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9108A - 광 조사장치 - Google Patents

광 조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9108A
KR20160139108A KR1020150072970A KR20150072970A KR20160139108A KR 20160139108 A KR20160139108 A KR 20160139108A KR 1020150072970 A KR1020150072970 A KR 1020150072970A KR 20150072970 A KR20150072970 A KR 20150072970A KR 20160139108 A KR20160139108 A KR 20160139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module
light
module
color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2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희호
장상현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2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9108A/ko
Publication of KR20160139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1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광 조사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치료대상 부위의 피부에 광을 조사하는 광모듈과; 치료대상 부위의 피부의 색상을 감지하는 색상감지부; 및 색상감지부에서 감지된 피부의 색상에 따라 광모듈의 동작을 조절하는 본체모듈을 포함하고, 광모듈은, 기판; 및 기판에 설치되어 광을 조사하는 엘이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 조사장치{APPARATUS FOR IRRADIATING LIGHT}
본 발명은 광 조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에 자외선 등과 같은 광을 조사하여 환부를 치료하는 광선 요법에 이용되는 광 조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광선 요법 치료기는 고출력 레이저 및 아이피엘(IPL : Intense Pulsed Light)에 이어 저강도 광선 재활치료 분야는 물론, 비염, 관절염, 피부이상, 스트레스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치료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광선 요법 치료기는 고출력 레이저가 국소적인 면적을 집중적으로 치료하는 것과 다르게 적절한 광선을 넓은 면적의 환부를 향해 조사하여 넓은 면적의 환부를 용이하게 치료할 수 있다. 또한, 광선 요법 치료기는 열 발생이 적기 때문에 근접치료가 가능하고 레이저나 아이피엘에 비해 상대적으로 파장의 폭이 좁아, 치료에 효과적인 파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치료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광선 요법 치료기는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치료기로 분류될 수 있다. 적외선 치료기는 적외선을 피부로 깊숙이 침투시켜 피하심층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미세 혈관의 확장과 혈액순환을 촉진시킨다. 또한, 자외선 치료기는 자외선을 피부로 침투시켜 피부병을 치료하고 살균을 실시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 자외선 치료기는, 자외선 형광 램프를 이용하여 피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자외선 형광 램프는, 부피와 중량이 크고, 충격과 같은 외부 환경 조건에 취약할 뿐 아니라, 램프 수명이 짧아 유지비용을 증가시키고, 수은과 같은 유해물질을 포함함으로 인해 취급 및 파손시 사용자가 유해한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자외선 형광 램프의 특성으로 인해, 종래 자외선 치료기는, 크기가 크고 소형화시키기 어려워 휴대에 제한이 있고, 충격과 같은 외부 환경 조건에 취약할 뿐 아니라, 유지비용이 많이 들고, 취급 및 파손시 사용자가 유해한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자외선 치료기는, 단순 온/오프 조작만 가능하고 사용 상태 및 피부 조건에 따른 점등 제어가 불가능하므로, 치료 효율이 낮고, 사용 과정에서 자외선이 새어 나와 안구질환을 유발하거나, 과열, 자외선 과다 조사로 인한 피부 질환을 유발하는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은 소형화가 가능하고 휴대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유지비용이 적게 들면서도 안전성 및 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광 조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 조사장치는: 치료대상 부위의 피부에 광을 조사하는 광모듈과; 치료대상 부위의 피부의 색상을 감지하는 색상감지부; 및 상기 색상감지부에서 감지된 피부의 색상에 따라 상기 광모듈의 동작을 조절하는 본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모듈은,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광을 조사하는 엘이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판은, 상기 본체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 조사장치는, 서로 다른 소정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광모듈을 복수개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광모듈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광모듈이 상기 본체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모듈은, 서로 다른 소정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엘이디를 구비하고, 복수개의 상기 엘이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도록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색상감지부는, 상기 본체모듈에 설치되는 컬러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에는, 제1센서관통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컬러센서는, 상기 제1센서관통공을 통해 상기 광모듈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모듈은, 상기 색상감지부에서 감지된 피부색에 따라 광의 세기가 조절되도록 상기 광모듈의 출력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모듈은, 