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3718A -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3718A
KR20070063718A KR1020050123819A KR20050123819A KR20070063718A KR 20070063718 A KR20070063718 A KR 20070063718A KR 1020050123819 A KR1020050123819 A KR 1020050123819A KR 20050123819 A KR20050123819 A KR 20050123819A KR 20070063718 A KR20070063718 A KR 20070063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ed module
light irradiation
emitting dio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3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문종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아나전자
길문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아나전자, 길문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아나전자
Priority to KR1020050123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3718A/ko
Publication of KR20070063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3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1Hyperbilirubinemia, jaundic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2Irradiating part of the body at a certain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는 LED(발광다이오드); 상기 LED가 열과 행을 지어 장착된 LED기판(620); 상기 LED위에 이격되어 장착되는 도광판(615); 상기 LED기판의 후면에 장착되는 방열부(635);로 이루어진 LED모듈부(600)가 복수개로 이루어져 지며, 상기 복수개의 LED모듈부(600)를 서로 연결하여 절첩가능하도록 힌지로 이루어진 연결부(64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접이식 황달치료용 LED 광조사 장치는 환자의 부위에 알맞은 광조사부를 구성할 수 있어 치료효과를 높이며 절전효과를 가져온다.
접이식, LED, 황달치료기, 온도센서

Description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 및 방법{Collapsible Phototherapy Unit Using L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의 광조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2의 광조사부 설치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광조사부의 LED모듈부의 일예이다.
도 5는 도 4의 LED모듈부를 설명하기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4의 LED모듈부의 단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의 광조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의 광조사부 설치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광조사부의 LED모듈부의 일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돔형태의 광조사부를 설명하기위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광조사부의 전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광조사부의 사용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4은 도 1의 신호제어부의 전면도의 일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신호제어부 110: 키스위치부
120: 광강도조절키 130: 전원스위치
140: 광조사부 삽입구 20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50: 온도센서 300: 전원부
400: 스위칭모드 전원공급부 500: 정전류스위칭 드라이브
530: 스위칭제어부 570: 필터부
590: 광조사부 600: LED모듈부
602: LED모듈 프레임 610: LED
615: 도광판 620: LED기판
625: 외측커버부 630: LED모듈패드
634: 열방출구 635: 방열부
640: 연결부 642: 암힌지
644: 수힌지 650: 커버부
660: 냉각팬부 670: 외부송풍구
675: 패드송풍구 680: 신호선
700: 고정부
본 발명은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황달이란 혈액 속의 빌리루빈(Bilirubin)이라는 담즙 색소의 양이 증가하여, 여러 가지 조직에 침착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이 노란빛을 띠는 상태를 황달이라 한다. 황달은 수명을 다한 적혈구가 파괴되면서 생긴 노란 색소인 빌리루빈이 일시적으로 증가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빌리루빈은 간장에서 처리되어 담즙으로 배설되는데 신생아의 간장 기능이 아직 미숙하므로 생후 용혈로 증가 되는 빌리루빈을 충분히 처리하지 못하여 황달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신생아황달은 만삭아의 약 60%, 미숙아의 약 80%에서 관찰되는데 혈중 빌리루빈이 피부에 침착되어 생긴다. 갓 태어난 아기는 빌리루빈을 처리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황달에 잘 걸리게 된다. 신생아에서 흔히 보는 황달을 생리적 황달이라 부르며 심각한 현상은 아니지만 아기가 심각한 병이 있을 때, 그 증상의 하나로 나타나며, 심하면 아기의 뇌에 심각한 손상을 주어 성장하는데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아기가 황달이 생후 1일 이내에 나타나는 경우, 황달이 2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 혈청 빌리루빈치가 24시간에 5mg/dL 이상 상승하는 경우, 혈청 빌리루빈이 만삭아에서 12mg/dL 이상이거나 미숙아에서 14mg/dL 이상인 경우, 직접 빌리루빈이 1mg/dL 이상인 경우에는 전문가에 의한 치료가 필요하다.
