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590B1 - 모발성장 촉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모발성장 촉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590B1
KR102285590B1 KR1020190040918A KR20190040918A KR102285590B1 KR 102285590 B1 KR102285590 B1 KR 102285590B1 KR 1020190040918 A KR1020190040918 A KR 1020190040918A KR 20190040918 A KR20190040918 A KR 20190040918A KR 102285590 B1 KR102285590 B1 KR 102285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 emitting
user
main bod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8670A (ko
KR102285590B9 (ko
Inventor
김정현
서영석
김승도
김기항
Original Assignee
원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0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590B1/ko
Publication of KR20200118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590B1/ko
Publication of KR10228559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590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61N5/0617H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3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A61N2005/067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발성장 촉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모발 및 두피부위로 레이저 빔을 조사하도록 상측 내주면에 발광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양단이 상기 본체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와 상기 본체에 근접하는 사용자 머리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센서부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 또는 특정 파장대의 레이저 빔을 특정위치의 모발 또는 두피부위로 조사할 뿐만 아니라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를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본체만을 사용자 머리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모발 또는 두피부위로 레이저 빔을 조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발성장 촉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PROMOTING HAIR REGROWTH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발성장 촉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파장대의 레이저 빔을 사용자의 모발 또는 두피에 조사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는 모발성장 촉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피부 밖으로 나온 모간(Hair Shaft)과 피부 속에 묻혀 있는 모근(Hair Root)으로 구성된다. 모발은 모낭 주머니에서 만들어진다. 모발을 생성하는 모낭은 각각 독립적으로 주기를 가진다. 모낭에서 모발을 생성하고 성장하는 주기는 약 3년의 성장기, 약 2∼3주의 퇴행기, 약 3개월의 휴지기를 반복한다.
모발은 피부의 부속기관으로 발생학적으로는 표피조직에서 변화된 것이며 그 탄생과 성장은 전적으로 피부조직의 건강상태에 달려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모발은 탈모 후 다시 발모하지만, 건강하지 못한 모낭에 있는 모발은 휴지기에서 다시 발모하지 않는다. 건강한 모낭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모낭 주위의 생체 조직을 활성화 시키면 모낭에서 다시 발모가 일어난다.
저출력 레이저 요법(Low Level Laser Therapy : LLLT) 기술로 특정 파장의 광선을 생체 조직에 조사하면 그 부위의 신진대사가 촉진되고 조직의 기능이 활성화되는 효과가 있다. 저출력 레이저 요법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파장이 600nm∼1300nm 범위이고, 에너지 강도가 10∼1000mW 의 레이저 광을 사용한다.
이 영역의 광은 생체에 조사하면 생체 조직 내에 침투하여 세포의 이온들을 활성화 함으로서 모세혈관의 생성 증가, 혈액의 산소담지량의 증가, 콜라겐과 ATP(Adenosine Triphosphate )의 생성 촉진, 임파류의 활동증가, 육아발생(tissue
granulation)의 촉진, 식세포작용(phagocytosis)의 활성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즉, 저출력 레이저 요법을 이용하여 두피에 광을 조사할 경우, 모낭 및 모낭 주위의 생체 조직이 활성화되어 발모 촉진, 성장 촉진, 탈모 방지를 할 수 있다.
이때, 저출력 레이저 요법에서 사용되는 광원은 좁은 영역 또는 특정 영역을 위해서 코헤런트(Coherent)한 레이저 다이오드(LD)를 사용하기도 하고, 넓은 영역에 주사하여 광범위한 효과를 보기 위해서 발광 다이오드(LED)를 사용하기도 한다. 효과면에서 LD 및 LED는 유사하기 때문에 2개를 병행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저출력 레이저 요법을 위한 발광소자는 선행기술들이 사용하고 있는 700nm 대역의 광은 피하고 적색광 영역의 660nm 부근의 것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 저출력 레이저 요법을 위한 광파는 반드시 코헤런트(coherent)한 레이저 광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동일 파장대의 LED의 광으로도 상당수준의 광화학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단위 면적당의 사용개수를 늘리고 광의 조사시간을 증가시키면 LED도 LD와 동등한 수준의 치료 효과를 얻을 수가 있을 것이다. 상대적으로 고가이고 취급이 불편한 LD를 고집할 필요는 없다.
