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5545A - 검체의 도말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검체의 도말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5545A
KR20180135545A KR1020170073667A KR20170073667A KR20180135545A KR 20180135545 A KR20180135545 A KR 20180135545A KR 1020170073667 A KR1020170073667 A KR 1020170073667A KR 20170073667 A KR20170073667 A KR 20170073667A KR 20180135545 A KR20180135545 A KR 20180135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sample
reagent
internal space
infecti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7193B1 (ko
Inventor
김종민
김은구
Original Assignee
(주)코아바이오텍
김은구
김종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아바이오텍, 김은구, 김종민 filed Critical (주)코아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70073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193B1/ko
Publication of KR20180135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04Determining presence or kind of microorganism; Use of selective media for testing antibiotics or bacteriocides; Compositions containing a chemical indicator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13Producing thin layers of samples on a substrate, e.g. smearing, spinning-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7Handling flowable solids, e.g. microscopic beads, cells,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9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7Additional chamber, reservo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Immu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검체의 도말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도말 처리 방법은 세포벽이 파괴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검체를 글라스에 도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검체의 도말 처리 방법{A METHOD FOR SMEAR TREATMENT OF SPECIMEN}
본 발명은 검체의 도말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코박테리움 튜버클로시스(Mycobacterium tuberculosis)의 검출을 위해 검체를 도말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결핵은 원인균인 마이코박테리움(Mycobacterium)에 감염되어 잠복성, 진행성, 활동성으로 발현되는 감염성 질환이다. 구체적으로 결핵의 원인균(결핵균)은 인형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우형 결핵균(Mycobacterium bovis), 조형 결핵균(Mycobacterium avium) 등이 있으며 사람 이외의 포유류, 조류도 감염될 수 있으나 인체 감염은 주로 인형 결핵균인 마이코박테리움 튜버클로시스가 주요 원인균이다. 결핵균은 굵기 0.2~0.5㎛, 길이 1~4㎛ 크기로 막대 모양을 하고 있다. 결핵균은 지방 성분이 많은 세포벽에 둘러싸여 있어 건조한 상태에서도 오랫동안 살 수 있고 강한 산이나 알칼리에도 잘 견디는 항산화성 균이다.
결핵은 주로 사람에서 사람으로 공기를 통하여 전파된다. 전염성이 있는 결핵 환자가 말을 하거나 기침 또는 재채기를 할 때 결핵균이 포함된 비말 형태로 공기 중에 산포된다. 이 때 산포된 결핵균이 주위 사람들의 폐 속으로 침입해 증식하여 감염이 이루어지게 된다.
결핵의 진단을 위해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는 검사는 피부반응 검사, 도말 검사를 통한 항산균 염색 및 배양 검사와 흉부 X-선 검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9806호
결핵의 진단을 위해 사용되는 검사 중 집균도말 검사는 검체, 예컨대 인간의 객담을 필터에 투과시켜 불순물을 제거한 후 슬라이드에 얇게 발라 결핵균만을 선택적으로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방법이다. 집균도말 검사는 세균학적인 진단을 위한 간단한 염색 방법으로, 다른 방법에 비해 비교적 간단하고 신속하게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활동성 결핵 환자로서 전염력이 큰 환자를 신속히 발견 및 치료를 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집균도말 검사는 결핵균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의심되는 액상의 검체로부터 샘플을 채취하여 도말 검사를 수행하기 때문에 검사를 수행하는 임상의 또는 병리사 등의 검사자는 항상 결핵균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 예를 들어, 환자로부터 제공된 검체가 이동하는 과정, 검체를 필터링하여 샘플을 채취하는 과정, 샘플을 도말하는 과정 또는 샘플이 도말된 슬라이드를 현미경 관찰하는 과정에서 결핵균이 공기 중으로 전파되어 검사자가 결핵균에 감염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비교적 간단하고 신속하면서도 검사자의 결핵균 감염을 억제하기 위한 새로운 검사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검사자의 결핵균 감염을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도말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의 도말 처리 방법은, 세포벽이 파괴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검체를 글라스에 도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를 준비하는 단계는, 마이코박테리움을 갖는 검체와 균 사멸 시약이 혼합되어 상기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가 수용된 검체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균 사멸 시약은 수산화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구연산소다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검체와 균 사멸 시약이 혼합된 검체가 수용된 검체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균 사멸 시약이 수용되어 밀봉된 제1 내부 공간, 및 전염성이 제거되지 않은 균을 갖는 검체가 수용되고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분리되며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검체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검체 용기의 상기 제1 내부 공간에 수용된 상기 균 사멸 시약을 상기 검체 용기의 상기 제2 내부 공간으로 주입하여 상기 전염성이 제거되지 않은 균을 갖는 검체에 상기 균 사멸 시약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검체 용기의 상기 제2 내부 공간에서, 상기 검체와 상기 균 사멸 시약을 혼합하여 상기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체 용기는, 상기 제1 내부 공간을 갖는 캡부, 및 상기 캡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2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검체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캡부는, 상기 검체 수용부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 수단을 갖는 환형의 체결 바디, 상기 환형의 체결 바디의 내주면 상부측에 배치된 누름부, 상기 누름부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측벽부, 상기 누름부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측벽부 내에 삽입 배치된 절취부, 및 상기 측벽부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누름부 및 상기 측벽부와 함께 상기 제1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밀봉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체에 상기 균 사멸 시약을 접촉시키는 단계는, 상기 누름부에 하방 압력을 가하여 상기 누름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상기 절취부가 상기 밀봉 시트를 부분적으로 절취하여 상기 제1 내부 공간에 수용된 상기 균 사멸 시약을 상기 검체 용기의 상기 제2 내부 공간으로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균 사멸 시약이 수용된 제1 내부 공간, 및 상기 검체가 수용된 제2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검체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전염성이 제거되지 않은 균을 갖는 검체를 상기 캡부와 결합이 해제된 상기 검체 수용부 내에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캡부와 상기 검체 수용부의 결합에 의해 밀봉된 제2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체에 상기 균 사멸 시약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검체와 상기 균 사멸 시약을 혼합하여 상기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검체 용기의 상기 캡부와 상기 검체 수용부는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전염성이 제거되지 않은 균을 갖는 검체 및 상기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는 