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329B1 - 두피케어장치 - Google Patents

두피케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329B1
KR102308329B1 KR1020210040884A KR20210040884A KR102308329B1 KR 102308329 B1 KR102308329 B1 KR 102308329B1 KR 1020210040884 A KR1020210040884 A KR 1020210040884A KR 20210040884 A KR20210040884 A KR 20210040884A KR 102308329 B1 KR102308329 B1 KR 102308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p
scalp care
moving head
main body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우
Original Assignee
(주)이지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템 filed Critical (주)이지템
Priority to KR1020210040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329B1/ko
Priority to KR1020210086232A priority patent/KR1023231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61N5/0617H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10Wearable devices, e.g. garments, glasses or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7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enhancing the absorption properties of tissue, e.g. by electrop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4Applying ionised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2037/0007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having means for enhancing the permeation of substances through the epidermis, e.g. using suction or depression, electric or magnetic fields, sound wav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 A61M2205/05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with radiatio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리에 착용된 본체에 대해 브러시 또는 롤러가 구비된 무빙헤드가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두피 전체 또는 국소부위에 다양한 두피 관리, 즉 LED 또는 레이저다이오드에 의한 광치료와, 플라즈마 방전을 통한 플라즈마 치료와, 약액 도포와, 전극을 통한 일렉트로포레이션, 전극을 통한 미세전류 전기자극이 순차적 또는 선택적으로 행해질 수 있어 최대의 두피케어효과가 발휘될 수 있도록 한 두피케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는, 후두부 상에 걸쳐지는 호형연결대의 양측에 이어캡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이어캡부의 상측에는 회동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회동가이드홈에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무빙헤드와, 상기 본체의 이어캡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무빙헤드의 양단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무빙헤드에 구비되고 상기 무빙헤드의 하부면으로 광을 발산하는 LED 또는 레이저다이오드가 구비되는 광발산패드와, 상기 무빙헤드의 하부면에 돌출형성되는 약액도포브러시와, 상기 무빙헤드의 하부면에 돌출형성되고 두피에 대해 아크플라즈마, 일렉트로포레이션 및 미세전류 전기자극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전극과, 상기 본체의 이어캡부 중 하나에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 상기 광발산패드, 상기 전극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약액도포브러시로 약액을 공급하는 컨트롤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는, 후두부 상에 걸쳐지는 호형연결대의 양측에 이어캡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이어캡부의 상측에는 회동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회동가이드홈에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무빙헤드와, 상기 본체의 이어캡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무빙헤드의 양단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무빙헤드에 구비되고 상기 무빙헤드의 하부면으로 광을 발산하는 LED 또는 레이저다이오드가 구비되는 광발산패드와, 상기 무빙헤드를 따라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약액도포롤러와, 상기 무빙헤드를 따라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두피에 대해 아크플라즈마, 일렉트로포레이션 및 미세전류 전기자극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전극롤러 및 상기 본체의 이어캡부 중 하나에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 상기 광발산패드 상기 전극롤러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약액도포롤러로 약액을 공급하는 컨트롤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두피케어장치{Scalp-care apparatus}
본 발명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두피를 관리하고 육모를 증진시킴에 따라 탈모의 치료와 관리에 효과를 나타내는 두피케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머리에 착용된 본체에 대해 브러시 또는 롤러가 구비된 무빙헤드가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두피 전체 또는 국소부위에 다양한 두피 관리, 즉 LED 또는 레이저다이오드에 의한 광치료와, 플라즈마 방전을 통한 플라즈마 치료와, 약액 도포와, 전극을 통한 일렉트로포레이션, 전극을 통한 미세전류 전기자극이 순차적 또는 선택적으로 행해질 수 있어 최대의 두피케어효과가 발휘될 수 있도록 한 두피케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자신의 외모를 타인에게 알리고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인지하고, 이에 따라 외모에 대한 결점을 극복하기 위해 외모 관리에 많은 비용 및 시간을 투자하고 있다.
