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434B1 - 광조사 피부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광조사 피부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434B1
KR101591434B1 KR1020140057708A KR20140057708A KR101591434B1 KR 101591434 B1 KR101591434 B1 KR 101591434B1 KR 1020140057708 A KR1020140057708 A KR 1020140057708A KR 20140057708 A KR20140057708 A KR 20140057708A KR 101591434 B1 KR101591434 B1 KR 101591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nit
skin
light irradiation
emitting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0739A (ko
Inventor
이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드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드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드젠
Priority to KR1020140057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434B1/ko
Publication of KR20150130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 A61N2005/0663Coloured l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조사 피부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광조사 피부 관리 장치의 한 예는 한 면에 인접하게 복수의 광원이 배열되어 있는 본체부, 그리고 상기 한 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외부로 출력하는 광 조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조사부는 상기 복수의 광원에 대응되게 위치하며 오목한 면을 갖고 있는 복수의 광 조사구와 인접한 광 조사구 사이에 위치하면 평탄면을 갖는 피부 접촉부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피부와 광조사면이 접하는 면적을 감소시켜, 피부의 유분이나 오염 물질로 인해 광 조사구가 막히거나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Description

광조사 피부 관리장치{SKIN CARE APPARATUS USING LIGHT}
본 발명은 광조사 피부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용에 대해 높아져 가는 사람들의 관심만큼 피부과 등에서 레이저나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등을 이용한 광조사 의료 기기를 이용하여 피부 관리를 받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고, 최근에는 개인이 집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미용 기구들이 개발되고 있다.
현재 제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개인용 또는 홈 케어(home care)용 광조사 미용 기기들은 핸드형(hand-held type)으로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광조사 미용 기기는 피부과 접하는 면인 광조사면이 평탄면으로 되어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피부 관리를 위해 광조사 미용 기기를 사용할 때, 광조사면을 피부에 밀착시킨 후 피부 위에서 광조사 미용 기기의 위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부분에 해당 파장의 빛을 조사하게 된다.
하지만, 이럴 경우, 이미 설명한 것처럼, 광조사면이 평탄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광조사면과 피부가 직접 접하게 되어, 광조사면에 형성된 광 조사구에 피부의 유분 등과 같은 분비물이나 오염물질이 묻게 되고, 이로 인해 광 조사구에서 출력되는 빛의 양이 감소하거나 광 조사구가 막혀 정상적으로 광을 원하는 방향, 즉 피부 쪽으로 조사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피부로 적정량의 광이 조사되지 못하여 피부 관리 효과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또한 오염된 광조사면과 피부와의 접촉에 의해 피부 질환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22679(등록일자: 2012년 02월 24일, 발명의 명칭: 안면 피부 트러블 개선 및 치료 기능을 갖는 마스크)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부와 광 조사면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피부로의 광 조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광조사면과 피부 사이에 간격을 두어, 피부로 인해 광 조사구가 오염되거나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광조사 피부 관리 장치는 한 면에 인접하게 복수의 광원이 배열되어 있는 본체부, 그리고 상기 한 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외부로 출력하는 광 조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조사부는 상기 복수의 광원에 대응되게 위치하며 오목한 면을 갖고 있는 복수의 광 조사구와 인접한 광 조사구 사이에 위치하면 평탄면을 갖는 피부 접촉부를 포함한다.
상기 각 광 조사구의 깊이는 1㎜ 내지 3㎜일 수 있다.
