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2611A - 가스 발생기 - Google Patents

가스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2611A
KR20180132611A KR1020187023720A KR20187023720A KR20180132611A KR 20180132611 A KR20180132611 A KR 20180132611A KR 1020187023720 A KR1020187023720 A KR 1020187023720A KR 20187023720 A KR20187023720 A KR 20187023720A KR 20180132611 A KR20180132611 A KR 20180132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cup
wall
normal
shape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3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히로 이즈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셀
Publication of KR20180132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6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7/00Apparatus for generating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60R21/27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gas just before or during liberation, e.g. hybrid inf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29Ign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7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characterised by ca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판과 저판, 및 가스 배출구가 형성된 주벽부를 갖는 하우징을 갖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하우징의 축을 따라 배치된, 주벽부에 제1 연통 구멍을 갖는 통상 부재와, 상기 통상 부재 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저판에 설치된 점화기와, 상기 통상 부재 내에 상기 점화기의 착화부와 동일 공간에 충전된 전화약과, 상기 통상 부재의 내벽면과 적어도 주벽부의 일부가 맞닿아지고, 개구부가 상기 천판측이 되고, 제2 연통 구멍을 갖는 저면부가 상기 전화약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저면부, 주벽부 및 개구부를 갖는 컵상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통상 부재의 외측 제1 공간 내와 상기 컵상 부재 내의 제2 공간 내에 가스 발생제가 충전되어 있는 것이고, 또한 적어도 상기 컵상 부재의 저면부 및 상기 통상 부재의 내벽면에 맞닿아져서 배치된 환상 시일 부재를 갖고 있는, 가스 발생기이다.

Description

가스 발생기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 등에 사용할 수 있는 가스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US-B No.7347448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에 사용하는 파이로 인플레이터의 발명이 기재되어 있다.
하우징(202)의 내부에는 스퀴브(234)가 배치되고, 그것을 둘러싸도록, 이그나이터 컵(260)이 배치되어 있다.
이그나이터 컵(260)은, 양단부(270, 272)가 개구하고 있고, 측벽(268)에는 가스 출구 오리피스(27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내부에는 점화약이 충전된 캐니스터(27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캐니스터(276)의 상에는, 이그나이터 컵 인서트(264)가 배치되어 있고, 저면에는 출구 오리피스(275)가 형성되어 있다.
캐니스터(276) 내부의 화약이 연소하면, 그 생성물은, 가스 출구 오리피스(274 및 275)를 통과하여, 각각 연장 상에 있는 가스 발생제를 착화시킨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이하, 「제1 양태」라고 함)는, 천판(top plate)과 저판(bottom plate), 및 가스 배출구가 형성된 주벽부를 갖는 하우징을 갖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하우징의 축을 따라 배치된, 주벽부에 제1 연통 구멍을 갖는 통상 부재와,
상기 통상 부재 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저판에 설치된 점화기와,
상기 통상 부재 내에 상기 점화기의 착화부와 동일 공간에 충전된 전화약과,
상기 통상 부재의 내벽면과 적어도 주벽부의 일부가 맞닿아지고, 개구부가 상기 천판측이 되고, 제2 연통 구멍을 갖는 저면부가 상기 전화약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저면부, 주벽부 및 개구부를 갖는 컵상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통상 부재의 외측 제1 공간 내와 상기 컵상 부재 내의 제2 공간 내에 가스 발생제가 충전되어 있는 것이고,
또한 적어도 상기 컵상 부재의 저면부 및 상기 통상 부재의 내벽면에 맞닿아져서 배치된 환상 시일 부재를 갖고 있는, 가스 발생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이하, 「제2 양태」라고 함)는, 천판과 저판, 및 가스 배출구가 형성된 주벽부를 갖는 하우징을 갖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하우징의 축을 따라 배치된, 주벽부에 제1 연통 구멍을 갖는 통상 부재와,
상기 통상 부재 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저판에 설치된 점화기와,
상기 통상 부재 내에 상기 점화기의 착화부에 대향한 상태로 배치되며, 전화약이 수용된 전화약 용기와,
상기 통상 부재의 내벽면과 적어도 주벽부의 일부가 맞닿아지고, 개구부가 상기 천판측이 되고, 제2 연통 구멍을 갖는 저면부가 상기 전화약 용기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저면부, 주벽부 및 개구부를 갖는 컵상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통상 부재의 외측 제1 공간과 상기 컵상 부재 내의 제2 공간 내에 가스 발생제가 충전되어 있는 것이고,
또한 적어도 상기 컵상 부재의 저면부 및 상기 통상 부재의 내벽면에 맞닿아져서 배치된 환상 시일 부재를 갖고 있는, 가스 발생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더욱 완전히 이해되는 것인데, 이것들은 단지 설명을 위해 첨부되는 것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가스 발생기의 축 X 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인 가스 발생기의 축 X 방향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인 가스 발생기의 축 X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인 가스 발생기의 축 X 방향의 부분 단면도이다.
