 나사(미도시)에 의해 결합되어, 광선치료모듈부(160) 또는 온열치료모듈부(170)를 치료기 우측부(130)와 치료기 좌측부(120)에 고정한다.
도 12은 도 1의 광선치료모듈부의 사시도이고, 도 13는 본 고안의 광선치료모듈부의 일예이고, 도 14는 도 13의 광선치료모듈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의 (a)는 광선치료모듈부의 평면도이고, 도 13의 (b)는 도 13의 (a)의 광선치료모듈부의 배면도이다.
광선치료모듈부(160)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광선치료모듈 프레임(161), 사각형의 투명커버(162), LED(발광다이오드) 어레이 모듈(162), 광선치료모듈 코낵터(1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LED 어레이 모듈(162)은 회로 기판 위에 LED가 열을 이루어 설치되어 광을 조사한다. 여기서, LED로서 적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할 수있으며, 이들 LED는 적색광 또는 청색광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투명커버(162)는, 광선치료모듈부(160)의 상면에 위치되며, 즉, LED 어레이 모듈(162)의 위에 위치되어, LED 어레이 모듈(162)로부터의 광을 통과시키며, LED 어레이 모듈(162) 내로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등, LED 어레이 모듈(162)을 보호하는 역활을 한다. 또한, 투명커버(162)의 위에는 광선치료모듈 프레임(161)가 설치되되, 투명커버(162)는 광선치료모듈 프레임(161) 보다는 크기가 작고, 광선치료모듈 프레임 통공(164)보다는 크기가 커서, 결과적으로 투명커버(162)가 광선치료모듈 프레임(161)과 LED 어레이 모듈(162)의 사이에 위치되게 된다. 또한, 투명커버(162)는 그 테두리에, 하나 이상의 커버고정용 홈(167)을 구비하되, 커버고정용 홈(167)에는, 광선치료모듈 프레임(161)의 커버고정용 턱(166)이 삽입되어, 투명커버(162)가 광선치료모듈 프레임(161)과 LED 어레이 모듈(162)의 사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투명커버(162)를 고정한다.
커버고정용 홈(167)은 그 단면이 반원형을 이루는 홈이며, 투명커버(162)의 테두리의 일측에, 외측으로 개방부를 형성하는 홈으로, 바람직하게는, 투명커버(162)의 좌우양측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커버고정용 턱(166)은 그 단면이 반원형을 이루는 턱으로, 광선치료모듈 프레임(161)의 광선치료모듈 프레임 통공(164)의 내측 측벽에 구비되는 턱으로, 바람직하게는, 광선치료모듈 프레임(161)의 광선치료모듈 프레임 통공(164)의 테두리부의 좌우양측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커버고정용 홈(167)이 커버고정용 턱(166)보다 크거나 같도록 이루어진다.
광선치료모듈 프레임(161)의 상측과 하측 중의 일측, 또는 상측과 하측에 모듈 고정용 통공(168)을 구비한다.
LED 어레이 모듈(162)의 위에 투명커버(162)를 장착하고, 투명커버(162) 위에 광선치료모듈 프레임(161)을 장착한 광선치료모듈부(160)를, 상부 프레임 저면부(151)의 상부 통공(113) 또는 측부 프레임 중앙면부(129)의 측부 통공(124)을 가로 지르도록 설치하고, 모듈설치홈(158)과 모듈 고정용 통공(168)을 나사(미도시)로 고정한다.
즉, 거의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광선치료모듈부(160)를 조립하고, 이를 하나 또는 두개의 나사를 사용하여 광선치료모듈부(160)를 피부치료기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고장이 일어날 확률이 적으며, AS가 수월하고, 공정가격등 이 저렴하여 단가를 저가로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LED 어레이 모듈(162)의 배면 또는 광선치료모듈 하우징(164)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방열효과를 가져오게 할 수 있다.
도 15은 도 1의 온열치료모듈부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고안의 온열치료모듈부의 일예이다.
