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8077A - 야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야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8077A
KR20180138077A KR1020170078189A KR20170078189A KR20180138077A KR 20180138077 A KR20180138077 A KR 20180138077A KR 1020170078189 A KR1020170078189 A KR 1020170078189A KR 20170078189 A KR20170078189 A KR 20170078189A KR 20180138077 A KR20180138077 A KR 20180138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group
cholesterol
metabolic syndr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은
김은숙
장현욱
박지훈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78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8077A/ko
Publication of KR20180138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Y10S514/866
    • Y10S514/909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6주령 마우스 기준으로 100~300 mg/kg/day 경구투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체중을 감소시키는 효능,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질을 감소시키는 효능과, HDL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효능 및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효능, 급성기 반응, 간기능, 대사성 물질 농도, 최대혈압, 당내성, 혈관건강 및 간지방을 정상화시키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Description

야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THE COMPOSITION OF YACON LEAF EXTRACT FOR THE PREVENTION OF METABOLIC SYNDROME}
본 발명은 야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6주령 마우스 기준으로 100~300 mg/kg/day 경구투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체중을 감소시키는 효능,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질을 감소시키는 효능과, HDL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효능 및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효능, 급성기 반응, 간기능, 대사성 물질 농도, 최대혈압, 당내성, 혈관건강 및 간지방을 정상화시키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당뇨병, 내당능 장애, 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심장병, 뇌졸중, 죽상경화 등의 질환은 여러 심혈관계 위험인자들이 한 개체 내에서 군집적으로 다양하게 발현되어 발병되는 질환들로, 서로 연관성이 있는 질환들이다. 예를 들어, 당뇨병 발병시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심혈관 질환의 위험도가 증폭된다. 이들은 이렇게 상호유기적으로 맞물려 있는 질환이므로 최근에 들어서는 당뇨병, 내당능 장애, 비만, 고혈압, 죽상경화, 고지혈증, 심장병, 뇌졸중 등의 질환을 같은 계통의 질환으로 인식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이라는 단어는 이러한 질환들을 아우르는 개념이다.
대사증후군의 발병 추이에 관하여는 근래에 시행된 1998년과 2001년에 국민건강영양 조사 자료를 근거로 조사하였다.
한국인의 대사증후군의 증가양상에 대한 분석결과에 의하면 연령보정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1998년 22.5 %에서 2001년 24.1%로 최근 3년간 약 7.1% 증가하였다. 최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김현창 교수 연구팀이 조사한 2005년 국민영양건강조사 보고서에 의하면 60대 이상의 국민 50% 이상이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젊은층인 30대의 대사증후군 발병률도 크게 높아지고 있다. 미국역학학회에서 발간하는 국제학술지(Annals of Epidemiology)에서 강북삼성병원 산업의학과 유승호 교수팀은 2002년 직장건강검진에서 대사증후군이 없었던 30대 직장인 4천779명을 대상으로 추적 관찰한 결과, 평균 2년 1개월 만에 14.8%(708명)가 새로운 대사증후군 환자로 진단됐다고 밝혔다. 이처럼 대사 증후군은 요인에 관계없이 발병할 수 있는 질환으로, 사회 경제적으로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대사증후군의 치료법으로는 체중감량약제나 PPAR 작용약물, 알파-리포익 산(alpha-lipoic acid), 혈당강하제, 혈압강하제 등을 쓸 수 있다.
대사증후군의 대표적 질환에는 이상지질혈증 및 비만이 있으며, 상기 질환들에 관하여 하기에서 간략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한편, 지질(lipid)은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많은 종류의 지질들이 존재하며, 종종 지단백이라고도 불리운다. 보편적인 지질검사에는 총 콜레스테롤, LDL(low density lipoprotein) 콜레스테롤, HDL(high density lipoprotein)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이 포함된다.
