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7972A - 황칠을 이용한 기억력 및 인지능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칠을 이용한 기억력 및 인지능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7972A
KR20180137972A KR1020170077951A KR20170077951A KR20180137972A KR 20180137972 A KR20180137972 A KR 20180137972A KR 1020170077951 A KR1020170077951 A KR 1020170077951A KR 20170077951 A KR20170077951 A KR 20170077951A KR 20180137972 A KR20180137972 A KR 20180137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gnitive
composition
disease
huangch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국
박신영
고빈다잔 카티바산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77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7972A/ko
Publication of KR20180137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9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장애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황칠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장애 질환 예방 또는 기억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조성물 및 황칠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장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황칠을 이용한 기억력 및 인지능력 개선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improving Memory and cognitive function comprising using Dendropanax morbiferus Lev.}
본 발명은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기능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령화에 의한 인지 장애 질환 예방 또는 기억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조성물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장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지기능장애 (Cognitive impairment)는 뇌질환, 뇌상해, 중독, 노령화 등으로 인한 정신적, 행동학적 장애 및 내분비계의 이상과 대사 영양학적 이상, 약물 등에 따른 정신적인 질환을 포괄하는 의미로서, 증상의 정도에 따라 일시적 단기 기억 장애로 판명되는 건망증 (Anmesia) 뿐만 아니라, 판단력 장애를 유발하는 인지 기능 장애 및 치매 (Dementia) 등 신경변성질환 에서도 나타나는 뇌질환의 일종이다G.(1994)).
경도 인지 장애란 동일한 연령대에 비하여 인지 능력이 저하된 상태를 말한다. 기억력, 언어 능력, 판단력 등의 인지 영역이 저하된 상태이다. 경도 인지 장애는 다양한 원인과 증상을 가지는 증후군이며 노화에 의한 퇴행성, 혈관성 원인에 의한 혈관성, 우울이나 불안 등 정신과적 요인, 그리고 기타 내과적 요인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생긴다. 또한, 고령화 사회로 이어지면서 노인의 인구수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는데, 이러한 사회 환경에서 노인성 치매 및 파킨슨 질환이 퇴행성 중추신경계 질환으로 인정되고, 그 환자의 수가 날로 증가함에 따라 사회적 이슈가 증가되면서 이에 따른 예방이나 개선 및 치료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알츠하이머 질환 환자는 콜린성, 아드레날린성, GABA성 및 글루타메이트성 신경 등 거의 모든 신경에 이상이 초래되나, 특히 콜린성 신경의 손상 및 소실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연구되어져 있다. 한편, 인지능력이 점진적으로 소실되는 질환인 노인성치매는 중추신경계의 콜린성 신경세포의 활성과도 관련이 있으며, 이는 뇌에서 아세틸콜린 및 콜린 아세틸트랜스퍼라제(choline acetyltransferase) 활성의 현저한 저하가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른 이상적인 콜린성 신경을 보완하고자하는 회복 및 개선의 방향으로 치료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스코폴라민 설명을 투여하면 콜린성 신경 기능의 퇴행과 기억력 상실증이 나타나는 것과 습득력, 즉각적인 대응법, 활동기억(Working memory)에 대한 결함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Smith, 1988; Giacobini, E. and Cuadra, G. (1994)).
