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6087A - 외기 공급형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외기 공급형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6087A
KR20150126087A KR1020140053055A KR20140053055A KR20150126087A KR 20150126087 A KR20150126087 A KR 20150126087A KR 1020140053055 A KR1020140053055 A KR 1020140053055A KR 20140053055 A KR20140053055 A KR 20140053055A KR 20150126087 A KR20150126087 A KR 20150126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ace
light
light emitting
face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혁
Original Assignee
(주) 로우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로우티에스 filed Critical (주) 로우티에스
Priority to KR1020140053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6087A/ko
Publication of KR20150126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14Devices for gas baths with ozone, hydrogen,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2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기 공급형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의 안면에 장착할 수 있도록 인체의 안면부분이 삽입되는 개방구를 갖는 안면 마스크와, 안면 마스크 내에 장착되어 상기 안면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의 안면에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된 발광부와, 발광부를 온/오프 구동하는 발광구동부와, 안면 마스크에 외기를 내부로 유통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외기 유통부와, 발광부 및 외기유통부의 구동을 선택하는 조작부와,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발광 구동부 또는 외기 유통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에 의하면, 안면의 탈착이 용이하며, 안면에 착용한 상태에서 외기를 내부로 유통시킬 수 있어 공급된 산소에 의한 호흡곤란을 억제하고, 피부 세포의 활성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외기 공급형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mask apparatus for skin beauty care using light}
본 발명은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안면에 착용한 상태로 안면에 광을 조사하고, 외기를 유통시킬 수 있도록 된 외기 공급형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면피부가 탄력을 잃지 않도록 관리하여 젊고 아름다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화장품을 이용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피부 표피의 각질층 밑에는 두꺼운 단백질 보호층으로 방어벽이 형성되어 보호하고 있고, 이 단백질 보호층에 의해 피부의 표피와 진피층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바이오 물질 등이 첨가되어 피부 보호효과가 우수한 화장품을 사용하더라도 진피층에 쌓인 노폐물을 제거하지 못하고, 또한 화장품의 영양이 진피층까지 깊숙이 침투되지 못하여 피부 보호의 효과가 매우 미흡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 갈바닉 이온전류, 원적외선 또는 진동을 이용하여 피부를 미용하는 여러 가지의 피부 미용기기가 알려지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피부 미용기기는 사용시 지속적으로 미용기기를 파쥐한 상태로 안면에 접촉시키면서 조작하여야 함으로써 조작상의 불편함이 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10-1074882호에 개시된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를 제안한 바 있고, 착용상태에 외기를 마스크 내에 유통시킬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안면에 착용한 상태에서 외기를 내부에 유통시킬 수 있는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는 인체의 안면에 장착할 수 있도록 인체의 안면부분이 삽입되는 개방구를 갖는 안면 마스크와; 상기 안면 마스크 내에 장착되어 상기 안면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의 안면에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된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를 온/오프 구동하는 발광구동부와; 상기 안면 마스크에 외기를 내부로 유통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외기 유통부와;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외기유통부의 구동을 선택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 구동부 또는 상기 외기 유통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외기 유통부는 상기 안면마스크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통기홀과, 상기 제1통기홀과 상기 제2통기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된 송풍팬;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송풍팬을 온/오프 가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에 의하면, 안면의 탈착이 용이하며, 안면에 착용한 상태에서 외기를 내부로 유통시킬 수 있어 공급된 산소에 의한 호흡곤란을 억제하고, 피부 세포의 활성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착용부재를 분리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안면마스크의 개방구 방향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착용부재를 분리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안면마스크의 개방구 방향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100)는 안면 마스크(110)와, 착용부재(130), 제1 및 제2발광부(150)(160)와, 발광구동부(170), 조작부(180), 제어부(190) 및 외기 유통부(250)를 구비한다.
안면 마스크(110)는 인체의 안면에 장착할 수 있도록 인체의 안면부분이 삽입되는 개방구(110a)를 갖는 반구형 형상의 헬멧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안면 마스크(110)는 착용자의 눈에 대응되는 영역은 외부 투시가 가능한 투명소재로 형성된 투명시야부분(112)이 양쪽 눈에 대응되게 각각 형성되어 있다.
안면 마스크(110)는 투명시야부분(112)을 포함한 전면부분을 커버하는 마감커버(115)가 전면에서 결합되어 외관적으로 반구형 형태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참조부호 114는 안면마스크(110)상에 마감커버(115) 결합용으로 형성된 결합홀이고, 참조부호 117은 마감커버(115)를 결합홀(114)에 끼움결합될 수 있게 형성된 록킹편이다.
안면 마스크(110)는 경질의 합성수지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안면 마스크(110)에는 외기를 내부로 유통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통기홀(252)(254)가 형성되어 있다.