US-B No.7347448의 가스 발생기의 경우, 캐니스터(276) 내의 점화약이 연소했을 때에, 이그나이터 컵(260)과 이그나이터 컵 인서트(264) 사이의 간극을 연소 가스가 흐르는 경우가 생각되고, 그러한 경우에는, 가스 출구 오리피스(275) 연장 상에 있는 가스 발생제의 착화성이 저하되게 된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에서는, 하우징 내에 충전된 가스 발생제 전체의 착화성이 향상되어 있다.
하우징은, 공지된 가스 발생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복수의 가스 배출구를 갖는 디퓨저 셸과 클로져 셸이 접촉 부분에서 접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통상 부재는, 하우징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제(철, 스테인리스 등)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제1 단부측이 저판에 맞닿아 있고, 제2 단부측은 천판과 대향하고 있다. 제2 단부와 천판은, 간극을 두고 대향하고 있어도 되고, 서로 맞닿아져 있어도 된다.
통상 부재의 주벽부에는, 전화약이 연소하여 발생한 연소 생성물을 방출시키기 위한 제1 연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통상 부재의 높이는, 저판에서부터 천판까지의 사이에서 컵상 부재와 관련하여 결정되는 것이다.
점화기는, 공지된 가스 발생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화기로서, 착화부와 도전 핀을 갖는 점화기 본체가 수지를 통하여 금속제의 점화기 칼라에 고정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점화기를 하우징 저판에 설치할 때는, 저판에 뚫은 구멍 내부에 점화기 칼라를 감입하여 고정할 수 있지만, 점화기의 고정 구조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컵상 부재는, 하우징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제(철, 스테인리스 등)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적어도 주벽부의 일부가 통상 부재의 내벽면과 맞닿아지고, 개구부가 천판측이 되고, 저면이 전화약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컵상 부재의 저면부는, 전화약이 연소하여 발생한 연소 생성물을 방출시키기 위한 제2 연통 구멍을 갖고 있고, 상기 제2 연통 구멍은, 주연부를 제외한 부분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컵상 부재의 개구부와 천판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컵상 부재의 주벽부는, 개구부에 접한 부분에 복수의 절결부 또는 관통 구멍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통상 부재의 천판측의 개구부에 절결이나 관통 구멍을 형성하여, 컵상 부재의 절결이나 관통 구멍과 정합시켜서 배치시킬 수도 있다.
컵상 부재의 저면부는 전화약과 대향하고 있으면, 전화약과 맞닿아 있어도 되고,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어도 된다.
컵상 부재와 통상 부재는, 컵상 부재의 중심축과 통상 부재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컵상 부재는, 적어도 주벽부의 일부가 통상 부재의 내벽면에 대하여 압입되어 있거나, 통상 부재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용접되어 있는(예를 들어, 둘레 방향의 복수 개소에서 용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컵상 부재는, 통과 통의 한쪽의 개구부를 폐색한 덮개 부재(구획벽)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하우징 내에는, 통상 부재의 외측 제1 공간과 컵상 부재 내의 제2 공간 내에 가스 발생제가 충전되어 있다.
제1 공간은, 통상 부재의 외측 공간이며, 컵상 부재 내의 제2 공간을 제외한 공간 전체이다.
가스 발생제는, 공지된 가스 발생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공간과 제2 공간에 충전된 가스 발생제는, 형상이나 치수, 조성비 등이 동일한 것이어도 되고,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
환상 시일 부재는, 적어도 컵상 부재의 저면부 및 통상 부재의 내벽면에 맞닿아져서 배치되어 있고, 또한 전화약에 맞닿아져 있어도 된다.
환상 시일 부재는 고무, 수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필요에 따라, 공지된 쿨런트·필터, 리테이너 등을 하우징 내에 배치할 수 있다.
점화기가 작동했을 때, 전화약이 착화 연소되어서 연소 생성물(화염, 고온의 연소 가스)을 발생시킨다.
연소 생성물의 일부는, 통상 부재의 제1 연통 구멍으로부터 제1 공간 내에 방출되어, 가스 발생제를 착화 연소시켜서 연소 가스를 발생시킨다.
제1 연통 구멍의 형성 위치와 수는, 제1 공간 내의 가스 발생제의 착화성을 고려하여 정할 수 있다.
연소 생성물의 잔부는, 컵상 부재의 저면부의 제2 연통 구멍으로부터 제2 공간 내에 방출되어, 가스 발생제를 착화 연소시켜서 연소 가스를 발생시킨다. 이때, 환상 시일 부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통상 부재의 내벽면과 컵상 부재의 주벽부와의 접촉 부분을 통과하는 연소 생성물은 없다.
전화약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연소 생성물 중, 본래, 제2 공간 내에 유입해야 할 양을 확보할 수 있고, 특히 제2 공간 내의 가스 발생제의 착화 성능이 유지되어, 가스 발생제 전체의 착화성 및 연소성이 향상된다.
제1 공간 및 제2 공간에서 발생한 연소 가스는, 가스 배출구로부터 배출된다.
제2 양태의 발명은, 제1 양태의 발명과는 전화약 용기의 유무에 있어서만 상이하다.
전화약 용기는, 공지된 가스 발생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약 용기로서, 알루미늄이나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원기둥 형상 등의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전화약 용기는, 통상 부재 내에서 저면측이 점화기의 착화부에 대향하고, 천면측이 컵상 부재의 저면부와 대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전화약 용기의 천면측은, 컵상 부재의 저면부와 맞닿고 있어도 되고,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어도 된다.
