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900B1 - 피부관리용 베드장치 - Google Patents

피부관리용 베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900B1
KR101883900B1 KR1020180025606A KR20180025606A KR101883900B1 KR 101883900 B1 KR101883900 B1 KR 101883900B1 KR 1020180025606 A KR1020180025606 A KR 1020180025606A KR 20180025606 A KR20180025606 A KR 20180025606A KR 101883900 B1 KR101883900 B1 KR 101883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light emitting
power
members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천
Original Assignee
김종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천 filed Critical 김종천
Priority to KR1020180025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9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A61N2005/0634Mechanisms that allow a space saving storage of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36Irradiating the whole body
    • A61N2005/0637Irradiating the whole body in a horizontal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운 상태인 사용자의 피부에 빛을 제공하여 각종 피부질환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피부관리용 베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빛을 발산하는 광발산부재(100)와, 광발산부재(100)가 내장되고 광발산부재(100)에서 발산되는 광이 사용자의 피부에 조사되도록 빛이 투과되는 다수의 매트부재(200)와, 매트부재(200)들이 일렬로 연결되도록 매트부재(200)들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힌지부재(300)와, 매트부재(20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광발산부재(100)에 전원을 공급되도록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전원연결부재(400)와, 매트부재(200)의 타측에 연결된 상태로 매트부재(200)에 고정된 광발산부재(100)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피부관리용 베드장치{BED APPARATUS FOR SKIN CARE}
본 발명은 누운 상태인 사용자의 피부에 빛을 제공하여 각종 피부질환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피부관리용 베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사회는 공해, 스트레스, 비만이나 운동부족 등에 따른 각종 성인병으로 한방 및 양방에 기초한 진단이나 치료만으로는 충분치 못하여 각종 대체의학을 응용한 건강관리 및 치료방법이 대두되고 있다.
칼라 테라피는 비교적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건강관리 및 치료방법으로 각각의 색깔별로 고유한 파장을 가지는 유색 광선은 그 파장에 따라 인체에 미치는 효과가 있다.
국내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8-0092068호에는 "광선요법 치료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LED에서 출사되는 광선이 피부의 치료 및/또는 개선을 위해 광필터에 의해 필터링 된 후 특정 파장대역의 광선이 피부에 도달하게 되므로, 피부개선 및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한 기술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구성이 복잡하고 부피가 커서 집안에서 개인이 사용하기에는 비용 부담이 크고 공간 확보도 어려우므로 대중적으로 활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누운 상태인 사용자의 피부에 빛을 제공하여 각종 피부질환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피부관리용 베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베드장치는, 빛을 발산하는 광발산부재(100)와, 광발산부재(100)가 내장되고 광발산부재(100)에서 발산되는 광이 사용자의 피부에 조사되도록 빛이 투과되는 다수의 매트부재(200)와, 매트부재(200)들이 일렬로 연결되도록 매트부재(200)들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힌지부재(300)와, 매트부재(20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광발산부재(100)에 전원을 공급되도록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전원연결부재(400)와, 매트부재(200)의 타측에 연결된 상태로 매트부재(200)에 고정된 광발산부재(100)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매트부재(200)는 광발산부재(100)의 전면이 내부공간으로 수용되어 광발산부재(100)의 전면이 커버되면서 빛이 투과되고, 힌지부재(300)의 일측에 연결되기 위한 전면연결부(211)가 외측에 형성되는 전면매트부(210)와, 광발산부재(100)의 후면이 내부공간으로 수용되고, 전면연결부(211)에 일치된 상태로 힌지부재(300)의 타측이 연결되기 위한 후면연결부(221)가 외측에 형성되는 후면매트부(220)와, 전면매트부(210) 및 후면매트부(220)를 체결시키는 매트체결부(230)를 포함하며, 전면연결부(211)는 내부공간이 측방으로 개방되는 반원통형태로 형성되면서 전면매트부(210)의 네모서리에 형성되고, 후면연결부(221)는 전면연결부(211)에 대응되도록 내부공간이 측방으로 개방되는 반원통형태로 형성되면서 후면매트부(220)의 네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전면매트부(210)에는 나사탭이 형성되는 전면보스(212)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회로기판(120)의 전면에 지지되고, 후면매트부(220)에는 전면매트부(210)의 나사탭에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후면보스(222)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회로기판(120)의 후면에 지지되며, 