이에 따라, 개발된 발모촉진장치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9-0109651호(2008. 04. 16.)호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9-0109651호는 특정위치에서만 레이저를 조사할 뿐 사용자가 원하는 두피부위로 레이저를 이동시켜 원하는 두피부위로 레이저를 조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레이저를 조사하기 위해 LD 또는 LED를 사용하기 때문에 발열이 상당하며, 전력소비 또한 상대적으로 큰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9-0109651호 공개특허공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952944호 등록특허공보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가 지지부를 통해 사용자의 머리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시술이 가능함에 따라 시술중에도 양손을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고 편리한 모발성장 촉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단일 또는 특정 파장대의 레이저 빔을 특정위치의 모발 또는 두피부위로 조사할 뿐만 아니라 본체를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모발 또는 두피부위로 레이저 빔을 조사할 수 있는 모발성장 촉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머리 골격에 대응되는 곡률을 구비하며, 사용자의 모발 및 두피부위로 레이저 빔을 조사하도록 상측 내주면에 발광부(110)가 구비되는 본체(100)와 사용자의 머리 골격에 대응되는 곡률을 구비하며, 양단이 상기 본체(100)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200)와 상기 본체(100)에 근접하는 사용자 머리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센서부(300) 및 상기 센서부(30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발광부(110)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발광부(110)의 일단에 근접하여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100)의 내측으로 근접하는 일측 구역의 사용자 머리를 감지하는 제1센서(310)와 상기 발광부(110)의 타단에 근접하여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100)의 내측으로 근접하는 타측 구역의 사용자 머리를 감지하는 제2센서(3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1센서(310)와 상기 제2센서(320) 모두 사용자 머리의 근접을 감지하지 못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사용자 머리의 근접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발광부(110)가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광부(110)는 일측면이 면발광할 수 있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200)는 상측 부위에 관통된 이격공간(230)을 가지는 복수의 지지봉(220)을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발광부(11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베터리(410)와 상기 베터리(410)와 연결되어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 제어 모듈(430) 및 상기 발광부(110)와 상기 베터리(410) 및 상기 전원 제어 모듈(430)과 연결되어, 상기 전원 제어 모듈(430) 및 상기 센서부(300)로부터 각각의 제어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발광부(1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 모듈(4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터리(4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및 전류 값을 측정하는 전압전류 측정부(422) 및 상기 전압전류 측정부(422)로부터 측정된 전원의 전압 및 전류 값과 기 설정된 전압 및 전류 값을 상호 비교하여 각각의 값의 오차를 계산함으로써 오차만큼 전압 및 전류 값을 보정하는 전압전류 변환부(423)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가 지지부를 통해 사용자의 머리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시술이 가능함에 따라 시술중에도 양손을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고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단일 또는 특정 파장대의 레이저 빔을 특정위치의 모발 또는 두피부위로 조사할 뿐만 아니라 본체를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모발 또는 두피부위로 레이저 빔을 조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성장 촉진 장치(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성장 촉진 장치(10)의 일부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성장 촉진 장치(10)의 일단 내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터리(410)가 분리된 모발성장 촉진 장치(10)의 타단 내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성장 촉진 장치(10)의 제어부(4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성장 촉진 장치(10)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성장 촉진 장치(10)의 제어방법에서 베터리(410) 전원의 전압전류를 보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성장 촉진 장치(10)의 제어방법에서 베터리(410)의 잔량표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성장 촉진 장치(10)가 사용자 머리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성장 촉진 장치(1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성장 촉진 장치(10)의 일부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성장 촉진 장치(10)의 일단 내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터리(410)가 분리된 모발성장 촉진 장치(10)의 타단 내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성장 촉진 장치(10)의 제어부(4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성장 촉진 장치(10)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성장 촉진 장치(10)의 제어방법에서 베터리(410) 전원의 전압전류를 보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성장 촉진 장치(10)의 제어방법에서 베터리(410)의 잔량표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성장 촉진 장치(10)가 사용자 머리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성장 촉진 장치(10)는 사용자의 머리 골격에 대응되는 곡률을 구비하며, 사용자의 모발 및 두피부위로 레이저 빔을 조사하도록 상측 내주면에 발광부(110)가 구비되는 본체(100)와 사용자의 머리 골격에 대응되는 곡률을 구비하며, 양단이 본체(100)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200)와 본체(100)에 근접하는 사용자 머리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센서부(300) 및 센서부(300)의 감지 결과에 따라 발광부(110)를 제어하기 위해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400)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발성장 촉진 장치(10)는 본체(100), 지지부(200), 센서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사용자의 머리 골격에 대응되는 곡률을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0)는 양단이 벌어지거나 오므라들 수 있는 신축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헤드셋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100)의 형상은 라운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다각형 및 다각형과 원형이 함께 결합된 형상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100)는 탄성 복원력이 뛰어난 탄력성이 있는 합성수지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00)는 후술할 힌지부재(500)에 의해 지지부(2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경우, 본체(100)의 양단에는 각각 힌지부재(500)의 일단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제1체결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에는 모발성장 촉진 장치(10)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될 경우, 사용자의 모발 및 두피부위로 레이저 빔을 조사하도록 발광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발광부(110)는 본체(100)의 상측 