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8331A -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모발의 보습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모발의 보습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38331A KR20180138331A KR1020170078417A KR20170078417A KR20180138331A KR 20180138331 A KR20180138331 A KR 20180138331A KR 1020170078417 A KR1020170078417 A KR 1020170078417A KR 20170078417 A KR20170078417 A KR 20170078417A KR 20180138331 A KR20180138331 A KR 201801383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ir
- arginine
- hyaluronic acid
- nut oil
- macadamia n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모발의 보습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발(특히, 손상된 모발)의 속수분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의 보습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바람직하게는 손상된 모발의 보습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의 속수분량의 증가 및 모발의 속수분의 증발 억제에 의해 모발의 속수분의 유지력을 향상시키고 모발의 속수분의 유지 기간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모발의 보습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발(특히, 손상된 모발)의 속수분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의 보습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생명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신체의 보호, 보온 및 촉각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마찰에 대항하여 쿠션의 역할을 하기도 하고, 직사광선과 추위와 더위로부터 머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모발 가운데 눈썹, 속눈썹, 코털 및 귀털 등은 땀, 먼지 및 벌레의 침입에 대한 방어 기능이 있으며, 신체에 불필요한 수은, 비소 및 납 등의 중금속을 흡수하여 체외로 배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모발은 장식면에서 남성, 여성의 특징을 나타내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같은 사람이라도 헤어스타일과 모발의 색을 변화시키면 또 다른 인상을 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모발은 두부의 보호뿐만 아니라 장식적인 면에서의 역할도 한다.
모발은 평균 두께 약 0.07mm 정도의 얇고 가는 단백질 구조물로서, 피부 외부로 나와 있는 모간부(Hair Shaft)와 피부 내부에 있는 모근부(Hair Root)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두피는 피부와 비슷한 기본 구조와 생리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두피의 모낭(Hair Follicle)은 다른 부위보다 복잡하고 피지선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모근부는 모낭 안에 있는 부분으로 두피 내에 매몰되어 있는 부분이며 깊이는 2-4mm 정도이다. 모근의 제일 아래 부분은 구슬처럼 부풀어 있는데 이 부분을 모구(Hair Bulb)라고 하고, 이 부분의 크기에 따라 모발의 굵기가 결정된다.
모발의 단면을 확대해보면 가장 안쪽 부분이면서 중심이 되는 곳인 모수질(Medulla), 모수질을 둘러싸고 있는 모피질(Cortex) 그리고 맨 바깥부분인 모표피(Cuticle)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모표피는 모발의 표면을 덮고 있으며, 모발 내부를 감싸고 있는 화학적 저항성이 강한 곳으로서, 외측으로부터 에피큐티클(Epicuticle), 엑소큐티클(Exocuticle) 및 엔도큐티클(Endocuticle)이라고 부르는 3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모피질은 모표피의 내측에 존재하고 모발의 대부분(85~90%)을 차지하며 주성분은 케라틴 단백질이고 피질세포와 세포간 결합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친수성으로 펌이나 염색의 작용을 쉽게 받는 부위이다. 모수질은 모발의 중심부에 존재하고 약간의 멜라닌 색소 입자를 가지고 있으며, 수질속에는 크고 작은 공포가 많이 있어 공기를 함유하고 있다.
모발은 마찰, 열, 물리적 절단, 파마, 탈색, 염색, 일광 등에 의하여 손상된다. 첫째로, 열에 의한 모발 손상은 모발 세척 후 건조시 건조기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수분이 증발 건조되면서 모발이 팽창하여 변형을 일으키고 검은 모발이 다갈색으로 변색된다. 또한, 모피질 및 모수질 중에 기포가 생기기 시작하여 모발에 탄력이 없어지게 되고 모표피는 녹게 된다.
둘째로, 파마에 의한 모발 손상은 파마액의 처리 불량, 방치 시간 부족 등에 의해 생기는데, 모발이 약하게 되거나 모발 중에 알칼리가 잔류하거나 산화제가 남아있을 경우 케라틴 단백질의 변성과 멜라닌 색소의 퇴색을 일으키게 한다.
셋째로, 탈색제로서 알칼리제 외에 과산화수소에 의한 멜라닌 색소의 산화 탈색 작용이 일어난다. 단기적으로 탈색제에 반복해서 노출되면 모발은 팽윤연화가 반복되거나 모표피가 비틀려 구부러짐이 발생하여 손상의 원인이 된다.
마지막으로, 태양광선 중에서 적외선과 자외선에 의해 모발의 케라틴 단백질이 손상을 받게 되거나 단백질 변성을 일으키게 된다.
이와 같이, 현대인들은 퍼머, 드라이 및 염색 등으로 모발에 많은 손상을 주고 있으며, 각종 정발제 사용과 대기오염 등으로 인해 잦은 세발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잦은 화학적 처리 및 세발 등으로 손상된 모발을 본래의 건강한 상태로 회복시키려는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 성과는 적었다. 모발의 구성성분은 다른 생체조직과 달리 죽은 조직이기 때문에 손상된 부위를 살리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 이러한 모발의 손상을 방지, 개선하기 위해 헤어 컨디셔너가 주로 사용되어왔다. 헤어 컨디셔너는 주로 장쇄의 4급 암모늄화합물과 고급 지방알코올, 탄화수소 오일, 실리콘 오일을 함유한다. 상기에서 장쇄의 4급 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고급 지방알코올, 탄화수소 오일은 모발의 광택, 촉촉함, 부드러움을 제공하여 주며, 실리콘오일은 삼푸 후 피지의 제거로 인한 모발의 뻣뻣한 느낌을 감소시키기 위해 인공적으로 피지와 유사한 느낌을 부여하여 모발에 부드러움과 윤기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모발에 대한 보습은 모발 내부의 수분 및 모발 표면의 수분에 의해 이루어진다. 모발 내부의 수분에 의해 모발의 유연성이 결정되고 모발 표면의 수분에 의해 촉촉한 정도가 결정된다. 그런데 모발 내부에 포함된 수분은 모발 외부와 평형상태에 있기 때문에, 외부 환경, 즉 온도, 습도, 자외선 등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초기 수분의 함유량뿐만 아니라, 모발에 함유된 수분의 효과적인 보존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모발이 건조해져 푸석하고 거칠어진다.