매트체결부(230)는 후면보스(222)의 관통홀을 관통하여서 전면보스(212)의 나사탭에 나사결합 되도록 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후면매트부(220)는 후면보스(222)가 복수로 구성되어서 분산되게 형성되는 상태에서 후면보스(222)들에 연결되게 형성되어 광발산부재(100)를 지지하는 지지벽(2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지지벽(225)은 복수로 구성되어 후면보스(222)에 직교되게 연결되어서 격자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힌지부재(300)는 전면연결부(211) 및 다른 전면연결부(211)가 각각 삽입되는 전면삽입공간(311)이 양측에 형성되는 전면인너부(310)와, 후면연결부(221) 및 다른 후면연결부(221)가 각각 삽입되는 후면삽입공간(321)이 양측에 형성되는 후면인너부(320)와, 전면인너부(310) 및 후면인너부(320)를 체결시키는 인너체결부(330)와, 인너체결부(330)에 의해 체결된 전면인너부(310) 및 후면인너부(320)를 커버하는 아우터부(340)를 포함하며, 전면연결부(211) 및 후면연결부(221)의 외주면에는 각각 반원형태의 결합홈(214, 224)이 형성되고, 전면삽입공간(311) 및 후면삽입공간(321)의 내주면에는 결합홈(214, 224)에 대응되는 반원형태의 결합돌기(312, 3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전원연결부재(400)는 광발산부재(100)에 연결된 케이블이 연결되는 전원단자(410)와, 전원단자(410)의 일측이 수용되는 일측수용홈(421)이 형성되고, 일측수용홈(421)에 연통되면서 전면연결부(211)가 수용되는 전면수용홈(422)이 형성되는 전면전원연결부(420)와, 전원단자(410)의 타측이 수용되는 타측수용홈(431)이 형성되고, 타측수용홈(431)에 연통되면서 후면연결부(221)가 수용되는 후면수용홈(432)이 형성되는 후면전원연결부(430)와, 전면전원연결부(420) 및 후면전원연결부(430)를 체결시키는 전원체결부(440)를 포함하며, 전면연결부(211) 및 후면연결부(221)의 외주면에는 각각 반원형태의 결합홈(214, 224)이 형성되고, 전면수용홈(422) 및 후면수용홈(432)의 내주면에는 결합홈(214, 224)에 대응되는 반원형태의 결합돌기(423, 4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컨트롤러(500)는 내부공간이 일측으로 개방되는 일측케이스(501)와, 일측케이스(501)에서 내부공간에 연통되면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일측돌출부(502)와, 내부공간이 타측으로 개방되고 일측케이스(501)에 대응되는 타측케이스(503)와, 타측케이스(503)에서 내부공간에 연통되면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일측돌출부(502)에 대응되는 타측돌출부(504)와, 일측케이스(501) 및 타측케이스(502)를 체결시키는 케이스체결부(505)를 포함하며, 일측돌출부(502) 및 타측돌출부(504)는 서로 마주되는 상태로 힌지부재(3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누운 상태인 사용자의 피부에 빛을 제공하여 각종 피부질환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어서, 사용자가 누운 상태로 사용하는 사용상의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빛확산부를 통해 광발산부재의 빛이 확산되어서 피부의 넓은 면적에 조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힌지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매트부재들을 펼쳐서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혀져서 부피가 최소화되는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매트부재에 적용되는 전면매트부의 전면보스가 광발산부재의 전면에 지지되고 후면매트부의 후면보스가 광발산부재의 후면에 지지되므로, 구조적인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후면보스에 지지벽이 격자형태로 형성되므로 광발산부재의 후면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지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베드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상부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부를 보인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광발산부재 및 매트부재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매트부재 및 힌지부재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힌지부재에 적용되는 인너부에 아우터부가 결합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인너부에 아우터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는 본 발명의 힌지부재의 양측에서 매트부재들이 회전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인너부에 아우터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는 본 발명의 광발산부재에 연결된 케이블이 힌지부재에 배선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2은 본 발명의 전원연결부재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3는 본 발명의 전원연결부재가 매트부재에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6는 본 발명의 매트부재들이 힌지부재들을 통해 겹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5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빛을 발산하는 광발산부재(100)와, 광발산부재(100)가 내장되고 광발산부재(100)에서 발산되는 광이 사용자의 피부에 조사되도록 빛이 투과되는 다수의 매트부재(200)와, 매트부재(200)들이 일렬로 연결되도록 매트부재(200)들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힌지부재(300)와, 매트부재(20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광발산부재(100)에 전원을 공급되도록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전원연결부재(400)와, 매트부재(200)의 타측에 연결된 상태로 매트부재(200)에 고정된 광발산부재(100)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500)를 포함한다.