내주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모발 및 두피부위로 레이저 빔을 조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광부(110)는 일측면이 사용자의 모발 또는 두피부위와 마주하도록 본체(100)의 상측 내주면에 구비되되, 발광부(110)의 일측면이 본체(10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지 않도록 전체 또는 일부가 본체(100)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이때, 발광부(110)의 전체 또는 일부가 본체(100)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본체(100)의 상측 내주면에는 내부로 천공되는 발광부 결합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 결합홈(120)은 발광부(110)의 폭 및 길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발광부(110)가 발광부 결함홈(120)으로 삽입되어 본체(100)와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발광부(110)는 본체(100)와 대응되는 곡률을 구비하거나, 본체(100)의 변형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플랙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발광부(110)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할 수 있는 LED(Light Emitting Diode), LD(Laser Diode)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일측면이 전체적으로 면 발광할 수 있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부(110)는 약 600nm 내지 880nm 범위의 파장(즉, 가시광선 영역에서 근 적외선 영역)을 갖는 레이저 빔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발광부(110)는 특정 파장대의 레이저 빔만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나, 상이한 파장대의 레이저 빔을 복합적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 모발 성장 및 모근 치료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발광부(110)의 일측면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본체(100)에는 보호커버(140)가 결합될 수 있다.
보호커버(140)는 발광부(110)의 일측면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며, 발광부(110)와 함께 본체(100)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호커버(140)는 발광부(110)가 위치하는 본체(100)의 상측에 결합되되, 발광부(110)가 본체(100)의 발광부 결합홈(120)에 삽입될 경우, 발광부(110)와 적층되어 발광부 결합홈(12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보호커버(140)는 발광부(110)의 일측면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빔을 차단하지 않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200)는 사용자의 머리 골격에 대응되는 곡률을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00)는 양단이 본체(100)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200)는 양단이 힌지부재(500)에 의해서 본체(100)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200)의 양단은 각각의 힌지부재(500)를 회전축으로 하여 본체(100)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지지부(200)의 양단에는 각각 힌지부재(500)의 일단이 관통되는 제2체결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힌지부재(500)는 한쌍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지지부(200)의 제2체결홈(210)과 본체(100)의 제1체결홈(130)을 관통하여 본체(100)와 지지부(20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지지부(200)가 본체(100)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부(200)를 본체(100)의 곡률보다 작은 곡률로 형성함으로써, 지지부(200)를 회전시켜 본체(100)와 포개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00)는 상측 부위에 관통된 이격공간(230)을 가지는 복수의 지지봉(220)을 포함한다.
복수의 지지봉(220)은 지지부(200)의 상측 부위가 중간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쌍의 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지지봉(220)은 상측 부위에 광통된 이격공간(230)을 가지므로, 본체(100)와 지지부(200)가 포개질 경우, 본체(100)의 발광부(11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빔이 지지부(200)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지지부(200)의 이격공간(230)을 통해 조사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00)의 이격공간(230)이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면, 센서부(300)에서 방출되는 신호가 지지부(200)에 의해 차단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200)는 본체(200)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될 경우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본체(100)와 지지부(200)가 힌지부재(500)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본체(100)와 지지부(200)을 포개거나 상호 이격되도록 벌려줌으로써,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10)를 용이하게 머리에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머리에 모발성장 촉진 장치(10)를 착용한 상태에서 본체(100)를 전후방향으로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모발 또는 두피부위로 레이저 빔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본체(100)와 지지부(20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본체(100)와 지지부(200)의 사이에 탄성부재(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600)는 본체(100)와 지지부(200)가 결합되는 각 양단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600)는 본체(100)와 지지부(200) 각 양단의 상호 접촉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본체(100)의 양단 내주면과 지지부(200)의 양단 외주면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탄성부재(600)는 힌지부재(5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경우 힌지부재(500)가 본체(100)와 지지부(200) 각각의 양단을 관통하면서 탄성부재(600)도 함께 관통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600)는 스프링, 고무 등으로 탄성력을 가지며, 접촉 시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탄성부재(600)는 본체(100)와 지지부(200)의 상호 접촉면에서 접촉 마찰력을 상승시킴으로써, 본체(100) 및 지지부(200)의 회전 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귀 부위 또는 머리의 측부와 접촉하는 지지부(200)의 부위에는 보호패드(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호패드(700)는 지지부(200) 양단의 내주면에 각각 구비되도록 한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호패드(700)는 지지부(200)의 양단이 사용자의 귀 부위 또는 머리의 측부에 접촉 시 그 접촉자극에 의한 통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부드럽고 유연하며 탄력성이 있는 스펀지, 고무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부(300)는 본체(100)로 사용자 머리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부(300)는 본체(100)의 내부에 한 쌍으로 상호 대응되도록 구비되되, 발광부(110)와는 이격된 상태에서 발광부(110)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센서부(300)는 베터리(4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활성화된 상태에서 본체(100)의 내측에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사용자 머리의 근접을 감지하면,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400)로 송신한다. 센서부(300)는 공지된 구성의 IR센서, 열감지센서 및 초음파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센서부(300)가 열감지센서로 적용될 경우, 주의 열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머리가 근접하면 그 온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근접을 감지하는 것이다.