상온 상기압(25℃, 1기압) 내외에서 모발은 평균 20% 내외의 수분량을 지니며, 수분량은 모발이 처한 상대습도에 따라 3~34%까지 변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모발은 큐티클 표면에 지질로 이루어진 지방막(Lipid Layer)과 큐티클이라는 주로 단백질로 이루어진 구조체가 치밀하게 이루어진 구조적 특이성으로 인하여, 모발 내에 존재하는 수분은 2가지 물성을 지니는 형태로 모발 내에 존재한다(C. Barba, et. al., Thermochimica Acta, 494:136-140, 2009 참조). 이는 겉수분(External Water)과 속수분(Internal Water)으로 나누어지며, 겉수분은 65℃에서 40분간 가온시 증발하는 비공유결합으로 모발 표면에 주로 존재하는 수분이며, 속수분은 180℃에서 20분간 가온시 증발하는 모발 구성 단백질의 아미노산과 이온결합을 통해 안정하게 존재하는 수분이다.
이러한 모발 수분의 특징을 이해하고, 탈색 시술 및 스타일링, 환경(UV, 미세먼지) 손상에 의해 건조해진 모발의 효과적이고 본질적인 보습을 위하여, 겉수분과 속수분을 각각 케어할 수 있는 소재를 발굴하여, 모발의 속수분과 겉수분의 보습력 개선을 통해서 모발의 탄력과 부드러움, 차분함 개선을 이루고, 고객의 건조모발 불편감을 제거하는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종래 대부분의 보습 기작은 모발 내부에 물과 친화력이 높은 물질 예컨대, 단백질 또는 단백질 유도체 등을 이용하여 수분을 보유하도록 한 후, 모발 외부에 모이스쳐라이저(Moisturizer), 에몰리언트(Emollient) 및 휴멕턴드(Humectant) 등의 수분 증산 방지제를 처리함으로써 보습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어느 정도까지는 모발의 수분을 유지하지만 완벽한 수분 증산의 방지가 불가능하므로 모발 내부 수분은 여전히 외부 수분과 평형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온도, 습도 및 자외선 등의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게 되어 효과적인 모발 보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Macadamia Nut Oil, Macadamia Ternifolia Seed Oil)은 호주, 하와이, 브라질, 남아프리카, 이스라엘 등에서 수확한 마카다미아의 열매에서 추출한 식물성 오일로 무색 또는 밝은 노란색을 띄고, 무취이며, 잘 산화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총 중량 중 80% 이상이 단일 불포화 지방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주성분인 올레익산(Oleic acid)은 피부 항노화 활성을 가지며,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중 약 20중량%를 차지하는 팔미톨레산(팔미트올레익산, Palmitoleic acid)은 동물에서도 발견되며, 동물 피부의 피지(Sebum)를 이루는 필수 구성요소이다.
인간 피부의 포함된 지질 성분의 약 22중량%를 차지하는 팔미톨레산은 팔미틱산(Palmitic acid)과 함께 피부 지질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며, 피부의 윤활작용(Lubrication), 연화작용(Softening), 단백질 구조의 보호 등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특히, 팔미톨레산은 운반체 및 유연제로 우수한 퍼짐성과 침투력을 가지며 흡수력이 뛰어나서 피부에 적용시 부드럽고 끈적이지 않는 느낌을 남기며 피부에 매우 순하게 작용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하여 혈액이나 림프액의 흐름을 활발하게 하여 프리 래디칼(Free radical)로부터 피부를 보호한다. 팔미톨레산은 피부 노화 시 감소되는 피부내 팔미톨레산의 보충제로서 크림 등의 화장품 제형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피부의 리포이드외막(Lipidmantel)이 유지될 수 있도록 도와주며 피부를 매끄럽게 하고 피부에 잘 흡수되기 때문에 전신마사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모든 피부 타입에 잘 맞으며 특히 건성피부나 피부탄력 및 보습이 떨어진 피부에 적합하다.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화하는데 있어서 한정되는 바는 없으나, 각종 제형에 따라 또는 최종 목적에 적합하게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각종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화장료 제형예로서,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을 약 5~10중량%의 함량으로 함유하는 완화제(emollient)는 항노화 보충제로 이용하거나, 선스크린제로 사용할 수 있고,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을 약 2~10중량%의 함량으로 함유하는 립스틱 제형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을 100중량%의 함량으로 베이비 오일 또는 마사지 오일로 사용할 수 있고,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을 아로마테로피(Aromatherapy)의 정유(精油, essential oil)의 운반체로서 이용할 수 있으며,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을 크림 또는 로션의 미네랄 오일 또는 호호바 오일의 대체제로서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모발이 온도, 습도 또는 자외선 등의 외부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지속적으로 보습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장시간 높은 유연성 및 촉촉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한 모발 보습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의 보습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모발의 속수분량의 증가 및 모발의 속수분의 증발 억제에 의해 모발의 속수분의 유지력을 향상시키고 모발의 속수분의 유지 기간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의 보습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손상된 모발의 보습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화장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의 보습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손상된 모발의 보습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화장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바람직하게는 손상된 모발의 보습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의 속수분량의 증가 및 모발의 속수분의 증발 억제에 의해 모발의 속수분의 유지력을 향상시키고 모발의 속수분의 유지 기간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아르기닌 또는 히알루론산으로 처리한 손상된 건조모발의 모발 속수분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그래프: 평균(Mean)±측정표준오차(SEM)).