광발산부재(100)는 입력되는 전원에 의해 RGB색을 각각 발생시키는 다수의 RGB LED 및 적외선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IR LED로 이루어지는 광원(110)과, 광원(110)이 분산되게 탑재되고 탑재된 광원(110)에 입력되는 전원을 인가하는 회로기판(120)을 포함한다.
광원(110)은 RGB색을 각각 발생시키는 RGB LED 및 적외선을 발생시키는 IR LED들이 회로기판(120)에 분산되어서 탑재될 수 있어서, 매트부재(200)에 누워있는 사용자의 피부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LED에서 발산되는 빛에 의해 여드름과 같은 피부질환이 개선 및 완화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회로기판(120)은 외압에 의해 휘어지도록 플랙시블한 판재형태로 형성될 수 있어서, 매트부재(200)에 누워있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약간 휘어질 수 있다. 이러한, 회로기판(120)은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광원(110)들에 인가한다.
그리고, 회로기판(120)은 후술되는 매트체결부(230)가 관통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매트부재(200)는 광발산부재(100)의 전면이 내부공간으로 수용되어 광발산부재(100)의 전면이 커버되면서 빛이 투과되고, 힌지부재(300)의 일측에 연결되기 위한 전면연결부(211)가 외측에 형성되는 전면매트부(210)와, 광발산부재(100)의 후면이 내부공간으로 수용되고, 전면연결부(211)에 일치된 상태로 힌지부재(300)의 타측이 연결되기 위한 후면연결부(221)가 외측에 형성되는 후면매트부(220)와, 전면매트부(210) 및 후면매트부(220)를 체결시키는 매트체결부(230)를 포함한다.
전면매트부(210)는 광발산부재(100)의 전면을 커버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판재형태로 형성되면서 광발산부재(100)의 전면이 커버되도록 내부공간이 후방으로 개방된다.
여기서, 전면매트부(220) 및 후면매트부(220)는 둘레를 따라 외벽이 형성되어 각각 오목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서로 마주되면 광발산부재(100)가 내부공간에 내장되어서 보호될 수 있다.
그리고, 전면매트부(210)에는 광원(110)에서 발산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광확산부(201)가 형성된다. 이러한, 광확산부(201)는 전술한 광원(110)의 전면에 위치되어 광원(110)에서 발산되는 빛이 확산되도록 볼록렌즈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광발산부재(100)에서 발산되는 빛이 확산되므로 전면매트부(220)에 누운 사용자의 피부에 보다 넓은 범위에 조사될 수 있다.
전면연결부(211)는 내부공간이 측방으로 개방되는 반원통형태로 형성되면서 전면매트부(210)의 네모서리에 형성된다.
후면매트부(220)는 광발산부재(100)의 후면을 커버하도록 판재형태로 형성되면서 내부공간이 전면으로 개방된다.
후면연결부(221)는 전면연결부(211)에 대응되도록 내부공간이 측방으로 개방되는 반원통형태로 형성되면서 후면매트부(220)의 네모서리에 형성된다.
여기서, 전면연결부(211) 및 후면연결부(221)가 마주되면 원통형태를 이루게 되므로 각각의 내부공간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서로 연통되는 전면연결부(211) 및 후면연결부(221)의 내부공간에는 광발산부재(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배선될 수 있다.
또한, 전면매트부(210) 및 후면매트부(220)는 플랙시블한 판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매트부(210) 및 후면매트부(220)가 매트체결부(230)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약간 휘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누울 때 마다 매트부재(200)가 휘어지므로 편안함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전면매트부(210)에는 나사탭이 형성되는 전면보스(212)가 후방으로 돌출된다. 후면매트부(220)에는 전면매트부(210)의 나사탭에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후면보스(222)가 전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매트체결부(230)는 후면보스(222)의 관통홀을 관통하여서 전면보스(212)의 나사탭에 나사결합 되도록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매트체결부(230)에 의해 전면매트부(210) 및 후면매트부(220)가 체결되어서 일체화된다.