또한, 센서부(300)는 제1센서(310) 및 제2센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110)의 일단에 근접하여 위치하도록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제1센서(310)는 본체(100)의 내측에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일측 구역의 사용자 머리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400)로 송신한다.
제2센서(320)는 제1센서(310)와 동일한 구조와 형상으로 형성되며, 구비되는 위치가 제1센서(310)와 대응되도록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광부(110)의 타단에 근접하여 위치하도록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제2센서(320)는 본체(100)의 내측에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타측 구역의 사용자 머리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400)로 송신한다.
한편, 다른 일 실시예로서 센서부(300)는 사용자 머리의 근접 여부와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센서부(300)의 제1센서(3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되나, 제2센서(320)는 본체(100)와 사용자 머리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센서(320)는 본체(100)와 사용자 머리와의 거리를 측정할 경우 사용자의 머리측으로 방출하고 사용자의 머리에 의해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차와 속도를 이용하여 본체(100)와 사용자의 거리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0)의 내측에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부터 사용자 머리가 점차적으로 근접하게 될 경우, 제2센서(320)에서 방출하고 수신하는 신호의 시간차가 점차적으로 짧아지게 됨으로써, 본체(100)와 사용자 머리와의 거리가 점차적으로 짧아지는 것을 실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후, 제2센서(320)에서는 실시간으로 측정된 본체(100)와 사용자 머리와의 거리를 제어부(400)로 송신한다.
한편, 사용자의 머리를 감지하기 위해 센서부(300)에서 본체(100)의 외측으로 방출하는 신호를 차단하기 않도록 센서부(300)의 위치와 대응되는 본체(100)의 내주면에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거나, 홀(1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센서부(300)가 제1센서(310)와 제2센서(320)로 이루어질 경우, 제1센서(310) 및 제2센서(320)의 위치와 각각 대응되는 본체(100)의 내주면이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거나, 복수로 홀(15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발광부(110)를 제어하기 위해 발광부(110) 및 센서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센서부(300)에서 사용자 머리의 근접 여부를 감지함에 따라 송신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본체(100)의 발광부(11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베터리(410), 중앙 제어 모듈(420) 및 전원 제어 모듈(430)을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400)는 본체(100)의 내부에서 발광부(110)와 베터리(410) 사이에서 배치되는 FPCB(Flexible Printed Cricut Board)(800)에 의해서 발광부(110), 베터리(410), 중앙 제어 모듈(420) 및 전원 제어 모듈(4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베터리(410)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발광부(110)의 타측면에 적층되어 본체(100)의 상측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베터리(410)는 발광부(110), 센서부(300), 중앙 제어 모듈(420) 및 전원 제어 모듈(4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여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때, 베터리(410)는 충전단자(미도시)에 접속되는 외부전원에 의해 충전될 수 있으며, 충전단자(미도시)는 본체(100)측에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 제어 모듈(430)은 베터리(410)와 연결되도록 본체(100)의 일단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할 수 있다. 전원 제어 모듈(430)은 일부가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편하게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제어 모듈(430)은 스위치일 수 있다.
이때, 전원 제어 모듈(430)은 중앙 제어 모듈(420)과 연결되어 베터리(410)의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하여 제어할 경우 그 전원에 대한 제어신호를 중앙 제어 모듈(420)에 송신한다.
또한, 전원 제어 모듈(430)은 베터리(410)의 잔량을 표시하기 위해 베터리 잔량 표시부(431)가 포함된다.