LDL 콜레스테롤은 일명 '나쁜 콜레스테롤'이며, 높은 LDL 콜레스테롤 수치는 심장마비나 뇌졸중 등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HDL 콜레스테롤은 일명 '좋은 콜레스테롤'로, 높은 HDL 콜레스테롤 수치는 심장마비나 뇌졸중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중성지방은 지질의 한 종류로 콜레스테롤과 다르며, 높은 중성지방 수치는 심장마비나 뇌졸중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이 증가하거나 HDL 콜레스테롤이 감소하는 증상의 질환을 고지혈증(hyperlipidemia), 고콜레스테롤혈증(hypercholesterolemia), 고중성지방혈증(hypertriglyceridemia) 등으로 지칭한다. 통상적으로 이상지질혈증은 상기 질환들을 포괄하는 개념의 질환명이다.
이상지질혈증의 원인은 선천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선천적 요인은 곧 유전적 요인으로, 유전적 이상에 의해 혈액 내 특정 지질이 증가되어 이상지질혈증이 유발되는 것이다. 후천적 요인은 비만 등의 요인으로 인해 고지혈증이 유발되는 것이다.
이상지질혈증의 진단은 다음 항목을 2회 이상 측정하였을시 한 항목이라도 이상이 발견되면 이상지질혈증이라고 진단한다. (총 콜레스테롤 200 mg/dL 이하, LDL콜레스테롤 130 mg/dL 이하, HDL 콜레스테롤 60 mg/dL 이상, 중성지방 150 mg/dL 이하)
상기 기준 수치는 심장질환, 뇌졸중 등의 위험요인이 없는 사람들의 목표치를 의미하는 것이며, 위험요인이 있는 사람들의 정상범위는 달라질 수 있다.
고지혈증의 치료에는 스타틴(statin), 피브레이트(fibrate), 니코틴산(nicotinic acid), 에제티미브(Ezetimibe), 오메가-3 지방산(Omega-3 fatty acid) 등의 약물을 단독 복용 혹은 병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각 약물에는 모두 부작용이 있다. 하단의 [표 2]는 각 약물의 부작용을 표기한 것이다.
약물명 부작용
스타틴 간독성, 근육병증
피브레이트 담석, 근육병증
니코틴산 피부 홍조, 소화장애, 간독성, 통풍, 혈당 상승
에제티미브 장 내 가스 증가, 변비
오메가-3 지방산 구역 시의 생선비린내, 피부 발진
한편, 비만은 섭취한 열량이 소비한 열량보다 높아 소모되지 않은 열량이 몸에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를 지칭한다. 수치상의 개념으로는 BMI(body mass index, 체질량지수) 측정시 25 이상일 경우를 비만으로 정의한다. BMI 측정법은 체중(kg)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을 통해 체지방의 양을 추정하는 비만측정법이다.
비만의 원인은 유전적 요인, 생활습관적 요인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유전적 요인으로는 FTO 등의 비만 유전자를 보유한 경우를 들 수 있다. 비만 유전자는 현재까지 20여 종이 밝혀져 있으며, 그 중 FTO가 대표적인 비만 유전자이다. FTO는 시상하부의 포만감을 조절하는 중추에 관여하여, 포만감을 느낄 수 있는 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활습관적 요인에는 운동 부족, 불균형한 식습관 등을 들 수 있다. 운동이 부족하면 체내의 지방이 연소되지 않고 축적된다. 또한 탄수화물 및 지방을 과다섭취하고 비타민 및 섬유질을 적게 섭취하는 등 영양소의 균형이 잡히지 않으면 운동 부족 시와 동일하게, 체내의 지방이 연소되지 않고 축적된다.
비만의 치료에는 약물 요법 등이 있다. 약물 요법은 비만치료제를 비만 환자에게 투여하는 치료법으로, 비만치료제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겠다.
비만치료제의 종류에는 식욕억제제, 대사항진제, 흡수억제제, 열생성 촉진제 등이 있다. 식욕억제제는 포만감 항진제라고도 하며, 시상하부의 포만감 중추에 작용하여 음식을 소량 섭취하여도 다량 섭취한 것과 유사한 효과를 낸다. 펜디메트라진, 펜터민 등이 있다.
