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6913A - 내연기관 - Google Patents

내연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6913A
KR20180136913A KR1020180069198A KR20180069198A KR20180136913A KR 20180136913 A KR20180136913 A KR 20180136913A KR 1020180069198 A KR1020180069198 A KR 1020180069198A KR 20180069198 A KR20180069198 A KR 20180069198A KR 20180136913 A KR20180136913 A KR 20180136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fuel oil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4426B1 (ko
Inventor
요한 쇠홀름
스테판 마이어
닐스 키엠트루프
Original Assignee
맨 에너지 솔루션즈 필리얼 아프 맨 에너지 솔루션즈 에스이 티스크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맨 에너지 솔루션즈 필리얼 아프 맨 에너지 솔루션즈 에스이 티스크랜드 filed Critical 맨 에너지 솔루션즈 필리얼 아프 맨 에너지 솔루션즈 에스이 티스크랜드
Publication of KR20180136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8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simultaneously using pluralities of fu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47/00Methods of operating engines involving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anti-knock agents to combustion air, fuel, or fuel-air mixtures of engines
    • F02B47/02Methods of operating engines involving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anti-knock agents to combustion air, fuel, or fuel-air mixtures of engines the substances being water or steam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02Liquid carbonaceous fuels essentially based on components consisting of carbon, hydrogen, and oxygen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8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simultaneously using pluralities of fuels
    • F02D19/082Premixed fuels, i.e. emulsions or blends
    • F02D19/085Control based on the fuel type or com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094Controlling fuel injection the fuel injection being effected by at least two different injectors, e.g. one in the intake manifold and one in the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02D41/40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with means for controlling injection timing or duration
    • F02D41/402Multiple inj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22Adding fuel and water emulsion, water or st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22Adding fuel and water emulsion, water or steam
    • F02M25/025Adding water
    • F02M25/03Adding water into the cylinder or the pre-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76Details of the fuel feeding system related to the fuel tank
    • F02M37/0088Multiple separate fuel tanks or tanks being at least partially partitio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02D2041/389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for injecting directly into the cylin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실린더를 구비하는 2행정 크로스헤드 디젤 내연기관으로, 다수의 실린더 각각에 주연료와 부연료를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2행정 크로스헤드 디젤 내연기관이다. 주연료는 연료유와 물을 포함한다. 부연료는 연료유를 포함한다. 2행정 크로스헤드 디젤 내연기관은 실린더 내의 가스가 압축될 때 달성하게 되는 고온에 의해 주연료와 부연료의 조합을 점화시키도록 구성되되, 주연료 중의 물의 질량백분율이 적어도 30%이고, 부연료 중의 연료유의 질량백분율이 주연료 중의 연료유의 질량백분율보다 높다.

Description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내연기관 및 내연기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행정 내연기관은 컨테이너 선박, 벌크 화물선 및 유조선과 같은 선박에서 추진기관으로 사용된다. 내연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원치 않는 배기가스를 감소시키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졌다. 특별히 NOx의 감소에 관심이 기울어져 왔다.
국제연합의 전문 기구인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는 티어 I(Tier I), 티어 II 및 티어 III으로 알려진 범위의 배출 기준을 설정했는데, 티어 I과 티어 II 배출 기준은 전세계적으로 유효하며, 티어 III 배출 기준은 NOx 배출 규제 지역(ECA: Emission Control Area)에 적용된다. 티어 II 및 티어 III NOx 배출 기준은 신형 기관들에 효력을 미치는 반면, 티어 I NOx 요건은 2000년 이전에 제조된 기존 기관들에 대한 것이다.
NOx의 배출을 감소시키는 한 가지 방법은 선택적 촉매 환원(SCR)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다. SCR 시스템은 배기가스를 받아들여 NOx를 덜 유해한 물질로 변환시킨다. NOx의 배출을 감소시키는 다른 방법은 배기가스의 일부를 기관 실린더로 다시 재순환시킴으로써 산소 농도 및 화염 온도를 낮추어서 기관 내에서 생성되는 NOx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작동하는 배기가스 재순환(EGR) 시스템이다. 그러나 EGR 시스템과 SCR 시스템은 설치하고 유지보수하기가 복잡하고 비싸다.