그 중 탈모는 환경적 원인, 유전적 원인, 스트레스와 같은 정신적 원인, 호르몬 분비 이상과 같은 신체적 원인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탈모는 중장년층에 주로 발생하여 왔지만, 최근 20대, 30대 젊은 남성들도 탈모가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젊은 여성들도 과도한 다이어트로 인한 영양부족과, 빈번한 퍼머, 염색 등으로 인해 탈모에 많이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최근 들어 탈모 방지나 치료를 위한 다양한 두피케어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특정 파장의 광선을 생체 조직에 조사하여 해당 부위의 신진대사의 촉진을 유도하고 조직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저출력 레이저 요법(LLLT: Low Level Laser Ttherapy)을 이용하는 두피케어장치의 일 예로, 한국 특허등록 제10-1202822호(2012.11.21. 공고)에는 손으로 파지 가능한 외형을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어 두피를 향하여 소정 파장대역의 빛을 조사하는 램프가 구비된 광원부와, 두피를 가압하도록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돌기가 구비된 두피마사지부를 포함하는 광원을 이용한 두피 케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의 램프는,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레이저다이오드(LD)로 구성되되, 콜라겐의 발현을 증가시켜 두피를 재생하도록 650~850nm 파장대역의 빛을 조사하는 적색계램프와, 말라쎄지아(Malassezia) 속 균종을 사멸하도록 390~400nm 파장대역의 빛을 조사하는 청색계램프가 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을 이용한 두피케어장치가 개시된다.
또한 한국 특허공개 제10-2020-0043257호(2020.04.27. 공개)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돔 형상의 외측 케이스와, 상기 외측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측 케이스와, 상기 외측 케이스와 상기 내측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들은 복수의 제 1 레이저 광원들을 포함하는 두피 케어용 광 출력 기기가 개시된다.
또한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서 형성된 일산화질소를 두피에 제공하여 두피의 혈류를 개선하고 발모 효과를 촉진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두피케어장치의 일 예로, 한국 특허공개 제10-2011-0018708호(2011.02.24. 공개)에는 사용자의 머리에 안착되는 링 형태의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 상에 제공되며, 사용자의 두피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하는 내면부 및 상기 내면부로부터 상기 두피를 향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커버 몸체와, 상기 공급되는 공기의 유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두피에 인접한 거리에서 플라즈마를 직접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플라즈마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두피 케어장치가 개시된다.
또한 탈모방지에 효과가 있는 약액을 두피에 도포하는 두피케어장치의 일 예로, 한국 특허공개 제10-2016-0087408호(2016.07.22. 공개)에는 내측에 함침부재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하측에 약액토출관이 형성된 브러시가 일체로 형성된 브러시몸체와, 상기 함침부재수용공간에 수용되는 함침부재와, 상기 브러시몸체 상단에 결합되고, 탄성체로 이루어진 가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케어 약액 도포용 어플리케이터가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두피케어장치의 경우에는 LED 또는 레이저다이오드에 의한 광치료와, 플라즈마 방전을 통한 아크플라즈마 치료와, 약액 도포 중 하나와 같이 단일 두피관리만 가능할 뿐, 1개의 장치로 복합적인 두피 관리가 가능하지 않아 두피케어효과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머리에 착용하는 헬멧 형태의 두피케어장치의 경우에는 두피 전체에만 두피케어가 행해질 수 있을 뿐, 두피 중 국소부위에만 두피케어가 이루어질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202822호(2012.11.21.)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20-0043257호(2020.04.27.)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1-0018708호(2011.02.24.)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6-0087408호(2016.07.22.)
