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5963A - 인퓨즈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제어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퓨즈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제어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5963A
KR20180135963A KR1020187033954A KR20187033954A KR20180135963A KR 20180135963 A KR20180135963 A KR 20180135963A KR 1020187033954 A KR1020187033954 A KR 1020187033954A KR 20187033954 A KR20187033954 A KR 20187033954A KR 20180135963 A KR20180135963 A KR 20180135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infusion
brewing
volum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1679B1 (ko
Inventor
기드온 듀발
Original Assignee
기드온 듀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드온 듀발 filed Critical 기드온 듀발
Publication of KR20180135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2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following a specific operational sequence, e.g. for improving the taste of the extraction produc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0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steam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1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making tea or the like, e.g. where the infusion liquid is kept a certain time in the filter before flowing 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9Details of hydraulic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1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performed over a network, e.g. by means of a computer or a handheld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47J31/5251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of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47J31/5253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of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47J31/525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of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42Continuous-flow heaters
    • A47J31/545Control or 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인퓨즈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제어된 시스템은 분배된 용매 용적 및 총 인퓨젼 시간의 함수인 용매 유량 변화를 생성하는 인퓨젼 알고리즘에서 활용되는, 분배된 용매 용적 및 총 인퓨젼 시간을 포함하는 인퓨젼 음료 매개변수를 수신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인퓨즈된 음료 브루잉 조립체를 포함한다. 시스템은 또한 인퓨즈된 용액을 생성하도록, 인퓨젼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작동 가능하게 구성된 펌프를 가진 용매 흐름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그리고 용매 흐름 관리 시스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리고 운영 인퓨젼 시간을 생성하도록 용매의 흐름의 유도와 연관된 계수기를 개시하도록 그리고 입력 매개변수에 기초하여 남은 인퓨젼 시간에 남은 인퓨젼 용적을 제공하는데 충분한 용매 유량 변화를 생성하도록 인퓨젼 알고리즘을 실행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된 전자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퓨즈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제어된 시스템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285,020호(출원일: 2016년 4월 25일) 및 제62/404,208호(출원일: 2016년 10월 5일)에 대한 우선권을 각각 주장하고, 이들 두 기초 출원의 전문이 참고로 편입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압력, 온도 및 용질을 통한 용매의 흐름을 활용하는 음료 브루잉 시스템(beverage brewing system)에 관한 것이다.
필터 매체 내에 포함된 용질을 가진 용매의 인퓨젼(infusion)을 통한 브루된 또는 인퓨즈된 음료(infused beverage)의 생성은 백년 이상 동안 수행되어 왔다. 시간이 흐르면서 브루잉 변수, 예컨대, 인퓨젼 온도, 압력 및 용질을 통한 용매의 유량의 변경이 결과로 발생한 음료의 화학적 조성 및 맛을 변화시킨다는 것이 이해되어 왔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브루잉 변수의 선택적인 조절을 통해 풍미 변경을 가능하게 하고자 하는 많은 브루잉 시스템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극소수의, 만약에 있다면, 브루잉 시스템은 인퓨젼 동안 동적인, 즉, 브루잉 사이클 내의, 이 변수 중 하나 이상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한 것 중에서, 인퓨젼 동안 하나 이상의 변수의 조절은 다른 브루잉 변수에 대한 의도하지 않은 변화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독립 변수 제어의 부재는 인퓨즈된 음료의 최적화 및 변경을 어렵게 만든다.
예를 들어, 인퓨젼 동안 사용자가 압력을 변경하게 하는 현재 이용 가능한 브루잉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필터 및 용질로 이루어진 저항성 매체에 의해 브루잉 챔버 내에 생성된 역압을 필요로 한다. 하나의 구성에서, 브루 챔버 압력 변경은 펌핑 에너지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동안 상기 저항성 용질 매체의 저항을 조절함으로써 달성된다. 이것은 인퓨젼 압력의 변경을 발생시키지만, 또한 인퓨젼 유량을 변화시킨다. 또 다른 종래의 이용 가능한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저항성 매체의 저항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동안 용매 펌핑력의 변동을 통해 인퓨젼 압력을 변경한다. 이것은 또한 인퓨젼 압력의 증가 그리고 동시에 인퓨젼 유량의 변화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종래의 시스템에서, 인퓨젼 과정 동안 압력 및 유량의 변수는 서로에 대해 의존적이다. 압력과 유량 둘 다가 브루된 인퓨젼의 화학적 조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인퓨즈된 용액의 화학적 조성을 최적화하고 그리고 일관된 음료를 생산하게 하는, 인퓨젼 압력 및 유량의 독립된 조절을 제공하는 브루잉 시스템을 위한 필요가 명백하다.
하지만, 동적 압력 제어를 제공하도록 하나 이상의 브루잉 변수를 변경하기 위해 구성되는 일부 공지된 디바이스는 또한 압력 제어와는 관계없이 유량에 대한 제어가 부족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시간에 대하여 브루 압력 및 온도를 조절하는 브루 포뮬러(brew formula)를 생성 및 실행하게 한다. 이것은 브루 챔버 내의 인퓨젼 압력을 모니터링하는 압력 센서의 사용을 통해 그리고 목적하는 인퓨젼 압력이 브루 챔버에서 달성되도록 물 펌프의 펌핑력을 조절하는 것을 통해 수행된다. 인퓨젼 물의 온도 제어는 온수와 냉수를 혼합하도록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비례 혼합 밸브를 활용함으로써 수행된다. 전술한 디바이스가 동적 온도 및 압력 제어를 제공할 수도 있지만, 이것은 나가는 인퓨즈된 음료의 유량을 조절하는 능력의 비용을 필요로 한다. 변화되는 나가는 유량은 불리하게는 일관되지 않은 음료 출력을 생성하고, 이는 많은 음료 소매상에게 부담이 된다. 비일관성은 또한 음료의 맛과 음료량 둘 다가 각각의 브루잉 사이클에서 변화될 수도 있기 때문에, 소매상과 소비자 둘 다에게 문제가 된다. 따라서, 유량, 총 분배된 용적 그리고 궁극적으로 음료 맛은 필터 매체 저항률과 함께, 용질 입자 크기, 패킹 밀도(packing density), 용질 수량의 변동과 같은 변수에 의존적이다. 이와 같이, 이것은 시간에 대하여 인퓨젼 압력 및 온도의 동일한 브루 포뮬러가 사용될지라도, 추출물의 풍미를 두 배로 만드는 것을 매우 어렵게 만든다.
인퓨젼 온도가 또한 인퓨즈된 음료 용액의 화학적 조성에 영향을 주는 것이 잘 이해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풍미를 최적화하도록 브루잉 과정 동안 브루잉 인퓨젼 온도를 변경하는 것을 유리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현재의 브루잉 시스템은 일관된 브루잉 온도를 제공하도록 디자인되는 큰 열용량을 가진 보일러 및 브루잉 챔버를 활용하고 따라서 최적의 풍미를 생성하도록 가변적인 인퓨젼 온도의 사용을 금한다. 따라서, 정밀한, 정확한 그리고 동적인 온도 제어를 제공하는 음료 브루잉 시스템은 음료 풍미의 최적화를 가능하게 할 것이고 필요하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인퓨즈된 음료의 생산 동안 온도, 압력 및 유량의 브루잉 변수의 브루어 독립된, 동적 변동을 제공하는 브루잉 시스템이 절실히 필요하다. 게다가, 음료 풍미에 대한 용질 압축 및 용질 입자 크기 변동과 같은 외부 요인의 영향을 완화 및/또는 제거하는 브루잉 시스템이 필요하다.
게다가, 특정한 공지된 시스템, 예컨대, 미국 특허 제8,124,150호(Majer)에 설명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센서를 활용하는, 브루잉 챔버의 하류의 실제의 유량과 미리 결정된 그리고 목적하는 값을 비교함으로써 유량을 제어하고자 한다. 용질의 압축 및 흡수로부터 생성된 압력이 브루잉 과정 전반에 걸쳐 변경되기 때문에, 공지된 시스템은 이에 따라 유량 및 브루 챔버 압력을 변화시키도록 브루잉 챔버의 상류의 밸브를 변경한다. 이 작동 모드는 이 시스템이 고장나기 쉽고 그리고 부정확하게 판독하기 쉬운 부가적인 센서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게다가, 이 시스템은 자체에 상당한 단점을 가진 피드백 루프를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위에서 설명한 단점을 해결할 필요가 또한 있다.
본 발명은 약술된 요구를 충족하는 인퓨즈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제어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 및 방법은 인퓨즈된 음료 브루잉 사이클을 더 편리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생성, 제어 및/또는 반복하는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이 인퓨즈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제어된 시스템 및 방법으로 구현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예시 및 설명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그리고 청구항의 등가물의 범위 및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구조적 변경이 행해질 수도 있기 때문에 도시된 상세사항으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잘 알려진 구성요소는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고 또는 본 발명의 관련된 상세사항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다.
전술한 내용 및 다른 목적이 보이는 곳에 제공되고, 본 발명에 따르면, 인퓨즈된 음료 브루잉 조립체에 의해 수용된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메모리에 저장된 인퓨젼 알고리즘에서 활용되는, 분배된 용매 용적 및 총 인퓨젼 시간을 포함하는 인퓨젼 음료 매개변수를 수신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인퓨즈된 음료 브루잉 조립체를 포함하는 인퓨즈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제어된 시스템이 개시된다. 인퓨젼 알고리즘은 분배된 용매 용적 및 총 인퓨젼 시간의 함수인 용매 유량 변화를 생성하도록 디자인된다. 시스템은 또한 인퓨젼 과정을 통해, 실제의 인퓨젼 압력 및 인퓨즈된 용액을 생성하도록 인퓨즈된 음료 브루잉 조립체의 브루잉 챔버에 수용된 용질을 통해, 용매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인퓨젼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펌프를 가진 용매 흐름 관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고, 브루잉 챔버와 펌프는 용매-흐름 도관을 통해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된다. 시스템은 또한 용매 흐름 관리 시스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리고 프로세서를 통해, 운영 인퓨젼 시간을 생성하도록 용매의 흐름의 유도와 연관된 계수기를 개시하도록 그리고 운영 인퓨젼 시간, 분배된 용매 용적 및 총 인퓨젼 시간에 기초하여 남은 인퓨젼 시간에 남은 인퓨젼 용적을 제공하는데 충분한 용매 유량 변화를 생성하기 위해 인퓨젼 알고리즘을 실행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자 제어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독립적이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한 용매 변경 매개변수를 포함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인퓨젼 알고리즘은 용매 변경 매개변수의 함수인 용매 유량 변화를 생성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에 따르면, 용매 변경 매개변수는 용매 유량의 가속, 용매 유량의 감속 및/또는 일정한 용매 유량을 구술(dictate)하는 수치 값이다. 용매 변경 매개변수는 하한 수치 범위와 상한 수치 범위, 예를 들어, -1 내지 1 범위 내일 수도 있다.