외기 유통부(250)는 안면 마스크(110)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통기홀(252)(254)에 의해 외기를 내부로 유통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기 유통부(250)는 안면마스크(110)의 제1통기홀(252)을 통해 외기를 흡입하는 송풍팬(256)이 설치되어 있고, 도시된 예와 다르게 제2통기홀(254)에 송풍팬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송풍팬(256)은 후술되는 조작부(180)의 조작신호에 따라 송풍팬(256)을 온/오프 가동하는 제어부(19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착용부재(130)는 안면마스크(110)에 결합되어 안면 마스크(110)를 두부에 착용시 머리를 감싸 안면마스크(110)가 지지되게 착용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한 조임 밴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착용부재(130)를 구분하면, 메인 띠부분(132)과, 제1 및 제2 상부 결합띠(136)(137)로 되어 있다.
메인 띠부분(132)은 안면마스크(110) 내측면에 힌지결합되며 안면마스크(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착용자의 머리뒷부분에서 양단부분이 길이 조절가능하게 상호 결합 및 분리 될 수 있게 원형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메인 띠부분(132)의 상호 결합 및 분리되는 일단(132a)에는 결합핀(133)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타단(132b)에는 일단(132a)이 진입될 수 있게 형성되어 상호 밀착상태로 결속하는 결속링부분(1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메인 띠부분(132)의 타단(132b)으로부터 결속링부분(13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결합핀(133)이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착탈홈(135)이 상호 이격되게 다수 마련되어 있다.
제1상부 결합띠(136)는 메인 띠부분(132)을 제2상부 결합띠(137)와 함께 열십자 형태로 가로지르는 방향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종단에는 결합핀(136a)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상부 결합띠(136)는 후술되는 좌측의 힌지(141)에 인접된 위치인 착용자의 머리 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2상부 결합띠(137)는 메인 띠부분(132)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타측인 제1상부 결합띠(136)의 시작위치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종단에는 제1상부 결합띠(136)의 결합핀(136a)와 결합되어 조임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메인 띠부분(132)과 동일한 구조의 결속링부분(137a) 및 종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착탈홈(137b)이 상호 이격되게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착용부재(130)는 구부림이 가능한 합성수지소재로 일체로 성형된다.
또한, 착용부재(130)는 안면 마스크(110)에 힌지결합되되 회동가능범위가 도 1에서와 같이 안면마스크(110)의 개방면을 따르는 수직방향에 대해 제1메인띠부분(132)과의 사이각이 80 내지 110° 범위에서 교차되게 연장되는 제1위치에서 메인 띠부분(132)의 상호 결합 또는 분리되는 양단부분이 안면마스크(110)의 머리 상부 진입부분에 해당하는 천정내로 진입되는 방향까지 제한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착용부재(130)의 회동가능범위 제한구조는 안면마스크(110)에 형성된 메인 힌지공(118)에 진입되는 원기둥형상의 힌지핀(141)(142)과, 힌지핀(141)(142)의 상단에 제2상부결합띠(137)를 향하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회동제한공(119)에 삽입되는 회동제한턱(141a)(142a)이 일체로 착용부재(130)의 제1 및 제2 상부 결합띠 에 인접한 메인 띠 부분(132)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면마스크(110)에는 힌지핀(141)(142)이 삽입된는 메인 힌지공(118)으로부터 회동제한턱(141a)(142a)에 대응되는 크기로 회전가능범위에 해당하는 궤적으로 메인 띠부분(132)의 상호 결합 또는 분리되는 양단부분이 안면마스크(110)의 머리 상부 진입부분에 해당하는 천정내로 진입되는 방향에 대응되게 안면마스크(110)의 중앙부분을 향해 즉, 전면부분을 향해 호형궤적을 갖으며 메인 힌지공(118)과 연통되게 회동제한공(119)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착용부재(130)는 안면마스크(110)에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하방으로의 회동제한위치에 해당하는 제1위치에서 도 1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안면마스크(110)의 우측 하방이 개방된 구조가 되어 머리를 통해 안면을 안면마스크(110)로 내로 진입하는 과정시 그대로 진입하거나 착용부재(130)를 개방면적이 넓어지는 방향인 시계반대방향으로 약간 회동시켜 진입시켜면 되기 때문에 착용 및 분리가 매우 편리한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착용부재(130)의 메인 결합띠(132) 및 제1 및 제2상부 결합띠(136)(137)를 착용자에 맞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구부림이 가능한 합성수지 소재로 일체로 되어 있어 구조가 단순화 되는 장점도 제공한다.
발광부는 안면 마스크(110)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안면 마스크(1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안면에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다수의 발광다이오드(151)(161)가 실장되어 있고, 조사 부위에 따라 발광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제1발광부(150)와 제2발광부(160)로 구획 되어 있다.