환상 시일 부재는, 컵상 부재의 저면부 및 통상 부재의 내벽면에 맞닿아져서 배치되어 있고, 또한 전화약 용기에 맞닿아져 있어도 된다.
환상 시일 부재는 고무, 수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점화기가 작동했을 때, 전화약 용기가 깨져서 내부의 전화약이 착화 연소되어서 연소 생성물(화염, 고온의 연소 가스)을 발생시킨다.
연소 생성물의 일부는, 통상 부재의 제1 연통 구멍으로부터 제1 공간 내에 유입하여, 가스 발생제를 착화 연소시켜서 연소 가스를 발생시킨다.
제1 연통 구멍의 형성 위치와 수는, 제1 공간 내의 가스 발생제의 착화성을 고려하여 정할 수 있다.
연소 생성물의 잔부는, 컵상 부재의 저면부의 제2 연통 구멍으로부터 제2 공간 내에 유입하여, 가스 발생제를 착화 연소시켜서 연소 가스를 발생시킨다. 이때, 환상 시일 부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통상 부재의 내벽면과 컵상 부재의 주벽부와의 접촉 부분을 통과하는 연소 생성물은 없다.
전화약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연소 생성물 중, 본래, 제2 공간 내에 유입해야 할 양을 확보할 수 있고, 특히 제2 공간 내의 가스 발생제의 착화 성능이 유지되어, 가스 발생제 전체의 착화성 및 연소성이 향상된다.
제1 공간 및 제2 공간에서 발생한 연소 가스는, 가스 배출구로부터 배출된다.
제1 양태와 제2 양태의 발명은, 상기 컵상 부재의 저면부의 전체와, 상기 컵상 부재의 주벽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통상 부재 내에 위치하고, 상기 컵상 부재의 주벽부의 전부 또는 일부와 상기 통상 부재의 내벽면이 맞닿아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양태와 제2 양태의 발명은, 상기 컵상 부재의 전체가 상기 통상 부재 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컵상 부재의 주벽부의 외표면과 상기 통상 부재의 내벽면이 맞닿아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컵상 부재의 전체가 통상 부재 내에 위치하고 있으면, 컵상 부재의 주벽부의 외표면과 통상 부재의 내벽면과의 접촉 면적이 커지고, 환상 시일 부재의 시일 작용과 함께 연소 생성물의 누출 방지 효과가 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컵상 부재는, 통상 부재 내부에 압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양태와 제2 양태의 발명은, 상기 컵상 부재의 상기 저면부가, 상기 저면부의 주연측에 형성된 환상 저면부와, 상기 환상 저면부에서 돌출된 환상 벽면부와, 상기 환상 벽면부로 둘러싸인 원형 저면부를 갖고 있고,
상기 컵상 부재의 전체가 상기 통상 부재 내에 위치하고, 상기 컵상 부재의 주벽부와 상기 통상 부재의 내벽면이 맞닿아져 있고,
상기 컵상 부재의 환상 저면부, 상기 컵상 부재의 환상 벽면부 및 상기 통상 부재의 내벽면으로 둘러싸인 환상 홈 내에 상기 환상 시일 부재가 감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상 홈에 환상 시일 부재가 감입되어 있으면, 컵상 부재의 환상 벽면부 및 통상 부재의 내벽면에 의해 양측으로부터 가압할 수 있도록 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컵상 부재의 주벽부와 통상 부재의 내벽면과의 접촉 부분으로부터 연소 생성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양태의 발명과 같이 전화약 용기를 사용하고 있을 때는, 상기 환상 시일 부재는 전화약 용기에도 맞닿아져 있어도 된다.
제2 양태의 발명은, 상기 컵상 부재의 상기 저면부가, 상기 저면부의 주연측에 형성된 환상 저면부와, 상기 환상 저면부에서 돌출된 환상 벽면부와, 상기 환상 벽면부로 둘러싸인 원형 저면부를 갖고 있고,
상기 컵상 부재가, 상기 환상 저면부가 상기 통상 부재의 상기 천판측 개구부의 환상 단부면에 맞닿아지고, 상기 환상 벽면부가 상기 통상 부재의 내벽면에 맞닿아져 있고,
상기 통상 부재의 내벽면, 상기 원형 저면부 및 상기 전화약 용기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환상 시일 부재가 감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화약 용기를 사용한 경우에는, 통상 부재의 내벽면, 원형 저면부 및 전화약 용기에 접촉한 상태로 환상 시일 부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컵상 부재의 주벽부와 통상 부재의 내벽면의 접촉 부분으로부터 연소 생성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양태의 발명은, 상기 컵상 부재의 상기 저면부가, 상기 저면부의 주연측에 형성된 환상 저면부와, 상기 환상 저면부에서 돌출된 환상 벽면부와, 상기 환상 벽면부로 둘러싸인 원형 저면부를 갖고 있고,
상기 컵상 부재가, 상기 환상 저면부가 상기 통상 부재의 상기 천판측 개구부의 환상 단부면에 맞닿아지고, 상기 환상 벽면부가 상기 통상 부재의 내벽면에 맞닿아져 있고,
상기 전화약 용기가, 상기 점화기측의 저면, 상기 컵상 부재측의 천면, 및 주벽면을 갖고 있는 원기둥 형상의 것이고, 또한 상기 천면이, 상기 천면의 주연측에 형성된 환상 천면과, 상기 환상 천면에서 돌출된 환상 벽면과, 상기 환상 벽면으로 둘러싸인 원형 천면을 갖고 있고,
상기 통상 부재의 내벽, 상기 컵상 부재의 원형 저면부, 상기 전화약 용기의 환상 천면 및 상기 전화약 용기의 환상 벽면으로 둘러싸인 환상 공간 내에 상기 환상 시일 부재가 감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상 공간에 환상 시일 부재가 감입되어 있으면, 전체 방향으로부터 가압할 수 있도록 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컵상 부재의 주벽부와 통상 부재의 내벽면의 접촉 부분으로부터 연소 생성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전화약의 연소에서 발생한 연소 생성물 중, 제2 공간에 공급되어야 할 연소 생성물이, 제2 공간 내의 가스 발생제 전량을 착화 연소시킨다.