여기서, 전면보스(212) 및 후면보스(222)가 전술한 회로기판(120)의 전면 및 후면에 지지되므로, 회로기판(120)의 고정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때, 회로기판(120)이 전면매트부(210)에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광원(110)들에서 발산되는 빛이 전면매트부(210)에 고르게 분산되어서 투과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매트부(210) 및 후면매트부(220)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로 힌지부재(300)들을 통해 일렬로 나란히 배열되면, 전면매트부(210)의 상면에 누운 사용자의 상체에서 하체까지 광원(110)들의 빛이 고르게 전달될 수 있다.
더욱이, 후면매트부(220)는 후면보스(222)가 복수로 구성되어서 분산되게 형성되는 상태에서 후면보스(222)들에 연결되게 형성되어 광발산부재(100)를 지지하는 지지벽(225)을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벽(225)은 복수로 구성되어 후면보스(222)에 직교되게 연결되어서 격자형태로 배열되므로 회로기판(120)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벽(225)들에 의해 후면매트부(220)의 과도한 휘어짐 및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지지벽(225)들에 광발산부재(100)가 지지되므로 광발산부재(100)도 과도한 휘어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매트부재(200)는 후면매트부(220)를 통해 전면매트부(210)에 결합되는 매트체결부(230)를 커버하는 커버부(240)를 포함한다. 커버부(240)는 플랙시블한 판재나 비닐 또는 천으로 구성되어 매트체결부(230)를 커버하는 상태로 후면매트부(220)에 핀에 의해 고정되거나 본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후면매트부(220)에는 커버부(240)가 수용되는 수용부(223)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223)는 후면매트부(220)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240)가 수용부(223)에 수용된 상태로 후면매트부(220)에 부착되면 매트체결부(23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커버부(240)의 둘레가 후면매트부(22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매트부재(200)의 사용 중에 커버부(240)가 외부에 간섭되지 않아서 벗겨지지 않게 된다.
힌지부재(300)는 전면연결부(211) 및 다른 전면연결부(211)가 각각 삽입되는 전면삽입공간(311)이 양측에 형성되는 전면인너부(310)와, 후면연결부(221) 및 다른 후면연결부(221)가 각각 삽입되는 후면삽입공간(321)이 양측에 형성되는 후면인너부(320)와, 전면인너부(310) 및 후면인너부(320)를 체결시키는 인너체결부(330)와, 인너체결부(330)에 의해 체결된 전면인너부(310) 및 후면인너부(320)를 커버하는 아우터부(340)를 포함한다.
전면인너부(310)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후면인너부(320)에는 나사탭이 형성된다.
여기서, 전면연결부(211) 및 후면연결부(221)의 외주면에는 각각 반원형태의 결합홈(214, 224)이 형성되고, 전면삽입공간(311) 및 후면삽입공간(321)의 내주면에는 결합홈(214, 224)에 대응되는 반원형태의 결합돌기(312, 322)가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홈(214, 224)에 결합돌기(312, 322)가 삽입되어서 결합되면 인너체결부(330)에 의해 결합된 전면인너부(310) 및 후면인너부(320)가 전면연결부(211) 및 후면연결부(221)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때, 반원형태의 결합홈(214, 224)들이 서로 마주되면 원형을 이루게 되고, 반원형태의 결합돌기(312, 322)들이 서로 마주되면 원형을 이루게 되므로, 전면인너부(310) 및 후면인너부(320)에서 전면연결부(211) 및 후면연결부(221)가 분리되지 않는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결합되는 인너부(310, 320)들의 양측에서 서로 결합된 2개의 연결부(211, 221)들이 각각 회전될 수 있다. 즉, 1개의 힌지부재(300)를 통해 2개의 매트부재(200)가 각각 회전될 수 있다.
인너체결부(330)는 볼트로 구성되어 전면인너부(310)의 관통홀에 관통되어서 후면인너부(320)의 나사탭에 나사결합된다. 즉, 전면인너부(310) 및 후면인너부(320)는 서로 결합된다.
아우터부(340)는 장방형의 캡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아우터부(340)가 전면인너부(310) 및 후면인너부(320)에 씌워지면 인너체결부(330)가 외부에 노출됨이 방지될 수 있다.