따라서 본 발명은 머리에 착용된 본체에 대해 브러시 또는 롤러가 구비된 무빙헤드가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다양한 두피 관리, 즉 LED 또는 레이저다이오드에 의한 광치료와, 플라즈마 방전을 통한 플라즈마 치료와, 약액 도포와, 전극을 통한 일렉트로포레이션, 전극을 통한 미세전류 전기자극이 순차적 또는 선택적으로 행해질 수 있어 최대의 두피케어효과가 발휘될 수 있도록 한 두피케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후두부 상에 걸쳐지는 호형연결대의 양측에 이어캡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이어캡부의 상측에는 회동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회동가이드홈에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무빙헤드와, 상기 본체의 이어캡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무빙헤드의 양단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무빙헤드에 구비되고 상기 무빙헤드의 하부면으로 광을 발산하는 LED 또는 레이저다이오드가 구비되는 광발산패드와, 상기 무빙헤드의 하부면에 돌출형성되는 약액도포브러시와, 상기 무빙헤드의 하부면에 돌출형성되고 두피에 대해 아크플라즈마, 일렉트로포레이션 및 미세전류 전기자극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전극과, 상기 본체의 이어캡부 중 하나에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 상기 광발산패드, 상기 전극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약액도포브러시로 약액을 공급하는 컨트롤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케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의 이어캡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블루투스스피커가 더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의 이어캡부에 걸쳐 이마고정밴드의 양단이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액도포브러시는 상기 무빙헤드의 길이방향 중앙선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열되고, 상기 전극은 상기 무빙헤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2열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열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액도포브러시는 제 1 스프링에 의해 돌출방향으로 탄성편향되고 상기 전극은 제 2 스프링에 의해 돌출방향으로 탄성편향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외부면에 돌출되는 입력버튼과,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입력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 상기 광발산패드, 상기 전극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판과, 내부에 충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와, 외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배터리충전소켓이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컨트롤러에는 약액이 충진된 약액카트리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기판의 제어하에 약액카트리지 내의 약액을 상기 약액도포브러시로 제공하는 마이크로펌프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컨트롤러는 상기 광발산패드에 의한 광치료와, 상기 전극에 의한 플라즈마 치료와, 상기 약액도포브러시에 의한 약액 도포와, 상기 전극을 통한 일렉트로포레이션 치료 및 상기 전극을 통한 미세전류 전기자극 치료가 순차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행해지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후두부 상에 걸쳐지는 호형연결대의 양측에 이어캡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이어캡부의 상측에는 회동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회동가이드홈에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무빙헤드와, 상기 본체의 이어캡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무빙헤드의 양단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무빙헤드에 구비되고 상기 무빙헤드의 하부면으로 광을 발산하는 LED 또는 레이저다이오드가 구비되는 광발산패드와, 상기 무빙헤드를 따라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약액도포롤러와, 상기 무빙헤드를 따라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두피에 대해 아크플라즈마, 일렉트로포레이션 및 미세전류 전기자극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전극롤러 및 상기 본체의 이어캡부 중 하나에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 상기 광발산패드 상기 전극롤러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약액도포롤러로 약액을 공급하는 컨트롤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케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두피케어장치는, 머리에 착용된 본체에 대해 브러시 또는 롤러가 구비된 무빙헤드가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두피 전체 또는 국소부위에 다양한 두피 관리, 즉 LED 또는 레이저다이오드에 의한 광치료와, 플라즈마 방전을 통한 플라즈마 치료와, 약액 도포와, 전극을 통한 일렉트로포레이션, 전극을 통한 미세전류 전기자극이 순차적 또는 선택적으로 행해질 수 있어 최대의 두피케어효과가 발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체의 이어캡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블루투스스피커가 더 포함됨에 따라 두피케어 중에 또는 두피케어 여부에 관계없이 블루투스헤드폰으로 이용 가능하며, 무빙헤드의 이동시 롤러에 의해 두피가 마사지 됨에 따라 두피케어 효과가 더욱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의 부분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의 저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의 부분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의 부분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는, 후두부 상에 걸쳐지는 호형연결대의 양측에 이어캡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이어캡부의 상측에는 회동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회동가이드홈에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무빙헤드와, 상기 본체의 이어캡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무빙헤드의 양단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무빙헤드에 구비되고 상기 무빙헤드의 하부면으로 광을 발산하는 LED 또는 레이저다이오드가 구비되는 광발산패드와, 상기 무빙헤드의 하부면에 돌출형성되는 약액도포브러시와, 상기 무빙헤드의 하부면에 돌출형성되고 두피에 대해 아크플라즈마, 일렉트로포레이션 및 미세전류 전기자극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전극과, 상기 본체의 이어캡부 중 하나에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 상기 광발산패드, 상기 전극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약액도포브러시로 약액을 공급하는 컨트롤러가 포함된다.
여기서부터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에 대한 구성요소들과, 그 구성요소 간의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1)는 본체(10)와, 이 본체(10)에 구비되는 무빙헤드(20), 구동모터(30), 광발산패드(40), 약액도포브러시(50) 및 전극(60)과, 케이블(71)을 통해 본체(10)에 연결되는 컨트롤러(70)가 포함된다.