베터리 잔량 표시부(431)는 전원 제어 모듈(430)의 내부에 구비되어, 베터리(410)의 잔량을 빛으로 표시하기 위해 RGB를 모두 포함하는 다색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될 수 있다. 베터리 잔량 표시부(431)는 중앙 제어 모듈(42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신호를 수신받고, 그 제어신호에 따라 대응되는 빛을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베터리 잔량 표시부(431)는 중앙 제어 모듈(420)에 의해 점멸(간격), 밝기, 색상이 제어될 수 있다.
중앙 제어 모듈(420)은 전원 제어 모듈(430)과 상호 대응되도록 본체(100)의 타단 내부에 구비되어, 발광부(110), 센서부(300), 베터리(410) 및 전원 제어 모듈(430)을 각각 제어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중앙 제어 모듈(420)은 본체(100)의 내측으로 근접하는 사용자 머리를 감지함에 따라 센서부(300)로부터 송신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한다. 중앙 제어 모듈(420)은 센서부(30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발광부(11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발광부(110)로 작동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센서부(300)가 제1센서(310)와 제2센서(320)로 이루어질 경우, 중앙 제어 모듈(420)은 제1센서(310)와 제2센서(320)에서 송신되는 각각의 감지신호를 모두 수신한다.
이때, 중앙 제어 모듈(420)은 제1센서(310)와 제2센서(320) 각각에서 송신되는 감지신호를 모두 수신할 경우, 발광부(110)가 작동될 수 있도록 발광부(110)로 작동신호를 송신한다.
반면, 중앙 제어 모듈(420)은 제1센서(310)와 제2센서(320) 각각에서 송신되는 감지신호를 모두 수신하지 못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할 경우, 발광부(110)가 작동되지 않도록 발광부(110)로 작동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부(300)의 제2센서(320)가 본체(100)와 사용자 머리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경우, 중앙 제어 모듈(420)은 제1센서(31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이후, 제2센서(320)로부터 측정된 본체(100)와 사용자 머리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이때, 중앙 제어 모듈(420)은 제2센서(320)로부터 수신된 본체(100)와 사용자 머리와의 거리에 대응되게 발광부(110)가 제어될 수 있도록 발광부(110)로 작동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중앙 제어 모듈(420)은 제2센서(320)로부터 본체(100)와 사용자 머리와의 거리가 점차적으로 짧아짐에 따라 측정된 신호를 수신할 경우, 발광부(110)의 레이저 빔이 기 설정된 강도까지 점차적으로 감소될 수 있도록 발광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중앙 제어 모듈(420)은 제2센서(320)로부터 본체(100)와 사용자 머리와의 거리가 점차적으로 길어짐에 따라 측정된 신호를 수신할 경우, 발광부(110)의 레이저 빔이 기 설정된 강도부터 점차적으로 증가될 수 있도록 발광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0)에 의해서 제2센서(320)로부터 측정된 본체(100)와 사용자 머리와의 거리에 따라 발광부(110)의 레이저 빔 강도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중앙 제어 모듈(420)은 베터리 잔량 측정부(421), 전압전류 측정부(422) 및 전압전류 변환부(423)가 포함될 수 있다.
베터리 잔량 측정부(421)는 베터리(410)의 잔량을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베터리 잔량 측정부(421)에는 전원 제어 모듈(430)의 베터리 잔량 표시부(431)를 제어하기 위한 베터리(410) 잔량의 설정량이 기 설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터리 잔량 측정부(421)는 측정된 베터리(410)의 잔량과 기 설정된 베터리 잔량의 설정량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측정된 베터리(410)의 잔량이 기 설정된 베터리 잔량의 설정량 이하인지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또한, 베터리 잔량 측정부(421)는 판단 결과에 따라 베터리 잔량 표시부(431)가 작동될 수 있도록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베터리 잔량 표시부(431)로 송신한다. 베터리 잔량 측정부(421)에서 송신되는 제어신호는 베터리(410)의 잔량에 따라 베터리 잔량 표시부(431)에서 출력되는 빛의 색상, 점멸(간격), 밝기 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것이다.
예를 들어, 베터리 잔량 측정부(421)에서 측정된 베터리(410)의 잔량이 기 설정된 베터리 잔량의 설정량 이상인 경우, 베터리 잔량 표시부(431)에서 초록색 빛이 출력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베터리 잔량 측정부(421)에서 측정된 베터리(410)의 잔량이 기 설정된 베터리 잔량의 설정량 이하인 경우, 베터리 잔량 표시부(431)에서 빨간색 빛이 출력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베터리 잔량 측정부(421)에서 측정된 베터리(410)의 잔량이 기 설정된 베터리 잔량의 설정량 미만인 경우, 베터리 잔량 표시부(431)에서 일정 간격으로 빨간색 빛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베터리 잔량 측정부(421)는 베터리(410)의 잔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베터리(410)의 잔량이 기 설정된 베터리 잔량의 설정량 이하인지 이상인지를 판단함으로써, 판단 결과에 따라 대응되는 빛이 출력될 수 있도록 베터리 잔량 표시부(431)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전압전류 측정부(422)는 베터리(4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및 전류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전압전류 측정부(422)는 베터리(4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 및 전압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압 및 전류 값을 전압전류 측정부(422)로 송신한다.