도 2는 자유 지방산으로 처리한 손상된 건조모발의 모발 겉수분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그래프: 평균(Mean)±측정표준오차(SEM)).
도 3은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로 처리한 손상된 건조모발의 모발 겉수분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그래프: 평균(Mean)±측정표준오차(SEM)).
도 4는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로 처리한 손상된 건조모발의 모발 속수분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그래프: 평균(Mean)±측정표준오차(SEM)).
도 5는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중 하나 이상을 처리한 손상된 건조모발의 모발 속수분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그래프: 평균(Mean)±측정표준오차(SEM)).
도 6은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중 하나 이상을 처리한 손상된 건조모발의 모발 겉수분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그래프: 평균(Mean)±측정표준오차(SEM)).
도 2는 자유 지방산으로 처리한 손상된 건조모발의 모발 겉수분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그래프: 평균(Mean)±측정표준오차(SEM)).
도 3은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로 처리한 손상된 건조모발의 모발 겉수분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그래프: 평균(Mean)±측정표준오차(SEM)).
도 4는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로 처리한 손상된 건조모발의 모발 속수분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그래프: 평균(Mean)±측정표준오차(SEM)).
도 5는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중 하나 이상을 처리한 손상된 건조모발의 모발 속수분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그래프: 평균(Mean)±측정표준오차(SEM)).
도 6은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중 하나 이상을 처리한 손상된 건조모발의 모발 겉수분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그래프: 평균(Mean)±측정표준오차(SEM)).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농도 또는 중량을 표현하는데 사용된 용어 "약"은 해당 수치 또는 수치 범위에서 최대 10%의 허용오차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아르기닌 또는 히알루론산의 모발 속수분량을 증가시키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손상된 건조모발에 아르기닌 또는 히알루론산을 처리한 다음, 모발 속수분량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 및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르기닌 또는 히알루론산은 각각 적정 유효 함량에서 모발의 속수분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아르기닌을 100ppm 이상 처리하거나, 히알루론산을 1000ppm 이상 처리한 손상된 건조모발에서는 대조군(무처리된 손상 건조모발)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모발의 속수분량이 증가하였다(시험예 1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자유 지방산의 모발 겉수분량을 증가시키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손상된 건조모발에 자유 지방산을 처리한 다음, 모발 겉수분량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팔미톨레산은 적정 유효 함량에서 모발의 겉수분량을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대조군(무처리된 손상 건조모발) 대비 모발의 겉수분량을 증가시켰다(시험예 2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식물성 오일 중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cis-9-hexadecenoic, 16:1(n-7); 분자량 254.4Da; 녹는점 0.5℃)을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모발 겉수분량을 증가시키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손상된 건조모발에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을 처리한 다음, 모발 겉수분량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 및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은 적정 유효 함량에서 모발의 겉수분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을 10ppm 이상 처리한 손상된 건조모발에서는 대조군(무처리된 손상 건조모발)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모발의 겉수분량이 증가하였다. 한편,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종 농도가 10ppm, 100ppm, 1,000ppm 또는 10,000ppm인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을 손상된 건조모발에 처리하더라도 모발의 속수분량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시험예 3 참조).
팔미톨레산을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식물성 오일 중에는 마카다미아 오일(19.3중량%)뿐만 아니라, 아보카도 오일(7.5중량%), 올리브 오일(2.5중량%), 코코넛 오일(1.5중량%), 산호유동 오일(Jatropha)(1.5중량%), 아몬드 오일(1.0중량%). 호호바 오일(1.0중량%) 등이 있으므로(Jang et al., J Plant Biotechnol, 37:25-46, 2010 참조), 아보카도 오일, 올리브 오일, 코코넛 오일, 산호유동 오일, 아몬드 오일. 호호바 오일 등의 팔미톨레산 고함유 오일을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대체제로서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처리한 모발의 모발 속수분량을 증가시키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손상된 건조모발에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처리한 다음, 모발 속수분량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4 및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은 적정 유효 함량에서 모발의 속수분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상기 혼합물은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을 동등한 ppm 농도로 혼합하는 것보다 아르기닌 100ppm, 히알루론산나트륨 1000ppm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10ppm을 혼합한 혼합물을 이용할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모발의 속수분량을 증가시키는 시너지 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도 5 및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은 아르기닌 및 히알루론산의 혼합물(2종 혼합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모발의 속수분량을 증가시키는 시너지 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시험예 4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중 하나 이상을 처리한 모발의 모발 겉수분량을 증가시키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손상된 건조모발에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중 하나 이상을 처리한 다음, 모발 겉수분량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6 및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은 적정 유효 함량에서 모발의 겉수분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은 아르기닌 및 히알루론산의 혼합물(2종 혼합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모발의 겉수분량을 증가시키는 시너지 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시험예 5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의 보습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손상된 모발의 보습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아르기닌(Arginine, Arg)은 상온에서 투명한 색상을 띄며, 액상의 상태로 존재하며, 향료, 모발 컨디셔닝제, 스킨 컨디셔닝제 등에 첨가되는 아미노산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약 10~10,000ppm(약 0.001~1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00~1,000ppm(약 0.01~0.1중량%)으로 함유된다.