상기 색상감지부에 감지된 피부의 색상에 따라 광 조사시간 또는 상기 엘이디의 점등 주기가 조절되도록 상기 광모듈의 동작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모듈은, 상기 색상감지부에서 감지된 색상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모듈이 피부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광모듈이 피부에 접촉되지 않은 경우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상기 광모듈의 동작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모듈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감지하는 광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모듈은, 상기 색상감지부에서 감지된 피부색에 따라 상기 광모듈의 출력을 조절하되, 상기 광감지부에서 감지된 광의 세기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치료대상 부위의 피부에 실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치료대상 부위의 피부에 조사되는 광의 세기가 조절되도록 상기 광모듈의 출력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모듈은 자외선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광감지부는, 상기 본체모듈에 설치되는 자외선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기판에는, 제2센서관통공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자외선센서는, 제2센서관통공을 통해 상기 광모듈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치료대상 부위 또는 상기 광모듈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모듈은, 치료대상 부위 또는 상기 광모듈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범위 이내로 유지되도록 상기 광모듈의 동작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모듈을 치료대상 부위에 고정시키는 스트랩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광모듈을 상기 스트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자력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트랩은, 치료대상 부위에 부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광모듈이 결합되는 스트랩본체부와; 상기 광모듈이 치료대상 부위 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스트랩본체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개방부; 및 상기 스트랩본체부에 결합된 광모듈을 측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스트랩본체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광모듈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트랩은, 자외선 투과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트랩은, 치료대상 부위와 상기 스트랩본체부 사이로 광이 새어나오지 않게 상기 스트랩본체부가 치료대상 부위에 완전히 밀착되고, 상기 광모듈과 상기 광모듈지지부 사이로 광이 새어나오지 않게 상기 광모듈지지부가 상기 광모듈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트랩과 상기 광모듈의 결합 상태를 감지하는 결합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모듈은, 상기 결합감지부를 통해 상기 광모듈이 상기 스트랩으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상기 광모듈의 동작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 조사장치에 따르면, 복수개의 광모듈 중 치료대상 부위, 치료대상 질병에 따라 그에 적합한 광모듈을 선택하고, 이를 본체모듈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치료대상 부위, 치료대상 질병에 가장 적합한 형태의 치료를 제공할 수 있어 치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치료대상 부위의 피부색을 감지하고, 감지된 피부색에 적합한 적절한 세기의 광을 치료대상 부위에 신뢰성 높은 정확도로 조사함으로써, 치료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자외선 램프에 비해 수명이 길고 크기가 작으며 소비전력이 적은 엘이디를 이용하여 광을 조사하므로, 소형화가 가능하고 휴대성 및 편의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수명이 긴 엘이디의 특성으로 인해 유지비용이 적게 드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모듈이 과열되거나 스트랩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광모듈의 출력을 조절하거나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기기의 파손, 화상, 자외선 노출 등과 같은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의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과 스트랩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의 사용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장치의 착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 조사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의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과 스트랩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장치(100)는 광모듈(110)과 색상감지부(120)와 본체모듈(130) 및 스트랩(140)을 포함한다.
광모듈(110)은, 치료대상 부위에 광을 조사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광모듈(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1) 및 엘이디(113)를 포함한다.
기판(111)은 엘이디(113)가 실장되기 위한 베이스를 제공하며, 이러한 기판(111)에는 엘이디(113)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전극패턴(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기판(111)에는, 엘이디(113)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드라이버(112)가 설치될 수 있다.