이로 인해,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연소실 내의 가스 발생제 전체의 착화 연소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자동차에 탑재되는 에어백 장치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도 1의 가스 발생기
가스 발생기(1)는, 디퓨저 셸(11)과 클로져 셸(21)이 접촉 부분에서 용접된 하우징(10)을 갖고 있다.
디퓨저 셸(11)은, 천판(12)과 상부 주벽부(13)를 갖고 있고, 개구부측에는 플랜지부(14)를 갖고 있다. 상부 주벽부(13)에는 복수의 가스 배출구(15)가 형성되어 있다.
클로져 셸(21)은, 저판(22)과 하부 주벽부(23)를 갖고 있고, 저판(22)의 중앙부에는 점화기(25)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점화기(25)는, 공지된 가스 발생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며, 예를 들어 점화기 칼라(26)와 착화부(27)를 포함하는 점화기 본체가 수지를 통하여 일체화된 것이다.
점화기(25)는, 점화기 칼라(26)가 클로져 셸(21)의 저판(22)의 구멍에 감입됨으로써 설치되어 있다.
점화기 칼라(26)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의 외경(대경부)이 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의 외경(소경부)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상기 소경부의 외표면은 상기 구멍에 맞닿아져 있고, 상기 대경부와 상기 소경부 사이의 환상면은 저판(22)의 내측면에 맞닿아져 있다.
하우징(10) 내에는, 하우징(10)의 축 X에 따라 통상 부재(30)가 배치되어 있다.
통상 부재(30)는, 주벽부(31)에 복수의 제1 연통 구멍(32)을 갖고 있고, 저판(22)측의 제1 단부 개구부(33)가 하우징(10) 내에 돌출된 점화기 칼라(26)에 외측으로부터 감입되어 있고, 제1 단부는 하우징 저판(22)에 맞닿아 있다. 제2 단부 개구부(34)는 천판(12)측에서 약간 간극을 두고 면하고 있다.
복수의 제1 연통 구멍(32)의 형성 위치는, 전화약이 연소하여 발생한 연소 생성물이 제1 공간(35) 내에 방출되는 위치이면 된다.
통상 부재(30)의 제1 단부 개구부(33)측은 점화기 칼라(26)에 압입되어 있다.
통상 부재(30) 내에는, 점화기(25)의 착화부(27)와 대향한 상태로 전화약 용기(40)가 배치되어 있다.
전화약 용기(40)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외형이 원기둥 형상의 것이고, 내부에 공지된 가스 발생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화약이 수용되어 있다.
전화약 용기(40)는, 저면(41)이 점화기(25)의 착화부(27)에 맞닿아지고, 천면(42)이 컵상 부재의 저면부(51)측에 면하고 있다.
도 1의 가스 발생기(1)에서는, 전화약 용기(40)를 사용하지 않고, 통상 부재(30) 내에 직접 전화약이 충전되어 있어도 된다.
통상 부재(30) 내에는 컵상 부재(50)가 배치되어 있다.
컵상 부재(50)는, 저면부(51), 주벽부(52) 및 개구부(53)를 갖는 것이고, 저면부(51)에는 복수의 제2 연통 구멍(54)이 형성되어 있다.
컵상 부재(50)는, 통상 부재(30)의 주벽부(31)의 내벽면(31a)과 컵상 부재(50)의 주벽부(52)의 전체가 맞닿아지고, 개구부(53)가 천판(12)측이 되고, 저면부(51)가 전화약 용기(4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컵상 부재(50)는, 통상 부재(30)에 대하여 압입되어 있다.
저면부(51)와 전화약 용기(40)는 간격을 두고 대향되고 있지만, 일부가 접촉한 상태여도 된다.
컵상 부재(50)의 저면부(51), 통상 부재(30)의 주벽부(31)의 내벽면(31a) 및 전화약 용기(40)의 천면(42)에 맞닿은 상태로 환상 시일 부재(60)가 배치되어 있다.