전원연결부재(400)는 잭이나 코드로 구성될 수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연결부재(400)는 일렬로 연결되는 매트부재(200)들 중 끝에 위치되는 매트부재(200)의 전면연결부(211) 및 후면연결부(221)에 배선되는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전면연결부(211) 및 후면연결부(22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연결부재(400)는 광발산부재(100)에 연결된 케이블이 연결되는 전원단자(410)와, 전원단자(410)의 일측이 수용되는 일측수용홈(421)이 형성되고, 일측수용홈(421)에 연통되면서 전면연결부(211)가 수용되는 전면수용홈(422)이 형성되는 전면전원연결부(420)와, 전원단자(410)의 타측이 수용되는 타측수용홈(431)이 형성되고, 타측수용홈(431)에 연통되면서 후면연결부(221)가 수용되는 후면수용홈(432)이 형성되는 후면전원연결부(430)와, 전면전원연결부(420) 및 후면전원연결부(430)를 체결시키는 전원체결부(440)를 포함한다.
전원단자(410)는 소켓형태로 형성되어 전원케이블에 연결된 단자가 삽입되어서 전기적으로 도통될 수 있다.
전면전원연결부(420) 및 후면전원연결부(430)가 서로 마주되면 일측수용홈(421) 및 타측수용홈(431)이 일체화되므로 전원단자(410)가 삽입되어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전면수용홈(422) 및 후면수용홈(432)이 일치되어 원통형태를 이루게 되므로 서로 마주된 전면연결부(211) 및 후면연결부(221)가 수용된다. 따라서, 전면연결부(211) 및 후면연결부(221)에서 전원연결부재(400)가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전면수용홈(422) 및 후면수용홈(432)의 내주면에는 결합홈(214, 224)에 대응되는 반원형태의 결합돌기(423, 433)가 형성되어, 전술한 전면연결부(211) 및 후면연결부(221)의 외주면에 형성된 각각 반원형태의 결합홈(214, 224)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체결부(440)에 의해 체결된 전면전원연결부(420) 및 후면전원연결부(430)가 전면연결부(211) 및 후면연결부(221)에서 분리되지 않으면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전면전원연결부(420)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후면전원연결부(430)에는 관통홀에 대응되는 나사탭이 형성되며, 전원체결부(440)는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체결부(440)인 볼트가 전면전원연결부(420)의 관통홀을 관통하여서 후면전원연결부(430)의 나사탭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연결부재(400)는 전면연결부(211) 및 후면연결부(221)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압에 의해 회전되어도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컨트롤러(500)는 내부공간이 일측으로 개방되는 일측케이스(501)와, 일측케이스(501)에서 내부공간에 연통되면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일측돌출부(502)와, 내부공간이 타측으로 개방되고 일측케이스(501)에 대응되는 타측케이스(503)와, 타측케이스(503)에서 내부공간에 연통되면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일측돌출부(502)에 대응되는 타측돌출부(504)와, 일측케이스(501) 및 타측케이스(502)를 체결시키는 케이스체결부(505)를 포함한다.
일측케이스(501) 및 타측케이스(502)는 각각의 내부공간이 연통되도록 서로 마주된 상태로 케이스체결부(505)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내부공간에는 광발산부재(100)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부품이 탑재되는 회로기판이 내장되고, 일측케이스(501)나 타측케이스(502)의 외측에는 전자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및 스위치의 광발산부재(100)의 제어상태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된다.