엘이디(113)는 치료 목적에 적합한 파장대에서 피크파장을 가지며, 치료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른 피크파장을 가지는 엘이디(113)들이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광모듈(110)은 기판(111)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115)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기판(111)은 하우징(115) 상에 전면 또는 테두리 부분이 커버되는 형태로 하우징(115)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기판(111)에는, 광모듈(110)을 본체모듈(130)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전극패드(부호생략)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기판(111)은, 본체모듈(130)에 구비된 전극패드(미도시)와 기판(111)에 구비된 전극패드 간의 연결을 통해 본체모듈(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광모듈(110)을 본체모듈(130)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엘이디(113)는, 기판(111)에 설치되어 광을 조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엘이디(113)가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엘이디인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엘이디(113)는, 치료대상 부위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점등되며, 기판(111) 상에 복수개가 어레이(Array)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엘이디(113)는, 치료대상 부위의 소정 영역에 자외선, 바람직하게는 310㎚ 및/또는 340㎚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이 치료대상 부위의 피부로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피부질환을 치료하는 작용을 한다.
다른 예로서, 엘이디(113)는 적외선이나 기타 다른 형태의 광을 조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엘이디(113)에서 조사되는 광의 종류는 치료대상 부위, 치료대상 질병 등에 따라 다르게 선택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색상감지부(120)는 광 조사 부위의 색상을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색상감지부(120)는 본체모듈(130)에 설치되는 컬러센서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색상감지부(120)는, 엘이디(113)에서 광이 조사되는 영역의 색상, 즉 치료대상 부위의 피부색을 감지하고, 감지된 피부색을 수치화하여 이에 관한 신호를 제어부(133)로 전달한다.
본체모듈(130)은, 색상감지부(120)에서 감지된 색상에 따라 광모듈(110)의 동작을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모듈(130)은 본체하우징(131)과 제어부(133)와 입력부(135) 및 출력부(137)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본체하우징(131)은 본체모듈(130)의 외관을 이루며, 이러한 본체하우징(131)에는 제어부(133), 입력부(135), 출력부(137) 등과 같은 본체모듈(13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설치된다.
또한 본체하우징(131)에는, 본체모듈(130)을 광모듈(110)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전극패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전기적인 연결을 통해, 광모듈(110)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전원 및 각종 전기신호 등이 본체모듈(130)로부터 광모듈(11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33)는, 광모듈(110)의 동작과 출력부(137)의 동작 및 기타 본체모듈(13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제어부(133)의 제어 동작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입력부(135)는, 광모듈(1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입력부(135)는 전원을 공급, 차단하기 위한 전원버튼 외에도 광모듈(110)의 출력 등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버튼(미도시)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출력부(137)는, 광모듈(110) 및 본체모듈(130)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도록 마련되며, 이상동작 경고, 전원부(138)에 구비된 배터리(138a)의 잔량, 광모듈(110)의 출력, 광 조사량 정도 등을 표시하기 위해 표시등(137a), 디스플레이(137b), 버저(137c)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본체모듈(130)은, 설정 시간을 입력 및 표시할 수 있는 타이머(139)를 더 포함함으로써, 광모듈(110)의 광 조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치료 시간 완료시 광모듈(110)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형태로 광모듈(110)의 동작을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광 조사장치(100)는, 광감지부(150) 및 온도감지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감지부(150)는, 광모듈(110)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일례로서, 광감지부(150)는 광모듈(110)에서 치료대상 부위에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감지하여 이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33)로 전송하고, 제어부(133)는 광감지부(15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치료대상 부위에 조사되는 광의 세기가 조절되도록 광모듈(110)의 동작을 조절한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33)는 광감지부(15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광 조사 시간이 조절되도록 광모듈(110)의 동작을 조절할 수도 있고,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133)는 엘이디(113)의 점등 주기가 변경되도록 광모듈(110)의 동작을 조절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광감지부(150)는 본체모듈(130)에 설치되는 자외선센서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제어부(133)는, 색상감지부(120)에서 감지된 피부색에 따라 광모듈(110)의 출력을 조절하되, 광감지부(150)에서 감지된 자외선과 같은 광의 세기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치료대상 부위의 피부에 실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치료대상 부위의 피부에 조사되는 광의 세기가 조절되도록 광모듈(110)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온도감지부(160)는, 치료대상 부위 또는 광모듈(110)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온도감지부(160)는 치료대상 부위 또는 광모듈(110)의 온도를 감지하여 이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33)로 전송하고, 제어부(133)는 온도감지부(16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치료대상 부위 또는 광모듈(110)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범위 이내로 유지되도록 광모듈(110)의 동작을 조절한다.