환상 시일 부재(60)는, 작동 시에 있어서 전화약이 연소하여 발생한 연소 생성물이, 주벽부(31)의 내벽면(31a)과 컵상 부재(50)의 주벽부(52)의 외벽면과의 접촉 부분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능하는 것이다.
통상 부재(30)의 외측 제1 공간(35)과 컵상 부재(50) 내의 제2 공간(55)에 가스 발생제(61)가 충전되어 있다.
제1 공간(35)과 제2 공간(55)은, 합하여 연소실이 되어 있다. 도 1과 같이 통상 부재(30)에 대하여 컵상 부재(50)를 압입하는 구조에 의해, 전화약 양에 변화가 있어도, 컵상 부재(50)의 위치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착화하기 어려운 제2 공간(55) 내의 가스 발생제(61)도, 본건 발명의 구조에 의해 확실하게 착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1)의 동작을 설명한다.
점화기(25)가 작동하면, 착화부(27)로부터 발생한 화염에 의해 바로 위의 전화약 용기(40)가 개열되어, 내부의 전화약이 연소하여 연소 생성물이 발생한다.
발생한 연소 생성물의 일부는, 통상 부재(30)의 제1 연통 구멍(32)을 통하여 제1 공간(35) 내에 유입하여, 가스 발생제(61)를 착화 연소시킨다.
발생한 연소 생성물의 잔부는, 컵상 부재(50)의 제2 연통 구멍(54)을 통하여 제2 공간(55) 내에 유입하여, 가스 발생제(61)를 착화 연소시킨다. 이때, 연소 생성물에 의한 압력을 받으면, 환상 시일 부재(60)는 통상 부재(30)의 주벽부(31)의 내벽면(31a)과 컵상 부재(50)의 주벽부(52)의 맞닿음 부분에 대하여 가압할 수 있고, 상기 맞닿음 부분으로부터 연소 생성물이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 인해, 상기한 발생한 연소 생성물의 잔부는, 전량이 제2 연통 구멍(54)을 통하여 제2 공간(55) 내에 유입한다.
이렇게 전화약이 연소하여 발생한 연소 생성물의 전량이, 제1 공간(35) 및 제2 공간(55) 내의 가스 발생제(61)의 연소에 이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가스 발생제(61) 전체의 착화성이 향상된다.
또한 컵상 부재(50)의 제2 공간(55) 내의 가스 발생제(61)가 제1 공간(35) 내의 가스 발생제(61)와는 별도로 독자적으로 연소되고, 발생한 연소 가스는 제1 공간(35)에 유입하기 때문에, 제1 연통 구멍(3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는 가스 발생제(61)의 착화성도 향상되는 점에서, 연소실(제1 공간(35)과 제2 공간(55)) 전체의 가스 발생제(61)의 착화성이 향상되게 된다.
제1 공간(35) 및 제2 공간(55)에서 발생한 연소 가스는, 가스 배출구(15)로부터 배출된다.
(2) 도 2의 가스 발생기
도 2의 가스 발생기(1A)는, 도 1의 가스 발생기(1)와는 컵상 부재(150)의 형상이 상이하고, 그것과 관련하여 환상 시일 부재(60)의 배치 상태가 상이한 것 이외에는, 도 1의 가스 발생기(1)와 같다.
컵상 부재(150)는, 저면부, 주벽부(151) 및 개구부(152)를 갖고 있다. 저면부는, 주연측의 환상 저면부(153)와, 환상 저면부(153)에서 돌출된 환상 벽면부(154)와, 환상 벽면부(154)로 둘러싸인 원형 저면부(155)를 갖고 있다. 원형 저면부(155)에는, 복수의 제2 연통 구멍(156)이 형성되어 있다.
컵상 부재(150)는, 통상 부재(30)의 주벽부(31)의 내벽면(31a)과 컵상 부재(150)의 주벽부(151)의 전체가 맞닿아지고, 개구부(152)가 천판(12)측이 되고, 원형 저면부(155)가 전화약 용기(4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컵상 부재(150)의 환상 저면부(153), 컵상 부재(150)의 환상 벽면부(154) 및 통상 부재(30)의 주벽부(31)의 내벽면(31a)으로 둘러싸인 환상 홈(70) 내에 환상 시일 부재(60)가 감입되어 있다.
환상 시일 부재(60)는, 컵상 부재(150)의 환상 벽면부(154) 및 통상 부재(30)의 내벽면(31a)에서 양측으로부터 가압할 수 있도록 하여 고정되어 있다.
작동 시에 있어서 연소 생성물에 의한 압력을 받았을 때, 환상 시일 부재(60)가 컵상 부재(150)의 환상 저면부(153)측에 가압되도록 되기 때문에, 통상 부재(30)의 내벽면(31a)과 컵상 부재(150)의 주벽부(151)의 맞닿음 부분으로부터 연소 생성물이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 인해, 도 1의 가스 발생기(1)와 동일하게, 전화약이 연소하여 발생한 연소 생성물의 전량이, 제1 공간(35) 및 제2 공간(55) 내의 가스 발생제(61)의 연소에 이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가스 발생제(61) 전체의 착화성이 향상된다.