상기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yaluronan, HA)은 상온에서 투명한 색상을 띄며, 액상의 상태로 존재하며, 두피 보호제 및 모발 개선제 등에 첨가되는 물질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약 100~100,000ppm(약 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000~10,000ppm(약 0.1~1중량%)으로 함유된다.
상기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Macadamia Nut Oil)은 상온에서 투명 또는 황색의 색상을 띄며, 액상의 상태로 존재하며, 팔리톨레산을 다량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약 1~1,000ppm(약 0.0001~0.1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0~100ppm(약 0.001~0.01중량%)으로 함유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로 구성되는 혼합물은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을 중량 기준으로, 10:100:1로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 및 화장품법 사용 제한량을 고려하여, 상기 혼합물 중 아르기닌의 양은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중량비인 10:100:1을 유지한 상태에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9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0.09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0.05중량%로 포함하되, pH가 화장품 상한선인 pH9.0을 초과하지 않도록 아르기닌(아르기닌 원액)을 중화하여 상기 조성물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 중 히알루론산의 양은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중량비인 10:100:1을 유지한 상태에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9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1~0.9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5중량%로 상기 조성물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 중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은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포함되는 양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이 워시오프(Wash-off) 양모 제형 또는 리브온(Leave-on: 모발 위에 도포한 이후에 물로 씻어내거나 닦아내지 아니하고 그대로 내버려두는 도포 방식) 양모 제형을 갖는 경우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양은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중량비인 10:100:1을 유지한 상태에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9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01~0.009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0.005중량%로 상기 조성물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함량이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중량%(약 1,000ppm) 미만이면 모발 보습 효과가 미미하고, 약 1.0중량%(약 10,000ppm)를 초과하면 함량 증가에 비해 그 효과의 증가가 크지 않으므로, 상기 혼합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1.0중량%(1,000~10,000ppm), 바람직하게는 0.1~0.5중량%(1,000~5,000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2중량%(1,000~2,000ppm), 가장 바람직하게는 0.111중량%(1,110ppm)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발, 바람직하게는 손상된 모발의 겉수분량(External Water Content)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발, 바람직하게는 손상된 모발의 속수분량(Internal Water Content)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상된 모발은 염색 및 퍼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학적 시술, 물리적인 손상, 스트레스 또는 영양 결핍에 의해 발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모발의 겉수분량은 모발의 수분량의 약 75%를 차지하며, 모발이 노출되는 환경의 상대습도(Relative Humidity, RH), pH, 온도 등에 따라 크게 변화할 수 있다.
상기 모발의 겉수분은 약 65℃ 이상의 온도에서 증발되어 손실되는 수분으로, 모발 큐티클 CMC(Cell Membrane Complex)에 주로 존재한다.
상기 모발의 속수분량은 모발의 수분량의 약 25%를 차지하며, 모발이 노출되는 환경의 상대습도(RH) 25~95% 범위 내에서는 수분량의 변화가 거의 없다.
상기 모발의 속수분은 약 180℃ 이상의 온도에서 증발되어 손실되는 수분으로, 모발의 인터라멜라 스페이스(Interlamellar space)에서 아미노산과 수소결합한 상태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손상된 모발의 수분휘발 억제 및 보습력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상된 모발은 염색 및 퍼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학적 시술, 물리적인 손상, 스트레스 또는 영양 결핍에 의해 발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화하는데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나, 연고, 모발용 영양화장수, 모발용 마사지크림, 헤어팩, 헤어토닉, 헤어로션,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샴푸, 포마드 등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각종 제형에 따라 또는 최종 목적에 적합하게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각종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이때 배합 성분으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코올,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시험예
1: 모발의
속수분량
측정에 따른 아르기닌 또는 히알루론산에 의한 모발의 보습력 개선 효능 평가
아르기닌 또는 히알루론산의 모발 속수분량을 증가시키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손상된 건조모발에 아르기닌 또는 히알루론산을 처리한 다음, 모발 속수분량의 변화를 TG 어세이(Thermogravimetric assay)로 확인하였다.
<시험 대상>
정상 모발: 표준 모발로, 10cm 길이의 정상 흑모(Tress, BM-B10, Beaulax 社, 일본).
손상된 건조모발: 상기 정상 모발을 탈색제(1제:2제가 3:1로 혼합된 탈색제)로 30분간 탈색 처리한 다음, 샴푸(아모스 샴푸, 아모레)로 처리한 후, 30℃의 온도에서 3분간 물로 세척하고, 건조(모발의 표면 온도가 50℃ 이하가 되도록 한 상태에서, 10분간 건조)시켜 준비한 손상 건조모발.
<모발 처리용 시료>
모발 처리용 시료 1: 아르기닌 원액(아르기닌 분말(제조원: 세일)을 물에 용해시켜 10,000mg/ml의 농도로 준비함)을 이용하여 최종 농도가 10ppm(0.001중량%), 100ppm(0.01중량%), 1,000ppm(0.1중량%) 및 10,000ppm(1중량%)이 되도록 하여 시험 대상 모발에 처리함. 여기서, 아르기닌의 몰질량(molar mass)은 174.20g/mol임.