인접한 광 조사구 간의 간격은 1㎜ 내지 3㎜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 각각은 발광 다이오드와 적외선 다이오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 각각이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질 때, 상기 복수의 광원은 적색 발광 다이오드, 녹색 발광 다이오드, 청색 발광 다이오드, 황색 발광 다이오드, 시안 발광 다이오드 및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광조사 피부 관리 장치의 제어 장치는 동작 상태에 상기 광조사 관리 장치를 동작 또는 비동작 상태로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스위치, 정해진 시간에 따라 해당하는 상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시간 설정부, 상기 구동 스위치와 상기 시간 설정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구동 스위치가 동작 상태일 때, 시간 설정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설정 시간을 판정한 후, 판정된 시간 동안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빛을 출력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광조사 피부 관리 장치의 제어 장치는 상기 광조사 피부 관리 장치로 구동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상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충전 상태 감지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상태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정하여 상기 전원부의 충전 상태가 설정량보다 작을 경우 상기 경고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광조사 피부 관리 장치의 제어 장치는 선택된 동작 모드에 해당하는 상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선택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선택된 동작 모드를 판정하여 판정된 동작 모드에 해당하는 상태로 상기 광원에서 출력되는 빛의 세기와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광조사 피부 관리 장치에서 피부와 광조사면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므로, 피부의 유분이나 오염 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는 광조사면의 크기가 줄어든다. 이로 인해, 피부로 조사되는 광 조사 효율이 향상되어 피부 관리 효과가 증대된다.
또한, 오목한 광 조사면에 의해 광원에서 출력되는 빛이 확산되어 피부로 조사되므로, 평탄면일 경우에 비해 광 조사 면적이 증가하므로, 사용되는 광원의 개수가 절감된다. 따라서, 광조사 피부 관리 장치의 제조 비용이 줄어든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피부 관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피부 관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광조사 피부 관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피부 관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피부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피부 관리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60)를 구비한 광조사 피부 관리 장치의 제어 장치는 구동 스위치(11), 시간 설정부(12), 전원부(60)와 연결되어 있는 충전상태 감지부(13), 구동 스위치(11), 시간 설정부(12) 및 충전상태 감지부(13)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20), 제어부(20)와 연결되어 있는 광원부(30), 제어부(20)와 연결된 표시부(40), 그리고 제어부(20)와 연결되어 있는 경고등과 같은 경고부(50)를 구비한다.
전원부(60)는 충전식 전원부이다.
구동 스위치(11)는 사용자나 관리자에 의해 동작 상태가 변하여 해당하는 상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구동 스위치(17)의 동작 상태에 따라 광조사 피부 관리 장치의 동작이 시작되거나 중지된다.
시간 설정부(12)는 사용자나 관리자에 의해 동작 상태가 변하여 광원부(30)의 구동 시간을 설정하면 설정된 구동 시간에 대응되는 신호가 제어부(20)로 출력된다.
충전 상태 감지부(13)는 광조사 피부 관리 장치의 전원부(60)인 충전식 전원부의 충전 용량을 감지하여 현재 충전 상태에 해당하는 신호를 제어부(20)로 출력한다.
제어부(20)는 구동 스위치(11)가 동작하고 충전 상태 감지부(13)에 의해 감지된 전원부(60)의 충전 용량이 정상 상태일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 광원부(30)를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광원부(30)로 출력한다.
광원부(30)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복수의 광원(31)을 구비하고 있지만, 각 광원(31)은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LD)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예에서, 광원(31)이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질 때, 광원(31)은 적색 발광 다이오드, 녹색 발광 다이오드, 청색 발광 다이오드, 황색 발광 다이오드, 시안 발광 다이오드 및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할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복수의 광원(31)은 발광 다이오드와 레이저 다이오드를 모두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광원부(30)는 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정해진 시간 동안 점등된다.
표시부(4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나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표시부(40)는 제어부(2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동 시간이나 현재 광조사 피부 관리 장치의 제어 상태 및 충전 상태 등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다.
경고부(50)는 제어부(2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가 바뀌고, 충전 상태 감지부(13)에 의해 감지된 현재 충전 상태가 비정상 상태일 경우, 동작되어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따라서, 전원부(60)의 충전 상태가 비정상 상태일 때, 경고부(50)는 점등되고 전원부(60)의 충전 상태가 정상 상태일 때, 경고부(50)는 소등될 수 있다.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전원부(60)의 충전 상태에 따라 경고부(50)의 점등 색상이 달라질 수 있다. 한 예로서, 전원부(60)의 충전 상태가 비정상 상태일 때, 경고부(50)는 적색을 표시하고 상기 전원부(60)의 충전 상태가 정상 상태일 때, 경고부(50)는 녹색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경고부(50)의 동작 상태를 이용하여 원하는 시기에 전원부(60)의 충전 동작을 실시하게 된다.