(3) 도 3의 가스 발생기
도 3의 가스 발생기(1B)는, 도 2의 가스 발생기(1A)와는 통상 부재의 길이가 짧게 되어 있는 것과, 통상 부재와 컵상 부재의 설치 상태가 상이한 것 이외에는, 도 2의 가스 발생기(1A)와 같다.
또한, 도 3의 가스 발생기(1B)에서는 통상의 쿨런트·필터(80)가 사용되고 있지만, 도 1의 가스 발생기(1), 도 2의 가스 발생기(1A), 또한 도 4의 가스 발생기(1C)에서도 통상의 쿨런트·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하우징(10) 내에는, 하우징(10)의 축 X에 따라 통상 부재(30)가 배치되어 있다.
통상 부재(30)는, 주벽부(31)에 복수의 제1 연통 구멍(32)을 갖고 있고, 제1 단부 개구부(33)측은, 하우징(10) 내에 돌출된 점화기 칼라(26)에 외측으로부터 감입되어 있다.
통상 부재(30)의 제1 단부 개구부(33)측은 점화기 칼라(26)에 압입되어 있다.
통상 부재(30)는, 도 1 및 도 2의 통상 부재(30)와 형상 및 구조는 동일하지만, 길이가 짧게 되어 있다.
통상의 쿨런트·필터(80)는, 외주면(80a)의 하측(저판(22)측)이 클로져 셸(21)의 하부 주벽부(23)에 맞닿아지고, 하단부면(81)이 저판(22)에 맞닿아지고, 상단부면(82)이 천판(12)에 맞닿아지고 있다.
외주면(80a)의 상측(천판(12)측)과 가스 배출구(15) 사이에는, 통상 공간(19)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공간(35)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통상의 쿨런트·필터(80)로 둘러싸여 있다.
통상 부재(30) 내에는, 점화기(25)의 착화부(27)와 맞닿은 상태로 전화약 용기(40)가 배치되어 있다.
전화약 용기(40)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외형이 원기둥 형상의 것이고, 내부에 공지된 가스 발생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화약이 수용되어 있다.
컵상 부재(150)는, 도 2의 컵상 부재(150)와 같은 형상이고, 저면부, 주벽부(151) 및 개구부(152)를 갖고 있다. 저면부는, 주연측의 환상 저면부(153)와, 환상 저면부(153)에서 돌출된 환상 벽면부(154)와, 환상 벽면부(154)로 둘러싸인 원형 저면부(155)를 갖고 있다.
원형 저면부(155)에는, 복수의 제2 연통 구멍(156)이 형성되어 있다.
컵상 부재(150)는, 통상 부재(30)의 제2단 개구부(도 1, 도 2의 제2단 개구부(34) 참조)의 환상 단부면(34a)에 환상 저면부(153)가 맞닿아지고, 통상 부재(30)의 내벽면(31a)에 환상 벽면부(154)가 맞닿아져 있다.
컵상 부재(150)는, 개구부(152)가 천판(12)측이 되고, 원형 저면부(155)가 전화약 용기(4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컵상 부재(150)는, 통상 부재(30)에 대하여 압입되어 있거나, 부분적으로 용접됨으로써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통상 부재(30)와 컵상 부재(150)를 용접에 의해 도 3에 도시하는 상태로 용접할 때에는, 전화약 용기(40)에 대한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서, 미리 그것들을 용접한 상태의 것으로 전화약 용기(40)를 내장하여 하우징(10) 내에 배치한다.
환상 시일부(60)는, 컵상 부재(150)의 원형 저면부(155), 통상 부재(30)의 내벽면(31a) 및 전화약 용기(40)의 천면(42)에 접촉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작동 시에 연소 생성물에 의한 압력을 받았을 때, 환상 시일 부재(60)가 컵상 부재(150)의 원형 저면부(155)에 가압되도록 되기 때문에, 통상 부재(30)의 내벽면(31a)과 컵상 부재(150)의 주벽부(151)의 맞닿음 부분으로부터 연소 생성물이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 인해, 도 1의 가스 발생기(1)와 동일하게, 전화약이 연소하여 발생한 연소 생성물의 전량이, 제1 공간(35) 및 제2 공간(55) 내의 가스 발생제(61)의 연소에 이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가스 발생제(61) 전체의 착화성이 향상된다.
도 3과 같은 통상 부재(30)와 컵상 부재(150)의 조합은, 통상 부재(30)에 대한 컵상 부재(150)의 압입 거리가 짧아진다. 또한, 압입과 용접을 병용하는 경우의 용접은, 통상 부재(30)로부터 컵상 부재(150)가 어긋나지 않도록 하는 정도의 부분적인 용접이면(원주에 3군데 정도 행하면) 되고, 압입 거리의 짧음과 함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4) 도 4의 가스 발생기
도 4의 가스 발생기(1C)는, 도 3의 가스 발생기(1B)와는 전화약 용기의 형상이 상이한 것과, 거기에 따른 환상 시일 부재의 배치 상태가 상이한 것 이외에는, 도 3의 가스 발생기(1B)와 같다.
전화약 용기(140)는, 점화기(25)측의 저면(141), 컵상 부재(150)측의 천면, 및 주벽면(142)을 갖고 있는 원기둥 형상의 것이다. 또한 천면은, 주연측의 환상 천면(143)과, 환상 천면(143)에서 돌출된 환상 벽면(144)과, 환상 벽면(144)으로 둘러싸인 원형 천면(145)을 갖고 있다.
