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075A - 클린룸용 작업대 - Google Patents

클린룸용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4075A
KR20180134075A KR1020170071500A KR20170071500A KR20180134075A KR 20180134075 A KR20180134075 A KR 20180134075A KR 1020170071500 A KR1020170071500 A KR 1020170071500A KR 20170071500 A KR20170071500 A KR 20170071500A KR 20180134075 A KR20180134075 A KR 20180134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booth module
work booth
module
clean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1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9017B1 (ko
Inventor
김도현
Original Assignee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1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017B1/ko
Publication of KR20180134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클린룸 안에서 고소 작업을 하기 위한 클린룸용 작업대가 개시된다. 클린룸용 작업대는, 메인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 방식으로 장착되며 고소 작업을 하기 위한 작업 공간이 구비된 작업 부스 모듈과, 작업 부스 모듈을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작업 부스 모듈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 부스 모듈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클린룸용 작업대의 이동이나 보관시 작업 부스 모듈을 접어 수평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린룸용 작업대{Workbench for clean roo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클린룸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클린룸 내부의 천장 부위와 같은 높은 위치에서의 고소 작업을 위한 클린룸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 디스플레이 등의 제조 공정은 외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클린룸 내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클린룸 내부의 청정도는 제조 대상에 따라 다소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최근,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가 크게 향상됨에 따라 클림룸 내부를 10 내지 100 class 정도의 고청정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클린룸의 천장에는 청정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팬 필터 유닛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클린룸 내부에는 수직 하방 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클린룸 내부에서 클린룸 천장 부위와 같이 높은 곳에서 작업하는 고소 작업이 필요한 경우, 고소 작업대를 이용하여 할 수 있다. 고소 작업대는 고소 작업이 필요한 곳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올라서서 고소 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제공한다.
그러나 고소 작업대는 그 크기가 크고 안정성을 위해 무겁게 제작되기 때문에, 작업자 혼자서 고소 작업대를 이동 또는 조립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고소 작업대를 세팅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작업자가 고소 작업대에 구비된 사다리를 이용하여 작업 공간으로 올라가거나 작업 공간에서 내려와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작업 도구를 들고 이동하기가 어렵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40790호 (2004.05.13.)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클린룸 내부에서 고소 작업을 위해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한 클린룸용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클린룸 안에서 고소 작업을 하기 위한 클린룸용 작업대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 방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고소 작업을 하기 위한 작업 공간이 구비된 작업 부스 모듈과, 상기 작업 부스 모듈을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작업 부스 모듈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클린룸용 작업대는, 상기 작업 부스 모듈에 장착되고 상기 작업 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작업 공간 내에서 발생된 파티클을 제거하기 위한 팬 필터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작업 부스 모듈은, 상기 팬 필터 유닛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을 구비하며 작업자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 패널과, 상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의 작업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측벽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에는 상기 팬 필터 유닛과 연통하는 통풍 커버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수직 이동하여 상기 작업 부스 모듈을 회전시키는 수직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며 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수직 이동부는 상기 작업 부스 모듈의 하부면에 상기 작업 부스 모듈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수직 이동부가 상기 구동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작업 부스 모듈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수직 이동부가 상기 구동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작업 부스 모듈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메인 프레임은, 작업자가 상기 작업 공간 안으로 이동하기 위해 구비되는 계단부와, 상기 계단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계단부를 지지하고 상부에 상기 작업 부스 모듈이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포스트부와, 상기 작업 부스 모듈에 결합되며 상기 작업 부스 모듈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계단부에 힌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연결 프레임와, 상기 계단부와 상기 포스트부들의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이동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작업 부스 모듈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여 수평 방향으로 위치할 경우 상기 포스트부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전동 실린더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클린룸 안에서 고소 작업을 하기 위한 클린룸용 작업대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 방식으로 장착되고 수평 방향으로 위치할 경우 상기 메인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소 작업을 하기 위한 작업 공간이 구비된 작업 부스 모듈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작업 부스 모듈을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작업 부스 모듈을 회전시키는 전동 실린더와, 상기 작업 부스 모듈에 장착되고 상기 작업 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작업 공간 내에서 발생된 파티클을 제거하기 위한 팬 필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클린룸용 작업대는, 작업 부스 모듈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작업 부스 모듈을 수직 방향으로 배치할 수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클린룸용 작업대는 이동이나 보관시 작업 부스 모듈을 접어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이동이나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클린룸 작업대는 구동부를 이용하여 작업 부스 모듈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조립 시간을 단축시키며 작업자 혼자서 클린룸용 작업대를 이동 조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린룸 작업대를 이용한 1인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클린룸용 작업대는 팬 필터 유닛들을 구비함으로써, 작업 공간으로부터 서포트 패널(110) 아래를 향한 하방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린룸용 작업대에 의한 클린룸 내부의 와류 발생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클린룸 내부에서의 고소 작업시 작업 공간 내에서 발생된 파티클이 팬 필터 유닛에 의해 제거될 수 있으므로, 클린룸 내부의 고청정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린룸용 작업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작업 부스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클린룸용 작업대를 이동 또는 보관하기 위해 작업 부스 모듈을 회전시켜 접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온전히 완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기보다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배치되는 또는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상기 요소는 상기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 배치되거나 연결될 수도 있으며, 다른 요소들이 이들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 배치되거나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그들 사이에는 또 다른 요소가 있을 수 없다. 