전술한 본체(1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기 위한 바디프레임을 형성함과 동시에 차후에 설명될 무빙헤드(2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프레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후두부 상에 걸쳐지는 호형연결대(11)의 양측에 이어캡부(12)가 각각 구비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호형연결대(11)는 이어캡부(12)가 사용자의 양측 귀에 밀착될 수 있게 내측으로 탄성편향되는 탄성력이 발휘되도록 호 형상을 가지며, 그 중앙에는 사용자의 후두부에 접촉되는 완충지지패드(11a)가 구비된다. 또한 완충지지패드(11a)는 압축스펀지와 외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호형연결대(11)의 양측에 형성되는 이어캡부(12)는 사용자의 양측 귀에 밀착되는 것으로, 그 내측면 둘레에는 압축스펀지와 외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밀착패드(12a)가 구비되며, 상측에는 무빙헤드(20)의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삽입연결되는 회동가이드홈(13)이 형성된다. 또한 이어캡부(12)는 차후에 설명될 구동모터(30)의 설치프레임을 형성함과 동시에 차후에 설명될 컨트롤러(70)의 케이블(71)이 접속되는 접속부의 기능을 갖게된다.
또한 본체(10)의 이어캡부(12)에 걸쳐 이마고정밴드(14)의 양단이 연결된다. 이마고정밴드(14)는 사용자의 이마를 둘러싸도록 고정됨에 따라 호형연결대(11)와 함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1)가 사용자의 머리에 안정적으로 착용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통상의 탄력밴드로 구현 될 수 있다.
전술한 본체(10)의 회동가이드홈(13)에는 무빙헤드(20)의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무빙헤드(2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된 본체(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다양한 두피 관리, 즉 광발산패드(40)의 LED 또는 레이저다이오드에 의한 광치료와, 전극(60)에서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방전을 통한 플라즈마 치료와, 약액도포브러시(50)에 의한 약액 도포와, 전극(60)을 통한 일렉트로포레이션과, 전극(60)을 통한 미세전류 전기자극이 두피에 가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머리를 둘러싸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무빙헤드(20)는, 도 3을 참조하면, 내측에 반사시트가 구비된 상반부재(21)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하반부재(22)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하반부재(22)의 하부에는 약액도포브러시(50)에 대응되는 제 1 설치공(24a)과 전극(60)에 대응되는 제 2 설치공(24b)이 형성되고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지지커버(23)가 구비된다.
전술한 상반부재(21)와 하반부재(22) 사이에 광발산패드(40)가 설치되고, 하반부재(22)와 지지커버(23) 사이에는 약액도포브러시(50)와 전극(60)이 제 1 설치공(24a)과 제 2 설치공(24b)을 통해 하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무빙헤드(20)의 하부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1)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컨트롤러(70)로 센서신호를 제공하는 착용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착용감지센서는 근접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사용 될 수 있다.
전술한 본체(10)의 이어캡부(12)에는 구동모터(30)가 각각 구비된다. 이 구동모터(30)는 컨트롤러(70)의 제어에 따라 회전력을 발생시켜 이어캡부(12)의 회동가이드홈(13) 내에 설치된 무빙헤드(20)의 양단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회전각 제어가 가능한 스태핑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구동모터(30)는 실시예에 따라 감속가어유닛이 일체로 구비된 모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모터커버(31)에 의해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무빙헤드(20)의 상반부재(21) 및 하반부재(22) 사이에는 광발산패드(40)가 구비된다. 이 광발산패드(40)는 컨트롤러(70)의 제어에 따라 무빙헤드(20)의 하부면으로 두피케어에 필요한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LED 또는 레이저다이오드가 발광가능하게 구비되는 유연 인쇄회로기판(FPCB)로 형성 가능하다.