대사항진제는 체내의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켜 기초대사량을 증가시킨다.
흡수 억제제는 위장관 지방분해 효소의 작용을 억제하여 지방흡수를 저해한다. 열생성 촉진제는 식욕억제제의 효과를 극대화해줄 수 있어 식욕억제제와 함께 보조적으로 처방된다.
그러나 비만 치료 약물들에도 모두 부작용이 있다. 하단의 [표 2]는 각 약물의 부작용을 표기한 것이다.
비만 치료제 종류 부작용
식욕억제제(포만감 항진제) 두통, 불면 등
대사항진제 손발 저림 등
흡수억제제 지방변, 잦은 방귀 등
열생성촉진제 손떨림 등
따라서 본 출원인은, 천연 유래의 물질을 활용하여 부작용을 동반하지 않으면서 대사증후군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을 안출하였다.
본 발명은 천연물 소재로 야콘잎을 이용하고 있는데, 야콘(Yacon)은 국화과의 다년생 식물로 지하부는 다아리아나 고구마와 비슷하고 지상부는 돼지감자와 흡사하며, 키는 1.5~3m 정도이다. 잎은 대생하며 아랫잎은 넓은 계란형으로 예첨이거나 첨형에 가깝고 기저는 귀모양으로 합생하며 가장자리가 톱니모양이다.
선행기술문헌에 대해 검색하여 보면,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4877호에는 발효 숙성 야콘 잎차 추출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용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제10-2008-0090675호에는 야콘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77649호에는 야콘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들에는 야콘잎 추출물을 이용하여 대사증후군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능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4877호(2017.03.08.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0675호(2010.03.25.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77649호(2010.02.18.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야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야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야콘잎 추출물은 6주령 마우스 기준으로 100~300 mg/kg/day 경구투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체중을 감소시키는 효능,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질을 감소시키는 효능과, HDL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효능 및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효능, 급성기 반응, 간기능, 대사성 물질 농도, 최대혈압, 당내성, 혈관건강 및 간지방을 정상화시키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야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은 부작용 및 세포독성이 없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야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은 체중을 감소시키는 효능,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질을 감소시키는 효능과, HDL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효능 및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효능, 급성기 반응, 간기능, 대사성 물질 농도, 최대혈압, 당내성, 혈관건강 및 간지방을 정상화시키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야콘잎 추출물이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야콘잎 추출물이 총 콜레스테롤, 중성 지질, HDL 콜레스테롤 및 LDL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야콘잎 추출물이 급성기 반응, 간기능 및 대사성 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야콘잎 추출물이 최대혈압 및 당내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야콘잎 추출물이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야콘잎 추출물이 혈관 직경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야콘잎 추출물이 간지방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참조예 및 도면에 기술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 1. 야콘잎 추출물의 제조
(1) 야콘잎 추출물을 제조한다.
야콘잎을 추출한다. 야콘잎 추출에는 용매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이산화탄소 초임계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마이크로 웨이브 공정 추출법, 퍼콜레이션 추출법, 열수 추출법, 발효 추출법 등의 다양한 추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환류 추출법이 실행될 수 있다. 추출 시간 역시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며, 2가지 이상의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2차 이상 추출할 수도 있다.
용매 추출시의 추출 용매 또한 다양한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추출 가능한 용매에는 물, 에탄올, 메탄올, 지방유, 글리세린, 마유, 플로필렌글리콜, 에테르, 클로르포름, 석유에테르, 헥산, 벤젠,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분배계수가 다른 2가지 이상의 용매를 동시에 사용하여 추출할 수도 있으며, 2가지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2차 이상 추출할 수 있다. 추출 용매의 농도는 용매의 종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추출 시간 및 온도 역시 한정되어 있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3시간 동안 80℃에서 추출할 수 있다.
야콘잎 추출 전 야콘잎을 분쇄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야콘잎 추출물을 혼합할시의 중량은 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실험을 통해 6주령 마우스 기준으로 100~300 mg/kg/day 경구투여 되는 정도의 중량이 적정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2) 야콘잎 추출물을 여과한다.