그리고, 일측케이스(501) 및 타측케이스(502)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보스 및 나사탭이 형성되는 보스가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케이스체결부(505)가 관통홀을 관통하여서 나사탭에 나사결합되면 일측케이스(501) 및 타측케이스(502)가 결합된다. 이때, 보스들이 마주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일측케이스(501) 및 타측케이스(502)의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일측돌출부(502) 및 타측돌출부(504)는 서로 마주되는 상태로 힌지부재(3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일측돌출부(502) 및 타측돌출부(504)는 반원통형태로 형성되면서 각각의 내부공간이 측방으로 개방되면서 일측케이스(501) 및 타측케이스(502)의 내부공간에 연통된다. 이에 의해, 일측케이스(501) 및 타측케이스(502)의 내부공간에 내장되는 회로기판의 케이블이 일측돌출부(502) 및 타측돌출부(504)에 배선되어서 매트부재(200)에 내장되는 광발산부재(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일측돌출부(502) 및 타측돌출부(504)의 외측면에는 전술한 결합홈(214, 224)에 대응되는 전원연결부재(400)의 결합돌기(423, 433)와 같은 결합돌기(506, 507)가 형성된다. 즉, 서로 결합된 전면인너부(310) 및 후면인너부(320)의 일측에 일측돌출부(502) 및 타측돌출부(504)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전면인너부(310) 및 후면인너부(320)의 타측에 전술한 전면연결부(211) 및 후면연결부(221)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에 의해, 힌지부재(300)의 일측에서 컨트롤러(500)가 회전되고 힌지부재(300)의 타측에서 매트부재(200)가 회전된다. 물론, 컨트롤러(500)가 회전되어서 매트부재(200)에 면접촉되어서 겹쳐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500)가 매트부재(200)들 중에서 끝에 위치되는 매트부재(200)에 연결된 힌지부재(3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므로, 컨트롤러(500)가 회전되는 상태에서도 광발산부재(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500)는 치료목적에 대응되는 광발산부재(100)의 동작패턴, 동작시간을 치료명칭과 함께 등록하고, 광발산부재(100)의 발광시간을 치료명칭과 함께 등록하는 치료항목 관리부(510)와, 치료항목 관리부(510)를 통해서 등록된 치료항목을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치료메뉴로 제공하는 치료항목 선택부(520)와, 선택한 치료항목에 대한 발광시간을 설정받는 발광시간 설정부(530)와, 치료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치료항목의 설정된 패턴에 대응되도록 광발산부재(100)의 제어신호를 광발산부재(100)로 제공하는 치료항목 작동부(540)를 포함한다.
치료항목 관리부(510)는 치료목적에 대응되는 광원(110)의 RGB LED 및 IR LED의 동작패턴, 동작시간을 치료명칭과 함께 등록하고, 전원연결부재(400)의 발열온도, 동작시간도 치료명칭과 함께 등록한다. 이러한 치료항목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제공받아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여드름, 흉터, 아토피, 건선, 상처 등의 테라피 항목과, 진정효과, 감염예방, 피부보습, 통증완화 등의 힐링 항목과, 주름완화, 탈모, 셀룰라이트방지, 혈액순환촉진 등의 타이트닝 항목과, 피부트러블진정, 자외선저항성, 콜라겐생성, 피지억제 등의 뷰티 항목 등이 포함되며, 각각의 치료항목에 따라 색상이 등록된다.
치료항목 선택부(520)는 치료항목 관리부(510)를 통해서 등록된 치료항목을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치료메뉴로 제공된다.
작동시간 설정부(530)는 선택한 치료항목에 대한 작동시간을 설정 받는다. 치료항목에 대한 작동시간은 기본 설정시간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가 설정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기본 설정시간은 20분으로 설정되지만, 사용자가 5분, 10분, 20분 등으로 조절할 수 있다.
치료항목 작동부(540)는 사용자에 의해서 치료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치료항목의 설정된 패턴에 대응되도록 광원(110)의 RGB LED 및, IR LED의 제어신호를 광원(110)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제어신호에 의해 RGB LED 및, IR LED가 색상패턴으로 점등되어 광을 발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매트부재(200)들에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컨트롤러(500)를 이용하여 광발산부재(100)를 제어하여 피부에 광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피부에 빛이 제공됨에 따라 피부트러블이 완화됨에 도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피부에 빛을 제공하여 피부질환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어서, 피부관리용 베드장치에 적용되어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광발산부재 110 : 광원
120 : 회로기판 200 : 매트부재
201 : 광확산부 210 : 전면매트부
211 : 전면연결부 212 : 전면보스
223 : 수용부 214, 224 : 결합홈
220 : 후면매트부 221 : 후면연결부
222 : 후면보스 225 : 지지벽
230 : 매트체결부 240 : 커버부
300 : 힌지부재 310 : 전면인너부
311 : 전면삽입공간 320 : 후면인너부
321 : 후면삽입공간 312, 322 : 결합돌기
330 : 인너체결부 340 : 아우터부
400 : 전원연결부재 410 : 전원단자
420 : 전면전원연결부 421 : 일측수용홈
422 : 전면수용홈 430 : 후면전원연결부