여전히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또한 인퓨즈된 음료 브루잉 조립체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용매 변경 매개변수, 분배된 용매 용적 및 총 인퓨젼 시간을 사용자 입력을 통해 수신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추가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또한 인퓨즈된 음료 브루잉 조립체에 의해 수용된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메모리에 저장된 안전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용매 흐름 관리 시스템은 실제의 브루 챔버 충전 압력이 최대 획정된 브루 챔버 압력을 초과한다면 용매 유량을 획정된 비율만큼 동적으로 감소시키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또한 용매의 흐름의 유도를 시작하는 제1 부분과 인퓨젼 과정에서 트리거링 조건을 시작하는 제2 부분을 가진 인퓨젼 과정을 포함하고, 인퓨젼 과정의 제2 부분은 브루잉 알고리즘의 실행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트리거링 조건은 외부 입력(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한 수동 작동), 운영 인퓨젼 시간 내의 지점, 분배된 용매 용적, 용매 흐름 저항의 증가에 의해 유발된 분배된 용매의 유량의 변화 및/또는 인퓨젼 충전 압력이다.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또한 독립적이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한 용매 변경 매개변수를 수신하고 그리고 인퓨젼 충전 압력을 수신하고/하거나 총 인퓨젼 시간 내의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일시적인 중지를 수신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인퓨젼 음료 매개변수 중 하나로서 사용자-명시된 브루 챔버 충전 속도를 수신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퓨즈된 음료 브루잉 조립체에 의해 수용된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메모리에 저장된 인퓨젼 알고리즘에서 활용되는, 분배된 용매 용적, 총 인퓨젼 시간 및 목적하는 초기의 브루 챔버 충전 속도, 목적하는 초기의 브루 챔버 충전 압력 및 용매 변경 매개변수(P)를 포함하는 인퓨젼 음료 매개변수를 수신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인퓨즈된 음료 브루잉 조립체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인퓨즈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제어된 시스템이 개시되고, 인퓨젼 알고리즘은 분배될 남은 용매 용적, 남은 인퓨젼 시간 및/또는 P의 함수인 용매 유량 변화를 생성하고, P는 독립적이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하고 그리고 용매 유량의 가속, 용매 유량의 감속 및 일정한 용매 유량 중 적어도 하나를 구술하는 수치 값이다. 시스템은 또한 실제의 인퓨젼 압력 및 인퓨즈된 용액을 생성하도록 인퓨즈된 음료 브루잉 조립체의 브루잉 챔버에 수용된 용질을 통해, 용매의 흐름을 동적으로 유도하도록, 인퓨젼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펌프를 가진 용매 흐름 관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고, 브루잉 챔버와 펌프는 용매-흐름 도관을 통해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된다.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또한 실제의 브루 챔버 충전 압력이 적어도 목적하는 초기의 브루 챔버 충전 압력에 도달하는지를 결정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실제의 브루 챔버 충전 압력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남은 인퓨젼 시간 및 남은 인퓨젼 용적을 생성하도록 실제의 브루 챔버 충전 압력이 적어도 목적하는 초기의 브루 챔버 충전 압력에 도달할 때 실제의 인퓨젼 시간량과 분배된 용매량을 결정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자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퓨즈된 음료 브루잉 조립체에 의해 수용된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메모리에 저장된 인퓨젼 알고리즘에서 활용되는, 분배된 용매 용적 및 총 인퓨젼 시간을 포함하는 인퓨젼 음료 매개변수를 수신하는 단계, 전자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여, 인퓨젼 과정, 실제의 인퓨젼 압력 및 인퓨즈된 용액을 생성하도록 인퓨즈된 음료 브루잉 조립체의 브루잉 챔버에 수용된 용질을 통해 용매-흐름 도관을 통한 용매의 흐름을 유도하는 단계, 운영 인퓨젼 시간을 생성하도록 용매-흐름 도관을 통한 용매의 흐름을 유도하는 것과 연관된 시간 계수기를 개시하는 단계, 및 운영 인퓨젼 시간, 분배된 용매 용적 및 총 인퓨젼 시간에 기초하여 남은 인퓨젼 시간에 남은 인퓨젼 용적을 제공하는데 충분한 용매 유량 변화를 생성하도록,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그리고 시간 계수기의 개시 후에, 인퓨젼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퓨즈된 음료 브루잉 사이클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을 위한 특성으로서 간주되는 다른 특징이 첨부된 청구항에 제시된다. 요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형태가 본 명세서에 개시되지만; 개시된 실시형태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이고, 이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한 구조적 그리고 기능적 상세사항은 제한적인 것으로서가 아닌, 단지 청구항을 위한 기반으로서 그리고 사실상 임의의 적절하게 상술된 구조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채용하도록 당업자에게 교시하기 위한 대표 기반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어구는 제한적인 것으로서가 아닌, 오히려 본 발명의 이해 가능한 설명을 제공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명세서가 신규한 것으로 간주되는 본 발명의 특징을 규정하는 청구항으로 마무리되지만, 본 발명은 유사한 참조 부호가 나열되는 도면과 함께 다음의 설명의 고려로 더 잘 이해될 것으로 여겨진다. 도면은 축척대로 도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개시 및 설명되기 전에,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특정한 실시형태만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음이 이해된다. 용어 "단수 표현"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하나보다는 하나 이상으로서 규정된다. 용어 "복수"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2보다는 2개 이상으로서 규정된다. 용어 "또 다른"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적어도 제2 또는 그 이상으로서 규정된다. 용어 "포함하는" 및/또는 "갖는"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포함으로서 규정된다(즉, 개방형 언어). 용어 "연결된"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연결로서 규정되지만, 반드시 직접적으로 그리고 반드시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단어 "시스템"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어떤 것을 수행 또는 분산하거나 또는 공통 목적을 이루기 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또는 컴포넌트로서 규정된다. 단어 "대응" 또는 그 등가물은 특징, 수량, 기원, 구조 또는 기능이 유사하거나 같은 것으로서 규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약" 또는 "대략"은 분명히 명시되거나 명시되지 않든 간에, 모든 수치 값에 적용된다.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당업자가 나열된 값(즉, 동일한 함수 또는 결과를 가짐)과 같은 것으로 고려하는 숫자의 범위를 지칭한다. 많은 예에서, 이 용어는 가장 가까운 유효 숫자를 아우르는 숫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용어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등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 시스템 상의 실행을 위해 디자인된 명령어의 시퀀스로서 규정된다. "프로그램",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서브루틴, 함수, 절차, 객체 기법, 객체 구현법,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애플릿, 서브렛, 소스 코드, 객체 코드, 공유 라이브러리/동적 로드 라이브러리 및/또는 컴퓨터 시스템 상의 실행을 위해 디자인된 명령어의 다른 시퀀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유사한 참조 부호가 개별적인 도면 전반에 걸쳐 동일하거나 또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첨부된 도면은 명세서에 그리고 명세서의 일부로 포함되고, 다양한 실시형태를 더 예시하도록 기능하고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한 원리 및 이점을 전부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독립적으로 제어된 음료 브루잉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독립적으로 제어된 음료 브루잉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독립적으로 제어된 음료 브루잉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독립적으로 제어된 음료 브루잉 디바이스의 부분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도 1의 음료 브루잉 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는 예시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과정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도 1의 음료 브루잉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예시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과정 흐름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도 1의 음료 브루잉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예시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과정 흐름도.
명세서가 새로운 것으로 여겨지는 본 발명의 특징을 획정하는 청구항으로 마무리되지만, 본 발명이 참조 부호가 쓰여있는 도면과 함께 다음의 설명의 고려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으로 여겨진다. 개시된 실시형태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이고, 이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본 발명이 특정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예시 및 설명되지만, 본 발명이 나타낸 상세사항에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다양한 변경이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그리고 청구항의 등가물의 범위 및 범주 내에서 상세사항에서 행해질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브루잉 시스템(100)을 도시하는 개략도가 도시된다. 브루잉 시스템(100)은 용매 온도 관리 시스템("solvent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STMS")(12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용매 흐름 관리 시스템("solvent flow management system: SFMS")(110)을 포함한다. STMS(120)는 브루잉/인퓨젼 챔버(13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인퓨젼 챔버(130)는 용액/인퓨젼 압력 관리/조절 시스템("solution/infusion pressure management/regulation system: SPMS")(14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작동 시, 용매(111)는 용매가 시스템(100) 전반에 걸쳐 선택된 그리고 선택적으로 조절된 속도로 펌핑되는 SFMS(110)에 진입한다. 당업자는 브루잉 시스템(100)이 보통 용매 도관을 통한 일정한 흐름(즉, 이동)의 조건 하에서 작동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용어 "도관"은 어떤 것이 운반되는 임의의 채널로서 규정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도관은 도관이 브루잉 시스템(100) 내에서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 또 다른 컴포넌트로, 진입하고 떠나는 곳에서 시작 및 종결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도관은 인퓨젼 과정의 초반부(예를 들어, SFMS)에서 시작될 수도 있고 그리고 인퓨젼 과정의 끝(예를 들어, 유출구)에서 종결될 수도 있다. 용매(111)는 이어서 용매가 선택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여 자동화되었는지 간에, 선택된 온도로 열적으로 조절되는 STMS(120)에 진입한다. 그 후에, 용매(111)는 용매가 용질(131)과 접촉되는 인퓨젼 챔버(130)에 진입하여, 인퓨즈된 용액(112)을 생성한다. "인퓨즈된 용액"은 단상 또는 다상 액체 물질의 임의의 혼합물로 간주될 수도 있다. 미립자 물질은 필터(132)를 통해 제거될 수도 있다. 인퓨즈된 용액(112)은 SPMS(140)를 통과한다. SPMS(140)는 인퓨젼 챔버(130) 내의 인퓨젼 압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한다. 인퓨즈된 용액(112)는 이어서 용기(150) 내로 분배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어 시스템(160)은 사용자-프로그램된 사양에 따라 인퓨젼의 유량, 온도 및 압력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용매 특성 변수를 독립적으로 그리고 자동으로 모니터링 및 변경하도록 사용된다. 제어 시스템(160)은 이에 따라 SFMS(110)를 조정함으로써 용매(111)의 유량을 변경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제어 시스템(160)은 STMS(120)의 조절을 통해 용매 온도를 조절한다. 게다가, 제어 시스템(160)은 또한 SPMS(140)를 조정함으로써 인퓨젼의 압력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인퓨젼 과정 동안, 전술한 인퓨젼 매개변수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인퓨젼 동안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 변수의 이러한 동적 변경은 결과로 발생한 용액(112) 내로 인퓨즈되는 화학물질 및/또는 용해된 고체를 변경하도록 활용될 수도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맞춤 가능한 선호 음료를 생산한다.
상기 선호 음료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매개변수는 사용자에 의해 원격으로 또는 현장에서 생성될 수도 있다. 게다가, 상기 매개변수는 프로그램 또는 브루잉 포뮬러로서 제어 시스템(160)에 메모리를 통해 저장될 수도 있고, 그리고 이어서 원한다면 선호 음료를 재생산하도록 리콜될 수도 있다. 제어 시스템(160)은 수많은 용질을 위한 최적의 인퓨젼 또는 동일한 용질에 대한 다수의 바람직한 인퓨젼을 제공하도록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인퓨젼 과정 동안 정확도 및 정밀도를 보장하기 위해서, 미도시된 피드백 센서, 예컨대, 열전대, 압력계 및 유량계가 브루잉 시스템(100) 전반에 걸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센서는 프로그램된 인퓨젼 조건이 원한다면 일관성 있게 달성 및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브루잉 시스템(100)의 양상을 조절하기 위해서 필요한 데이터를 센서에 제공하는 적절한 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피드백을 입증한다.