통상 부재(30)의 내벽면(31a), 컵상 부재(150)의 원형 저면부(155), 전화약 용기(140)의 환상 천면(143) 및 전화약 용기(140)의 환상 벽면(144)으로 둘러싸인 환상 공간 내에 환상 시일 부재(60)가 감입되어 있다.
작동 시에 연소 생성물에 의한 압력을 받았을 때, 환상 시일 부재(60)가 컵상 부재(150)의 원형 저면부(155) 및 통상 부재(30)의 내벽면(31a)에 가압되도록 되기 때문에, 통상 부재(30)의 내벽면(31a)과 컵상 부재(150)의 환상 벽면부(154)의 맞닿음 부분으로부터 연소 생성물이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 인해, 도 1의 가스 발생기(1)와 동일하게, 전화약이 연소하여 발생한 연소 생성물의 전량이, 제1 공간(35) 및 제2 공간(55) 내의 가스 발생제(61)의 연소에 이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가스 발생제(61) 전체의 착화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을 이상과 같이 기재하였다. 당연,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그 범위에 포함하고, 이들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의 일탈이 아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명백하게 본 발명의 변형으로 간주할 것인 모두는, 이하에 기재하는 청구항의 범위에 있다.

Claims (6)

  1. 천판(top plate)과 저판(bottom plate), 및 가스 배출구가 형성된 주벽부를 갖는 하우징을 갖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하우징의 축을 따라 배치된, 주벽부에 제1 연통 구멍을 갖는 통상 부재와,
    상기 통상 부재 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저판에 설치된 점화기와,
    상기 통상 부재 내에 상기 점화기의 착화부와 동일 공간에 충전된 전화약과,
    상기 통상 부재의 내벽면과 적어도 주벽부의 일부가 맞닿아지고, 개구부가 상기 천판측이 되고, 제2 연통 구멍을 갖는 저면부가 상기 전화약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저면부, 주벽부 및 개구부를 갖는 컵상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통상 부재의 외측 제1 공간 내와 상기 컵상 부재 내의 제2 공간 내에 가스 발생제가 충전되어 있는 것이고,
    또한 적어도 상기 컵상 부재의 저면부 및 상기 통상 부재의 내벽면에 맞닿아져서 배치된 환상 시일 부재를 갖고 있는, 가스 발생기.
  2. 천판과 저판, 및 가스 배출구가 형성된 주벽부를 갖는 하우징을 갖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하우징의 축을 따라 배치된, 주벽부에 제1 연통 구멍을 갖는 통상 부재와,
    상기 통상 부재 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저판에 설치된 점화기와,
    상기 통상 부재 내에 상기 점화기의 착화부에 대향한 상태로 배치되며, 전화약이 수용된 전화약 용기와,
    상기 통상 부재의 내벽면과 적어도 주벽부의 일부가 맞닿아지고, 개구부가 상기 천판측이 되고, 제2 연통 구멍을 갖는 저면부가 상기 전화약 용기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저면부, 주벽부 및 개구부를 갖는 컵상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통상 부재의 외측 제1 공간과 상기 컵상 부재 내의 제2 공간 내에 가스 발생제가 충전되어 있는 것이고,
    또한 적어도 상기 컵상 부재의 저면부 및 상기 통상 부재의 내벽면에 맞닿아져서 배치된 환상 시일 부재를 갖고 있는, 가스 발생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컵상 부재의 저면부의 전체와, 상기 컵상 부재의 주벽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통상 부재 내에 위치하고, 상기 컵상 부재의 주벽부의 전부 또는 일부와 상기 통상 부재의 내벽면이 맞닿아져 있는, 가스 발생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컵상 부재의 상기 저면부가, 상기 저면부의 주연측에 형성된 환상 저면부와, 상기 환상 저면부에서 돌출된 환상 벽면부와, 상기 환상 벽면부로 둘러싸인 원형 저면부를 갖고 있고,
    상기 컵상 부재의 전체가 상기 통상 부재 내에 위치하고, 상기 컵상 부재의 주벽부와 상기 통상 부재의 내벽면이 맞닿아져 있고,
    상기 컵상 부재의 환상 저면부, 상기 컵상 부재의 환상 벽면부 및 상기 통상 부재의 내벽면으로 둘러싸인 환상 홈 내에 상기 환상 시일 부재가 감입되어 있는 것인, 가스 발생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컵상 부재의 상기 저면부가, 상기 저면부의 주연측에 형성된 환상 저면부와, 상기 환상 저면부에서 돌출된 환상 벽면부와, 상기 환상 벽면부로 둘러싸인 원형 저면부를 갖고 있고,
    상기 컵상 부재가, 상기 환상 저면부가 상기 통상 부재의 상기 천판측 개구부의 환상 단부면에 맞닿아지고, 상기 환상 벽면부가 상기 통상 부재의 내벽면에 맞닿아져 있고,
    상기 통상 부재의 내벽면, 상기 원형 저면부 및 상기 전화약 용기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환상 시일 부재가 감입되어 있는 것인, 가스 발생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컵상 부재의 상기 저면부가, 상기 저면부의 주연측에 형성된 환상 저면부와, 상기 환상 저면부에서 돌출된 환상 벽면부와, 상기 환상 벽면부로 둘러싸인 원형 저면부를 갖고 있고,
    상기 컵상 부재가, 상기 환상 저면부가 상기 통상 부재의 상기 천판측 개구부의 환상 단부면에 맞닿아지고, 상기 환상 벽면부가 상기 통상 부재의 내벽면에 맞닿아져 있고,
    상기 전화약 용기가, 상기 점화기측의 저면, 상기 컵상 부재측의 천면, 및 주벽면을 갖고 있는 원기둥 형상의 것이고, 또한 상기 천면이, 상기 천면의 주연측에 형성된 환상 천면과, 상기 환상 천면에서 돌출된 환상 벽면과, 상기 환상 벽면으로 둘러싸인 원형 천면을 갖고 있고,
    상기 통상 부재의 내벽, 상기 컵상 부재의 원형 저면부, 상기 전화약 용기의 환상 천면 및 상기 전화약 용기의 환상 벽면으로 둘러싸인 환상 공간 내에 상기 환상 시일 부재가 감입되어 있는 것인, 가스 발생기.