431 : 타측수용홈 432 : 후면수용홈
423, 433 : 결합돌기 440 : 전원체결부
500 : 컨트롤러 501 : 일측케이스
502 : 일측돌출부 503 : 타측케이스
504 : 타측돌출부 505 : 케이스체결부
506, 507 : 결합돌기 510 : 치료항목 관리부
520 : 치료항목 선택부 530 : 발광시간 설정부
540 : 치료항목 작동부

Claims (8)

  1. 빛을 발산하는 광발산부재(100)와,
    광발산부재(100)가 내장되고 광발산부재(100)에서 발산되는 광이 사용자의 피부에 조사되도록 빛이 투과되는 다수의 매트부재(200)와,
    매트부재(200)들이 일렬로 연결되도록 매트부재(200)들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힌지부재(300)와,
    매트부재(20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광발산부재(100)에 전원을 공급되도록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전원연결부재(400)와,
    매트부재(200)의 타측에 연결된 상태로 매트부재(200)에 고정된 광발산부재(100)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500)를 포함하고,
    매트부재(200)는
    광발산부재(100)의 전면이 내부공간으로 수용되어 광발산부재(100)의 전면이 커버되면서 빛이 투과되고, 힌지부재(300)의 일측에 연결되기 위한 전면연결부(211)가 외측에 형성되는 전면매트부(210)와,
    광발산부재(100)의 후면이 내부공간으로 수용되고, 전면연결부(211)에 일치된 상태로 힌지부재(300)의 타측이 연결되기 위한 후면연결부(221)가 외측에 형성되는 후면매트부(220)와,
    전면매트부(210) 및 후면매트부(220)를 체결시키는 매트체결부(230)를 포함하며,
    전면연결부(211)는 내부공간이 측방으로 개방되는 반원통형태로 형성되면서 전면매트부(210)의 네모서리에 형성되고,
    후면연결부(221)는 전면연결부(211)에 대응되도록 내부공간이 측방으로 개방되는 반원통형태로 형성되면서 후면매트부(220)의 네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용 베드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면매트부(210)에는 나사탭이 형성되는 전면보스(212)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회로기판(120)의 전면에 지지되고,
    후면매트부(220)에는 전면매트부(210)의 나사탭에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후면보스(222)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회로기판(120)의 후면에 지지되며,
    매트체결부(230)는 후면보스(222)의 관통홀을 관통하여서 전면보스(212)의 나사탭에 나사결합 되도록 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용 베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후면매트부(220)는 후면보스(222)가 복수로 구성되어서 분산되게 형성되는 상태에서 후면보스(222)들에 연결되게 형성되어 광발산부재(100)를 지지하는 지지벽(2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용 베드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지지벽(225)은 복수로 구성되어 후면보스(222)에 직교되게 연결되어서 격자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용 베드장치.
  6. 빛을 발산하는 광발산부재(100)와,
    광발산부재(100)가 내장되고 광발산부재(100)에서 발산되는 광이 사용자의 피부에 조사되도록 빛이 투과되는 다수의 매트부재(200)와,
    매트부재(200)들이 일렬로 연결되도록 매트부재(200)들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힌지부재(300)와,
    매트부재(20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광발산부재(100)에 전원을 공급되도록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전원연결부재(400)와,
    매트부재(200)의 타측에 연결된 상태로 매트부재(200)에 고정된 광발산부재(100)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500)를 포함하고,
    힌지부재(300)는
    전면연결부(211) 및 다른 전면연결부(211)가 각각 삽입되는 전면삽입공간(311)이 양측에 형성되는 전면인너부(310)와,
    후면연결부(221) 및 다른 후면연결부(221)가 각각 삽입되는 후면삽입공간(321)이 양측에 형성되는 후면인너부(320)와,
    전면인너부(310) 및 후면인너부(320)를 체결시키는 인너체결부(330)와,
    인너체결부(330)에 의해 체결된 전면인너부(310) 및 후면인너부(320)를 커버하는 아우터부(340)를 포함하며,
    전면연결부(211) 및 후면연결부(221)의 외주면에는 각각 반원형태의 결합홈(214, 224)이 형성되고,
    전면삽입공간(311) 및 후면삽입공간(321)의 내주면에는 결합홈(214, 224)에 대응되는 반원형태의 결합돌기(312, 3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용 베드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원연결부재(400)는
    광발산부재(100)에 연결된 케이블이 연결되는 전원단자(410)와,
    전원단자(410)의 일측이 수용되는 일측수용홈(421)이 형성되고, 일측수용홈(421)에 연통되면서 전면연결부(211)가 수용되는 전면수용홈(422)이 형성되는 전면전원연결부(420)와,
    전원단자(410)의 타측이 수용되는 타측수용홈(431)이 형성되고, 타측수용홈(431)에 연통되면서 후면연결부(221)가 수용되는 후면수용홈(432)이 형성되는 후면전원연결부(430)와,
    전면전원연결부(420) 및 후면전원연결부(430)를 체결시키는 전원체결부(440)를 포함하며,
    전면연결부(211) 및 후면연결부(221)의 외주면에는 각각 반원형태의 결합홈(214, 224)이 형성되고,
    전면수용홈(422) 및 후면수용홈(432)의 내주면에는 결합홈(214, 224)에 대응되는 반원형태의 결합돌기(423, 4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용 베드장치.