외부 공기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검체와 상기 균 사멸 시약을 혼합하여 상기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검체를 글라스에 도말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캡부와 상기 검체 수용부의 결합을 해제하여 내부 공간을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체를 글라스에 도말하는 단계는, 자동 도말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를 글라스에 도말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 상기 자동 도말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를 글라스에 도말하는 단계는, 내부 공간을 갖는 도말 처리 용기 바디, 상기 도말 처리 용기 바디 내에 삽입 배치된 필터 멤브레인, 및 상기 도말 처리 용기 바디 내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필터 멤브레인 하측에 배치된 도말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도말 처리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검체 용기의 상기 제2 내부 공간에 수용된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를 상기 도말 처리 용기의 상기 내부 공간에 주입하는 단계, 상기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가 수용된 상기 도말 처리 용기를 상기 자동 도말 장치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검체를 상기 도말 멤브레인 측으로 흡입하여, 상기 필터 멤브레인을 이용해서 상기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를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 멤브레인과 상기 도말 멤브레인 사이에 상기 글라스를 삽입하는 단계로서, 상기 필터 멤브레인과 대향하는 제1 면 및 상기 도말 멤브레인과 대향하는 제2 면을 갖는 글라스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글라스의 상기 제2 면과 상기 도말 멤브레인을 접촉시켜 상기 글라스의 상기 제2 면 상에 검체를 도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의 도말 처리 방법에 따르면, 균의 전염성을 선택적으로 제거한 후 검체를 도말함으로써 도말 검사를 수행하는 검사자의 결핵균 감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말 처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검체를 전처리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검체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검체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검체 용기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검체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슬릿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검체를 제공받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검체 용기를 밀봉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균 사멸 시약과 검체를 접촉시키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균 사멸 시약과 검체를 혼합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검체 용기를 개방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전처리된 검체를 글라스에 도말하는 단계에 사용되는 도말 처리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도말 처리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도말 처리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의 도말 처리 용기에 검체를 주입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의 도말 처리 용기를 자동 도말 장치에 삽입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의 검체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도 1의 글라스를 삽입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도 1의 글라스에 검체를 도말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균이 도말된 상태의 글라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결핵'은 인형 결핵균, 우형 결핵균, 조형 결핵균 등을 포함하는 마이코박테리움 군(Mycobacterium complex)에 의해 감염되어 나타나는 감염성 질환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내지'는 그 앞에 기재된 수치와 뒤에 기재된 수치를 각각 하한과 상한으로 포함하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검체의 도말 처리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의 도말 처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말 처리 방법은 검체를 전처리하는 단계(S100) 및 전처리된 검체를 글라스에 도말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검체를 전처리하는 단계(S100)는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를 준비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균은 세포벽이 파괴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염성만이 선택적으로 제거된 상태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검체를 전처리하는 단계(S100)는 균 사멸 시약과 전염성이 제거되지 않은 균을 갖는 검체가 수용된 검체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S110), 균 사멸 시약과 전염성이 제거되지 않은 균을 갖는 검체를 접촉시키는 단계(S120) 및 균 사멸 시약과 전염성이 제거되지 않은 균을 갖는 검체를 혼합하여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를 형성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균 사멸 시약과 전염성이 제거되지 않은 균을 갖는 검체가 수용된 검체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S11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균 사멸 시약과 전염성이 제거되지 않은 균을 갖는 검체가 수용된 검체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S110)는, 상기 균 사멸 시약이 수용되어 밀봉된 제1 내부 공간 및 전염성이 제거되지 않은 균을 갖는 검체가 수용되고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분리되며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검체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일 수 있다. 균 사멸 시약과 전염성이 제거되지 않은 균을 갖는 검체가 수용된 검체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S110)는 제1 내부 공간과 제2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검체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S111)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말 처리 방법에서 사용되는 검체 용기(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검체 용기(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검체 용기(100)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검체 용기(10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0)는 캡부(110) 및 캡부(110)와 결합되는 원통형의 검체 수용부(130)를 포함하여, 밀폐된 제1 내부 공간(S1) 및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 내부 공간(S2)을 포함한다. 검체 용기(100)는 검체를 보관함과 동시에 검체가 갖는 균을 사멸시키는데 사용되는 용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균은 마이코박테리움 군에 속하는 균일 수 있다.
캡부(110)는 균 사멸 시약(CP)이 수용될 수 있는 제1 내부 공간(S1)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캡부(110)는 환형의 체결 바디(111), 환형의 체결 바디(111)의 내주면 상부측에 배치된 누름부(112), 누름부(112)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측벽부(113), 누름부(112)의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절취부(114) 및 측벽부(113)의 하단에 배치되는 밀봉 시트(115)를 포함할 수 있다. 캡부(110)와 검체 수용부(130)가 체결된 상태에서 캡부(11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검체 수용부(13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체결 바디(111)는 검체 수용부(130)와 맞닿아 결합되는 부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환형의 체결 바디(111)는 검체 수용부(130)와 결합될 수 있는 가역적 결합 수단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가역적 결합 수단'은 체결과 해제가 반복적으로 가능한 결합 수단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환형의 체결 바디(111)는 내주면의 하부측에 형성된 제1 나사산(111a)을 가지고 검체 수용부(130)의 상단 외주면의 제2 나사산(130a)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체결 바디(111)와 검체 수용부(130)는 클립 결합되거나, 또는 슬라이드 결합될 수도 있다.