모발 처리용 시료 2: 히알루론산 원액(히알루론산나트륨[Sodium Hyaluronate Crosspolymer](제조원: 성운바이오)을 물에 용해시켜 준비함)을 이용하여 최종 농도가 10ppm(0.001중량%), 100ppm(0.01중량%), 1,000ppm(0.1중량%) 및 10,000ppm(1중량%)이 되도록 하여 시험 대상 모발에 처리함. 여기서, 히알루론산의 화학식은 (C14H21NO11)n으로, n은 2~10,000의 범위를 갖고, 히알루론산의 몰질량(molar mass)은 400~4,000,000g/mol임.
대조군: 물 또는 알킬 벤조에이트를 100μl의 용량으로 시험 대상 모발에 처리함.
<모발 처리 방법>
아르기닌(모발 처리용 시료 1) 또는 히알루론산(모발 처리용 시료 2)을 10ppm, 100ppm, 1,000ppm 또는 10,000ppm의 농도로 손상된 건조모발(<시험 대상> 참조)에 도포(처리)한 다음, 비닐 파우치에 넣어 외부 공기의 노출을 최소화하였다(시험 대상에 대한 모발 처리용 시료의 처리 농도는 아래 표 1 참조).
<모발
보습력
측정 방법: TG
어세이
(
Thermogravimetric
assay)>
수분 측정기(MS-70, A&D, 일본)를 이용하여 모발(무처리된 정상 모발; 무처리된 손상 건조모발; 아르기닌 또는 히알루론산으로 처리된 손상 건조모발)의 수분량을 측정하였다(각 시료 당 3개씩(triplicate samples) 측정). 이때, 모발의 수분량은 65℃(프로그램 5) 및 180℃(프로그램 3)의 2단계로 가온 측정하였으며, 수분 측정기의 센서에서 모발의 수분량이 0.02%(w/w)으로 측정될 때까지 3~30분간 누적 수분 증발량(%(w/w))을 측정하였다(C. Barba, et. al., Thermochimica Acta, 494:136-140, 2009; Yash Kamath, et. al., J. Cosmet . Sci ., 65:37-48, 2014; Clarence R. Robbins, Chemical and Physical Behavior of Human Hair, Chapter, 2.10 "Water: A Fundamental Component of Human Hair", 5th Edition, 2010 참조).
하기 표 1은 아르기닌 또는 히알루론산의 처리에 따른 모발의 겉수분량 및 속수분량의 변화를 TG 어세이(Thermogravimetric assay)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그 결과, 도 1 및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르기닌 또는 히알루론산은 각각 적정 유효 함량에서 모발의 속수분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아르기닌을 100ppm 이상 처리하거나, 히알루론산을 1000ppm 이상 처리한 손상된 건조모발에서는 대조군(무처리된 손상 건조모발)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모발의 속수분량이 증가하였다.
시험예
2: 모발의
겉수분량
측정에 따른 자유 지방산에 의한 모발의
보습력
개선 효능 평가
자유 지방산에 의한 모발 겉수분량의 증가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손상된 건조모발에 서로 다른 종류의 자유 지방산을 처리한 다음, 모발 겉수분량의 변화를 TG 어세이(Thermogravimetric assay; 시험예 1 참조)로 확인하였다(대조군: Alkyl Benzoate(사보덤TM)).
하기 표 2는 자유 지방산의 처리에 따른 모발의 겉수분량 및 속수분량의 변화를 TG 어세이(Thermogravimetric assay)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그 결과, 도 2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팔미톨레산은 적정 유효 함량에서 모발의 겉수분량을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대조군(무처리된 손상 건조모발) 대비 모발의 겉수분량을 증가시켰다.
시험예
3: 모발의
겉수분량
측정에 따른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에 의한 모발의 보습력 개선 효능 평가
식물성 오일 중 팔미톨레산을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모발 겉수분량을 증가시키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손상된 건조모발에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을 처리한 다음, 모발 겉수분량의 변화를 TG 어세이(Thermogravimetric assay; 시험예 1 참조)로 확인하였다(대조군: Alkyl Benzoate(사보덤TM)).
<모발 처리용 시료>
모발 처리용 시료 3: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Macadamia Nut Oil) 원액(마카다미아씨 오일로 Macadamia Integrifolia Seed Oil 또는 Macadamia Ternifolia Seed Oil(제조원: ADM, 비앤에이치텍)을 알킬 벤조에이트(Alkyl Benzoate)(제조원: 사보덤TM)에 용해시켜 준비함)을 이용하여 최종 농도가 10ppm(0.001중량%), 100ppm(0.01중량%), 1,000ppm(0.1중량%) 및 10,000ppm(1중량%)이 되도록 하여 시험 대상 모발에 처리함.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원액 밀도는 0.909~0.915g/ml임.
여기서, 시험 대상, 모발 처리용 대조군, 모발 처리 방법 및 모발 보습력 측정 방법은 시험예 1과 동일하다.
상기 모발 처리용 시료 3 또는 후술되는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식물성 오일의 혼합물에 포함되는 식물성 오일은 자유 지방산인 팔미톨레산을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을 이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이용된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원액(제조원: 비앤에이치텍)에 함유된 자유 지방산의 조성을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원액의 팔미톨레산 함량은 15.0~22.0중량%이다.