한편, 황칠은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지고 있는 한약재로서 <절강민간상용초약>, <강서초약>, <성호사설>, <지봉유설>, <본초강목>, <중국 문광도서>와 같은 책에서는 ‘풍사와 습사를 제거하고 혈액순환 개선 등을 치료하는 약재’ 로 알려져 왔다. 황칠나무 추출물은 여러 연구팀에 의하여 혈액순환, 집중력 향상, 항우울증, 면역력강화, 뼈와 치아 재생, 신경마비 및 신경통 개선, 통증 완화, 술 해독(간 기능 개선), 어린이 복통, 생리 불순, 피로회복, 안질, 황달, 신장강화, 혈당관리에 효능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염증 특허는 발표되어 있으나, 독성이 적은 열수 추출물로 신경염증 억제의 자료는 미흡하였으며,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보호 및 인지기능 개선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였다. 체내의 BDNF(Brain Derived neurotrophic factor)의 생성이 촉진됨으로써 신경 시냅스 형성 촉진 작용, 운동 마비 회복 작용, 뇌기능 장애 개선 작용, 뇌보호 작용, 뇌졸중 후유증 개선 작용, 말초 신경 장애 개선 작용, 신경 간세포 분열 촉진 작용, 인지능 또는 기억력 개선 작용 외에, 항비만 작용, 식욕 억제 작용, 당 대사 개선 작용, 지질 대사 개선 작용, 항우울제, 항불안 작용, 기력 저하 개선 작용, 동통 경감 작용, 생식 기능 개선 작용, 수정란 성숙 촉진 작용, 임신율 향상 작용, 발기 기능 장애 개선 작용, 상피 각화 세포 증식 촉진 작용, 피부 미용 작용, 상피 기능 조정 작용, 모낭 세포 재생 촉진, 증모 작용, 면역능 조정 작용 및 수명 연장 작용 등의 바람직한 기능성이 기대된다. CREB의 활성화는 신경보호에 주되게 작용하며 세포죽음을 예방하는 주요인자로 활성화된 CREB(pCREB) 발현은 BDNF의 하위 단계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지기능개선 및 뇌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수동회피실험 등에서 유의성 있는 기억력 증강 및 학습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이를 통한 기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기능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령화에 의한 인지 장애 질환 또는 기억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장애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지 장애 질환 약학적 조성물의 능력을 증강시키는,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장애 질환 보조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황칠 추출물의 추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 황칠 잎을 채취하여 건조하는 단계;
(b) 황칠 잎을 열수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d) 상기 여과된 황칠 잎 추출물을 진공농축 및 동결 건조하는 단계.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기능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황칠은 황칠의 잎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황칠 추출물은 열수추출물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지 기능은 학습 능력, 기억 능력 및 집중력으로 이루어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령화에 의한 인지 장애 질환 또는 기억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황칠은 황칠의 잎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황칠 추출물은 열수추출물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지 장애 질환은 경도인지장애, 주의력 결핍장애(ADHD), 우울증, 알츠하이머병 및 노인성 치매(senile dementi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일실시예로서,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장애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황칠은 황칠의 잎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황칠 추출물은 열수추출물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지 장애 질환은 경도인지장애, 주의력 결핍장애(ADHD), 우울증, 알츠하이머병 및 노인성 치매(senile dementi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일실시예로서, 인지 장애 질환 약학적 조성물의 능력을 증강시키는,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장애 질환 보조제을 제공한다.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황칠은 황칠의 잎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황칠 추출물은 열수추출물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지 장애 질환은 경도인지장애, 주의력 결핍장애(ADHD), 우울증, 알츠하이머병 및 노인성 치매(senile dementi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지 장애 질환 약학적 조성물은 도네페질 (Donepezil), 리바스티그민 (Rivastigmine), 갈란타민 (Galantamine) 및 메만틴 (Memant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약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일실시예로서,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황칠 추출물의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a) 황칠 잎을 채취하여 건조하는 단계;
(b) 황칠 잎을 열수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d) 상기 여과된 황칠 잎 추출물을 진공농축 및 동결 건조하는 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황칠 잎을 3일 내지 5일간 50℃ 내지 60℃의 온도를 유지하여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건조된 황칠 잎을 물 1L 기준으로 건조된 황칠 잎 50g 내지 150g의 비율로 수행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추출한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을 60 ℃ 내지 70 ℃에서 진공 농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황칠 잎으로부터의 추출물은 퇴행성 뇌신경 질환인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치매, 단순 건망증과 같은 인지능력이 저하되는 질병 등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및 기능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하시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대조군, 인지능력 저하물질(스코폴라민) 및 스코폴라민+황칠 추출물을 투여한 마우스의 수동 회피 실험에 대한 결과이다.
도 2는 대조군, 인지능력 저하물질(스코폴라민) 및 스코폴라민+황칠 추출물을 투여한 마우스의 Y-maze 실험에 대한 결과이다.
도 3은 대조군, 인지능력 저하물질(스코폴라민) 및 스코폴라민+황칠 추출물의 인지관련 기전에서의 영향을 미치는 염증성 Cytokine의 변화량에 대한 ELISA 결과이다.