다양한 요소들, 조성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부분들과 같은 다양한 항목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항목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달리 한정되지 않는 이상,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을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는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통상적인 사전들에서 한정되는 것들과 같은 상기 용어들은 관련 기술과 본 발명의 설명의 문맥에서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며, 명확히 한정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외형적인 직감으로 해석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의 개략적인 도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해들의 형상들로부터의 변화들, 예를 들면, 제조 방법들 및/또는 허용 오차들의 변화는 충분히 예상될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해로서 설명된 영역들의 특정 형상들에 한정된 바대로 설명되어지는 것은 아니라 형상들에서의 편차를 포함하는 것이며, 도면들에 설명된 요소들은 전적으로 개략적인 것이며 이들의 형상은 요소들의 정확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린룸용 작업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작업 부스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클린룸용 작업대를 이동 또는 보관하기 위해 작업 부스 모듈을 회전시켜 접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린룸용 작업대(400)는 고청정도를 유지해야 하는 클린룸 내부에서 천장 부위 등과 같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의 고소 작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클린룸용 작업대(400)는, 상기 고소 작업을 하기 위한 작업 공간이 구비된 작업 부스 모듈(100)과, 작업자가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메인 프레임(200)과,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을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은 대체로 직육면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은, 대체로 직사각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작업자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 패널(110)과, 상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의 작업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측벽들(12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은 상기 메인 프레임(200)의 상부에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은 힌지 결합 방식으로 상기 메인 프레임(200)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부(300)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동작에 의해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위치할 수도 있고 수평 방향으로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200)은, 상기 작업자가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로 올라가거나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로부터 지상으로 내려오기 위한 계단부(210)와, 상기 계단부(2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계단부(210)를 지지하는 한 쌍의 포스트부(220)와,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과 상기 계단부(21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프레임(230), 및 상기 계단부(210)와 상기 포스트부들(2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클린룸용 작업대(4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이동휠(2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계단부(210)는 상기 작업자가 오르고 내릴 수 있는 복수의 계단(21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단부(210)는 상기 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게 오르고 내릴 수 있도록 핸드 레일(2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핸드 레일(250)은 상기 계단들(212)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작업자는 손으로 상기 핸드 레일(250)을 잡고서 상기 계단들(212)을 오르고 내릴 수 있다.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 하지 않았으나, 상기 핸드 레일(250)은 상기 계단들(212)의 양측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계단부(210)의 일측에는 상기 포스트부들(220)이 결합된다. 상기 포스트부들(220)은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의 정면측과 후면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계단부(210)와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을 지지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계단들(212) 중 최상위에 위치하는 계단(212A)에는 상기 연결 프레임(230)이 힌지(26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연결 프레임(230)과 상기 힌지(260)는 상기 최상위 계단(212A)의 상부면 양측부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로, 상기 연결 프레임(230)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232)과, 상기 지지부(232)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의 측벽(120)에 결합된 한 쌍의 연결부(23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은 상기 힌지(260)를 이용하여 상기 계단부(210)에 결합되므로,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며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의 배치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200)은 작업자의 편의를 위한 부스 핸드 레일(27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스 핸드 레일(270)은 일 단부가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의 측벽(120)에 결합되고 타 단부가 상기 연결 프레임(230)의 지지부(2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부(300)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로, 상기 구동부(300)는 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메인 프레임(200)의 계단부(210)에 장착된 구동 몸체(310)와, 상기 구동 몸체(310)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 몸체(310)의 구동력에 의해 수직 이동하여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을 회전시키는 수직 이동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몸체(310)는 상기 계단부(210)의 후면부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수직 이동부(320)는 일 단부가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의 서포트 패널(110)의 하부에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은 상기 연결 프레임(2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이동부(320)의 수직 이동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 프레임(230) 또한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의 회전 시 회전축은 상기 흰지(260)와 상기 연결 프레임(230)의 결합 부위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은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00)는 전동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이동부(320)가 상기 구동 몸체(310)의 구동에 의해 하측으로 수직 이동할 경우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경우,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은 상기 포스트부들(2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이동부(320)가 상측으로 수직 이동할 경우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다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수직 이동부(320)는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의 하부를 지지한다. 