일례로서, 온도감지부(160)는 본체모듈(130)에 설치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3)는, 온도감지부(160)에서 감지된 치료대상 부위 또는 광모듈(110)의 온도가 피부에 화상을 입힐 위험이 있는 온도 근처까지 상승된 경우 엘이디(113)가 소등되도록 광모듈(110)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온도 제어는, 온도감지부(160)가 기설정된 온도에서 광모듈(1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바이메탈을 구비하는 형태로 구비되고, 치료대상 부위 또는 광모듈(110)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까지 상승되면 광모듈(110)로 공급되는 전원이 온도감지부(160)에 의해 차단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색상감지부(120)와 광감지부(150) 및 온도감지부(160)는 본체모듈(13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본체모듈(130)의 광모듈(110)과 마주보는 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광모듈(110)의 기판(111)에는, 제1센서관통공(116), 제2센서관통공(117) 및 제3센서관통공(118)이 각각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색상감지부(120)는 제1센서관통공(116)을 통해 광모듈(110)을 관통하여 광모듈(11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고, 광감지부(150)는 제2센서관통공(117)을 통해 광모듈(110)을 관통하여 광모듈(11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온도감지부(160)는 제3센서관통공(118)을 통해 광모듈(110)을 관통하여 광모듈(1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해당 감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색상감지부(120), 광감지부(150), 온도감지부(160)가 설치됨으로써, 광모듈(110)에 색상감지부(120), 광감지부(150), 온도감지부(160) 등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본체모듈(130)에 설치된 이들 감지부(120,150,160)들을 이용하여 해당 감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스트랩(140)은, 광모듈(110) 및 본체모듈(130)의 결합체를 치료대상 부위에 고정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스트랩(140)은, 스트랩본체부(141)와 개방부(143)과 광모듈지지부(145) 및 고정밴드(147)을 포함한다.
스트랩본체부(141)는, 치료대상 부위에 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스트랩본체부(141)는 치료대상 부위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치료대상 부위의 형상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고 마찰력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광모듈(110) 및 본체모듈(130)의 결합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두께와 강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랩본체부(141)에는 광모듈(110) 및 본체모듈(130)의 결합체가 결합되고, 이러한 스트랩본체부(141)의 대략 중심부에는 개방부(143)가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개방부(143)를 통해 광모듈(110)의 광 조사 부분이 치료대상 부위 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광 조사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력을 이용하여 광모듈(110)을 스트랩(1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자력고정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자력고정부(180)는, 스트렙본체부(141)에 설치되는 자석부재와, 이 자석부재와 다른 극성을 갖도록 광모듈(110)에 설치되는 자석부재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자력고정부(180)를 이용한 결합 구조를 통해, 광모듈(110)을 스트랩(140)에 갖다 대거나 떼어내는 동작만으로 광모듈(110) 및 본체모듈(130)의 결합체를 스트랩(140)에 쉽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스트렙본체부(141)의 개방부(143) 주변에는 광모듈지지부(145)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광모듈지지부(145)는 상기와 같이 스트렙본체부(141)에 결합된 광모듈(110) 및 본체모듈(130)의 결합체를 측방향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고정밴드(147)는, 치료대상 부위에 감겨 스트랩본체부(141)를 치료대상 부위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스트랩(140)은, 자외선 투과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트랩(140)은, 치료대상 부위와 스트랩본체부(141) 사이로 광이 새어나오지 않게 스트랩본체부(141)가 치료대상 부위에 완전히 밀착되고, 광모듈(110)과 광모듈지지부(145) 사이로 광이 새어나오지 않게 광모듈지지부(145)가 광모듈(110)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스트랩(140)은, 자외선을 이용한 치료 과정에서 광모듈(11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치료대상 부위 외에 외부로 새어나오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 및 그 주변이 유해한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광 조사장치(100)는, 스트랩(140)과 광모듈(110)의 결합 상태를 감지하는 결합감지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감지부(170)는, 스트랩(140)과 광모듈(110)의 결합 부분에 설치되는 접촉센서 또는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광모듈(110)이 스트랩(140)으로부터 분리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이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33)로 전송한다.