누름부(112)는 체결 바디(111)의 내주면의 상부측에 원형으로 배치되어 캡부(110)의 상단을 이루는 덮개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누름부(112)는 외력이 가해질 경우 형상이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누름부(112)는 평면상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탄성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돔은 가장자리보다 중앙이 높도록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성돔에 하방 압력이 가해질 경우 누름부(112)는 전체적으로 하측으로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돔은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돔의 복원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누름부(112)는 복원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벽부(113)는 누름부(112)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캡부(110)의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측벽부(113)는 검체 수용부(130) 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측벽부(113)의 상단은 누름부(112)와 연결될 수 있다. 측벽부(113)의 단면은 환형이고 측벽부(113)는 하단이 개방된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측벽부(113)의 외경은 체결 바디(111)의 내경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즉, 측벽부(113)의 외벽은 환형의 체결 바디(111)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절취부(114)는 누름부(112)의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측벽부(113) 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절취부(114)의 상단은 누름부(112)와 연결되고 절취부(114)의 하단은 밀봉 시트(115)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절취부(114)의 하단과 밀봉 시트(115)의 상면이 이격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절취부(114)의 하단은 밀봉 시트(115)의 상면과 맞닿아 접할 수도 있다. 누름부(112)가 외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할 경우 누름부(112)와 연결된 절취부(114)는 누름부(112)와 함께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절취부(114)는 밀봉 시트(115)의 대략 중앙 부분을 절취할 수 있다.
밀봉 시트(115)는 측벽부(113)의 하단에 배치되어 캡부(110)의 하단을 이루는 덮개를 형성할 수 있다. 밀봉 시트(115)는 액상의 조성물이 투과하지 않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밀봉 시트(115)는 제1 내부 공간(S1) 내의 균 사멸 시약(CP)의 투과를 방지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 시트(115)는 은박지나 합성 수지 박막 재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밀봉 시트(115)는 누름부(112) 및 측벽부(113)와 함께 캡부(110)의 제1 내부 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내부 공간(S1)에는 균 사멸 시약(CP)이 수용되어 밀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균 사멸 시약(CP)은 마이코박테리움 군에 속하는 균만을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조성물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균 사멸 시약(CP)은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NaOH),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NaOCl), 구연산소다(sodium citrate) 및 용매를 포함한다.
상기 수산화나트륨은 유화제 및 오염 제거제로 작용하여 검체가 예컨대 객담과 같이 점액 물질을 포함할 경우 점액 물질을 분해하고 세균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점액 물질(예컨대 뮤신)을 분해함으로써 검체의 점도를 낮출 수 있어 슬라이드 상에 검체의 도말을 용이하게 하여 보다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또, 검체의 점도가 낮아짐에 따라 검체의 필터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수산화나트륨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점액 물질의 분해 능력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차아염소산나트륨은 마이코박테리움에 대한 선택적인 사멸 내지 살균 작용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아염소산나트륨이 용매(예컨대, 물)에 희석될 때에 발생하는 차아염소산(HClO)은 마이코박테리움의 세포막에 침투하여 효소 작용을 제거하고, 차아염소산나트륨이 용매에 희석될 때에 발생하는 산소(O)는 세포막을 산화시켜 사멸의 유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차아염소산나트륨의 함량은 상기 수산화나트륨의 함량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아염소산나트륨의 함량의 상한은 수산화나트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180 중량부, 또는 약 170 중량부, 또는 약 150 중량부일 수 있다. 또, 상기 차아염소산나트륨의 함량의 하한은 수산화나트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11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차아염소산나트륨이 1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마이코박테리움에 대한 사멸 특성이 부족할 수 있다. 또, 검체를 염색 및 도말 검사할 경우 염색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차아염소산나트륨이 180 중량부 초과로 포함될 경우 조성물의 장기 보관시 석출물이 발생하여 보관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또한 검체 내의 마이코박테리움 외의 다른 균 또는 배경 세포를 파괴하여 도말된 검체의 염색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구연산소다는 검체, 예컨대 객담 내의 중금속 이온을 킬레이트 하여 객담 분해 효소의 작용성을 촉진시키고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구연산소다의 함량은 상기 수산화나트륨의 함량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연산소다의 함량의 상한은 수산화나트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90 중량부, 또는 약 80 중량부일 수 있다. 또, 상기 구연산소다의 함량의 하한은 수산화나트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60 중량부, 또는 약 6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구연산소다가 6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검체 내의 중금속 이온 간의 완전한 킬레이트가 곤란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연산소다가 90 중량부 초과로 포함될 경우 상기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사멸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용매는 수산화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및 구연산소다를 용해시킬 수 있는 물질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서, 균 사멸 시약(CP)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수산화나트륨 약 3.5 중량% 내지 4.0 중량%, 차아염소산나트륨 약 4.5 중량% 내지 6.0 중량%, 구연산소다 2.4 중량% 내지 3.0 중량% 및 잔량의 용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매는 증류수이고 상기 조성물은 수산화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구연산소다 및 상기 증류수 87.0 중량% 내지 89.6 중량%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균 사멸 시약(CP)은 마이코박테리움 군에 속하는 균만을 선택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균 사멸 시약(CP)은 인간의 객담 내의 마이코박테리움과 접촉할 경우 마이코박테리움만을 선택적으로 사멸시키고 다른 균은 사멸시키지 않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사멸'은 사멸 대상균이 갖는 특유한 모양을 육안을 통해 식별 가능한 정도로 유지하되, 상기 대상균의 전염성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검체가 인간의 객담과 같이 점액 물질을 포함하여 점성을 가질 경우, 후술할 필터링 하는 단계(S340)에서 필터 멤브레인이 막히거나 객담을 슬라이드에 얇게 바르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객담이 점성을 가지기 때문에 도말 표면이 고르지 못하고 울퉁불퉁한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균 사멸 시약(CP)은 객담과 혼합되어 객담 내의 뮤신을 분해함으로써 점도를 낮출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객담이 슬라이드에 도말될 경우 도말 표면을 고르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인체와 접촉이 꺼려질 수 있는 균 사멸 시약(CP)은 제1 내부 공간(S1)에 밀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균 사멸 시약(CP)은 외부 오염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 또는 검사자에게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검체 수용부(13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용기일 수 있다. 검체 수용부(130)는 검체, 예컨대 인간의 객담(sputum)이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검체 수용부(130)는 캡부(110), 구체적으로 캡부(110)의 체결 바디(111)와 결합될 수 있는 가역적 결합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검체 수용부(130)는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제2 나사산(130a)을 가지고 체결 바디(111)의 내주면의 하부측에 형성된 제1 나사산(111a)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검체 수용부(130)와 체결 바디(111)는 클립 결합되거나, 또는 슬라이드 결합될 수도 있다.