상기 작업자는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의 작업 공간 안으로 들어가 고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클린룸용 작업대(400)는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을 수직 방향으로 배치할 수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클린룸용 작업대(400)는 이동이나 보관시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을 접어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이동이나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클린룸 작업대(400)는 상기 구동부(300)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조립 시간을 단축시키며 작업자 혼자서 상기 클린룸용 작업대(400)를 이동 조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클린룸 작업대(400)를 이용한 1인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클린룸용 작업대(400)는 상기 계단부(210)를 구비하므로, 상기 작업자가 작업 도구를 들고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로 오르거나 내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다리를 이용하는 종래 대비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클린룸용 작업대(400)는 상기 작업 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 안의 작업 공간에서 발생된 파티클을 제거하기 위한 팬 필터 유닛들(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 필터 유닛들(130)은 상기 작업 부스 모듈(10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 패널(110)은 상부 패널(112)과 하부 패널(114)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팬 필터 유닛들(130)은 상기 상부 패널(112)과 상기 하부 패널(1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패널(112)과 하부 패널(114)에는 상기 팬 필터 유닛들(130)과 연통하는 통풍 커버들(116)이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통풍 커버들(116)은 그물망 형태 또는 배플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상부 패널(112)과 하부 패널(114) 전체가 그물망 형태 또는 배플 플레이트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면에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팬 필터 유닛들(130)은 하방 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팬과 상기 작업 공간 내에서 발생된 파티클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팬 필터 유닛들(130)은 상기 작업 공간으로부터 상기 서포트 패널(110) 아래를 향한 하방 기류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클린룸 내부의 전체적인 하방 기류를 변화시키지 않으며 이를 통해 상기 클린룸용 작업대(400)에 의한 와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팬 필터 유닛들(130)은 상기 작업 공간으로부터 상기 서포트 패널(110) 아래를 향한 하방 기류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클린룸용 작업대(400)에 의한 상기 클린룸 내부의 와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린룸 내부에서의 고소 작업시 상기 작업 공간 내에서 발생된 파티클이 상기 팬 필터 유닛(130)에 의해 제거될 수 있으므로, 상기 클린룸 내부의 고청정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작업 부스 모듈 110 : 서포트 패널
120 : 측벽 130 : 팬 필터 유닛
200 : 메인 프레임 210 : 계단부
220 : 포스트부 230 : 연결 프레임
240 : 이동휠 250 : 핸드 레일
260 : 힌지 270 : 부스 핸드 레일
300 : 구동부 310 : 구동 몸체
320 : 수직 이동부 400 : 클린룸용 작업대

Claims (11)

  1. 클린룸 안에서 고소 작업을 하기 위한 클린룸용 작업대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 방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고소 작업을 하기 위한 작업 공간이 구비된 작업 부스 모듈; 및
    상기 작업 부스 모듈을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작업 부스 모듈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용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부스 모듈에 장착되고 상기 작업 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작업 공간 내에서 발생된 파티클을 제거하기 위한 팬 필터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용 작업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부스 모듈은,
    상기 팬 필터 유닛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을 구비하며 작업자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 패널; 및
    상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의 작업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측벽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용 작업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에는 상기 팬 필터 유닛과 연통하는 통풍 커버가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용 작업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수직 이동하여 상기 작업 부스 모듈을 회전시키는 수직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며 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용 작업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동부는 상기 작업 부스 모듈의 하부면에 상기 작업 부스 모듈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용 작업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동부가 상기 구동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작업 부스 모듈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수직 이동부가 상기 구동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작업 부스 모듈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용 작업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작업자가 상기 작업 공간 안으로 이동하기 위해 구비되는 계단부;
    상기 계단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계단부를 지지하고 상부에 상기 작업 부스 모듈이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포스트부;
    상기 작업 부스 모듈에 결합되며 상기 작업 부스 모듈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계단부에 힌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연결 프레임; 및
    상기 계단부와 상기 포스트부들의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이동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용 작업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부스 모듈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여 수평 방향으로 위치할 경우 상기 포스트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용 작업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전동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용 작업대.