지방산명 | 포화/불포화 지방산 |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중 함량(중량%) |
Lauric Acid | C12:0 | <0.5 |
Myristic Acid | C14:0 | 0.5~1.6 |
Palmitic Acid | C16:0 | 7.0~9.5 |
Palmitoleic Acid | C16:1 | 15.0~22.0 |
Stearic Acid | C18:0 | 2.0~5.5 |
Oleic Acid | C18:1 | 55.0~67.0 |
Linoleic Acid | C18:2 | 1.0~5.0 |
Linolenic Acid | C18:3 | 0.1~3.0 |
Arachidic Acid | C20:0 | 1.5~3.0 |
Elcosenoic Acid | C20:1 | 1.5~3.0 |
Behenic Acid | C22:0 | 0.1~1.0 |
하기 표 4는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처리에 따른 모발의 겉수분량 및 속수분량의 변화를 TG 어세이(Thermogravimetric assay)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그 결과, 도 3 및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은 적정 유효 함량에서 모발의 겉수분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을 10ppm 이상 처리한 손상된 건조모발에서는 대조군(무처리된 손상 건조모발)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모발의 겉수분량이 증가하였다.
한편,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종 농도가 10ppm, 100ppm, 1,000ppm 또는 10,000ppm인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을 손상된 건조모발에 처리하더라도 모발의 속수분량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시험예
4: 모발의
속수분량
측정에 따른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
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에 의한 모발의 보습력 개선 효능 평가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중 하나 이상을 처리한 모발의 모발 속수분량을 증가시키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손상된 건조모발에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중 하나 이상을 처리한 다음, 모발 속수분량의 변화를 TG 어세이(Thermogravimetric assay; 시험예 1 참조)로 확인하였다. 상기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농도는 시험예 1 및 3에서 확인된 최적 농도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시험 대상, 모발 처리용 대조군, 모발 처리 방법 및 모발 보습력 측정 방법은 시험예 1과 동일하며,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은 모발 처리용 시료 제조에 이용되는 아르기닌 원액, 히알루론산 원액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원액(시험예 1 및 3 참조)을 사용하여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최종 혼합중량비가 1:1:1(즉, '10ppm 아르기닌 + 10ppm 히알루론산 + 10ppm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시료; '100ppm 아르기닌 + 100ppm 히알루론산 + 100ppm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시료; '1,000ppm 아르기닌 + 1,000ppm 히알루론산 + 1,000ppm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시료), 10:10:1(즉, '100ppm 아르기닌 + 100ppm 히알루론산 + 10ppm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시료) 및 10:100:1(즉, '100ppm 아르기닌 + 1,000ppm 히알루론산 + 10ppm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시료)이 되도록 물에 희석하여 제조한 후, 상기 각각의 혼합물을 손상된 건조모발(<시험 대상> 참조)에 도포(처리)한 다음, 비닐 파우치에 넣어 외부 공기의 노출을 최소화하였다(시험 대상에 대한 모발 처리용 시료의 처리 농도는 아래 표 5 참조).
하기 표 5는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처리한 모발의 겉수분량 및 속수분량의 변화를 TG 어세이(Thermogravimetric assay)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그 결과, 도 4 및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은 적정 유효 함량에서 모발의 속수분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상기 혼합물은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을 동등한 ppm 농도로 혼합하는 것보다 아르기닌 100ppm, 히알루론산나트륨 1000ppm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10ppm을 혼합한 혼합물을 이용할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모발의 속수분량을 증가시키는 시너지 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손상건조모발 무처리군 대비 *p<0.05, **p<0.01, ***p<0.001)
한편, 하기 표 6은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중 하나 이상을 처리한 모발의 겉수분량 및 속수분량의 변화를 TG 어세이(Thermogravimetric assay)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그 결과, 도 5 및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은 아르기닌 및 히알루론산의 혼합물(2종 혼합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모발의 속수분량을 증가시키는 시너지 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5: 모발의
겉수분량
측정에 따른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
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에 의한 모발의 보습력 개선 효능 평가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중 하나 이상을 처리한 모발의 모발 겉수분량을 증가시키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손상된 건조모발에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중 하나 이상을 처리한 다음, 모발 겉수분량의 변화를 TG 어세이(Thermogravimetric assay; 시험예 1 참조)로 확인하였다. 상기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농도는 시험예 1 및 3에서 확인된 최적 농도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시험 대상, 모발 처리용 대조군, 모발 처리 방법 및 모발 보습력 측정 방법은 시험예 1과 동일하며, 아르기닌 및 히알루론산의 혼합물은 모발 처리용 시료 제조에 이용되는 아르기닌 원액 및 히알루론산 원액(시험예 1 참조)을 사용하여 아르기닌 및 히알루론산의 최종 혼합중량비가 1:10(즉, '100ppm 아르기닌 + 1,000ppm 히알루론산' 시료)이 되도록 물에 희석하여 제조하고,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은 모발 처리용 시료 제조에 이용되는 아르기닌 원액, 히알루론산 원액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원액(시험예 1 및 3 참조)을 사용하여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최종 혼합중량비가 10:100:1(즉, '100ppm 아르기닌 + 1,000ppm 히알루론산 + 10ppm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시료)이 되도록 물에 희석하여 제조한 후, 상기 각각의 혼합물을 손상된 건조모발(<시험 대상> 참조)에 도포(처리)한 다음, 비닐 파우치에 넣어 외부 공기의 노출을 최소화하였다(시험 대상에 대한 모발 처리용 시료의 처리 농도는 표 6 참조).
그 결과, 도 6 및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은 적정 유효 함량에서 모발의 겉수분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은 아르기닌 및 히알루론산의 혼합물(2종 혼합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모발의 겉수분량을 증가시키는 시너지 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통계처리>
실시예 1 및 실시예 3~5에서의 통계분석은 두 그룹 간 유의성 검사로 t-test 검정법을 이용하였고, 대조군과 비교하여 * P<0.05, ** P<0.01, *** P<0.001인 경우 유효한 차이로 간주하였다.