제어 시스템(160)은 브루잉 시스템(100)에 의해 생산된 인퓨즈된 음료의 수, 용량 및/또는 인퓨젼 매개변수와 같은 성능 데이터를 추적할 수도 있다. 이 데이터는 시스템 유지를 권장 및/또는 수행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기록된 시스템 에러 또는 데이터와 결합될 수도 있다. 제어 시스템(160)에 의해 기록된 데이터는 현장에서 또는 원격으로 액세스될 수도 있다.
흔히 이해될 바와 같이, 브루잉 시스템(100)은 용매(111)가 처음에 용매가 적절한 또는 목적하는 온도로 열적으로 조절되는 STMS(120) 내로 흐르도록 SFMS(110)와 STMS(120)가 반전되도록 재구성될 수도 있다. 그 후에, 열적으로 조절된 용매(111)는 SFMS(110)에 진입하고 이어서 인퓨젼 챔버(130) 내로 흐른다. 인퓨젼 챔버(130)는 용질이 폐기될 수 있는 임의의 구조적 하우징일 수도 있다.
선호 음료는 동적으로 조정 가능한 시스템의 하나 이상, 즉, SFMS(110), STMS(120)와 SPMS(140)의 합체에 의해 생산될 수도 있다. 상기의 또 다른 방식으로, 시스템(100) 컴포넌트 중 임의의 것, 예를 들어, SFMS(110)는 인퓨젼 과정 동안 용매/인퓨젼 매개변수를 조정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음료는 비-동적으로 제어된 SPMS(140)와 동적으로 제어된 SFMS(110)와 STMS(120)를 포함하는 브루잉 시스템(100)에 의해 생산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브루잉 시스템(100)은 비-동적으로 제어된 SFMS(110)와 SPMS(140)와 동적으로 제어된 STMS(1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대안적인 구성의 음료 브루잉 시스템(200)의 개략도가 도시된다. 상기 구성에서, 용매(202 및 201)는 2개의 SFMS(210)에 의해 펌핑되고, SMFS는 2개의 STMS(22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STMS(220)를 통과한 후에, 열적으로 조절된 용매(202 및 201)는 결과로 발생한 온도의 결과로 발생한 용매(203)를 생성하도록 결합된다. 이어서 결과로 발생한 용매(203)는 용질(232) 및 용매(203)의 인퓨젼이 일어나는 결과로 발생한 용매 도관-용매 도관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거나 간주될 수도 없음-을 통해 브루잉/인퓨젼 챔버(230) 내로 지나간다. 용질(232)과 용매의 인퓨젼 결과는 인퓨즈된 용액(204)을 생성한다. 이어서 인퓨즈된 용액(204)는 인퓨즈된 용액 도관-용매 도관 또는 결과로 발생한 용매 도관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거나 간주될 수도 없음-을 통해 SPMS(240)로 지나가고 그리고 이어서 유출구를 통해 용기(250)로 조립체를 나간다.
도 2의 형태로 도시된 브루잉 시스템(200)에서, SFMS(210)는 용매(202)를 수용하는 펌프(212) 및 용매(201)를 수용하는 펌프(211)를 구비한, 독립적으로 제어된 펌핑 장치(211 및 212)로 이루어진다. 상기 펌프(211, 212)는 브루잉 챔버(230) 내의 총 목적하는 인퓨젼 유량과 같은 부가적인 유량을 제공하도록 동시에 작용한다. 예를 들어, 목적하는 인퓨젼 유량이 1cc/sec라면, 펌프(211)는 0.7cc/sec로 펌핑될 수도 있고 그리고 펌프(212)는 0.3cc/sec로 펌핑될 수도 있다. SFMS(210)는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거나 또는 제어 시스템(280)에 연결될 수도 있어서,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목적하는 인퓨젼 온도 및 결과로 발생한 용매(203)의 총 목적하는 유량에 기초하여 용매(201, 202)의 요구된 유량을 달성하도록 펌프(211, 212)를 조절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SFMS(210)는 사용자에 의해 목적하는 인퓨젼 온도의 범위가 선택적인 조합을 통해 생산될 수도 있도록, 용매(202)가 열 조절기(222)에 의해 열적으로 조절되고 그리고 용매(201)가 열 조절기(221)에 의해 열적으로 조절되는 STMS(22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열 조절기(221, 222)에 의해 제공되는 열 조절은 인퓨젼을 위해 이용 가능한 용매 온도 범위에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20℃ 내지 100℃의 인퓨젼을 수행하기를 원한다면, 그러면 열 조절기(221)는 20℃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201)를 생산할 수도 있고 그리고 열 조절기(222)는 100℃ 이상의 온도에서 용매(202)를 생산할 수도 있다. 실제로, 이 범위 내의 인퓨젼 온도를 달성하기 위해서, SFMS(210)는 결과로 발생한 용매(203)의 목적하는 전체 인퓨젼 유량 및 온도를 충족하는 속도로 STMS(220)를 통해 용매(201, 202)를 선택적으로 펌핑할 것이다. 예를 들어, 브루잉 챔버(230) 및 시스템 도관으로부터 무시할 수 있는 열 손실을 가정하면, 사용자가 1cc/sec의 인퓨젼 유량 및 90℃의 인퓨젼 온도를 목적한다면, 용매(201)는 100℃로 조절될 수도 있고 그리고 용매(202)는 20℃로 조절될 수도 있다. 펌프(212)는 1/8cc/sec의 속도로 용매(202)를 흘릴 것이고 그리고 펌프(211)는 7/8cc/sec의 속도로 용매(201)를 흘릴 것이다. 인퓨젼 온도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브루잉 챔버(230) 및 시스템 도관의 비열용량 및 열전도율은 용매(201, 202)의 유량을 결정할 때 고려될 수도 있다. STMS(220)는 또한 필요에 따라 각각의 용매(201, 202)의 온도를 조절 및/또는 모니터링할 수도 있는 제어 시스템(280)에 연결될 수도 있다. STMS로부터의 용매 온도 및/또는 데이터는 SFMS의 성능을 조절하도록 제어 시스템(280)에 의해 활용될 수도 있어서, 유리하게는 목적하는 인퓨젼 온도 및 인퓨젼 유량을 달성한다.
STMS(220)는 브루잉 챔버(23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브루잉 챔버(230)는 용질(232)을 포함하도록 디자인된 챔버 하우징(231) 및 필터 시스템(233)으로 이루어진다. 브루 챔버 하우징(231)은 용질(232)의 삽입 또는 제거를 손쉽게 용이하게 하는 이동식 부분을 갖게 디자인될 수도 있다. 인퓨젼 온도의 신속한, 정확한 그리고 극적인 변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브루 챔버(230) 는 최소 비열용량 및 열전도율을 갖게 최적으로 디자인된다. 브루잉 챔버(230) 내에서, 결과로 발생한 용매(203)가 용질(232)과 접촉되어 용액(204)을 생성한다.
밸브(242)에 의해 생성된 흐름 저항의 추가를 통해 인퓨젼 압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SPMS(240)는 브루잉 챔버(23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필터(233) 및 용질(232)이 흐름에 대한 저항을 생성할 수도 있기 때문에, 압력 모니터링 디바이스(241)는 용질(232) 앞에 삽입되고, 압력 모니터링 디바이스(241)는 정확한 인퓨젼 압력 측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용매(203)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용질(232) 및 필터(233)에 의해 제공되는 압력보다 큰 인퓨젼 압력(즉, 인퓨젼 과정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밸브(242)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도 있고 용액(204) 흐름 저항을 증가시켜서 인퓨젼 압력을 증가시킨다. 일단 활성화된다면, 밸브(242)가 선택적으로 비활성화될 수도 있어서 흐름 저항 그리고 따라서 인퓨젼 압력을 감소시킨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밸브(242)는 니들 밸브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밸브(242)는 버터플라이 밸브, 글로브 밸브, 핀치 밸브 또는 브루잉 챔버(230) 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흐름 방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적인 밸브는 미립자 물질, 오일, 및 인퓨즈된 용액에 존재할 수도 있고, 최소 내부 용적을 갖고, 손쉽게 클리닝되고, 그리고 최소 열전도율 및 비열용량을 갖는, 다른 용해된 고체에 영향받지 않는다. 실제로, 압력 모니터링 디바이스(241)가 인퓨젼 압력을 모니터링하도록 사용되고, 이는 결국 인퓨젼 압력을 조정하도록 밸브(242)를 조절한다. SPMS(240)는 목적하는 인퓨젼 압력을 달성하도록 압력 모니터링 디바이스(241)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밸브(242)를 조절할 수도 있는 제어 시스템(28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일단 용액(204)이 음료 브루잉 시스템(200)을 나간다면 용액을 수용하는 용액 용기(250)는 SPMS(24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흔히 이해될 바와 같이, 브루잉 시스템(200)은 SFMS(210)에 나중에 진입하고, 그리고 이어서 브루잉/인퓨젼 챔버(230) 내로 흐르기 전에, 용매(201, 202)가 적절한 온도로 가열되는 STMS(220) 내로 용매가 처음에 흐르도록 SFMS(210)와 STMS(220)가 반전되게 재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어 시스템(280)은 유량, 온도, 및 인퓨젼 압력을 독립적으로 그리고 자동으로 변경하도록 사용된다. 제어 시스템(280)은 이에 따라 SFMS(210)를 조정함으로써 용매(201, 202)의 유량을 변경한다. 부가적으로, 제어 시스템(280)은 STMS(220)의 조절을 통해 용매 온도를 조절한다. 게다가, 제어 시스템(280)은 SPMS(240)를 조정함으로써 인퓨젼 압력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인퓨젼 과정 동안, 제어 시스템(280)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전술한 인퓨젼 매개변수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이 동적 변경은 사용자 또는 소비자에 의해 선호 음료를 생산하는 결과로 발생한 용액 내에 인퓨즈된 화학물질 및/또는 용해된 고체를 변경하도록 활용될 수도 있다. 상기 선호 음료를 생산하도록 요구되는 매개변수는 제어 시스템(280)에 프로그램 또는 브루잉 포뮬러로서 저장될 수도 있고 그리고 선호 음료 포뮬러를 재생산 및 반복하도록 원한다면 리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인퓨즈된 음료 포뮬레이트는 인퓨젼 과정 매개변수로 구성된 임의의 레시피 또는 포뮬레이션일 수도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브루잉 시스템(300)을 도시하는 또 다른 개략도가 도시된다. 음료 브루잉 시스템(300)은 브루잉 시스템이 인퓨즈된 음료를 생산하게 하도록 조정되면서 또한 거품 음료를 위한 증기를 생산하고 그리고 브루잉 챔버를 통한 용매의 통로 없이 열적으로 조절된 용매의 선택적인 분배를 가능하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매(301)는 용매 펌프(311, 312)(용매 펌프(211 및 212)의 작동 가능한 등가물)를 포함할 수도 있고 그리고 STMS(320)와 유체 연통되는, SFMS(310)에 의해 펌핑된다. STMS(320)는 본 실시형태에서 SFMS(310) 또는 다른 용매 소스, 즉, 보일러로부터 용매 흐름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열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당업자에게 분명할 바와 같이, 하나의 용매의 열 조절은 인퓨젼을 위한 최소 온도가 용매(301)의 온도일 것임을 구술한다. STMS(320)는 열 교환기(323)의 사용을 통해 용매 펌프(311, 312)로부터 펌핑된 용매(301)를 선택적으로 가열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열 교환기(323)는 보일러 용매 공급선(324)으로부터 공급된 용매 및 가열 구성요소(321)에 의해 가열되는 증기 보일러(322)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용매 재순환 시스템(326)은 바람직하게는 용매 재순환 시스템이 증기 보일러(322)의 하류 및 상류에 연결되도록, 열 교환기(323)와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된다. 용매 재순환 시스템(326)은 최적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열적으로 조절된 용매(301)를 선택적으로 재순환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용매 재순환 펌프(327)는 또한 용매(301)의 재순환을 돕도록 활용될 수도 있다. 용매(301)의 온도는 온도 측정 디바이스(325)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도 있다. 