전압전류 변환부(423)는 전압전류 측정부(422)로부터 측정된 베터리(410) 전원의 전압 및 전류 값을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압전류 변환부(423)는 전압전류 측정부(422)로부터 송신된 베터리(410) 전원의 전압 및 전류 값과 기 설정된 전압 및 전류 값을 서로 비교하여, 측정된 베터리(410) 전원의 전압 및 전류 값이 기 설정된 전압 및 전류 값 이하인지 초과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전압전류 변환부(423)는 전압전류 측정부(422)로부터 수신한 베터리(410) 전원의 전압 및 저류 값이 기설정된 전압 및 전류 값 이하일 경우에는 베터리(410)로부터 전원이 발광부(110)로 공급되도록 한다.
반면, 전압전류 측정부(422)로부터 수신한 베터리(410) 전원의 전압 및 전류 값이 기 설정된 전압 및 전류 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측정된 전압 및 전류 값과 기 설정된 전압 및 전류 값을 비교하여 각각의 값에 오차를 계산한다.
이후, 전압전류 변환부(423)에서 계산된 오차만큼 측정된 전압 및 전류 값을 기 설정된 전압 및 전류 값 이하가 되도록 보정하여, 보정된 전압 및 전류 값을 갖는 전원을 발광부(110)로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전압전류 측정부(422)는 기 설정된 전압 및 전류 값 이하의 전압 및 전류 값을 갖는 전원이 발광부(110)로 공급되도록 하여, 발광부(110)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발성장 촉진 장치(10)의 제어방법을 도 6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모발성장 촉진 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작동에 대한 제어를 받은 이후에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 공급 대기 단계(S100)에서 제어부(400)의 전원 제어 모듈(430)은 사용자에 의해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전원 제어 모듈(430)의 제어에 대한 대기상태로 유지되어 있게 된다.
여기서,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10)를 작동시키고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 제어 모듈(430)이 제어되면 전원 공급 단계(S200)가 진행된다.
전원 공급 단계(S200)에서 중앙 제어 모듈(420)이 전원 제어 모듈(43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베터리(4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발광부(110), 센서부(300), 베터리 잔량 측정부(421), 전압전류 측정부(422), 전압전류 변환부(423) 및 베터리 잔량 표시부(431) 각각으로 전원 공급이 진행된다.
이때, 전원 공급 단계(S200)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제어 모듈(420)을 통해 베터리(410)로부터 발광부(1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전압전류 측정 단계(S210), 전압전류 비교 단계(S211) 및 전압전류 변환 단계(S212)가 포함된다.
전압전류 측정 단계(S210)에서 전압전류 측정부(422)를 통해 베터리(4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과 전류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베터리(410) 전원의 전압 및 전류 값이 전압전류 변환부(423)로 송신된다.
전압전류 측정단계(S210) 이후, 전압전류 변환부(423)에서 전압전류 측정부(422)로부터 측정된 베터리(410) 전원의 전압과 전류 값을 수신하면, 전압전류 비교단계(S211)로 진행된다.
전압전류 비교 단계(S211)에서 전압전류 변환부(423)를 통해 베터리(410) 전원의 전압 및 전류 값이 기 설정된 전압 및 전류 값 이하일 경우에는 베터리(410)의 전원이 발광부(11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진행된다
반면, 전압전류 비교 단계(S211)에서 베터리(410) 전원의 전압 및 전류 값이 기 설정된 전압 및 전류 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전압전류 측정부(422)를 통해 베터리(410) 전원의 전압 및 전류 값과 기 설정된 전압 및 전류 값을 비교함으로써, 오차를 계산하고, 계산된 오차 값만큼 베터리(410) 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보정하여 발광부(11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진행된다.
또한, 전원 공급 단계(S20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제어 모듈(420)을 통해 베터리(410)의 잔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잔량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베터리 잔량 측정 단계(S220) 및 베터리 잔량 표시 단계(S221)가 포함된다.