NOx 배출을 감소시키는 대안적인 방법은 물을 내연기관에 의해 사용되는 연료유에 혼합하는 것이다. 물은 연소 온도를 낮춤으로써 배기가스 중의 NOx의 양을 저감시킨다.
그러나, 물을 연료에 혼합하면 점화 지연이 증가되고, 이러한 점화 지연은 점화되기 전에 과도하게 많은 양의 연료가 주변 공기와 혼합되게 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점화가 일어날 때, 실린더 내부에서 폭발과 유사한 압력파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압력 추적에서 그리고 음향(듣기)을 통해 관찰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디젤 노킹이라 한다. 이는 연소 챔버 부품들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수위가 아주 높으면, 점화가 전혀 일어나지 않을 정도로 점화 지연이 증가될 수 있어 분사된 연료의 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실화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내연기관에서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NOx 배출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남아 있다.
제1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수의 실린더를 구비하는 2행정 크로스헤드 디젤 내연기관으로, 다수의 실린더 각각에 연료유와 물을 포함하는 주연료와 연료유를 포함하는 부연료를 분사하도록 구성되고, 실린더 내의 가스가 압축될 때 달성하게 되는 고온에 의해 주연료와 부연료의 조합을 점화시키도록 구성되되,
● 주연료 중의 물의 질량백분율이 적어도 30%이고,
● 부연료 중의 연료유의 질량백분율이 주연료 중의 연료유의 질량백분율보다 높은,
2행정 크로스헤드 디젤 내연기관에 관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주연료 중의 연료유의 질량백분율보다 높은 연료유 백분율을 가지는 부연료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디젤 노킹 또는 실화 없이 주연료에 더 많은 물이 첨가될 수 있다. 이는 EGR 시스템 및/또는 SCR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티어 III 요건을 준수할 수 있게 하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배기가스로부터 NOx가 크게 감소될 수 있게 한다.
내연기관은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당 파워가 적어도 400kW인 해양 선박 추진용 2행정 크로스헤드 디젤 내연기관이다. 연료유의 예로 MGO(Marine Gas Oil), MDO(Marine Diesel Oil), IFO(Intermediate Fuel Oil), MFO(Marine Fuel Oil), HFO(Heavy Fuel Oil)를 들 수 있다. 주연료로 사용되는 연료유와 부연료로 사용되는 연료유는 동일한 종류의 연료유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주연료로 사용되는 연료유와 부연료로 사용되는 연료유가 다를 수 있다. 주연료 중의 물의 양은 물과 연료유의 혼합기가 자가 점화될 수 없을 정도로 많을 수 있다. 주연료와 부연료는 단일의 연료 밸브를 통해 실린더들에 순차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주연료와 부연료가 두 개의 연료 밸브들을 통해 실린더들에 분사될 수 있다. 부연료 중의 연료의 농도가 더 높기 때문에 부연료가 주연료보다 먼저 점화되고, 이에 의해 부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주연료를 점화시킨다. 따라서, 부연료가 점화연료로 작용한다. 내연기관은 압축점화를 통해 부연료를 점화시키고 이에 의해 부연료의 화염이 주연료를 점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주연료 중의 물의 질량백분율은 적어도 40%, 적어도 45% 또는 적어도 50%이다.
주연료 중의 물의 질량백분율은 아래의 방정식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는 주연료 중의 물의 질량백분율이고,
Figure pat00003
는 주연료 중의 물의 질량이고,
Figure pat00004
는 주연료의 총질량이다.
주연료는 바람직하게는 주로 물과 연료유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부연료 중의 연료유의 질량백분율은 50% 이상, 75% 이상, 90% 이상, 95% 이상 또는 99% 이상이다.
부연료 중의 연료유의 질량백분율은 아래의 방정식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pat00005
여기서,
Figure pat00006
는 부연료 중의 연료유의 질량백분율이고,
Figure pat00007
는 부연료 중의 연료유의 질량이고,
Figure pat00008
는 부연료의 총질량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실린더로 분사되는 전체 연료 중 부연료의 질량백분율은 10%, 7%, 5%, 3% 또는 1% 미만이다.
사용되는 부연료의 양을 제한하는 것에 의해 방출되는 NOx의 양이 추가로 감소될 수 있다.