도 16의 (a)는 온열치료모듈부의 평면도이고, 도 16의 (b)는 도 16의 (a)의 온열치료모듈부의 배면도이다.
온열치료모듈부(170)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사각형의 온열모듈부(171), 온열모듈 프레임(172)을 포함한다.
온열모듈부(171)는 발열체와 발열체를 제어하는 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발열체로서는 면상발열체를 사용할 수도 있고, 일반 광원(발광다이오드 등)과 온열모듈 커버부(미도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일반 광원(발광다이오드 등)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온열모듈 프레임(172)은 내측에 사각형의 온열모듈 프레임 통공(173)을 구비하며, 온열모듈부(171)의 위에 위치되되, 온열모듈부(171)의 테두리를 감싸준다.
온열모듈부(171)가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일 없도록 하기 위해, 최소한 소정거리를 이격하도록 하여,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온열모듈 프레임(172)의 상면과. 온열모듈부(171)의 상면은 소정거리를 가진다.
경우에 따라서, 온열모듈 코넥터(176)는, 온열모듈부(171)의 배면에 구비될 수 도 있다.
도 17은 도 1의 제어 패널의 일예이고, 도 18는 도 1의 리모콘의 일예이다.
도 18의 (a)는 리모콘의 평면도이고, 도 18의 (b)는 도 18의 (a)의 리모콘의 배면도이다.
제어 패널(150) 및 리모콘(200)은, 도 17 및 도 18에서와 같이, 전원 스위치, 치료시간 설정부(TIME), 온열치료 설정부, 광선치료설정부, 광선치료모드 설정부 등을 포함한다.
리모콘(200)의 배면에는 자석 장착부(210)가 구비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6)

  1. 광선치료모듈부 또는 온열치료모듈부를 구비하며 치료기 상부와 치료기 좌측부와 치료기 우측부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피부치료기에 있어서,
    치료기 상부의 좌우측면의 중앙부에 제1 상면 연결홈을 구비하며,
    치료기 좌측부의 상단의 중앙부에 돌출된 제1 측면 연결 볼록부를 구비하며, 치료기 좌측부의 제1 측면 연결 볼록부가, 치료기 상부의 좌측의 제1 상면 연결홈에 탈부착되며,
    치료기 우측부의 상단의 중앙부에 돌출된 제1 측면 연결 볼록부를 구비하며, 치료기 우측부의 제1 측면 연결 볼록부가, 치료기 상부의 우측의 제1 상면 연결홈에 탈부착되며,
    치료기 상부와 치료기 좌측부와 치료기 우측부가 결합되면, 터널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치료기.
  2. 제1항에 있어서,
    치료기 상부의 제1 상면 연결홈 내의 측벽에, 상면 신호연결용 코넥터를 구비하며,
    치료기 좌측부 및 치료기 우측부의 제1 측면 연결 볼록부의 외측의 측벽에, 측면 신호연결용 코넥터를 구비하여,
    치료기 상부와 치료기 좌측부와 치료기 우측부가 결합되면, 상면 신호연결용 코넥터와, 측면 신호연결용 코넥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치료기.
  3. 제2항에 있어서,
    치료기 상부의 좌측면과 우측면에서, 제1 상면 연결홈의 좌우에, 제2 상면 연결홈과 제3 상면 연결홈을 구비하며,
    치료기 좌측부와 치료기 우측부의 상면에서, 제1 측면 연결 볼록부의 좌우에, 제2 측면 연결 볼록부와 제3 측면 연결 볼록부를 구비하며,
    제2 상면 연결홈과 제2 측면 연결 볼록부가 결합하고, 제3 상면 연결홈과 제3 측면 연결 볼록부가 결합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치료기.
  4. 제3항에 있어서,
    제2 측면 연결 볼록부와 제3 측면 연결 볼록부 중의 하나의 상단에 돌출된 고정턱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턱이 삽입되는 고정턱 결합홈이, 제2 상면 연결홈과 제3 상면 연결홈 중의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치료기.