도 4는 대조군, 인지능력 저하물질(스코폴라민) 및 스코폴라민+황칠 추출물의 인지관련 기전에서의 영향을 미치는 염증성 protein의 변화량에 대한 Western blot 결과이다.
도 5는 대조군, 인지능력 저하물질(스코폴라민) 및 스코폴라민+황칠 추출물의 인지관련 기전에 따른 세포 내에서의 BDNF, pCREB의 변화량에 대한 Western blot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기능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황칠은 황칠의 잎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황칠 추출물은 열수추출물 일 수 있고, 물 1L 기준으로 건조된 황칠 잎 50g 내지 150g의 비율로 수행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 1L 기준으로 건조된 황칠 잎 100g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지 기능은 학습 능력, 기억 능력 및 집중력으로 이루어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그 제형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조성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은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껌류, 아이스크림류, 스프, 음료수, 차, 기능수, 드링크제, 알코올 및 비타민 복합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황칠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뇌 또는 인지 기능의 증진을 위한 조성물은 질병에 걸리지 않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직장인 또는 학습인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령화에 의한 인지 장애 질환 또는 기억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은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껌류, 아이스크림류, 스프, 음료수, 차, 기능수, 드링크제, 알코올 및 비타민 복합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황칠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정청에 승인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첨가물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 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품,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랭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 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식품에 첨가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황칠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그 함량을 적절히 가감할 수 있으며, 상기 건강기능식품에 포함된 황칠 추출물의 유효용량은 상기 약학 조성물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고,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예방 또는 치료적 처치 등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황칠은 황칠의 잎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황칠 추출물은 열수추출물 일 수 있고, 물 1L 기준으로 건조된 황칠 잎 50g 내지 150g의 비율로 수행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 1L 기준으로 건조된 황칠 잎 100g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지 장애 질환은 경도인지장애, 주의력 결핍장애(ADHD), 우울증, 알츠하이머병 및 노인성 치매(senile dementi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장애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용어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은 본 발명의황칠 추출물에 희석제 또는 담체와 같은 다른 화학 성분들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용어 “담체(carrier)”는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디메틸술폭사이드(DMSO)는 생물체의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많은 유기 화합물들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통상 사용되는 담체이다.
용어 “희석제(diluent)”는 대상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를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화합물을 용해시키게 되는 물에서 희석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버퍼 용액에 용해되어 있는 염은 당해 분야에서 희석제로 사용된다. 통상 사용되는 버퍼 용액은 포스페이트 버퍼 식염수이며, 이는 인간 용액의 염 상태를 모방하고 있기 때문이다. 버퍼 염은 낮은 농도에서 용액의 pH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버퍼 희석제가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을 변형하는 일은 드물다. 용어 “치료”는 이롭거나 바람직한 임상적 결과를 수득하기 위한 접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이롭거나 바람직한 임상적 결과는 비제한적으로, 증상의 완화, 질병 범위의 감소, 질병 상태의 안정화(즉, 악화되지 않음), 질병 진행의 지연 또는 속도의 감소, 질병 상태의 개선 또는 일시적 완화 및 경감 (부분적이거나 전체적으로), 검출가능하거나 또는 검출되지 않거나 여부를 포함한다.
또한, “치료”는 치료를 받지 않았을 때 예상되는 생존율과 비교하여 생존율을 늘이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치료”는 치료학적 치료 및 예방적 또는 예방조치 방법 모두를 가리킨다. 상기 치료들은 예방되는 장애뿐만 아니라 이미 발생한 장애에 있어서 요구되는 치료를 포함한다. 질병을 “완화(alleviating)”하는 것은 치료를 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질병상태의 범위 및/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임상적 징후가 감소되거나 및/또는 진행의 시간적 추이(time course)가 늦춰지거나 길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황칠은 황칠의 잎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황칠 추출물은 열수추출물 일 수 있고, 물 1L 기준으로 건조된 황칠 잎 50g 내지 150g의 비율로 수행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 1L 기준으로 건조된 황칠 잎 100g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지 장애 질환은 경도인지장애, 주의력 결핍장애(ADHD), 우울증, 알츠하이머병 및 노인성 치매(senile dementi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스코폴라민에 의해 유발된 인지 장애 질환 동물모델에서 황칠 열수 추출물을 처리하여 인지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 할 수 있다.