검체 수용부(130)는 내주면 하측에 배치된 걸림턱(132)을 가질 수 있다. 걸림턱(132)은 검체 수용부(13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캡부(110)와 검체 수용부(130)가 체결된 상태에서 측벽부(113)와 절취부(114)의 적어도 일부 및 밀봉 시트(115)는 검체 수용부(13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 검체 수용부(130)의 내측벽, 누름부(112)의 하면, 측벽부(113)의 외측벽 및 밀봉 시트(115)의 하면은 검체 용기(100)의 제2 내부 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캡부(110)와 검체 수용부(130)가 체결된 상태에서 제2 내부 공간(S2)은 외부로부터 완전히 고립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내부 공간(S1)과 분리된 제2 내부 공간(S2)에는 검체(미도시)가 보관될 수 있다. 검체 수용부(130)와 체결 바디(111) 간의 체결과 해제에 의해 제2 내부 공간(S2)은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검체 용기(100)는 캡부(110)의 하부와 결합되어 검체 수용부(130) 내에 위치하는 슬릿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릿부(150)는 제1 내부 공간(S1)에 수용된 균 사멸 시약(CP)이 제2 내부 공간(S2) 측으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캡부(110)와 검체 수용부(130)가 체결된 상태에서, 걸림턱(132)은 슬릿부(150)와 맞닿아 접하여 슬릿부(15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더욱 참조하여 슬릿부(15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도 3의 슬릿부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슬릿부(150)는 캡부(110)의 측벽부(113)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환형의 슬릿 바디(151), 슬릿 바디(151)의 내주면 하측으로 돌출된 제1 플레이트(152)에 대략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1 슬릿들(152a), 제1 플레이트(152)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더욱 돌출되어 단차를 갖는 제2 플레이트(153)에 대략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2 슬릿들(153a) 및 제1 플레이트(152)와 제2 플레이트(153)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격벽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릿 바디(151)는 캡부(110)와 맞닿아 결합되는 부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환형의 슬릿 바디(151)는 캡부(110)의 측벽부(113)의 하단과 가역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슬릿 바디(151)의 내주면과 측벽부(113)의 외주면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슬릿 바디(151)와 측벽부(113)는 나사 결합되거나, 클립 결합되거나, 또는 슬라이드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플레이트(152)는 슬릿 바디(151)의 내주면의 하부측에 환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52)에는 제1 슬릿들(152a)이 대략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균 사멸 시약(CP) 및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캡부(110)와 검체 수용부(130)가 결합된 상태에서, 검체 수용부(130)의 걸림턱(132)은 슬릿 바디(151) 및 제1 플레이트(152)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닿아 접할 수 있다. 즉, 걸림턱(132)의 높이는 제1 플레이트(152)의 하면과 동일한 레벨로 형성되어 슬릿부(15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53)는 제1 플레이트(152)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53)는 제1 플레이트(152)와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53)의 상면은 절취부(114)가 하측으로 최대한 이동했을 경우의 절취부(114)의 하단보다 더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53)에는 제2 슬릿들(153a)이 대략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균 사멸 시약(CP) 및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53)의 하면은 걸림턱(132)의 높이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52)와 제2 플레이트(153) 사이에는 복수의 격벽부(154)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격벽부(154)들은 서로 이격 배치되어 제1 플레이트(152) 상부의 공간과 제2 플레이트(153) 상부의 공간을 부분적으로 구획하되, 제1 플레이트(152) 상부의 공간과 제2 플레이트(153) 상부의 공간을 서로 유체 연통시킬 수 있다. 동시에 격벽부(154)는 절취부(114)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절취부(114)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슬릿들(152a)에 비해 중앙측에 위치하는 제2 슬릿들(153a)은 균 사멸 시약(CP)이 제1 내부 공간(S1)에서 제2 내부 공간(S2)으로 이동하는 1차적인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슬릿들(153a)은 제2 내부 공간(S2) 내의 공기가 제1 내부 공간(S1)으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세한 크기의 제1 슬릿들(152a) 및 제2 슬릿들(153a)이 균 사멸 시약(CP)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 슬릿들(152a)이 제공하는 통로가 허용하는 이상의 균 사멸 시약(CP) 양이 이동할 경우 넘친 균 사멸 시약(CP)의 일부는 제2 슬릿들(153a)을 통과할 수 있다. 