특히, 엄마와 아기가 혈액형이 맞지 않으면 출생 후 아기에게 심각한 황달이 생길 수 있는데, 이를 '신생아 용혈성질환'이라 한다. 서양에는 Rh혈액형이 맞지않는 경우가 많으나, 국내에는 ABO 혈액형이 맞지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Rh혈액형 부적합은 엄마가 Rh-이고 아기가 Rh+일 때 발생하고 그 증상도 훨씬 심하며, ABO부적합은 엄마가 O형, 아기가 A형 또는 B형일 때 발생한다. 두 경우 모두 황달이 일찍 시작되고 증세도 심각하므로 전문가에 의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특히 Rh부적합의 경우는 심한 황달과 빈혈로 사망에 이르거나 심각한 뇌손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일단 뇌손상이 일어나면 성장과 발달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으며 많은 경우 뇌성마비가 될 수 있으므로 황달은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한다.
황달의 치료방법에 있어 가장 일반적인 치료방법은 광선치료방법이 있다. 광선치료방법은 혈액 속에서 빌리루빈을 제거하기 위하여 특정파장의 광선을 신생아의 황달부위에 조사하여 피부와 혈액에 흡수되어 빌리루빈을 대사할 수 있는 물질로 바꾸는 방법이다.
종래의 황달치료용 광선치료기는 할로겐 램프 등의 광원을 이용해 누워 있는 아기의 정면 가까이에서 빛을 비추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특히 종래의 황달치료용 광선치료기의 사용시, 강한 빛에 의해 아기의 망막손상을 막아주기 위해 아기의 눈을 안대로 가려주게 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황달치료용 광선치료기는 할로겐 램프등의 광원에서 방출되는 높은 열을 식히기 위해 강하게 팬을 돌리므로 소음이 발생하였고, 램프의 수명에 따라 램프를 교체해야 하는 등의 잦은 고장이 있으며, 무엇 보다도 아기가 직접적으로 열에 노출될 위험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광섬유 케이블을 이용한 황달치료용 광선치료기가 개발되었지만, 할로겐 램프의 높은 열을 제어하기 위한 팬의 소음 문제나 램프의 수명 및 높은 고장빈도는 여전히 개선되지 않았으며, 전력소비도 높았다. 그리고 광섬유 케이블을 이용한 황달치료용 광선치료기는 소형화를 할 수 없으며, 가격이 비싸고, 생산시 불량율이 높으며, 냉각팬의 파손시 화재의 위험이 있다. 또한 광섬유 케이블을 이용한 황달치료용 광선치료기는 사용시, 광섬유 삽입구가 뜨거워지며, 충격에 약하다.
따라서 소음이 적으며, 단가가 저렴하고, 수명 및 내구성이 좋으며, 전력소비가 적으며, 화재의 위험이 낮고, 소형화할 수 있으며, 충격에 강하고, 치료효과가 높은 황달치료용 광선치료기가 요망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접이식 황달치료용 LED 광조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접이식 황달치료용 LED 광조사 장치는 발열현상이 없어 환자의 안정을 향상시키며, 소형화가 가능하며, 충격에 강한 LED를 사용하여 충격에 강하며 전력소비를 줄인다. 특히 본 발명은 각 환자의 인체따라 알맞는 위치에서 LED의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접이식으로 이루어진 황달치료용 LED 광조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접이식 황달치료용 LED 광조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소음이 적으며, 단가가 저렴하고, 수명 및 내구성이 좋으며, 전력소비가 적으며, 화재의 위험이 낮고, 소형화할 수 있으며, 충격에 강하고, 보다 치료효과가 높은 황달치료용 LED 광조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 신호제어부(10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0), 온도센서(250), 전원부(300), 스위칭모드 전원공급부(400), 정전류스위칭 드라이브(500), LED모듈부(600)로 이루어진다.
신호제어부(100)는 온도센서(250)로 부터 수신된 온도값을 수신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0)에서 LED 설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온도값과 상기 LED 설정값을 비교하여 연산처리하여 보정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보정신호를 정전류 스위칭드라이브(240)로 전송한다. 신호제어부(100)는 마이크로콘트롤러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이루어진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0)는 LED의 밝기, 온/오프(ON/OFF)를 설정한 LED 설정값을 입력하며, 입력된 LED 설정값을 신호제어부(100)으로 전송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0)는 키스위치부(1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0)는 디스플레이, 키보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온도센서(250)는 온도변화량을 감지하여 이를 신호제어부(100)로 전송한다.
전원부(300)는 교류(AC)전압 110V 또는 220V를 제공한다.