다수의 실린더로 분사되는 전체 연료 중 부연료의 질량백분율은 아래의 방정식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pat00009
여기서,
Figure pat00010
는 다수의 실린더로 분사되는 전체 연료 중 부연료의 질량백분율이고,
Figure pat00011
는 다수의 실린더로 분사되는 부연료의 질량이고,
Figure pat00012
는 다수의 실린더로 분사되는 전체연료의 총질량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실린더로 분사되는 전체 연료 중 주연료의 질량백분율은 적어도 90%, 93%, 95%, 97% 또는 99%이다.
다수의 실린더로 분사되는 전체 연료 중 주연료의 질량백분율은 아래의 방정식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pat00013
여기서,
Figure pat00014
는 다수의 실린더로 분사되는 전체 연료 중 주연료의 질량백분율이고,
Figure pat00015
는 다수의 실린더로 분사되는 주연료의 질량이고,
Figure pat00016
는 다수의 실린더로 분사되는 전체 연료의 총질량이다.
기관이 주연료와 부연료로만 작동한다면, 주연료의 질량백분율에 부연료의 질량백분율을 더한 값은 항상 100%일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주연료 중의 물과 연료유의 혼합물은 다수의 실린더로 전달되기 전에 유화된다.
결과적으로, 유화된 주연료 및 바람직하게는 순수한 연료유로 이루어지는 부연료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실린더들 내에서 물과 연료유의 비균질 혼합물이 형성된다. 이는 부연료의 연료유가 비균질 혼합물을 점화시킬 것이기 때문에 주연료 중의 물의 양이 증가되게 한다.
주연료가 물로 적절하게 유화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계면활성제가 주연료 또는 물에 첨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실린더가 제1 연료밸브 및 제2 연료밸브를 포함하고, 내연기관은 주연료를 제1 연료밸브를 통해 분사하고 부연료는 제2 연료밸브를 통해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내연기관은 제1 모드와 제2 모드를 구비하며, 내연기관은 제1 모드에서 다수의 실린더 각각에 주연료와 부연료를 분사하도록 구성되고, 제2 모드에서는 다수의 실린더 각각에 연료유를 포함하는 대안적인 주연료를 분사하도록 구성되며, 주연료의 연료유는 제1 유형의 연료유이고 대안적인 주연료의 연료유는 제1 유형의 연료유와 다른 제2 유형의 연료유이며, 부연료의 연료유는 제1 유형의 연료유 또는 제2 유형의 연료유이다.
결과적으로, 기관에 의해 이미 사용되는 유형의 연료유를 부연료로 사용하는 것에 의해, 부연료를 위한 별도의 연료탱크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내연기관은 또한 제2 모드에서 부연료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유형의 연료유는 HFO이고 제2 유형의 연료유는 MGO 또는 MDO와 같이 보다 가벼운 연료유일 수 있다. 이는 기관이 유황 배출 규제가 없는 지역에서는 HFO로 작동되고 유황 배출 규제 지역에서는 MGO 또는 MDO로 작동할 수 있게 한다.