광발산패드(40)에 구비되는 LED는 예를 들어 근적외선 영역대의 파장의 광을 발산할 수 있으며, 광발산패드(40)에 구비되는 레이저다이오드는 수직공진 표면발광 레이저 다이오드(VCSEL: 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광발산패드(40)에 구비된 LED 또는 레이저다이오드에 의한 광치료 효과는 이미 관련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바 더 이상의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무빙헤드(20)의 하부면의 하반부재(22) 및 지지커버(23) 사이에는 약액도포브러시(50)가 돌출형성된다. 이 약액도포브러시(50)는 컨트롤러(70)의 제어 하에 약액카트리지(75)로부터 공급되는 앰플과 같은 약액이 두피에 공급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공이 형성된 브러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약액도포브러시(50)는 무빙헤드(20)의 길이방향 중앙선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지지커버(23)의 제 1 설치공(24a)이 무빙헤드(20)의 길이방향 중앙선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열된다. 또한 약액도포브러시(50)는 무빙헤드(20)의 하반부재(22)에 지지되는 제 1 스프링(51)에 의해 돌출방향으로 탄성편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무빙헤드(20)의 하부면, 특히 하반부재(22)와 지지커버(23) 사이에는 전극(60)도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전극(60)은 컨트롤러(70)의 제어 하에 컨트롤러두피에 대해 아크플라즈마, 일렉트로포레이션 및 미세전류 전기자극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되게 하는 것으로, 양전극과 음전극 2개 1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전극(60)에 의한 아크플라즈마 자극은 두피의 각질층에 미세 통로를 형성하며 앱플과 같은 약액의 유효성분(고분자 및 수용성 분자)이 흡수되는 통로가 형성되도록 하고, 플라즈마의 열적 자극은 두피 외부의 열변형을 작용시켜 피부 재생을 유도하고 리프팅 작용을 촉진시키며 피부 속의 유해균을 살균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전극(60)에 의한 일렉트로포레이션(electroporation) 자극은 플라즈마를 통해 형성된 통로를 유지하고 추가적인 통로를 확보하여 약액의 유효성분 흡수를 더욱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며, 특히 세포막의 투과성을 증가시켜 약액의 유효성분을 각질층 아래의 피층을 이동시켜 흡수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전극(60)에 의한 미세전류 전기자극을 두피세포를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같은 전극(60)은 무빙헤드(20)의 길이방향을 따라 1열의 양전극과 1열의 음전극, 총 2열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지지커버(23)의 제 2 설치공(24b)이 무빙헤드(20)의 길이방향 중앙선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2열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2열로 배열되는 전극(60)의 경우 1열의 양전극과 1열의 음전극 사이에 약액도포브러시(50)가 돌출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전극(60)은 아크플라즈마 자극을 위한 전극과 일렉트로포레이션 자극을 위한 전극과 미세전류 전기자극을 위한 전극이 교효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극(60)은 무빙헤드(20)의 하반부재(22)에 지지되는 제 2 스프링(61)에 의해 돌출방향으로 탄성편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체(10)의 이어캡부(12) 중 하나에는 컨트롤러(70)가 케이블(71)을 통해 연결되는데, 이 컨트롤러(70)는 전술한 구동모터(30), 광발산패드(40), 전극(60)의 작동을 제어하며 약액도포브러시(50)로 약액이 공급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컨트롤러(70)는 외부면에 돌출되는 입력버튼(72)과, 내부에 구비되고 입력버튼(72)의 조작에 따라 구동모터(30), 광발산패드(40), 전극(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판(73)과, 내부에 충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미도시)와, 외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배터리충전소켓(74)이 포함된다. 또한 컨트롤러(70)는 외부면에 현재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지시LED가 구비될 수 있고, 음성안내가 가능하게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입력버튼(72)은 온오프버튼, 작동모드설정버튼, 무빙헤드위치조절버튼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기판(73)은 구동모터(30)의 제어를 위한 모터구동제어부와, 광발산패드(40)의 LED의 구동을 위한 LED드라이버와, 광발산패드(40)의 레이저다이오드의 구동을 위한 레이저드라이버와, 전극(60)에 제공되는 전압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부와, 전극(60)에 고주파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고주파생성부와, 배터리의 충전과 방전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컨트롤러(70) 내에 배터리가 내장되지 않고 외부로부터 전원공급케이블이 컨트롤러(70)에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컨트롤러(70)에는 두피용 앰플(영양액)과 같은 약액이 충진된 약액카트리지(75)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컨트롤러(70)의 내부에는 제어기판(73)의 제어하에 약액카트리지(75) 