스위칭모드 전원공급부(400)는 전원부(300)로 부터의 교류전압을 각 LED 모듈부(600)의 LED들을 구동하기 위한 전압신호로 변환하여 정전류스위칭 드라이브(500)로 전송한다. 또한 스위칭모드 전원공급부(400)는 전원부(300)로 부터의 교류전압을 신호제어부(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신호제어부(100)으로 전송한다. 즉, LED들을 구동하기 위한 전압신호로 직류(DC)전압 24V를 사용하며, 신호제어부(100)를 구동하기위한 전압신호로 직류(DC)전압 5V를 사용할 수 있다.
정전류스위칭 드라이브(500)는 스위칭제어부(530), 필터부(570)을 구비하며, LED모듈부(600)의 LED를 구동시키는 신호를 생성한다.
스위칭제어부(530)는 스위칭모드 전원공급부(400)으로 부터 수신된 신호를 신호 제어부(100)에서 보내온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구형파를 발생시킨다.
필터부(570)는 스위칭 제어부(530)에서 수신된 신호를 정전류로 변환시켜 전류가 일정한 값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필터부(570)는 LC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정전류 스위칭드라이브(500)는 펄스폭 변조기(PMW)(미도시)를 구비하여, 구형파의 펄스폭을 변조하여 LED모듈부(600)에서의 LED의 밝기를 제어하게 된다.
LED모듈부(600)는 정전류 스위칭드라이브(500)에서 보내진 출력신호에 의해 광을 발산한다. LED모듈부(600)는 400nm ~ 550nm의 파장, 또는 450nm의 피크(Peak) 파장을 가지는 LED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의 광조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3은 도 2의 광조사부 설치시의 단면도이다.
광조사부(590)는 복수개의 LED모듈부(600)가 연결되어 이루어져 있다. 광조사부(590)는 LED모듈부(600), 연결부(640), 신호선(680), 고정부(700)를 구비한다.
LED모듈부(600)는 LED기판(620)위에 복수개의 LED(610)가 열과 행을 지어 나열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LED(610)위에는 도광판(615)이 장착되어 있으며, LED기판(620)의 저면에는 방열부(635)를 구비한다. 즉, LED모듈부(600)는 LED(610), LED기판(620), 도광판(615), 방열부(635)로 이루어진다.
LED(610)는 LED기판(620)위에 열과 행을 지어 나열되도록 장착되며, 정전류스위칭 드라이브(500)의 출력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LED(610)는 표면실장(SMD)형의 초소형 LED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램프 타입의 LED도 사용할 수 있다.
LED기판(620)은 복수개의 LED(610)를 열과 행을 지어 나열되도록 장착하기위한 기판으로, 플렉시블(felxible) PCB(인쇄 회로 기판, printed circuit board)을 사용할 수 있다.
도광판(615)은 LED(610)에서 나온 빛을 내부로 입사시켜 윗면으로 균일한 면 광원이 출사되도록 하는 일종의 광 렌즈의 역할을 하며, PMMA (아크릴)로 이루어진다. 도광판(615)의 일측에 온도센서(250)를 장착할 수 있다.
방열부(635)는 LED기판(620)의 뒷면에 장착되며 LED(610)으로 인한 열을 방출한다. 방열부(635)는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LED기판(620)의 뒷면에 전극형태로 인쇄되어 부착되어질 수 있다.
연결부(640)는 LED모듈부(600)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연결부(640)는 절첩가능한 부재로서, 힌지로 이루어진다.
고정부(70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광조사부가 바닥면에 대해 미끄러지지 않으며, 바닥면에 닿는 LED모듈부의 일측면을 덮어 씌우도록 구성되어 있다.
LED모듈부(600)에서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커버부를 더 구비하여 LED(610)를 보호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광조사부의 LED모듈부의 일예이고, 도 5는 도 4의 LED모듈부를 설명하기위한 설명도이고, 도 6은 도 4의 LED모듈부의 단면도이다.
LED모듈부(600)는 LED모듈 프레임(602)에 방열부(635), LED기판(620), LED(610), 도광판(615)의 순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LED모듈 프레임(602)의 일측에는 암힌지(642)와 다른 일측에는 수힌지(644)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광조사부는 절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광조사부로 부터 하나의 LED 모듈부를 또는 수개의 LED모듈부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의 광조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8은 도 7의 광조사부 설치시의 단면도이다.