제어부(133)는, 결합감지부(170)를 통해 광모듈(110)이 스트랩(140)으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광모듈(110)의 동작을 조절함으로써, 자외선이 치료대상 부위 외에 다른 영역으로 조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의 사용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장치의 착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장치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기판(111) 및 하우징(115)은 본체모듈(1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러한 결합을 통해 광모듈(110)은 본체모듈(1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광모듈(110)과 본체모듈(130) 간의 착탈 가능한 결합은 후크 결합, 나사 결합, 자력을 이용한 탈부착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광모듈(110)과 본체모듈(13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은 본체모듈(130)에 구비된 전극패드와 기판(111)에 구비된 전극패드 간의 연결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광 조사장치(100)는 서로 다른 소정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광모듈(110)을 복수개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광 조사장치(100)는, 적색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광모듈(110), 녹색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광모듈(110), 황색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광모듈(110), 청색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광모듈(110),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모듈(110), 적외선을 조사하는 광모듈(110) 등과 같은 여러 형태의 광모듈(1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자외선이나 적외선을 조사하는 광모듈(110) 가운데서도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다양한 형태의 광모듈(1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복수개의 광모듈(110)을 포함하는 광 조사장치(100)는, 복수개의 광모듈(110) 중 어느 하나의 광모듈(110)을 선택하여 본체모듈(130)에 장착함으로써, 치료대상 부위, 치료대상 질병에 따라 다양한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광 조사장치(100)는, 복수개의 광모듈(110) 중 치료대상 부위, 치료대상 질병에 따라 그에 적합한 광모듈(110)을 선택하고, 이를 본체모듈(13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치료대상 부위, 치료대상 질병에 가장 적합한 형태의 치료를 제공할 수 있어 치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광 조사장치(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자외선 램프에 비해 크기가 작은 엘이디(113)를 이용하여 광을 조사하므로, 소형화가 가능하고 휴대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수명이 긴 엘이디(113)의 특성으로 인해 유지비용이 적게 드는 이점이 있다.