시험예 1~5의 결과를 종합하면,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아르기닌 및 히알루론산의 혼합물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사용하였을 때, 모발의 속수분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여 모발의 보습력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형예
1: 연고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표 7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연고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 함량(중량%) |
정제수 | 잔량 |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을 중량 기준으로, 10:100:1로 함유하는 혼합물 | 0.99 |
카프린/카프릴트리글릭세리드 | 10.00 |
액상파라핀 | 10.00 |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 6.00 |
옥틸도데세스-25 | 9.00 |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 10.00 |
스쿠알란 | 1.00 |
살리실산 | 1.00 |
글리세린 | 15.00 |
솔비톨 | 10.00 |
제형예
2: 모발용 영양화장수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표 8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모발용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 함량(중량%) |
정제수 | 잔량 |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을 중량 기준으로, 10:100:1로 함유하는 혼합물 | 0.09 |
밀납 | 4.00 |
폴리솔베이트 60 | 1.50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 1.50 |
유동파라핀 | 0.50 |
Montana 202 (제조사:Seppic) | 5.00 |
글리세린 | 3.00 |
부틸렌글리콜 | 3.00 |
프로필렌글리콜 | 3.00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10 |
트리에탄올아민 | 0.20 |
방부제, 색소, 향료 | 적량 |
제형예
3: 모발용 마사지크림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표 9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모발용 마사지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 함량(중량%) |
정제수 | 잔량 |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을 중량 기준으로, 10:100:1로 함유하는 혼합물 | 0.09 |
밀납 | 10.00 |
폴리솔베이트 60 | 1.50 |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 2.00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 0.80 |
유동파라핀 | 40.00 |
스쿠알란 | 5.00 |
Montana 202 (제조사: Seppic) | 4.00 |
글리세린 | 5.00 |
부틸렌글리콜 | 3.00 |
프로필렌글리콜 | 3.00 |
트리에탄올아민 | 0.20 |
방부제, 색소, 향료 | 적량 |
제형예
4:
헤어팩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표 10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팩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 함량(중량%) |
정제수 | 잔량 |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을 중량 기준으로, 10:100:1로 함유하는 혼합물 | 0.09 |
폴리비닐알콜 | 13.00 |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 0.20 |
글리세린 | 5.00 |
알란토인 | 0.10 |
에탄올 | 6.00 |
핑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 0.30 |
폴리솔베이트 60 | 0.30 |
방부제, 색소, 향료 | 적량 |
제형예
5: 헤어토닉
표 1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본 발명의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헤어토닉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 함량(중량%) |
에탄올 | 50.00 |
멘톨 | 0.02 |
글리세린 | 3.00 |
살리실산 | 0.05 |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을 중량 기준으로, 10:100:1로 함유하는 혼합물 | 0.99 |
방부제, 향료 및 색소 | 적량 |
정제수 | 잔량 |
제형예
6:
헤어로션
표 1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본 발명의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헤어로션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 함량(중량%) |
세토스테아릴알코올 | 2.00 |
EDTA 2Na | 0.20 |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 0.50 |
미네랄 오일 | 5.00 |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을 중량 기준으로, 10:100:1로 함유하는 혼합물 | 0.99 |
방부제, 향료 및 색소 | 적량 |
정제수 | 잔량 |
제형예
7:
헤어린스
및
헤어트리트먼트
표 1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본 발명의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헤어린스 및 헤어트리트먼트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 함량(중량%) |
프로필렌글라이콜 | 2.00 |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 1.00 |
세틸알코올 | 3.00 |
스테아릴알코올 | 3.00 |
미네랄오일 | 0.50 |
사이트릭애씨드 | 0.20 |
폴리디메틸실록산 | 1.00 |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을 중량 기준으로, 10:100:1로 함유하는 혼합물 | 0.99 |
방부제, 향료 및 색소 | 적량 |
정제수 | 잔량 |
제형예
8:
헤어샴푸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표 14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헤어샴푸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 함량(중량%) |
정제수 | 잔량 |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을 중량 기준으로, 10:100:1로 함유하는 혼합물 | 0.99 |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ALS) | 20.0 |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ALES) | 20.0 |
코카마이드미파 | 적량 |
디소듐이디티에이 | 0.03 |
카보머 | 적량 |
에탄올 | 적량 |
코카마이드프로필베타인 | 6.00 |
디메치콘(50%) | 2.00 |
디메치콘(70%) | 2.00 |
DL-판테놀 | 적량 |
토코페릴아세테이트 | 적량 |
트리에탄올아민 | 적량 |
멘톨 | 적량 |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메칠이소치아졸리논 혼합액 (MC/IMI) |
0.03 |
메칠파라벤 | 적량 |
방부제, 색소, 향료 | 적량 |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의 보습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을 중량 기준으로, 10:100:1로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발의 겉수분량(External Water Content)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발의 속수분량(Internal Water Content)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손상된 모발의 수분휘발 억제 및 손상된 모발의 보습력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손상된 모발은 염색 및 퍼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학적 시술, 물리적인 손상, 스트레스 또는 영양 결핍에 의해 발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연고, 모발용 영양화장수, 모발용 마사지크림, 헤어팩, 헤어토닉, 헤어로션,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샴푸 및 포마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형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8417A KR102359520B1 (ko) | 2017-06-21 | 2017-06-21 |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모발의 보습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CN201880028429.8A CN110573136B (zh) | 2017-06-21 | 2018-06-18 | 用于改善头发保湿力的化妆品组合物 |