광조사부(590)는 복수개의 LED모듈부(600)가 연결되어 이루어져 있다. 광조 사부(590)는 LED모듈부(600), LED모듈패드(630), 연결부(640), 냉각팬부(660), 신호선(680)으로 이루어진다.
LED모듈부(600)는 LED기판(620)위에 복수개의 LED(610)가 열과 행을 지어 나열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LED(610)위에는 도광판(615)이 장착되어 있으며, LED기판(620)의 저면에는 방열부(635)를 구비한다. 즉, LED모듈부(600)는 LED(610), LED기판(620), 도광판(615), 방열부(635)로 이루어진다.
LED(610)는 LED기판(620)위에 열과 행을 지어 나열되도록 장착되며, 정전류스위칭 드라이브(500)의 출력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LED(610)는 표면실장(SMD)형의 초소형 LED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램프 타입의 LED도 사용할 수 있다.
LED기판(620)은 복수개의 LED(610)를 열과 행을 지어 나열되도록 장착하기위한 기판으로 PCB(인쇄 회로 기판, printed circuit board)로 이루어져 있다.
방열부(635)는 LED기판(620)의 뒷면에 장착되며 LED(610)으로 인한 열을 방출한다. 방열부(635)는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LED기판(620)의 뒷면에 전극형태로 인쇄되어 부착되어질 수 있다.
도광판(615)은 LED(610)에서 나온 빛을 내부로 입사시켜 윗면으로 균일한 면 광원이 출사되도록 하는 일종의 광 렌즈의 역할을 하며, PMMA (아크릴)로 이루어진다.
LED모듈패드(630)는 LED모듈부(600), 즉 LED기판(620)의 바로 밑에 위치하여 그 위에 LED기판(620)을 장착한다. LED모듈패드(630)는 절첩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진다. LED모듈패드(630)는 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640)는 LED모듈부(600)를 연결하는 것으로 LED모듈패드(630)가 연결부로서 역할을 한다.
냉각팬부(660)는 냉각팬 커버와 냉각팬으로 이루어져 있다.
냉각팬 커버에는 외부송풍구(670), 패드송풍구(675)를 구비한다.
외부송풍구(670)는 외부로 더운공기를 내보내기위한 송풍구이다.
패드송풍구(675)는 방열커버부(650)내에 차거운 공기를 보내주기위한 송풍구이다.
고정부(70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광조사부가 바닥면에 대해 미끄러지지 않으며, 바닥면에 닿는 LED모듈부의 일측면을 덮어 씌우도록 구성되어 있다.
LED모듈부(600)에서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커버부를 더 구비하여 LED(610)를 보호하게 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광조사부의 LED모듈부의 일예이다.
LED모듈부(600)는 LED모듈 프레임(602)에 방열부(635), LED기판(620), LED(610), 도광판(615)의 순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LED모듈 프레임(602)의 일측에 냉각팬부(660)를 구비한다. 냉각팬부(660)는 외부송풍구(670)와 패드송풍구(675)를 구비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 2 또는 도 7의 LED모듈부가 복수개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병풍처럼 펼치거나 접을 수 있다. 따라서 환부의 크기 등에 맞추어 광조사부의 광조사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돔형태의 광조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단면도이다.
돔형태의 LED모듈패드를 구비하는 광조사부(590)는 LED모듈부(600), LED모듈패드(630), 커버부(650), 냉각팬부(660), 도광판(615), LED모듈 외측커버부(625)를 구비한다. LED모듈 외측커버부(625)의 외측에는 방열을 위해 다수의 열방출구(634)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돔형태의 광조사부의 경우에 있어서 열방출구를 구비하고 있어, 본 발명에서는 냉각팬을 사용하지 않고 열방출구만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2는 도 10의 광조사부의 전면도이고, 도 13은 도 10의 광조사부의 사용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2에서와 같이 광조사부 전, 후면에는 커튼이 처져있어 광이 밖으로 새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돔형태의 광조사부뿐만아니라 접이식 광조사부에도 적용되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눈이 빛에 의해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한다.
도 14은 도 1의 신호제어부의 전면도의 일예이다.