다른 예로서 광 조사장치(100)는, 하나의 광모듈(110)에 서로 다른 소정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엘이디(113)를 구비하고, 복수개의 엘이디(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광 조사장치(100)는, 하나의 광모듈(110)을 통해 필요에 따라 다양한 파장의 광을 선택적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여러 광모듈(110)을 착탈할 필요 없이 치료대상 부위, 치료대상 질병에 가장 적합한 형태의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광 조사장치(100)는, 저전력의 엘이디(113)를 이용함으로써 AC 전원을 통한 공급 외에도 충전 가능한 배터리(138a)를 이용한 전원 공급이 가능하므로, 더욱 향상된 휴대성 및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광모듈(110)의 기판(111)에는, 제1센서관통공(116), 제2센서관통공(117) 및 제3센서관통공(118)이 각각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색상감지부(120)는 제1센서관통공(116)을 통해 광모듈(110)을 관통하여 광모듈(11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고, 광감지부(150)는 제2센서관통공(117)을 통해 광모듈(110)을 관통하여 광모듈(11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온도감지부(160)는 제3센서관통공(118)을 통해 광모듈(110)을 관통하여 광모듈(1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해당 감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색상감지부(120), 광감지부(150), 온도감지부(160)가 설치됨으로써, 광모듈(110)에 색상감지부(120), 광감지부(150), 온도감지부(160) 등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본체모듈(130)에 설치된 이들 감지부(120,150,160)들을 이용하여 해당 감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각각의 광모듈(110)에 색상감지부(120), 광감지부(150), 온도감지부(160) 등을 설치함 없이도, 복수개의 광모듈(110)을 필요에 따라 교체하며 색상감지부(120), 광감지부(150), 온도감지부(160) 등에 의해 수행되는 감지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광모듈(110)의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광모듈(110)을 제조하는데 드는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광 조사장치(100)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료대상 부위, 치료대상 질병에 따라 그에 적합한 광모듈(110)을 본체모듈(130)에 장착하고, 그 결합체를 스트랩(140)에 결합시킨 후, 고정밴드(147)를 이용하여 스트랩(140)을 치료대상 부위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치료대상 부위에 광을 조사하여 치료대상 부위에 대한 치료를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색상감지부(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료대상 부위의 피부색을 감지하고, 제어부(133)는 감지된 피부색에 따라 광의 세기가 조절되도록 광모듈(110)의 출력을 조절한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133)는, 색상감지부(120)에서 감지된 색상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광모듈(110)이 피부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3)는, 색상감지부(120)에서 감지된 색상이 통상적인 피부색이 아닐 경우, 광모듈(110)이 피부에 접촉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이에 따라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광모듈(110)의 동작을 조절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색상감지부(120)에서 감지된 색상이 통상적인 피부색 중 하나일 경우, 제어부(133)는 그 감지된 피부색에 따라 광모듈(110)의 출력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3)는, 감지된 피부색이 밝은 색일수록 광의 세기가 약해지도록 광모듈(110)의 출력을 조절하고, 감지된 피부색이 어두운 색일수록 광의 세기가 강해지도록 광모듈(110)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멜라닌 색소의 양이 피부색에 주로 관여하는 바, 피부색이 밝을수록 멜라닌 색소의 양이 적어 피부 표면에서 작게 흡수되고 깊이 침투하여 치료효과가 높다. 반면, 피부색이 어두울수록 피부 표면의 멜라닌 색소 농도가 높아 피부 표면에서 대부분 흡수되어 치료효과가 낮다.
또한 이 과정에서 제어부(133)는, 광감지부(150)를 통해 감지된 광의 세기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치료대상 부위의 피부에 실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치료대상 부위의 피부에 조사되는 광의 세기가 조절되도록 광모듈(110)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피부색에 적합한 적절한 세기의 광이 치료대상 부위에 신뢰성 높은 정확도로 조사될 수 있게 되므로, 치료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33)는 광감지부(15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광 조사 시간이 조절되도록 광모듈(110)의 동작을 조절할 수도 있고,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133)는 엘이디(113)의 점등 주기가 변경되도록 광모듈(110)의 동작을 조절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제어부(133)는, 온도감지부(160)를 통해 감지된 치료대상 부위 또는 광모듈(110)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광모듈(110)의 과열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치료대상 부위 또는 광모듈(110)의 온도가 적절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광모듈(110)의 동작을 조절하거나, 엘이디(13)가 소등되도록 광모듈(110)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과열로 인해 기기가 파손되거나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광 조사장치(100)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 조사장치(100)를 이용한 치료과정에서 광모듈(110)이 스트랩(14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이러한 상태가 결합감지부(170)에 의해 감지되어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광모듈(110)의 동작이 조절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더해 본 실시예의 광 조사장치(100)는, 그 외부에 항균제가 코팅된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반복 사용시 또는 2인 이상 사용시 발생될 수 있는 교차 감염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광 조사장치 110 : 광모듈