스코폴라민을 투여하면 콜린성 신경 기능의 퇴행과 기억력 상실증이 나타나는 것과 습득력, 즉각적인 대응법, 활동기억(Working memory)에 대한 결함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Smith, 1988; Giacobini, E. and Cuadra, G.(1994)). 알츠하이머 질환 환자는 콜린성, 아드레날린성, GABA성 및 글루타메이트성 신경 등 거의 모든 신경에 이상이 초래되나, 특히 콜린성 신경의 손상 및 소실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연구되어져 있다. 한편, 인지능력이 점진적으로 소실되는 질환인 노인성치매는 중추신경계의 콜린성 신경세포의 활성과도 관련이 있으며, 이는 뇌에서 아세틸콜린 및 콜린 아세틸트랜스퍼라제(choline acetyltransferase) 활성의 현저한 저하가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일실시예로서, 인지 장애 질환 약학적 조성물의 능력을 증강시키는,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장애 질환 보조제를 제공 할 수 있다.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황칠은 황칠의 잎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황칠 추출물은 열수추출물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지 장애 질환은 장애 경도인지장애, 주의력 결핍장애(ADHD), 우울증, 알츠하이머병 및 노인성 치매(senile dementi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지 장애 질환 약학적 조성물은 도네페질 (Donepezil), 리바스티그민 (Rivastigmine), 갈란타민 (Galantamine) 및 메만틴 (Memant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약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일실시예로서,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황칠 추출 물의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a) 황칠 잎을 채취하여 건조하는 단계;
(b) 황칠 잎을 열수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d) 상기 여과된 황칠 잎 추출물을 진공농축 및 동결 건조하는 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황칠 잎을 3일 내지 5일간 50℃ 내지 60℃의 온도를 유지하여 건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일 내지 5일간 53℃ 내지 57℃의 온도를 유지하여 건조 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일 내지 5일간 55℃의 온도를 유지하여 건조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건조된 황칠 잎을 물 1L 기준으로 건조된 황칠 잎 50g 내지 150g의 비율로 수행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1L 기준으로 건조된 황칠 잎 75g 내지 125g의 비율로 수행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 1L 기준으로 건조된 황칠 잎 100g의 비율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추출한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을 60 ℃ 내지 70 ℃에서 진공 농축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의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황칠 추출물의 제조
황칠 잎 (한나수목원, Korea)를 3일~5일간 55 ℃의 온도를 유지하여 건조하였다. 건조된 황칠 잎을 열탕기 100g 당 1L 기준으로 하여 2시간 내지 3시간 100 ℃도에서 열수 추출 하였다. 추출한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을 60 ℃ 내지 70 ℃에서 2시간 동안 진공 농축 한 뒤, 동걸 건조기를 이용하여 -70 ℃, 7일간 동결 건조를 하였다. 동결 건조된 황칠 추출물을 랜덤으로 이용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수동회피능력실험 (Passive avoidance test)