내의 약액을 약액도포브러시(50)로 제공하는 마이크로펌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어기판(73)은 마이크로펌프(미도시)의 작동 제어를 위한 펌프제어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약액카트리지(75)와 마이크로펌프(미도시)는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러(70)에 구비되지 않고 무빙헤드(20)에 구비되고 컨트롤러(70)의 제어하에 약액카트리지(75) 내의 약액을 약액도포브러시(5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10)의 이어캡부(12)의 내측에는 블루투스스피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제어기판(73)은 블루투스스피커(미도시)의 작동을 위한 블루투스통신모듈과 블루투스스피커(미도시)의 작동 제어를 위한 블루투스제어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컨트롤러(70)는 작동모드의 선택에 따라 광발산패드(40)에 의한 광치료와, 전극(60)에 의한 플라즈마 치료와, 약액도포브러시(50)에 의한 약액 도포와, 전극(60)을 통한 일렉트로포레이션 치료 및 전극(60)을 통한 미세전류 전기자극 치료가 순차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행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1)는, 머리에 착용된 본체(10)에 대해 광발산패드(40)와 약액도포브러시(50) 및 전극(60)이 구비된 무빙헤드(20)가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두피 전체 또는 국소부위에 다양한 두피 관리, 즉 광발산패드(40)에 구비된 LED 또는 레이저다이오드에 의한 광치료와, 전극(60)에 의한 플라즈마 방전을 통한 플라즈마 치료와, 약액도포브러시(50)에 의한 약액 도포와, 전극(60)을 통한 일렉트로포레이션, 전극(60)을 통한 미세전류 전기자극이 순차적 또는 선택적으로 행해질 수 있어 최대의 두피케어효과가 발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10)의 이어캡부(12)의 내측에 구비되는 블루투스스피커(미도시)가 더 포함될 경우에는 두피케어 중에 또는 두피케어 여부에 관계없이 블루투스헤드폰으로 이용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의 부분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때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1)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가 사용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는, 후두부 상에 걸쳐지는 호형연결대의 양측에 이어캡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이어캡부의 상측에는 회동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회동가이드홈에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무빙헤드와, 상기 본체의 이어캡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무빙헤드의 양단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무빙헤드에 구비되고 상기 무빙헤드의 하부면으로 광을 발산하는 LED 또는 레이저다이오드가 구비되는 광발산패드와, 상기 무빙헤드를 따라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약액도포롤러와, 상기 무빙헤드를 따라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두피에 대해 아크플라즈마, 일렉트로포레이션 및 미세전류 전기자극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전극롤러 및 상기 본체의 이어캡부 중 하나에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 상기 광발산패드 상기 전극롤러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약액도포롤러로 약액을 공급하는 컨트롤러가 포함된다.
여기서부터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1')에 대한 구성요소들과 그 구성요소들 간의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1')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10)와, 이 본체(10)에 구비되는 무빙헤드(20'), 구동모터(30), 광발산패드(40), 약액도포롤러(50') 및 전극롤러(60')와, 케이블(71)을 통해 본체(10)에 연결되는 컨트롤러(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1')는 무빙헤드(20')와 이에 설치되는 약액도포롤러(50') 및 전극롤러(6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과 그 작동관계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1)와 동일유사하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될 수 있으므로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되, 차이를 갖는 구성요소를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술한 본체(10)의 회동가이드홈(13)에는 무빙헤드(20')의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무빙헤드(2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된 본체(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다양한 두피 관리, 즉 광발산패드(40)의 LED 또는 레이저다이오드에 의한 광치료와, 전극롤러(60')에서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방전을 통한 플라즈마 치료와, 약액도포롤러(50')에 의한 약액 도포와, 전극롤러(60')를 통한 일렉트로포레이션과, 전극롤러(60')를 통한 미세전류 전기자극이 두피에 가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머리를 둘러싸는 원호형상을 가진다.