제2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 유형의 연료유를 저장하기 위한 제1 연료탱크, 물 공급 시스템 및 다수의 실린더를 구비하는 2행정 크로스헤드 디젤 내연기관을 포함하는 내연기관 시스템으로, 내연기관이 제1 연료탱크 및 물 공급 시스템과 유체 연결되고, 내연기관이 상기 다수의 실린더 각각에 제1 유형의 연료유와 물 공급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물을 포함하는 주연료와 연료유를 포함하는 부연료를 분사하도록 구성되고, 내연기관이 실린더 내의 가스가 압축될 때 달성하게 되는 고온에 의해 주연료와 부연료의 조합을 점화시키도록 구성되되,
● 주연료 중의 물의 질량백분율이 적어도 30%이고,
● 부연료 중의 연료유의 질량백분율이 주연료 중의 연료유의 질량백분율보다 높은,
내연기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은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당 파워가 적어도 400kW인 해양 선박 추진용 2행정 크로스헤드 디젤 내연기관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주연료 중의 물의 질량백분율은 적어도 40%, 적어도 45% 또는 적어도 50%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부연료 중의 연료유의 질량백분율은 50% 이상, 75% 이상, 90% 이상, 95% 이상 또는 99% 이상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실린더로 분사되는 전체 연료 중 부연료의 질량백분율은 10%, 7%, 5%, 3% 또는 1% 미만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실린더로 분사되는 전체 연료 중 주연료의 질량백분율은 적어도 90%, 93%, 95%, 97% 또는 99%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스템은 제1 입구, 제2 입구 및 제1 출구를 구비하는 유화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제1 입구는 제1 연료탱크와 유체 연결되고 제2 입구는 물 공급 시스템과 유체 연결되고 제1 출구는 내연기관과 유체 연결되며, 유화 시스템은 물과 제1 유형의 연료유가 유화된 혼합물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주연료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유화 시스템은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유화 혼합물을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부연료의 연료유는 제1 유형의 연료유이고, 제1 연료탱크는 내연기관에 직접 유체 연결되어 내연기관에 부연료를 제공하고, 내연기관에 유화 시스템을 통해 간접적으로 유체 연결되어 내연기관에 주연료를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주연료 및 부연료 둘 다를 제공하기 위해 단일의 연료탱크가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실린더가 제1 연료밸브 및 제2 연료밸브를 포함하고, 내연기관은 주연료를 제1 연료밸브를 통해 분사하고 부연료는 제2 연료밸브를 통해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스템은 제2 유형의 연료유를 저장하기 위한 제2 연료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연료탱크는 내연기관과 유체 연결되며, 내연기관은 제1 모드와 제2 모드를 구비하되, 제1 모드에서 다수의 실린더 각각에 주연료와 부연료를 분사하도록 구성되고, 제2 모드에서는 다수의 실린더 각각에 제2 유형의 연료유를 포함하는 대안적인 주연료를 분사하도록 구성되며, 부연료의 연료유는 제1 유형의 연료유 또는 제2 유형의 연료유이다.
본 발명의 각기 다른 태양들이 위에서 설명하고 또한 아래에서 설명하는 내연기관들 및 내연기관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각기 다른 방식들로 실시될 수 있고, 태양들 각각이 위에서 설명한 하나 이상의 이점들을 발생시키며, 태양들 각각이 위에서 설명하고 그리고/또는 종속 청구항에 기재된 태양들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비한다. 또한, 여기서 설명하는 태양들 중 하나와 관련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이 다른 태양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그리고/또는 다른 목적들, 피처들 및 장점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아래의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상세한 설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읽으면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이 어떤 식으로 실시될 수 있는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선박을 추진하기 위한 내연기관 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내연기관 시스템(100)은 제1 유형의 연료유, 예컨대 중유(heavy fuel oil) 또는 경유(gas oil)를 저장하기 위한 제1 연료탱크(103), 물 공급 시스템(104), 유화 시스템(105) 및 4개의 실린더(102)를 구비하는 내연기관(101)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내연기관(101)은 다른 개수의 실린더, 예컨대 2개의 실린더, 6개의 실린더, 8개의 실린더, 10개의 실린더 또는 12개의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물 공급 시스템(104)은, 예컨대 해수로부터, 정수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정수를 담는 물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유화 시스템(105)은 제1 연료탱크(103)와 유체 연결되는 제1 입구(108), 물 공급 시스템(104)과 유체 연결되는 제2 입구(109) 및 내연기관(101)과 유체 연결되는 제1 출구(110)를 구비한다. 유화 시스템(105)은 물과 제1 유형의 연료유가 유화된 혼합물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데, 여기서 물의 질량백분율은 적어도 30%이다. 유화 시스템(105)은 물과 연료유가 적절하게 유화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혼합물에 첨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연료탱크(103)는 내연기관(101)에 직접 유체 연결되어 제1 유형의 연료유로 이루어진 부연료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제1 연료탱크(103)는 내연기관에 (유화 시스템(105)을 통해) 간접적으로 유체 연결되고 또한 직접 유체 연결된다. 각각의 실린더(102)는 제1 연료밸브(106) 및 제2 연료밸브(107)를 포함하며, 내연기관은 주연료를 제1 연료밸브(106)를 통해 분사하고 부연료를 제2 연료밸브(107)를 통해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실린더는 2개 이상의 연료밸브, 예컨대 총 4개의 연료밸브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2개의 연료밸브가 주연료용으로 사용되고 2개의 연료밸브는 부연료용으로 사용된다. 내연기관(101)은 실린더(102)들 내의 가스가 압축될 때 달성하게 되는 고온에 의해 주연료와 부연료의 조합을 점화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수의 실린더에 분사되는 전체 연료 중 부연료의 질량백분율은 바람직하게는 작으며, 예컨대 10%, 7%, 5% 또는 3% 미만이다. 결과적으로, 다수의 실린더에 분사되는 전체 연료 중 주연료의 질량백분율은 바람직하게는 높으며, 예컨대 적어도 90%, 93%, 95% 또는 97%이다. 따라서, 부연료는 주연료와 부연료의 조합을 점화시키는 점화연료로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제1 유형의 연료를 포함하는 유화된 주연료와 제1 유형의 연료유만으로 이루어진 부연료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물과 제1 유형의 연료유의 비균질 혼합물이 실린더 내에 형성된다. 이는 부연료의 연료유가 비균질 혼합물을 점화시킬 것이기 때문에 주연료 중의 물의 양이 증가되게 한다.