여과 방법에는 크로마토그래피 방법 및 한외여과 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다.
(3) 야콘잎 추출물을 농축한다.
농축 방법에는 동결농축, 감압농축, 증발농축 및 막농축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회전식 감압 농축기를 사용하여 감압농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설계 조건에 따라, 야콘잎 추출물의 제조예는 상기 사항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단계의 순서는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2. 야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제제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내용과 동일한 과정으로 제조된 조성물에 약학적으로 첨가 가능한 첨가제를 첨가하여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약학적 조성물로 이용되기 위하여는 약제학적 분야에서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자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등과 혼합하여 분말, 과립, 정제, 캡슐제 또는 주사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 투여량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물활성화율 및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환의 중증 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 3. 야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내용과 동일한 과정으로 제조된 조성물에 식품학적으로 첨가 가능한 첨가제를 첨가하여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은, 기능성 음료, 건강보조식품, 차, 과자류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여 환, 과립, 음료, 타블렛, 캅셀 등의 제형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각 제형을 제조하기 위하여 첨가제가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험예 1. 야콘잎 추출물의 체중 억제 효능
(1) 실험 준비
1) 실험물질
야콘잎 추출물은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과정으로 제조된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또한, 이하 모든 실험예에서는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과정으로 제조된 추출물을 사용하였음을 밝혀둔다.
2) 실험동물
실험동물은 평균 체중이 25.5±0.8g의 6주령 수컷 SD 마우스로서, Samtako Co(Gyeonggi-do, Korea)에서 구입하였으며 1주일간 순화과정을 거쳐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1주간 기본 사료로 적응시킨 후, 4개의 군으로 분류하여 8주간 실험하였으며, 사료와 음수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실험동물 사육실은 12시간 간격으로 명암을 조절하였고, 온도는 232℃, 습도는 50~60%, 환기 횟수 10~15회/시간, 조도 200~300 럭스(lux)를 유지하였다. 동물 실험은 원광대학교 동물실험 윤리위원회의 지침에 준하여 수행하였다.
고지방사료(Rodent Diet with 60% kcal fat)는 센트럴 랩(Central Lab. Animal lnc, Seoul, 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필터 및 자외선 살균기로 여과 살균된 정제수를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3) 실험동물 실험 계획 설계 및 군 구성
1주일 동안 일반사료로 순화 후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하였다. 실험동물은 4개군으로 구성되었으며 비교군과 실험군으로 분류되어 8주간 실험이 수행되었다. 8주 후에는 희생시켜서 각종 지표를 분석하였다.
비교군은 일반 식이를 급여한 정상군(CONTROL군; n=8), 고지방 식이를 급여한 이상지질혈증군(High Fat diet, HF군; n=8), 고지방 사료를 식이하고 야콘잎 추출물을 달리하여 투여한 군 (HF + 100 mg/kg/day,HF+100군; n=8) 및 (HF + 300 mg/kg/day, HF+300군; n=8)이다.
4) 통계 처리
본 실험에 얻어진 결과는 평균표준편차(Mean±SD)로 나타내었다. 각 시험군의 유의성에 대한 통계는 대조군과 실험군 간의 통계학적 비교를 위해 스튜던츠 T-테스트(Student's t-test) 및 SPSS V. 12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던칸(Duncan)' 사후검정을 실시하여 p<0.05 이하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2) 실험 과정
군 분류시부터 주 1회 간격으로 오전 10시에 디지털 계량기를 이용하여 각 군의 체중을 측정하였다.
(3) 실험 결과
도 1은 야콘잎 추출물이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CONTROL군에 비해 HF군의 체중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HF+100군 및 HF+300군은 CONTROL군 및 HF군에 비하여 체중이 억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야콘잎 추출물은 체중 억제 효능이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실험예 2. 야콘잎 추출물의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HDL 및 LDL에 미치는 영향
(1) 실험 과정
실험에 사용된 마우스를 16시간 절식시킨 후 에테르로 마취시키고 개복하였다. 개복 후 복부 대정맥에서 채혈하였으며 15분간 3,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혈중지질 성분의 주요지표가 되는 대사산물인 중성 지방(triglyceride, TG),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C) 함량,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 및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의 함량은 전용 키트(Asan pharmaceutical Co. LTD, Jeonju, Korea)를 이용하여 자동 생화학 검사기 BS-220(Mindray, Shenzhen, China)로 측정하였다.