다만 무빙헤드(20')는 호 형상으로 만곡된 판 형상이 아니라 약액도포롤러(50') 및 전극롤러(6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호 형상으로 만곡된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1)의 무빙헤드(20)와는 차별성을 갖는다. 또한 전술한 무빙헤드(20')에는 약액도포롤러(50') 및 전극롤러(6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링 형상의 설치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무빙헤드(20')는 내측에 반사시트가 구비된 상반부재(21')와, 개구부(22a')가 형성된 하반부재(22')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하반부재(22')의 하부에는 개구부(22a')를 마감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마감커버(23')가 구비된다. 상반부재(21')와 하반부재(22') 사이에 광발산패드(40)가 개구부(22a')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전술한 무빙헤드(20)를 따라 약액도포롤러(5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약액도포롤러(50')의 외주면에는 약액의 유출을 위한 약액유출공이 형성되고, 전술한 무빙헤드(20')를 따라 두피에 대해 아크플라즈마, 일렉트로포레이션 및 미세전류 전기자극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전극롤러(6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전술한 무빙헤드(20')에는 약액도포롤러(50') 내로 액약을 공급하기 위한 관로가 형성되며, 전극롤러(6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컨트롤러(70)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공지된 구조의 로터리형 전기접속자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피케어장치(1')는, 머리에 착용된 본체(10)에 대해 광발산패드(40)와 약액도포롤러(50') 및 전극롤러(60')가 구비된 무빙헤드(20')가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두피 전체 또는 국소부위에 다양한 두피 관리, 즉 광발산패드(40)에 구비된 LED 또는 레이저다이오드에 의한 광치료와, 전극롤러(60')에 의한 플라즈마 방전을 통한 플라즈마 치료와, 약액도포롤러(50')에 의한 약액 도포와, 전극롤러(60')를 통한 일렉트로포레이션, 전극롤러(60')를 통한 미세전류 전기자극이 순차적 또는 선택적으로 행해질 수 있어 최대의 두피케어효과가 발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무빙헤드(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약액도포롤러(50') 및 전극롤러(60')는 회동 이동시에 두부를 구름자극하여 마시지함에 따라 두피케어효과가 배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10)의 이어캡부(12)의 내측에 구비되는 블루투스스피커(미도시)가 더 포함될 경우에는 두피케어 중에 또는 두피케어 여부에 관계없이 블루투스헤드폰으로 이용 가능하다.
위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1' : 두피케어장치
10 : 본체
11 : 호형연결대
11a : 완충지지패드
12 : 이어캡부
12a : 밀착패드
13 : 회동가이드홈
14 : 이마고정밴드
20, 20' : 무빙헤드
21, 21' : 상반부재
22, 22' : 하반부재
22a' : 개구부
23 : 지지커버
23' : 마감커버
24a : 제 1 설치공
24b : 제 2 설치공
30 : 구동모터
31 : 모터커버
40 : 광발산패드
50 : 약액도포브러시
50' : 약액도포롤러
51 : 제 1 스프링
60 : 전극
60' : 전극롤러
61 : 제 2 스프링
70 : 컨트롤러
71 : 케이블
72 : 입력버튼
73 : 제어기판
74 : 배터리충전소켓
75 : 약액카트리지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후두부 상에 걸쳐지는 호형연결대(11)의 양측에 이어캡부(12)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이어캡부(12)의 상측에는 회동가이드홈(13)이 형성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회동가이드홈(13)에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무빙헤드(20');
    상기 본체(10)의 이어캡부(12)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무빙헤드(20')의 양단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0);
    상기 무빙헤드(20')에 구비되고 상기 무빙헤드(20')의 하부면으로 광을 발산하는 LED 또는 레이저다이오드가 구비되는 광발산패드(40);
    상기 무빙헤드(20')를 따라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약액도포롤러(50');
    상기 무빙헤드(20')를 따라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두피에 대해 아크플라즈마, 일렉트로포레이션 및 미세전류 전기자극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전극롤러(60'); 및
    상기 본체(10)의 이어캡부(12) 중 하나에 케이블(71)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30), 상기 광발산패드(40), 상기 전극롤러(60')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약액도포롤러(50')로 약액을 공급하는 컨트롤러(7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케어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이어캡부(12)의 내측에 구비되는 블루투스스피커;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케어장치.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이어캡부(12)에 걸쳐 이마고정밴드(14)의 양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케어장치.
  12.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70)는 외부면에 돌출되는 입력버튼(72)과,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입력버튼(72)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30), 상기 광발산패드(40), 상기 전극롤러(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판(73)과, 내부에 충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와, 외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배터리충전소켓(74)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케어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70)에는 약액이 충진된 약액카트리지(75)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컨트롤러(70)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기판(73)의 제어하에 약액카트리지(75) 내의 약액을 상기 약액도포롤러(50')로 제공하는 마이크로펌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케어장치.
  14.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70)는 상기 광발산패드(40)에 의한 광치료와, 상기 전극롤러(60')에 의한 플라즈마 치료와, 상기 약액도포롤러(50')에 의한 약액 도포와, 상기 전극롤러(60')를 통한 일렉트로포레이션 치료 및 상기 전극롤러(60')를 통한 미세전류 전기자극 치료가 순차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행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케어장치.