제1발광부(150)는 발광부를 구성하는 전체 발광다이오드(151)(161) 중 안면 마스크(110)를 착용한 착용자의 눈을 중심으로 한 안구주변 영역에 광을 조사하도록 발광다이오드(151)가 어레이된 부분이다.
제2발광부(160)는 발광부를 구성하는 전체 발광다이오드(151)(161) 중 착용자의 안구주변 영역 이외의 이마부터 턱부분까지 광을 조사하도록 발광다이오드(161)가 어레이된 부분이다. 즉, 제2발광부(160)는 제1발광부(150)를 제외한 나머지 발광다이오드(161)로 이루어진 부분이다.
여기서 제1발광부(150)와 제2발광부(16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전체 발광 또는 제2발광부(160)만 단독으로 발광되게 제어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 및 제2 발광부(150)(160)에 적용되는 발광다이오드(151)(161)는 적외선 광을 출사하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가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제1 및 제2 발광부(150)(160)에 적용되는 발광다이오드(150)(160)는 400nm 내지 1000nm 파장 범위내의 광을 출사하는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발광구동부(170)는 제어부(190)에 제어되어 발광부인 제1발광부(150)와 제2발광부(160)를 동시에 온/오프 또는 선택적으로 온/오프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발광 구동부(170)는 제어신호에 따라 발광다이오드(151)(161)에서 출사되는 광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발광다이오드(151)(161)에 인가되는 전류 또는 듀티 가변에 의해 평균 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작부(180)는 안면마스크의 가장자리 측면에 마련되어 제1발광부(150)와 제2발광부(160)에 대해 구동 온/오프 선택 또는 광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180)에는 외기 유통부(250)의 송풍팬(256)을 누름조작에 의해 온/오프 가동하는 팬스위치(18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180)에는 전원 스위치(181), 발광영역 선택스위치(182) 및 광의 세기 조절스위치(183)가 마련되어 있다.
전원스위치(181)는 전원인입선(101)을 통해 인입되는 전원을 발광구동부(170)를 포함한 제어요소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스위치로서 누름조작 버튼식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전원 인입선(181)은 어댑터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된 전원공급선이다.
발광영역 선택 스위치(182)는 제1발광부(150)와 제2발광부(160)가 모두 발광되는 전체 발광모드와, 제2발광부(160)만 발광되는 부분 발광모드를 누름 조작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광의 세기 조절스위치(183)는 상방으로 올리는 조작을 하면 제1 광세기로, 하방으로 내리는 조작을 하면 제1세기보다 낮게 설정된 제2광세기로 발광 세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어부(190)는 조작부(180)의 발광영역 선택신호 및 발광세기 조작신호에 따라 제1 발광부(150)와 제2발광부(160) 모두 또는 제2발광부(160)만 발광되게 하면서 설정된 발광세기로 광이 출사되도록 발광 구동부(17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팬스위치(188)가 온으로 조작되면 송풍팬(256)을 가동하여 외기가 안면 마스크(110) 내부로 유입되게 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1 및 제2 발광부(150)(160)는 안면 마스크(110) 내의 착용자의 안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장착된 제1플렉서블 기판(103)상에 발광다이오드(151)(161)가 어레이되어 결선 되어 있고, 제1플렉서블 기판(103)의 상부로부터 인체의 머리쪽을 향하는 상방의 안면 마스크(110)내에 제1플렉서블 기판(103)과 접속된 제2블렉서블 기판(105)상에 발광구동부(170) 및 제어부(190)가 실장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제1플렉서블 기판(103)과 제2플렉서블 기판(105)는 일체로 된 플렉서블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배선 및 전기적 요소 실장 구조에 의하면, 안면마스크(110)의 내부 영역중 머리를 일부 감싸는 영역에 발광다이오드(151)(161)를 구동하는 요소가 제2플렉서블 회로기판(105)에 실장되어 안면 영역에 대응되는 제1플렉서블 기판(103)과 접속됨으로써 부품 실장 및 장착이 용이하고, 안면 마스크(11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외기 유통부(250)에 의해 안면에 착용한 상태에서 외기를 내부로 유통시킬 수 있어 공급된 산소에 의한 호흡곤란을 억제하고, 피부 세포의 활성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103: 제1플렉서블 기판 105: 제2플렉서블 기판
110: 안면 마스크 150: 제1발광부
160: 제2발광부 190: 제어부
250: 외기 유통부

Claims (2)

  1. 인체의 안면에 장착할 수 있도록 인체의 안면부분이 삽입되는 개방구를 갖는 안면 마스크와;
    상기 안면 마스크 내에 장착되어 상기 안면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의 안면에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된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를 온/오프 구동하는 발광구동부와;
    상기 안면 마스크에 외기를 내부로 유통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외기 유통부와;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외기유통부의 구동을 선택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 구동부 또는 상기 외기 유통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유통부는 상기 안면마스크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통기홀과, 상기 제1통기홀과 상기 제2통기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된 송풍팬;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송풍팬을 온/오프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