내연기관 시스템은 선택적으로 제2 유형의 오일을 저장하기 위한 제2 연료탱크(111)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연료탱크(111)는 내연기관(101)에 유체 연결되는데, 내연기관(101)은 제1 모드와 제2 모드를 구비하며, 내연기관(101)은 제1 모드에서는 실린더(102)들 각각에 주연료와 부연료를 분사하도록 구성되고 제2 모드에서는 실린더(102)들 각각에 제2 유형의 연료유를 포함하는 대안적인 주연료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제2 연료탱크(111)는 유화 시스템(105)을 통해 내연기관(101)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대안적인 주연료는 물과 제2 유형의 연료유가 유화된 혼합물, 예컨대 물의 질량백분율이 적어도 30%인 유화 혼합물이다. 따라서 내연기관(101)은 또한 제2 모드에서 부연료를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연료탱크(111)는 내연기관(101)에 직접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2 모드에서 부연료가 필요 없다. 일부 실시예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서, 제2 연료탱크(111)가 내연기관(102)에 직접 연결되어 제1 모드에서는 부연료를 제2 연료밸브(107)에 제공하며 제2 모드에서는 제1 연료밸브(106)에 제공하는데, 이 경우 부연료와 대안적인 주연료 둘 다 제2 유형의 연료유로 이루어진다. 제1 유형의 연료유는 HFO일 수 있고, 제2 유형의 연료유는 MGO 또는 MDO와 같이 보다 가벼운 연료유일 수 있다.
비록 일부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한정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다른 실시예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조적이고 기능적인 변형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행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다수의 수단들을 열거하는 장치 청구항들에서, 이 수단들 중 다수가 하나의 그리고 동일한 하드웨어 항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정한 방안들이 서로 다른 종속항들에서 인용되거나 혹은 각기 다른 실시예들에 기재된다는 사실만으로는 이들 방안들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없음을 지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언급되는 피처들, 정수들, 단계들 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피처, 정수, 단계, 컴포넌트 또는 그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는 않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강조하는 바이다.

Claims (10)

  1. 다수의 실린더를 구비하는 2행정 크로스헤드 디젤 내연기관으로,
    다수의 실린더 각각에 연료유와 물을 포함하는 주연료와 연료유를 포함하는 부연료를 분사하도록 구성되고, 실린더 내의 가스가 압축될 때 달성하게 되는 고온에 의해 주연료와 부연료의 조합을 점화시키도록 구성되되,
    ● 주연료 중의 물의 질량백분율이 적어도 30%이고,
    ● 부연료 중의 연료유의 질량백분율이 주연료 중의 연료유의 질량백분율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행정 크로스헤드 디젤 내연기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부연료 중의 연료유의 질량백분율이 50% 이상, 75% 이상, 90% 이상, 95% 이상 또는 99%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행정 크로스헤드 디젤 내연기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주연료 중의 물과 연료유의 혼합물이 다수의 실린더로 전달되기 전에 유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행정 크로스헤드 디젤 내연기관.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각각의 실린더가 제1 연료밸브와 제2 연료밸브를 포함하고, 내연기관이 제1 연료밸브를 통해 주연료를 분사하고 제2 연료밸브를 통해 부연료를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행정 크로스헤드 디젤 내연기관.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내연기관이 제1 모드와 제2 모드를 구비하고, 제1 모드에서 다수의 실린더 각각에 주연료와 부연료를 분사하도록 구성되고 제2 모드에서는 다수의 실린더 각각에 연료유를 포함하는 대안적인 주연료를 분사하도록 구성되며, 주연료의 연료유는 제1 유형의 연료유이고 대안적인 주연료의 연료유는 제1 유형의 연료유와 다른 제2 유형의 연료유이며, 부연료의 연료유는 제1 유형의 연료유 또는 제2 유형의 연료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행정 크로스헤드 디젤 내연기관.