즉, 제2 슬릿들(153a)은 균 사멸 시약(CP)이 제1 내부 공간(S1)에서 제2 내부 공간(S2)으로 이동하는 2차적인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예컨대 검체 수용부(130) 내에 보관되는 검체가 인간의 객담과 같이 점성을 가질 경우 상기 객담과 균 사멸 시약(CP)이 접촉하는 경우에도 완전히 혼합되지 않아 마이코박테리움이 부분적으로 사멸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객담 및 균 사멸 시약(CP)은 슬릿부(150)에 형성된 다수의 제1 슬릿들(152a) 및 제2 슬릿들(153a)에 의해 분산과 혼합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고 객담 내의 마이코박테리움이 완전히 사멸되어 전염성이 제거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균 사멸 시약과 전염성이 제거되지 않은 균을 갖는 검체가 수용된 검체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S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S111) 다음에 전염성이 제거되지 않은 균을 갖는 검체를 캡부와 결합이 해제된 검체 수용부 내에 제공받는 단계(S112) 및 상기 캡부와 상기 검체 수용부를 결합하는 단계(S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전염성이 제거되지 않은 균을 갖는 검체(K1)를 검체 수용부(130) 내에 제공받는 단계(S112)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캡부(110)와 검체 수용부(130)를 결합하는 단계(S113)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전염성이 제거되지 않은 균을 갖는 검체(K1)를 검체 용기(100)의 검체 수용부(130) 내에 제공받는다(S112). 예를 들어, 검체(K1)는 결핵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의심되는 환자의 객담일 수 있다. 전염성이 제거되지 않은 균을 갖는 검체(K1)를 검체 수용부(130) 내에 제공받는 단계(S112)는 캡부(110)와 결합이 해제된 상태의 검체 수용부(130) 내에 검체(K1)를 삽입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어서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캡부(110)와 검체 수용부(130)를 결합시켜 밀봉한다(S113). 캡부(110)와 검체 수용부(130)가 서로 나사 결합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나사 결합에 의해 검체 용기(100) 내에 제2 내부 공간(S2)이 정의되고, 제2 내부 공간(S2)은 외부로부터 완전히 고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캡부(110)와 검체 수용부(130)를 결합시켜 밀봉하는 단계(S113)에서 검체(K1)는 전염성이 제거되지 않은 균을 갖는 상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균 사멸 시약(CP)이 수용되어 밀봉된 제1 내부 공간(S1) 및 전염성이 제거되지 않은 균을 갖는 검체(K1)가 수용되고 제1 내부 공간(S1)과 분리되며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 내부 공간(S2)을 포함하는 검체 용기(100)를 준비할 수 있다(S110).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0)는 검체 수용부(130) 내에 검체(K1)가 수용된 상태에서 캡부(110)와 검체 수용부(130)가 단단히 결합되어 외부와의 접촉이 완전히 차단된 제2 내부 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 내부 공간(S2)에 수용된 검체(K1)를 외부와 완전히 격리한 상태에서 보관 및/또는 이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결핵균을 갖는 것으로 의심되는 환자의 검체(K1)가 가지는 마이코박테리움이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균 사멸 시약과 전염성이 제거되지 않은 균을 갖는 검체를 접촉시키는 단계(S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균 사멸 시약(CP)과 전염성이 제거되지 않은 균을 갖는 검체(K1)를 접촉시키는 단계(S1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균 사멸 시약(CP)과 전염성이 제거되지 않은 균을 갖는 검체(K1)를 접촉시키는 단계(S120)는 검체 용기(100)의 제1 내부 공간(S1)에 수용된 균 사멸 시약(CP)을 검체 용기(100)의 제2 내부 공간(S2)으로 주입하여 균 사멸 시약(CP)과 검체(K1)를 접촉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즉, 검체(K1)와 균 사멸 시약(CP)은 밀폐된 제2 내부 공간(S2) 내에서 접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검체 용기(100)의 제1 내부 공간(S1)에 수용된 균 사멸 시약(CP)을 검체 용기(100)의 제2 내부 공간(S2)으로 주입하는 단계(S120)는 검체 용기의 누름부(112)에 하방 압력을 가하는 단계(S121) 및 절취부(114)가 밀봉 시트(115)를 부분적으로 절취하는 단계(122)를 포함할 수 있다.
검체 용기(100)의 누름부(112)에 하방 압력이 가해지면 누름부(112)의 탄성돔 및 누름부(112)와 연결된 절취부(114)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측으로 이동한 절취부(114)의 하단은 밀봉 시트(115)의 대략 중앙부를 부분적으로 절취할 수 있다.
캡부(110)의 제1 내부 공간(S1), 구체적으로 측벽부(113), 누름부(112) 및 밀봉 시트(115)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내부 공간(S1)에 수용되어 있던 균 사멸 시약(CP)은 밀봉 시트(115)가 부분적으로 절취됨과 동시에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부 공간(S1) 내에 수용되어 있던 균 사멸 시약(CP)은 슬릿부(150)를 통과하여 검체(K1)가 보관되어 있는 검체 수용부(130) 내의 제2 내부 공간(S2)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검체(K1)는 제2 내부 공간(S2)에서 균 사멸 시약(CP)과 접촉하여 검체(K1)가 갖는 균, 예컨대 마이코박테리움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멸할 수 있다.
이어서 검체와 균 사멸 시약을 혼합하여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를 형성하는 단계(S1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검체와 균 사멸 시약을 혼합하여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K2)를 형성하는 단계(S13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검체와 상기 균 사멸 시약을 혼합하여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K2)를 형성한다(S130). 검체와 균 사멸 시약을 혼합하는 단계(S130)는 검체 용기(100)의 제1 내부 공간(S1) 및/또는 제2 내부 공간(S2)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포벽이 파괴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K2)가 수용된 검체 용기(100)를 준비할 수 있다.