(2) 실험 결과
도 2는 야콘잎 추출물이 총 콜레스테롤, 중성 지질, HDL 콜레스테롤 및 LDL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총 콜레스테롤 수치를 살펴보면, HF군에 비하여 HF+100군 및 HF+300군의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중성지질 수치를 살펴보면, HF군에 비하여 HF+100군 및 HF+300군의 중성 지질 수치가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HDL 콜레스테롤 수치를 살펴보면, HF군은 물론이고 CONTROL군에 비해서도, HF+100군 및 HF+300군의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살펴보면, HF군에 비하여 HF+100군 및 HF+300군의 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야콘잎 추출물은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질을 감소시키는 효능과, HDL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효능 및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야콘잎 추출물이 급성기 반응 지표, 간기능 지표 및 대사성 물질에 미치는 영향
(1) 실험 결과
도 3은 야콘잎 추출물이 급성기 반응, 간기능 및 대사성 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급성기 반응 지표로서 CRP(C 반응 단백, C reactive protein) 수치를 보면, HF군은 CONTROL군에 비하여 수치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고, HF+100군 및 HF+300군은 HF군에 비하여 감소되어 농도의존적으로 정상수치로 회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간기능 지표로서 T-Bil(빌리루빈)수치를 보면, HF군은 CONTROL군에 비하여 수치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고, HF+100군 및 HF+300군은 HF군에 비하여 감소되어 농도의존적으로 정상수치로 회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사성 물질로서 렙틴(leptin) 및 인슐린(insulin) 수치를 보면, HF군은 CONTROL군에 비하여 수치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고, HF+100군 및 HF+300군은 HF군에 비하여 감소되어 농도의존적으로 정상수치로 회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야콘잎 추출물은 급성기 반응 지표, 간기능 지표 대사성 물질 농도를 정상화시키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야콘잎 추출물이 최대혈압 및 당내성에 미치는 영향
(1) 실험결과
도 4는 야콘잎 추출물이 최대혈압 및 당내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최대 혈압(Systolic blood pressure)를 보면, HF군은 CONTROL군에 비하여 수치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고, HF+100군 및 HF+300군은 HF군에 비하여 감소되어 농도의존적으로 정상수치로 회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당내성 지표로서 글루코스 레벨을 보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HF+100군 및 HF+300군은 비정상적인 경향을 보이는 HF군에 비하여 농도의존적으로 정상수치로 회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야콘잎 추출물의 지방 세포 크기 감소 효능
(1) 실험 과정
마우스를 16시간 절식시킨 후 에테르로 마취시킨 후 개복하고, 부고환지방(epididymal fat)을 적출하여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으로 지방 세포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2) 실험 결과
도 5는 야콘잎 추출물이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HF군은 CONTROL군에 비하여 부고환 지방 세포의 크기 및 넓이가 커진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HF+100군 및 HF+300군은 HF군에 비하여 감소되어 농도의존적으로 정상수치로 회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야콘잎 추출물은 지방 세포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실험예 6. 야콘잎 추출물의 혈관 직경에 미치는 영향
(1) 실험 결과
도 6은 야콘잎 추출물이 혈관 직경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HF군은 CONTROL군에 비하여 혈관이 울퉁불퉁해지고 직경이 커진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HF+100군 및 HF+300군은 HF군에 비하여 혈관 직경이 정상 수치로 농도의존적으로 회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7. 야콘잎 추출물의 간 손상 저해 효능
(1) 실험 과정
마우스를 희생시킨 후 개복하였다. 개복 후 간을 적출하여 생리식염수로 세척한 후 여과지로 수분을 제거하여 적출된 간 조직의 일부를 10% 중성 포르말린에 고정하였다. 그 후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위한 방법을 사용하여 간 조직의 일부를 파라핀 포매한 후, 4㎛의 두께로 절편한 뒤 슬라이드 제작하여 H&E(Hematoxyline & Eosin) 염색하였다.