베터리 잔량 측정 단계(S220)에서는 베터리 잔량 측정부(421)를 통해 베터리(410)의 잔량을 측정한다. 이때, 베터리 잔량 측정부(421)는 측정된 베터리(410)의 잔량과 기 설정된 베터리 잔량의 설정량과 비교함으로써, 측정된 베터리(410)의 잔량이 기 설정된 베터리(410) 잔량의 설정량 이하인지 이상인지 또는 미만인지를 판단한다.
또한, 베터리 잔량 측정부(421)에서 판단된 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베터리 잔량 표시부(431)로 송신한다.
베터리 잔량 측정 단계(S220) 이후, 베터리 잔량 표시부(431)에서 베터리 잔량 측정부(421)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베터리 잔량 표시 단계(S221)로 진행된다.
베터리 잔량 표시 단계(S221)에서 베터리 잔량 표시부(431)는 베터리 잔량 측정부(421)의 판단 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빛을 출력할 수 있도록 베터리 잔량 표시부(431)의 작동이 진행된다.
근접감지 여부 판단 단계(S300)에서 센서부(300)를 통해 사용자 머리의 근접을 감지하면, 그 감지신호를 중앙 제어 모듈(420)로 송신한다. 이때, 중앙 제어 모듈(420)에서 센서부(30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중앙 제어 모듈(420)은 본체(100)로 사용자 머리가 근접한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발광부(110)가 작동될 수 있도록 발광부(110)로 작동신호를 송신한다.
발광부 작동 단계(S400)에서는 근접감지 여부 판단 단계(S300) 이후, 발광부(110)에서 중앙 제어 모듈(420)로부터 작동신호를 수신하면, 발광부(110)가 레이저 빔을 조사하도록 작동이 진행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른 모발성장 촉진 장치(10)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발성장 촉진 장치(10)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먼저, 본체(100) 측에 위치된 전원 제어 모듈(430)을 제어함으로써, 발광부(11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활성화시킨다.
이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10)를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한다. 이때, 본체(100)와 지지부(200)가 서로 포개어졌을 경우, 본체(100)와 지지부(200)를 상호 이격되도록 벌려준다.
모발성장 촉진 장치(10)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되면, 센서부(300)에서 사용자 머리의 접근을 감지하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발광부(110)에서 레이저 빔이 조사되도록 작동된다.
이후, 발광부(110)를 통해 레이저 빔이 사용자의 모발 또는 두피부위를 향해 조사됨으로써 시술이 실시된다. 사용자의 모발 또는 두피부위로 레이저 빔이 조사되어 세포조직에 흡수되면, 해상 세포조직이 활성화되면서 혈류량 및 산소량이 증가된다. 또한, 모낭생성이 촉진됨과 동시에 모낭을 튼튼하게 유지시켜줌으로써, 모발의 수가 증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시술을 종료하고자 할 때는,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10)의 장착을 해제한다. 이때, 발광부(110)는 본체(100)가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장착이 해제되면, 센서부(300)에서 사용자 머리의 근접을 감지하지 않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레이저 빔의 조사가 정지되게 된다.
이후, 전원 제어 모듈(430)을 제어하여 발광부(110)의 활성화 상태를 해제하고, 서로 이격되도록 벌려진 본체(100)와 지지부(200)를 서로 포개어준 다음 보관한다.
앞서 살펴본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에 따른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 : 모발성장 촉진 장치 100 : 본체
110 : 발광부 120 : 발광부 결합홈
130 : 제1체결홈 140 : 보호커버
150 : 홀 200 : 지지부
210 : 제2체결홈 220 ; 지지봉
230 : 이격공간 300 : 센서부
310 : 제1센서 320 : 제2센서
400 : 제어부 410 : 베터리
420 : 중앙 제어 모듈 421 : 베터리 잔량 측정부
422 : 전압전류 측정부 423 : 전압전류 변환부
430 : 전원 제어 모듈 431 : 베터리 잔량 표시부
500 : 힌지부재 600 : 탄성부재
700 : 보호패드 800 : FPCB

Claims (6)

  1. 사용자의 머리 골격에 대응되는 곡률을 구비하며, 사용자의 모발 및 두피부위로 레이저 빔을 조사하도록 상측 내주면에 발광부(110)가 구비되는 본체(100);
    사용자의 머리 골격에 대응되는 곡률을 구비하며, 양단이 상기 본체(100)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200);
    상기 본체(100)에 근접하는 사용자 머리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센서부(300); 및
    상기 센서부(30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발광부(110)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400)로 구성되며,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발광부(110)의 일단에 근접하여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100)의 내측으로 근접하는 일측 구역의 사용자 머리를 감지하는 제1센서(310)와 상기 발광부(110)의 타단에 근접하여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100)의 내측으로 근접하는 타측 구역의 사용자 머리를 감지하는 제2센서(32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1센서(310)와 상기 제2센서(320) 모두 사용자 머리의 근접을 감지하지 못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사용자 머리의 근접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발광부(110)가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성장 촉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110)는,
    일측면이 면발광할 수 있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는, 상측 부위에 관통된 이격공간(230)을 가지는 복수의 지지봉(2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발광부(11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베터리(410);
    상기 베터리(410)와 연결되어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 제어 모듈(430); 및
    상기 발광부(110)와 상기 베터리(410) 및 상기 전원 제어 모듈(430)과 연결되어, 상기 전원 제어 모듈(430) 및 상기 센서부(300)로부터 각각의 제어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발광부(1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 모듈(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베터리(4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및 전류 값을 측정하는 전압전류 측정부(422); 및
    상기 전압전류 측정부(422)로부터 측정된 전원의 전압 및 전류 값과 기 설정된 전압 및 전류 값을 상호 비교하여 각각의 값의 오차를 계산함으로써 오차만큼 전압 및 전류 값을 보정하는 전압전류 변환부(4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 장치.