KR1020140053055A 2014-05-01 2014-05-01 외기 공급형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 KR201501260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055A KR20150126087A (ko) 2014-05-01 2014-05-01 외기 공급형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055A KR20150126087A (ko) 2014-05-01 2014-05-01 외기 공급형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087A true KR20150126087A (ko) 2015-11-11

Family

ID=54605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055A KR20150126087A (ko) 2014-05-01 2014-05-01 외기 공급형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6087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879B1 (ko) * 2015-11-23 2017-03-29 김준호 분할 방식의 미용 마스크
KR20180134624A (ko) * 2017-06-09 2018-12-19 (주)셀리턴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JPWO2017204093A1 (ja) * 2016-05-27 2019-01-17 シャープ株式会社 光治療装置および固定具
KR101954018B1 (ko) * 2018-04-23 2019-03-04 이덕형 얼굴 마사지기
KR20200032381A (ko) * 2018-09-18 2020-03-26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피부관리용 마스크
KR20200044610A (ko) * 2018-10-21 2020-04-29 자이글주식회사 산소가 분사될 수 있는 미용 커버 마스크
KR20200101083A (ko) * 2019-02-19 2020-08-27 고재호 발광 마스크
KR20220033820A (ko) * 2020-09-10 2022-03-17 주식회사 창민테크론 미용 마스크
KR20220049860A (ko) * 2020-10-15 2022-04-22 (주) 파오드 안면 피부관리용 마스크 장치
KR20220128542A (ko) * 2021-03-12 2022-09-21 주승철 안면 수소공급 마스크장치
KR20230015557A (ko) * 2021-07-23 2023-01-31 (주) 파오드 내면마스크를 그래핀 복합 재료로 형성한 안면 피부관리용 마스크 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879B1 (ko) * 2015-11-23 2017-03-29 김준호 분할 방식의 미용 마스크
WO2017090850A1 (ko) * 2015-11-23 2017-06-01 김준호 분할 방식의 미용 마스크
JPWO2017204093A1 (ja) * 2016-05-27 2019-01-17 シャープ株式会社 光治療装置および固定具
KR20180134624A (ko) * 2017-06-09 2018-12-19 (주)셀리턴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KR101954018B1 (ko) * 2018-04-23 2019-03-04 이덕형 얼굴 마사지기
KR20200032381A (ko) * 2018-09-18 2020-03-26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피부관리용 마스크
KR20200044610A (ko) * 2018-10-21 2020-04-29 자이글주식회사 산소가 분사될 수 있는 미용 커버 마스크
WO2020085728A1 (ko) * 2018-10-21 2020-04-30 자이글주식회사 산소가 분사될 수 있는 미용 커버 마스크
KR20200101083A (ko) * 2019-02-19 2020-08-27 고재호 발광 마스크
KR20220033820A (ko) * 2020-09-10 2022-03-17 주식회사 창민테크론 미용 마스크
KR20220049860A (ko) * 2020-10-15 2022-04-22 (주) 파오드 안면 피부관리용 마스크 장치
KR20220128542A (ko) * 2021-03-12 2022-09-21 주승철 안면 수소공급 마스크장치
KR20230015557A (ko) * 2021-07-23 2023-01-31 (주) 파오드 내면마스크를 그래핀 복합 재료로 형성한 안면 피부관리용 마스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26087A (ko) 외기 공급형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
KR101350503B1 (ko)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
KR101873832B1 (ko) 발광소자를 이용한 마스크
US9833633B2 (en) Laser phototherapy device for illumination of the scalp to promote hair growth
US10610001B2 (en) Mask device for facial skin care
KR101616707B1 (ko) Led 마스크
US20050278003A1 (en) Electroluminescent light therapy devices
US10112058B2 (en) Smart laser hair growth helmet
KR20140058327A (ko)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
KR101616002B1 (ko) 안면 피부 클리닉 마스크 장치
US9234654B1 (en) Twinkling hair band
KR200471948Y1 (ko) 안면 마스크
KR20110100122A (ko) 피부관리용 가면
WO2005038337A2 (en) Portable black light device
US10363432B2 (en) Scalp-hair therapy system
KR101614439B1 (ko) 피부 관리용 마스크
US10272259B1 (en) Hair growth using phototherapy treatment
US11123572B2 (en) Eyewear phototherapy device for eye cosmetology
KR20220024872A (ko) 조절 가능한 치료용 안면 마스크
KR20140057796A (ko)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
US20080022437A1 (en) Shading headgear
KR20210033283A (ko) 광을 이용한 스킨케어장치
KR101875409B1 (ko) 머리 착용형 장치
KR200219489Y1 (ko) 마사지용 마스크
KR20190070477A (ko)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