상술한 균 사멸 시약(CP)과 전염성이 제거되지 않은 균을 갖는 검체(K1)를 접촉시키는 단계(S120) 및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K2)를 형성하는 단계(S130)에서 검체 용기의 캡부(110)와 검체 수용부(130)는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전염성이 제거되지 않은 균을 갖는 검체(K1) 및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K2)는 외부 공기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염성이 제거되지 않은 균을 갖는 검체(K1)와 균 사멸 시약(CP)과 접촉시키는 단계(S120) 및 전염성이 제거되지 않은 균을 갖는 검체(K1)와 균 사멸 시약(CP)을 혼합시키는 단계(S130)에서 검체(K1)가 보관된 제2 내부 공간(S2)을 별도로 개방하지 않고서도 검체(K1)와 균 사멸 시약(CP)을 접촉시킬 수 있다. 즉, 환자로부터 제공되어 제2 내부 공간(S2)에 한번 밀봉된 검체는 균 사멸 시약(CP)에 의해 전염성이 제거될 때까지 외부 공기와 완전히 차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K2)가 수용된 검체 용기(100)를 준비하는 단계(S130) 후에 검체(K2)가 수용된 공간을 개방하는 단계(S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캡부(110)와 검체 수용부(S130)의 결합을 해제하여 내부 공간을 개방하는 단계(S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캡부(110)와 검체 수용부(130)의 결합을 해제한다(S200). 캡부(110)와 검체 수용부(130) 간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어 있던 내부 공간은 캡부(110)와 검체 수용부(130)가 분리됨에 따라 개방되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 공간 내의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K2)는 외부 공기에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전처리된 검체를 글라스에 도말하는 단계(S300)는 자동 도말 장치를 이용하여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를 검체를 글라스에 도말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처리된 검체를 글라스에 도말하는 단계(S300)는 필터 멤브레인과 도말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도말 처리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S310), 도말 처리 용기의 내부 공간에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를 주입하는 단계(S320), 도말 처리 용기를 자동 도말 장치에 삽입하는 단계(S330),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를 필터링하는 단계(S340), 상기 도말 처리 용기의 상기 필터 멤브레인과 상기 도말 멤브레인 사이에 글라스를 삽입하는 단계(S350) 및 글라스에 검체를 도말하는 단계(S36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필터 멤브레인과 도말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도말 처리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S31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말 처리 방법에서 사용되는 도말 처리 용기(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도말 처리 용기(2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도말 처리 용기(200)의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말 처리 용기(200)는 도말 처리 용기 바디(210), 도말 처리 용기 바디(210) 내에 삽입 배치된 필터 멤브레인(230), 도말 처리 용기 바디(210) 내에 삽입 배치된 도말 멤브레인(250) 및 도말 처리 용기 바디(210) 내에 삽입된 배출 용기(2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말 처리 용기 바디(210)는 검체 용액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S3)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말 처리 용기 바디(210)는 원통형 용기일 수 있다.
배출 용기(270)는 도말 처리 용기 바디(210)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 용기(270)는 도말 처리 용기 바디(210)와 나사 결합되거나, 클립 결합되거나, 또는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배출 용기(270)는 필터 멤브레인(230)을 통과한 검체의 잔여 솔루션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배출 용기(270)의 상면에는 다수의 배출공(270a)이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터 멤브레인(230)은 도말 처리 용기 바디(210) 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필터 멤브레인(230)은 다공성 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 멤브레인(230)은 상술한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K2)에서 도말하고자 하는 균 또는 세포보다 크기가 큰 이물질 또는 점액질을 분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슬라이드에 도말된 검체 표면을 더욱 매끄럽게 형성할 수 있다.
도말 멤브레인(250)은 도말 처리 용기 바디(210) 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도말 멤브레인(250)은 필터 멤브레인(230)과 배출 용기(2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말 멤브레인(250)은 배출 용기(270) 상에 직접 배치되어 배출 용기(27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필터 멤브레인(230)에 의해 필터링된 검체는 도말 멤브레인(250)에 흡착될 수 있다. 도말 멤브레인(250)은 다공성 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말 멤브레인(250)의 다공의 크기는 검출하고자 하는 균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즉, 필터링된 검체 내의 균의 적어도 일부는 도말 멤브레인(250)에 흡착된 상태일 수 있다. 또 필터링된 검체 내의 불필요한 세포 및 수분을 포함하는 잔여 솔루션은 도말 멤브레인(250)을 투과하여 배출 용기(270) 측으로 통과될 수 있다.
도 15는 도말 처리 용기(200)의 내부 공간에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K2)를 주입하는 단계(S3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말 처리 용기(200)를 자동 도말 장치(300)에 삽입하는 단계(S33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검체를 필터링하는 단계(S34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필터 멤브레인(230)과 도말 멤브레인(250) 사이에 글라스(400)를 삽입하는 단계(S35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글라스(400)에 검체를 도말하는 단계(S36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균이 도말된 상태의 글라스(4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1 및 도 15를 참조하면, 도말 처리 용기(200)의 내부 공간(S3)에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K2)를 주입한다(S320).
이어서 도 1,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검체(K2)가 수용된 도말 처리 용기(200)를 자동 도말 장치(300)의 삽입구(330)에 삽입한다(S330). 자동 도말 장치(300)는 조작부(310) 및 삽입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310)는 자동 도말 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일 수 있다. 삽입구(33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말 처리 용기(200)에 상응하는 크기 및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이어서 도 1 및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검체를 필터링한다(S340). 검체(K2)를 필터링하는 단계(S340)는 도말 처리 용기(200) 내에 수용된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K2)를 배출 용기(270) 측으로 흡입(drain)하여, 검체(K2)의 필터 멤브레인(230) 투과를 유도하는 단계일 수 있다. 필터링하는 단계(S340)에서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K2) 내의 불필요한 고형 이물질 또는 점액 성분 등은 필터 멤브레인(230)에 의해 걸러지고 세포 및/또는 균 만이 필터 멤브레인(230)을 통과하여 도말 멤브레인(250)에 흡착될 수 있다. 검체를 필터링하는 단계(S340)는 자동 도말 장치(300) 내부에서 자동 도말 장치(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 및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도말 처리 용기(200)의 필터 멤브레인(230)과 도말 멤브레인(250) 사이에 글라스(400)를 삽입한다(S350).