  5. 제4항에 있어서,
    치료기 상부의 좌측면과 우측면에서, 제1 상면 연결홈의 좌우측에, 자석 또는 자화금속을 내장한 상면 자석부를 구비하며,
    치료기 좌측부 및 치료기 우측부의 상단에서, 제1 측면 연결 볼록부의 좌우측에, 자석 또는 자화금속을 내장한 측면 자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치료기.
  6. 제5항에 있어서,
    치료기 상부의 상면에는 홈형태의 리모콘 수납부를 구비하며,
    리모콘 및 리모콘 수납부에는 자석 또는 자화 금속이 장착되어,
    리모콘 수납부에 리모콘을 탈부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치료기.
  7. 제5항에 있어서,
    치료기 상부는
    저면부의 중앙부에 상부 통공을 구비하여, 광선치료모듈부 또는 온열치료모듈부가, 치료기 상부 내에 장착되되, 상부 통공을 통해 노출되도록 장착되게 이루어진, 상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의 위에 고정, 장착되는 상부 커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치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의 정면부에 광선치료모듈부 또는 온열치료모듈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패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치료기.
  9. 제5항에 있어서,
    치료기 좌측부 및 치료기 우측부는,
    중앙부에 측부 통공을 구비하여, 광선치료모듈부 또는 온열치료모듈부가, 치료기 좌측부 및 치료기 우측부의 내에 장착되되, 측부 통공을 통해 노출되도록 장착되게 이루어진, 측부 프레임;
    측부 프레임의 위에 고정, 장착되는 측부 커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치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측면 커버부의 상면의 중앙에는 제1 측면 연결 볼록부의 일부 몸체가 되는 제1 측면 연결 볼록부의 제1몸체가 돌출되어 있으며,
    측부 프레임의 상면의 중앙에는 제1 측면 연결 볼록부의 다른 일부 몸체가 되는 제1 측면 연결 볼록부의 제2몸체가 돌출되어 있으며,
    측면 연결 볼록부 제1몸체와 측면 연결 볼록부 제2몸체가 결합되어 형성된 제1 측면 연결 볼록부의 측벽에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에는 신호연결용 코넥터 또는 신호연결용 코넥터용 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치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측면 커버부의 상면에서 제1 측면 연결 볼록부의 좌우에는, 제2 측면 연결 볼록부의 일부몸체와 제3 측면 연결 볼록부의 일부몸체가 돌출되어 있으며,
    측부 프레임의 상면에서 제1 측면 연결 볼록부의 좌우에는, 제2 측면 연결 볼록부의 다른 일부몸체와 제3 측면 연결 볼록부의 다른 일부몸체가 돌출되어 있으며,
    제2 측면 연결 볼록부의 일부몸체와 제2 측면 연결 볼록부의 다른 일부몸체가 결합되며, 제3 측면 연결 볼록부의 일부몸체와 제3 측면 연결 볼록부의 다른 일부몸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치료기.
  12. 제10항에 있어서, 광선치료모듈부는,
    회로 기판 위에 LED가 열을 이루어 설치되는, LED 어레이 모듈;
    LED 어레이 모듈을 덮어 씌우도록 이루어진, 투명커버;
    투명커버의 위에 위치되되, 투명커버의 크기보다 크며, 테두리를 제외한 부분이 통공인, 광선치료모듈 프레임 통공을 구비하며, 광선치료모듈 프레임 통공의 크기는 투명커버의 크기보다 작은, 광선치료모듈 프레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치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투명커버의 테두리에, 하나 이상의 커버고정용 홈을 구비하며,
    커버고정용 홈)에는, 광선치료모듈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는 커버고정용 턱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치료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커버고정용 홈은 단면이 반원형을 이루는 홈이며, 외측으로 개방부를 형성하는 홈이며, 커버고정용 턱은 단면이 반원형을 이루는 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치료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커버고정용 홈은 투명커버의 좌우 양측의 중앙에 구비되며,
    커버고정용 턱은 광선치료모듈 프레임 통공의 테두리부의 좌우양측 중앙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치료기.