온도 측정 디바이스(325)는 그 성능을 조절하도록 그리고 용매 도관 내의 목적하는 온도 및/또는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기(380) 또는 다른 수단의 사용을 통해, 재순환 펌프(327)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온도 측정 디바이스(325)는 또한 목적하는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용매의 흐름을 억제하도록 작동 가능한 증기 보일러의 하류 밸브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시스템(300)은 또한 하나 이상의 도관의 사용을 통해, 증기 보일러(322)와 유체 연통되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증기(371)의 분배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증기 분배 시스템(370)을 활용할 수도 있다. 상기 증기(371)의 분배는 또한 증기 보일러(322)와 유체 연통되고 그리고 증기(371)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작동 가능한, 증기 밸브(372)에 의해 제어된다. 증기 분배 시스템(370)은 또한 음료의 거품에 최적화되는 방식으로 증기(371)를 분배하도록 특유의 방식으로 조정될 수도 있는 증기 분배 노즐(373)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당업자에게 분명할 바와 같이, 증기 보일러(322)는 증기(371)를 압력 스위치 또는 대안적인 등가물(미도시)에 의해 제어된 압력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증기 보일러(322)는 또한 선택적으로 작동 가능한 충전 밸브 및 유체 레벨 스위치(미도시)의 사용을 통해 충분한 용적의 용매 레벨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음료 브루잉 시스템(200)과 작동 가능한 등가 방식으로, 용매 펌프(312)에 의해 펌핑된 열적으로 조절된 용매(301)는 뚜렷하게 열적으로 조절되지 않고 그리고 따라서 상이한 온도인 용매 펌프(311)에 의해 펌핑된 용매(301)와 혼합될 수도 있어서 결과로 발생한 온도의 결과로 발생한 용매(301a)를 생성한다. 목적하는 온도 및 유량에 따라, SFMS는 온도 측정 디바이스(325 및 325a)에 의해 측정된 용매 온도에 기초하여 용매(301)를 펌핑한다. 시스템(300)은 또한 결과로 발생한 용매(301a)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디바이스(325b)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온도 측정 디바이스(325b)는 결과로 발생한 용매(301a)가 목적하는 온도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SFMS의 성능을 변경할 수도 있는 제어기(380)에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온도 측정 디바이스(325b)는 결과로 발생한 용매(301a)를 목적하는 온도로 작동 가능하게 조절하도록 가열 구성요소(321) 또는 다른 시스템(300) 컴포넌트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브루 챔버(330)로의 결과로 발생한 용매(301a)의 흐름은 바람직하게는 결과로 발생한 용매(301a)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거나 또는 억제하고, 브루 챔버(330)로의 결과로 발생한 용매(301a)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고, 외부의 비-브루 챔버 위치로의 결과로 발생한 용매(301a)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고 그리고/또는 드레인(미도시)으로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밸브(328)에 의해 제어된다. 밸브(328)는 제어기(380)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되거나 자동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실제로, 브루잉 시스템(300)이 디폴트 상태일 때, 밸브(328)가 폐쇄되어 유체 흐름을 방지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억제한다. 시스템(300)의 활성 상태는 사용자가 용매(301a)가 브루 챔버(330)를 통과하는 일 없이 결과로 발생한 용매(301a)의 특정한 온도 및/또는 용적을 제공하길 원하거나 또는 용매(301a)가 브루잉 챔버를 통과하길 원할 때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이로 제한되진 않는다. 따라서, 활성 상태는 목적하는 온도, 용적 및 유량으로 용매(301a)를 제공하는 SFMS와 STMS를 사용하여 용매(301a)가 분배 스파우트(분배 spout)(329) 외부로 흐르게 하도록 밸브(328)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시스템 컴포넌트의 상기 독립된 제어는 유리하게는 종래 기술의 브루잉 시스템으로 이용 불가능한 사용자 최적의 제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밸브(328)는 용매(301a)가 드레인(미도시)으로 향하게 할 수도 있고, 이는 시스템 내의 용매(301a) 또는 임의의 가스의 플러싱(flushing)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밸브(328)는 또한 용매(301a)가 인퓨젼을 위한 브루 챔버(330) 또는 분배를 위한 분배 스파우트(329)로 향하기 전에 목적하는 온도인 것을 보장하도록 활용될 수도 있다. 이것은 온도 측정 디바이스(325b)가 용매(301a)가 적절한 온도인 것을 나타낼 때까지 용매(301a)를 드레인으로 향하게 하는 밸브(328)에 의해 달성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밸브(328)는 용매(301a)를 증기 보일러(322) 또는 재순환 펌프(327)로 재순환시킬 수도 있다. 용매(301a)가 적절한 온도일 때, 그러면 밸브(328)는 용매(301a)가 인퓨젼 챔버(330) 또는 분배 스파우트(329)로 향하는 것을 전환할 수도 있다.
용매 팽창 밸브(미도시)가 시스템(300)에 포함될 수도 있고 용매 팽창 밸브는 용매(301a)와 유체 연통되게 배치된다. 용매 팽창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선택된 압력 위에서 개방되고 그리고 용매(301a)를 저장소 내에 저장하고 그리고 용매(301a)의 압력이 선택된 압력에 이르기까지 다시 낮춰질 때 용매를 다시 시스템(300) 내로 재도입하도록 구성된다. 부가적인 작동 모드에서, 용매 팽창 밸브는 제1 압력과 제2 압력 간의 선택된 용적의 용매(301a) 및 제3 압력과 제4 압력 간의 제2 용적의 용매(301a)를 개방 및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작동 모드는 이동 동안 상이한 단계에서 피스톤의 이동과 대응하도록 구성된 일련의 스프링, 기체, 기계적 또는 작동 가능한 등가물의 사용을 통해 달성될 수도 있다.
인퓨젼, 즉, 인퓨젼 과정의 결과물을 생성할 때, 용매(301a)는 밸브(328)를 통과하고 그리고 브루잉 챔버(330)로 향하게 된다. 브루잉 챔버는 바람직하게는 필터 시스템(333)의 제거 및 교체를 손쉽게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챔버 하우징(331)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챔버 하우징(331)은 서로에 대해 팽팽한 그리고 비교적 유연성이 없는 연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필터 시스템(333)보다 치수 면에서 약간 더 큰 크기이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챔버 하우징(331)의 내부 용적은 용질(332)과 필터 시스템(333)의 내부 용적과 거의 같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하우징(331)과 필터 시스템(333)의 연결은 서로에 대해 치수 변동을 가질 수도 있다. 필터 시스템(333)은 인퓨젼을 용이하게 하도록 용매(301a)와 유체 연통되게 배치되는 용질(332)을 포함할 수도 있어서, 용액(301b)(용매(301a)/용질(332) 혼합물)을 생성한다. 전술한 SPMS(240)와 같게 작동 가능한 SPMS(340)는 브루 챔버(330)와 유체 연통된다. SPMS(340)는 밸브(342) 및 압력 모니터링 디바이스(341), 예를 들어, 펌프 또는 밸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밸브(342)가 브루 챔버(330)의 외부로의 용액(301b)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방해하도록 구성되어, 유리하게는 브루 챔버(330) 내의 인퓨젼 압력을 조절한다. 용액(301b)이 밸브(342)를 통과한 후에, 용액은 브루잉 시스템(300)으로부터 이동식 컵(350) 또는 작동 가능한 등가물로 나간다.
당업자에게 분명할 바와 같이, 브루잉 시스템(300)의 구성은 상기 브루잉 시스템의 성능을 감소시킬 수도 있는 상기 브루잉 시스템(300) 내의 잠재적인 캐비테이션(cavitation)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용매(301a 및 301)가 일정한 정압 하에 있도록 상기 시스템(300)을 구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 및 도시된 제어 시스템(280)과 같게 작동 가능할 수도 있는 제어 시스템(380)은 브루잉 시스템(300)이 시스템(300)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조정된다. 제어 시스템(380)은 용매(301a)의 인퓨젼 또는 분배 동안 나타나는 추출을 위한 사용자의 사양을 보장하도록 SFMS(310), STMS(320) 및 SPMS(340)의 성능을 조절할 수도 있다.
개시된 음료 브루잉 시스템(300)의 하나의 이득은 인퓨즈된 용액 품질의 역효과 없이 브루잉 챔버(330)를 STMS(320)와 SPMS(340)로부터 실질적으로 분리하는 능력이다. 전술한 구성의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용매(301a)가 브루잉 챔버(330) 가까이에서 생산되도록 구성되어 브루 챔버(330)에 대한 STMS(320)와 SPMS(340)의 이격 거리와 상관없이 정확한 인퓨젼 온도를 보장한다. 상기 분리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를 포함한 대중에 대한 음료 브루잉 시스템(300)의 전체 외관의 최소화를 가능하게 한다. 실제로, 브루잉 시스템 외관을 최소화하는 하나의 방법론은 SPMS와 브루잉 챔버(330)가 보이게 STMS(320)와 SFMS(310)를 사용자의 시야 외에 배치하는 것이다. 도 4는 전술한 시각적으로 최소화된 시스템의 보이는 부분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4는 플랫폼 장착판(402)과 기계적 지지부(401)를 포함할 수도 있는 보이는 브루잉 컴포넌트(400)를 도시한다. 보이는 브루잉 컴포넌트(400)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 및 도시된 브루 챔버(330)와 같게 작동 가능한 브루 챔버(40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컴포넌트(400)는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 및 도시된 SPMS(340)와 같게 작동 가능한 SPMS(410)를 또한 포함한다. 컴포넌트(400)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 및 도시된 이 비슷한 컴포넌트와 같게 작동 가능한 증기 분배 노즐(451) 및 분배 스파우트(450)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몸체로서 또한 지칭될 수도 있는 컴포넌트(400)는 방향 지표(431)에 의해 나타낸 인터페이스 하우징(420)의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한 회전 또는 방향 지표(432)로 나타낸 역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힌지 지지부(422)에 의해 기계적 지지부(401)에 대한 작동 가능한 부착부로 바람직하게는 이루어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하우징(420)에 수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421)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 하우징 제어 레버(430)가 인터페이스 하우징(420)에 부착될 수도 있어서 선택적인 이동을 돕는다. 센서 수단(미도시)은 상기 음료 브루잉 시스템의 컴포넌트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도록 활용될 수도 있는 힌지 지지부(422)를 중심으로 한 인터페이스 하우징(420)의 움직임을 검출하도록 활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전환 수단의 예시적인 사용은 증기 분배 노즐(451)로부터 증기의 분배를 용이하게 하는 증기 분배 밸브(미도시)의 구동이다. 상기 분배는 수동으로 제어된 증기 분배를 발생시키는 한 방향으로의 이동 및 거품 음료의 온도 상승에 대하여 제어될 수도 있는 증기의 자동화된 분배를 개시하는 다른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개시될 수도 있다.