  8. 빛을 발산하는 광발산부재(100)와,
    광발산부재(100)가 내장되고 광발산부재(100)에서 발산되는 광이 사용자의 피부에 조사되도록 빛이 투과되는 다수의 매트부재(200)와,
    매트부재(200)들이 일렬로 연결되도록 매트부재(200)들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힌지부재(300)와,
    매트부재(20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광발산부재(100)에 전원을 공급되도록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전원연결부재(400)와,
    매트부재(200)의 타측에 연결된 상태로 매트부재(200)에 고정된 광발산부재(100)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500)를 포함하고,
    컨트롤러(500)는
    내부공간이 일측으로 개방되는 일측케이스(501)와,
    일측케이스(501)에서 내부공간에 연통되면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일측돌출부(502)와,
    내부공간이 타측으로 개방되고 일측케이스(501)에 대응되는 타측케이스(503)와,
    타측케이스(503)에서 내부공간에 연통되면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일측돌출부(502)에 대응되는 타측돌출부(504)와,
    일측케이스(501) 및 타측케이스(502)를 체결시키는 케이스체결부(505)를 포함하며,
    일측돌출부(502) 및 타측돌출부(504)는 서로 마주되는 상태로 힌지부재(3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용 베드장치.
KR1020180025606A 2018-03-05 2018-03-05 피부관리용 베드장치 KR101883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606A KR101883900B1 (ko) 2018-03-05 2018-03-05 피부관리용 베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606A KR101883900B1 (ko) 2018-03-05 2018-03-05 피부관리용 베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3900B1 true KR101883900B1 (ko) 2018-08-01

Family

ID=63227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606A KR101883900B1 (ko) 2018-03-05 2018-03-05 피부관리용 베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9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2068A (ko) * 2007-04-11 2008-10-15 곽종민 광선요법 치료장치
KR101076471B1 (ko) * 2011-07-05 2011-10-25 주식회사 좋은아침 엘이디가 설치된 침대용 매트
KR101794930B1 (ko) * 2017-03-29 2017-11-07 김종천 피부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2068A (ko) * 2007-04-11 2008-10-15 곽종민 광선요법 치료장치
KR101076471B1 (ko) * 2011-07-05 2011-10-25 주식회사 좋은아침 엘이디가 설치된 침대용 매트
KR101794930B1 (ko) * 2017-03-29 2017-11-07 김종천 피부 관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52301A1 (en) Shapeable Light Therapy Device and Method
KR101635927B1 (ko) 안면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US9561385B2 (en) Light therapy platform system
US9889314B2 (en) Color light therapy device
KR101597169B1 (ko) 안면치료용 마스크장치
US20080091250A1 (en) Light therapy desk lamp
US20060217787A1 (en) Light therapy device
KR101794930B1 (ko) 피부 관리 장치
KR101803868B1 (ko) 핸드용 피부 관리 장치
KR20170083459A (ko) 안면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WO2020204369A1 (ko) 복합 치료 기능이 구비된 안마의자
KR20220024872A (ko) 조절 가능한 치료용 안면 마스크
US201900838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mitting light to a body of a user
KR101883900B1 (ko) 피부관리용 베드장치
KR101883901B1 (ko) 빛을 이용한 발 건강 관리장치
KR20150083588A (ko) 근적외선을 이용한 두피마사지기
US201802286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mitting light and vibration to a body of a user
CN206473458U (zh) 保健装置
KR102557314B1 (ko) 안면 피부관리용 마스크 장치
TWI615171B (zh) 具有多核刺激的光療裝置
CN218739897U (zh) 一种声光理疗仪及理疗系统
US11602484B2 (en) Handheld acupuncture tapping device
WO2023031619A1 (en) Phototherapy mask
KR200233008Y1 (ko) 무릎 밴드형 광 치료보조기
TWM632886U (zh) 光照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