  16. 제15항에 있어서,
    광선치료모듈부는 광선치료모듈 프레임의 상측과 하측 중의 일측에, 또는 상측과 하측에, 모듈 고정용 통공을 구비하며,
    광선치료모듈부가, 상부 프레임 저면부의 상부 통공, 또는 측부 프레임 중앙면부의 측부 통공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부 프레임 또는 측부 프레임에 구비된 모듈설치홈과, 광선치료모듈부의 모듈 고정용 통공이, 나사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치료기.
KR2020170006091U 2017-08-03 2017-11-28 피부 치료기 KR20048935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04099 2017-08-03
KR2020170004099 2017-08-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419U true KR20190000419U (ko) 2019-02-13
KR200489354Y1 KR200489354Y1 (ko) 2019-06-05

Family

ID=65364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091U KR200489354Y1 (ko) 2017-08-03 2017-11-28 피부 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3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041B1 (ko) 2019-08-29 2019-12-02 주식회사 유진기업 열효율 개선을 위한 취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831B1 (ko) * 2019-01-31 2023-02-24 박유호 피부 적용을 위한 온열 또는 광선을 발생하는 터널형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9624A (ja) * 1998-02-25 1999-09-07 Omron Corp 赤外線治療器
KR200340023Y1 (ko) * 2003-10-20 2004-01-28 (주)비겐의료기 뜸 온열기
KR20070063718A (ko) * 2005-12-15 2007-06-20 주식회사 메디아나전자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 및 방법
KR20090005028U (ko) * 2009-05-06 2009-05-26 김영수 절첩 가능한 온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9624A (ja) * 1998-02-25 1999-09-07 Omron Corp 赤外線治療器
KR200340023Y1 (ko) * 2003-10-20 2004-01-28 (주)비겐의료기 뜸 온열기
KR20070063718A (ko) * 2005-12-15 2007-06-20 주식회사 메디아나전자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 및 방법
KR20090005028U (ko) * 2009-05-06 2009-05-26 김영수 절첩 가능한 온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041B1 (ko) 2019-08-29 2019-12-02 주식회사 유진기업 열효율 개선을 위한 취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354Y1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36761T3 (es) Sistema de plataforma de terapia de luz
ES2324911T3 (es) Irradiacion de luz para diagnosticar y tratar problemas cutaneos.
KR200489354Y1 (ko) 피부 치료기
BR112019012439B1 (pt) Dispositivo de cuidado com a pele
AU2014250541A1 (en) Magnetic stimulation device
KR101803868B1 (ko) 핸드용 피부 관리 장치
CN106362305B (zh) 一种新生儿光疗装置
KR101851179B1 (ko) 눈 냉온 마사지기
US10932945B2 (en) Dual modality energy delivery system
TWI533818B (zh) 除毛器
KR20170003668U (ko) 복합 미용기기
CN111870822A (zh) 具有热灸功能的激光治疗仪以及具有其的激光治疗仪组
KR101794930B1 (ko) 피부 관리 장치
CN210205616U (zh) 颈部按摩仪
JP2008178523A (ja) 超短波治療器
CN209916626U (zh) 可折叠和拉伸的颈部按摩仪
KR102502831B1 (ko) 피부 적용을 위한 온열 또는 광선을 발생하는 터널형 장치
KR20090119211A (ko) 온열치료기
CN209916625U (zh) 多用颈部按摩仪
ES2796325T3 (es) Aplicador de puntos de fototerapia
CN217430682U (zh) 一种鼻炎治疗仪
CN218792474U (zh) 一种消毒盒及美容仪
KR101883900B1 (ko) 피부관리용 베드장치
CN213312960U (zh) 一种鼻炎红光治疗设备
KR102606303B1 (ko) 화장품의 흡수를 보조하기 위한 피부 미용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