브루 챔버(403)는 이동식 필터 하우징(461) 내에 필터 시스템(미도시)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그 둘 다는 위에서 설명된 방식과 같게 작동 가능할 수도 있다. 필터 하우징(461)은 바람직하게는 제거 및 교체를 돕도록 구성되는, 필터 하우징에 부착된 필터 시스템 핸들(460)을 갖는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인퓨젼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SPMS(410)는 이동식 필터 하우징(461)과 작동 가능하게 맞물린다.
도 5는 본 발명을 위한 과정 흐름도를 도시한다. 브루 포뮬러 생성의 과정이 단계(500)에서 시작된다. 단계(501)는 브루 포뮬러 생성 기구의 초기화이다. 이 단계에서, 사용자는 상기 브루 포뮬러를 생성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대안적인 수단에 액세스할 것이다. 단계(502)에서, 포뮬러 명칭이 생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명칭은 유일무이하고, 독특하며 그리고 상기 브루를 생성하도록 사용될 용질을 나타낸다. 단계(503 내지 507)는 브루 매개변수를 명시한다. 단계(503)에서, 시간에 대한 온도가 바람직하게는 명시된다. 단계(504)에서, 압력이 바람직하게는 시간에 대하여 구술되고 그리고 단계(505)에서, 용적이 시간에 대해 명시된다.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전술한 브루 매개변수는 온도, 용액 유량 및 인퓨젼 압력의 매개변수가 명시되는 한 다른 매개변수에 대하여 명시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브루 포뮬러는 단계(506), 필터 면적의 사양, 및 단계(507), 용질 매개변수의 사양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용질 매개변수는 브루 포뮬러를 실행할 때 조작자에게 유용할 수도 있는 평균 용질 입자 크기, 압축 및 임의의 다른 관련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508)에서, 전술한 매개변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공지된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브루 포뮬러 생성의 과정은 단계(508a)에서 완료된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음료 브루잉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예시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과정 흐름도가 도시된다. 음료를 브루하길 선택하여, 사용자는 단계(510)에서 시작된다. 단계(509)에서, 브루잉 포뮬러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다. 단계(511a) 동안, 용질은 사용자의 요구 및/또는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어 시스템(160)으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따라 용질 변경 시스템에 의해 기초하여 적절한 크기로 변경된다. 단계(511) 동안, 용질은 브루잉/인퓨젼 챔버(130)에 삽입된다. 그 후에, 브루 포뮬러 실행이 단계(512)에서 개시된다. 단계(514)에서, 신호가 브루잉 디바이스(100)와 같게 작동 가능한 브루잉 디바이스(513)의 제어 시스템(160)으로 전송된다. 단계(515)에서, 제어 시스템(160)은 용매가 브루잉 디바이스(513)에 진입하게 한다. 단계(516) 동안, SFMS(110, 210, 310)가 제어 시스템(160)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선택된 브루 포뮬러에 의해 구술된 속도로 용매가 흐르게 한다. 단계(517) 동안, STMS(120)는 제어 시스템(160)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그리고 브루 포뮬러에 따라 용매를 열적으로 조절한다. 브루 챔버(130) 내의 용매와 용질의 인퓨젼은 단계(518) 동안 발생한다. 단계(519) 동안, 인퓨즈된 용액/음료는 상기 브루잉 챔버(130)로부터 나간다. 단계(520) 동안, 용액은 제어 시스템(160)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SPMS(140)를 통해 횡단하여, 인퓨젼 과정 동안 압력 조절을 발생시킨다. 단계(521) 동안, 용액은 브루잉 디바이스(513)를 나간다.
당업자에게 분명할 바와 같이, 단계(516, 517, 518, 519, 520)는 전부 동시에 발생할 수도 있다. 단계(521)의 끝에서, 브루잉 챔버(130)로부터 사용된 용질의 제거가 단계(522) 동안 발생한다. 용질 제거 후에, 과정은 단계(523)에서 종료된다.
SFMS(110, 210, 310)는 브루잉 시스템을 통해 용매의 정확한, 계량된, 가변적인 흐름을 제공하는 유체를 이동시키는 시스템이다. 해당 시스템은 브루어에 의해 요구되는 압력 및 속도 이상의 압력 및 속도로 흐름을 제공할 수 있는 펌핑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펌프는 바람직하게는 작동 시 용적 측정되지만, 기어 펌프, 피스톤 펌프, 회전 베인 펌프 또는 전술한 기준을 충족하는 임의의 다른 펌프이다. 펌핑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목적하는 유량 및 용적이 분배되는 것을 보장하는 피드백 기구로서 작용하는 용매 유량계(들) 또는 등가 기구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펌핑은 서보 또는 스테퍼 모터와 같은 피드백 및/또는 위치 제어를 하는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100% 용적 효율의 펌프에 의해 수행되어, 유량계의 사용이 정확한 유량을 달성하도록 요구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펌핑 수단은 시스템 압력에 상관없이 브루잉 과정 동안 요구된 유체 유량을 조절 및 유지할 수 있다. SFMS는 자가 제어 시스템일 수도 있거나 또는 성능을 모니터링 및 조절하는 외부의 시스템 제어기에 연결될 수도 있다.
STMS(120, 220, 320)는 신속하게 가변적인, 정확한 그리고 정밀한 온도 용매를 브루잉 챔버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예시적인 시스템은 즉각적인 또는 탱크가 없는 용매 가열 시스템과, 자동 온도 조절의 혼합 밸브/시스템의 사용을 포함한다. 활용된 시스템에 상관없이, 이상적인 STMS는 조작자가 원하는 온도 이상인 온도의 변동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적인 STMS는 용질과 접촉하는 적어도 0.5℃/sec 또는 0.1℃/mL의 흐름의 속도로 용매 온도 조절을 제공하는 능력을 갖고 그리고 인퓨젼 동안 +/- 3℃의 최소 정확도를 제공한다. 최적의 시스템은 용매를 전달할 때 용질 재료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용매 도관의 비열용량 및 열전도율을 고려한다.
이상적인 브루잉 챔버(130, 230, 330)는 SFMS, STMS 및 SPMS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시스템이다. 브루잉 챔버는 용액과 용질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여 인퓨즈된 용액을 생성하고, 선택적으로 용질 매체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인퓨즈된 용액이 상기 브루잉 챔버를 나가게 하도록 구성된 챔버를 포함한다. 이상적인 브루잉 챔버는 인퓨젼 온도가 신속하게 변경될 수 있도록 최소 비열용량 및 열전도율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브루잉 챔버는 용매와 접촉하는 재료가 1W/m*K 이하의 열전도율을 갖도록 구성되고, 예시적인 재료는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 PEEK)의 폴리머의 부류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브루잉 챔버는 브루잉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압력보다 큰 압력을 견딜 수 있다.
인퓨즈된 용액 흐름 저항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브루잉 챔버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SPMS(140, 240, 340)는 브루잉 챔버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SPMS는 브루 챔버 내의 용질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압력 측정 디바이스 및 인퓨즈된 용액 흐름 저항을 조절할 수 있고 따라서 브루잉 챔버 내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밸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밸브는 압력 조절기, 니들, 버터플라이, 글로브 및 핀치 밸브 또는 브루 챔버 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흐름 조절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상적인 밸브는 미립자 물질, 오일, 및 인퓨즈된 용액 내에 존재할 수도 있는 다른 용해된 고체에 영향 받지 않는다. 게다가, SPMS는 최소 내부 용적을 최적으로 포함하고 그리고 적어도 +/- 0.5Bar의 정확도와 0.25Bar/sec 초과의 최소 압력 변화율로 챔버 내의 압력을 조정한다. 부가적으로 내부 용적은 손쉽게 클리닝되어야 한다.
전자 제어 시스템(160, 280, 380)은 인퓨젼 과정 동안 SFMS, STMS 및 SPMS의 성능을 선택적으로 조절 및 모니터링하도록 이상적으로 사용된다. 부가적으로, 제어 시스템은 상이한 개인적 선호 및 용질에 맞춰질 수도 있는 브루잉 "포뮬러"로 사전에 프로그램될 수 있다. 이 포뮬러는 원할 때 리콜될 수도 있어서 따라서 브루잉 결과물을 재생산하는데 요구되는 노동량, 기술 및 시간을 최소화한다. 제어 시스템은 인터넷에 연결되는 것과 같이 네트워킹 능력을 포함할 수도 있어서, 원격 시스템 모니터링 및 브루잉 시스템으로의 브루잉 "포뮬러"의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시스템은 실행 가능한 추출을 생성하도록 다수의 사용자 귀속 변수를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변수는 압력, 유량, 온도, 전체 시간 및 분배된 용적을 포함한다.
당업자에게 분명할 바와 같이, 유량, 인퓨젼 시간 및 분배된 인퓨젼 용적의 변수는 전부 독립 변수가 아니고, 따라서 제어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게 원하는 2개의 독립 변수를 선택하는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인퓨젼 시간에 대한 인퓨젼 유량을 구술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어서 따라서 분배된 용적을 독립 변수로 만든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시간에 대한 분배된 용적을 구술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어서 유량을 제어 시스템에 의해 결정된 독립 변수로 만든다.
게다가, 상기 제어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다른 변수에 대하여 모든 브루 변수를 동적으로(즉, 브루잉 과정 동안) 변경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압력, 시간 또는 용적에 대하여 온도의 변수를 구술하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압력이 시간 또는 용적 또는 온도에 대하여 구술될 수도 있다. 그러나, 명료성을 위해, 모든 변수가 STMS, SFMS, 브루 챔버 및 SPMS의 능력에 의해 지배되는 변화율과 절대 제한으로 시간 또는 분배된 용적의 동일한 매개변수에 대하여 구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드백 기구가 실제의 인퓨젼이 브루 포뮬러의 설정값 중 임의의 것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에러 메시지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게 에러를 전하게 생성되어 사용자가 브루 포뮬러를 변경할 수도 있거나 또는 브루잉 시스템이 브루 포뮬러를 성공적으로 실행하게 하도록 용질 및/또는 필터 매체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인퓨젼 알고리즘적으로서 또한 지칭되는 브루 포뮬러가 설정된 용적을 위해 생성되고 그리고 사용자가 유효 브루 매개변수를 유지하는 동안 브루된 용액의 용적을 증가시키길 원하는 경우에, 제어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원래의 브루 포뮬러를 취할 수 있고 그리고 분배된 유량을 일시적인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고, 따라서 총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그리고 또한 증가된 인퓨젼 용적이 원래의 브루 포뮬러와 일관된 풍미인 것을 보장하도록 필터 매체 크기의 증가를 권고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160, 280, 380)은 인퓨젼 동안 SFMS, STMS 및 SPMS 중 임의의 것의 제어를 돕도록 하나 이상의 인퓨젼 알고리즘을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FMS(110, 210, 310)를 제어하는 것과 관련하여, 알고리즘은 사용자가 인퓨젼 동안 SFMS에 의해 생산된 유량을 결정하도록 총 용매 인퓨젼 시간 및 총 목적하는 분배된 용적을 입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선형 또는 비선형 변화율의 가속 또는 감속을 가진 다양한 유량을 생성할 수 있는 다수의 가능한 알고리즘이 있다. 추가의 작동 모드에서, 다수의 알고리즘은 인퓨젼의 매개변수를 제어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알고리즘이 인퓨젼 동안 SFMS 작동을 명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하나의 알고리즘은 SFMS에 의해 분배된 용적 및 시간의 제1 부분을 위해 사용되고 그리고 제2 알고리즘은 인퓨젼의 용적 및 시간의 제2 부분을 위해 사용된다.