  6. 제1 유형의 연료유를 저장하기 위한 제1 연료탱크, 물 공급 시스템 및 다수의 실린더를 구비하는 2행정 크로스헤드 디젤 내연기관을 포함하는 내연기관 시스템으로,
    2행정 크로스헤드 디젤 내연기관이 제1 연료탱크 및 물 공급 시스템에 유체 연결되고, 내연기관 시스템이 상기 다수의 실린더 각각에 제1 유형의 연료유와 물 공급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물을 포함하는 주연료와 연료유를 포함하는 부연료를 분사하도록 구성되고, 2행정 크로스헤드 디젤 내연기관이 실린더 내의 가스가 압축될 때 달성하게 되는 고온에 의해 주연료와 부연료의 조합을 점화시키도록 구성되되,
    ● 주연료 중의 물의 질량백분율이 적어도 30%이고,
    ● 부연료 중의 연료유의 질량백분율이 주연료 중의 연료유의 질량백분율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부연료 중의 연료유의 질량백분율이 50% 이상, 75% 이상, 90% 이상, 95% 이상 또는 99%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시스템.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시스템이 제1 입구, 제2 입구 및 제1 출구를 구비하는 유화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제1 입구는 제1 연료탱크와 유체 연결되고 제2 입구는 물 공급 시스템과 유체 연결되고 제1 출구는 2행정 크로스헤드 디젤 내연기관과 유체 연결되며, 유화 시스템이 물과 제1 유형의 연료유가 유화된 혼합물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주연료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시스템.
  9.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부연료의 연료유가 제1 유형의 연료유이고, 제1 연료탱크는 2행정 크로스헤드 디젤 내연기관에 직접 유체 연결되어 2행정 크로스헤드 디젤 내연기관에 부연료를 제공하고, 2행정 크로스헤드 디젤 내연기관에 유화 시스템을 통해 간접적으로 유체 연결되어 2행정 크로스헤드 디젤 내연기관에 주연료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시스템.
  10.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시스템이 제2 유형의 연료유를 저장하기 위한 제2 연료탱크를 더 포함하고, 제2 연료탱크는 2행정 크로스헤드 디젤 내연기관에 유체 연결되며, 2행정 크로스헤드 디젤 내연기관은 제1 모드와 제2 모드를 구비하되 제1 모드에서 다수의 실린더 각각에 주연료와 부연료를 분사하도록 구성되고 제2 모드에서는 다수의 실린더 각각에 제2 유형의 연료유를 포함하는 대안적인 주연료를 분사하도록 구성되며, 부연료의 연료유는 제1 유형의 연료유 또는 제2 유형의 연료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시스템.