글라스(400)를 삽입하는 단계(S350)는 도말 처리 용기 바디(210)와 도말 멤브레인(250) 및 배출 용기(270)를 분리하는 단계(S351) 및 도말 멤브레인(250)과 필터 멤브레인(230) 사이에 글라스(400)를 개재하는 단계(S3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 멤브레인(230)에는 고형 이물질 및/또는 점액 물질이 걸러진 상태이고, 도말 멤브레인(250)에는 관심 세포, 배경 세포 및/또는 균(예컨대, 마이코박테리움 등)이 걸러진 상태이며, 불필요한 미소 세포 및/또는 수분을 포함하는 잔여 솔루션은 배출 용기(270) 내에 수용된 상태일 수 있다. 글라스(400)를 삽입하는 단계(S350)는 자동 도말 장치(300) 내부에서 자동 도말 장치(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 및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글라스(400)에 검체를 도말한다(S360). 도말 멤브레인(250)과 필터 멤브레인(230) 사이에 개재된 글라스(400)는 필터 멤브레인(230)과 대향하는 제1 면(도면상 상면) 및 도말 멤브레인(250)과 대향하는 제2 면(도면상 하면)을 갖는다. 글라스(400)에 검체를 도말하는 단계(S360)는 글라스(400)의 제2 면(도면상 하면)과 도말 멤브레인(250)을 접촉시켜 도말 멤브레인(250)에 흡착되어 있는 세포 및/또는 균을 글라스(400)의 제2 면(도면상 하면)에 전사 및 도말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글라스(400)의 제2면(도면상 상면) 상에 도말된 검체(K3)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는 슬라이드에 도말된 후 염색 및 현미경 검사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염색은 질넬슨(Ziehl-Neelsen)법 또는 형광 염색법 등의 항산성 염색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균 사멸 시약 및 이를 이용한 도말 처리 방법에 따르면, 마이코박테리움만을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되, 마이코박테리움 특유의 모양을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정도로 유지하면서도 마이코박테리움의 전염성은 제거하고 검체 내의 다른 세균의 세포벽은 파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마이코박테리움을 제외한 배경 세포에 대한 대조 염색이 가능해지고 현미경을 통한 명확한 육안 식별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 결핵균을 갖는 것으로 의심되는 환자로부터 채취한 검체 내의 마이코박테리움의 전염성이 제거될 때까지 상기 검체는 외부 공기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결핵 검사를 수행하는 검사자의 결핵균 감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험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 제조예 ]
수산화나트륨(NaOH) 4.0 중량%, 구연산소다(sodium citrate) 2.9 중량%,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 3.0 중량% 및 잔량의 증류수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차아염소산나트륨의 함량을 6.0 중량%로 하고 잔량의 증류수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차아염소산나트륨의 함량을 9.0 중량%로 하고 잔량의 증류수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상기 제조예 및 비교예 1과 2에 따른 조성물의 점도와 필터링 특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 ○는 점도가 낮거나 필터링 특성이 우수함을 의미하고, ×는 점도가 높거나 필터링 특성이 나쁨을 의미하며, △는 그 중간을 의미한다.
또, 상기 제조예 및 비교예 1과 2에 따른 조성물을 각각 결핵 환자의 객담과 혼합한 후 그 혼합물을 슬라이드에 도말하고 이를 염색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 ○는 염색 상태가 우수하여 결핵균 검출이 용이함을 의미하고, ×는 염색 상태가 불량하여 결핵균 검출이 용이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는 그 중간을 의미한다.
조성물 특성 평가 염색 특성 평가
점도 필터링 특성 도말 후 배경세포 상태 이미지 평가
제조예
Figure pat00001
비교예 1 ×
Figure pat00002
비교예 2 ×
Figure pat00003
×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검체 용기
200: 도말 처리 용기
300: 자동 도말 장치
400: 글라스

Claims (8)

  1. 세포벽이 파괴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검체를 글라스에 도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체의 도말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를 준비하는 단계는,
    마이코박테리움을 갖는 검체와 균 사멸 시약이 혼합되어 상기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가 수용된 검체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균 사멸 시약은 수산화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구연산소다 및 용매를 포함하는, 검체의 도말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와 균 사멸 시약이 혼합된 검체가 수용된 검체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균 사멸 시약이 수용되어 밀봉된 제1 내부 공간, 및 전염성이 제거되지 않은 균을 갖는 검체가 수용되고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분리되며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검체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검체 용기의 상기 제1 내부 공간에 수용된 상기 균 사멸 시약을 상기 검체 용기의 상기 제2 내부 공간으로 주입하여 상기 전염성이 제거되지 않은 균을 갖는 검체에 상기 균 사멸 시약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검체 용기의 상기 제2 내부 공간에서, 상기 검체와 상기 균 사멸 시약을 혼합하여 상기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체의 도말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 용기는,
    상기 제1 내부 공간을 갖는 캡부, 및
    상기 캡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2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검체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캡부는,
    상기 검체 수용부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 수단을 갖는 환형의 체결 바디,
    상기 환형의 체결 바디의 내주면 상부측에 배치된 누름부,
    상기 누름부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측벽부,
    상기 누름부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측벽부 내에 삽입 배치된 절취부, 및
    상기 측벽부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누름부 및 상기 측벽부와 함께 상기 제1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밀봉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검체에 상기 균 사멸 시약을 접촉시키는 단계는,
    상기 누름부에 하방 압력을 가하여 상기 누름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상기 절취부가 상기 밀봉 시트를 부분적으로 절취하여 상기 제1 내부 공간에 수용된 상기 균 사멸 시약을 상기 검체 용기의 상기 제2 내부 공간으로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체의 도말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균 사멸 시약이 수용된 제1 내부 공간, 및 상기 검체가 수용된 제2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검체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전염성이 제거되지 않은 균을 갖는 검체를 상기 캡부와 결합이 해제된 상기 검체 수용부 내에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캡부와 상기 검체 수용부의 결합에 의해 밀봉된 제2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체의 도말 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에 상기 균 사멸 시약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검체와 상기 균 사멸 시약을 혼합하여 상기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검체 용기의 상기 캡부와 상기 검체 수용부는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전염성이 제거되지 않은 균을 갖는 검체 및 상기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는 외부 공기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는, 검체의 도말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와 상기 균 사멸 시약을 혼합하여 상기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검체를 글라스에 도말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캡부와 상기 검체 수용부의 결합을 해제하여 내부 공간을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체를 글라스에 도말하는 단계는, 자동 도말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를 글라스에 도말하는 단계인, 검체의 도말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도말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를 글라스에 도말하는 단계는,
    내부 공간을 갖는 도말 처리 용기 바디, 상기 도말 처리 용기 바디 내에 삽입 배치된 필터 멤브레인, 및 상기 도말 처리 용기 바디 내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필터 멤브레인 하측에 배치된 도말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도말 처리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검체 용기의 상기 제2 내부 공간에 수용된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를 상기 도말 처리 용기의 상기 내부 공간에 주입하는 단계,
    상기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가 수용된 상기 도말 처리 용기를 상기 자동 도말 장치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검체를 상기 도말 멤브레인 측으로 흡입하여, 상기 필터 멤브레인을 이용해서 상기 전염성이 제거된 균을 갖는 검체를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 멤브레인과 상기 도말 멤브레인 사이에 상기 글라스를 삽입하는 단계로서, 상기 필터 멤브레인과 대향하는 제1 면 및 상기 도말 멤브레인과 대향하는 제2 면을 갖는 글라스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글라스의 상기 제2 면과 상기 도말 멤브레인을 접촉시켜 상기 글라스의 상기 제2 면 상에 검체를 도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체의 도말 처리 방법.