알고리즘(들)은 또한 조작자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는 변수를 포함할 수도 있고, 조작자는 예를 들어, 디지털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서와 같이, 디지털 및 아날로그 입력부 상에 숫자, 값 또는 변수를 입력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조작자는 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인터페이스에 도시된 스케일로 슬라이드의 사용을 통해서와 같이, 그래픽적으로 숫자, 값 또는 변수를 입력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숫자 또는 값, 변수는 사용자가 대안적인 알고리즘을 선택 또는 입력하는 것을 요구하는 일 없이, 알고리즘이 인퓨젼 매개변수를 명시하는 방법을 변경하는 매개변수이다.
예를 들어, 인퓨즈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목적하는 시간에 목적하는 용적을 달성하도록, 용매가 분배되는 양, 즉, 유량(들)을 결정하는, 총 인퓨젼 시간, 총 용매 용적, 및 알고리즘 변경 매개변수(P)를 받아들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변경 매개변수는 변경 매개변수가 임의의 특정한 브루잉 매개변수를 나타내지 않는다는 점에서 독립적일 수도 있다. 예시적인 알고리즘에서, 사용자는 목적하는 용적 및 시간을 달성하기 위해서 용매 유량(들) 및/또는 유량 변화를 변경하도록 P의 값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P가 아닌 브루 시간 및/또는 브루 용적의 값을 변화시킬 수도 있고, 그리고 알고리즘은 용매가 동일한 유량(들)이 아닌 동일한 일반적인 유량 경향을 유지하면서 목적하는 시간 및 용매 용적을 달성하도록 분배되는 양을 조정할 것이다. 이것은 조작자가 인퓨전을 위해 요구되는 유량 경향을 제공하고 그리고 새로운 유량(들)을 분명히 구술하는 일 없이 인퓨젼 시간 및/또는 용매 용적을 변경하게 하는 P를 선택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총 인퓨젼 시간 및 용매 용적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도 있고 그리고 P를 변경할 수도 있어서, 인퓨젼 동안 용매 유량(들)을 변화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알고리즘이 구성되어, P는 하나의 효과를 유발하는 범위의 하나의 단부와, 값의 범위의 중간에 발생하는 변곡점이 지닌 같은 효과 및 역효과를 유발하는 범위의 다른 단부를 가진 값의 범위일 수도 있다. 알고리즘은 또한 각각의 시스템에서 일정한 변화 또는 단계별 변화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알고리즘은 또한 사용자가 초기 또는 마지막 유량 값을 명시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알고리즘은 사용자가 인퓨젼 동안 포함되길 원할 수도 있는 중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SFMS를 제어하도록 적용될 수도 있는 하나의 예시적인 알고리즘은 용매 흐름의 일정한, 가속된 또는 감속된 속도를 생성한다. 유량 변화의 속도는 사용자 입력된 알고리즘 변경 변수 또는 매개변수(P)에 의해 명시되고, 여기서 P는 1≤P≤-1과 같은 예시적인 값이며, 1은 최대 가속이고 -1은 최대 감속이며 그리고 0은 일정한 유량이고, 용매의 가속, 감속, 및/또는 일정한 흐름은 집합적으로 "ADC 유량"으로 지칭된다. 용매 흐름 가속 속도(m)를 결정하기 위해서, 펌프로부터, 총 분배된 용매 용적(V), 및 상기 인퓨젼 과정이 마지막일 총 인퓨젼 시간(T)이 공식(
Figure pct00001
)에서 사용된다. 사용 시,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입력을 통해 또는 브루잉 시스템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V, T P에 대한 값을 확인할 수도 있고 그리고 초기 용매 유량(b)을 계산하고, 여기서
Figure pct00002
이고, 그리고 SFMS가 이 초기 속도로 유체를 흐르게 하고 그리고 가속 속도(m)로 T초 동안 유량을 일정하게 가속하게 한다. 사용자 입력된 알고리즘 변경 매개변수는 유익하게는 사용자가 대안적인 알고리즘을 입력 및/또는 선택하는 일 없이 ADC 유량에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30초의 총 시간에 85cc의 용매를 분배함으로써 인퓨즈된 음료를 생산하길 원하고 그리고 0.6의 용매 변경 매개변수를 선택한다면,
Figure pct00003
;
Figure pct00004
;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따라서, 제어 시스템은 유체를 1.133cc/sec의 속도로 흐르게 하기 시작할 것이고 그리고 30초 동안 0.1133cc/ sec 2 로 흐름의 속도를 일정하게 가속할 것이다. 30초의 끝에, 85cc의 용매가 분배될 것이다.
SFMS 제어의 대안적인 방법에서, 인퓨젼 동안 일정한 용매의 가속 또는 감속 속도를 갖기보다는, 용매 흐름의 가속 또는 감속 속도(m)는 수개의 일정한 유량 단계에 의해 근사값이 구해진다. 이 단계를 생성하는 예시적인 방법은 인퓨젼을 각각의 단계의 중간에서 시간을 가진 같은 지속기간의 복수의, 예를 들어, N개의 단계로 분할하는 것이고,
Figure pct00008
는 단계 유량을 계산하도록 사용되고, 단계에 대한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이고, b는 초기의 용매 유량이다.
제어 시스템은 또한 인퓨젼 동안, 브루 챔버가 획정된 최대 압력에 도달한다면, 제어 시스템이 유량을 획정된 비율만큼 감소시킬 것이고 그리고 최대 안전 값에 다시 도달한다면 유량을 획정된 비율만큼 계속해서 감소시킬 안전 알고리즘을 갖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일단 총 목적하는 분배된 용적에 도달된다면,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총 샷 시간(shot time)과, 과압 값에 도달했음을 알릴 수도 있다.
대안적인 안전 알고리즘에서, 인퓨젼 압력이 제1 사용자- 또는 시스템-획정된 압력에 도달하지만, 제2 사용자- 또는 시스템-획정된 압력(시스템적으로 또는 조작상 문제가 될 수도 있음) 미만이라면, 이전에 알고리즘적으로 생성된 유량은 제1 임의의 또는 선택된 비율만큼 감소될 것이다. 이어서, 인퓨젼 압력이 제2 사용자- 또는 시스템-획정된 압력에 도달 및/또는 초과한다면, 유량은 제1 비율보다 큰 제2 임의의 또는 선택된 비율만큼 감소된다. 인퓨젼 압력이 제1 획정된 압력 아래로 떨어진다면, 유량은 원래의 알고리즘적으로 생성된 유량으로 복귀된다. 인퓨젼 압력이 제3 사용자- 또는 시스템-획정된 압력 아래로 떨어진다면, 이전에 제1 및/또는 제2 압력에 도달한 후에, 유량이 제3 비율만큼 증가되어 이전의 유량의 감소에 기인한 시간 손실이 회복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충분한 시간은 유량이, 인퓨즈된 음료 샷의 원래 알고리즘적으로 생성된 그리고 최종 총 시간이 목적하는 인퓨젼 시간과 같은 유량으로 복구될 수도 있도록 이루어진다. 원래 계산된 유량 값으로부터의 비율 변화는 또한 압력 증가 또는 감소의 속도에 독립적이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증가의 신속한 속도는 유량의 더 큰 비율 감소를 발생시킨다.
도 7은 SFMS, 브루 챔버, 인퓨젼 압력 센서, 용매 가열기 또는 STMS 및 컴퓨터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브루잉 장치를 사용하여 인퓨젼 동안 구현되는 안전 알고리즘의 과정 흐름도를 도시한다. 제어 시스템이 바람직하게 구성되고 그래서 사용자는 브루 온도, 초기의 브루 챔버 충전 압력, 브루 챔버 충전 속도, 총 인퓨젼 시간 및 총 인퓨젼 용적을 명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또한 유량 프로파일 또는 알고리즘을 명시할 수도 있고, 그리고 해당되는 경우, 알고리즘 변경 매개변수를 입력할 수도 있다. 과정이 단계(600)에서 시작되고 그리고 단계(602)로 즉시 진행되며, 사용자는 브루 포뮬러를 완성하도록 요구된 전술한 매개변수를 선택 또는 입력하고, 컴퓨터 제어 시스템은 용매를 목적하는 온도로 가열하도록 가열기 또는 STMS를 변경하게 온도 설정을 사용한다. 그라인드(grind)가 브루 챔버 내에 삽입된 후에, 사용자는 인퓨젼 사이클을 개시한다.
인퓨젼 과정이 개시된 후에, 단계(604)는 제어 시스템이 유체를 사용자-명시된 브루 챔버 충전 속도로 흘리도록 시간 계수기, 분배된 유체 시간 계수기 및 SFMS를 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에, 단계(606)는 제어 시스템이 예를 들어, 브루잉 챔버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명시된 초기의 브루 챔버 충전 압력에 대하여, 실제의 인퓨젼 압력(IP)을 점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단 초기의 브루 챔버 충전 압력에 도달된다면, 즉, 실제의 인퓨젼 압력이 충전 압력 이상이라면, 단계(608)는 제어 시스템이 브루 챔버를 충전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취해진 유체의 용적 및 시간을 기록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어서 제어 시스템은 총 인퓨젼 시간으로부터 브루 챔버를 충전하도록 요구된 시간을 빼서 남은 인퓨젼 시간을 구한다. 마찬가지로, 제어기는 총 유체 용적으로부터 브루 챔버 충전 압력을 달성하도록 요구된 유체의 용적을 빼서 남은 인퓨젼 용적을 구한다. 이어서 제어 시스템은 인퓨젼의 나머지 동안 유량(들)을 생성하도록 사용자-명시된 유량 알고리즘 및 알고리즘 변경 매개변수와 함께 이 데이터를 사용하고 그리고 알고리즘에 의해 계산 또는 생성된 유량(들)에 따라 용매를 즉시 흘린다. 대안적인 방법이 브루 챔버가 충전되었는지를 감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용매는 사용자 명시된 충전 속도보다는, 일정한 펌핑력으로 브루 챔버에 공급되고, 그리고 제어 시스템은 일단 브루 챔버가 충전되면 발생하는 유량 변동을 감지함으로써 브루 챔버가 충전되는 것을 검출한다.
용매가 흐르는 동안, 단계(610)는 모든 목적하는 분배된 인퓨즈된 유체가 분배되었는지를 점검하는 것을 포함한다. 모든 인퓨즈된 유체가 분배되었다면, 단계(612)는 제어 시스템이 다음의 인퓨젼을 위한 준비로 음료 브루잉 조립체를 준비 상태로 재설정 또는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모든 목적하는 분배된 인퓨즈된 유체가 분배되지 않았다면, 안전 알고리즘은 단계(614 내지 626)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루 챔버 내의 압력을 모니터링한다.