KR1020180069198A 2017-06-15 2018-06-15 내연기관 KR102164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A201770463 2017-06-15
DKPA201770463A DK179645B1 (en) 2017-06-15 2017-06-15 Internal combustion eng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913A true KR20180136913A (ko) 2018-12-26
KR102164426B1 KR102164426B1 (ko) 2020-10-13

Family

ID=64802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198A KR102164426B1 (ko) 2017-06-15 2018-06-15 내연기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6907158B2 (ko)
KR (1) KR102164426B1 (ko)
CN (1) CN109139240B (ko)
DK (1) DK1796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4647A (ja) * 1998-02-18 2002-02-12 キャタピラ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窒素酸化物の排出を減少させるためにガス状燃料及び乳化パイロット燃料の混合ガスによりエンジンを駆動する方法
KR20080042928A (ko) * 2005-10-05 2008-05-15 엠에이엔 디젤 에이/에스 선박 추진 시스템
KR20160052649A (ko) * 2013-11-26 2016-05-12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파일럿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 기관 시스템 및 선박
KR20160124945A (ko) * 2015-04-20 2016-10-3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디젤 엔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7381B2 (en) * 2001-10-09 2003-10-28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Oxygenated fuel plus water injection for emissions control in compression ignition engines
US7150250B2 (en) * 2004-07-26 2006-12-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Valve and fueling strategy for operating a controlled auto-ignition four-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302933B2 (en) * 2005-11-30 2007-12-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engine with fuel vapor purging
CN101289959A (zh) * 2007-04-16 2008-10-22 蔡棽 一种提高内燃机效率的方法及高效内燃机
CN101589213B (zh) * 2007-10-08 2012-08-08 曼柴油机涡轮机欧洲股份公司曼柴油机涡轮机德国分公司 用于控制双燃料压燃式发动机的方法及设备
DK178072B1 (en) * 2014-01-06 2015-04-27 Man Diesel & Turbo Deutschland A method of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886356B2 (ja) * 2014-04-15 2016-03-1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4647A (ja) * 1998-02-18 2002-02-12 キャタピラ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窒素酸化物の排出を減少させるためにガス状燃料及び乳化パイロット燃料の混合ガスによりエンジンを駆動する方法
KR20080042928A (ko) * 2005-10-05 2008-05-15 엠에이엔 디젤 에이/에스 선박 추진 시스템
KR20160052649A (ko) * 2013-11-26 2016-05-12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파일럿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 기관 시스템 및 선박
KR20160124945A (ko) * 2015-04-20 2016-10-3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디젤 엔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79645B1 (en) 2019-03-08
JP2019011755A (ja) 2019-01-24
CN109139240A (zh) 2019-01-04
CN109139240B (zh) 2020-05-19
JP6907158B2 (ja) 2021-07-21
JP2020060190A (ja) 2020-04-16
DK201770463A1 (en) 2019-02-08
KR102164426B1 (ko) 202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unce et al. Sub-200 g/kWh BSFC on a light duty gasoline engine
Lamas et al. Emissions from marine engines and NOx reduction methods
KR101814614B1 (ko) 파일럿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 기관 시스템 및 선박
US20090229541A1 (en) Control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20006505A (ko) 내연 기관의 제어 장치
US9127599B2 (en) Control system for multi-fuel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6968776B (zh) 用于运行发动机的方法和控制装置
KR20120009451A (ko) 내연 기관의 제어 장치
JP2012057470A (ja) 内燃機関
JP6100290B2 (ja) 内燃エンジンを運転する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よって運転される内燃エンジン
KR20120058502A (ko) 내연 기관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Krivopolianskii et al. Control of the combustion process and emission formation in marine gas engines
JP4919922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6181361B2 (ja) ガソリン直接噴射、特に制御された点火を用いる内燃エンジンの燃料を制御する方法
KR102164426B1 (ko) 내연기관
Lee et al. Comparative study on effect of intake pressure on diesel and biodiesel low temperature combustion characteristics in a compression ignition engine
WO2012114482A1 (ja) 内燃機関の制御システム
CN114746641A (zh) 内燃发动机
KR101976713B1 (ko) 오토 사이클 방식으로 운전되는 엔진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및 이를 구동하는 방법
DK181315B1 (en) A large turbocharged two-stroke uniflow crosshead compression igni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2014182431A1 (en) Method for increasing the high load (knock) limit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perated in a low temperature combustion mode
KR101918864B1 (ko) 오토 사이클 방식으로 운전되는 엔진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및 이를 구동하는 방법
CO2022006791A1 (es) Dispositivo para mezclar combustibles con inyectores duales en motores de combustión
Новиков OVERVIEW OF THE GAS SYSTEMS OF DIESEL ENGINES
Sakane et al. Combustion and Noise Characteristics in a Diesel Engine with Hydrogen Addition and Pilot Inj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