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0477A -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0477A
KR20190070477A KR1020170171012A KR20170171012A KR20190070477A KR 20190070477 A KR20190070477 A KR 20190070477A KR 1020170171012 A KR1020170171012 A KR 1020170171012A KR 20170171012 A KR20170171012 A KR 20170171012A KR 20190070477 A KR20190070477 A KR 20190070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unit
emitting unit
face mask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준
이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딥포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딥포인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딥포인트
Priority to KR1020170171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0477A/ko
Publication of KR20190070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4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면에 착용한 상태에서 피부 관리 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도록 편리함을 제공하는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의 안면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된 안면 마스크;
안면 마스크 내에 장착되어 안면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의 안면에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된 발광부;와,
발광부를 온/오프 구동하는 발광구동부;
발광부의 구동을 선택하는 조작부;와,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발광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안면에 착용한 상태에서 피부 관리 시스템을 조작하며, 광을 조사받을 수 있어 조작을 위해 안면 마스크를 착탈 할 필요가 없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facial skin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착용한 상태로 안면 피부에 광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된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안면피부가 탄력을 잃지 않도록 관리하여 젊고 아름다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화장품을 이용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피부 표피의 각질층 밑에는 두꺼운 단백질 보호층으로 방어벽이 형성되어 보호하고 있고, 이 단백질 보호층에 의해 피부의 표피와 진피층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바이오 물질 등이 첨가되어 피부 보호효과가 우수한 화장품을 사용하더라도 진피층에 쌓인 노폐물을 제거하지 못하고, 또한 화장품의 영양이 진피층까지 깊숙이 침투 되지 못하여 피부 보호의 효과가 매우 미흡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 갈바닉 이온전류, 원적외선 또는 진동을 이용하여 피부를 관리하는 여러가지의 피부 미용기기가 알려지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피부 미용기기는 사용시 안면에 접촉된 미용기기를 사용자가 조작하여야 함으로써 반복적으로 미용기기를 착탈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안면에 착용한 상태에서 피부 관리 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도록 편리함을 제공하는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은 인체의 안면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된 안면 마스크와; 상기 안면 마스크 내에 장착되어 상기 안면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의 안면에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된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를 온/오프 구동하는 발광구동부와; 상기 발광부의 구동을 선택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부는 상기 안면 마스크를 착용한 착용자의 눈을 중심으로 한 안구주변 영역에 광을 조사 하도록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로 구성된 제1발광부와, 착용자의 안구주변 영역 이외의 안면영역에 광을 조사하도록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로 구성된 제2발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1발광부를 사용자가 안면 마스크를 탈착하지 않고 선택적으로 온/오프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면 마스크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가 발광되는 온 작동모드에서 상기 온도센서에서 검출된 온도가 설정된 제1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발광부가 오프되게 제어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면 마스크 내에는 상기 제어부에 제어되어 착용자에게 표시정보를 제공하는 표시부;와, 상기 안면 마스크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감지수단으로부터 상기 발광부의 구동을 온 또는 오프의 지시에 대응되어 설정된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발광부의 구동을 감지신호에 대응되게 제어한다.
상기 안면 마스크에는 외부기기와 정보를 인터페이싱할 수 있는 USB포트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안면에 착용한 상태에서 피부 관리 시스템을 조작하고 광을 조사받을 수 있어 착용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의 제어계통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피부미용 광 마스크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의 제어계통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100)은 안면 마스크(110)와, 제1 및 제2발광부(161)(162)와, 발광구동부(167), 조작부(140), 제어부(171), 온도센서(181) 및 진동감지수단(183)를 구비한다.
안면 마스크(110)는 반구형 형상의 헬멧 형태로 형성되어 인체의 안면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안면 마스크(110)는 경질의 합성수지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참조부호 120은 안면 마스크(110)를 두부에 착용시 조일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조임 밴드이다.
발광부는 안면 마스크(110) 내에 장착되어 안면 마스크(1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안면에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다수의 발광다이오드(161a)(162a)되어 있고, 조사 부위에 따라 발광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제1발광부(161)와 제2발광부(162)로 구획 되어 있다.
제1발광부(161)는 발광부를 형성하는 전체 발광다이오드(161a)(162a) 중 안면 마스크(110)를 착용한 착용자의 눈을 중심으로 한 안구주변 영역에 광을 조사하도록 발광다이오드(161a) 어레이로 구성된 부분이다.