구체적으로, 단계(614)는 인퓨젼 압력(IP)을 제1 안전 압력(IP1) 및 제2 안전 압력(IP2)에 대하여 비교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IP2 > IP1이다. 인퓨젼 압력(IP)이 IP1 초과이고 IP2 미만인 지점(IP 1 < IP < IP 2 )으로 증가된다면, 단계(616)는 알고리즘적으로 생성된 유량을 제1 양 또는 비율만큼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인퓨즈된 유체 샷의 분배된 용적의 시간이 이에 따라 증가되어, 총 목적하는 샷 용적이 유지된다. 인퓨젼 압력(IP)이 IP1 초과 IP2 미만인 값 내에 없다면, 단계(618)는 인퓨젼 압력(IP)을 제2 안전 압력(IP2)에 대하여 비교하는 것을 포함한다. IP IP 2 라면, 그러면 단계(620)는 초기의 계산된 유량을 제2 양 또는 비율만큼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샷 시간이 이에 따라 증가되어서 총 목적하는 분배된 샷 용적이 유지된다. IP가 IP2 이상이 아니라면, 그러면 단계(622)는 인퓨젼 압력(IP)을 제3 압력(IP3)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한다. IP3은 바람직하게는 IP1 및 IP2보다 낮다. IP < IP3라면, 그러면 단계(624)가 발생한다. 단계(624)는 분배된 실제의 용적을 알고리즘적으로 계산된 용적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제의 용적이 알고리즘적으로 생성된 용적 미만이라면, 그러면 단계(626)는 유량을 제3 양 또는 비율만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샷 시간이 이에 따라 증가되어 분배된 인퓨즈된 유체의 목적하는 총 용적이 유지된다. 단계(610 내지 626)는 모든 목적하는 유체가 분배될 때까지 반복된다. 과정은 단계(628)에서 종료될 수도 있고 그리고 위에 나열된 단계는 달리 분명히 언급되지 않는 한 다양한 순서로 그리고 상이한 시간로 수행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시스템은 시간에 대한 브루 챔버 압력의 그래프 및 인퓨젼의 실제의 시간과 함께, 명시된 충전 압력을 달성하도록 요구된 시간을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제어 시스템은 차후의 인퓨젼이 일관된 인퓨젼 압력을 생성하도록 용매 변경을 통해 최적화될 수도 있도록, 동일한 인퓨젼 포뮬러 또는 용질을 사용하는 미래의 인퓨젼에 대한 비교의 소스로서 리콜, 분석 및/또는 사용을 위한, 인퓨젼 시간에 대한 인퓨젼 압력의 이 그래프를 저장할 수도 있다.
부가적인 작동 방법에서, 저울(scale)이 부가적인 기능을 음료 브루잉 시스템에 제공하도록 이전에 설명된 알고리즘적 브루잉 제어 시스템과 함께 활용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저울은 브루잉 과정 동안 분배된 인퓨즈된 용액의 무게를 재도록 사용될 수도 있어서 제어 시스템은 목적하는 분배된 인퓨즈된 용액 질량을 달성하도록 구성된다. 목적하는 분배된 인퓨즈된 용액 질량이 사용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귀속될 수도 있거나 또는 입력된 용질 질량과 용질 대 용액 비의 목적하는 비로부터 제어 시스템에 의해 계산될 수도 있다. 용질 질량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저울로부터 자동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도 7에 개시된 브루 알고리즘과 함께 사용될 때, 총 분배된 용적의 변수는 용질의 질량과 분배된 인퓨즈된 용액 질량에 대한 용질의 비 또는 목적하는 분배된 인퓨즈된 용액 질량으로 교체된다. 브루 사이클의 개시 시, 제어 시스템은 충전 압력에 달성될 때까지 유체를 초기의 충전 속도로 분배한다. 이어서 제어 시스템은 분배될 남은 유체로서 분배된 인퓨즈된 용액 질량을 사용하고 그리고 충전 압력에 도달된 후에 남은 시간 및 이 용적에 기초하여 남은 유량을 계산한다. 남은 시간의 일부가 흐른 후에, 분배된 인퓨즈된 용액 질량은 그때에 분배되어야 하는 계산된 용적과 비교된다. 상이하다고 여겨진다면, 제어 시스템은 분배될 남은 용적을 재계산하고 그리고 정정된 유량으로 인퓨젼을 계속한다. 이 정정은 추출 동안 여러번 또는 1회 발생할 수도 있다. 오프셋 값은 또한 인퓨젼이 중지된 후에 발생할 수도 있는 드리핑(dripping)을 고려하도록 포함될 수도 있다. 이 오프셋 값은 타깃 인퓨즈된 용액이 정확하게 달성될 수도 있도록 남은 목적하는 인퓨즈된 용액 질량으로부터 유체의 용적을 추가 또는 제거할 것이다.
전술한 시스템의 이득은 모든 3개의 용액 제어 시스템: SFMS, STMS 및 SPMS 미만의 포함으로부터 도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료 브루잉 시스템이 STMS 및 SFMS를 포함할 수도 있거나 또는 대안적인 구성이 브루잉 챔버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SFMS 및 SPMS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개시된 음료 브루잉/인퓨젼 시스템이 용질 크기와 용질 압축의 변동이 인퓨젼 풍미에 영향을 주는 충격 효과를 완화하지만, 용질 크기 또는 용질 압축과 같은 용질 매개변수를 변경하도록 제어 시스템에 의해 기록된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이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도 있다. 이것은 용질이 배치되는 브루잉 챔버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용질 그라인더(grinder) 및/또는 압축 툴을 포함할 수도 있는 용질 변경 시스템을 통해 달성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제어 시스템이 용질 변경 시스템, 구체적으로, 용질 그라인더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인퓨젼 과정으로부터의 센서 데이터가 총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하도록 상기 그라인더의 성능을 변경하게 활용될 수도 있다. 하나의 이러한 실시예는 일관된 음료 풍미를 보장하도록 더 작은 또는 더 큰 용질을 생산하기 위해 그라인더의 성능을 변경하도록 인퓨젼 과정 동안 압력 센서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음료가 포뮬러를 활용하여 브루/인퓨즈되고 그리고 SPMS(140, 240, 340)가 포뮬러에 의해 명시된 압력 프로파일을 생산할 수 없거나 또는 SPMS가 흐름 조절의 과도한 또는 지나친 레벨을 요구한다면, 제어 시스템은 브루 챔버 내에 배치된 용질의 크기를 감소 또는 증가 또는 감소하게 하는 용질 그라인더와 통신할 수도 있다. 분명할 바와 같이, 용질 압축 및 용질 질량의 동일한 레벨을 가정하면, 평균 용질 입자 크기의 감소는 더 높은 용질 저항을 발생시킬 것이고 그리고 평균 용질 입자 크기의 증가는 감소된 저항을 발생시켜서 더 낮은 인퓨젼 압력을 가능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시스템은 평균 용질 입자 크기보다는 용질 압축을 변경하도록 제어 시스템 데이터를 활용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7)

  1. 인퓨즈된 음료(infused beverage)를 브루잉(brew)하기 위한 제어된 시스템으로서,
    인퓨즈된 음료 브루잉 조립체에 의해 수용된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메모리에 저장된 인퓨젼 알고리즘(infusion algorithm)에서 활용되는, 분배된 용매 용적 및 총 인퓨젼 시간을 포함하는 인퓨젼 음료 매개변수를 수신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상기 인퓨즈된 음료 브루잉 조립체로서, 상기 인퓨젼 알고리즘은 상기 분배된 용매 용적 및 상기 총 인퓨젼 시간의 함수인 용매 유량 변화를 생성하는, 상기 인퓨즈된 음료 브루잉 조립체;
    인퓨젼 과정을 통해, 실제의 인퓨젼 압력 및 인퓨즈된 용액을 생성하도록 상기 인퓨즈된 음료 브루잉 조립체의 브루잉 챔버에 수용된 용질을 통해, 용매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인퓨젼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펌프를 가진 용매 흐름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브루잉 챔버와 상기 펌프는 용매-흐름 도관을 통해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용매 흐름 관리 시스템; 및
    전자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용매 흐름 관리 시스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운영 인퓨젼 시간을 생성하도록 상기 용매의 흐름의 유도와 연관된 계수기를 개시하도록; 그리고
    상기 운영 인퓨젼 시간, 상기 분배된 용매 용적 및 상기 총 인퓨젼 시간에 기초하여 남은 인퓨젼 시간에 남은 인퓨젼 용적을 제공하는데 충분한 용매 유량 변화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인퓨젼 알고리즘을 실행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상기 전자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인퓨즈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제어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고리즘은,
    독립적이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한 용매 변경 매개변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퓨젼 알고리즘은 상기 용매 변경 매개변수의 함수인 상기 용매 유량 변화를 생성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인퓨즈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제어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변경 매개변수는 상기 용매 유량의 가속, 상기 용매 유량의 감속 및 일정한 용매 유량 중 적어도 하나를 구술(dictate)하는 수치 값인, 인퓨즈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제어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변경 매개변수는 하한 수치 범위와 상한 수치 범위 내에 있는, 인퓨즈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제어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변경 매개변수는 -1 내지 1 범위인, 인퓨즈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제어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퓨즈된 음료 브루잉 조립체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용매 변경 매개변수, 상기 분배된 용매 용적 및 상기 총 인퓨젼 시간을 사용자 입력을 통해 수신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인퓨즈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제어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퓨즈된 음료 브루잉 조립체에 의해 수용된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안전 알고리즘을 더 포함하되, 상기 용매 흐름 관리 시스템은 실제의 브루 챔버 충전 압력이 최대 획정된 브루 챔버 압력을 초과한다면 상기 용매 유량을 획정된 비율만큼 동적으로 감소시키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인퓨즈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제어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퓨젼 과정은,
    상기 용매의 흐름의 상기 유도를 시작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인퓨젼 과정에서 트리거링 조건을 시작하는 제2 부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인퓨젼 과정의 상기 제2 부분은 브루잉 알고리즘의 실행을 포함하는, 인퓨즈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제어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링 조건은 외부 입력, 상기 운영 인퓨젼 시간 내의 지점, 분배된 용매 용적, 분배된 용매의 유량의 변화 및 인퓨젼 충전 압력 중 적어도 하나인, 인퓨즈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제어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퓨즈된 음료 브루잉 조립체는,
    독립적이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한 상기 용매 변경 매개변수; 및
    상기 인퓨젼 충전 압력을 수신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인퓨즈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제어된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퓨즈된 음료 브루잉 조립체는,
    상기 총 인퓨젼 시간 내의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일시적인 중지를 수용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인퓨즈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제어된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퓨즈된 음료 브루잉 조립체는,
    상기 인퓨젼 음료 매개변수 중 하나로서 사용자-명시된 브루 챔버 충전 속도를 수신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인퓨즈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제어된 시스템.