KR1020210040884A 2021-03-30 2021-03-30 두피케어장치 KR102308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884A KR102308329B1 (ko) 2021-03-30 2021-03-30 두피케어장치
KR1020210086232A KR102323187B1 (ko) 2021-03-30 2021-07-01 두피케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884A KR102308329B1 (ko) 2021-03-30 2021-03-30 두피케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232A Division KR102323187B1 (ko) 2021-03-30 2021-07-01 두피케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8329B1 true KR102308329B1 (ko) 2021-10-07

Family

ID=786097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884A KR102308329B1 (ko) 2021-03-30 2021-03-30 두피케어장치
KR1020210086232A KR102323187B1 (ko) 2021-03-30 2021-07-01 두피케어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232A KR102323187B1 (ko) 2021-03-30 2021-07-01 두피케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083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6907A (zh) * 2021-12-21 2022-04-12 钟金生 一种基于皮肤科儿童斑秃用涂药装置
KR102386722B1 (ko) * 2021-10-19 2022-04-18 (주)이지템 헬멧형 두피관리기기 및 그 기기의 구동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8708A (ko) 2009-08-18 2011-02-24 두재균 플라즈마 두피 케어장치
KR101202822B1 (ko) 2012-02-27 2012-11-21 주식회사 명신메디칼 광원을 이용한 두피 케어 장치
KR20160087408A (ko) 2015-01-13 2016-07-22 (주)아모레퍼시픽 두피케어 약액 도포용 어플리케이터
KR101861308B1 (ko) * 2016-12-01 2018-07-02 주식회사 메디솔 두피 자극기
KR20200043257A (ko) 2018-10-17 2020-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두피 케어용 광 출력 기기
KR20200118670A (ko) * 2019-04-08 2020-10-16 원텍 주식회사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8708A (ko) 2009-08-18 2011-02-24 두재균 플라즈마 두피 케어장치
KR101202822B1 (ko) 2012-02-27 2012-11-21 주식회사 명신메디칼 광원을 이용한 두피 케어 장치
KR20160087408A (ko) 2015-01-13 2016-07-22 (주)아모레퍼시픽 두피케어 약액 도포용 어플리케이터
KR101861308B1 (ko) * 2016-12-01 2018-07-02 주식회사 메디솔 두피 자극기
KR20200043257A (ko) 2018-10-17 2020-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두피 케어용 광 출력 기기
KR20200118670A (ko) * 2019-04-08 2020-10-16 원텍 주식회사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722B1 (ko) * 2021-10-19 2022-04-18 (주)이지템 헬멧형 두피관리기기 및 그 기기의 구동방법
CN114306907A (zh) * 2021-12-21 2022-04-12 钟金生 一种基于皮肤科儿童斑秃用涂药装置
CN114306907B (zh) * 2021-12-21 2023-12-08 江苏康康同学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皮肤科儿童斑秃用涂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3187B1 (ko) 202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187B1 (ko) 두피케어장치
KR102495335B1 (ko) 뇌의 비-침입성 신경자극 치료요법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JP4374343B2 (ja) レーザーと光ダイオードを用いた脱毛治療器
KR101863698B1 (ko) 이온도입 기능을 갖는 led 마스크 시스템
KR101705067B1 (ko) 피부관리장치
KR200471948Y1 (ko) 안면 마스크
CN212592697U (zh) 一种美容眼罩
US11975215B2 (en) Devices and related methods for phototherapeutic treatment of skin
CN111840813B (zh) 一种生发装置
JP3133700U (ja) 多功能頭部健康機具
KR20200007717A (ko)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
KR102314612B1 (ko) 에어커프가 구비된 두피케어장치
KR102512824B1 (ko) 피부자극장치
CN215309754U (zh) 一种远红外美容仪
JP2011011040A (ja) ヘアブラシ
KR102557314B1 (ko) 안면 피부관리용 마스크 장치
US20220339462A1 (en) A novel phototherapy face mask
KR20220042012A (ko) 눈 마사지 기능을 갖는 다기능 엘이디 마스크
KR100885092B1 (ko) 두피 마사지 발모기기
KR20160113490A (ko) 두피 치료용 머리빗
KR102386716B1 (ko) 헬멧형 두피케어장치
KR20100057482A (ko) 개인용 광선 조사기
KR20210074750A (ko) 광조사부가 구비된 구강 치료 장치
KR100921025B1 (ko) 인체심부온도 상승과 맛사지를 이용한 발모기기
JP6697194B2 (ja) 育毛促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