수컷 C57BL/6 마우스 (25 g, 8주령)는 대한바이오링크에서 구입하였다. 이들을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표준조건 하에서 1주 순화하였으며 이후 실험에 사용되었다.(온도 22±2 ℃, 습도 55±5 %, 12 h-명/암 사이클, 음식/물 자유식). 모든 실험은 실험동물관리기준(NIH publication No. 85-23, revised 1985)의 가이드라인과 건국대학교 IACUC(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에 따라 수행하였다. 마우스는 6마리씩 3개의 그룹 (1. vehicle (대조군), 2. Scopolamine 2 mg/kg (비교예 1), 3. 황칠 잎 열수 추출물 200 mg/kg (실시예 1))으로 나누어진 후 실험에 투입되었다. 황칠 추출물와 Scopolamine는 생리적 식염수에 녹여 사용하였다. 황칠 추출물은 Scopolamine 처리 전 7일 동안 200 mg/kg를 매일 경구투여를 통하여 마우스에 투여하였으며, Scopolamine 는 2 mg/kg를 복강주사를 통하여 투여하였다. 기억력 평가를 위해 수동 회피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수동 회피 행동을 위한 훈련 및 시험을 위해서는 두 개의 동일한 명/암 정방형 상자를 가진 미국 GEMINI 사(San Diego Instruments, San Diego, CA, USA)의 수동 회피 실험 시스템(Active and passive avoidance system)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장치는 명 챔버(밝은 방)과 암 챔버(어두운 방)을 가지고 있으며, 컴퓨터로 조절되는 문에 의해 구분된다. 마우스를 밝은 방에 넣은 후 빛을 주어 어두운 방으로 가게 한 후 전류를 통하게 하여 마우스가 이를 기억하게 하였다. 즉, 마우스가 어두운 방으로 들어가면 문이 자동으로 닫히고 5초간 0.5 mA의 전기적 발 쇼크(Electrical foot shock)를 준다. 이때, 밝은 방에서 어두운 방으로 회피하는데 걸리는 시간 TLT(Transfer latency time)을 컴퓨터를 통해 기록, 저장하였으며, 전기적 쇼크 및 문의 개폐는 부착된 장치 시스템에 의해 조절되었다. 마우스가 180초 동안 밝은 방에 머물 경우, 마우스가 1회 훈련 시도 후 수동 회피 훈련을 기억하는 것으로 하여, 수동 회피 실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도 1a, b를 참조하면, 수동 회피 행동 실험에서 밝은 방(명 챔버)에서 어두운 방(암 챔버)으로 이동을 회피하는데 걸리는 시간 TLT (Transfer latency time)는 대조군에서 첫 번째 시도에 비해 두 번째 시도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스코폴라민 처리군 (비교예 1)은 첫 번째 시도에 비해 두 번째 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7일 동안 황칠 추출물을 전처리한(실시예 1) 그룹에서는 첫 번째 시험의 TLT와 비교하여 두 번째 시험에서 TLT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스코폴라민을 이용한 수동 회피 실험에서의 황칠 추출물의 효능을 나타낸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수동회피능력실험 (Passive avoidance test)
실험 동물의 설계는 실험예 1과 동일하다. Y-미로실험의 장치는 3개의 가지(각 가지를 A, B, C로 정함)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가지(arm)의 통로 길이는 40 cm, 폭은 12 cm, 높이는 30 cm이고 세 개의 가지가 인접한 가지와 접하는 각도는 120도이고 모든 실험 장치는 polyvinyl plastic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로의 중앙에 마우스를 조심스럽게 놓고 7분 동안 자유롭게 움직이게 한 다음 마우스가 들어간 가지를 기록하였는데, 마우스가 꼬리까지 완전히 들어갔을 경우에 한하며, 반복하게 가지에 다시 들어간 경우에도 기록하였다. 그 결과, 도 2a, b와같이, Y-미로 실험 장치를 이용한 변경 행동력 (Alternation behavior) 실험에서는 스코폴라민(비교예 1) 처리 30분 후 변경 행동력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Spontaneous alternation assessed 는 적응 후 30분 테스트에서 percentage alternation가 감소하였으며, 황칠 추출물을 전처리한(실시예 1) 마우스 그룹에서는 변경 행동력 감소가 개선되었다. 각 그룹의 마우스의 총 입장횟수 (Total arm entry)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예 3. 염증성 Cytokine의 억제 실험.
대조군과 황칠 추출물 처리군의 마우스를 스코폴라민 30분을 처리한 후 희생시켜 뇌를 적출하고 해마(Hippocampus)와 대뇌 피질(Cerebral cortex) 부분을 분리하였다. 인지기능저하에서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지는 염증성 Cytokine의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 황칠 추출물(실시예 1)이 전처리된 Mice에서 염증성 Cytokine의 함량을 감소하는 것을 Graph로 확인하였다 (도 3).
실험예 4. 염증성 protein의 발현량 억제 실험.