이러한 광조사 피부 관리 장치의 제어 장치는 사용자나 관리자의 동작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하여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예, 크기)가 변하고, 사용자나 관리자가 원하는 피부 관리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피부 관리 모드는, 예를 들어, 일반 모드, 여드름 관리 모드, 노화 방지 모드, 주름 개선 모드, 탄력 강화 모드, 미백 증가 모드 등일 수 있다.
이럴 경우, 제어부(20)는 모드 관리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를 판정하여, 사용자에 의해 판정된 동작 모드를 판정하고, 판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이미 정해진 제어 상태로 광원부(30)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 예로서, 제어부(20)는 판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광원부(30)의 각 광원에서 출력되는 빛의 파장이나 빛이 세기 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광조사 피부 관리 장치(7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도 1에 도시한 광조사 피부 관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구성요소(11-13, 20, 30, 40 및 50)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부(71)와 피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광원부(3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출력하는 광조사부(72)를 갖고 있다.
이때, 본체부(71)는 반원 형상을 갖고 있고 사용자의 손바닥과 접하는 부분은 곡면 형상을 갖고 있다. 이때, 복수의 광원(31)은 본체부(71)의 한 면, 즉, 곡면 형상을 갖고 있는 면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있고 사용자의 피부 쪽에 인접한 면에 인접하게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본체부(71)를 잡을 수 있도록 한다. 대안적인 예에서, 본체부(71)의 외주면에 손잡이(도시하지 않음) 등과 같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본체부(71)를 잡을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광조사부(72)는 복수의 광조사구(721)(또는 광조사면)가 위치하고, 이때 각 광 조사구(721)와 대응되는 본체부(71)에는 광원(31)이 위치한다.
따라서, 하나의 광 조사구(721)에 대응되게 하나의 광원(31)이 위치하여, 해당 광원(31)에서 출사되는 빛이 하나의 광 조사구(721)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조사된다.
이때, 각 광 조사구(721)의 표면은,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오목한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각 광 조사구(721)의 표면은 오목면이다. 인접한 광 조사구(721) 사이에는 평탄면을 갖는 부분인 피부 접합부(722)를 갖게 있다.
이때, 인접한 광 조사구(721) 사이의 간격은 약 1mm 내지 3mm일 수 있고, 각 광 조사구(721)의 깊이 역시 약 1mm 내지 3mm일 수 있다. 이때, 간격은 인접한 광 조사구(721) 각각의 중심부간의 거리일 수 있고, 각 광 조사구(721)에서 가장 깊은 부분의 깊이일 수 있다.
이처럼, 광원(31)으로부터의 광이 조사되는 면인 각 광조사구(721)의 면은 평탄면이 아니라 오목면이므로, 각 광 조사구(721)의 면인 각 광조사면은 오목면이 된다.
따라서, 각 점 광원인 광원(31)에서 출력되는 광은 오목면에 의해 확산되어 피부 쪽으로 출력되므로, 하나의 광원에서 출력되는 광의 조사 영역이 증가한다. 이로 인해, 하나의 광원(31)에서 피부에 조사되는 조사 영역이 증가하므로 사용되는 광원(31)의 개수는 줄어들어 제조 비용이 감소하고, 피부에 조사되는 빛의 균일도가 향상된다.
또한, 광 조사구(721)의 면이 오목면인 반면, 인접한 광 조사구(721) 사이에 위치하는 피부 접합부(722)는 평탄면을 갖고 있어 각 광조사구(721)보다 외부, 즉, 사용자의 피부 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피부는 돌출부인 피부 접합부(722)에 접하지만 오목하게 들어간 광 조사구(721)에는 접하지 않게 되다.
이로 인해, 오목면을 갖고 있는 광조사구(721)를 구비하지 않아 광조사부(72) 전체가 피부와 접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피부와 접하고 있는 광조사부(72)의 부분이 크게 감소하여, 피부에서 발생하는 유분이나 오염 물질로 인해 광 조사구(721)가 쉽게 오염되지 않으므로, 광 조사구(721)에서 출력되는 광량이 감소하지 않는다.