(2) 실험 결과
H&E 염색을 통한 간 조직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HF군의 지방 축적 정도가 CONTROL군에 비하여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HF+100군 및 HF+300군은 HF군에 비하여 혈관 직경이 정상 수치로 농도의존적으로 회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야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사증후군은 이상지질혈증, 비만, 당뇨, 죽상경화증, 고혈압 및 지방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6주령 마우스 기준으로 100~300 mg/kg/day 경구투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은 체중을 감소시키는 효능,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질을 감소시키는 효능과, HDL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효능 및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효능, 급성기 반응, 간기능, 대사성 물질 농도, 최대혈압, 당내성, 혈관건강 및 간지방을 정상화시키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에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첨가한 약학 제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첨가한 건강기능식품.
KR1020170078189A 2017-06-20 2017-06-20 야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80138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189A KR20180138077A (ko) 2017-06-20 2017-06-20 야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189A KR20180138077A (ko) 2017-06-20 2017-06-20 야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077A true KR20180138077A (ko) 2018-12-28

Family

ID=65008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189A KR20180138077A (ko) 2017-06-20 2017-06-20 야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80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reesha et al. Antihyperglycemic and hypolipidemic activities of Setaria italica seeds in STZ diabetic rats
Gaamoussi et al. Hypoglycemic and hypolipidemic effects of an aqueous extract of Chamaerops humilis leaves in obese, hyperglycemic and hyperlipidemic Meriones shawi rats.
JP5242567B2 (ja) チコリ酸および/またはその代謝産物の1つを含有する抗糖尿病組成物
CN101175416A (zh) 从营养方面改善葡萄糖控制和胰岛素作用的方法和组合物
Kimura et al. Anti-obesity effects of highly polymeric proanthocyanidins from seed shells of Japanese horse chestnut (Aesculus turbinata Blume)
Rezaeiamiri et al. Plant-derived natural agents as dietary supplements for the regulation of glycosylated hemoglobin: A review of clinical trials
Parsaeyan The effect of coriander seed powder consumption on atherosclerotic and cardioprotective indices of type 2 diabetic patients
Nikpayam et al. The effects of okra (Abelmoschus esculentus L.) products on glycemic control and lipid profile: A comprehensive systematic review
CN101233145B (zh) 改善胰岛素抵抗的药剂
Nainwal et al. Study of antihyperlipidemic effect on the juice of the fresh fruits of Lagenaria siceraria
US10967027B2 (en) Extracts of Cyclanthera pedata and formulations and uses thereof
RICHARD et al. Ameliorative Potentials of Methanolic Leaf Extract of Nephrolepis undulat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Wistar Rats
JP2011037800A (ja) アピオス花を用いた血糖値上昇抑制物質および糖尿病予防用食品素材
CN104055947A (zh) 一种含有葡萄提取物的中药组合物及制备方法
JP2007314475A (ja) トリアシルグリセロール合成抑制剤
JP2009203209A (ja) アカシア属樹皮由来物を含有する血糖降下及び/又は抗肥満組成物
JP5800635B2 (ja) 抗肥満剤
Rebollo‐Hernanz et al. Cocoa shell: source of novel bioactive ingredients for the prevention of cardiometabolic diseases
KR20180138077A (ko) 야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JP2005247695A (ja) 脂肪細胞分化抑制剤
KR20130059128A (ko) 황칠나무 잎을 이용한 PPAR α, γ 및 δ 활성물질 및 그 추출방법
Aliakbari-Baydokhty et al. The effect of endurance training and hydroalcoholic extract of Anethum Graveolens L.(dill) on biochemical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obese male rats
CN102281882A (zh) 餐后高血糖改善剂
KR101613056B1 (ko) 진피 및 과라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675186B1 (ko) 벌개미취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