대조군과 황칠 추출물 처리군의 마우스를 스코폴라민 30분을 처리한 후 희생시켜 뇌를 적출하고 해마(Hippocampus)와 대뇌 피질(Cerebral cortex) 부분을 분리하였다. 동물 뇌 hippocampus, Cortex을 채취하여 BCA protein 정량법을 통하여 정량을 진행하였다. 동일량의 단백질을 10%, 12% SDS-PAGE gel에 전기영동한 후, 0.45μm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Millipore)를 사용하여 gel에서 membrane으로 이동시켰다. 항체의 사용은 1차 항체로 anti-β-actin (1:10000; sigma), anti-COX-2(1:2000; abcam), anti-iNOS (1:2000; BD) anti-BDNF (1:1000; abcam), anti-phospho-CREB(1:1000; abcam), anti-CREB(1:1000; abcam) 으로 희석하여 4 ℃에서 O/N(over-night)하고 2차 항체로 Horseradish peroxidase(HRP)를 가지고 있는 항체를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ECL kit(pierce, CA)로 반응시키고, DAVINCH CAS-400SM(Davinch-K, Korea)를 사용하여 결과를 확인 하였다. 인지기능저하에서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지는 염증성 단계를 단백질 상태에서로 확인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에서는 황칠 추출물이 전처리된 실험군에서 염증성의 인자의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iNOS와 COX-2를 통하여 band를 확인하였다 (도 4).
실험예 5. 인지기능 기전관련 protein의 발현량 억제 실험.
동물 뇌 hippocampus, Cortex을 채취하여 BCA protein 정량법을 통하여 정량을 진행하였다. 동일량의 단백질을 10%, 12% SDS-PAGE gel에 전기영동한 후, 0.45μm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Millipore)를 사용하여 gel에서 membrane으로 이동시켰다. 항체의 사용은 1차 항체로 anti-β-actin (1:10000; sigma), anti-COX-2(1:2000; abcam), anti-iNOS (1:2000; BD) anti-BDNF (1:1000; abcam), anti-phospho-CREB(1:1000; abcam), anti-CREB(1:1000; abcam) 으로 희석하여 4 ℃에서 O/N(over-night)하고 2차 항체로 Horseradish peroxidase(HRP)를 가지고 있는 항체를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ECL kit(pierce, CA)로 반응시키고, DAVINCH CAS-400SM(Davinch-K, Korea)를 사용하여 결과를 확인 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스코폴라민을 처리한 실험군의 해마에서 pCREB의 발현을 억제하여 pCREB의 band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도 5). 그러나 황칠 추출물이 전처리된 실험군에서의 해마에서 pCREB의 band가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이 의미는 신경보호에 주되게 사용하는 기전에서의 황칠 추출물로 통하여 주요인자들이 발현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5). 또한 그 상위 단계인 BDNF 의 발현량도 황칠 추출물이 전처리된 실험군에서의 해마에서 pCREB의 band가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의미는 신경보호의 주요인자인 pCREB 외에도 전체적으로 인지와 관련된 기전의 인자들이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1. 주사제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황칠 추출물: 100㎎
소듐 메타비설파이트: 3.0㎎
메틸파라벤: 0.8㎎
프로필파라벤: 0.1㎎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상기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최종 부피가 2 ㎖이 되도록 제조하여,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정제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황칠 추출물: 100㎎
감자 전분: 100㎎
락토오스: 100㎎
콜로이드성 규산: 16㎎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을 혼합하고 타정하고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캡슐제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황칠 추출물: 100㎎
유당: 50㎎
전분: 50㎎
탈크: 2㎎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통상의 캡슐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환제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황칠 추출물: 100㎎
옥수수 전분: 100㎎
멸균 증류수: 적량
상기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환제 제조방법에 따라 적절한 크기를 갖는 구형으로 제환하여 환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건강 기능 식품
1) 건강 음료
올리고당(2%), 액상과당(0.5%), 설탕(2%), 식염(0.5%), 물(75%) 등의 음료 재료에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황칠 추출물을 적량 혼합하여, 살균함으로써 음료를 제조하였다.
2) 기능성 식품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황칠 추출물을 각종 비타민 및 미네랄 함유 기능성 식품에 적량 혼합하여 황칠 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식품을 제조하였다.