  11. 클린룸 안에서 고소 작업을 하기 위한 클린룸용 작업대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 방식으로 장착되고 수평 방향으로 위치할 경우 상기 메인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소 작업을 하기 위한 작업 공간이 구비된 작업 부스 모듈;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작업 부스 모듈을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작업 부스 모듈을 회전시키는 전동 실린더; 및
    상기 작업 부스 모듈에 장착되고 상기 작업 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작업 공간 내에서 발생된 파티클을 제거하기 위한 팬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용 작업대.
KR1020170071500A 2017-06-08 2017-06-08 클린룸용 작업대 KR102289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500A KR102289017B1 (ko) 2017-06-08 2017-06-08 클린룸용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500A KR102289017B1 (ko) 2017-06-08 2017-06-08 클린룸용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075A true KR20180134075A (ko) 2018-12-18
KR102289017B1 KR102289017B1 (ko) 2021-08-11

Family

ID=64952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1500A KR102289017B1 (ko) 2017-06-08 2017-06-08 클린룸용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01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089U (ja) * 1993-12-24 1995-07-14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高所作業車
JP2002195620A (ja) * 2000-12-27 2002-07-10 Sankyo Seiki Mfg Co Ltd クリーン作業モジュール及びクリーントンネル
KR20040040790A (ko) 2002-11-08 2004-05-13 (주)케이디비테크놀러지 국부청정장치
JP2004173586A (ja) * 2002-11-27 2004-06-24 Kobashi Kogyo Co Ltd 作業機のオフセット・回動機構
JP2013194358A (ja) * 2012-03-15 2013-09-30 Asahi Gakuen Group:Kk 工事用足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089U (ja) * 1993-12-24 1995-07-14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高所作業車
JP2002195620A (ja) * 2000-12-27 2002-07-10 Sankyo Seiki Mfg Co Ltd クリーン作業モジュール及びクリーントンネル
KR20040040790A (ko) 2002-11-08 2004-05-13 (주)케이디비테크놀러지 국부청정장치
JP2004173586A (ja) * 2002-11-27 2004-06-24 Kobashi Kogyo Co Ltd 作業機のオフセット・回動機構
JP2013194358A (ja) * 2012-03-15 2013-09-30 Asahi Gakuen Group:Kk 工事用足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9017B1 (ko) 202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4556B2 (en) Additive manufacturing chamber, additive manufacturing module and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with
US6290740B1 (en) Large size clean air workstation
JPH07228308A (ja) 荷保管設備
KR20180134075A (ko) 클린룸용 작업대
CN110155860A (zh) 一种小区高层建筑用升降式电梯
CN211508218U (zh) 一种路边防尘电力柜
JP5578726B2 (ja) クリーンブース
KR102503283B1 (ko) 클린룸용 작업대
US20090049989A1 (en) Welding smog disposing machine
JPH11210221A (ja) 防塵装置付き作業足場
KR20210148643A (ko) 클린룸용 작업대
JP4684450B2 (ja) ファンフィルタユニットの設置工法
KR102056629B1 (ko) 창호/방충방진망 설치용 이동식 작업 장치
CN108877470A (zh) 一种汽车电动门窗实训台架
KR200490336Y1 (ko) 박스형 필터 탈부착 장치
KR102244639B1 (ko) 클린룸 구조
KR200493312Y1 (ko) 신축 가능한 벽체를 구비하는 리프트용 작업대
CN220421251U (zh) 用于配电箱生产的拼装台
CN214338270U (zh) 一种防尘网络设备箱
CN220521679U (zh)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幕墙
JP6261322B2 (ja) エア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
CN218441498U (zh) 一种建筑设计图纸投影设备
CN1226562C (zh) 空调装置
KR101901013B1 (ko) 챔버 잔류가스 배기장치
JPH08193735A (ja) クリーンエ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