이처럼, 광 조사부(72)는 복수의 광원(31)에서 출력되는 빛을 외부인 사용자의 피부 쪽으로 출력해야 하므로, 광 조사부(72)는 플라스틱이나 유리와 같이 빛이 투과되는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광 조사부(72)와 접하고 있는 본체부(71)의 가장 자리부에는 광 조사부(72)의 삽입 위치를 한정하는 턱이 존재하여, 본체부(71)는 본체부(71)의 가장 자리부와 다른 부분간의 두께 차이가 발생하는 단차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본체부(71)의 단차 구조 인해, 광 조사부(72)를 본체부(71)에 장착할 때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다음, 도 4를 참고로 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는 광조사 피부 관리 장치(70)의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광조사 피부 관리 장치(7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어 제어부(20)의 동작이 시작되면(S10), 제어부(20)는 구동 스위치(1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구동 스위치(11)가 동작, 즉, 온(on)되었는지를 판정한다(S11, S12).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구동 스위치(11)가 온 상태로 판정하면, 제어부(20)는 충전 상태 감지부(1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현재 전원부(60)의 충전 상태를 판정한다(S13, S14). 따라서, 제어부(20)는 판정된 전원부(60)의 충전 상태를 그림이나 숫자 등을 이용하여 표시부(40)에 출력한다(S14).
다음, 제어부(20)는 판정된 충전량이 설정량보다 큰지를 비교한다(S15).
현재 판정된 충전량이 설정량 이하일 때 제어부(20)는 경고부(50)로 경고 신호를 출력하여 경고부(50)를 구동시킨다(S16). 따라서, 경고부(50)는 경고부(50)의 동작 상태를 이용하여 현재 전원부(60)의 충전 상태가 비정상 상태이므로 충전 동작을 실시한다.
하지만, 판정된 충전량이 설정량보다 클 경우, 제어부(20)는 전원부(60)의 충전 상태가 정상 상태로 전원부(6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광조사 피부 관리 장치(70)가 정상적으로 동작 가능한 상태로 판정한다.
따라서, 제어부(20)는 현재 경고부(50)로 경고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인지를 판정하여(S17), 경고 신호가 출력 중일 경우 제어부(20)는 경고부(50)로 출력되는 경고 신호의 출력을 중지한다(S18). 이로 인해, 전원부(60)의 충전 상태가 정상 상태가 되면 경고부(50)의 동작은 중지된다.
하지만, 경고부(50)로 경고 신호가 출력되지 않은 상태일 경우, 제어부(20)는 시간 설정부(12)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하여(S19),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 시간을 판정한다(S20).
대안적인 예에서, 전원부(60)의 충전 상태에 따라 경고부(50)에서 표시되는 색상이 다른 경우, 전원부(60)의 충전 상태가 비정상 상태일 경우, 경고 신호를 경고부(50)로 출력하여 정해진 색상(예, 적색)이 경고부(50)에 표시되도록 하고, 전원부(60)의 충전 상태가 정상 상태일 경우, 경고부(50)로 출력되어 정해진 색상(예, 녹색)을 경고부(50)에 표시되도록 해당하는 경고 신호를 경고부(50)에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단계(S20)로 넘어가, 시간 설정부(1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시간이 판정되면, 제어부(20)는 설정된 시간 동안 광원부(30)로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S21, S22).
이때, 광원부(30)의 각 광원(31)에서 출력되는 빛의 상태는 이미 정해진 상태로 제어되어 정해진 색상의 빛이 정해진 세기로 출력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각 광원(31)이 동작되어 빛이 발광되면, 이들 빛은 각 광 조사구(721)에 의해 빛의 조사 범위가 확산 된 후 사용자의 피부 쪽으로 조사된다.
따라서, 오목면을 갖는 각 광조사구(721)에 의해 점광원인 각 광원(31)에서 출력되는 빛의 퍼짐 현상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피부 쪽으로 조사된다. 이로 인해, 피부에 조사되는 빛의 조사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광원(31)의 개수가 감소하여 제조 비용이 줄어든다.
대안적인 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동작 상태가 변하여, 광조사 피부 관리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를 추가로 구비할 경우, 제어부(20)는 시간 설정부(1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설정 시간을 판정한 후, 모드 선택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사용자에 선택된 구동 모드를 판정한다.