KR1020190040918A 2019-04-08 2019-04-08 모발성장 촉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85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918A KR102285590B1 (ko) 2019-04-08 2019-04-08 모발성장 촉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918A KR102285590B1 (ko) 2019-04-08 2019-04-08 모발성장 촉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670A KR20200118670A (ko) 2020-10-16
KR102285590B1 true KR102285590B1 (ko) 2021-08-04
KR102285590B9 KR102285590B9 (ko) 2022-03-15

Family

ID=73035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918A KR102285590B1 (ko) 2019-04-08 2019-04-08 모발성장 촉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5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329B1 (ko) * 2021-03-30 2021-10-07 (주)이지템 두피케어장치
KR102356036B1 (ko) * 2021-05-10 2022-02-08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플라즈마와 광선을 이용한 인공지능 모발 및 두피 관리 장치
CN114098950A (zh) * 2021-11-23 2022-03-01 固安翌光科技有限公司 应用光到对象移除毛发的可调节式出光组件及光应用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255B1 (ko) * 2013-04-22 2013-11-01 주식회사 비에스앤코 엘이디 광을 이용하는 피부광선조사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8098A (ja) * 1997-10-20 1999-07-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携帯用光照射装置
KR100952944B1 (ko) 2008-04-16 2010-04-16 (주)클래시스 개인용 피부미용 관리장치
KR20090109651A (ko) 2008-04-16 2009-10-21 이용식 레이저 조사 수단을 가진 헤드폰
KR20170121568A (ko) * 2016-04-25 2017-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셋 타입 두피 관리 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255B1 (ko) * 2013-04-22 2013-11-01 주식회사 비에스앤코 엘이디 광을 이용하는 피부광선조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670A (ko) 2020-10-16
KR102285590B9 (ko) 202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5590B1 (ko) 모발성장 촉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40350643A1 (en) Phototherapy apparatus for skin treatment
US8252033B2 (en) Phototherapy apparatus for skin treatment
ES2452530T3 (es) Aparato de uso personal de tratamiento cutáneo sin riesgo
US20100076529A1 (en) Phototherapy apparatus for hair, scalp and skin treatment
JP2017530850A (ja) ハンズフリー発光デバイス
KR102226317B1 (ko) 두피 케어용 광 출력 기기
WO2007144817A1 (en) Skin monitoring device, method of monitoring the skin, monitoring device, method of irradiating the skin, and use of an oled
KR102285201B1 (ko) 약품용액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
KR101440325B1 (ko) 광조사 피부 관리장치 및 그 제어 장치
US20190143138A1 (en) System and method to promote hair growth
CN115591131A (zh) 一种近视防控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285202B1 (ko) 전기 자극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
KR20160003886U (ko) 관절 구조를 지닌 피부치료용 led 조사기
KR102116334B1 (ko) 다파장 광원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
KR101418972B1 (ko) 광조사 피부 관리장치, 그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444888Y1 (ko) 발광장치
KR20190070477A (ko)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
KR20210025571A (ko) 두피 케어용 광 출력 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285203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
KR102226320B1 (ko) 두피 케어용 광 출력 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N219764312U (zh) 基于光的头皮护理装置
KR20230035980A (ko) 탈모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자기장과 광 자극 복합형 두피 자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두피 자극 방법
WO2019140453A1 (en) System and method to promote hair grow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