KR1020170073667A 2017-06-13 2017-06-13 검체의 도말 처리 방법 KR101997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667A KR101997193B1 (ko) 2017-06-13 2017-06-13 검체의 도말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667A KR101997193B1 (ko) 2017-06-13 2017-06-13 검체의 도말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545A true KR20180135545A (ko) 2018-12-21
KR101997193B1 KR101997193B1 (ko) 2019-07-05

Family

ID=64960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667A KR101997193B1 (ko) 2017-06-13 2017-06-13 검체의 도말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1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241A (ko) * 2019-09-16 2021-03-24 (주)코아바이오텍 하부 몸체에 경사가 형성된 검체 도말용 필터링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도말 시스템
CN114655551A (zh) * 2022-04-01 2022-06-24 浙江优纳特科学仪器有限公司 生物样本运输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0751A2 (en) * 2003-10-23 2005-05-06 Salubris Inc. Decontamination and concentration kit for mycobacteria
KR101129806B1 (ko) 2010-01-20 2012-03-23 사단법인대한결핵협회 도말양성 객담에서 직접 감수성 검사에 의하여 다제내성결핵을 진단하는 방법
KR101181396B1 (ko) * 2012-03-13 2012-09-19 (주)셀트라존 검체 용기
JP2014517315A (ja) * 2011-06-14 2014-07-17 アクス−ラブ イノヴェイション アンパルトセルスカブ 容器アセンブリおよび関連する方法
KR101579717B1 (ko) * 2015-04-14 2015-12-23 (주)셀트라존 액상검체 도말 처리장치
KR20160061641A (ko) * 2014-11-24 2016-06-01 (주)패스텍 현미경 슬라이드 제작을 위한 검사용 세포의 도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의 도말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0751A2 (en) * 2003-10-23 2005-05-06 Salubris Inc. Decontamination and concentration kit for mycobacteria
KR101129806B1 (ko) 2010-01-20 2012-03-23 사단법인대한결핵협회 도말양성 객담에서 직접 감수성 검사에 의하여 다제내성결핵을 진단하는 방법
JP2014517315A (ja) * 2011-06-14 2014-07-17 アクス−ラブ イノヴェイション アンパルトセルスカブ 容器アセンブリおよび関連する方法
KR101181396B1 (ko) * 2012-03-13 2012-09-19 (주)셀트라존 검체 용기
KR20160061641A (ko) * 2014-11-24 2016-06-01 (주)패스텍 현미경 슬라이드 제작을 위한 검사용 세포의 도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의 도말방법
KR101579717B1 (ko) * 2015-04-14 2015-12-23 (주)셀트라존 액상검체 도말 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241A (ko) * 2019-09-16 2021-03-24 (주)코아바이오텍 하부 몸체에 경사가 형성된 검체 도말용 필터링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도말 시스템
CN114655551A (zh) * 2022-04-01 2022-06-24 浙江优纳特科学仪器有限公司 生物样本运输罐
CN114655551B (zh) * 2022-04-01 2024-02-13 浙江优纳特科学仪器有限公司 生物样本运输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7193B1 (ko)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416663A1 (en) Cassette for sterility testing
US2672431A (en) Means for performing microbiological assays of aerosols and hydrosols
JP5519511B2 (ja) 試料採取用具
KR101997193B1 (ko) 검체의 도말 처리 방법
EP3663387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bereiten von flüssigkeiten, insbesondere körperflüssigkeiten
WO2011012020A1 (zh) 改进型多功能标本盒
US10934541B2 (en) Method for separating nucleic acid from specimen containing nucleic acid and device therefor
DE2115674C3 (de) Vorrichtung zum Aufsammeln und anschließenden Züchten von Mikroorganismen
KR20050021249A (ko) 미스트 살균 시스템
EP0734767A2 (de) Gefäss zur kontaminationsreduzierten Behandlung von Flüssigkeiten
US20200246755A1 (en) Self-preserving biodegradable environmental dna filter
Broadley et al. Antimycobacterial activity of ‘Virkon’
KR101997187B1 (ko) 마이코박테리움 검출에 사용되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용기
JP7458907B2 (ja) ろ過カートリッジ及び微生物検査方法
Mitra et al. Practical tips and common mistakes in ocular microbiology sampling and processing
DE102012015063B4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handlung eines Filtrationsmediums
US9839913B2 (en) Medical specimen container
Singh et al. Rapid identification and drug susceptibility testing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for non-commercial assays: Part 2: Nitrate reductase assay v1. 3.12
RU2481126C1 (ru) Дезинфицирующее средство
DE2614542B2 (ko)
JP2020174541A (ja) レジオネラ属菌の検査方法
Heninger et al. Decontamination of Bacillus anthracis spores: Evaluation of various disinfectants
WO2024068982A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esinfektion und/oder sterilisation von objekten
WO2024074432A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esinfektion und/oder sterilisation von elektronikbauteilen
JPH10201465A (ja) 細菌数測定方法及びサンプリングポ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