Claims (23)

  1.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기능 증진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은 황칠의 잎 부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 추출물은 열수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기능은 학습 능력, 기억 능력 및 집중력으로 이루어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령화에 의한 인지 장애 질환 또는 기억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은 황칠의 잎 부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 추출물은 열수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조성물.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장애 질환은 경도인지장애, 주의력 결핍장애(ADHD), 우울증, 알츠하이머병 및 노인성 치매(senile dementi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조성물.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조성물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조성물.
  11.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장애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은 황칠의 잎 부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 추출물은 열수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장애 질환은 경도인지장애, 주의력 결핍장애(ADHD), 우울증, 알츠하이머병 및 노인성 치매(senile dementi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5. 인지 장애 질환 약학적 조성물의 능력을 증강시키는,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장애 질환 보조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은 황칠의 잎 부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장애 질환 보조제.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 추출물은 열수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장애 질환 보조제.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장애 질환은 경도인지장애, 주의력 결핍장애(ADHD), 우울증, 알츠하이머병 및 노인성 치매(senile dementi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장애 질환 보조제.
  19. 제 15항에 있어서, 기 인지 장애 질환 약학적 조성물은 도네페질 (Donepezil), 리바스티그민 (Rivastigmine), 갈란타민 (Galantamine) 및 메만틴 (Memant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약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장애 질환 보조제.
  20. (a) 황칠 잎을 채취하여 건조하는 단계;
    (b) 황칠 잎을 열수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d) 상기 여과된 황칠 잎 추출물을 진공농축 및 동결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황칠 추출물의 추출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황칠 잎을 3일 내지 5일간 50℃ 내지 60℃의 온도를 유지하여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 추출물의 추출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건조된 황칠 잎을 물 1L 기준으로 건조된 황칠 잎 50g 내지 150g의 비율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 추출물의 추출방법.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추출한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을 60 ℃ 내지 70 ℃에서 진공 농축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 추출물의 추출방법.
KR1020170077951A 2017-06-20 2017-06-20 황칠을 이용한 기억력 및 인지능력 개선용 조성물 KR201801379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951A KR20180137972A (ko) 2017-06-20 2017-06-20 황칠을 이용한 기억력 및 인지능력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951A KR20180137972A (ko) 2017-06-20 2017-06-20 황칠을 이용한 기억력 및 인지능력 개선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880A Division KR102120593B1 (ko) 2019-09-30 2019-09-30 황칠을 이용한 기억력 및 인지능력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972A true KR20180137972A (ko) 2018-12-28

Family

ID=65008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951A KR20180137972A (ko) 2017-06-20 2017-06-20 황칠을 이용한 기억력 및 인지능력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79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mar et al. Traditional and medicinal uses of banana
US10111451B2 (en) Food, beverage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ed eastern prickly pear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20140125264A (ko) 숙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2160664A (zh) 儿童营养饮料
CN112315995A (zh) 一种含有元宝枫籽油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Yampolsky et al. Sea buckthorn (lat. Hippophaë)
KR102120593B1 (ko) 황칠을 이용한 기억력 및 인지능력 개선용 조성물
CN106070626A (zh) 酸马奶水果饮料及其制备方法
CN102894435B (zh) 一种缓解视疲劳的桑杞保健液
CN105029553A (zh) 一种果汁蛋钙中药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Saad Greco-Arab and Islamic diet therapy: Tradition, research and practice
CN107320674A (zh) 一种中药组合物及其应用
KR101732483B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29284A (ko) 치매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1511699B1 (ko) 광천수가 함유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CN103829342A (zh) 功能性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80137971A (ko) 신경 세포사 억제 활성을 갖는 황칠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137972A (ko) 황칠을 이용한 기억력 및 인지능력 개선용 조성물
CN104256618B (zh) 一种降血糖的食品、保健品或药物组合物
JP2004352626A (ja) 植物由来成分を含有する抗コレステロール剤
CN108813500B (zh) 具有补中益气、养血安神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KR101241455B1 (ko) 혈당 강하용 두부 및 그 제조방법
CN102308989B (zh) 一种具有保健功能的红蚁、葡萄、蜂胶提取物的组合物
KR101248378B1 (ko) 관절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CN109954052A (zh) 一种具有抗氧化活性的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