신호제어부(100)의 전면에는 키스위치부(110), 광조사부 삽입구(140)을 구비한다. 신호제어부(100)는 PIC 마이컴(MICO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키스위치부(110)는 광강도조절키(120), 전원스위치(130)를 구비한다. 키스위치부(110)는 탁틸(Tactile)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강도조절키(120)는 광조사부(590)의 광량을 조절하는 스위치이다.
전원스위치(130)는 신호제어부(100)의 전원을 온/오프(ON/OFF)하기위한 스위치이다.
광조사부 삽입구(140)는 광조사부(590)로 전송되는 신호선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황달치료용 LED 광조사 장치는 접이식 황달치료용 LED 광조사 장치를 제공하여, 환자의 부위에 알맞는 광조사부를 구성할 수 있어 치료효과를 높이고 절전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황달치료용 LED 광조사 장치는 LED를 사용하여 소음이 적으며, 단가가 저렴하고, 수명 및 내구성이 좋으며, 전력소비가 적으며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황달치료용 LED 광조사 장치는 방열커버부 등을 구비하여 화재의 위험이 낮으며, 충격에 강하다.

Claims (13)

  1. LED(발광다이오드)의 밝기 정도를 설정하는 LED 설정값을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온도변화량을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로 부터 수신된 온도값을 수신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LED 설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온도값과 상기 LED 설정값을 비교하여 연산처리하여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제어부;
    상기 신호제어부의 보정신호를 수신하여 LED를 구동시키는 LED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정전류스위칭 드라이브;
    상기 정전류스위칭 드라이브의 LED구동신호에 따라 광을 발산하는 LED모듈부;
    를 적어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
  2. LED(발광다이오드);
    상기 LED가 열과 행을 지어 장착된 LED기판(620);
    상기 LED위에 이격되어 장착되는 도광판(615);
    상기 LED기판의 후면에 장착되는 방열부(635);로 이루어진 LED모듈부(600)를 구비하는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LED모듈부(600)가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LED모듈부(600)를 서로 연결하여 절첩가능하도록 힌지로 이루어진 연결부(6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LED모듈부는
    LED모듈부(600)는 400nm 내지 550nm의 파장을 가지는 LED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조사장치에서 바닥면에 닿는 LED모듈부의 일측면을 덮어 씌우도록 구성되는 고정부(70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635)는 상기 LED기판(620)의 뒷면에 전극형태로 인쇄되어 부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615) 위의 일측에 온도센서(25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615) 위에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커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ED모듈부(600)는 LED모듈 프레임(602)에 방열부(635), LED기판(620), LED(610), 도광판(615)의 순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LED모듈 프레임(602)의 일측에는 암힌지(642)와 다른 일측에는 수힌지(644)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장치.
  9. LED(발광다이오드);
    상기 LED가 열과 행을 지어 장착된 LED기판(620);
    상기 LED위에 이격되어 장착되는 도광판(615);
    상기 LED기판의 후면에 장착되는 방열부(635);로 이루어진 LED모듈부(600)를 구비하는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LED모듈부(600)가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LED모듈부(600)가 장착되는 LED모듈패드(630)를 구비하는 접 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LED모듈부(6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LED모듈부(600)의 열을 방출하는 냉각팬부(66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장치.