KR1020187023720A 2016-04-12 2017-03-29 가스 발생기 KR201801326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79257A JP6675255B2 (ja) 2016-04-12 2016-04-12 ガス発生器
JPJP-P-2016-079257 2016-04-12
PCT/JP2017/012781 WO2017179421A1 (ja) 2016-04-12 2017-03-29 ガス発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611A true KR20180132611A (ko) 2018-12-12

Family

ID=60042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720A KR20180132611A (ko) 2016-04-12 2017-03-29 가스 발생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14827B2 (ko)
JP (1) JP6675255B2 (ko)
KR (1) KR20180132611A (ko)
CN (1) CN108883739B (ko)
DE (1) DE112017001991T5 (ko)
WO (1) WO20171794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3379B (zh) * 2016-01-26 2021-02-12 株式会社大赛璐 气体发生器
JP6954520B2 (ja) * 2017-12-05 2021-10-27 株式会社ダイセル 点火器組立体、及びガス発生器
KR102622079B1 (ko) * 2018-05-29 2024-01-09 주식회사 다이셀 가스 발생기
US11603072B2 (en) * 2021-08-06 2023-03-14 Autoliv Asp, Inc. Dual stage inflato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5999A (ja) * 1993-12-29 1995-08-01 Nippon Kayaku Co Ltd エアバッグ用インフレータ
US20020189487A1 (en) * 2000-01-12 2002-12-19 Dairi Kubo Gas generator
US7347448B2 (en) 2004-10-19 2008-03-25 Autoliv Asp, Inc. Inflator device for airbag installations
US7654565B2 (en) * 2005-06-02 2010-02-02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ing system
US7374204B2 (en) * 2005-11-28 2008-05-20 Autoliv Asp, Inc. Inflator second stage combustion control
FR2895070B1 (fr) 2005-12-15 2008-03-07 Seva Technologies Soc Par Acti Dispositif de generation de gaz pour systeme de securite
US8444179B2 (en) * 2006-12-06 2013-05-2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ual stage air bag inflator
JP5021447B2 (ja) * 2007-12-21 2012-09-05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2011218942A (ja) * 2010-04-08 2011-11-04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ガス発生器とその組立方法
JP5616800B2 (ja) * 2011-01-06 2014-10-29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054232B2 (ja) * 2013-04-15 2016-12-27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CN203391723U (zh) * 2013-07-10 2014-01-15 百利得(湖州)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安全气囊气体发生器
DE102014010942A1 (de) * 2014-07-28 2016-01-28 Trw Airbag Systems Gmbh Gasgenerator für ein Fahrzeuginsassensicherheitssystem, Gassackmodul und Fahrzeuginsassensicherheitssystem mit einem solchen Gasgenerator sowie Herstellungsverfahren
JP6633985B2 (ja) * 2016-07-20 2020-01-22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7001991T5 (de) 2018-12-20
US20190061677A1 (en) 2019-02-28
WO2017179421A1 (ja) 2017-10-19
JP6675255B2 (ja) 2020-04-01
CN108883739B (zh) 2022-04-05
US10814827B2 (en) 2020-10-27
CN108883739A (zh) 2018-11-23
JP2017190003A (ja) 2017-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06176B (zh) 气体发生器
US8011303B2 (en) Gas generator
KR102309123B1 (ko) 가스 발생기
KR102041896B1 (ko) 가스 발생기
KR20180132611A (ko) 가스 발생기
KR102162699B1 (ko) 인원 구속 장치용 가스 발생기
KR20130040170A (ko) 가스 발생기
CN109641567B (zh) 气体发生器
KR102434717B1 (ko) 가스 발생기
JP7449432B2 (ja) ガス発生器
US10166501B2 (en) Gas generator
EP1927519A2 (en) Inflator
CN110770089B (zh) 气体发生器
WO2018147020A1 (ja) ガス発生器
KR20170055472A (ko) 가스 발생기
CN115503647A (zh) 气体发生器