그런 다음, 판정된 해당 구동 모드에 따라 이미 정해진 동작 조건으로 광원부(30)의 동작을 설정 시간 동안 동작시킨다.
이럴 경우, 사용자의 원하는 치료 목적에 맞게 광원부(30)의 동작이 행해지므로, 사용자는 여드름 치료나 미백 증진과 같이 원하는 목적으로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를 사용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만족도가 더욱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한 면에 인접하게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광원이 내장되어 있는 본체부, 그리고
    상기 한 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외부로 출력하는 광 조사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광 조사부는 상기 복수의 광원에 각각 대응되게 위치하며 곡면인 오목한 면을 갖고 있는 복수의 광 조사구와 인접한 광 조사구 사이에 위치하면 평탄면을 갖는 피부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광 조사구의 깊이는 1㎜ 내지 3㎜이며, 인접한 광 조사구 간의 간격은 1㎜ 내지 3㎜인
    광조사 피부 관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광원 각각은 발광 다이오드와 적외선 다이오드 중 적어도 하나인 광조사 피부 관리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광원 각각이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질 때, 상기 복수의 광원은 적색 발광 다이오드, 녹색 발광 다이오드, 청색 발광 다이오드, 황색 발광 다이오드, 시안 발광 다이오드 및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조사 피부 관리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40057708A 2014-05-14 2014-05-14 광조사 피부 관리장치 KR101591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708A KR101591434B1 (ko) 2014-05-14 2014-05-14 광조사 피부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708A KR101591434B1 (ko) 2014-05-14 2014-05-14 광조사 피부 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739A KR20150130739A (ko) 2015-11-24
KR101591434B1 true KR101591434B1 (ko) 2016-02-03

Family

ID=54844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708A KR101591434B1 (ko) 2014-05-14 2014-05-14 광조사 피부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4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0690A (ja) 2006-06-19 2007-12-27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美容装置
US20150217142A1 (en) 2008-03-04 2015-08-06 Photosonix Medical, Inc. Method and device for treatment with combination ultrasound-phototherapy transduc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646B1 (ko) * 2011-03-24 2011-11-09 박성림 토르마린 광석과 파워 엘이디를 이용한 복부 밀착식 온열뜸 장치
KR101122679B1 (ko) 2011-08-31 2012-03-09 주식회사 수메디칼 안면 피부 트러블 개선 및 치료 기능을 갖는 마스크
KR101385707B1 (ko) * 2012-05-30 2014-04-29 주식회사 칼라세븐 가시광선을 이용한 색광 치료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0690A (ja) 2006-06-19 2007-12-27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美容装置
US20150217142A1 (en) 2008-03-04 2015-08-06 Photosonix Medical, Inc. Method and device for treatment with combination ultrasound-phototherapy transdu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739A (ko) 201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91250A1 (en) Light therapy desk lamp
US20080119913A1 (en) Light therapy personal care device
US20080103563A1 (en) Light therapy personal care device
KR101599273B1 (ko) 광조사 피부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16707B1 (ko) Led 마스크
KR101616002B1 (ko) 안면 피부 클리닉 마스크 장치
WO2008137489A1 (en) 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therapeutic light
US20080103560A1 (en) Ultraviolet indicator light therapy device
KR102254843B1 (ko)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KR200471948Y1 (ko) 안면 마스크
CA2575133A1 (en) Skin treatment phototherapy device
KR101440325B1 (ko) 광조사 피부 관리장치 및 그 제어 장치
KR20160139108A (ko) 광 조사장치
KR101591434B1 (ko) 광조사 피부 관리장치
WO2019072176A1 (zh) 一种照明装置
RU90301U1 (ru) Светодиодный полимеризатор ногтевых гелей
JP2019013689A (ja) 肌状態センサおよび美容器具
KR20140050496A (ko) 광조사 피부 관리장치, 그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90070477A (ko)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
KR102388309B1 (ko) 입술용 엘이디 미용 장치
KR20210030087A (ko) 피부 관리장치
KR20200050531A (ko) 손피부관리용 글러브
KR102663911B1 (ko) 피부 관리 장치
JP2018143614A (ja) 美容器具
JP6851258B2 (ja) 美容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