  11. 제2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LED는 표면실장(SMD)형의 초소형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
  12. 제2항 또는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LED기판(620)은 플렉시블(felxible) 인쇄 회로 기판(PC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
  13. LED기판(620)위에 복수개의 LED가 열과 행을 지어 나열되도록 장착되어 있는 LED모듈부(600);
    상기 LED기판(620)위에 설치되는 도광판(615);
    상기 도광판위에 설치되는 커버부(650);
    상기 LED모듈부(600)의 후면에 설치되며 방열을 위해 다수의 열방출구를 구 비한 LED모듈 외측커버부(625);를 구비하며,
    상기 LED모듈부(600), 도광판(615), 커버부(650), LED모듈 외측커버부가 돔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
KR1020050123819A 2005-12-15 2005-12-15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 및 방법 KR20070063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819A KR20070063718A (ko) 2005-12-15 2005-12-15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819A KR20070063718A (ko) 2005-12-15 2005-12-15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875A Division KR20070106946A (ko) 2007-10-16 2007-10-16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718A true KR20070063718A (ko) 2007-06-20

Family

ID=3836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3819A KR20070063718A (ko) 2005-12-15 2005-12-15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3718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6328A2 (ko) * 2009-10-12 2011-04-21 Lee Chul Sung 전신조사용 광조사장치
CN102404915A (zh) * 2010-09-09 2012-04-04 半导体解法株式会社 光产生装置和控制该装置的方法
WO2015030418A1 (ko) * 2013-08-28 2015-03-05 주식회사 디지트론 발광 다이오드 조명 시스템 및 그 장치
KR101705124B1 (ko) * 2015-11-27 2017-02-10 박강희 광치료 파스
KR20190000419U (ko) * 2017-08-03 2019-02-13 박유호 피부 치료기
CN110327552A (zh) * 2019-08-07 2019-10-15 郭洪彬 一种皮肤病治疗装置
KR20210039088A (ko) * 2019-10-01 2021-04-09 주식회사 옵토웰 광 치료 장치
KR20210131668A (ko) * 2020-04-24 2021-11-03 주식회사 천궁의료기 온열 패널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온열치료기
KR102401416B1 (ko) 2021-10-01 2022-05-25 퓨리글로벌 주식회사 플렉서블 무릎 관절 통합관리 광선조사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6328A2 (ko) * 2009-10-12 2011-04-21 Lee Chul Sung 전신조사용 광조사장치
WO2011046328A3 (ko) * 2009-10-12 2011-09-09 Lee Chul Sung 전신조사용 광조사장치
CN102404915A (zh) * 2010-09-09 2012-04-04 半导体解法株式会社 光产生装置和控制该装置的方法
CN102404915B (zh) * 2010-09-09 2015-06-10 半导体解法株式会社 光产生装置和控制该装置的方法
WO2015030418A1 (ko) * 2013-08-28 2015-03-05 주식회사 디지트론 발광 다이오드 조명 시스템 및 그 장치
KR101705124B1 (ko) * 2015-11-27 2017-02-10 박강희 광치료 파스
KR20190000419U (ko) * 2017-08-03 2019-02-13 박유호 피부 치료기
CN110327552A (zh) * 2019-08-07 2019-10-15 郭洪彬 一种皮肤病治疗装置
KR20210039088A (ko) * 2019-10-01 2021-04-09 주식회사 옵토웰 광 치료 장치
KR20210131668A (ko) * 2020-04-24 2021-11-03 주식회사 천궁의료기 온열 패널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온열치료기
KR102401416B1 (ko) 2021-10-01 2022-05-25 퓨리글로벌 주식회사 플렉서블 무릎 관절 통합관리 광선조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3718A (ko)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 및 방법
US20060100675A1 (en) Device and method for phototherapy of jaundiced infants
US20180169431A1 (en) Flexible LED Light Pad For Phototherapy
US20100106228A1 (en) Device and method of phototherapy for jaundiced infants
RU2580894C2 (ru) Фототерапев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на органических светодиодах
CN106362305B (zh) 一种新生儿光疗装置
KR20070106946A (ko) 접이식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 및 방법
KR20090055891A (ko) 피부용 엘이디 광 조사기
KR20160139108A (ko) 광 조사장치
WO2023164572A1 (en) Hands-free led device for the treatment of wrinkles, acne, or hair loss
CN105705200A (zh) Led垫、用于制造led垫的方法以及包括led垫的个人用治疗器
KR100779977B1 (ko) 황달치료용 발광다이오드 광조사 장치 및 방법
EP3378533B1 (en) Portable lighting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e
JP3753761B2 (ja) 光線治療装置
CN104888360B (zh) 一种黄疸治疗床
CN201643438U (zh) 一种糖尿病眼病治疗仪
CN106163272A (zh) 水族箱用led灯装置
CN104922801A (zh) 一种新生儿黄疸照射治疗led仪
CN109621221A (zh) 新生儿黄疸光照治疗仪
KR102438151B1 (ko) 넥밴드형 의료용 헤드라이트 시스템
JP2001309989A (ja) 保育器と一体に形成された黄疸治療装置
TWM483061U (zh) 手持式光療儀
JP2002231001A (ja) 視野照明装置の照明機構
RU273369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тотерапии
CN219251457U (zh) 头戴式治疗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100987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918

Effective date: 20080225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918

Effective date: 20080225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01003452;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01003452;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327

Effective date: 20090402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327

Effective date: 2009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