PCT/KR2018/006850 WO2018236109A1 (ko) | 2017-06-21 | 2018-06-18 |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모발의 보습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TW107121129A TWI768066B (zh) | 2017-06-21 | 2018-06-20 | 用於改善頭髮保濕力的含有精氨酸、透明質酸和澳洲堅果油的混合物的化妝品組合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8417A KR102359520B1 (ko) | 2017-06-21 | 2017-06-21 |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모발의 보습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8331A true KR20180138331A (ko) | 2018-12-31 |
KR102359520B1 KR102359520B1 (ko) | 2022-02-09 |
Family
ID=64737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8417A KR102359520B1 (ko) | 2017-06-21 | 2017-06-21 |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모발의 보습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9520B1 (ko) |
CN (1) | CN110573136B (ko) |
TW (1) | TWI768066B (ko) |
WO (1) | WO2018236109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9526A (ko) * | 2019-07-17 | 2021-01-27 | 주식회사 제이투케이바이오 | 복합 히아루론산을 함유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97701A (zh) * | 2020-03-13 | 2020-06-19 | 上海水分子婴童用品有限公司 | 泡沫洁肤巾及其制作工艺 |
CN111329795B (zh) * | 2020-04-02 | 2023-03-21 | 华熙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乌发育发组合物及其应用与乌发育发产品的制备方法 |
WO2023169695A1 (en) * | 2022-03-11 | 2023-09-14 | Symrise Ag | Hair care compositio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62970A (ja) * | 2004-08-24 | 2006-03-09 | Pola Chem Ind Inc | 毛髪用の化粧料 |
KR20150065232A (ko) * | 2013-12-04 | 2015-06-15 |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 우수한 흡수력 및 보습력을 가지는 투명한 오일젤 화장료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979495B2 (ja) * | 2003-05-22 | 2007-09-19 | 株式会社ミルボン | 毛髪保護剤 |
JP2005053838A (ja) * | 2003-08-05 | 2005-03-03 | Hakuto Co Ltd | 毛髪用化粧料 |
JP5901886B2 (ja) * | 2011-03-31 | 2016-04-13 | ホーユー株式会社 | 毛髪化粧料組成物 |
KR101390408B1 (ko) * | 2012-01-06 | 2014-05-27 | 최수영 | 헤어 트리트먼트용 조성물 |
JP6271152B2 (ja) * | 2013-05-01 | 2018-01-31 | 相互 秋田 | 毛髪修復剤 |
JP2015214511A (ja) * | 2014-05-09 | 2015-12-03 | 相互 秋田 | 化学組成物 |
CN105748341A (zh) * | 2014-12-19 | 2016-07-13 | 玫琳凯有限公司 | 化妆品保湿组合物和使用方法 |
-
2017
- 2017-06-21 KR KR1020170078417A patent/KR10235952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6-18 CN CN201880028429.8A patent/CN110573136B/zh active Active
- 2018-06-18 WO PCT/KR2018/006850 patent/WO201823610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06-20 TW TW107121129A patent/TWI768066B/zh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62970A (ja) * | 2004-08-24 | 2006-03-09 | Pola Chem Ind Inc | 毛髪用の化粧料 |
KR20150065232A (ko) * | 2013-12-04 | 2015-06-15 |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 우수한 흡수력 및 보습력을 가지는 투명한 오일젤 화장료 조성물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9526A (ko) * | 2019-07-17 | 2021-01-27 | 주식회사 제이투케이바이오 | 복합 히아루론산을 함유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
US11110117B2 (en) | 2019-07-17 | 2021-09-07 | J2Kbio Co., Ltd. | Skin preparation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containing complex hyaluronic aci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59520B1 (ko) | 2022-02-09 |
TWI768066B (zh) | 2022-06-21 |
TW201904558A (zh) | 2019-02-01 |
WO2018236109A1 (ko) | 2018-12-27 |
CN110573136B (zh) | 2022-11-25 |
CN110573136A (zh) | 2019-1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573136B (zh) | 用于改善头发保湿力的化妆品组合物 | |
JPH08507296A (ja) | 植物の抽出物を含むサンスクリーン | |
KR20180045539A (ko) |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CN107753332A (zh) | 一种多效油膏 | |
CN113476322A (zh) | 覆盆子酮抑菌防腐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KR101981696B1 (ko) |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 |
KR101917774B1 (ko) | 블랙커민씨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보존용 조성물 | |
CN108578325A (zh) | 一种保湿防晒组合物及其用途 | |
US11071711B2 (en) | Compositions for skin application | |
WO2002078651A1 (en) | Cosmetic composition with improved skin moisturizing properties | |
US9642887B1 (en) | Anti-blepharitis compositions and their use | |
JP3513872B2 (ja) | 皮膚外用剤 | |
KR102233140B1 (ko) | 저분자 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50106244A (ko) | 자외선 차단 및 보습용 화장품 조성물 | |
KR100738434B1 (ko) | 피롤리디닐 디아미노피리미딘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 |
JP2971549B2 (ja) | 化粧料 | |
KR20170019305A (ko) |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CN110496086B (zh) | 一种含铁皮石斛提取物的清凉防晒气垫及其制备方法 | |
KR100574233B1 (ko) | 피부 보습 및 항자극 효과를 가지는 식물 혼합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564638B1 (ko) | 모발의 볼륨을 증진시키는 모발 또는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 |
JP2001163762A (ja) | スリミング剤 | |
KR20050098583A (ko) | 옥죽 파우더를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CN114099410B (zh) | 一种具有协同增益抗衰功效脂质体的面霜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CN115429708B (zh) | 一种兼具头皮养护与发丝滋养功效的护发素及其制备方法 | |
RU2376981C2 (ru) | Солнцезащитный гель для лица "sun fight" spf 35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