  13. 인퓨즈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제어된 시스템으로서,
    인퓨즈된 음료 브루잉 조립체에 의해 수용된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메모리에 저장된 인퓨젼 알고리즘에서 활용되는, 분배된 용매 용적, 총 인퓨젼 시간 및 목적하는 초기의 브루 챔버 충전 속도, 목적하는 초기의 브루 챔버 충전 압력 및 용매 변경 매개변수(P)를 포함하는 인퓨젼 음료 매개변수를 수신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상기 인퓨즈된 음료 브루잉 조립체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인퓨젼 알고리즘은 분배될 남은 용매 용적, 남은 인퓨젼 시간 및 P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용매 유량 변화를 생성하고, 상기 P는 독립적이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용매 유량의 가속, 상기 용매 유량의 감속 및 일정한 용매 유량 중 적어도 하나를 구술하는 수치 값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실제의 인퓨젼 압력 및 인퓨즈된 용액을 생성하도록 상기 인퓨즈된 음료 브루잉 조립체의 브루잉 챔버에 수용된 용질을 통해, 용매의 흐름을 동적으로 유도하도록, 인퓨젼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펌프를 가진 용매 흐름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브루잉 챔버와 상기 펌프는 용매-흐름 도관을 통해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용매 흐름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인퓨즈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제어된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변경 매개변수는 -1 내지 1 범위인, 인퓨즈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제어된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흐름 관리 시스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전자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전자 제어 시스템은,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운영 인퓨젼 시간을 생성하도록 상기 용매의 흐름의 유도와 연관된 계수기를 개시하도록; 그리고
    상기 운영 인퓨젼 시간, 상기 분배된 용매 용적 및 상기 총 인퓨젼 시간에 기초하여 남은 인퓨젼 시간에 남은 인퓨젼 용적을 제공하는데 충분한 용매 유량 변화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인퓨젼 알고리즘을 실행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인퓨즈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제어된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시스템은,
    실제의 브루 챔버 충전 압력이 적어도 목적하는 초기의 브루 챔버 충전 압력에 도달하는지를 결정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실제의 브루 챔버 충전 압력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남은 인퓨젼 시간 및 남은 인퓨젼 용적을 생성하도록 상기 실제의 브루 챔버 충전 압력이 적어도 상기 목적하는 초기의 브루 챔버 충전 압력에 도달할 때 실제의 인퓨젼 시간량과 분배된 용매량을 결정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인퓨즈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제어된 시스템.
  17. 인퓨즈된 음료 브루잉 사이클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인퓨즈된 음료 브루잉 조립체에 의해 수용된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메모리에 저장된 인퓨젼 알고리즘에서 활용되는, 분배된 용매 용적 및 총 인퓨젼 시간을 포함하는 인퓨젼 음료 매개변수를 수신하는 단계;
    전자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여, 인퓨젼 과정, 실제의 인퓨젼 압력 및 인퓨즈된 용액을 생성하도록 상기 인퓨즈된 음료 브루잉 조립체의 브루잉 챔버에 수용된 용질을 통해 용매-흐름 도관을 통한 용매의 흐름을 유도하는 단계;
    운영 인퓨젼 시간을 생성하도록 상기 용매-흐름 도관을 통한 상기 용매의 흐름을 유도하는 것과 연관된 시간 계수기를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 인퓨젼 시간, 상기 분배된 용매 용적 및 상기 총 인퓨젼 시간에 기초하여 남은 인퓨젼 시간에 남은 인퓨젼 용적을 제공하는데 충분한 용매 유량 변화를 생성하도록,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그리고 상기 시간 계수기의 개시 후에, 상기 인퓨젼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퓨즈된 음료 브루잉 사이클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20187033954A 2016-04-25 2017-04-25 인퓨즈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제어된 시스템 KR102391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285020P 2016-04-25 2016-04-25
US62/285,020 2016-04-25
US201662404208P 2016-10-05 2016-10-05
US62/404,208 2016-10-05
PCT/US2017/029488 WO2017189628A1 (en) 2016-04-25 2017-04-25 Controlled system for brewing infused bevera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963A true KR20180135963A (ko) 2018-12-21
KR102391679B1 KR102391679B1 (ko) 2022-04-28

Family

ID=60161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954A KR102391679B1 (ko) 2016-04-25 2017-04-25 인퓨즈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제어된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10292523B2 (ko)
EP (1) EP3445213B1 (ko)
JP (1) JP6681126B2 (ko)
KR (1) KR102391679B1 (ko)
CN (1) CN109414131B (ko)
AU (1) AU2017257847A1 (ko)
CA (1) CA3048629C (ko)
WO (1) WO20171896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0834A1 (en) * 2017-09-05 2019-03-14 Keurig Green Mountai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INFUSION PARAMETERS DURING DISTRIBUTION
WO2019102509A1 (en) * 2017-11-21 2019-05-31 Illycaffe' S.P.A. Machine to dispense coffee-based beverages, and corresponding dispensing method and program
JP6635480B1 (ja) * 2018-11-13 2020-01-29 株式会社Tree Field 抽出装置、抽出装置における表示方法、並びにシステム
US20210000286A1 (en) * 2019-07-02 2021-01-07 B/E Aerospace, Inc. Beverage Maker Heated Fluid Feedback Control System
CN114727716A (zh) * 2019-09-20 2022-07-08 库里格绿山股份有限公司 用于加冰冲泡的方法和装置
IT201900019211A1 (it) * 2019-10-17 2021-04-17 Rancilio Group Spa Modulo di infusione e macchina per caffè provvista di un modulo di infusione
IT202000008761A1 (it) * 2020-04-23 2021-10-23 Rancilio Group Spa Sistema comprendente una macchina per caffè ed un dispositivo accessorio ad essa associato e metodo per controllare il funzionamento di detto sistema
US11076715B1 (en) * 2020-10-30 2021-08-03 Nuli Coffee, Inc. Coffee machine with dynamic flow and temperature control
CN112716302A (zh) * 2020-12-29 2021-04-30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加热装置的控制方法、加热装置和可读存储介质
IT202100001628A1 (it) 2021-01-27 2021-04-27 Grimac S R L Procedimento e sistema per la produzione di una bevanda al caffè con una pluralità di temperature e portate
WO2024084341A1 (en) * 2022-10-18 2024-04-25 Illycaffe' S.P.A. Fluidic conduit for dispensing hot water, dispensing group, coffee machine, recirculation method, and method for dispensing hot wat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22716A1 (en) * 2004-12-30 2013-01-24 Rhea Vendors S.P.A. Process and double pisto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49227A1 (de) * 1995-12-30 1997-07-03 Braun Ag Brüh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US6148717A (en) * 1998-08-11 2000-11-21 Food Equipmet Technologies Company, Inc. Beverage maker with intermittent beverage liquid dispenser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uniform contact of brew ingredient with brew
US7654191B2 (en) * 2004-07-07 2010-02-02 Greenwald Technologies, Llc Beverage dispenser
NL1028133C2 (nl) * 2005-01-27 2006-07-31 Sara Lee De N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bereiden van een voor consumptie geschikte drank.
EP1940268B1 (en) * 2005-04-11 2011-11-09 Starbucks Corporation Machine for brewing a beverage such as coffee and related method
WO2007027206A2 (en) * 2005-04-11 2007-03-08 Coffee Equipment Company Machine for brewing a beverage such as coffee and related method
JP2007094869A (ja) * 2005-09-29 2007-04-12 Sanden Corp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CA2580317A1 (en) * 2006-03-02 2007-09-02 Bunn-O-Matic Corporation Brew strength control
US8180204B2 (en) * 2007-07-02 2012-05-15 Brewl Technologies, Inc. Hot beverage brewing apparatus
US9021938B2 (en) * 2008-07-25 2015-05-05 Gideon Duvall System and method for brewing beverages
DE202009004966U1 (de) * 2009-06-30 2010-11-18 Melitta Haushaltsprodukt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Kaffeemaschine
US8623441B2 (en) * 2010-03-01 2014-01-07 Concordia Coffee Compan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rewed beverage quality
NO331748B1 (no) * 2010-03-06 2012-03-19 Tool Tech As Hydraulisk kontrollventil med to ventilsleider
RU2560251C2 (ru) * 2010-05-31 2015-08-20 Туттоэспрессо С.Р.Л.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с различными вкусами
KR101859595B1 (ko) * 2010-12-16 2018-05-18 브리고,엘엘씨 끓인 에스프레소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3121438A1 (en) * 2012-02-14 2013-08-22 Dinesh Talreja Method and machine to extract coffee
CN104602578A (zh) * 2012-08-16 2015-05-06 吉迪恩·杜瓦尔 用于煮泡泡制饮料的装置以及系统
JP6299080B2 (ja) * 2013-04-25 2018-03-28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コーヒーメーカー
US9364117B2 (en) * 2013-08-30 2016-06-14 Seattle Espresso Machine Corporation Method for regulating flow rate in an espresso machine
ES2805850T3 (es) * 2013-10-18 2021-02-15 Carimali S P A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controlar la distribución de bebidas
KR20160102292A (ko) 2014-01-06 2016-08-29 나노코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표면 변형된 나노입자
CN115281527A (zh) * 2014-02-20 2022-11-04 Cma佩尔咖啡机有限责任公司 咖啡机及相关的控制方法
EP2946702A1 (de) * 2014-05-21 2015-11-25 Qbo Coffee GmbH Kaffeemaschine für Portionskapseln
WO2015191648A1 (en) * 2014-06-09 2015-12-17 Gideon Duvall Device and system for creating infused beverages
EP3182866A4 (en) * 2014-08-20 2018-06-06 Breville Pty Limited Coffee maker
US10713877B2 (en) * 2014-08-22 2020-07-14 Illycaffe' S.P.A. Con Unico Socio System and method to obtain and optimize mixtures for preparing beverages
JP6738322B2 (ja) * 2014-09-05 2020-08-12 トゥットエスプレッソ エス.アール.エル. 飲料調製装置および方法
US10537206B2 (en) * 2015-02-13 2020-01-21 G. Bezzera S.R.L. Machine for coffee-based beverages
LT3708040T (lt) * 2015-03-16 2022-10-25 La Marzocco S.R.L. Atkartojamų savybių gėrimo ruošimo aparatas
US20170119195A1 (en) * 2015-10-22 2017-05-04 Auroma Brewing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brew process of a coffee maker
TWI579794B (zh) * 2016-04-13 2017-04-21 Acaia Corp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System of Cooking Bevera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22716A1 (en) * 2004-12-30 2013-01-24 Rhea Vendors S.P.A. Process and double pisto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48629A1 (en) 2017-11-02
US10292523B2 (en) 2019-05-21
US20220338664A1 (en) 2022-10-27
CA3048629C (en) 2021-11-02
CN109414131B (zh) 2021-10-08
US20190269274A1 (en) 2019-09-05
WO2017189628A1 (en) 2017-11-02
JP2019514497A (ja) 2019-06-06
EP3445213A4 (en) 2019-05-01
EP3445213B1 (en) 2021-03-24
KR102391679B1 (ko) 2022-04-28
AU2017257847A1 (en) 2018-12-13
US11375845B2 (en) 2022-07-05
JP6681126B2 (ja) 2020-04-15
US20180192812A1 (en) 2018-07-12
EP3445213A1 (en) 2019-02-27
CN109414131A (zh) 2019-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5963A (ko) 인퓨즈된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제어된 시스템
US10772456B2 (en) Device and system for brewing infused beverages
CN111372500B (zh) 分配基于咖啡的饮料的机器以及相应的分配方法和程序
EP3057481B1 (en) Device and process for a controlled beverage dispensing
US11957271B2 (en) Method of generating a desired temperature of an infused beverage within a brewing assembly
JP2017006674A (ja) コーヒー飲料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AU2015202472A1 (en) Espresso machine
US10349774B2 (en) Device and system for creating infused beverages
US20220192419A1 (en) Device and system for creating infused beverages
JP2018187380A (ja) コーヒー製品調製装置
US11266265B2 (en) Device and system for creating infused beverages
WO2015191648A1 (en) Device and system for creating infused bever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