111 : 기판 112 : 구동 드라이버
113 : 엘이디 115 : 하우징
116 : 제1센서관통공 117 : 제2센서관통공
118 : 제3센서관통공 120 : 색상감지부
130 : 본체모듈 131 : 본체하우징
133 : 제어부 135 : 입력부
137 : 출력부 137a : 표시등
137b : 디스플레이 137c : 버저
138 : 전원부 138a : 배터리
139 : 타이머 140 : 스트랩
141 : 스트랩본체부 143 : 개방부
145 : 광모듈지지부 147 : 고정밴드
150 : 광감지부 160 : 온도감지부
170 : 결합감지부 180 : 자력고정부

Claims (19)

  1. 치료대상 부위의 피부에 광을 조사하는 광모듈;
    치료대상 부위의 피부의 색상을 감지하는 색상감지부; 및
    상기 색상감지부에서 감지된 피부의 색상에 따라 상기 광모듈의 동작을 조절하는 본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모듈은,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광을 조사하는 엘이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본체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장치는, 서로 다른 소정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광모듈을 복수개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광모듈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광모듈이 상기 본체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모듈은, 서로 다른 소정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엘이디를 구비하고, 복수개의 상기 엘이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도록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감지부는, 상기 본체모듈에 설치되는 컬러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에는, 제1센서관통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컬러센서는, 상기 제1센서관통공을 통해 상기 광모듈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모듈은, 상기 색상감지부에서 감지된 피부의 색상에 따라 광의 세기가 조절되도록 상기 광모듈의 출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모듈은, 상기 색상감지부에 감지된 피부의 색상에 따라 광 조사시간 또는 상기 엘이디의 점등 주기가 조절되도록 상기 광모듈의 동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모듈은, 상기 색상감지부에서 감지된 색상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모듈이 피부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광모듈이 피부에 접촉되지 않은 경우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상기 광모듈의 동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모듈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감지하는 광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모듈은, 상기 색상감지부에서 감지된 피부색에 따라 상기 광모듈의 출력을 조절하되, 상기 광감지부에서 감지된 광의 세기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치료대상 부위의 피부에 실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치료대상 부위의 피부에 조사되는 광의 세기가 조절되도록 상기 광모듈의 출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모듈은, 자외선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광감지부는, 상기 본체모듈에 설치되는 자외선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기판에는, 제2센서관통공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자외선센서는, 제2센서관통공을 통해 상기 광모듈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치료대상 부위 또는 상기 광모듈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모듈은, 치료대상 부위 또는 상기 광모듈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범위 이내로 유지되도록 상기 광모듈의 동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모듈을 치료대상 부위에 고정시키는 스트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광모듈을 상기 스트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자력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치료대상 부위에 부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광모듈이 결합되는 스트랩본체부;
    상기 광모듈이 치료대상 부위 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스트랩본체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개방부; 및
    상기 스트랩본체부에 결합된 광모듈을 측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스트랩본체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광모듈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자외선 투과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치료대상 부위와 상기 스트랩본체부 사이로 광이 새어나오지 않게 상기 스트랩본체부가 치료대상 부위에 완전히 밀착되고, 상기 광모듈과 상기 광모듈지지부 사이로 광이 새어나오지 않게 상기 광모듈지지부가 상기 광모듈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과 상기 광모듈의 결합 상태를 감지하는 결합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모듈은, 상기 결합감지부를 통해 상기 광모듈이 상기 스트랩으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상기 광모듈의 동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장치.