제2발광부(162)는 발광부를 형성하는 전체 발광다이오드(161a)(162a) 중 착용자의 안구주변 영역 이외의 안면영역에 광을 조사하도록 발광다이오드(162a) 어레이로 구성된 부분이다. 즉, 제2발광부(162)는 제1발광부(161)를 제외한 나머지 발광다이오드(162a)로 이루어진 부분이다.
여기서 제1발광부(161)는 사용자가 눈을 감은 상태에서는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눈을 뜨고 있는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오프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독립 제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1 및 제2 발광부(161)(162)에 적용되는 발광다이오드(161a)(162a)는 적외선 광을 출사하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가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제1 및 제2 발광부(161)(162)에 적용되는 발광다이오드(161a)(162a)는 선택적 파장 범위내(예를 들면;400nm 내지 1000nm)의 광을 출사하는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발광구동부(167)는 발광부인 제1발광부(161)와 제2발광부(162)를 동시에 온/오프 또는 선택적으로 온/오프 구동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발광 구동부(167)는 지원되는 모드에 따라 발광다이오드(161a)(162a)에서 출사되는 광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발광다이오드(161a)(162a)에 인가되는 전류 또는 PWM(펄스폭 변조; pulse width modulation)에 의해 평균 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작부(140)는 제1발광부(161)와 제2발광부(162)에 대해 구동 온/오프 선택 또는 피부처리에 대해 지원되는 모드의 선택, 작동시간 변경 등 지원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례로서 조작부(140)는 영양크림 마사지후에 착용하여 이용하기 위한 피부재생 및 주름개선모드와 자외선에 손상된 피부를 진정시키기 위해 진정팩을 사용한 후 착용하여 사용하기 위한 피부진정모드를 지원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여기서 피부재생 및 주름개선모드는 전원이 온 되어 발광부가 가동된 후 약 15분 후에 발광부가 오프되는 모드로 설정될 수 있고, 피부 진정모드는 광파워를 강-약-강-약을 반복하면서 20분정도 조사되는 것을 설정될 수 있다.
조작부(140)는 제1발광부(161)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온/오프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참조부호 141은 전원 온/오프 스위치로서, 오프 상태에서 조작하면 제1 및 제2발광부(161)(162) 모두 온, 다시 한번 조작하면 제1발광부(161) 오프 제2발광부(161)(162)온, 다시 한번 조작하면 제1발광부(161) 오프 제2발광부(161)(162)오프 사이클로 조작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참조부호 143은 발광세기를 사용자가 업/다운 및 설정할 수 있도록 된 키이다.
한편, 조작부(140)는 무선으로 조작신호를 발생하고, 후술되는 제어부(171)는 무선으로 송출된 조작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도록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온도 센서(181)는 안면 마스크(110) 내에 설치되어 안면 마스크(110) 내의 온도를 검출하여 제어부(171)에 제공한다.
표시부(190)는 제어부(171)에 제어되어 표시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90)는 작동상태와, 온도센서(181)에서 검출된 온도를 표시해주도록 구축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표시부(190)는 영상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축된다. 이 경우 착용자는 마스크 장치(100)를 이용하는 동안 후술되는 메모리(177) 또는 인터페이스부(175)인 USB포트에 기록된 각종 멀티미디어 정보를 표시부(190)를 통해 관찰할 수 있다.
진동감지수단(183)은 사용자의 충격 조작에 의해 발광부의 온/오프를 지시하기 위해 적용된 것으로서, 안면 마스크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한다.
일례로서, 진동감지 센서(183)는 안면 마스크(110)의 표면에 적용된 박막형 압전센서를 적용할 수도 있다.
스피커(173)는 제어부(171)에 제어되어 음향정보를 출력한다.
배터리(185)는 마스크 장치(100)의 구동요소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고, 충전 가능한 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면 마스크(110)는 어댑터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인터페이스부(175)는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을 지원하도록 적용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USB포트가 적용된다.
제어부(171)는 조작부(140)의 조작신호에 따라 제1 발광부(161)와 제2발광부(162) 모두 또는 제2발광부(162)만 발광되게 발광 구동부(167)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1)는 제1발광부(161)와 제2발광부(162) 중 적어도 하나가 발광되는 온 작동모드에서 온도센서(181)에서 검출된 온도가 설정된 제1온도 예를 들면 40℃에 도달하면 내부온도 과열로 판단하여 발광부가 모두 오프되게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1)는 진동감지수단(183)로부터 발광부의 구동을 온 또는 오프의 지시에 대응되는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발광부의 구동을 감지신호에 대응되게 제어한다. 일례로서 안면 마스크(110)를 세번 두드리면 즉, 세 개의 펄스신호가 진동감지수단(183)로부터 출력되면 제어부(171)는 전원 온 지시로 판단하고, 발광부를 가동하며, 안면 마스크(110)를 두번 두드리면 즉, 두 개의 펄스신호가 진동감지수단(183)로부터 출력되면 제어부(171)는 전원 오프 지시로 판단하고 발광부가 오프되게 제어하도록 구축된다.