KR1020150072970A 2015-05-26 2015-05-26 광 조사장치 KR20160139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970A KR20160139108A (ko) 2015-05-26 2015-05-26 광 조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970A KR20160139108A (ko) 2015-05-26 2015-05-26 광 조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108A true KR20160139108A (ko) 2016-12-07

Family

ID=57572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2970A KR20160139108A (ko) 2015-05-26 2015-05-26 광 조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9108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9430A1 (ko) * 2017-09-21 2019-03-28 주식회사 엘림텍 고출력 레이저 치료장치
KR102114143B1 (ko) * 2019-01-10 2020-05-25 박수종 치료광선 조사기용 핸드피스장치
KR102167409B1 (ko) * 2019-12-03 2020-10-19 김덕종 피부미용 기능 및 살균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마스크
KR102201529B1 (ko) * 2019-12-31 2021-01-12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미용 패치 및 피부 미용 기기
US10935376B2 (en) 2018-03-30 2021-03-02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 and method for 3D scanning
KR102247202B1 (ko) * 2020-03-23 2021-05-03 김근영 반려동물용 피부 관리기
KR20210075871A (ko) * 2019-12-13 2021-06-23 주식회사 디에스랩 반려동물용 빗
WO2021182701A1 (ko) * 2020-03-11 2021-09-16 주식회사 에보레이 피부질환 치료용 초소형 광 치료장치
KR20230007057A (ko) * 2021-07-05 2023-01-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Ipl 살균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9430A1 (ko) * 2017-09-21 2019-03-28 주식회사 엘림텍 고출력 레이저 치료장치
US10935376B2 (en) 2018-03-30 2021-03-02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 and method for 3D scanning
US11969231B2 (en) 2018-03-30 2024-04-30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 and method for 3D scanning
KR102114143B1 (ko) * 2019-01-10 2020-05-25 박수종 치료광선 조사기용 핸드피스장치
KR102167409B1 (ko) * 2019-12-03 2020-10-19 김덕종 피부미용 기능 및 살균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마스크
KR20210075871A (ko) * 2019-12-13 2021-06-23 주식회사 디에스랩 반려동물용 빗
KR102201529B1 (ko) * 2019-12-31 2021-01-12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미용 패치 및 피부 미용 기기
WO2021182701A1 (ko) * 2020-03-11 2021-09-16 주식회사 에보레이 피부질환 치료용 초소형 광 치료장치
KR102247202B1 (ko) * 2020-03-23 2021-05-03 김근영 반려동물용 피부 관리기
KR20230007057A (ko) * 2021-07-05 2023-01-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Ipl 살균 장치
WO2023282574A1 (ko) * 2021-07-05 2023-01-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Ipl 살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9108A (ko) 광 조사장치
US20080091250A1 (en) Light therapy desk lamp
US20080103560A1 (en) Ultraviolet indicator light therapy device
US8246666B2 (en) Phototherapy garment
US10286226B2 (en) Phototherapy device for the treatment of hyperbilirubinemia
EP2368599A1 (en) Hair growth device
US20060030908A1 (en) Skin treatment phototherapy device
EP2701645B1 (en) Apparatus for the treatment and/or prevention of corneal diseases
KR20090013765A (ko) 치료용 및/또는 미용 요법에 이용되는 발광 장치
JP6480044B2 (ja) 光線力学治療装置
KR20090055891A (ko) 피부용 엘이디 광 조사기
JP6706347B2 (ja) 光照射器及び光遮蔽部材
JP6106375B2 (ja) 光線治療器
JP4340250B2 (ja) 光線治療器
KR101181580B1 (ko) 접착식 칼라라이트 패치
RU90301U1 (ru) Светодиодный полимеризатор ногтевых гелей
EP3148468B1 (en) Apparatus for stimulation and/or treatment of anatomical tissues
KR102557314B1 (ko) 안면 피부관리용 마스크 장치
KR20180136696A (ko) 피부치료용 다파장 led모듈
CN207962172U (zh) 医用灯头及治疗仪、医用探照灯
KR101591434B1 (ko) 광조사 피부 관리장치
CN115944856A (zh) 用于光疗仪的光照组件及头戴式光疗仪
WO2023031619A1 (en) Phototherapy mask
KR20220018103A (ko) 천정형 바이러스 제거장치
CZ24472U1 (cs) Fototerapeutická lam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