한편, 제어부(171)는 인터페이스부(175)로 적용된 USB포트에 외장 메모리가 접속되면 조작부(140)의 조작신호에 따라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파일이 표시부(190)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100: 광 마스크 장치 110: 안면 마스크
120: 조임 밴드 140: 조작부
141:온/오프 스위치 143: 업/다운 키
161: 제1발광부 162: 제2발광부
167:발광구동부 171: 제어부
173: 스피커 175: 인터페이스부
177: 메모리 181: 온도센서
183: 진동감지센서 185:배터리
190: 표시부

Claims (5)

  1. 인체의 안면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된 안면 마스크와;
    상기 안면 마스크 내에 장착되어 상기 안면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의 안면에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된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를 온/오프 구동하는 발광구동부와;
    상기 발광부의 구동을 선택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안면 마스크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진동감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감지수단으로부터 상기 발광부의 구동에 대응되어 설정된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발광부의 구동을 감지신호에 대응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안면 마스크를 착용한 착용자의 눈을 중심으로 한 안구주변 영역에 광을 조사하도록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로 구성된 제1발광부와, 착용자의 안구주변 영역 이외의 안면영역에 광을 조사하도록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로 구성된 제2발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1발광부를 선택적으로 온/오프 조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마스크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가 발광되는 온(On) 작동모드에서 상기 온도센서에서 검출된 온도가 설정된 제1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발광부가 오프되게 제어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마스크 내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표시정보를 제공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마스크에는 외부기기와 정보를 인터페이싱할 수 있는 USB포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
KR1020170171012A 2017-12-13 2017-12-13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 KR20190070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012A KR20190070477A (ko) 2017-12-13 2017-12-13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012A KR20190070477A (ko) 2017-12-13 2017-12-13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477A true KR20190070477A (ko) 2019-06-21

Family

ID=67056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012A KR20190070477A (ko) 2017-12-13 2017-12-13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04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650B1 (ko) * 2019-12-27 2020-03-02 배봉진 사용자 맞춤 케어 뷰티 led 마스크
KR20200115353A (ko) 2019-03-27 2020-10-07 아이디어브릿지 지식재산1호 창업벤처전문 사모투자 합자회사 피부용 광 마스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5353A (ko) 2019-03-27 2020-10-07 아이디어브릿지 지식재산1호 창업벤처전문 사모투자 합자회사 피부용 광 마스크 장치
KR102083650B1 (ko) * 2019-12-27 2020-03-02 배봉진 사용자 맞춤 케어 뷰티 led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4882B1 (ko)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
AU2015336310B2 (en) Light emitting hands free device
US10842254B2 (en) System and a method for treating a part of a body of a person
US8747446B2 (en) Hair restoration caring device
KR101350503B1 (ko)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
US20130041432A1 (en) Device for promoting growth of eyebrow hair
KR20170008842A (ko) 피부 치료를 위한 광치료 장치
KR101816827B1 (ko)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
KR20120049085A (ko) 엘이디 패치를 구비하는 미용 마스크
JP2014515098A (ja) 個人用アラームシステム
KR20150126087A (ko) 외기 공급형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
US20190126060A1 (en) Eyewear phototherapy device for eye cosmetology
CN111417919A (zh) 信息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和记录介质
KR20190070477A (ko)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
KR101440325B1 (ko) 광조사 피부 관리장치 및 그 제어 장치
KR20140058327A (ko)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
KR102285590B1 (ko) 모발성장 촉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57796A (ko)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
US20110087310A1 (en) Hair-growth caring apparatus
KR101418972B1 (ko) 광조사 피부 관리장치, 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26939B1 (ko) 안면 피부관리용 마스크의 제어장치
KR101960857B1 (ko) 스킨 테라피 장치
KR102388309B1 (ko) 입술용 엘이디 미용 장치
KR102339114B1 (ko) 미용 마스크 장치
AU2016284197B2 (en) Light therapy spot applic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